KR20230000550U - 헤드장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헤드장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550U
KR20230000550U KR2020210003218U KR20210003218U KR20230000550U KR 20230000550 U KR20230000550 U KR 20230000550U KR 2020210003218 U KR2020210003218 U KR 2020210003218U KR 20210003218 U KR20210003218 U KR 20210003218U KR 20230000550 U KR20230000550 U KR 202300005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ront frame
bracket
headband
fram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첸
Original Assignee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05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4Mirrors; 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5Magnifying glasse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magnifying glass or the object view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2Mounting on the human bod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6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or neck not in the position of u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장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과,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부 및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 상에 각각 제공되는 두 개의 제1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는 사용자의 머리의 반대쪽 두 면에 인접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전방프레임부는 사용자의 이마에 인접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측방프레임부와 상기 전방프레임부는 단단한 소재로 제작되는 헤드프레임(10); 상기 전방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1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설정된 브래킷(20); 및 상기 브래킷의 제2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제1조절부재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며, 상기 머리의 뒤편을 인접하여 감싸도록 설정되는 머리띠(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 상기 전방프레임부, 상기 브래킷 및 상기 머리띠가 서로 인접되며, 상기 머리띠 상의 각각의 제1조절부재의 위치는 상기 이마 상의 상기 전방프레임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헤드장착 고정장치가 머리를 기준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제한하여 헤드장착 고정장치를 흔들림 없이 착용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장기간 가까이서 대상물을 보는 것으로 인한 눈의 손상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장착 고정장치{HEAD-MOUNTED FIXING DEVICE}
본 고안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장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학계에서는 장기간 가까이에서 보는 것이 근시의 주요 원인임을 증명하였다.
기본적으로 물체의 측면에서 눈까지의 가시거리가 길수록 눈 건강에 도움이 된다.
다만, 모바일 전자기기(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등)의 화면을 읽거나 쓰거나 볼 때는 시거리가 길수록 시각인식 능력이 떨어져 눈의 피로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시각거리를 연장하면서 시각인식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례로 물체 측의 가상이미지를 눈으로 투사하는 기술 등 신기술의 지원에 의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술은 예를 들어 공개된 기술인 특허 TWM536362, CN102692710B, TWM5502, CN3608282U, TWI518369, CN203057249U, TWI563361, TW298625, TW201608279, CN20318Y, TWM541404, TWM535811, TWM592084, 및 TWM548275 등으로, 이들은 심지어 헤드장착 고정장치와 결합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 TWI654444(도 1 참조)와 TWM536362는 각각 헤드장착 고정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 장치들의 디자인은 불안정적인 착용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21-0071600호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헤드장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헤드장착 고정장치로서,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과,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부 및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 상에 각각 제공되는 두 개의 제1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는 사용자의 머리의 반대쪽 두 면에 인접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전방프레임부는 사용자의 이마에 인접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측방프레임부와 상기 전방프레임부는 단단한 소재로 제작되는 헤드프레임; 상기 전방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1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설정된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의 제2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제1조절부재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며, 상기 머리의 뒤편을 인접하여 감싸도록 설정되는 머리띠;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의 제1, 2단부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헤드장착 고정장치는 상기 머리를 기준으로 그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 상기 전방프레임부, 상기 브래킷 및 상기 머리띠가 서로 인접되며, 상기 머리띠 상의 각각의 제1조절부재의 위치는 상기 이마 상의 상기 전방프레임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에 연결되는 확장프레임; 상기 확장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를 향하는 확대경을 포함하는 확대어셈블리; 및 상기 확장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확대어셈블리와 상기 사용자 사이에 위치되며, 반사경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경의 뒷면이 상기 사용자를 향하고, 물체측으로부터 상기 확대경으로 상기 물체측 빛이 반사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물체측 빛이 상기 확대경에 의해 확대된 다음 상기 확대경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눈으로 투영되도록 하는 반사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볼록 거울이고, 상기 확대경은 오목 거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대어셈블리와 반사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확장프레임에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확대어셈블리와 반사어셈블리 및 확장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각 피벗연결부에 제2회전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착 고정장치.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적어도 하나의 접힘구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장착 고정장치와 머리 사이의 적합 정도는 상기 브래킷의 확장 또는 축소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제1단부는 상기 전방프레임부에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머리를 향하는 상기 전방프레임부의 표면에 패드가 제공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이마에 인접되도록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는 상기 전방프레임부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두 측방프레임부와 전방프레임부 사이의 각 피벗연결부에 제1회전축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재는 스냅핏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머리띠는 상기 머리띠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는 머리를 기준으로 하는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 전방프레임부, 브래킷 및 머리띠가 서로 인접되며, 상기 머리띠 상의 각각의 제1조절부재의 위치는 이마 상의 상기 전방프레임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헤드장착 고정장치가 머리를 기준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제한하여 헤드장착 고정장치를 흔들림 없이 착용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장기간 가까이서 대상물을 보는 것으로 인한 눈의 손상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종래의 헤드장착 고정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조절부재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의 브래킷이 구부러질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머리띠의 제2조절부재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확대어셈블리가 확장프레임에 대해 회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장착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제공된 헤드장착 고정장치(1)는 사용자의 머리(2)에 착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헤드장착 고정장치(1)는 헤드프레임(10), 브래킷(20), 머리띠(30), 확장프레임(40), 확대어셈블리(50) 및 반사어셈블리(6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프레임(10)은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11)과,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11) 사이에 위치한 전방프레임부(12) 및 두 개의 제1조절부재(13)를 각각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두 측방프레임부(11)는 전방프레임부(12)의 두 반대쪽 단부에 각각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제1회전축(15)은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11)과 전방프레임부(12)의 각 선단부 사이의 각 피벗연결부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러한 피벗연결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11)는 사용하지 않을 때 접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11)와 전방프레임부(12)도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두 측방프레임부(11)는 머리(2)의 반대쪽 두 면에 인접되도록 하는데 사용되며, 전방프레임부(12)는 사용자의 이마에 인접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측방프레임부(11)와 전방프레임부(12)는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소재로 제작되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제1조절부재(13)는, 도 3과 같이, 스냅핏(결합장치)으로 되어 있지만, 스냅핏에 제한되지 않으며, 각 제1조절부재(13)는 결합커버(131), 결합홀(132) 및 두 개의 삽입홀(133)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커버(131)는 결합홀(132)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두 개의 삽입홀(133)은 머리띠(30)가 상기 두 개의 삽입홀(133)을 통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패드(14)는 머리(2)를 향하는 전방프레임부(12)의 표면에 마련되며, 상기 패드(14)는 착용의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해 이마에 안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0)은 제1단부(21), 제1단부(21)와 반대되는 제2단부(22), 제1단부(21)와 제2단부(22) 사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힘구조부(23)를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20)의 제1단부(21)는 전방프레임부(12)에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0)의 제2단부(22)는 머리띠(30)가 통과할 수 있는 두 개의 관통홀(2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접힘구조부(23)는 파동 구조일 수 있고 탄성 재질로 제작되어 길어지고 압축되며 구부러질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머리띠(30)는, 예를 들어 직물 또는 탄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머리띠(30)는 제2조절부재(32)가 함께 제공된다.
상기 제2조절부재(32)는, 예를 들어 후크와 루프 패스너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후크 및 루프 패스너를 예로 들면, 제2조절부재(32)는 적어도 한 개의 제1결합부재(33)와 적어도 한 개의 제2결합부재(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재(33)는 제2결합부재(34)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2조절부재(32)는 머리띠(30)의 두 반대쪽단부(31)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제1결합부재(33)를 포함하고, 두 반대쪽단부(31) 사이에 위치되는 제2결합부재(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재(33)와 제2결합부재(34)는 머리띠(30)의 동일한 표면에 위치되지만, 본 고안은 위의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확장프레임(40)은 헤드프레임(10)에 연결되며 헤드프레임(10)에서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확장프레임(40)은 전방프레임부(12)의 두 반대쪽단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암(41)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암(41)의 제1단부는 전방프레임부(12)의 일단부와 어느 하나의 측방프레임부(11) 사이의 접합부에 연결되며, 다른 암(41)의 제1단부는 예를 들어 전방프레임부(12)의 반대편단부와 다른 하나의 측방프레임부(11) 사이의 접합부에 연결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위의 사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일 실시예에서는 전방프레임부(12)와 확장프레임(4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확장프레임(40)이 전방프레임부(12)에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확대어셈블리(50)는 제1지지대(51)와 확대경(5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대(51)는 두 암(41)의 제1단부와 반대쪽인 확장프레임(40)의 두 암(41)의 제2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확대경(52)은 제1지지대(51)에 배치되며 사용자를 향한다. 예를 들어, 확대경(52)은 오목거울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는, 확장프레임(40)과 제1지지대(5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51)와 각각의 두 암(41) 사이의 각 피벗연결부에 제2회전축(G2)이 마련되어 상기 제1지지대(51)가 두 개의 암(41)에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확대어셈블리(5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피벗연결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반사어셈블리(60)는 제2지지대(61)와 반사경(6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대(61)는 확장프레임(40)의 두 암(41)의 두 개의 반대 위치에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반사어셈블리(60)가 확대어셈블리(50)와 사용자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특히, 도 2와 8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제2지지대(61)와 각 암(41) 사이의 각 피벗연결부에 제3회전축(G3)이 제공되어 반사어셈블리(6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러한 피벗연결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반사경(62)의 배면은 사용자를 향하고, 상기 반사경(62)은 예를 들어 볼록거울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헤드장착 고정장치(1)를 착용하기 위해서, 도 2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머리띠(30)의 각 반대쪽단부(31)를 헤드프레임(10)의 두 개의 제1조절부재(13)의 각 삽입홀(133)을 통해 각각 삽입 관통시키고, 그런 다음 머리띠(30)의 각 반대쪽단부(31)를 상기 브래킷(20)의 두 관통홀(24)로 삽입시킨다.
그러고 나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프레임부(12)는 제1접촉점을 제공하기 위해 이마에 안착 배치될 수 있고,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11)는 두 개의 제2접촉점을 제공하기 위해 머리(2)의 반대편 측면에 안착 배치될 수 있으며, 머리띠(30)는 제3접촉점을 제공하기 위해 머리(2)의 배면에 맞닿아 감싸게 되고, 브래킷(20)은 제4접촉점을 제공하기 위해 머리 정수리에 안착 배치되도록 구부러진다.
그런 다음, 전방프레임부(12)에 대한 각 측방프레임부(11)의 각도를 조절하여 헤드프레임(10)과 머리(2) 사이의 피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머리띠(30) 상의 제1조절부재(13)의 위치를 조절하여 머리 뒤에 맞닿아 배치되는 머리띠(30)의 위치와 이마 상의 전방프레임부(12)의 위치를 맞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머리띠(30)에 있는 브래킷(20)의 제2단부(22)의 관통홀(24)의 위치를 조절하여 헤드 상부에 대한 브래킷(20)의 적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각각의 제1조절부재(13)의 결합커버(131)를 대응되는 결합홀(132)에 끼워서 머리띠(30)를 기준으로 제1조절부재(13)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1결합부재(33)는 대응되는 제2결합부재(34)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고 머리띠(30)의 길이를 결정하여 상기 브래킷(20)의 움직임을 허용하거나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식으로, 헤드장착 고정장치(1)와 머리(2) 사이의 제1접촉점 내지 제4접촉점은 대응되는 머리(2)에 흔들림 없이 헤드장착 고정장치(1)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모바일 전자기기의 화면을 읽거나 쓰거나 보기 위해서 도 9에 나타낸 헤드장착 고정장치(1)를 착용하였을 때, 반사어셈블리(60)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는 암(41)에 대한 반사어셈블리(6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제3회전축(G3)을 돌려 물체측(즉, 책이나 모바일 전자기기의 스크린)이 반사경(62)의 입사 범위(즉, 빛의 입사각에 의해 가려지는 범위) 안으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암(41)에 대한 확대어셈블리(5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제2회전축(G2)을 돌림으로써 확대어셈블리(50)의 입사각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확대경(52)이 반사경(62)의 반사 범위(즉, 빛의 반사각에 의해 가려지는 범위) 안으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반사경(62)은 물체 쪽에서 오는 빛을 확대경(52)까지 반사할 수 있다.
그리고, 확대경(52)이 사용자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확대경(52)에 의해 확대된 물체 측의 빛은 상기 확대경(20)에 의해 사용자의 눈으로 투영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확대경(52)을 통해 책이나 스크린의 사진과 텍스트를 볼 수 있으며, 확대경(52)의 사진 크기와 글자 크기가 책이나 스크린 상의 사진 및 글자크기 보다 크거나 같게 된다.
이렇게 하여, 장시간 가까이서 대상물을 보는 것으로 인한 눈의 손상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고안의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극히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 : 헤드장착 고정장치 2 : 머리
10 : 헤드프레임 11 : 측방프레임부
12 : 전방프레임부 13(131) : 제1조절부재
14 : 패드 15 : 제1회전축
20 : 브래킷 21 : 제1단부
22 : 제2단부 23 : 접힘구조부
24 : 관통홀 30 : 머리띠
31 : 반대쪽단부 32 : 제2조절부재
33 : 제1결합부재 34 : 제2결합부재
40 : 확장프레임 41 : 암
50 : 확대어셈블리 51 : 제1지지대
52 : 확대경 60 : 반사어셈블리
61 : 제2지지대 62 : 반사경
131 : 결합커버 132 : 결합홀
133 : 삽입홀 G2 : 제2회전축
G3 : 제3회전축

Claims (10)

  1. 헤드장착 고정장치로서,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과,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부 및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 상에 각각 제공되는 두 개의 제1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는 사용자의 머리의 반대쪽 두 면에 인접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전방프레임부는 사용자의 이마에 인접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측방프레임부와 상기 전방프레임부는 단단한 소재로 제작되는 헤드프레임;
    상기 전방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1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설정된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의 제2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제1조절부재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며, 상기 머리의 뒤편을 인접하여 감싸도록 설정되는 머리띠;
    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의 제1, 2단부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헤드장착 고정장치는 상기 머리를 기준으로 그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 상기 전방프레임부, 상기 브래킷 및 상기 머리띠가 서로 인접되며,
    상기 머리띠 상의 각각의 제1조절부재의 위치는 상기 이마 상의 상기 전방프레임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착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에 연결되는 확장프레임;
    상기 확장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를 향하는 확대경을 포함하는 확대어셈블리; 및
    상기 확장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확대어셈블리와 상기 사용자 사이에 위치되며, 반사경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경의 뒷면이 상기 사용자를 향하고, 물체측으로부터 상기 확대경으로 상기 물체측 빛이 반사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물체측 빛이 상기 확대경에 의해 확대된 다음 상기 확대경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눈으로 투영되도록 하는 반사어셈블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착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볼록 거울이고, 상기 확대경은 오목 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착 고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어셈블리와 반사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확장프레임에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확대어셈블리와 반사어셈블리 및 확장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각 피벗연결부에 제2회전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착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적어도 하나의 접힘구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장착 고정장치와 머리 사이의 적합 정도는 상기 브래킷의 확장 또는 축소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착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제1단부는 상기 전방프레임부에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착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를 향하는 상기 전방프레임부의 표면에 패드가 제공되고, 상기 패드는 상기 이마에 인접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착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측방프레임부는 상기 전방프레임부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두 측방프레임부와 전방프레임부 사이의 각 피벗연결부에 제1회전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착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재는 스냅핏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착 고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띠는 상기 머리띠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착 고정장치.
KR2020210003218U 2021-09-08 2021-10-25 헤드장착 고정장치 KR2023000055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210609 2021-09-08
TW110210609U TWM622202U (zh) 2021-09-08 2021-09-08 頭戴式固定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50U true KR20230000550U (ko) 2023-03-15

Family

ID=7882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18U KR20230000550U (ko) 2021-09-08 2021-10-25 헤드장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47631B2 (ko)
JP (1) JP3235606U (ko)
KR (1) KR20230000550U (ko)
CN (2) CN216718815U (ko)
DE (1) DE202021105816U1 (ko)
TW (1) TWM62220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40478A1 (en) * 2021-08-04 2023-02-09 E-Lead Electronic Co., Ltd. Head-mounted fix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600A (ko) 2019-12-06 2021-06-16 박홍석 Gps가 장착된 레저용 소프트 타입 헤드프로텍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4430A (en) 1995-03-16 1997-07-01 Motorola Single fold optical magnifier for use in image manifestation apparatus
JP3576985B2 (ja) * 2001-02-28 2004-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位置調整機構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CN201060318Y (zh) 2007-01-29 2008-05-14 王小光 一种视频放大组合镜头
CN102692710B (zh) 2012-06-13 2014-10-01 北京大学人民医院 一种用于控制青少年近视发展的远距离阅读系统
CN203057249U (zh) 2013-02-02 2013-07-10 温万安 手机屏幕放大装置
CN203608282U (zh) 2013-12-23 2014-05-21 温万安 手机屏幕放大投影仪
TW201606350A (zh) 2014-08-12 2016-02-16 Automotive Res & Testing Ct 抬頭顯示裝置
TWI621875B (zh) 2014-08-18 2018-04-21 Young Optics Inc Head up display system
TWI563361B (en) 2014-12-26 2016-12-21 Shinyoptics Corp Virtual image display device for mobile apparatus
TWM535811U (zh) 2016-06-30 2017-01-21 葉天守 反射式虛像顯示裝置
TWM536362U (zh) 2016-08-11 2017-02-01 葉天守 反射式放大虛像顯示模組
CN107817604A (zh) 2016-09-14 2018-03-20 上海蔚兰动力科技有限公司 抬头显示设备的可调式反射器及包含其的抬头显示设备
TWM541404U (zh) 2016-12-27 2017-05-11 E-Lead Electronic Co Ltd 遠距離顯像的抬頭顯示裝置
TWM550572U (zh) 2017-03-23 2017-10-21 聖母醫護管理專科學校 多功能伸縮鏡
TWI654444B (zh) 2017-11-06 2019-03-2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頭戴式顯示裝置
TWM592084U (zh) 2019-10-16 2020-03-11 怡利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放大顯示裝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600A (ko) 2019-12-06 2021-06-16 박홍석 Gps가 장착된 레저용 소프트 타입 헤드프로텍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718815U (zh) 2022-06-10
TWM622202U (zh) 2022-01-11
DE202021105816U1 (de) 2021-11-10
US11747631B2 (en) 2023-09-05
CN115774334A (zh) 2023-03-10
JP3235606U (ja) 2022-01-06
US20230071032A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02085A (ja) 回転可能なテンプルを有する眼鏡フレーム
US20040113867A1 (en) Head-mountable display system
US9239470B2 (en) Adjustable eyewear
WO2008081973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WO2021043305A1 (zh) 面罩及头戴式显示设备
JP3236793U (ja) ヘッドマウント装着装置
WO2021180071A1 (zh) Ar眼镜
WO2015109999A1 (zh) 光学视野转换器
KR20230000550U (ko) 헤드장착 고정장치
US6280031B1 (en) Prismatic optical viewing glasses
JP2007193040A (ja) 眼鏡フレーム
JPH09159965A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CN216927267U (zh) 头戴式固定装置
JP3225658U (ja) 拡大表示装置
JP2020008654A (ja) アイウエアおよびテンプル
US20230251505A1 (en) Glasses with screwless hinge
CN215494364U (zh) 头戴式放大显示装置
JP3603401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TWM624513U (zh) 頭戴式固定裝置
CN218181241U (zh) 一种镜片及装配有该镜片的眼镜
JPH05191745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CN115903223A (zh) 头戴式放大显示装置
KR200168098Y1 (ko) 프리즘을 이용한 굴절 안경
US20220075198A1 (en) Glasses type display device and light-shielding face mask
TWI670519B (zh) 穿戴式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