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562B1 - Support Structure of Slab Formwork - Google Patents
Support Structure of Slab Form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6562B1 KR101076562B1 KR1020110037917A KR20110037917A KR101076562B1 KR 101076562 B1 KR101076562 B1 KR 101076562B1 KR 1020110037917 A KR1020110037917 A KR 1020110037917A KR 20110037917 A KR20110037917 A KR 20110037917A KR 101076562 B1 KR101076562 B1 KR 1010765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horizontal support
- formwork
- slab formwork
- sla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설치하는 슬래브거푸집을 매우 안전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설치는 물론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는, 벽체거푸집의 상단에 적층설치하는 고정프레임의 상면 하부에 고정하는 상단면(11)으로부터 2단 절곡되어 내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하부면(11a)에 길이방향으로 결합장공(12)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장공의 상측부에는 고정홈(13)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0)와, 슬래브거푸집을 받쳐주는 수평지지대(20)와, 후단부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부 상측에 고정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결합장공을 관통하게 결합되는 전단에는 결합장공의 양측 전면에 걸어지는 걸이편(31)이 직교하게 형성된 걸이부재(30) 및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부 하측에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게 수평으로 결합설치되며 전진이동시키면 전단부가 상기 고정홈에 걸어지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tructure of a slab formwork to be installed as well as dismantling the slab formwork to install the concrete to install the slab very safe, simple and easy.
Such a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11a) is bent in two stages from the top surface 11 fixed to the upper surface low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to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wall formwork inclined downward inward A support plate 10 having a fixing groove 13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hole, the horizontal support 20 supporting the slab formwork, and a rear end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It is fixed to the upper side is installed horizontally and the front end coupled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the hook piece (30) which is hook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coupling long hole is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hook member 30 and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back and for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lding member 4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and the front portion is moved to the fixed groove when moving forward .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설치하는 슬래브거푸집을 매우 안전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설치는 물론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support the slab formwork to install and dismantle the slab formwork, which is very safe, simple and easy to install to install the slab by laying concrete It's about structure.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은, 상호의 간격이 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사각형 데크들을 종횡으로 연결시켜 되는 벽체거푸집들을 설치하고 그 상단부에 다수의 사각형 데크들을 좌우로 연결시켜 되는 슬래브거푸집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벽체거푸집들의 사이와 슬래브거푸집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을 하는 방법으로 공사를 하였다.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generally install wall formwork that connects a number of square deck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that mutual gaps form a wall, and horizontally form slab formwork by connecting a number of square decks left and right at the upper end. The installation was done by placing concrete and curing between the wall formwor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formwork.
그리고,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벽체거푸집을 해체한 다음 슬래브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슬래브거푸집이 하중에 의해 그대로 낙하하여 소음이나 데크의 파손은 물론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해 슬래브거푸집을 지지수단에 의해 받쳐지게 설치하였는데, 종래의 이러한 지지수단으로는 대향하는 두 벽체거푸집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벽체거푸집연결바와, 일단부를 상기 각 벽체거푸집연결바에 각각 결합하고 타측에는 가이드핀을 수직결합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두 판재로서 중앙부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핀이 가이드되는 제1 판넬과 중앙부에 가이드공이 형성된 제2 판넬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내주면에 관통형성되는 가이드공을 갖는 관체로서 양단부의 가이드공에 상기 제2 판넬이 각각 삽입되어 수평으로 지지되는 거푸집지지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특허 제10-0812551호)가 있었다.In addition, after curing is completed, the slab formwork falls down by load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wall formwork and then slab formwork to prevent noise, deck damage, and safety accidents. It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means, the conventional support means such as a pair of wall formwork connecting bar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wo opposite wall formwork, one end is coupled to each of the wall formwork connecting bar and the other side guide A pair of support plates for vertically engaging the pin, and a pair of rotationally coupled two plate material consisting of a first panel guided by the guide pin along the guide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a second panel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uide hole As a tube having a link member and a guide hol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arts of the second panel is inserted in each guide hole was a formwork support which is supported in a horizontal slab formwork is easy dismantling the support bar which comprises a bar (Patent No. 10-0812551).
그런데, 이와 같은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는, 벽체거푸집연결바에 거푸집지지바를 연결하기 위해 지지플레이트와 제1 판넬과 제2 판넬 및 2개의 가이드핀과 하나의 고정핀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부품 및 조립공수가 많게 되었고, 이에 따라 제작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하였음은 물론 제작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However, such a slab formwork support bar that is easy to dismantle, since the support plate, the first panel, the second panel, two guide pins and one fixing pin are used to connect the formwork support bar to the wall formwork connecting bar. There are a lot of assembly labor, and according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is very complicated and inconvenient, as well as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또한,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 거푸집지지바를 상승시켜 수평으로 설치할 때에는 물론이고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지지바를 수평으로 하강할 때에도 제1 판넬의 가이드공과 제2 판넬의 가이드공에 의해 2단계로 상승과 하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 및 하강시켜주는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들도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slab formwork,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wo stages by the guide hole of the first panel and the guide hole of the second panel, as well as when the formwork bar is raised horizontally, as well as when the formwork bar is lowered horizontally after curing the concrete. Because it was to be up and down the work that was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there were also problems.
아울러,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였을 때 거푸집 지지바에 가해지는 하중이 가이드핀이나 고정핀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반복사용시 핀들의 피로파괴현상이 발생하여 그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은 물론, 특히 이러한 현상이 슬라브 거푸집을 해체할 때 서포터 제거하면 데크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거푸집지지바가 슬라브 거푸집을 받쳐주지 못하게 되어 슬라브 거푸집을 형성하는 데크들이 그대로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In addition, when the slab formwork is installed, the load applied to the formwork support bar is concentrated on the guide pin or the fixing pin, so that fatigue failure of pins occurs during repeated use, which shortens the service life. If the supporter is removed during dismantling, the deck support bar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will not support the slab formwork if the deck is being lowered due to its own weight, causing the decks that form the slab form to fall to the floor. Was done.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작이 매우 간단·용이함은 물론 제작원가가 크게 절감되는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se conventional point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for slab formwork, in which manufacturing is very simple and easy, as well as manufacturing cost i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for a slab formwork which can be installed or dismantled very quickly and easi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of a slab formwork, which can be used safely for a long time.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벽체거푸집의 상단에 적층설치하는 고정프레임의 상면 하부에 고정하는 상단면으로부터 2단 절곡되어 내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장공의 상측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슬래브거푸집을 받쳐주는 수평지지대와, 후단부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부 상측에 고정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결합장공을 관통하게 결합되는 전단에는 결합장공의 양측 전면에 걸어지는 걸이편이 직교하게 형성된 걸이부재 및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부 하측에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게 수평으로 결합설치되며 전진이동시키면 전단부가 상기 고정홈에 걸어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수평지지재를 수직으로 상승시켜 그 양단이 고정프레임의 상측부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전진이동시켜서 그 전단부를 고정홈에 걸어주면 수평지지대는 상승된 위치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부재를 후진이동시켜 전단부를 고정홈에서 이탈시켜 주면 걸이편이 결합장공의 외측면에 걸어진 상태에서 걸이부재가 결합장공의 하단까지 하강하므로 수평지지대를 신속하고도 간단히 하강시켜 슬래브거푸집을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oupli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is bent in two stages from the upper surfac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to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wall formwork inclined downward inward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hole is a support plate formed with a fixing groove, a horizontal support for supporting the slab formwork, and the rear end is installed horizontally fixed to the upper ends of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and coupled to the front end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hole The hook piece which is hook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long hole is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coupled so as to be moved back and forth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forward memb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ed member that is hooked to the fixed groove when moving forward. Raise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vertically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fixed If the front end is moved to the fixing groove by moving the fixing member forward in the state where i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 horizontal support is fixed so as not to flow in the raised position. If it is detached,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which makes it easy to dismantle the slab formwork by quickly and simply lowering the horizontal support, because the hook member descends to the bottom of the joining hole while the hook piece hangs on the outer side of the joining hol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수평지지대의 하면에 결합설치하여 서포트가 상기 수평지지대를 안정되게 받쳐 주도록 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further comprises a binding member to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so that the support supports the horizontal support stably.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제작원가가 크게 절감되는 효과는 물론 매우 신속하고도 간편·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를 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s well as very quick, simple and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There is a feature that makes it possible.
특히, 반복사용하여도 그 기능이 쉽게 저하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은 물론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해소되어 안심하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얻게 된다.Particularly, even after repeated use, the function is not easily deteriorated or damaged, so that it can be used safely for a long time, and the risk of safety accident is eliminated accordingly, so that it can work safely. do.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도
도 3a,b는 도 2에서 수평지지대를 상승과 하강시킨 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
도 4a~d는 도 1의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를 사용하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
도 5a는 도 4c에서 요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
도 5b는 도 4d에서 요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
도 6은 도 1에서 지지부재의 사용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종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of Figure 1
3A and 3B are enlarged sid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 is raised and lowered in FIG.
Figure 4a ~ d is a side view showing a process of us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of Figure 1
Figure 5a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the excerpts in Figure 4c
Figure 5b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excerpts in Figure 4d
Figure 6 is an enlarg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upport member in Figure 1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거푸집 지지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lab formwork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a,b는 도 2에서 수평지지대를 상승과 하강시킨 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이고, 도 4a~d는 도 1의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를 사용하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5a는 도 4c에서 요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4d에서 요부를 발췌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서 지지부재의 사용상태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종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of Figure 1, Figure 3a, b is a horizontal support in Figure 2 4a to d are side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us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of Figure 1, Figure 5a is a side view showing the enlarged excerpts in Figure 4c, Figure 5b Figure 4d is a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excerpt in Fig. 4d, Figure 6 is an enlarg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state of use of the support member in FIG.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거푸집 지지구조는, 벽체거푸집(1)의 상단에 적층설치하는 고정프레임(2)의 상면(2a) 하부에 상단면(11)을 고정하며 내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하부면(11a)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장공(12)을 구비하는 지지플레이트(10)와, 슬래브거푸집(3)을 받쳐주는 수평지지대(20)와, 후단부는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부 상측에 고정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며 전단에는 상기 결합장공의 전면에 걸어지는 걸이편(31)이 직교하게 형성된 걸이부재(30) 및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부 하측에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게 수평으로 결합설치되며 전진이동시 전단부가 상기 결합장공의 상측부에 형성된 고정홈(13)에 관통하여 걸어지게 하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slab formwork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11)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2a) of the fixed frame (2) laminated to the upper end of the wall formwork (1) extending downwardly inwardly
지지플레이트(10)는, 폭이 좁은 판재를 수평의 상단면(11)과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하부면(11a)의 사이를 수직과 수평으로 2단 절곡하여 수직과 수평면(11b)(11c)이 구비되게 형성하여 된다.The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0)의 상단면(11)을 고정프레임(2)의 내측면(2b)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하여 상면(2a)의 하부에 볼트·너트로 고정하면 수직면(11b)이 상기 내측면의 내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된다.When the
그리고, 하부면(11a)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장공(12)의 상단은 하부보다 폭이 넓게 하여 수평면(11b)에 형성된 결합공(12a)과 연결되게 한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따라서, 걸이부재(30)를 지지플레이트(10)에 결합할 때에는 걸이편(31)을 상측에서 결합공(12a)을 관통하게 하강결합하면 상기 결합부재의 전단부는 결합장공을 관통하게 됨과 동시에 결합편은 결합장공의 양측 전면에 걸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이렇게 하면, 걸이편(31)을 상승시켜 결합공(12a)을 통해 상방으로 이탈시키지 않는 한 걸이부재(30)가 고정된 수평지지대(20)는 지지플레이트(1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반면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고정홈(13)은 지름이 결합장공(12)의 폭 보다 크게 상측부,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래브거푸집(3)을 받쳐주는 위치로 수평지지대(20)를 상승시켜 주었을 때 그 양단부 하측에 결합설치되어 있는 고정부재(40)의 전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한다.The
이에 따라, 수평지지대(2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40)를 전진이동시켜 그 전단부가 고정홈(13)을 관통하게 걸어주면, 상기 수평지지대는 고정홈에서 고정부재의 전단부를 이탈시키지 않는 한 상승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게 되므로 슬래브거푸집(3)을 안정되게 받쳐준다.Accordingly, if the front end portion is moved forward through the
한편, 지지플레이트(10)의 하부면(11a)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벽체거푸집(1)들의 사이와 슬래브거푸집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벽과 슬래브로부터 벽체거푸집(1)을 먼저 해체할 때 상기 벽체거푸집의 상단부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이 벽체거푸집의 상단부와 하부면의 사이에 형성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urface (11a) of the
수평지지대(20)는, 상·하판부(21)(22)와, 이들을 연결하는 수직부(23) 및 상기 수직부 상측에 형성되는 결속구(24)와, 그 직 하방에 형성되는 결합구(25) 및 상기 결합구의 하면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노출구(26)를 구비하는 대략 "ㅍ"자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The
이러한 수평지지대(20)는 사용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수직부(23)의 양단부 상측 해당부위에 결속공(27)들을 수평으로 관통하게 형성한 다음에 이에 대응하는 결속공(32)들이 형성된 걸이부재(30)의 후단부를 상기 결속구에 삽입하여 결속공들과 결속공들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결속고정하면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에 걸이부재가 고정설치된다.The
이렇게 설치하면, 수평지지대(20)의 양단과 걸이편(31)들은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격리되는데, 이 간격은 지지플레이트(10)의 경사진 하부면(11a)에 형성된 결합장공(12)의 경사각도에 대응하게 된다.When installed in this way, both ends of the
즉, 수평지지대(20)의 양단과 각 걸이편(31)들의 간격은 하부면(11a)의 경사각도에 의한 결합장공(12)의 하단위치와 상단위치 사이의 간격과 같게 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걸이편이 상승하여 결합장공의 상단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걸이편의 후면이 결합장공의 상단 전면에 걸어지게 되므로 그 후면과 수평지지대의 단부와의 사이에 간격이 있어도 수평지지대는 상승한 상태에서 좌우로 유동하지 않게 되고, 반대로 하강하여 결합장공의 하단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걸이편은 하부의 전면으로부터 격리되는 반면에 수평지지대의 양단이 하부의 후면에 접촉되어 좌우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That is,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고정부재(40)는, 전단부를 전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게 형성한 소정 길이의 고정로드(41)와 상기 고정로드의 후단부 하면에 하형 연장되는 파지편(42)을 구비하여 된다.The
이러한 고정부재(40)는, 그 후단을 결합구(25)의 각 단부를 통해 상기 결합구에 삽입하여 고정로드(41)를 상기 결합구에 결합하면 파지편(42)은 노출구(26)를 통해 하부로 노출되게 수평지지대(2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The
그리고, 고정부재(40)를 전진이동시켜 고정로드(41)의 전단부가 고정홈(13)을 관통하여 걸어지게 되었을 때 파지편(42)의 전단이 위치하게 되는 하판부(22)의 하면과 상기 고정부재를 후진이동시켜 그 전단이 결합구(25)의 양단 내부로 진입하였을 상기 파지편이 위치하게 되는 하판부의 하면에 각각 노출구(26)를 가로지르게 멈춤대(43)(43')를 부착한다.Then,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이렇게 하면, 고정부재(40)는 멈춤대(43)에 의해 수평지지대(20)의 양단부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이고, 멈춤대(43')에 의해서는 중간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항상 양단부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수평지지대를 고정프레임에 설치할 때 고정부재를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한편,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는 수평지지대(20)의 하면 필요한 위치에 결합설치하여 상기 수평지지대를 받쳐주는 서포트(4)가 임의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결속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binding
결속부재(50)는, 노출구(26)를 통해 하방에서 결합구(25)에 삽입한 후 90도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구의 양측 내면에 걸어지게 되는 걸림편(51a)이 상단에 부설된 볼트(51)와 상기 노출구를 통해 하부로 노출되는 볼트의 하단부에 체결하는 너트(52)로 구성된다. The binding
한편 서포트(4)는 파이프로 되며, 상단에는 볼트(51)에 체결한 너트(52)가 관통하여 상기 서포트의 상단 내부에 수용되게 하는 결속공이 형성된 받침판(4a)을 고정부착하여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수평지지대(20)를 설치한 다음에 그 하면의 필요한 위치에 결속부재(50)를 고정설치한 후 하부에 노출되어 있는 너트(52)가 받침판(4a)의 결속공에 삽입되게 서프트(4)를 설치하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너트가 결속공과 서포트의 상단 내부에 결속되므로 서포트가 더욱 안정되게 설치된다.Therefore, after the
이에 따라, 슬래브거푸집(3)의 설치나 해체과정 등에서 강한 충격 등이 가해져도 서포트(4)는 쉽게 이탈하지 않고 수평지지대(20)를 항상 안정되게 받쳐 주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Accordingly, even if a strong impact is applied in the installation or dismantling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로 슬래브거푸집(3)을 받쳐주기 위해 설치할 때에는, 도 4a에서와 같이 벽체거푸집(1)을 설치한 다음 그 상단에 고정프레임(2)을 설치한다.When installing in order to support the slab formwork (3) as a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4a to install the wall formwork (1) and then fixed frame (2) on the top Install it.
그리고, 수평지지대(20)의 양단에 각각 결합한 지지플레이트(10)의 상단면(11)을 고정프레임(2)의 상면(2a) 하부에 고정하면,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대가 양 벽체거푸집(1)의 상단을 가로지르게 설치된다.Then, when the
이때, 걸이부재(30)는 결합장공(12)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고, 고정부재(40)의 고정로드(41) 선단부는 고정홈(13)을 관통하게 걸어져 고정되어 있게 되므로 수평지지대(20)는 상승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상태에서, 수평지지대(20)의 필요한 위치에 결합고정한 결속부재(50)의 너트(52)가 받침판(4a)의 결속공을 관통결속하게 서포트(4)를 설치하여 살기 수평지지대를 안정되게 받쳐준 다음 그 상면에 슬래브거푸집(3)을 설치하면 된다.In this state, the
이렇게 설치되는 슬래브거푸집(3)의 외단은, 도 4c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2)의 내측면(2b)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절곡되어 있는 걸침편(2c)의 상면에 걸쳐지게 되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2a)과 높이가 동일하게 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된다.The outer end of the
이와 같이 벽체거푸집(1)과 슬래브거푸집(3)을 설치한 다음 상기 벽체거푸집들의 사이와 슬래브거푸집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면 되는 것이며,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벽체거푸집을 먼저 해체하면 되는데, 이때 상기 벽체거푸집의 상단부와 지지플레이트(10)의 하부면(11a) 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wall formwork (1) and the slab formwork (3) is installed, and then the concrete between the wall formwor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formwork to be cured, and after curing is completed, the wall formwork can be dismantled first. At this time, since there is sufficient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wall formwork and the
이렇게 벽체거푸집(1)을 해체한 다음, 파지편(42)을 잡고 고정로드(41)를 후진이동시켜 주면 그 선단부가 고정홈(13)에서 이탈되므로 고정부재(40)에 의한 수평지지대(20)의 고정상태가 해제된다.After dismantling the
이러한 상태에서 서포트(4)의 상부를 하강시켜 주면 도 4d에서와 같이 수평지지대(20)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강하여 슬래브거푸집(3)의 하면과 격리되는데, 이때 이들 사이의 간격은 걸이부재(30)가 결합장공(12)의 상단위치에서 하단위치로 하강하는 거리에 비례하는 것으로 상기 슬래브거푸집을 해체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그리고, 하강한 걸이부재(30)의 걸이편은 하부면(11a)의 하단위치에 단단히 걸어져 있기 때문에 수평지지대(20)는 하강한 위치에서 해체되는 슬래브거푸집(3)이 임의로 낙하하지 않도록 받쳐주게 된다.And, since the hook piece of the lowered
아울러, 슬래브거푸집(3)을 완전히 해체한 다음 수평지지대(20)를 동일한 공사장소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다시 설치할 때에는, 지지플레이트(10)는 고정프레임(2)에 고정된 상태로 두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서 수평지지대(20)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는 걸이부재(30)를 분리시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고정프레임과 함께 수평지지대는 걸이부재와 함께 이동설치하면 설치작업이 더욱 신속·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그러나, 공사가 모두 완료되어 벽체와 슬래브거푸집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평지지대(20)와 걸이부재(30)는 분리하지 않더라도 지지플레이트(10)와 고정프레임(2)은 분리하여 운반 또는 보관하는 것이 공간활용에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and the wall and the slab formwork are not used,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는 반드시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또는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As such,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지지플레이트 11 : 상단면
11a : 하부면 12 : 결합장공
13 : 고정홈 20 : 수평지지대
21 : 상판부 22 : 하판부
23 : 수직부 24 : 결속구
25 : 결합구 26 : 노출구
30 : 걸이부재 31 : 걸이편
40 : 고정부재 41 : 고정로드
42 : 파지편 50 : 지지부재10: support plate 11: the top surface
11a: lower surface 12: coupling holes
13: fixing groove 20: horizontal support
21: upper plate portion 22: lower plate portion
23: vertical portion 24: binding sphere
25: coupler 26: exposed sphere
30: hanger member 31: hanger
40: fixed member 41: fixed rod
42: grip piece 50: support member
Claims (4)
슬래브거푸집을 받쳐주는 수평지지대(20)와;
후단부는 상기 수평지지대(20)의 양단부 상측에 고정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결합장공(12)을 관통하게 결합되는 전단에는 결합장공(12)의 전면에 걸어지는 걸이편(31)이 직교하게 형성된 걸이부재(30); 및
상기 수평지지대(20)의 양단부 하측에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게 수평으로 결합설치되며, 전진이동시키면 전단부가 상기 고정홈(13)에 걸어지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An upper surface 11 fixed to an upper surface lower portion of a fixing frame stacked on top of the wall formwork, a lower surface 11a which is bent in two stages from the upper surface and inclined downward inward, and the lower surface 11a A support plate (10) having a coupling hole (1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xing groove (13)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12);
A horizontal support 20 supporting the slab formwork;
The rear end is fixed horizontally on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upport 20 is installed horizontally,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long hole 12 is coupled to the hook piece 31 which is walk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upling long hole 12 orthogonally Hanger member 30 formed; And
The horizontal support 20 is installed horizontally coupled so as to move back and forth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the forward movement of the slab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member (40) is hooked to the fixing groove (13) Formwork supporting structure.
상기 수평지지대(20)의 하면에 설치하여 수평지지대(20)를 받쳐주는 서포트가 임의로 유동하지 않게 결속하는 결속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inding member (50) which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20) to support the support for the horizontal support (20) does not arbitrarily flow.
상기 수평지지대(20)는, 상·하판부(21)(22)와, 이들을 연결하는 수직부(23) 및 상기 수직부(23)의 상측과 그 직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속구(24)와, 결합구(25) 및 상기 결합구의 하면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노출구(26)를 구비하는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결속구(24)에 결합하며 전진시키면 전단부가 고정홈(13)에 관통고정되는 소정길이의 고정로드(41)와, 상기 고정로드(41)의 후단부 하면에 하형 연장되며 노출구(26)를 통해 하부로 노출되는 파지편(42)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orizontal support 20 has an upper and lower plate portions 21 and 22, a vertical portion 23 connecting them, and a binding hole 24 formed at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23, respectively. And a coupler 25 and an exposed hole 26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er;
The fixing member 40 is fixed to the fixed rod 4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which the front end portion is fixedly penetrated through the fixing groove 13 when the faste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binding hole 24 and moved forward. Supporting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gripping piece 42 is extended to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exposure port 26 in the lower portion.
상기 결속부재(50)는, 상기 노출구(26)를 통해 하방에서 결합구(25)에 삽입한 후 90도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구(25)의 내면에 걸어지는 걸림편(51a)을 갖는 볼트(51)와, 상기 노출구(26)를 통해 하부로 노출되는 볼트에 체결하는 너트(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The method of claim 3,
The binding member 50 is a bolt having a locking piece (51a) is hook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er 25 when rotated 90 degrees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er 25 from below through the exposure port 26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lab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51 and the nut 52 is fastened to the bolt exposed to the lower through the exposure opening (2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7917A KR101076562B1 (en) | 2011-04-22 | 2011-04-22 | Support Structure of Slab Form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7917A KR101076562B1 (en) | 2011-04-22 | 2011-04-22 | Support Structure of Slab Formwor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6562B1 true KR101076562B1 (en) | 2011-10-24 |
Family
ID=4503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7917A Active KR101076562B1 (en) | 2011-04-22 | 2011-04-22 | Support Structure of Slab Formw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6562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1052B1 (en) * | 2015-05-21 | 2016-07-20 |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 the one touch separating type non supporting form joist |
KR101819196B1 (en) * | 2017-04-14 | 2018-01-17 | (주)성지제강 | Form system |
KR101830861B1 (en) * | 2017-08-28 | 2018-03-29 | 오한성 | Hoist Hook Type Slab Panel Supporting Device |
KR101844868B1 (en) * | 2017-06-29 | 2018-04-03 | 오한성 | Hook Type Slab Panel Supporting Device |
WO2019004743A1 (en) * | 2017-06-29 | 2019-01-03 | 오한성 | Slab panel supporting apparatus having holding protrusions |
KR102114049B1 (en) * | 2019-04-17 | 2020-05-22 | 오민기 | Hook Position Variable Type Slab Panel Supporting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3765B1 (en) | 2008-10-14 | 2009-04-20 | 오경근 | Support Structure of Slab Formwork |
KR101012088B1 (en) | 2008-07-24 | 2011-02-07 | 금강공업 주식회사 | Slab panel mounting system |
-
2011
- 2011-04-22 KR KR1020110037917A patent/KR10107656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2088B1 (en) | 2008-07-24 | 2011-02-07 | 금강공업 주식회사 | Slab panel mounting system |
KR100893765B1 (en) | 2008-10-14 | 2009-04-20 | 오경근 | Support Structure of Slab Formwork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1052B1 (en) * | 2015-05-21 | 2016-07-20 |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 the one touch separating type non supporting form joist |
KR101819196B1 (en) * | 2017-04-14 | 2018-01-17 | (주)성지제강 | Form system |
KR101844868B1 (en) * | 2017-06-29 | 2018-04-03 | 오한성 | Hook Type Slab Panel Supporting Device |
WO2019004743A1 (en) * | 2017-06-29 | 2019-01-03 | 오한성 | Slab panel supporting apparatus having holding protrusions |
KR101830861B1 (en) * | 2017-08-28 | 2018-03-29 | 오한성 | Hoist Hook Type Slab Panel Supporting Device |
KR102114049B1 (en) * | 2019-04-17 | 2020-05-22 | 오민기 | Hook Position Variable Type Slab Panel Suppor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61190B2 (en) |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 |
KR101654483B1 (en) | The building is equipped with safety scaffold equipment | |
KR101076562B1 (en) | Support Structure of Slab Formwork | |
KR102029907B1 (en) | Prefabricated shoring system | |
WO2014080998A1 (en) | Suppot steel pipe for scaffolding or timbering | |
CN100577965C (en) | Detachable Platform | |
KR101457114B1 (en) | Pre-fabrication method for steel reinforcement | |
JP3181041U (en) | Mounting member for scaffolding for bridge | |
CN110805289A (en) | Plug-in unloading platform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0467252Y1 (en) | cage for exterior works of building | |
KR20100123012A (en) | Scaffolding for architecture | |
KR200483715Y1 (en) | Safe scaffolding | |
JP6498075B2 (en) | Overhang passage of steel structure | |
KR101260272B1 (en) | A shore system of the variable support angle | |
KR200413590Y1 (en) | Scaffold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of | |
KR101229093B1 (en) | Exclusive mold of slab opening | |
KR102133376B1 (en) | Cross joint for fixing formwork | |
KR101211039B1 (en) | Footboard for scaffold | |
KR101360287B1 (en) | Assembled gang form | |
KR101098878B1 (en) | Band Pressed Head Reinforcement Device for Steel Pipe Pile | |
KR20130116451A (en) | Structure with supporter and safe rail for mold | |
KR101251051B1 (en) | Safety barrier for mounting beam | |
WO2010124481A1 (en) | Door-type scaffolding | |
KR101086219B1 (en) | Safety handrail unit for easy angle adjustment | |
KR100570261B1 (en) | Temporary bracket for steel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4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