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126U -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 Google Patents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126U
KR20230000126U KR2020210002149U KR20210002149U KR20230000126U KR 20230000126 U KR20230000126 U KR 20230000126U KR 2020210002149 U KR2020210002149 U KR 2020210002149U KR 20210002149 U KR20210002149 U KR 20210002149U KR 20230000126 U KR20230000126 U KR 202300001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groove
fastening
assembly kit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361Y1 (ko
Inventor
조진기
노성연
Original Assignee
조진기
노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기, 노성연 filed Critical 조진기
Priority to KR2020210002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61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1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1Mortise and tenon type joints with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5Mutually slotted furnitur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92Furniture assembled by mutually slotted join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가 제공된다.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는, 자석부를 포함하는 상부 테이블부와, 상부 테이블부에 체결되는 다리부 및 다리부에 체결되는 수납 테이블부를 포함하고, 자석부는 상부 테이블부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 내부에 배치된 자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Multi-purpose table assembly kit}
본 고안은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식사를 하거나 책을 읽거나 다양한 사무를 보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테이블은 통상 수평으로 배치되는 받침대(상판)와, 받침대(상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떠받쳐 지지하는 지지대(다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테이블은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252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블은 조립과정에 있어 직사각형태로 조립된 받침대(상판)를 지지하는 지지대(다리)를 각 가장자리에 배치한 다음 통상의 체결수단(나사볼트)를 이용하여 지지대(다리)를 받침대(상판)에 고정하기 때문에 현장 조립시 조립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고, 지지중심을 잡기 위하여 개별로 위치를 체크한 다음 조립해야 하므로 설치가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 캠핑 라이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캠핑시에 이동이 용이하고, 조립이 편리한 테이블에 대한 필요가 높이지고 있으며, 테이블 상에 tv 등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기능성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 및 이동이 용이한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TV 등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는, 자석부를 포함하는 상부 테이블부와, 상기 상부 테이블부에 체결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 체결되는 수납 테이블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부는 상기 상부 테이블부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 내부에 배치된 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자석부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테이블부는 끼움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테이블부는, 수납 테이블 바디부와, 상기 수납 테이블 바디부에서 돌출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는,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 각각은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에는 상기 수납 테이블의 체결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 각각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 테이블의 끼움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프레임 홈과 제2 고정프레임 홈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 각각은 다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의 다리홈과 제1 고정프레임 홈이 체결되며, 상기 제2 다리부의 다리홈과 제2 고정프레임 홈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는 소형 테이블부 및 상기 소형 테이블부와 체결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리부는 제1 다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다리부는 제2 다리홈을 포함하며, 제1 다리홈과 상기 제2 다리홈의 깊이는 서로 다르다.
상기 제2 다리부는 상기 제2 다리홈이 형성된 제2 다리부의 일면과 반대면에 형성된 추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홈과 상기 추가홈이 체결되어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는 서로 교차하며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형 테이블부는 체결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2 다리부 각각은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는 자석부를 포함하는 상부 테이블부와, 상기 상부 테이블부에 체결되는 좌식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부는 상기 상부 테이블부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 내부에 배치된 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좌식다리부는 제1 내지 제4 좌식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좌식다리부 각각은 좌식다리홈을 포함하되, 상기 좌식다리홈은 상기 상부테이블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식다리홈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테이블부는 끼움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식다리홈은 상기 끼움홀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식다리홈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식다리홈은 상기 상부테이블의 외면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에 의하면, 조립 및 이동이 용이하고, 조립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로 조립이 가능하여 실외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TV 등 전자제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에 의해 조립된 다용도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상부 테이블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수납 테이블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제1 다리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제2 다리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고정프레임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이동 및 거치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좌식 다리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소형 상부 테이블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의 조립모습을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에 의해 조립된 다용도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에 의해 조립된 다용도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상부 테이블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수납 테이블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제1 다리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제2 다리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고정프레임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이동 및 거치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좌식 다리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소형 상부 테이블부를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의 조립모습을 개략적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에 의해 조립된 다용도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는, 상부 테이블부(10)와, 수납 테이블부(30)와, 다리부(50)와, 고정프레임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는 거치부, 좌식 다리부, 소형 테이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를 통하여 도 1의 일 실시예의 캠핑용 테이블(100)과 다른 실시예의 캠핑용 테이블(100_1)을 조립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이며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를 통하여 조립할 수 있는 테이블은 보다 다양할 수 있다. 이하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구성 및 체결 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테이블부(10)는 평면상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고 제1 방향(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단축을 갖는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테이블부(10)는 삼각 형상, 오각 형상. 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 테이블부(10)는 양면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부 테이블부(1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 홀(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 홀(1)은 이동시 사람이 잡을 수 있도록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상부 테이블부(10)의 중심부에 위치하되, 사용자가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상부 테이블부(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상부 테이블부(10)는 자석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부(3)는 자기력(Magnetic force) 갖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부(3)는 상부 테이블부(10)에 형성된 홈과 홈 내부에 배치된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자석부(3)는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석부(3)의 자기력(Magnetic force)에 의하여 상부 테이블부(10)의 상면에 배치되는 TV 등 전자제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자석부(3)의 자기력(Magnetic force)은 상부 테이블부(10)의 하면에 미치지 않을 수 있으며, 상부 테이블부(10)의 하면을 상측으로 배치하는 경우 자기력이 발생되지 않는 테이블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자석부(3)는 평면상 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석부(3)는 평면상 삼각 형상, 사각 형상, 타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자석부(3)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테이블부(10)는 끼움홀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홀은 다리부(50)의 돌출부가 체결되는 다리부(50) 상에 상부 테이블부(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끼움홀은 제1 끼움홀(5), 제2 끼움홀(6), 제3 끼움홀(7) 및 제4 끼움홀(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끼움홀(5), 제2 끼움홀(6), 제3 끼움홀(7) 및 제4 끼움홀(8)은 각각 상부 테이블부(10)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끼움홀(5), 제2 끼움홀(6), 제3 끼움홀(7) 및 제4 끼움홀(8) 각각은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끼움홀(5), 제2 끼움홀(6), 제3 끼움홀(7) 및 제4 끼움홀(8) 각각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단축을 갖는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끼움홀(5), 제2 끼움홀(6), 제3 끼움홀(7) 및 제4 끼움홀(8) 각각은 원형상,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끼움홀(5), 제2 끼움홀(6), 제3 끼움홀(7) 및 제4 끼움홀(8) 각각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테이블부(10)는 체결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자석부는 자석을 포함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부 테이블부(10)는 제1 체결 자석부(CM1) 및 제2 체결 자석부(CM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 자석부(CM1) 및 제2 체결 자석부(CM2)는 자석부(3)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 자석부(CM1) 및 제2 체결 자석부(CM2)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체결 자석부(CM1) 및 제2 체결 자석부(CM2)는 평면상 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체결 자석부(CM1) 및 제2 체결 자석부(CM2)는 평면상 삼각 형상, 사각 형상, 타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체결 자석부(CM1) 및 제2 체결 자석부(CM2)는 이동시 상부 테이블부(10)와 다른 구성품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테이블부(10)의 제1 체결 자석부(CM1) 및 제2 체결 자석부(CM2)는 다른 구성품들에 포함된 체결 자석부 또는 금속부재와 자기력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수납 테이블부(30)는 평면상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장축을 가지고 제1 방향(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단축을 갖는 수납 테이블 바디부(33)와, 수납 테이블 바디부(33)에서 돌출된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 테이블 바디부(33)는 제1 면(S1), 제2 면(S2), 제3 면(S3) 및 제4 면(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S1)과 제2 면(S2)은 수납테이블 바디부(33)의 장축에 위치하는 면으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3 면(S3)과 제4 면(S4)은 수납테이블 바디부(33)의 단축에 위치하는 면으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제3 면(S3)과 제4 면(S4)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제1 면(S1)과 제2 면(S2)을 연결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납 테이블 바디부(33)는 수납테이블 홀(30H)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납테이블 홀(30H)은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테이블 홀(30H)은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납테이블 홀(30H)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수납테이블 홀(30H)은 삼각, 사각,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수납테이블 홀(30H)은 생략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체결부는 제1 체결부(35), 제2 체결부(36), 제3 체결부(37) 및 제4 체결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35) 및 제2 체결부(36)는 제4 면(S4)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체결부(37) 및 제4 체결부(38)는 제3 면(S3)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35)는 제4 면(S4)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1 체결부(35)의 연장부(EP) 및 절곡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35)의 연장부(EP)는 제4 면(S4)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체결부(35)의 절곡부(BP)는 제1 체결부(35)의 연장부(EP)의 끝단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체결부(35)의 연장부(EP) 및 절곡부(BP)에 의하여 제1 체결부(35)의 끼움홈(IH)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36)는 제4 면(S4)의 상단에 배치되며, 제2 체결부(36)의 연장부(EP) 및 절곡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36)의 연장부(EP)는 제4 면(S4)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체결부(36)의 절곡부(BP)는 제2 체결부(36)의 연장부(EP)의 끝단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체결부(36)의 연장부(EP) 및 절곡부(BP)에 의하여 제2 체결부(36)의 끼움홈(IH)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부(37)는 제3 면(S3)의 상단에 배치되며, 제3 체결부(37)의 연장부(EP) 및 절곡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부(37)의 연장부(EP)는 제3 면(S3)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3 체결부(37)의 절곡부(BP)는 제3 체결부(37)의 연장부(EP)의 끝단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체결부(37)의 연장부(EP) 및 절곡부(BP)에 의하여 제3 체결부(37)의 끼움홈(IH)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체결부(38)는 제3 면(S3)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4 체결부(38)의 연장부(EP) 및 절곡부(BP)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체결부(37)의 연장부(EP)는 제3 면(S3)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4 체결부(38)의 절곡부(BP)는 제4 체결부(38)의 연장부(EP)의 끝단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4 체결부(38)의 연장부(EP) 및 절곡부(BP)에 의하여 제4 체결부(38)의 끼움홈(IH)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납 테이블부(30)는 체결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 테이블부(30)는 제3 체결 자석부(CM3) 및 제4 체결 자석부(CM4)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체결 자석부(CM3) 및 제2 체결 자석부(CM4)는 수납테이블 홀(30H)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체결 자석부(CM3) 및 제4 체결 자석부(CM4)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체결 자석부(CM3) 및 제4 체결 자석부(CM4)는 평면상 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체결 자석부(CM3) 및 제4 체결 자석부(CM4)는 평면상 삼각 형상, 사각 형상, 타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체결 자석부(CM3) 및 제4 체결 자석부(CM4)는 이동시 수납 테이블부(30)와 다른 구성품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 테이블부(30)의 제3 체결 자석부(CM3) 및 제4 체결 자석부(CM4)는 다른 구성품들에 포함된 체결 자석부 또는 금속부재와 자기력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게 된다.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리부는 제1 다리부(50A)와 제2 다리부(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리부(50A)는, 제1 부분(P1)과 제1 부분(P1)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다리부(50A)의 제1 부분(P1)은 제5 체결 자석부(CM5), 제6 체결 자석부(CM6) 및 제1 다리홈(50A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리홈(50AH)은 제5 체결 자석부(CM5) 및 제6 체결 자석부(CM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5 체결 자석부(CM5), 제1 다리홈(50AH) 및 제6 체결 자석부(CM6)가 위치할 수 있다. 제5 체결 자석부(CM5), 제6 체결 자석부(CM6)는 평면상 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 형상,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다리홈(50AH)은 제1 다리부(50A)의 제1 부분(P1)의 일면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다리부(50A)의 제1 부분(P1)은 제1 돌출부(PP1)와 제2 돌출부(P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PP1)와 제2 돌출부(PP1) 각각은 제1 다리부(50A)의 제1 부분(P1)의 일면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다리부(50A)의 제1 부분(P1)의 일면은 제1 부분(P1)에서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이 연장되는 면의 반대 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PP1)는 상부 테이블부(10)의 제1 끼움홀(5)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PP2)는 상부 테이블부(10)의 제2 끼움홀(6)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1 다리부(50A)의 제2 부분(P2)은 제1 체결홀(CH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체결홀(CH1)에는 수납 테이블부(30)의 제1 체결부(35)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체결부(35)가 제1 체결홀(CH1)에 삽입된 후 제1 체결부(35)의 끼움홈(IH)에 제1 체결홀(CH1) 외측의 제2 부분(P2)의 몸체에 끼워짐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다리부(50A)의 제3 부분(P3)은 제2 체결홀(CH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체결홀(CH2)에는 수납 테이블부(30)의 제2 체결부(36)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체결부(36)가 제2 체결홀(CH2)에 삽입된 후 제2 체결부(36)의 끼움홈(IH)에 제2 체결홀(CH2) 외측의 제3 부분(P3)의 몸체에 끼워짐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5 체결 자석부(CM5) 및 제6 체결 자석부(CM6)는 이동시 제1 다리부(50A)와 다른 구성품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다리부(50A)의 제5 체결 자석부(CM5) 및 제6 체결 자석부(CM6)는 다른 구성품들에 포함된 체결 자석부 또는 금속부재와 자기력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제2 다리부(50B)는, 제1 부분(P1)과 제1 부분(P1)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다리부(50B)의 제1 부분(P1)은 제7 체결 자석부(CM7), 제8 체결 자석부(CM8) 및 제2 다리홈(50BH)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다리홈(50BH)은 제7 체결 자석부(CM7) 및 제8 체결 자석부(CM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8 체결 자석부(CM8), 제2 다리홈(50BH) 및 제7 체결 자석부(CM7)가 위치할 수 있다. 제7 체결 자석부(CM7), 제8 체결 자석부(CM8)는 평면상 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 형상,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다리홈(50BH)은 제2 다리부(50B)의 제1 부분(P1)의 일면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다리홈(50BH)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깊이는 제1 다리홈(50AH)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다리부(50B)는 추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홈은 제2 다리부(50B)의 제1 부분(P1)의 타면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제2 다리홈(50BH)과 추가홈(PPH)은 제2 방향(Y축 방향)에서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2 다리홈(50BH)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깊이는 추가홈의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다리부(50B)의 제1 부분(P1)은 제3 돌출부(PP3)와 제4 돌출부(PP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출부(PP3)와 제4 돌출부(PP4) 각각은 제2 다리부(50B)의 제1 부분(P1)의 일면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다리부(50B)의 제1 부분(P1)의 일면은 제1 부분(P1)에서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이 연장되는 면의 반대 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돌출부(PP3)는 상부 테이블부(10)의 제3 끼움홀(7)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제4 돌출부(PP4)는 상부 테이블부(10)의 제4 끼움홀(8)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2 다리부(50B)의 제2 부분(P2)은 제3 체결홀(CH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체결홀(CH3)에는 수납 테이블부(30)의 제3 체결부(37)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체결부(37)가 제3 체결홀(CH3)에 삽입된 후 제3 체결부(37)의 끼움홈(IH)에 제3 체결홀(CH3) 외측의 제2 부분(P2)의 몸체에 끼워짐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다리부(50B)의 제3 부분(P3)은 제4 체결홀(CH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4 체결홀(CH4)에는 수납 테이블부(30)의 제4 체결부(38)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체결부(38)가 제4 체결홀(CH4)에 삽입된 후 제4 체결부(38)의 끼움홈(IH)에 제4 체결홀(CH4) 외측의 제3 부분(P3)의 몸체에 끼워짐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7 체결 자석부(CM7) 및 제8 체결 자석부(CM8)는 이동시 제2 다리부(50B)와 다른 구성품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다리부(50B)의 제7 체결 자석부(CM7) 및 제8 체결 자석부(CM8)는 다른 구성품들에 포함된 체결 자석부 또는 금속부재와 자기력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프레임부(7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제1 고정프레임 홈(71)과 제2 고정프레임 홈(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프레임 홈(73)의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깊이는 제1 고정프레임 홈(71)의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프레임 홈(71)과 제2 고정프레임 홈(73)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부(70)은 홀더 걸이홈(75)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홀더 걸이홈(75)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 걸이홈(75)에는 홀더부(HDP)가 체결될 수 있으며, 홀더부(HDP)에는 컵 또는 다양한 용품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프레임부(70)은 추가홀더(7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홀더(77)는 컵 등을 걸 수 있는 고리 형태로 고정프레임부(70) 일측에 음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프레임 홈(71)은 제1 다리부(50A)의 제1 다리홈(50AH)과 체결될 수 있으며, 제2 고정프레임 홈(73)은 제2 다리부(50B)의 제2 다리홈(50BH)과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프레임부(70)는 체결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프레임부(70)는 제9 체결 자석부(CM9) 및 제10 체결 자석부(CM1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9 체결 자석부(CM9) 및 제10 체결 자석부(CM10)는 제1 고정프레임 홈(71)과 제2 고정프레임 홈(7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9 체결 자석부(CM9) 및 제10 체결 자석부(CM1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9 체결 자석부(CM9) 및 제10 체결 자석부(CM10)는 평면상 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9 체결 자석부(CM9) 및 제10 체결 자석부(CM10)는 평면상 삼각 형상, 사각 형상, 타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9 체결 자석부(CM9) 및 제10 체결 자석부(CM10)는 이동시 고정프레임부(70)와 다른 구성품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프레임부(70)의 제9 체결 자석부(CM9) 및 제10 체결 자석부(CM10)는 다른 구성품들에 포함된 체결 자석부 또는 금속부재와 자기력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는 제1 거치부(91) 및 제2 거치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의 상부 테이블부(10)와, 수납 테이블부(30)와, 다리부(50) 및 고정프레임부(70) 서로 중첩되어 정렬될 수 있으며, 중첩되어 정렬된 상태로 제1 거치부(91) 및 제2 거치부(93)에 안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는 좌식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좌식 다리부는 제1 좌식다리부(95), 제2 좌식다리부(96), 제3 좌식다리부(97) 및 제4 좌식다리부(9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좌식다리부(95), 제2 좌식다리부(96), 제3 좌식다리부(97) 및 제4 좌식다리부(98)는 다리부(50)를 대신하여 상부 테이블부(10)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좌식다리부(95), 제2 좌식다리부(96), 제3 좌식다리부(97) 및 제4 좌식다리부(98) 각각은 일단에 "ㄷ" 형상의 좌식다리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좌식다리홈을 통하여 제1 좌식다리부(95)는 상부 테이블부(10)의 제1 끼움홀(5)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좌식다리부(96)는 상부 테이블부(10)의 제2 끼움홀(6)에 삽입 고정될 수 있고, 제3 좌식다리부(97)는 상부 테이블부(10)의 제3 끼움홀(7)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제4 좌식다리부(98)는 상부 테이블부(10)의 제4 끼움홀(8)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좌식다리부(95), 제2 좌식다리부(96), 제3 좌식다리부(97) 및 제4 좌식다리부(98) 각각은 상부테이블부(10) 외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제1 좌식다리부(95), 제2 좌식다리부(96), 제3 좌식다리부(97) 및 제4 좌식다리부(98) 각각의 "ㄷ" 형상의 좌식다리홈이 상부테이블부(10)의 외면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는 소형 테이블부(10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형 테이블부(10S)는 다리부(50)와 상부 테이블부(10)를 대신하여 다리부(50)와 체결될 수 있다.
소형 테이블부(10S)는 평면상 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 형상,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형 테이블부(10S)는 다수의 체결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홈부(CHP1), 제2 체결홈부(CHP2), 제3 체결홈부(CHP3) 및 제4 체결홈부(CHP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다리부(50A)와 제2 다리부(50B)는 서로 교차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리부(50A)의 제1 다리홈(50AH)과 제2 다리부(50B)의 추가홈(PPH)이 체결될 수 있으며, 제1 다리부(50A)와 제2 다리부(50B)는 서로 교차되도록 체결된 상태에서 소형 테이블부(10S)가 안착하여 다용도 캠핑 테이블(100_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다리부(50A)의 제1 돌출부(PP1)는 소형 테이블부(10S)의 제1 체결홈부(CHP1)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다리부(50A)의 제2 돌출부(PP2)는 소형 테이블부(10S)의 제2 체결홈부(CHP2)에 삽입 고정될 수 있고, 제2 다리부(50B)의 제3 돌출부(PP3)는 소형 테이블부(10S)의 제3 체결홈부(CHP3)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다리부(50B)의 제4 돌출부(PP4)는 소형 테이블부(10S)의 제4 체결홈부(CHP4)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에 의하면, 조립 및 이동이 용이하고, 조립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로 조립이 가능하여 실외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TV 등 전자제품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다용도 캠핑테이블
10: 상부 테이블부
30: 수납 테이블부
50: 다리부
70: 고정프레임부

Claims (15)

  1. 자석부를 포함하는 상부 테이블부;
    상기 상부 테이블부에 체결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 체결되는 수납 테이블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부는 상기 상부 테이블부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 내부에 배치된 자석을 포함하는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는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이블부는 끼움홀을 포함하는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테이블부는, 수납 테이블 바디부와, 상기 수납 테이블 바디부에서 돌출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 각각은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에는 상기 수납 테이블의 체결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 각각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 테이블의 끼움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7. 제6 항에 있어서,
    제1 고정프레임 홈과 제2 고정프레임 홈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 각각은 다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의 다리홈과 제1 고정프레임 홈이 체결되며,
    상기 제2 다리부의 다리홈과 제2 고정프레임 홈이 체결되는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9. 소형 테이블부; 및
    상기 소형 테이블부와 체결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리부는 제1 다리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다리부는 제2 다리홈을 포함하며, 제1 다리홈과 상기 제2 다리홈의 깊이는 서로 다른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리부는 상기 제2 다리홈이 형성된 제2 다리부의 일면과 반대면에 형성된 추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홈과 상기 추가홈이 체결되어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는 서로 교차하며 체결되도록 구성된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테이블부는 체결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 및 상기 제2 다리부 각각은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12. 자석부를 포함하는 상부 테이블부;
    상기 상부 테이블부에 체결되는 좌식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부는 상기 상부 테이블부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 내부에 배치된 자석을 포함하는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식다리부는 제1 내지 제4 좌식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좌식다리부 각각은 좌식다리홈을 포함하되,
    상기 좌식다리홈은 상기 상부 테이블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다용도 테이블 조립키트.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식다리홈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테이블부는 끼움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식다리홈은 상기 끼움홀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식다리홈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식다리홈은 상기 상부 테이블의 외면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다용도 테이블 조립키트
KR2020210002149U 2021-07-07 2021-07-07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KR200497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149U KR200497361Y1 (ko) 2021-07-07 2021-07-07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149U KR200497361Y1 (ko) 2021-07-07 2021-07-07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26U true KR20230000126U (ko) 2023-01-16
KR200497361Y1 KR200497361Y1 (ko) 2023-10-17

Family

ID=8510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149U KR200497361Y1 (ko) 2021-07-07 2021-07-07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3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626B1 (ko) * 2023-06-08 2023-12-15 토비스랩 주식회사 모듈형 책상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38U (ko) * 1986-06-23 1988-01-07
CN2071908U (zh) * 1990-03-23 1991-02-27 王佐卿 微型折桌
US5644995A (en) * 1995-10-11 1997-07-08 Gurwell; Hugh David Rapid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portable table, work bench, or the like
JP3104078U (ja) * 2004-02-13 2004-09-02 有限会社ニッパ工舎 木製組立式テーブル
KR101302497B1 (ko) * 2013-03-21 2013-09-02 주식회사 코아스 다용도 스크린 테이블
KR20150002375U (ko) * 2013-12-11 2015-06-19 이영진 상다리 조립식 테이블
CN204444777U (zh) * 2015-01-29 2015-07-08 东莞市多维尚书家居有限公司 一种多功能折叠式茶几
KR20200062017A (ko) * 2018-11-25 2020-06-03 박승규 조립식 가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078B2 (ja) * 1991-05-02 2000-10-3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38U (ko) * 1986-06-23 1988-01-07
CN2071908U (zh) * 1990-03-23 1991-02-27 王佐卿 微型折桌
US5644995A (en) * 1995-10-11 1997-07-08 Gurwell; Hugh David Rapid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portable table, work bench, or the like
JP3104078U (ja) * 2004-02-13 2004-09-02 有限会社ニッパ工舎 木製組立式テーブル
KR101302497B1 (ko) * 2013-03-21 2013-09-02 주식회사 코아스 다용도 스크린 테이블
KR20150002375U (ko) * 2013-12-11 2015-06-19 이영진 상다리 조립식 테이블
CN204444777U (zh) * 2015-01-29 2015-07-08 东莞市多维尚书家居有限公司 一种多功能折叠式茶几
KR20200062017A (ko) * 2018-11-25 2020-06-03 박승규 조립식 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626B1 (ko) * 2023-06-08 2023-12-15 토비스랩 주식회사 모듈형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361Y1 (ko)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0126U (ko) 다용도 테이블 조립 키트
KR20190000653U (ko) 무용접 테이블 조립구조
KR20180059402A (ko) 무선 청소기용 거치대
KR20110008667U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JP3242062U (ja) 金属ラックに取り付けるレール付き引き出し用バスケットのレール装置
KR200453682Y1 (ko) 선반 고정장치 결합구조
KR200483193Y1 (ko) 배관 트레이용 받침대
US11103095B2 (en) Modular trays and methods of using
JP2016049220A (ja) システムデスク
JP2019092574A (ja) 家具
JP3113843U (ja) 磁力付き鍵掛け台
CN210870382U (zh) 一种模块化置物桌
JP3170422B2 (ja) 棚付き机
JP3837042B2 (ja)
KR200246977Y1 (ko) 모서리 장식장
KR200315172Y1 (ko) 서빙카트용 체결구
JP4148596B2 (ja) テーブルや棚板等の連結具
CN220212293U (zh) 一种可进行快速拆装且收纳体积小的户外用桌子
JP5821113B1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ホルダー
KR100680002B1 (ko) 식탁
US20230218080A1 (en) Modular workbench system
JP3173030U (ja) 吸盤式簡易テーブル
JP3109872U (ja) 花瓶
KR20170029979A (ko) 복합 가구
JP3191111U (ja) 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