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523Y1 -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 - Google Patents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523Y1
KR200497523Y1 KR2020230000214U KR20230000214U KR200497523Y1 KR 200497523 Y1 KR200497523 Y1 KR 200497523Y1 KR 2020230000214 U KR2020230000214 U KR 2020230000214U KR 20230000214 U KR20230000214 U KR 20230000214U KR 200497523 Y1 KR200497523 Y1 KR 200497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ridge
clamp
rafters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현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포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은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포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은성기업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포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30000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온실의 지붕을 형성하도록 온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고 온실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서까래들의 상부 중앙에서 온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까래들을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용마루가 온실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용마루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가 현장에서 시공되기 전에 상기 서까래들이 좌우 양측 하부에서 일직선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삽입 및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용마루가 상부에 결합되어 미리 설계된 대로 균일한 조립 시공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천창의 개폐 면적이 확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비닐 온실의 지붕을 이루는 서까래가 지붕의 상부 중심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립 시공될 때에 정면상 곡선이 아닌 일직선의 형태로 상부 중심에서 좌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립되며 타공된 각관 바아로 마련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제작 시공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비 숙련자도 정밀한 조립과 시공이 용이 해져 인력난이 해소 되도록 할 수 있고, 현장 시공시 미리 설계된 형태를 벗어나 지붕의 형태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붕을 덮는 비닐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비닐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붕이 곡면이 아닌 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천창의 개폐 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온실의 재배환경이 개선되어 유리온실의 효과도 얻도록 할 수 있는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 {one body type ridge clamp for assembling and constructing lightweight greenhouse}
본 고안은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 온실의 지붕을 이루는 서까래가 지붕의 상부 중심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립 시공될 때에 정면상 곡선이 아닌 일직선의 형태로 상부 중심에서 좌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립되며 타공된 각관 바아로 마련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제작 시공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비 숙련자도 정밀한 조립과 시공이 용이 해져 인력난이 해소 되도록 할 수 있고, 현장 시공시 미리 설계된 형태를 벗어나 지붕의 형태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붕을 덮는 비닐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비닐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붕이 곡면이 아닌 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천창의 개폐 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온실의 재배환경이 개선되어 유리온실의 효과도 얻도록 할 수 있는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실 하우스는 식물의 주요 생육환경인 온도 및 습도를 인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 건축물로서, 투명한 유리 또는 비닐로 외벽을 형성함으로써 태양열을 내부에 모으고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온실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온실 하우스는 열을 온실 하우스의 내부에 집열시켜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농작물이 자라기 어려운 겨울에도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여름에는 온실 하우스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어 외부 온도보다 높아져 오히려 식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말라죽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하우스형 온실은 작물 생육에 필수적인 햇빛은 투과되나 비 또는 바람 등은 차단되도록 하는 반면에, 여름철과 같이 고온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실내 환기 및 온도조절을 위하여 천창 및 측창 그리고 강제 환기장치 등을 갖출 필요가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온실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50441호(2004년05월04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온실은 유리가 아닌 비닐로 지붕을 덮도록 할 때에도 비닐 온실의 지붕을 이루는 서까래가 지붕의 상부 중심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립 시공될 때에 정면상 대략 아치의 형태로 곡면이 되게 서까래가 휘어져 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일이 현장에서 비 숙련자가 아닌 전문 시공 인력에 의한 제작과 시공이 이뤄져야 하고, 전문 시공 인력에 의해 시공이 이뤄지게 되더라도 미리 설계된 형태를 벗어나 지붕의 형태가 울퉁불퉁 불균일해지며 지붕을 덮는 비닐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50441호(2004년05월04일자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닐 온실의 지붕을 이루는 서까래가 지붕의 상부 중심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립 시공될 때에 정면상 곡선이 아닌 일직선의 형태로 상부 중심에서 좌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립되며 타공된 각관 바아로 마련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제작 시공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비 숙련자도 정밀한 조립과 시공이 용이 해져 인력난이 해소 되도록 할 수 있고, 현장 시공시 미리 설계된 형태를 벗어나 지붕의 형태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붕을 덮는 비닐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비닐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붕이 곡면이 아닌 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천창의 개폐 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온실의 재배환경이 개선되어 유리온실의 효과도 얻도록 할 수 있는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를 제공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라, 온실의 지붕을 형성하도록 온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고 온실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서까래들의 상부 중앙에서 온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까래들을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용마루가 온실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용마루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가 현장에서 시공되기 전에 상기 서까래들이 좌우 양측 하부에서 일직선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삽입 및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용마루가 상부에 결합되어 미리 설계된 대로 균일한 조립 시공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천창의 개폐 면적이 확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는: 정면상 하부가 상부보다 긴 사다리꼴로 형성된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상부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용마루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용마루 결합부; 및, 상기 클램프 본체의 좌우 양측 하단에서 각각 좌우 양측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도로 연장되며 상기 서까래가 각각 끼워져 조립되는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마루 및 상기 서까래는 상기 클램프 본체의 용마루 결합부 및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로 각각 끼워진 후 볼팅 체결 방식에 의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비닐 온실의 지붕을 이루는 서까래가 지붕의 상부 중심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립 시공될 때에 정면상 곡선이 아닌 일직선의 형태로 상부 중심에서 좌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립되며 타공된 각관 바아로 마련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제작 시공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비 숙련자도 정밀한 조립과 시공이 용이 해져 인력난이 해소 되도록 할 수 있고, 현장 시공시 미리 설계된 형태를 벗어나 지붕의 형태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붕을 덮는 비닐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비닐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붕이 곡면이 아닌 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천창의 개폐 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온실의 재배환경이 개선되어 유리온실의 효과도 얻도록 할 수 있는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에 용마루와 서까래가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에 용마루와 서까래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에 의해 조립된 온실의 지붕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에 의해 조립 시공된 경량온실의 일 예를 도시한 정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의 지붕을 형성하도록 온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고 온실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서까래(10)들의 상부 사이에서 온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까래(10)들을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용마루(20)가 온실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마루(20)가 현장에서 시공되기 전에 상기 서까래(10)들이 좌우 양측 하부에서 일직선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삽입 및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용마루(20)가 상부에 결합되어 미리 설계된 대로 균일한 조립 시공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천창의 개폐 면적이 확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까래(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지붕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기울어진 일직선의 각관 바아로 이루어지되 온실의 지붕을 형성하도록 온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고 온실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 위치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며, 미리 타공된 일직선 형태의 각관 바아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 온실의 지붕을 이루는 서까래가 지붕의 상부 중심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립 시공될 때에 정면상 종래처럼 곡선이 아닌 일직선의 형태로 상부 중심에서 좌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조립되며 미리 타공된 각관 바아로 마련되게 하여 현장에서의 제작 시공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비 숙련자도 정밀한 조립과 시공이 용이 해져 인력난이 해소 되도록 할 수 있고, 현장 시공시 미리 설계된 형태를 벗어나 지붕의 형태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붕을 덮는 비닐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비닐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붕이 곡면이 아닌 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천창의 개폐 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온실의 재배환경이 개선되어 유리온실의 효과도 얻도록 할 수 있는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100)를 제공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100)는, 정면상 수평 하부가 수평 상부보다 긴 사다리꼴로 형성된 클램프 본체(110)와, 클램프 본체(110)의 상부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어 용마루(20)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용마루 결합부(120)와, 클램프 본체(110)의 좌우 양측 하단에서 각각 좌우 양측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도로 연장되며 서까래(10)가 각각 끼워져 조립되는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일직선의 각관 바아로 된 한 쌍의 서까래(10)가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를 통해 좌우 양측 하단으로 각각 끼워져 정면상 아치형을 이루게 되는 곡선이 아닌 직선의 삼각형 형태로 온실의 지붕이 형성되도록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할 수 있고, 용마루(20)가 용마루 결합부(120)로 끼워져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서까래(10)와 용마루(20)가 각각 조립되는 부분이 모두 일체형으로 마련됨으로써, 현장에서 온실의 지붕이 일일이 시공될 필요 없이 미리 조립 공장 내에서 간편하게 조립되도록 할 수 있고, 비 숙련자도 정밀한 조립과 시공이 용이 해져 인력난이 해소되고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으며, 종래에는 현장 시공시 미리 설계된 형태를 벗어나 지붕의 형태가 불균일해지면 지붕을 덮어주는 비닐이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붕을 덮는 비닐의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비닐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고, 지붕이 곡면이 아닌 직선의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천창의 개폐 면적이 더욱 확장됨에 따라 온실의 재배환경이 개선되어 유리온실의 효과도 얻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프 본체(110)의 하부면 길이는 상부면 길이의 대략 3.5 ~ 5.5 배 정도 길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를 통해 끼워지는 한 쌍의 서까래(10)에 의해 형성되는 온실의 지붕 형상이 정면상 직선의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할 때에, 햇볕을 받는 천창의 면적이 적절히 디자인되어 온실의 재배환경이 최적화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클램프 본체(110)의 하부면 길이가 상부면 길이의 3.5배 미만이면 천창을 통한 채광 면적이 다소 축소되어 온실의 채광량이 저하될 수 있고, 5.5배 초과면 채광 면적이 지나치게 확장되어 여름철엔 온실의 재배환경이 오히려 더욱 불리해지게 될 수도 있다.
또한,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가 클램프 본체(110)의 좌우 양측 하단에서 돌출 연장되는 길이는 클램프 본체(110)의 좌우 양측 경사면 길이의 대략 0.35 ~ 0.55배 정도가 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로 서까래(10)가 끼워져 조립되면 온실의 지붕을 이루는 서까래(10)의 조립 상태가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100)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의 길이가 클램프 본체(110)의 좌우 양측 경사면 길이의 0.35배 미만이면 너무 짧아지게 되어 서까래(10)의 결속 상태가 다소 불안정해질 수 있고, 0.55배 초과면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의 길이가 다소 길게 형성되어 서까래(10)의 끼움 조립이 다소 까다로워지게 되며 자재 소모량이 늘어나 비용이 증가하게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마루(20) 및 상기 서까래(10)는 클램프 본체(110)의 용마루 결합부(120) 및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로 각각 끼워진 후 볼팅 체결 방식에 의해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마루(20)의 하부에는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100)의 용마루 결합부(120)로 끼워지도록 수직 각관 바아로 마련된 클램프 결합부(21)가 구비되고, 클램프 본체(110)의 판면과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의 판면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끼워지는 볼트 체결공(101)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미리 타공된 각관 바아로 마련된 서까래(10)가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로 끼워지고 난 후,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101)에 볼트를 체결하여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100) 및 서까래(10)의 조립 상태가 손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견고해지도록 할 수 있고, 용마루(20)의 클램프 결합부(21)가 용마루 결합부(120)에 끼워지고 난 후, 클램프 본체(110)의 중앙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101)에 볼트를 체결하여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100) 및 용마루(20)의 조립 상태가 손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견고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용마루 결합부(120)로 클램프 결합부(21)가 들어가는 깊이가 조정되도록 한 후에 볼팅 체결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용마루(20)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되어 고정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용마루(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바아 부재 또는 C 형강 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100)에 의해 조립 시공되는 경량온실은, 용마루(20)를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천창부(30)와, 서까래(10) 및 천창부(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천창부(30)가 회동 개폐되도록 하는 천창개폐장치(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창부(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창의 틀을 이루는 각 파이프와, 각 파이프로 이뤄진 천창의 틀에 덮인 비닐 창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창부(30)의 일측 단부에는 용마루(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 힌지부(31)가 구비되고, 천창부(30)의 타측 단부에 인접된 부분에는 천창개폐장치(40)의 전동부의 랙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동 힌지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동 힌지부(31)는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천창개폐장치(40)의 전동부의 랙대가 당겨지면 천창부(30)의 양측 단부가 하향 폐쇄되어 천창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고, 랙대가 상승 되면 천창부(30)의 양측 단부가 상향 개방되어 천창이 용이하게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천창개폐장치(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까래(10)의 일측으로 온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까래(10)들을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된 구동 회전축과, 구동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모터와 같은 구동부와, 구동 회전축 및 천창부(30)의 사이에 랙 피니언 전동구조로 구비되어 구동 회전축의 회전이 천창부(30)의 회동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구동 회전축이 회전되며 구동 회전축에 구비된 전동부의 피니언 기어가 회전되어 피니언 기어에 맞물린 랙대가 승강 되도록 함으로써, 천창부(30)가 용이하게 회동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 110 : 클램프 본체
120 : 용마루 결합부 130 :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

Claims (3)

  1. 온실의 지붕을 형성하도록 온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고 온실의 폭 방향을 따라 인접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서까래(10)들의 상부 사이에서 온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까래(10)들을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용마루(20)가 온실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용마루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용마루(20)가 현장에서 시공되기 전에 상기 서까래(10)들이 좌우 양측 하부에서 일직선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삽입 및 조립되도록 하며 상기 용마루(20)가 상부에 결합되어 미리 설계된 대로 균일한 조립 시공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천창의 개폐 면적이 확장되도록 구비되며,
    정면상 하부가 상부보다 긴 사다리꼴로 형성된 클램프 본체(110); 상기 클램프 본체(110)의 상부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용마루(20)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되는 용마루 결합부(120); 및, 상기 클램프 본체(110)의 좌우 양측 하단에서 각각 좌우 양측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도로 연장되며 상기 서까래(10)가 각각 끼워져 조립되는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용마루(20) 및 상기 서까래(10)는 상기 클램프 본체(110)의 용마루 결합부(120) 및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로 각각 끼워진 후 볼팅 체결 방식에 의해 조립되며,
    상기 클램프 본체(110)의 하부면 길이는 상부면 길이의 3.5 ~ 5.5 배 길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클램프 서까래 결합부(130)가 상기 클램프 본체(110)의 좌우 양측 하단에서 돌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클램프 본체(110)의 좌우 양측 경사면 길이의 0.35 ~ 0.55배가 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

  2. 삭제
  3. 삭제
KR2020230000214U 2023-02-02 2023-02-02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 KR200497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214U KR200497523Y1 (ko) 2023-02-02 2023-02-02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214U KR200497523Y1 (ko) 2023-02-02 2023-02-02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523Y1 true KR200497523Y1 (ko) 2023-12-05

Family

ID=8912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214U KR200497523Y1 (ko) 2023-02-02 2023-02-02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52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441Y1 (ko) 2003-11-28 2004-05-14 최형우 농작물의 사계절 생장이 가능한 전천후 온실 장치
US20060000161A1 (en) * 2004-06-03 2006-01-05 Vkr Holding A/S Modular skylight frame and system
WO2015167338A1 (en) * 2014-05-01 2015-11-05 Van Der Valk Systemen B.V. Ventilated roof structure for greenhouse or wareho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441Y1 (ko) 2003-11-28 2004-05-14 최형우 농작물의 사계절 생장이 가능한 전천후 온실 장치
US20060000161A1 (en) * 2004-06-03 2006-01-05 Vkr Holding A/S Modular skylight frame and system
WO2015167338A1 (en) * 2014-05-01 2015-11-05 Van Der Valk Systemen B.V. Ventilated roof structure for greenhouse or ware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on Elsner et al. Review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s in European Union countries, part II: Typical designs
KR102392549B1 (ko) 개선된 거터조립체를 갖는 경량 온실
US4979331A (en) Hothouse for cultivation
KR200448602Y1 (ko) 온실용 중앙개폐식 지붕구조물
KR101377218B1 (ko) 터널형 온실
CN211631071U (zh) 一种百叶窗顶棚的种养大棚
KR200497523Y1 (ko) 경량온실 조립시공용 일체형 용마루 클램프
RU2319370C1 (ru) Дачный парник
WO2007129459A1 (ja) 農業・園芸ハウスの構築に用いるユニットおよび該ユニットによる建築物
KR102610081B1 (ko) 정밀조립시공이 용이한 경량온실
CN2599920Y (zh) 屋面可开启式连栋温室
CN212324894U (zh) 一种用于蔬菜规模化生产的双开蝶式天窗塑料大棚
RU96725U1 (ru) Теплица
KR20180017497A (ko) 내 재해형 고단열 비닐하우스
KR100331691B1 (ko) 천창 완전 개폐형 간이 비가림 하우스
CN2901845Y (zh) 日光温室
CN109952888A (zh) 一种用于长江流域地区周年生产的大跨薄膜塑料温室
RU112976U1 (ru) Профиль холоднокатаный и каркас теплицы из него
CN220935882U (zh) 一种单锯齿式薄膜连栋温室
CN214034432U (zh) 一种温室大棚排水装置
CN211861252U (zh) 屋面全开启拱形连栋膜温室
KR102377166B1 (ko) 천창개폐장치를 갖는 경량 온실
GB2518218A (en) Greenhouse
CN216874142U (zh) 单屋面大锯齿蔬果温室
KR102455279B1 (ko) 비닐하우스의 환기를 위한 천창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