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546A -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546A
KR20230000546A KR1020210082772A KR20210082772A KR20230000546A KR 20230000546 A KR20230000546 A KR 20230000546A KR 1020210082772 A KR1020210082772 A KR 1020210082772A KR 20210082772 A KR20210082772 A KR 20210082772A KR 20230000546 A KR20230000546 A KR 20230000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opening
greenhouse
windows
right wind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김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식 filed Critical 김태식
Priority to KR102021008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546A/ko
Publication of KR2023000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05Y2900/152Roof windows
    • E05Y2900/154Skyl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 또한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다수의 환기용 천장들을 푸시바의 전, 후진 동작에 따라 동시 개폐 및 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는, 다수의 독립기초기둥(10)과 트러스트소기둥(10-1)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기 트러스트(20)의 상부에 기둥과의 간섭을 원천적으로 회피하기 위한 분리설치형 가이롤러 받침대(110)를 설치하고;, 상기 분리설치형 가이드롤러 받침대(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그 일측 또는 타측의 상면에는 한쌍의 가이드롤러(121)가 각각 포함된 좌,우창용 롤러안내유닛(120,120')를 각각 분리된 상태로 설치하며; 독립기초기둥(10)을 기준으로 트러스트(20) 및 분리설치형 가이드롤러 받침대(11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리 설치된 좌창용 좌,우창용 롤러안내유닛(120,120')의 가이드롤러(121)에는 온실의 폭과 대응하도록 수평으로 길게 뻗은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와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사이에는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좌우 수평 직선운동에 따라 위치가 변하면서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을 자동으로 개폐(열거나 닫음)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온실의 폭에 준할 정도로 길게 수평으로 형성된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각 일단에는 일정한 간격 만큼 수평작동을 위한 좌,우측 랙기어(131,131')를 형성하며; 상기 좌,우측 랙기어(131,131')가 위치한 트러스트(20)의 일측과 타측 상부에는 랙기어와 치간 맞물림되는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가 포함되는 동시에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의 회전축(152) 양측으로는 회전축(152)가 포함된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을 설치하고; 상기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의 각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152) 중 어느 하나에는 좌,우창용 구동모터(17, 17')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다른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와 연동을 위한 좌,우창용 회전연결봉(16,16')을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Greenhouse push bar-operated skylight opening and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온실 또한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다수의 환기용 천장들을 푸시바의 전, 후진 동작에 따라 동시 개폐 및 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온실 또는 비닐하우스는 계절에 상관없이 야채, 화초, 묘목 등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다수의 프레임으로 골조를 구축하고 그 위에 비닐을 씌워 만든 구조물이다.
그리고 온실 내부의 온, 습도 등 환경은 식물의 성장과 수확 및 품질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실내의 온,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온실 내, 외부의 공기를 순화시키는 등 환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온실 또는 비닐 하우스 등에 설치되는 자동화 환기 시스템은, 온실의 각 천정에 개폐용창틀들을 설치한 다음 이와 연결된 온실의 실내에는 전동에 의해 자동으로 모든 개폐용창틀을 동시에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천창 자동화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온실 또는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천창 자동화 개폐장치 중에는,
천정에 설치된 개폐용창틀 각각의 저면에 피니언기어에 의해 상,하 곡률으로 움직이는 개폐형 랙기어가 구성되고, 그 랙기어를 동작시키는 피니언기어의 중심에는 다수의 축수베어링으로 지지되고 회전동력연결장치 및 구동모터에 의해 정, 역으로 회전하는 종동회전샤프트가 길게 구성된 타입인 랙기어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와, 천정에 설치된 개폐용창틀 각각의 저면 아래로 경사지게 뻗은 푸시바가 구성하고, 상기 푸시바들의 하부에는 트러스트 구조물 위에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모터 및 기어에 의해 수평직선으로 운동하는 수평동작바와 연결된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가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 중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는, 랙기어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에 비해 동작의 정밀성은 다소 떨어지는 평가는 있지만, 구성이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시공이 쉽고 비용이 저렴하여 농민들이 많이 보급되는 타입 중 하나다.
그러나 기존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는, 트러스트 구조물 위에 온실의 길이 만큼 길게 설치되는 메일 작동바의 설치시 필연적으로 온실 내부에 세워지는 기둥을 관통시켜야하는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하여 기둥의 지지력이 약화되고 온실 전체 구조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에 하자를 유발할 수 있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기존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는, 수평동작바와 푸시바 및 개폐용창틀 사이에 연결되는 부품이나 그 결합관계가 지극히 취약한 것은 물론 조립 및 그 시공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의 특허선행문헌으로는 아래와 같은 기술들을 참고할 수 있다.
즉 등록특허공보 제10-0620456호(더블 트레스트 레일 온실 천창 개폐장치)는, 『 다수개의 지붕을 연결 설치한 연동온실의 실내 환기 및 온도 조절을 하기 위한 온실 천창의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실의 횡 골조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상, 하부에 설치되는 상, 하부 피니언 기어; 상기 상, 하부피니언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상, 하부 피니언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좌우 이동되는 상, 하부 랙 기어; 및 상기 상, 하부 랙기어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 하부 랙 기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양측 끝단이 상기 브래킷의 양측면에 고정된 다수개의 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지붕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개폐수단; 상기 서로 이웃하는 개폐수단의 상, 하부 피니언 기어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상, 하부 구동축; 상기 다수개의 상, 하부 구동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 하부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 하부 구동축 및 상, 하부 피니언 기어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상, 하부 구동 모터; 상기 상, 하부 랙 기어의 양측 끝단부에 일측 끝단이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횡 골조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각각 한 쌍의 상, 하부 작동 바; 및 상기 한 쌍의 상, 하부 작동 바의 타측에 일측 끝단부가 힌지 연결되며, 타측 끝단은 서로 이웃 하는 한 쌍의 제 1, 2 천창의 일측 끝단부에 힌지 연결되는 각각 한 쌍의 제 1, 2 푸시 바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2 푸시 바는 한 쌍의 바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바의 일측 끝단부는 상기 상, 하부 작동 바의 타측에 장착된 클램프의 고정 축에 힌지 연결되며, 타측 끝단부는 상기 제 1, 2 천창의 일측 양단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제 1, 2 천창을 'V'자 형태로 지지하는 것과; 상기 가이드 롤러는 횡 골조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그 내부 상, 하단부에 상기 상, 하부 작동 바가 삽입되는 고정 브래킷; 및 상기 상, 하부 작동 바의 상,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양측 끝단부가 상기 고정 브래킷의 양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상, 하부 작동 바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아이들 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트러스트 레일 온실 천창 개폐장치. 』로 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45050호(온실용 천창 개폐장치)는,『 연동온실의 지붕(10)에 설치되는 천창(20)을 개폐시킴에 있어서, 연동온실의 프레임(11)에 설치된 슬라이더(12)에 끼워져 지붕(10)을 가로 지르며 모터(61)에 의해 회전되는 개폐핸들(50)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핸들(50)에는 양쪽으로 나사 방향이 반대로 형성된 나사축(62)을 연결하며, 상기 나사축(62)에는 양쪽으로 이송나사(63)를 끼우되 상기 이송나사(63)에는 양쪽으로 X자 형태를 갖고 접히거나 펼쳐지는 이동대(64)를 결합하여 나사축(62)의 회전시 이송나사(63)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나사(63)에 결합된 이동대(64)를 X자 형태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하고, 상기 이동대(64)의 선단에는 고정대(65)를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대(65)에는 천창(20)을 밀거나 당기는 푸시바(80)를 연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천창 개폐장치. 』 로 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45050호(온실용 천창 개폐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0620456호(더블 트레스트 레일 온실 천창 개폐장치)
이에 본 발명에서는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의 시공을 위하여 수평동작바를 설치할 때, 기존과 같이 내부의 기동을 관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작업이 휠씬 쉽고 기둥의 지지력과 안전성이 훼손될 염려도 없을 뿐 아니라, 수평동작바, 푸시바 및 개폐용 창틀 사이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들의 결합관계를 더욱 견고하고 편리하게 개선함으로써 시공작업의 편의성과 작업시간 단축 등에 크게 도움되는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과제를 두고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다수의 독립기초기둥(10)과 트러스트소기둥(10-1)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기 트러스트(20)의 상부에 기둥과의 간섭을 원천적으로 회피하기 위한 분리설치형 가이롤러 받침대(110)를 설치하고;, 상기 분리설치형 가이드롤러 받침대(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그 일측 또는 타측의 상면에는 한쌍의 가이드롤러(121)가 각각 포함된 좌,우창용 롤러안내유닛(120,120')를 각각 분리된 상태로 설치하며; 독립기초기둥(10)을 기준으로 트러스트(20) 및 분리설치형 가이드롤러 받침대(11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분리 설치된 좌창용 좌,우창용 롤러안내유닛(120,120')의 가이드롤러(121)에는 온실의 폭과 대응하도록 수평으로 길게 뻗은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와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사이에는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좌우 수평 직선운동에 따라 위치가 변하면서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을 자동으로 개폐(열거나 닫음)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온실의 폭에 준할 정도로 길게 수평으로 형성된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각 일단에는 일정한 간격 만큼 수평작동을 위한 좌,우측 랙기어(131,131')를 형성하며; 상기 좌,우측 랙기어(131,131')가 위치한 트러스트(20)의 일측과 타측 상부에는 랙기어와 치간 맞물림되는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가 포함되는 동시에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의 회전축(152) 양측으로는 회전축(152)가 포함된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을 설치하고; 상기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의 각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152) 중 어느 하나에는 좌,우창용 구동모터(17, 17')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다른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와 연동을 위한 좌,우창용 회전연결봉(16,16')을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는,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의 시공을 위하여 수평동작바를 설치할 때 기존과 같이 내부의 기동을 관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작업이 휠씬 쉽고 기둥의 지지력과 안전성이 훼손될 염려도 없을 뿐 아니라, 수평동작바, 푸시바 및 개폐용 창틀 사이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들의 결합관계를 더욱 견고하고 편리하게 개선함으로써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 등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온실의 천정을 제외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적용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도 2 내지 도 10은 도 1의 각 부위 별로 확대한 예시도
도 11은 온실의 천정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전체 구성요소들을 적용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도 12 내비 도 21은 도 11의 각 부위 별로 확대한 예시도
본 발명의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은 일정한 넓이로 설정된 온실본체설치구역에는 온실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독립기초기둥(10)들을 수직으로 각각 세워지고, 상기 독립기초기둥(10)들의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 만큼 낮은 위치의 수평방향으로는 기둥간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트러스트(20)가 설치되며, 일측 독립기초기둥(10)과 타측 독립기초기둥(10) 사이의 트러스트(20) 위쪽에는 짧은 길이의 트러스트소기둥(10-1)이 추가로 더 설치되고, 일측의 독립기초기둥(10)과 트러스트소기둥(10-1)과 타측의 독립기초기둥(10) 사이에는 서까래의 설치로 "
Figure pat00001
"형의 천장(30)을 이루며, 상기 천장(30)의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대칭인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이 설치되고, 트러스트(30)와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사이에는 푸시바를 이용하여 그 창틀을 자동으로 동시에 개폐하는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다수의 독립기초기둥(10)과 트러스트소기둥(10-1)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기 트러스트(20)의 상부에 기둥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분리설치형 가이롤러 받침대(110)를 설치하고;
상기 분리설치형 가이드롤러 받침대(110)의 상부에는 독립기초기둥(10)의 폭 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벌어진 한쌍의 가이드롤러(121)가 각각 포함된 좌,우창용 롤러안내유닛(120,120')을 설치하며;
독립기초기둥(10)의 폭 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벌어진 상기 가이드롤러(121) 각각에는 온실의 폭과 대응될 만큼 길게 뻗은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와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사이에는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좌우 수평 직선운동에 따라 위치가 변하면서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을 자동으로 개폐(열거나 닫음)가 가능토록 하는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온실의 폭에 준할 정도로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각 일단에는 좌,우측 랙기어(131,131')를 형성하며;
상기 좌,우측 랙기어(131,131')가 위치한 트러스트(20)의 일측과 타측 상부에는 좌,우측 랙기어(131,131')와 치간 맞물림되는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가 포함되고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의 양측으로 회전축(152)이 돌출된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의 각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152) 중 어느 하나에는 좌,우창용 구동모터(17, 17')를 연결하며 반대측인 다른 하나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다른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와 좌,우창용 좌,우창용 회전연결봉(16,16')을 각각 결합하여서 된 것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참고로, 온실을 시공하기 위해 일정한 넓이의 지면에 설정된 온실본체설치구역에는 온실 구조물을 튼튼한 지지기반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독립기초기둥(10)들을 각 포지션 마다 수직으로 세워진다. 그리고 상기 독립기초기둥(10)들의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 만큼 낮은 위치의 수평방향으로는 기둥 사이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트러스트(20) 구조물이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 일측 독립기초기둥(10)과 타측 독립기초기둥(10) 사이의 트러스트(20) 위쪽에는 짧은 길이의 트러스트소기둥(10-1)이 위를 향해 추가로 더 설치된다.
즉, 상기 다수의 독립기초기둥(10)과 트러스트소기둥(10-1) 및 상기 트러스트(20)는 평면상에서 볼때는 그 중심이 모두 일직선상에 놓여 있지만, 수평으로 볼때는 상기 다수의 독립기초기둥(10)들과 트러스트소기둥(10-1)들의 상단부에 비해 상기 트러스트(20) 상면은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트러스트(20) 위의 중심에 길이가 긴 수평동작바(130,130')를 설치하면 상기 다수의 독립기초기둥(10)들과 트러스트소기둥(10-1)간 간섭을 피하기 어렵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트러스트(20) 위의 수평동작바(130,130')의 설치시 상기 다수의 독립기초기둥(10)들과 트러스트소기둥(10-1)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여 시공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동시에 온실의 독립기초기둥(10)들과 트러스트소기둥(10-1)의 구조 및 지지력 훼손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평명상 100m 이상일 수 있는 온실의 전후 방향 길이 대비 정면에서 바라본 온실의 폭에는 "
Figure pat00002
"형의 천장(30)들이 규모에 따라 "
Figure pat00003
"와 같이 연속·반복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
Figure pat00004
"형의 천장(30)의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되고 전후 길이방향으로는 온실의 전체 길이와 대등할 정도로 아주 길게 만들어지는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또한 "
Figure pat00005
"형의 천장(30)의 수에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된다.
본원에서 제시하는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는 다수의 "
Figure pat00006
"형의 천장(30) 마다 양측 대칭으로 설치된 많은 수의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들을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직선운동과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의 푸시동작을 통하여 일괄 동시적이고 연동 자동화 시스템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 별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분리설치형 가이롤러 받침대(110)는, 상기 트러스트(20)의 상부에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와 이를 안내하는 좌,우창용 롤러안내유닛(120,120')을 양측으로 각각 분리된 상태로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하부는 상기 트러스트(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는 트러스트(20) 및 독립기초기둥(10)의 폭보다 넓게 만들어짐에 따라 그 위에 수평동작바(130,130')가 관통된 좌,우창용 롤러안내유닛(120,120') 설치시 독립기초기둥(10)과 간섭이 회피되는 그 양측으로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좌,우창용 롤러안내유닛(120,120')은 상기 분리설치형 가이롤러 받침대(110)의 양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공회전되는 상,하 한쌍의 가이드롤러(121)가 구비됨에 따라 가이드롤러(121) 사이에 수평동작바(130,130')를 통과시키고 이를 통하여 수평동작바(130,130')의 안전하고 원활한 수평동작이 가능케 한다.
이때, 상기 좌,우창용 롤러안내유닛(120,120')은 수평동작바(130,130')의 길이에 따라 일정한 등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여러개가 설치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는, 단면상 굵기가 작으면서도 온실의 폭과 대응할 정도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통상 원형파이프에 비해 강도와 지지력 및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도록 강판을 이용하고 사각형상으로 다단 절곡 또는 포밍에 의해 제작되는 사각레일형프레임바를 사용하였다.
또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와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사이에 연결되는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는,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좌우 수평 직선운동에 따라 위치가 변하면서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을 자동으로 개폐(열거나 닫음)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로, 이 역시 원형파이프에 비해 강도와 지지력 및 내구성이 우수한 사각레일형프레임바를 이용하였으며, 그 일측과 타측 끝에는 작동바간힌지결합부재(160)와 창틀간힌지결합부재(BK)를 이용하여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와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간 힌지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작동바간힌지결합부재(160)는, 몸체(161)의 양측 아래로는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양측 지지편(162)이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양측 지지편(162) 사이에는 하부가 개방된 작동바안착홀(163)이 마련되며, 상기 작동바안착홀(163) 하부의 양측에는 손잡이(167a)가 포함된 잠금조절판(167)을 끼웠다 뺐다하면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잠금레일홀(164)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안착홀(163) 상측의 몸체(161) 중앙지점에는 너트슬라이드삽입홀(165)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슬라이드삽입홀(165)이 형성된 그 윗쪽의 몸체 양단에는 힌지홀(166a)이 천공된 복수의 힌지결합편(166)이 형성되며, 2개의 힌지결합편(166) 사이의 몸체에는 상기 너트슬라이드삽입홀(165)로 관통된 볼트홀(168)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볼트홀(168)의 상부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볼트(169)를 체결하고 하부의 너트슬라이드삽입홀(165)에는 너트(169-1)를 밀어넣은 후 볼트(169)의 하부를 잠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힌지홀이 천공된 2개의 힌지결합편 사이에는 상대측 힌지홈이 뚫린 상기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의 일측 끝단부를 대응시킨 다음 힌지로 결합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작동바간힌지결합부재(160)는, 아래가 개방된 작동바안착홀(163)을 이용하여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길이 중 대략적인 위치 마다 하나씩 임시로 안착시켜둔 상태에서 좌, 우로 움직여가며 정확한 포인트를 맞춘 다음 하부의 슬라이드잠금레일홀에 잠금조절판을 끼워 잠그고 볼트를 조여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상부를 압입·고정하면 조립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상당히 편리하다.
상기 창틀간힌지결합부재(BK)는 단순히 상기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 타측의 끝단부와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사이를 힌지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힌지로 결합시키는 부품이면 족하고 특별한 기술성은 요하지 않음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는,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사이에서 하나의 개체로만 연결할 수 있지만, 이 보다는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과의 보다 튼튼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양팔을 벌리듯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의 양측으로 경사형 보강대(170)를 각각 추가로 더 결합시키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경사형 보강대(170)는,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의 중간지점에 경사형 보강대(170)의 일측 끝단부를 동시에 볼팅으로 결합할 수 있는 보강대일측동시체결브라켓(171)을 구성시키고, 보강대일측동시체결브라켓(171)에 의해 동시 결합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벌어지는 2개의 각 경사형 보강대(170)의 타측 끝부와 이에 대응하는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사이에는 일반 통상적인 창틀간힌지결합부재(BK)를 이용하여 힌지로 결합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좌,우측 랙기어(131,131')는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일단에는 일체로 연결되고, 치간 맞물림되는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의 정,역회전에 따라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를 일정한 간격 만큼 좌우방향 수평작동이 가능케하는 요소다.
상기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는, 상기 좌,우측 랙기어(131,131')와 치간 맞물림되는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를 고정하기 위한 유닛으로, 일정한 크기의 하우징(155) 내부 중심에는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가 끼워진 회전축(152)이 구성되고, 상기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와 맞물림되는 좌,우측 랙기어(131,131')의 상부에는 랙기어상부안내롤러(156)가 구비되며, 상기 랙기어상부안내롤러(156)는 하우징(155)으로 부터 체결에 의해 인출된 롤러지지판(157)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155)의 하부에는 트러스트 상에서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가 좌,우 중 일측으로 쏠림 설치가 가능한 편심설치용받침브라켓(158)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좌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와 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는 서로 편심된 상태에서 대칭으로 설치되며,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 각 하나에 하나씩 설치하되. 길이 방향으로 좌창 개폐용 푸시바(140)에 설치될 때와 우창 개폐용 푸시바(140')에 설치때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정하므로서 양자의 회전축(152)간 간섭을 회피하였다.
또, 상기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의 각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152) 중 어느 하나에는 좌,우창용 구동모터(17, 17')가 각각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다른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와 연동시키는 좌,우창용 회전연결봉(16,16')을 결합한다.
또, 좌,우창용 구동모터(17, 17')는 일측과 타측 양방으로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는 모터를 적용함에 따라 하였으며, 일측의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의 회전축(152)와 타측의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 회전축(152) 사이에 설치하면 모든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들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10:독립기초기둥
20:트러스트
10-1:트러스트소기둥
30:천장
40,40':좌,우창개폐용창틀
110:분리설치형 가이롤러 받침대
121:가이드롤러(121)
120,120'좌,우창용 롤러안내유닛
130,130':좌,우창용 수평동작바
140,140':좌,우창 개폐용 푸시바
131,131':좌,우측 랙기어(131,131')
151,151':좌,우창용 피니언기어
150,150':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
17,17':좌,우창용 구동모터
16,16':좌,우창용 회전연결봉

Claims (5)

  1. 일정한 넓이로 설정된 온실본체설치구역에는 온실 구조물을 지지하는 다수의 독립기초기둥(10)들을 수직으로 각각 세워지고, 상기 독립기초기둥(10)들의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 만큼 낮은 위치의 수평방향으로는 기둥간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트러스트(20)가 설치되며, 일측 독립기초기둥(10)과 타측 독립기초기둥(10) 사이의 트러스트(20) 위쪽에는 짧은 길이의 트러스트소기둥(10-1)이 추가로 더 설치되고, 일측의 독립기초기둥(10)과 트러스트소기둥(10-1)과 타측의 독립기초기둥(10) 사이에는 서까래의 설치로 "
    Figure pat00007
    "형의 천장(30)을 이루며, 상기 천장(30)의 일측과 타측에는 서로 대칭인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이 설치되고, 트러스트(30)와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사이에는 푸시바를 이용하여 그 창틀을 자동으로 동시에 개폐하는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다수의 독립기초기둥(10)과 트러스트소기둥(10-1)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기 트러스트(20)의 상부에 기둥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분리설치형 가이롤러 받침대(110)를 설치하고;
    상기 분리설치형 가이드롤러 받침대(110)의 상부에는 독립기초기둥(10)의 폭 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벌어진 한쌍의 가이드롤러(121)가 각각 포함된 좌,우창용 롤러안내유닛(120,120')을 설치하며;
    독립기초기둥(10)의 폭 보다 더 넓은 간격으로 벌어진 상기 가이드롤러(121) 각각에는 온실의 폭과 대응될 만큼 길게 뻗은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와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사이에는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좌우 수평 직선운동에 따라 위치가 변하면서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을 자동으로 개폐(열거나 닫음)가 가능토록 하는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온실의 폭에 준할 정도로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의 각 일단에는 좌,우측 랙기어(131,131')를 형성하며;
    상기 좌,우측 랙기어(131,131')가 위치한 트러스트(20)의 일측과 타측 상부에는 좌,우측 랙기어(131,131')와 치간 맞물림되는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가 포함되고 좌,우창용 피니언기어(151,151')의 양측으로 회전축(152)이 돌출된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를 설치하고;
    상기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의 각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152) 중 어느 하나에는 좌,우창용 구동모터(17, 17')를 연결하며 반대측인 다른 하나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다른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와 좌,우창용 좌,우창용 회전연결봉(16,16')을 각각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는, 강판을 이용하고 사각형상으로 다단 절곡 또는 포밍에 의해 제작된 사각레일형프레임바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와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사이에 연결되는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의 일측과 타측 끝에는 작동바간힌지결합부재(160)와 창틀간힌지결합부재(BK)를 이용하여 상기 좌,우창용 수평동작바(130,130')와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간 힌지로 결합하되,

    상기 작동바간힌지결합부재(160)는, 몸체(161)의 양측 아래로는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2개의 양측 지지편(162)이 구성되고, 상기 2개의 양측 지지편(162) 사이에는 하부가 개방된 작동바안착홀(163)이 마련되며, 상기 작동바안착홀(163) 하부의 양측에는 손잡이(167a)가 포함된 잠금조절판(167)을 끼웠다 뺐다하면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잠금레일홀(164)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안착홀(163) 상측의 몸체(161) 중앙지점에는 너트슬라이드삽입홀(165)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슬라이드삽입홀(165)이 형성된 그 윗쪽의 몸체 양단에는 힌지홀(166a)이 천공된 복수의 힌지결합편(166)이 형성되며, 2개의 힌지결합편(166) 사이의 몸체에는 상기 너트슬라이드삽입홀(165)로 관통된 볼트홀(16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창 개폐용 푸시바(140,140')는,
    좌,우창개폐용창틀(40, 40') 사이에서 하나의 개체로만 연결되거나, 또는 그 양측으로 경사형 보강대(170)를 각각 추가로 더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창용 피니언기어뭉치(150,150')는, 편심설치용받침브라켓(158)을 이용해 트러스트(20) 상에서 일정한 간격 만큼 편심된 좌, 우측에 각각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
KR1020210082772A 2021-06-25 2021-06-25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 KR20230000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772A KR20230000546A (ko) 2021-06-25 2021-06-25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772A KR20230000546A (ko) 2021-06-25 2021-06-25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546A true KR20230000546A (ko) 2023-01-03

Family

ID=8492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772A KR20230000546A (ko) 2021-06-25 2021-06-25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54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456B1 (ko) 2006-01-24 2006-09-06 (유)코리아농업개발 더블 트러스트 레일 온실 천창 개폐장치
KR101045050B1 (ko) 2010-11-26 2011-06-29 팜스코 주식회사 온실용 천창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456B1 (ko) 2006-01-24 2006-09-06 (유)코리아농업개발 더블 트러스트 레일 온실 천창 개폐장치
KR101045050B1 (ko) 2010-11-26 2011-06-29 팜스코 주식회사 온실용 천창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06476B (zh) 一种混凝土矩形柱模板的固紧系统及混凝土柱的施工方法
KR200448602Y1 (ko) 온실용 중앙개폐식 지붕구조물
KR20230000546A (ko) 온실의 푸시바 작동형 천창 개폐장치
US20220372764A1 (en) Louver awning with hidden louver opening and closing driving structure
WO2014114299A1 (en) Building structure
CN218622612U (zh) 一种厂房用大跨度钢结构
DE202006002699U1 (de) Industrie- oder Gewerbebauwerk mit Solarkollektoren
KR102384956B1 (ko) 비닐하우스용 환기장치
CN215443185U (zh) 一种钢结构安装用可调支撑器
CN113152675A (zh) 一种轻钢装配式房屋结构
CN109952888B (zh) 一种用于长江流域地区周年生产的大跨薄膜塑料温室
JP4019185B2 (ja) 仮設膜式開閉屋根構造
EP3133223B1 (de) Terrassendach mit schwenkbarem vordach
CN211861253U (zh) 一种具有屋脊连续通风系统的玻璃温室屋面
RU171418U1 (ru) Каркас теплицы
CN219509536U (zh) 工业厂房常开式防风防雨窗
RU165608U1 (ru) Теплица
KR102610081B1 (ko) 정밀조립시공이 용이한 경량온실
CN217487104U (zh) 大棚联动外开式齿轮齿条连续开窗窗体
KR100687141B1 (ko) 온실 천정창의 개폐기구 및 온실
CN114135108B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板的角度调节装置
KR200497523Y1 (ko)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
JP6535199B2 (ja) 屋根構築物
CN215519542U (zh) 一种建筑物整体天窗
CN1742546A (zh) 框体及使用了框体的结构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