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542A -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0542A KR20230000542A KR1020210082767A KR20210082767A KR20230000542A KR 20230000542 A KR20230000542 A KR 20230000542A KR 1020210082767 A KR1020210082767 A KR 1020210082767A KR 20210082767 A KR20210082767 A KR 20210082767A KR 20230000542 A KR20230000542 A KR 202300005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air
- flow
- valve
- storage tank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0—Large containers flexible with rigid end-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06—Large containers flexible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6—Flexible liners, e.g. loosely positioned in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8—Means for reducing the vapour space or for reducing the formation of vapour within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02—Wall construction
- B65D2590/04—Linings
- B65D2590/043—Flexible liners
- B65D2590/046—Blad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22—Safety features
- B65D2590/24—Spillage-retaining means
- B65D2590/245—Spillage-retaining means using self-seal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54—Gates or closures
- B65D25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 B65D2590/666—Locking devices, e.g. for maintaining an open o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팽창튜브로 오염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오염유체를 팽창튜브 및 본체부에 의한 이중보호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상태로 상측에 밸브장착부(110)가 설치된 본체부(100);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연결관로(2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팽창튜브(200);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장착되어 상기 팽창튜브(200)의 내측으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유입출밸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상태로 상측에 밸브장착부(110)가 설치된 본체부(100);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연결관로(2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팽창튜브(200);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장착되어 상기 팽창튜브(200)의 내측으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유입출밸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팽창튜브로 오염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오염유체를 팽창튜브 및 본체부에 의한 이중보호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저장탱크의 내측에는 저장유체가 저장되며, 이러한 유체저장탱크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 오염수를 담는 저장소로 사용될 수 있으며, 공업용 폐수나 기타 오염수, 식수를 저장하는 탱크로 사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된다.
즉,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가 정화가 필요한 유체인 경우에는 별도의 정화시설과 연결되어 상기 유체저장탱크에서 정화시설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유체의 사용을 위한 유체저장탱크의 경우에는 별도의 유동관로를 상기 유체저장탱크에 연결하여 내부의 유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종래의 유체저장탱크는 단순히 그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사용장소나 목적에 따라 일정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내부로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밸브 및 내부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출밸브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유체저장탱크는 외벽의 균열발생시 내부에 수용된 유체 특히 방사능 오염수나 공업용 폐수가 외부로 유출됨으로 인해 주변 민가의 생활용수나 농업용수에 대한 사용불가를 야기하게 되고, 주변을 오염시켜 심각한 상활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오염수를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탱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3851호의 저장유체의 넘침 방지용 유체저장탱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에 설치되는 다기능유입출밸브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팽창튜브로 오염유체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 에어가 상기 다기능유입밸브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팽창튜브로 오염유체를 원활히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 오염유체가 상기 팽창튜브와 본체부에 의해 이중보호되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보관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상태로 상측에 밸브장착부(110)가 설치된 본체부(100);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연결관로(2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팽창튜브(200);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장착되어 상기 팽창튜브(200)의 내측으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유입출밸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장착부(11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본체부(100)에 장착되어 상기 다기능유입출밸브(300)의 일측을 수용하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에어의 유동을 위한 에어유동홀(124)이 형성된 수용결속구(120)와, 상기 수용결속구(120)의 내측과 연통되게 장착되되 상기 팽창튜브(200)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연결관로(210)가 연결된 조인트결속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기능유입출밸브(300)는, 내부에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체유동실(312)과 에어의 배출을 위한 에어유동실(313)이 형성된 밸브바디(310)와, 상기 밸브바디(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동실(313)로 유입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에어배출구(320)와, 상기 에어유동실(313)의 상측에 상하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에어배출구(320)로의 에어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컨트롤부(330)와, 상기 밸브바디(310)의 타측에 상기 유체유동실(312)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체유동연결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체유동연결부(340)의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개폐부(360)가 마련된 결속바디구(35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결속바디구(350)의 내측에 삽입되어 체결되되 내부에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개폐부(380)가 마련된 조인트바디구(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된 팽창튜브로 오염된 유체를 유입시켜 보관시, 오염된 유체의 유입 및 본체부 내측의 에어 배출이 다기능유입출밸브를 통해 동시에 이루어져 팽창튜브로의 오염유체 유입을 원활히 이룰 수 있게 되고, 오염유체가 팽창튜브와 본체부에 의해 이중보호되어 안전한 보관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유입출밸브가 밸브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유입출밸브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바디구와 조인트바디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몸체부와 연결몸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가 수중에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유입출밸브가 밸브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유입출밸브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바디구와 조인트바디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몸체부와 연결몸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가 수중에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유입출밸브가 밸브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유입출밸브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바디구와 조인트바디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몸체부와 연결몸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가 수중에 설치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상태로 상측에 밸브장착부(110)가 설치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팽창튜브(200)와,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장착되는 다기능유입출밸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는 상기 다기능유입출밸브(300)를 통해 상기 팽창튜브(200)의 내측을 오염유체를 유입시키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에어가 상기 다기능유입출밸브(30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팽창튜브(200)로의 오염유체의 유입을 원활히 하면서 오염유체가 상기 팽창튜브(200) 및 본체부(100)에 의해 이중보호되도록 함으로써 오염유체의 안전한 보관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00)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상태로 상측에 밸브장착부(110)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콘크리트에 의해 제조되어 육면체의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원기둥의 구조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여기서, 상기 밸브장착부(110)는 후술되는 상기 다기능유입출밸브(300)가 장착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밸브장착부(110)를 살펴보면, 상기 밸브장착부(11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본체부(100)에 장착되어 상기 다기능유입출밸브(300)의 일측을 수용하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에어의 유동을 위한 에어유동홀(124)이 형성된 수용결속구(120)와, 상기 수용결속구(120)의 내측과 연통되게 장착되되 상기 팽창튜브(200)로부터 연장되는 연결관로(210)가 연결된 조인트결속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수용결속구(120)는 상기 본체부(100)에 장착된 상태로 내주연에 삽입걸림공(122)이 형성된 중공장착구(121)와, 상기 중공장착구(12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되 측면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상기 에어유동홀(124)이 형성된 중공형 마운팅구(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마운팅구(123)에는 개구된 하측을 일부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지지편(12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운팅구(123)의 하측면에는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결합구(126)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조인트결속구(130)는 내주연에 상기 나사결합구(126)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대응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결관로(210)가 연결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용결속구(120)를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인트결속구(130)를 상기 수용결속구(120)에 나사결합에 의해 장착하여 상기 팽창튜브(200)를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팽창튜브(200)는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연결관로(2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입되는 유체압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하측면에는 상기 팽창튜브(200)의 무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에는 상기 감지센서(14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150)가 설치되어 상기 팽창튜브(200)에 설정된 양의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램프가 발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다기능유입출밸브(300)는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장착되어 상기 팽창튜브(200)의 내측으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다기능유입출밸브(300)는 상기 팽창튜브(200)로의 유체의 유동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에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서의 상기 다기능유입출밸브(300)는 내부에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체유동실(312)과 에어의 배출을 위한 에어유동실(313)이 형성된 밸브바디(310)와, 상기 밸브바디(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동실(313)로 유입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에어배출구(320)와, 상기 에어유동실(313)의 상측에 상하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에어배출구(320)로의 에어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컨트롤부(330)와, 상기 밸브바디(310)의 타측에 상기 유체유동실(312)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체유동연결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밸브바디(310)는 내부에 격판(311)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상기 유체유동실(312)과 에어유동실(313)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유체유동실(312)의 하측은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동실(313)의 하측은 폐쇄면(317)에 의해 내부가 폐쇄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유동실(313)방향의 상기 밸브바디(310)측면에는 상기 에어유동실(313)의 내부로 관통되는 연통공(314)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동실(313)의 상측에는 상기 유동컨트롤부(330)의 설치를 위한 작동실(315)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바디(3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삽입걸림공(122)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장착걸림구(316)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밸브바디(310)의 길이방향 하측을 상기 밸브장착부(110)의 수용결속구(120)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장착걸림구(316)가 상기 삽입걸림공(122)에 삽입되어 걸림되면서 장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유동실(313)이 형성된 상기 밸브바디(310)의 하측 폐쇄면(317)이 상기 커버지지편(125)에 안착되면서 상기 연통공(314)이 상기 에어유동홀(124)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체유동실(312)의 내부는 상기 연결관로(2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유체유동실(312)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연결관로(2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팽창튜브(200)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에어배출구(320)는, 내부가 상기 에어유동실(313)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밸브바디(310)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팽창튜브(200)의 내측에 유체가 채워져 팽창되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에어가 상기 에어유동홀(124)을 통해 상기 에어유동실(313)로 유입되고, 상기 에어유동실(313)로 유동한 에어압에 의해 상기 상기 유동컨트롤부(330)가 상기 에어배출구(320)의 입구부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에어유동실(313)의 에어가 상기 에어배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컨트롤부(330)는 상기 작동실(315)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31)와 길이방향 상측이 상기 탄성부재(331)에 연결된 상태로 길이방향 하측이 상기 에어유동실(313)로 연장되어 상기 에어배출구(320)의 입구부를 개폐하는 플런저(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에어유동실(313)로 유입된 에어압에 의해 상기 플런저(332)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에어배출구(320)의 입구부가 개방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331)가 압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체유동연결부(340)는, 내부가 상기 유체유동실(312)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밸브바디(310)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팽창튜브(200)의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경우, 유체무빙관로(373)을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체유동연결부(340)의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개폐부(360)가 마련된 결속바디구(35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결속바디구(350)의 내측에 삽입되어 체결되되 내부에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개폐부(380)가 마련된 조인트바디구(37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조인트바디구(370)에는 상기 유체무빙관로(373)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조인트바디구(370)를 상기 결속바디구(350)에 장착시, 상기 유체무빙관로(373)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체유동연결부(340)를 통해 상기 유체유동실(312)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바디구(350)와 조인트바디구(370)는 락킹부재(미부호)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거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등 상기 결속바디구(350)와 조인트바디구(370)의 상호간 연결결합은 여러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여기서, 상기 결속바디구(350)의 내측에는 상기 제1개폐부(360)가 설치되는 마운팅실(351)과, 상기 조인트바디구(370)의 길이방향 일측이 삽입되는 인서트실(355)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실(351)과 인서트실(355) 사이에는 상기 제1개폐부(360)가 걸림되는 원형 띠 형상의 걸림단턱(35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속바디구(350)의 일측에는 상기 인서트실(355)의 내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제1개폐커버체(354)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개폐부(360)는 상기 마운팅실(351)에 설치되는 제1지지구(361)와, 상기 제1지지구(361)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걸림단턱(353)에 걸림되는 개폐구(362)와, 상기 개폐구(362)의 왕복이동을 위한 스프링부재(36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개폐구(362)는 상기 제1지지구(361)에 삽입되는 삽입로드(363)와, 상기 삽입로드(363)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부재(36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단턱(353)에 밀착되는 밀착헤드(36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지지구(361)는 상기 마운팅실(351)에 형성된 지지편체(352)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편체(352)는 유체가 상기 마운팅실(351)과 인서트실(355)를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조인트바디구(370)는, 내부에 상기 제2개폐부(380)의 설치를 위한 포지션실(371)이 마련된 상태로 상기 결속바디구(350)의 인서트실(355)로 삽입되는 길이방향 일측에 플로우홀(372)이 형성된다.
상기 제2개폐부(380)는 상기 포지션실(371)에 설치되는 제2지지구(381)와, 상기 제2지지구(381)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조인트바디구(370)의 길이방향 일측에 걸림되어 상기 플로우홀(372)을 개폐하는 스틱헤드(382)와, 상기 스틱헤드(382)의 왕복이동을 위한 코일스프링(383)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지지구(381)는 상기 포지션실(371)에 형성된 서포트편체(374)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편체(374)는 상기 유체무빙관로(373)에서 이동된 유체가 상기 포지션실(371)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팽창튜브(200)의 내측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1개폐커버체(354)를 열어 상기 결속바디구(350)의 인서트실(355)이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조인트바디구(370)의 일측을 상기 인서트실(355)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락킹부재에 의해 결합되면서 상기 개폐구(362)와 스틱헤드(382)가 각각 상기 지지편체(352)와 서포트편체(374)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체무빙관로(373)에서 이동된 유체가 상기 밸브바디(310)의 내측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바디구(350)와 조인트바디구(370)의 연결부위에는 수밀패킹이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배출구(320)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내부에 에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어개폐부(440)가 마련된 중공형의 마운팅몸체부(40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마운팅몸체부(400)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길이방향 타측에 에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배관(530)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개폐부(440)를 조작하여 상기 마운팅몸체부(400)의 내측으로 유동한 에어가 상기 가이드배관(530)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대응부(540)가 형성된 중공형의 연결몸체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배관(530)이 연결된 상기 연결몸체부(500)를 상기 마운팅몸체부(400)게 결합시, 상기 조작대응부(540)가 상기 제어개폐부(440)를 조작하여 상기 마운팅몸체부(400)의 내측으로 유동한 에어가 상기 가이드배관(530)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운팅몸체부(400)와 연결몸체부(500)간 결합은 락킹부재(미부호)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거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마운팅몸체부(400)의 내측에는 상기 제어개폐부(440)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공(410)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개폐부(440)는 상기 마운팅몸체부(400)의 내측에 형성된 설치편체(420)에 장착되는 안내바디(441)와, 상기 안내바디(441)에 일측이 삽입되어 왕복이동되는 무빙폴(442)과, 상기 무빙폴(442)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개폐공(410)을 개폐하는 탄성러버구(443)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설치편체(420)와 탄성러버구(443)에 연결되는 압축스프링(444)을 포함항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설치편체(420)는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격자형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마운팅몸체부(400)에는 제2개폐커버체(43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부(500)의 내측에는 상기 조작대응부(540)의 설치를 위한 안착편체(520)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대응부(540)는 상기 안착편체(520)에 설치되는 안착몸체(541)와, 상기 안착몸체(541)에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연결몸체부(500)에 형성된 통과홀(510)을 개폐하는 러버스틱구(542)와, 상기 러버스틱구(542)의 왕복이동을 위한 대응스프링(543)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마운팅몸체부(400)의 제2개폐커버체(430)를 개방한 후, 상기 연결몸체부(500)의 일측을 상기 마운팅몸체부(400)의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제어개폐부(440)의 탄성러버구(443)와 상기 조작대응부(540)의 러버스틱구(542)가 상호 밀착되어 밀려남에 따라 상기 개폐공(410)과 통과홀(510)이 개방되어 상기 가이드배관(530)을 통한 에어의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마운팅몸체부(400)와 연결몸체부(500)의 연결부위에는 수밀패킹이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두는 바이다.
이는 상기 본체부(100)를 수중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마운팅몸체부(400)에 상기 연결몸체부(500)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배관(530)이 대기중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에어가 대기중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배관(530)의 끝단에는 수면에 부유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배관(530)을 통해 유동한 에어가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유배출유닛(600)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부
110: 밸브장착부
120: 수용결속구 130: 조인트결속구
140: 감지센서 150: 제어부
200: 팽창튜브 210: 연결관로
300: 다기능유입출밸브 310: 밸브바디
320: 에어배출구 330: 유동컨트롤부
340: 유체유동연결부 350: 결속바디구
360: 제1개폐부 370: 조인트바디구
380: 제2개폐부 400: 마운팅몸체부
410: 개폐공 420: 설치편체
430: 제2개폐커버체 440: 제어개폐부
500: 연결몸체부 510: 통과홀
520: 안착편체 530: 가이드배관
540: 조작대응부 600: 부유배출유닛
120: 수용결속구 130: 조인트결속구
140: 감지센서 150: 제어부
200: 팽창튜브 210: 연결관로
300: 다기능유입출밸브 310: 밸브바디
320: 에어배출구 330: 유동컨트롤부
340: 유체유동연결부 350: 결속바디구
360: 제1개폐부 370: 조인트바디구
380: 제2개폐부 400: 마운팅몸체부
410: 개폐공 420: 설치편체
430: 제2개폐커버체 440: 제어개폐부
500: 연결몸체부 510: 통과홀
520: 안착편체 530: 가이드배관
540: 조작대응부 600: 부유배출유닛
Claims (4)
-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상태로 상측에 밸브장착부(110)가 설치된 본체부(100);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연결관로(2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팽창튜브(200);
상기 밸브장착부(110)에 장착되어 상기 팽창튜브(200)의 내측으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유입출밸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착부(11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본체부(100)에 장착되어 상기 다기능유입출밸브(300)의 일측을 수용하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에어의 유동을 위한 에어유동홀(124)이 형성된 수용결속구(120)와, 상기 수용결속구(120)의 내측과 연통되게 장착되되 상기 팽창튜브(200)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연결관로(210)가 연결된 조인트결속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유입출밸브(300)는, 내부에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체유동실(312)과 에어의 배출을 위한 에어유동실(313)이 형성된 밸브바디(310)와, 상기 밸브바디(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동실(313)로 유입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에어배출구(320)와, 상기 에어유동실(313)의 상측에 상하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에어배출구(320)로의 에어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컨트롤부(330)와, 상기 밸브바디(310)의 타측에 상기 유체유동실(312)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체유동연결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유동연결부(340)의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내부에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개폐부(360)가 마련된 결속바디구(350)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결속바디구(350)의 내측에 삽입되어 체결되되 내부에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개폐부(380)가 마련된 조인트바디구(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2767A KR102665478B1 (ko) | 2021-06-25 | 2021-06-25 | 오염액체용 안전저장탱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2767A KR102665478B1 (ko) | 2021-06-25 | 2021-06-25 | 오염액체용 안전저장탱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0542A true KR20230000542A (ko) | 2023-01-03 |
KR102665478B1 KR102665478B1 (ko) | 2024-05-10 |
Family
ID=8492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2767A KR102665478B1 (ko) | 2021-06-25 | 2021-06-25 | 오염액체용 안전저장탱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547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87153A1 (en) * | 2009-07-16 | 2012-07-26 | Coopers Brewery Limited |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
JP2013189240A (ja) * | 2012-03-15 | 2013-09-26 | Toyota Motor East Japan Inc | 液体注入装置 |
KR101392510B1 (ko) * | 2013-09-27 | 2014-05-08 | (주)동명엔터프라이즈 | 유류 저장탱크의 유해가스 치환장치 |
KR101849080B1 (ko) * | 2011-07-29 | 2018-04-16 | 코웨이 주식회사 |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저장탱크 |
-
2021
- 2021-06-25 KR KR1020210082767A patent/KR1026654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87153A1 (en) * | 2009-07-16 | 2012-07-26 | Coopers Brewery Limited |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
KR101849080B1 (ko) * | 2011-07-29 | 2018-04-16 | 코웨이 주식회사 | 에어 배출용 체크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저장탱크 |
JP2013189240A (ja) * | 2012-03-15 | 2013-09-26 | Toyota Motor East Japan Inc | 液体注入装置 |
KR101392510B1 (ko) * | 2013-09-27 | 2014-05-08 | (주)동명엔터프라이즈 | 유류 저장탱크의 유해가스 치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5478B1 (ko) | 2024-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058099A1 (en) | Automatic draining back flow prevention device | |
KR0122172Y1 (ko) | 자동밸브 조립체 | |
EP1369629B1 (en) | Easy-to-install, mechanically-operated automatic/manual device for controlling an outlet for water or any fluid | |
US20110030132A1 (en) | Multi-function cleanout plug and method of use | |
CA2734529C (en) | Sanitary hydrant | |
ES2611345T3 (es) | Válvula automática de purga de gas | |
JP2012527683A (ja) | 減圧弁 | |
JP2004522095A5 (ko) | ||
EP2757204B1 (en) | Non-gravity toilet | |
JP6462314B2 (ja) | 口金付き空気弁 | |
CN108603367B (zh) | 用于填充卫生水箱的阀门配件以及具有此种阀门配件的卫生水箱 | |
JP6625843B2 (ja) | サイホン式取水システム | |
KR20230000542A (ko) | 오염유체의 안전저장탱크 | |
CA2620233A1 (en) | Flow control valve | |
US20100139784A1 (en) | Float-controlled water inflow switching device for water pump | |
JP4366564B2 (ja) | 吸排気弁装置 | |
US20130247292A1 (en) | Apparatus for Prevention of a Toilet Overflow | |
JP7164321B2 (ja) | 空気弁 | |
RU73037U1 (ru) | Кран смывной | |
RU2774490C1 (ru) | Сливной патрубок для раздельного слива текучих сред разной плотности | |
JP7451151B2 (ja) | 空気弁 | |
JP2009007978A (ja) | エンジン作業機 | |
RU177144U1 (ru) |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 |
JP2017096363A (ja) | 逆止弁システム | |
JP3019649B2 (ja) | 不凍給水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