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207U - Frame carrier for formwork panels - Google Patents

Frame carrier for formwork pane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207U
KR20230000207U KR2020210002265U KR20210002265U KR20230000207U KR 20230000207 U KR20230000207 U KR 20230000207U KR 2020210002265 U KR2020210002265 U KR 2020210002265U KR 20210002265 U KR20210002265 U KR 20210002265U KR 20230000207 U KR20230000207 U KR 202300002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panel
hook
formwork
pai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2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6698Y1 (en
Inventor
이효준
Original Assignee
이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준 filed Critical 이효준
Priority to KR2020210002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698Y1/en
Publication of KR20230000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0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9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미콘 등을 부어 넣어서 양생시킬 거푸집을 제작하여야 하는데, 거푸집 제작에는 철제거푸집 또는 유로폼 등과 같이 규격화된 거푸집 패널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 패널은 적재된 장소로부터 거푸집 조립현장까지 지게차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옮기기도 하지만, 현장 여건상 장비투입이 어려울 경우 어쩔 수 없이 사람이 옮겨야 하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이같이 거푸집 패널을 사람이 직접 옮겨야 하는 소운반(小運搬) 시 사용할 수 있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거푸집 패널의 소운반 시에는 사람이 손으로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 부위를 잡아서 직접 들어 옮기게 되는데, 거푸집 패널은 중량물이다 보니 운반 시 힘이 많이 들어 작업능률이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손으로 잡은 프레임 부위를 놓치는 경우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를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의 힘이 덜 들어가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거푸집 패널을 옮길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 lift for transporting a formwork panel. In order to manufacture a concrete structure at a construction site, a formwork to be cured by pouring ready-mixed concrete must first be produced. These formwork panels are sometimes moved from the loaded place to the formwork assembly site using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but in some cases, when it is difficult to input equipment due to site conditions, a person must move them inevitab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 support for transporting a formwork panel that can be used during small transportation that requires a person to directly move the formwork panel.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small transportation of the formwork panel, a person grabs the frame part of the formwork panel by hand and lifts it directly, but since the formwork panel is a heavy material, it requires a lot of force during transportation, so the work efficiency is not high, and the frame part held by hand Failure to do so can lead to very dangerous situations. In the case of using the back lift for transporting the formwork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s force is reduced, and the formwork panel can be moved conveniently and safely.

Description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 {Frame carrier for formwork panels} Frame carrier for formwork panels}

본 고안은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미콘 등을 부어 넣어서 양생시킬 거푸집을 제작하여야 하는데, 거푸집 제작에는 철제거푸집 또는 유로폼 등과 같이 규격화된 거푸집 패널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 패널은 적재된 장소로부터 거푸집 조립현장까지 지게차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옮기기도 하지만, 현장 여건상 장비투입이 어려울 경우 어쩔 수 없이 사람이 옮겨야 하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이같이 거푸집 패널을 사람이 직접 옮겨야 하는 소운반(小運搬) 시 사용할 수 있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거푸집 패널의 소운반 시에는 사람이 손으로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 부위를 잡아서 직접 들어 옮기게 되는데, 거푸집 패널은 중량물이다 보니 운반 시 힘이 많이 들어 작업능률이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손으로 잡은 프레임 부위를 놓치는 경우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를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의 힘이 덜 들어가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거푸집 패널을 옮길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 lift for transporting a formwork panel. In order to manufacture a concrete structure at a construction site, a formwork to be cured by pouring ready-mixed concrete must first be produced. These formwork panels are sometimes moved from the loaded place to the formwork assembly site using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but in some cases, when it is difficult to input equipment due to site conditions, a person must move them inevitab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 support for transporting a formwork panel that can be used during small transportation that requires a person to directly move the formwork panel.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small transportation of the formwork panel, a person grabs the frame part of the formwork panel by hand and lifts it directly, but since the formwork panel is a heavy material, it requires a lot of force during transportation, so the work efficiency is not high, and the frame part held by hand Failure to do so can lead to very dangerous situations. In the case of using the back lift for transporting the formwork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s force is reduced, and the formwork panel can be moved conveniently and safely.

거푸집(영어: formwork)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한 형태나 크기로 만들기 위하여 굳지않은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원하는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양생 및 지지하는 가설 구조물이다. 일명 형틀이라고도 한다. 콘크리트, 철근과 더불어 토목, 건축 공사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가설재를 지탱하는 동바리까지 같이 일컫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거푸집은 보통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접하는 패널과 이것을 지지하는 버팀보, 띠장, 긴결재 등으로 되어있다. 콘크리트를 관통하는 철선이나 볼트(나비나사), 폼타이 등을 쓰기도 한다. 패널에는 미리 박리제를 발라두어 굳은 후 떼어내기 쉽게 하는 경우가 많다. 패널은 동바리와 함께 콘크리트 하중을 지탱하게 되며,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이나 진동기, 타설 시 충격 등으로 거푸집이 변형되어 콘크리트가 균열하지 않도록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 또한 콘크리트 제품 제작 시 다질 때, 거푸집에 심한 진동을 주거나 높은 압력을 가하거나, 증기 양생 때문에 열 응력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고, 여러 번 반복 사용하므로 거푸집 패널은 견고하여야 하며 조립과 떼어내기가 용이해야 한다. Formwork (English: formwork) is a temporary structure that is cured and supported until a desired strength is reached by pouring unhardened concrete in order to make a concrete structure of a certain shape or size. Also called mold. Along with concrete and rebar, it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work, and it is also used to refer to the support that supports temporary materials. Formwork usually consists of a panel that is in contact with unhardened concrete and supporting beams, wales, and stiffeners that support it. Steel wires that penetrate concrete, bolts (thumb screws), and form ties are also used. In many cases, a release agent is applied to the panel in advance to make it easy to remove it after hardening. The panel supports the concrete load along with the support, and it must be made strong so that the concrete does not crack due to deformation of the formwork due to the pressure of unhardened concrete, vibrator, or impact during casting. In addition, when compacting concrete products, severe vibration or high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formwork, or thermal stress may be caused due to steam curing, and since it is used repeatedly, the formwork panel must be strong and easy to assemble and remove. .

이러한 목적으로 다양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지는 거푸집 패널들이 사용되는데, 먼저 목재거푸집은, 만들고자 하는 형상을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으므로 예부터 쓰이는 전통적인 재료이다. 콘크리트 구조물 형상에 맞추어 합판과 각재 등을 패널로 조립해서 쓴다. 그리고 최근에는 유로폼이라 불리는 거푸집 패널이 사용되는데, 4"×8", 3"×6" 등 일정한 규격으로 미리 합판 등의 뒷면에 강재 틀을 붙인 거푸집 패널(form panel, 폼판넬)로 만들어 쓴다. 유로폼에서는 박리제를 따로 바를 필요가 없도록 일반 합판에 번들거리는 재료를 입힌 코팅합판으로 주로 만든다. 그리고 철제 거푸집도 사용되는데, 철제 거푸집(steel form 스틸폼)은 콘크리트를 일정한 형상으로 계속 타설할 경우 유리한 재료이나 상대적으로 무거워 크레인 등 이동 장비로 조립, 해체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초기 투자비가 비싸나 마감 면이 매끈하고 목재보다 강도가 뛰어나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고, 띠장이나 긴결재 등이 일체화된 경우도 많아 시공에도 편리하다. 그리고 재료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알폼이라 불리는 패널도 있는데, 고층 아파트 내부에 많이 쓰인다. 콘크리트의 알칼리 성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되어있고, 철재보다 가볍고 합판보다 내구성이 좋다.For this purpose, formwork panels having various materials and structures are used. First, wood formwork is a traditional material that has been used since ancient times because it can freely form a desired shape. It is used by assembling plywood and square materials into panel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crete structure. And recently, a formwork panel called Euroform is used, and it is made of a formwork panel (form panel) with a steel frame attached to the back of plywood in advance in a certain standard such as 4" × 8" and 3" × 6". Euroform is mainly made of coated plywood coated with a greasy material on general plywood so that there is no need to apply a release agent separately. In addition, steel formwork is also used. Steel form is an advantageous material when concrete is continuously poured in a certain shape, but it is relatively heavy, so it is often necessary to assemble and dismantle it with mobile equipment such as a crane. The initial investment is expensive, but the finished surface is smooth and stronger than wood, so it can be used multiple times. And there is also a panel called Alform, which is made of aluminum, and is often used inside high-rise apartments. It is designed to prevent penetration of the alkali component of concrete, and is lighter than iron and has better durability than plywood.

한편, 이러한 거푸집 패널들이 건설현장에서 조립되기 위해서는 공장이나 창고 또는 다른 건설현장으로부터 운송되어 온 거푸집 패널들을 건설현장 내에 적재해 놓은 다음, 지게차나 크레인 등과 같은 단거리 운송장비를 이용하여 적재된 장소로부터 거푸집 조립현장까지 옮기게 된다. 그러나, 현장 여건상 장비투입이 어려울 경우 또는 지게차나 크레인이 옮겨 놓은 장소로부터 실제 조립이 되어야 하는 위치까지는 어쩔 수 없이 사람이 옮겨야 하는 소운반 작업을 필요하게 된다. 거푸집 패널에 대한 소운반 작업 시에는 사람이 손으로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 부위를 잡아서 직접 들어 옮겨야 하는 반면, 거푸집 패널은 개당 수십 킬로그램이 나가는 중량물이다 보니 운반 시 힘이 많이 들어 작업자가 힘이 들고 작업능률 또한 그리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손으로 잡은 프레임 부위를 놓치는 경우 작업자나 주변에 있는 사람이 다칠 우려성이 있는 등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기도 한다. 심한 경우 고층에서 낙하하여 큰 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거푸집 패널을 옮길 수 있는 방법이나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ssemble these formwork panels at the construction site, formwork panels transported from factories, warehouses or other construction sites are loaded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n formwork is transported from the loaded place using short-distance transportation equipment such as forklifts or cranes. transported to the assembly site. However, when it is difficult to input equipment due to field conditions, or from the place where the forklift or crane is moved to the location where the actual assembly is to be performed, small transportation work that must be moved by a person is required. In the case of small transportation of formwork panels, a person has to grab the frame of formwork panels by hand and lift and move them directly. However, since formwork panels are heavy items weighing several tens of kilograms each, it is very difficult to transport,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workers and reduces work efficiency. Not only is it not very high, but if you miss the part of the frame held by hand, it can cause a very dangerous situation, such as the risk of injury to workers or people around you. In severe cases, falling from high floors can cause serious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or tool that allows workers to easily, conveniently, and safely move the formwork panel.

본 고안은 이같이 거푸집 패널을 사람이 직접 옮겨야 하는 소운반(小運搬) 작업 시 사용할 수 있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 lift for transporting the formwork panel, which can be used during small transportation work in which a person must directly move the formwork panel.

본 고안은 또한 거푸집 패널을 옮길 때 힘이 덜 들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옮길 수 있는 등지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to provide a back support that requires less force when moving a formwork panel and can be moved conveniently and safely.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 거푸집 패널을 옮기는 데 사용되는 등지게로서, 등에 짊어질 수 있도록, 어깨에 둘러메는 한 쌍의 멜빵이 구비된 등판; 상기 등판의 양쪽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The present invention, invent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back support used to move a formwork panel at a concrete pouring site, so that it can be carried on the back, a back plate equipped with a pair of suspenders worn around the shoulder; On both sides of the back panel, a pair of vertical members coupled to allow height adjustment;

상기 등판의 양쪽 상단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한 쌍의 높이조절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을 가로질러 양쪽으로 돌출되게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 및 상기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에 끼워서, 상기 거푸집 패널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와이어 종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걸개;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걸개 각각은, - 위쪽을 향하여 둥그런 반원형으로 되어, 그 상단 중심이 상기 와이어의 종단에 연결되는 손잡이; - 상기 손잡이의 아래쪽을 가로지르며, 상기 손잡이를 반달형으로 만들면서 고정되는 가로바; - ㄷ자 모양으로서, 상기 ㄷ자 모양의 윗변 종단이 상기 가로바의 중심 측면과 결합되는 걸고리; 및 - 상기 걸고리의 ㄷ자 모양 중 아랫변에서, 위쪽을 향해 돌출되는 걸고리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both upper ends of the back panel, a pair of height adjustment pins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height of the pair of vertical members; A horizontal member that is fixed horizontally to protrude on both sides across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A pair of wires fix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a pair of hangers inserted into the frame of the formwork panel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wires so as to lift the formwork panel, wherein each of the pair of hangers is round upwards. a handle having a semicircular shape, the upper center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 A horizontal bar that crosses the bottom of the handle and is fixed while making the handle in a half-moon shape; - A c-shape, a hook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c-shape is coupled to the central side of the crossbar; And - It is preferable to make a back support for carrying a formwork pane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ok blade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U-shape of the hook.

본 고안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걸고리날은, - 상기 걸고리의 ㄷ자 모양 중 수직 변을 향한 면의 상단에 원호 모양의 날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걸고리의 ㄷ자 모양 중 아랫변 길이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 높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blade forms an arc-shaped blade at the top of the surface facing the vertical side of the U-shape of the hook. , In addition to this,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back support for transporting a formwork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lower side of the U-shape of the hook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frame of the formwork panel.

본 고안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걸고리의 ㄷ자 모양 중 아랫변 종단으로부터 상기 걸고리날까지의 길이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에 형성된 홈의 끝에서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면까지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한 쌍의 걸개 각각에는, 상기 걸고리의 양쪽에 상기 걸고리와 같은 모양 및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보조 걸고리가 상기 가로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 features,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lower edge of the hook to the hook blade of the U-shape of the hook from the end of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of the formwork pan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ormwork panel A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auxiliary hooks having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hooks are connected to the crossbar on both sides of the hooks on each of the pair of hangers or in addition to the formwork panel transport backs. It is also desirable to use a back support for carrying the panel.

본 고안은 등판에 고정된 수직부재 및 이에 고정된 수평부재의 양단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와 한 쌍의 와이어 각각의 종단에 한 쌍의 걸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을 한 쌍의 걸개에 각각 걸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두 장의 거푸집 패널을 양쪽에 걸어서 등지게를 짊어진 후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옮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wires connected to both ends of a vertical member fixed to the back plate and a horizontal member fixed thereto, and a pair of hangers at each end of the pair of wires, the frame of the formwork panel is attached to the pair of hangers. Each can be hung, and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hang the two formwork panels on both sides to carry the back supporter and then move it stably and conveniently.

또한, 한 쌍의 걸개 각각에는 반원형으로 된 손잡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등지게를 짊어지면서 양 손으로 손잡이를 잡을 수 있고 등지게를 짊어진 후 양손으로 손잡이를 잡으면, 등지게의 양쪽에 걸린 거푸집 패널들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된 상태에서 옮길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pair of hangers has a semicircular handle, the operator can hold the handle with both hands while carrying the backpack, and when holding the handle with both hands after carrying the backpack, the formwork panel caught on both sides of the backpack They can be moved in a stable state without shaking.

또한, ㄷ자 모양으로 된 걸고리의 중심에는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고리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걸고리날을, 거푸집 패널의 테두리에 있는 프레임의 구멍에 삽입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걸고리로 거푸집 패널을 걸어서 안정적으로 옮길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enter of the U-shaped hook has a hook blade protruding upward, the hook blade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frame at the edge of the formwork panel. Accordingly, the formwork panel can be stably hung with the hook. be able to move

그리고 걸고리날은, 걸고리의 ㄷ자 모양 중 수직 변을 향한 면의 상단에 원호 모양의 날을 형성하고 있는 특징을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걸고리날을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 구멍에 쉽게 삽입하고 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hook blade may have a feature of forming an arc-shaped blade at the top of the side facing the vertical side of the U-shape of the hook, so that the hook blad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frame hole of the formwork panel. .

그리고 걸고리의 ㄷ자 모양 중 아랫변 길이는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 높이와 같으며, 걸고리의 ㄷ자 모양 중 아랫변 종단으로부터 걸고리날까지의 길이는,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에 형성된 홈의 끝에서 거푸집 패널의 내면까지 길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걸고리날이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 구멍에 삽입된 후에는 걸고리가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고 이에 따라 거푸집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옮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the length of the lower side of the U-shape of the hook is equal to the frame height of the formwork panel, and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lower edge of the U-shape of the hook to the hook edge is from the end of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of the formwork pan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ormwork panel Since it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length, after the hook blade is inserted into the frame hole of the formwork panel, it prevents the hook from shaking, thereby stably moving the formwork frame.

또한 한 쌍의 걸개 각각에는, 걸고리의 양쪽에 걸고리와 같은 모양 및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보조 걸고리가 가로바에 연결되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걸고리날이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 구멍에 삽입된 후에는 걸고리가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며 거푸집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옮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hooks has a feature that a pair of auxiliary hooks having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hooks are connected to the crossbar on both sides of the hooks, so that the hooks do not shake after the hook blades are inserted into the frame holes of the formwork panel. It has the effect of stably moving the formwork frame.

도 1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거푸집 패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를 앞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를 뒤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에 대한 측면도(a), 정면도(b) 및 배면도(c)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로 거푸집 패널을 옮기는 모습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가 거푸집 패널 프레임의 체결구멍에 끼워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가 거푸집 패널 프레임의 체결구멍에 끼워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가 x축 방향 흔들림을 저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가 y축 방향 흔들림을 저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가 z축 방향 흔들림을 저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mwork panel used in a construction sit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support for transporting the formwork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support for transporting the formwork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ge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ge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g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a), a front view (b) and a rear view (c) of the hange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formwork panel is moved by a formwork panel carrying back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ge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formwork panel fram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ge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formwork panel frame.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hange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haking in the x-axis direc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hange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haking in the y-axis direc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hanger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haking in the z-axis direction.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e above-described objects and characteristics become clear,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omit

아울러,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고안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but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make it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the term, not the name of.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Embodiments may be changed in various forms and may have various additional embodiments. Here,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tailed descriptions are described.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o a specific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in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but do not limi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For example, the above expressions do not limit the order and/or importance of corresponding components. The above expression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1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거푸집 패널(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로폼 또는 철제거푸집 등과 같은 거푸집 패널(100)은 합판 또는 철판으로 된 패널면(110)을 가지며, 상기 패널면(110)의 테두리에는 상기 패널면(1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프레임(120)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패널면(110)의 테두리 외에도 상기 패널면(110)이 넓은 경우 상기 패널면(110)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면(110)의 중간에까지도 형성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 패널(100) 상호 간을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20)에는 웨지핀(wedge pin) 등을 끼울 수 있는 체결구멍(12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거푸집 패널(100) 각각은 상기 프레임(120)끼리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멍(121)에 웨지핀(wedge pin) 등을 끼워서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게 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mwork panel 100 used in a construction site. As shown in FIG. 1, a formwork panel 100 such as euro form or ironwork has a panel surface 110 made of plywood or iron plate, and the edge of the panel surface 110 is perpendicular to the panel surface 110. The erected frame 120 is fixed. In addition to the edge of the panel surface 110, the frame 120 is often formed even in the middle of the panel surface 110 to reinforce the panel surface 110 when the panel surface 110 is wide. . 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21 into which wedge pins or the like can be inserted are formed in the frame 120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formwork panels 100 can be connected and assembled. That is, each of the formwork panels 100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a wedge pin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in a state where the frames 1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한편,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를 앞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뒤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는,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 거푸집 패널을 옮기는 데 사용되는 등지게로서, 두 장의 거푸집 패널을 양쪽에 매단 상태에서 등지게를 등에 짊어질 수 있도록, 어깨에 둘러메는 한 쌍의 멜빵(210)이 구비된 등판(20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판(200)은 알루미늄 재질의 평판(230)과 상기 평판(230)이 고정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각재(241)를 포함하도록 하고, 이에 더하여 상기 평판(230) 및 상기 각재(241)를 양쪽에서 지지하며 고정시키는, 알루미늄 재질로 된 지주(240)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평판(230)의 한 쪽에, 작업자의 등과 마주하는 면에는 쿠션(220)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support for transporting the formwork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rear.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back fork for transporting the formwork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ck fork used to move the formwork panel at the concrete casting site, carrying the back fork while hanging two formwork panels on both side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ack panel 200 equipped with a pair of suspenders 210 that can be worn around the shoulders. The back plate 200 includes a flat plate 230 made of aluminum and a rectangular member 241 made of aluminum to which the flat plate 230 is fixed, and in addition, the flat plate 230 and the rectangular member 241 are installed on both side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upport 240 made of aluminum for supporting and fixing. 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ushion 220 on one side of the flat plate 230 and a surface facing the operator's back.

상기 등판(200)의 양쪽에 있는 상기 지주(240) 각각은, 한 쌍의 수직부재(30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300)는 상기 등판(200)의 양쪽에서, 상기 지주(240)의 내부를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수직부재(3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등판(200)의 양쪽 상단에는,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한 쌍의 높이조절핀(40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300)에는, 상기 높이조절핀(400)을 삽입하여, 상기 수직부재(300)가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는 핀삽입공(310)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핀(400) 내부에는 상기 높이조절핀(400)이 상기 핀삽입공(310) 쪽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스프링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Each of the supports 240 on both sides of the back plate 200 is preferably made hollow so that a pair of vertical members 300 can be inserte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vertical member 300 be adjusted by coupling the vertical member 300 to reciprocate up and down the inside of the support 240 on both sides of the back panel 200 .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air of height adjustment pins 400 capable of adjusting and fixing the height of the pair of vertical members 300 at both upper ends of the back panel 200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member 300 includes a pin insertion hole 310 capable of fixing the vertical member 300 so as not to move by inserting the height adjustment pin 400 therein. It is more preferable to include a spring inside the height adjusting pin 400 so that the height adjusting pin 400 can apply force toward the pin insertion hole 310 .

한편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300) 상단에는, 상기 수직부재(300)의 상단을 가로질러 양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재(300)와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재(300) 상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수평부재(500)가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부재(500)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와이어(600)가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에 끼워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와이어(600) 종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걸개(70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t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vertical members 300,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member 300, so as to protrude to both sides across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300, the vertical member 30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horizontal member 500 coupled and fixed to the top, and to have a pair of wires 600 fix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member 500, respectively. And to include a pair of hangers 700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wires 600, respectively, to be inserted into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so as to lift the formwork panel 100. It is desirable to do

도 4는 본 고안에 포함된 상기 걸개(7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상기 걸개(7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포함된 상기 걸개(700)에 대한 측면도(a), 정면도(b) 및 배면도(c)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걸개(700)의 상세구조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ger 7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ger 700. 7 is a side view (a), a front view (b) and a rear view (c) of the hanger 7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hanger 7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걸개(700) 각각은, 위쪽을 향하여 둥그런 반원형으로 되어, 그 상단 중심이 상기 와이어(600)의 종단 결합부재(610)에 연결되는 손잡이(71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710)의 아래쪽에는 아래쪽을 가로지르는 가로바(720)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710)가 반달형의 모양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로바(720)에는 걸고리(730)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걸고리(730)는 ㄷ자 모양으로서, 상기 ㄷ자 모양의 윗변(730a) 종단이 상기 가로바(720)의 중심 측면과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고리(730)의 ㄷ자 모양 중 아랫변(730c)에는, 위를 향해 돌출되는 걸고리날(74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고리(730)의 양쪽에 상기 걸고리(730)와 같은 모양 및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보조 걸고리(750)가, 상기 가로바(720)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 걸고리(750) 또한 상기 걸고리(730)처럼 ㄷ자 모양으로서, 상기 ㄷ자 모양의 윗변 종단이 상기 가로바(720)의 중심 측면과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pair of hangers 700 has a rounded semicircular shape toward the top, and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handle 710 connected to the end coupling member 610 of the wire 600 It is desirable to includ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710 has a half-moon shape by fixing the horizontal bar 720 crossing the lower side to the bottom of the handle 710, and the hook 730 on the cross bar 720. ) is preferably connected, and the hook 730 is c-shap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c-shaped upper side 730a is coupled to the central side of the horizontal bar 72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hook blade 740 protruding upward on the lower side 730c of the U-shape of the hook 730. 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S. 5 to 7, a pair of auxiliary hooks 750 having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hook 73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ok 730, the horizontal bar 720 )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hook 750 also has a U-shape like the hook 73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shape is coupled to the central side of the horizontal bar 720.

이하에서는 상기 걸개(700) 중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를 적용한 등지게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을 옮기는 모습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700)가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에 형성된 체결구멍(121)에 끼워지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걸개(700)가 상기 거푸집 패널(100) 프레임(120)의 체결구멍(121)에 끼워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Hereinafter, a back support to which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to 7 of the hanger 700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3.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of moving the formwork panel 100 with a back support for carrying the formwork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by the hanger 7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being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formed i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ger 70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of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는 작업자가 상기 등판(200)에 연결된 상기 멜빵(210)을 둘러메고, 상기 수평부재(500)의 양 단부에 상기 한 쌍의 와이어(600)를 통해 매달린 상기 한 쌍의 걸개(700)를 이용하여, 양쪽에 있는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에 걸어서 들어 올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작업자는 상기 한 쌍의 걸개(700)에 있는 손잡이(710)를 양손으로 각각 잡은 상태에서, 등지게를 지고 진행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과정에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에 형성된 상기 체결구멍(121)에 상기 걸고리날(740)을 끼워서 도 9(c)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거푸집 패널(100)을 들어 올린 후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고리날(740)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고리(730)의 ㄷ자 모양 중 수직 변(730b)을 향한 면의 상단에 원호 모양의 날(741)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걸고리날(740)의 날(741)이 이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체결구멍(121)에 상기 걸고리날(740)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뺄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8, in the back support for carrying the formwork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surrounds the suspenders 210 connected to the back plate 200, and the pair of wires ( 600), it is preferable to use the pair of hooks 700 suspended through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on both sides to lift it up. At the same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operator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see arrow) while holding the handle 710 of the pair of hooks 700 with both hands, respectively. In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9, the hook blade 74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formed in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so as to be in the state shown in FIG. 9 (c)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formwork panel 100 after lifting it.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4 to 6, the hook blade 740 forms an arc-shaped blade 741 at the upper end of the surface facing the vertical side 730b of the U-shape of the hook 730 Preferably, since the blade 741 of the hook blade 740 has such a shape,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hook blade 740 into the fastening hole 121 .

도 10은 상기 걸개(700)에 포함된 상기 걸고리날(740)이,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에 형성된 상기 체결구멍(121)에 끼워진 채로 들어 올려진 모습이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걸개(700)의 손잡이(710)를 손으로 잡아주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의 상기 걸개(700)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을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 거푸집 패널(100)이 안정적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는데, 상기 걸개(700)들어 올려진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상기 걸개(700)의 손잡이(710)를 손으로 잡아주고 있는 한, 상기 걸개(700)의 구조로 인하여 상기 거푸집 패널(100)이 x축 방향이나 y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흔들거리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10 is a state in which the hook blade 740 included in the hook 700 is lif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formed in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In this stat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operator hold the handle 710 of the hanger 700 by hand. As shown in FIG. 10, when the formwork panel 100 is lifted with the hanger 700 of the formwork panel carrying 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work panel 100 is stably lifted, the hanger ( 700) , as long as the operator is holding the handle 710 of the hanger 700 by han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hanger 700, the formwork panel 100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or y direction A stable state is maintained without shaking in the axial direction or the z-axis direction. This will be explained below.

먼저, 도 11은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700)가 x축 방향 흔들림을 저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 x축 방향 흔들림이라 함은, 도 10과 같이 상기 거푸집 패널(100)를 세워놓고 위에서(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다본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그 중심이 되는 부분, 즉 상기 걸고리날(740)이 끼워지는 체결구멍(121)의 중심부를 중심축(Cx)으로 하여 상기 거푸집 패널(100)이 지면에서 수평이 되게 스윙하면서 회전하는(파란 색 화살표 참조) 흔들림을 말한다.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700)는 그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x축 방향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즉 Cx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거푸집 패널(100)이 지면에서 수평이 되게 스윙하는 회전력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First, Figure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hanger 7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haking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haking in the x-axis direction means that the formwork panel 100 is erected as shown in FIG. 10 and viewed from above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s shown in FIG. 740) refers to the vibration in which the formwork panel 100 rotates while swinging horizontally on the ground (see the blue arrow) with the center of the fastening hole 121 as the central axis Cx. Hanger 7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such shaking in the x-axis direction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is, with Cx as the central axis, the formwork panel 100 can resist the rotational force that swings horizontally on the ground.

이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개(700)에 포함된 상기 가로바(720)에는 상기 걸고리(73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걸고리(730)의 ㄷ자 모양 중 아랫변(730c)에는, 위를 향해 돌출되는 상기 걸고리날(74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걸개(700)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을 들어 올리면, 상기 걸고리날(740)이 상기 체결구멍(121)에 삽입되게 되며, 상기 걸고리날(740)이 상기 체결구멍(121)에 삽입되면, 상기 걸고리날(740)의 단면도 장방형이고, 상기 체결구멍(121)의 단면도 장방형이므로 상기 걸고리날(740)이 상기 체결구멍(121)에 단단하게 끼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710)를 쥐고 있는 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은 x축 방향으로(Cx를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 11, the hook 73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720 included in the hook 700, and the lower side 730c of the U-shape of the hook 730 is This is because it includes the hook blade 740 protruding toward. When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is lifted by the hook 700, the hook blade 74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and the hook blade 740 is the fastening hole ( 121), the hook blade 740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fastening hole 121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so the hook blade 740 is firmly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Therefore, as long as the operator holds the handle 710, the formwork panel 100 does not rotate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Cx as the central axis).

이뿐만 아니라 이에 더하여 상기 가로바(720)에는, 상기 걸고리(730)의 양쪽에, 상기 걸고리(730)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가진 상기 보조 걸고리(750)를 가지기 때문에 Cx를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더욱 강력하게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걸개(700)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을 들어 올리면 상기 걸고리날(740)이 상기 체결구멍(121)에 삽입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보조 걸고리(750)의 종단은 상기 패널면(110)에 닿게 되는 상태가 된다(빨간 원 A1 참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710)를 쥐고 있는 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은 x축 방향으로, 즉 Cx를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앞쪽이 작업자를 향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보조 걸고리(750) 중 뒤쪽에 있는 보조 걸고리(750)의 종단이 패널면(110)에 닿게 되어(빨간색 원 A1b 참조)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회전을 저지하게 되며,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뒤쪽이 작업자를 향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보조 걸고리(750) 중 앞쪽에 있는 보조 걸고리(750)의 종단이 패널면(110)에 닿게 되어(빨간색 원 A1a 참조)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등지게를 짊어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걸개(700) 손잡이(710)를 양손으로 각각 쥐고 이동하더라도, 상기 거푸집 패널(100)은 x축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옮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o this, in addition to this, since the horizontal bar 720 has the auxiliary hook 750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hook 730 on both sides of the hook 730, the horizontal with Cx as the central axis It is possible to more strongly prevent rotation in the direction. That is, when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is lifted by the hook 700, the hook blade 74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and at the same time, the end of the auxiliary hook 750 i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nel surface 110 (see red circle A1). Accordingly, as long as the operator holds the handle 710, the formwork panel 100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horizontally in the x-axis direction, that is, with Cx as the central axis. For example, when the front side of the formwork panel 100 rotates toward the operator, the end of the auxiliary hook 750 at the rear of the auxiliary hook 7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nel surface 110 (see red circle A1b). ) It prevents rotation of the formwork panel 100, and when the rear side of the formwork panel 100 rotates toward the operator, the end of the auxiliary hook 750 at the front of the auxiliary hook 750 is the panel surface (110) (see red circle A1a) to prevent rotation of the formwork panel (100). Therefore, even if the worker moves while holding the handle 710 of the pair of hangers 700 with both hands while carrying the back, the formwork panel 100 does not rotate in the x-axis direction, so it can be moved stably without shaking. there will be

다음으로, 도 12는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700)가 y축 방향 흔들림을 저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 y축 방향 흔들림이라 함은, 도 10과 같이 상기 거푸집 패널(100)를 세워놓고 작업자의 진행방향에서(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다 본 도 12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위쪽 프레임(120)의 중심 Cy를 중심축으로 하여, 즉 상기 걸고리날(740)이 끼워지는 체결구멍(121)의 중심부분을 중심축 Cy로 하여,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아래쪽이 좌우로 회전하는(파란 색 화살표 참조) 흔들림을 말한다.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700)는 그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y축 방향 흔들림 또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Cy를 중심축으로 하여 밑부분이 작업자로부터 멀어졌다 가까워지는 흔들림을 저지할 수 있게된다. Next, Figure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hanger 7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haking in the y-axis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haking in the y-axis direction means that the formwork panel 100 is erected as shown in FIG. With the center Cy of the upper frame 120 as the central axis, that is, the center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 121 into which the hook blade 740 is inserted is the central axis Cy, the lower part of the formwork panel 100 is left and right Rotating (see blue arrows) rocking. Hanger 7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suppress such shaking in the y-axis direction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is, with Cy as the central ax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aking of the lower part moving away from and approaching the operator.

이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개(700)에 포함된 상기 걸고리(730)의 ㄷ자 모양 중 아랫변(730c)에, 위를 향해 돌출되는 상기 걸고리날(74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걸개(700)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을 들어 올리면, 상기 걸고리날(740)이 상기 체결구멍(121)에 삽입되게 되며, 상기 걸고리날(740)이 상기 체결구멍(121)에 삽입되면, 상기 걸고리날(740)의 단면도 장방형이고, 상기 체결구멍(121)의 단면도 장방형이므로 상기 걸고리날(740)이 상기 체결구멍(121)에 단단하게 끼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12의 빨간색 원 A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고리날(740)을 중심으로 상기 걸고리(730)의 아랫변(730c) 위쪽과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의 아랫면이 밀착된 상태로 되고, 상기 걸고리날(740)의 앞뒤는 상기 체결구멍(121)과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710)를 쥐고 있는 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은 y축 방향으로 즉, Cy를 중심축으로 하여 스윙하는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아래쪽이 작업자를 향하여 접근하는 스윙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걸고리(730)의 아랫변(730c) 중 A2a 부분이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 아랫면에 닿아서 스윙을 저지하게 되며,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아래쪽이 작업자로부터 멀어지는 스윙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걸고리(730)의 아랫변(730c) 중 A2b 부분이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 아랫면에 닿아서 스윙을 저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2, this is because the lower side 730c of the U-shape of the hook 730 included in the hook 700 includes the hook blade 740 protruding upward. When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is lifted by the hook 700, the hook blade 74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and the hook blade 740 is the fastening hole ( 121), the hook blade 740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fastening hole 121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so the hook blade 740 is firmly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Therefore, as shown in the red circle A2 of FIG. 12,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ide 730c of the hook 7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ok blade 740 as the center. state, and since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hook blade 74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hole 121, as long as the operator holds the handle 710, the formwork panel 100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that is, , the swinging rotation with Cy as the central axis is not performed. That is, when a swing occurs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formwork panel 100 approaches the worker, the portion A2a of the lower side 730c of the hook 730 touches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When the lower part of the formwork panel 100 swings away from the operator, the portion A2b of the lower side 730c of the hook 730 is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It hits the bottom and blocks the swing.

다음으로, 도 13은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700)가 z축 방향 흔들림을 저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 z축 방향 흔들림이라 함은, 도 10과 같이 상기 거푸집 패널(100)를 세워놓고 위에서(화살표 C방향에서) 바라다본 도 13과 같은 상태에서, 그 중심이 되는 부분, 즉 상기 걸고리날(740)이 끼워지는 체결구멍(121)의 중심부를 중심축(Cz)으로 하여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앞뒤쪽이 아래위로 스윙하면서 회전하는(파란 색 화살표 참조) 흔들림을 말한다.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700)는 그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이와 같은 z축 방향 흔들림 또한 억제할 수 있다. 즉 Cz를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이 되게 회전하는 힘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Next, Figure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hanger 7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haking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haking in the z-axis direction means that the formwork panel 100 is erected as shown in FIG. 10 and viewed from above (in the direction of arrow C) as shown in FIG. 13, the central part, that is, the hook blade ( 740) refers to the shaking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ormwork panel 100 rotate while swinging up and down (refer to the blue arrow) with the center of the fastening hole 121 being inserted as the central axis (Cz). Hanger 7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suppress such shaking in the z-axis direction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sist the force that rotates horizontally with Cz as the central axis.

이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개(700)에 포함된 상기 가로바(720)에는 걸고리(73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걸고리(730)의 ㄷ자 모양 중 아랫변(730c)에서 위를 향해 돌출되는 상기 걸고리날(74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걸개(700)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을 들어 올리면, 상기 걸고리날(740)이 상기 체결구멍(121)에 삽입되게 되며, 상기 걸고리날(740)이 상기 체결구멍(121)에 삽입되면, 상기 걸고리날(740)의 단면도 장방형이고, 상기 체결구멍(121)의 단면도 장방형이므로 상기 걸고리날(740)이 상기 체결구멍(121)에 단단하게 끼워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가로바(720)에는 상기 걸고리(730)의 양쪽에, 상기 걸고리(730)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가진, 상기 보조 걸고리(750)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걸개(700)가 고정된 상태에서, Cz를 중심축으로 하여 뒤쪽이 아래로 내려가려 할 때는 뒤쪽 보조 걸고리(750)가 저지하게 되며(빨간 원 A3b참조), Cz를 중심축으로 하여 앞쪽이 아래로 내려가려 할 때는 앞쪽 보조 걸고리(750)가 저지하게 되므로(빨간 원 A3a참조), 상기 거푸집 패널(100)이 Cz를 중심축으로 스윙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걸개(700)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의 프레임(120)을 들어 올리면 상기 걸고리날(740)이 상기 체결구멍(121)에 삽입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보조 걸고리(750)의 위쪽은 상기 프레임(120)의 아랫면에 닿게 되는 상태가 된다(빨간 원 A3 참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710)를 쥐고 있는 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은 z축 방향으로, 즉 Cz를 중심축으로 하여 스윙하면서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등지게를 짊어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걸개(700) 손잡이(710)를 양 손으로 각각 쥐고 이동하면서 상기 거푸집 패널(100)은 z축 방향으로도 스윙하지 않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옮길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3, the hook 73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r 720 included in the hook 700,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lower side 730c of the c-shape of the hook 730 This is because it includes the hook blade 740 to be. When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is lifted by the hook 700, the hook blade 74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and the hook blade 740 is the fastening hole ( 121), the hook blade 740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fastening hole 121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so the hook blade 740 is firmly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And in addition to this, the horizontal bar 720 has the auxiliary hook 750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hook 730 on both sides of the hook 730, so that the hanger 700 is fixed. In , when the rear side tries to go down with Cz as the central axis, the rear auxiliary hook 750 blocks it (see red circle A3b), and when the front side tries to go down with Cz as the central axis, the front auxiliary hook Since 750 is prevented (see red circle A3a), the formwork panel 100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while swinging around Cz. That is, when the frame 120 of the formwork panel 100 is lifted by the hook 700, the hook blade 74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1, and at the same time, the top of the auxiliary hook 750 i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120 (see red circle A3). Accordingly, as long as the operator holds the handle 710, the formwork panel 100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while swinging in the z-axis direction, that is, with Cz as the central axis. Therefore, the formwork panel 100 does not swing even in the z-axis direction while the operator holds the handle 710 of the pair of hooks 700 with both hands and moves while carrying the forklift, so it can be moved stably without shaking. be able to

이와 같이 본 고안에 포함된 걸개(700)는 그 특징적인 구조로 인하여, 작업자들이 상기 거푸집 패널(100)을 옮길 때, x축 방향이나, y축 방향 또는 z축 방향으로 스윙하여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옮길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As such, due to its characteristic structure, the hanger 7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e without shaking by swinging in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or z-axis direction when workers move the formwork panel 100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to .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various example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xampl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거푸집 패널
110 패널면 120 프레임
121 체결구멍
200 등판
210 멜빵 220 쿠션
230 평판 240 지주
241 각재
300 수직부재
310 핀 삽입공
400 높이조절핀
500 수평부재
600 와이어
610 결합부재
700 걸개
710 손잡이 720 가로바
730 걸고리 740 걸고리날
741 날 750 보조 걸고리
100 formwork panels
110 panel side 120 frame
121 fastening hole
200 appearances
210 Suspenders 220 Cushions
230 reputation 240 land
241 square lumber
300 vertical members
310 pin insert hole
400 height adjustment pin
500 horizontal members
600 wire
610 coupling member
700 gag
710 handle 720 cross bar
730 Hook 740 Hook Blade
741 blade 750 secondary hook

Claims (5)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 거푸집 패널을 옮기는 데 사용되는 등지게로서
등에 짊어질 수 있도록, 어깨에 둘러메는 한 쌍의 멜빵이 구비된 등판;
상기 등판의 양쪽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
상기 등판의 양쪽 상단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한 쌍의 높이조절핀;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을 가로질러 양쪽으로 돌출되게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
상기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에 끼워서, 상기 거푸집 패널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와이어 종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걸개;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걸개 각각은
- 위쪽을 향하여 둥그런 반원형으로 되어, 그 상단 중심이 상기 와이어의 종단에 연결되는 손잡이;
- 상기 손잡이의 아래쪽을 가로지르며, 상기 손잡이를 반달형으로 만들면서 고정되는 가로바;
- ㄷ자 모양으로서, 상기 ㄷ자 모양의 윗변 종단이 상기 가로바의 중심 측면과 결합되는 걸고리;
- 상기 걸고리의 ㄷ자 모양 중 아랫변에서, 위쪽을 향해 돌출되는 걸고리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
As a back lift used to move formwork panels at the concrete pouring site
A back panel equipped with a pair of suspenders worn over the shoulder so that it can be carried on the back;
On both sides of the back panel, a pair of vertical members coupled to allow height adjustment;
At both upper ends of the back panel, a pair of height adjustment pins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height of the pair of vertical members;
A horizontal member that is fixed horizontally to protrude on both sides across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A pair of wires fixed to both ends of the horizontal member;
A pair of hanger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pair of wires to be inserted into the frame of the formwork panel to lift the formwork panel;
Each of the pair of hangers
- a handle which is in the shape of a semi-circle which is rounded upwards, the upper center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 A horizontal bar that crosses the bottom of the handle and is fixed while making the handle in a half-moon shape;
- A c-shape, a hook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c-shape is coupled to the central side of the crossbar;
- A back lift for carrying formwork panel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ok blade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U-shape of the hoo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날은,
- 상기 걸고리의 ㄷ자 모양 중 수직 변을 향한 면의 상단에 원호 모양의 날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
According to claim 1,
The hook blade,
- Formwork panel carrying back lift, characterized in that an arc-shaped blade is formed at the top of the side facing the vertical side of the U-shape of the hoo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의 ㄷ자 모양 중 아랫변 길이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 높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lower side of the U-shape of the hook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frame of the formwork pan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의 ㄷ자 모양 중 아랫변 종단으로부터 상기 걸고리날까지의 길이는, 상기 거푸집 패널의 프레임에 형성된 홈의 끝에서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면까지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
According to claim 3,
The length from the lower end of the U-shape of the hook to the hook blade is the same as the length from the end of the groove formed in the frame of the formwork pan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ormwork panel.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개 각각에는, 상기 걸고리의 양쪽에 상기 걸고리와 같은 모양 및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보조 걸고리가 상기 가로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운반용 등지게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n each of the pair of hooks, a pair of auxiliary hooks having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hooks are connected to the crossbar on both sides of the hooks, characterized in that for carrying formwork panels
KR2020210002265U 2021-07-19 2021-07-19 Frame carrier for formwork panels KR20049669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65U KR200496698Y1 (en) 2021-07-19 2021-07-19 Frame carrier for formwork pan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265U KR200496698Y1 (en) 2021-07-19 2021-07-19 Frame carrier for formwork pan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07U true KR20230000207U (en) 2023-01-26
KR200496698Y1 KR200496698Y1 (en) 2023-04-05

Family

ID=8510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265U KR200496698Y1 (en) 2021-07-19 2021-07-19 Frame carrier for formwork pane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698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219U (en) * 1999-03-11 2000-10-16 박동식 Improvement
US8002240B1 (en) * 2008-05-23 2011-08-23 Wilson Sr Richard M Concrete frame lifting device and method to 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219U (en) * 1999-03-11 2000-10-16 박동식 Improvement
US8002240B1 (en) * 2008-05-23 2011-08-23 Wilson Sr Richard M Concrete frame lifting device and method to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698Y1 (en)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0886A1 (en) Base for supporting an upstanding mast
CN203947780U (en) Hydraulic climbing formwork jacking type hydraulic concrete spreader
KR101076562B1 (en) Supporting structure of slab form
CN105438965B (en) The hanging method of glomeration pattern masonry wall 2 centering hanging apparatus of piece
KR200496698Y1 (en) Frame carrier for formwork panels
CN106948603A (en) Wall plate member switching mechanism and its method for turning
JP7145499B2 (en) hanger
CN205275016U (en) 2 centering hoist device of glomeration mode brickwork wall piece
CN212101611U (en) Steel structure small component transport vehicle
CN101768925B (en) Mounting equipment of beam falling prevention stopping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08363666U (en) It is a kind of for build face side construction safety protection frame
CN205772789U (en) A kind of transporting and hoisting device of prefabricated pile
CN215331379U (en) Elevator shaft lifting operation platform
JP6661142B1 (en) Hanging scaffold
CN109368475B (en) Use method of integrated auxiliary device for transportation and hoisting of oversized special-shaped suspended ceiling unit
JP3977400B2 (en)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CN210853369U (en) Protection device for vertical transportation building blocks of tower crane
CN109179188B (en) Installation method of transportation and hoisting integrated auxiliary device for oversized special-shaped suspended ceiling unit
CN211712485U (en) A cantilever loop wheel machine for house decoration
CN111410117A (en) Vertical lifting appliance for side mold of prefabricated box girder
CN215326417U (en) Adjustable lifting appliance for lifting laminated plate bracket
CN212024543U (en) Vertical lifting appliance for side mold of prefabricated box girder
CN205087793U (en) Integral of vertical reinforcement of growing up rises hoist
CN212639708U (en) Hanging bracket for bundling beam ribs of profile steel concrete beam
CN219489328U (en) Buckling restrained brace member lif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