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090U - Separation device and pet toilet - Google Patents

Separation device and pet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090U
KR20230000090U KR2020210003910U KR20210003910U KR20230000090U KR 20230000090 U KR20230000090 U KR 20230000090U KR 2020210003910 U KR2020210003910 U KR 2020210003910U KR 20210003910 U KR20210003910 U KR 20210003910U KR 20230000090 U KR20230000090 U KR 202300000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separation
plate
separator
pe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91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 우
푸화 아이
Original Assignee
베이징 키튼&퍼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752389.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349072A/en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752671.3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383713A/en
Priority claimed from CN202121504615.XU external-priority patent/CN215422178U/en
Priority claimed from CN202121503963.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5422177U/en
Priority claimed from CN202121503984.7U external-priority patent/CN215836407U/en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키튼&퍼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키튼&퍼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0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09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4Dropping-boards; Devices for removing excr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장치 및 애완동물 화장실을 제공하였는 바, 애완동물 화장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선행기술에 존재하는 애완동물 화장실이 애완동물을 해치는 안전위험이 존재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였다. 상기 분리장치 및 애완동물 화장실은 오물 배출구가 설치되는 장치 본체;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장치 본체를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분리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두개의 영역 사이는 분리기구 상에 설치된 분리홀에 의해서만 연통되고; 분리기구의 적어도 일부분 구조는 오물 배출구 주위에 둘러싸인다. 본 고안은 안전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분리장치 및 애완동물 화장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ion device and a pet toilet, and relates to the field of pet toilet technology, and solves 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pet toilet existing in the prior art poses a safety risk of harming a pet. The separation device and the pet toilet include a device body in which a waste discharge port is installed; a separation mechanism installed in the device body to divide the device body into two regions, wherein the two regions are communicated only by a separation hole provided on the separation mechanism; At least a portion of the structure of the separation mechanism is wrapped around the waste outle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ion device and a pet toilet that can effectively reduce safety risks.

Description

분리장치 및 애완동물 화장실{SEPARATION DEVICE AND PET TOILET}Separation device and pet toilet {SEPARATION DEVICE AND PET TOILET}

본 고안은 애완동물 화장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장치 및 애완동물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pet toilet technology, in particular to a separator and a pet toilet.

기존의 시장에서의 회전 분리형 애완동물 화장실은 애완동물 분변 정리와 비우기 작업을 잘 완성할 수 있고, 그 분리장치 외형은 대다수가 구형이다. Rotating and separating type pet toilets in the existing market can well complete pet excrement and emptying work, and most of the separators have a spherical appearance.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애완동물 화장실에는 안전 위험이 존재한다. 그 안전 위험은 분리장치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전단운동에서 온다. 이러한 제품은 각 종류의 센서를 대부분 사용하여 애완동물 행동을 수집하여, 기계가 전단운동할 때 애완동물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에 사용되는 센서가 효력을 잃었을 때, 그 구조적 원리로 인한 안전 위험이 애완동물의 생명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애완동물 화장실의 분리장치의 오물 배출구 크기는 응당 최대한 작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However, there are safety hazards in these types of pet toilets. The safety hazard comes from the shear motion that occurs when the separator rotates. These products use most of each type of sensor to collect pet behavior, preventing the machine from harming the pet when shearing. However, when the sensor used in these products loses its effectiveness, the safety risk due to its structural principle seriously threatens the life safety of pets. Therefore, the size of the waste outlet of the separator of the pet toilet should be designed as small as possible.

같은 직경과 길이의 조건하에서 통형 분리장치의 체적은 구형 분리장치 체적의 1.5배이고, 통형 분리장치의 애완동물 화장실은 대소변 보는 공간을 더욱 많이 제공 가능하다. 그러나 통형 분리장치의 오물 배출구는 보다 크고 보다 긴 사이즈를 수요로 하여, 정리효과를 확보하도록 한다. 보다 크고 보다 킨 오물 배출구 크기는 더욱 큰 안전 위험을 가져다 준다. 따라서 통형 분리장치의 안전 위험은 구형 분리장치보다 더욱 심각하다. Under the condition of the same diameter and length, the volume of the tubular separator is 1.5 times that of the spherical separator, and the pet toilet of the tubular separator can provide more toilet space. However, the waste outlet of the tubular separator is required to have a larger and longer size, so as to secure the cleaning effect. Larger and longer waste outlet sizes present greater safety risks. Therefore, the safety risk of tubular separators is more severe than that of spherical separators.

이 외에, 통형 분리장치 또는 구형 분리장치는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되어야 하는데, 현재 분리장치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표면에 기어를 갖는 하나의 회전볼 또는 회전 드럼이다. 이러한 회전 드럼은 주로 드럼 바디(300), 드럼 기어(400), 회전축(500), 입구(600), 오물 배출구(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아주 관건적인 점은, 분리장치의 드럼 바디(300) 상의 드럼 기어(400)는 또한 동력전달기구의 일부분에 속하여, 분리장치 자체가 애완동물 화장실 제품 동력전달기구 중의 일부분이 되도록 하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기존의 애완동물 화장실 제품 내부에서, 분리장치와 구동모터(800)의 동력전달 관계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분리장치의 회전축은 애완동물 화장실 케이스 상에 고정되지만 회전가능하고, 구동모터(800)는 애완동물 화장실케이스 상에 고정되고, 모터 출력 기어(900)와 분리장치 상의 드럼 기어(400)가 치합되어, 모터가 회전할 때 분리장치가 회전하도록 구동할 수 있어, 제품의 각종 기능을 구현한다. In addition, the cylindrical separator or the spherical separator must be driven by a drive mechanism to rotate, and currently, a separator commonly used is a rotating ball or a rotating drum having a gear on the surface. This rotating drum mainly includes a drum body 300, a drum gear 400, a rotating shaft 500, an inlet 600, and a waste outlet 700. A very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the drum gear 400 on the drum body 300 of the separator also belongs to a part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so that the separator itself is a part of the pet toilet product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but FIG. 12 As shown in Inside the existing pet toilet products, the power transmis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drive motor 800 is as shown in FIG. 13 . Here, the rotation shaft of the separator is fixed on the pet toilet case but is rotatable, the driving motor 800 is fixed on the pet toilet case, and the motor output gear 900 and the drum gear 400 on the separator are meshed together. When the motor rotates, the separation device can be driven to rotate, realizing various functions of the product.

종합해보면, 기존 제품의 동력전달기구의 드럼 기어가 분리장치 중 회전 드럼 바디 상에 위치하기에, 일상에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회전통을 꺼내 세척하거나 화장실 케이스를 열어 애완동물 화장실에 애완동물용 향기모래를 추가해야 할 때, 사용자는 늘 분리장치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제품의 분리장치 드럼 바디에서 노출되는 기어 톱니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심리적 및 손의 감촉 상의 부정적인 체험을 가져다 준다. 분리장치 상의 회전축을 애완동물 화장실 케이스 상에 고정하여, 사용자가 분리장치를 꺼내기 전에 분리장치 회전축 중심을 고정하는 잠금기구를 먼저 열어야 하기에, 시간과 인력을 낭비하고, 조작이 번거롭다. In summary, since the drum gear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of the existing product is located on the rotating drum body of the separator, in the process of daily use, the user takes out the rotating tub to wash it or opens the toilet case to put the pet in the pet toilet. When it is necessary to add fragrance sand, the user always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parator. The gear teeth exposed from the drum body of the separator of these products give users a negative experience in terms of visual, psychological, and hand feel. Since the rotating shaft of the separator is fixed on the pet toilet case, the user has to first open the locking mechanism that fixes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separator before taking out the separator, wasting time and manpower and making the operation cumbersome.

본 출원인은 선행기술에 적어도 하기 기술적 특징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기존의 애완동물 화장실에는 애완동물을 해치는 안전 위험이 존재한다.Applicants have found that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technical features in the prior art: Safety hazards of harming pets exist in existing pet toilets.

본 고안의 목적은 분리장치 및 애완동물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선행기술 중에 존재하는 애완동물 화장실에 애완동물을 해치는 안전 위험이 존재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수많은 기술적 해결수단 중의 바람직한 기술적 해결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수많은 기술적 효과는 하기 설명을 상세히 참조바란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tion device and a pet toilet,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that exists in the prior art, the safety risk of harming pets in the pet toilet. For the numerous technical effects generated by the preferred technical solutions among the numerous technical solution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please refer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detai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기 기술적 해결수단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technical solutions: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분리장치는, The separation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오물 배출구가 설치된 장치 본체; a device body equipped with a waste discharge port;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를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분리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두개의 영역 사이는 상기 분리기구 상에 설치된 분리홀에 의해서만 연통되고; a separation mechanism installed in the device body to divide the device body into two regions, wherein the two regions are communicated only by a separation hole provided on the separation mechanism;

상기 분리기구는 적어도 일부분 구조가 상기 오물 배출구 주위에 둘러싸인다.At least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separation mechanism is wrapped around the waste outlet.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구는 사분기구와 펄링(furling)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사분기구는 상기 오물 배출구의 일측에 위치하고; 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mechanism includes a quarter mechanism and a furling mechanism, and the quarter mechanism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lth outlet;

상기 사분기구로부터 상기 오물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펄링기구가 연신 설치되고, 상기 펄링기구의 적어도 일부분 구조는 상기 오물 배출구 둘레에 둘러싸이고, 상기 펄링기구는 상기 사분기구와 멀어지는 일측에 펄링구가 설치된다.The furling mechanism is elongated from the quarter mechanism in the direction of the sewage outlet, at least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furling mechanism is surrounded by the sewage discharge port, and the furling mechanism is on one side away from the quarter mechanism. The furling sphere is installed.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펄링기구는 봉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입부는 제1부분, 제2부분 및 봉합부를 포함하고, 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rling mechanism includes a sealing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art, a second part and a sealing part,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각각 상기 오물 배출구의 양측에 위치하여, 모두 상기 사분기구와 연결되고;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lth outlet, and are connected to the quarter mechanism;

상기 봉합부는 상기 제1부분, 상기 제2부분 및 상기 사분기구 사이의 갭을 봉합하여, 상기 펄링기구와 상기 사분기구가 상기 장치 본체를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한다.The sealing portion seals the gap between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portion, and the quarter mechanism, so that the furling mechanism and the quarter mechanism divide the device body into two regions.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서로 연결되는 제1 봉입판과 제2 봉입판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1 봉입판과 상기 제2 봉입판은 모두 상기 사분기구와 연결되며; 상기 봉합부는 두개의 상기 제1 봉입판 및 상기 사분기구 사이에 연결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include both a first sealing plate and a second sealing plat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oth the first sealing plate and the second sealing plate are the quarters. connected to the sphere; The sealing por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first sealing plates and the quarter mechanism.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펄링기구는 제1 집합부와 제2 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합부는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집합부는 상기 제2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집합부와 상기 제2 집합부 사이는 "八"자형으로 양측으로 연신된다. 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rling mechanism includes a first assembly part and a second assembly part, the first assembly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the second set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Between the first assembly part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is extended to both sides in an “eight” shape.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제1 집합부와 상기 제2 집합부는 모두 제1 집합판과 제2 집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집합판은 상기 제1 봉입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집합판은 상기 제2 봉입판과 연결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ssembly part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both include a first assembly plate and a second assembly plate, the first assembly plate is connected to the first encapsulating plate, and the first assembly plate is connected to the first assembly plate. 2 assembly plate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encapsulation plate.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제1 봉입판과 상기 제2 봉입판 사이의 끼인각은 90도이고, 상기 제1 집합판과 상기 제2 집합판 사이의 끼인각은 90도보다 작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encapsulation plate and the second encapsulation plate is 90 degrees, and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set plate and the second set plate is smaller than 90 degrees.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펄링기구는 차폐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차폐판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차폐판은 상기 오물 배출구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rling mechanism further includes a shielding plate, the shielding plate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nd the shielding plate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dirt outlet.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사분기구는 사판이고, 상기 분리홀은 상기 사판에서 상기 오물 배출구와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rter mechanism is a swash plate, and the separation hol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wash plate away from the waste outlet.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구는 여과망과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망은 상기 오물 배출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분리홀은 상기 여과망에 설치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오물 배출구에 씌워지고, 상기 차폐부의 적어도 일부분 구조는 오물 배출구 상방영역을 차폐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mechanism includes a filter net and a shield, the filter ne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rt outlet, the separation hole is installed in the filter net, the shield is covered with the sewage outlet, At least a portion of the structure of the shield shields an area above the waste outlet.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에 배출구가 더 설치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let is further provided in the shield.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분리홀은 상기 여과망에서 상기 오물 배출구와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hole is installed on one side away from the waste discharge port in the filter net.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직육면체 구조이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여과망과 근접하는 일측에 설치된다. 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part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and the outlet is installed on one side adjacent to the filtering net.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 가이드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판은 "八"자형으로 양측으로 연신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 plates are furthe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outlet, and the guide plates are extended to both sides in an "eight" shape.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망상판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portion is formed surrounded by a mesh plate.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통상구조이고, 상기 장치 본체는 전통체와 후통체로 씌워 형성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body has a normal structure, and the device body is formed by covering the tube body and the back tube body.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에서, 상기 배출구와 마주하는 일측에 통홀이 설치된다. 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ield, a through hole is installed on one side facing the outlet.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더 설치된다. 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trance through which pets can come in and out is furth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애완동물 화장실은, 상기의 분리장치를 포함한다.A pet toilet includes the above separation device.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장치, 케이스 내에 은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구 및 상기 분리장치와 상기 동력전달기구 사이에 고정되는 잠금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구조에 의해 상기 분리장치와 상기 동력전달기구 사이의 분리가능식 동력전달 연결을 구현한다.In the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case, the separator located in the case,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oncealed and installed in the case, and a locking structure fixed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o the locking structure By implementing a detachable power transmission connection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순차적으로 동력전달 연결되는 모터, 제1 동력전달휠과 제2 동력전달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력전달휠은 상기 잠금구조와 연결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includes a motor, a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that are sequentially connected for power transmission,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is connected with the locking structure.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조는 상기 제2 동력전달휠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설치되는 슬롯 또는 서클립(circlip), 상기 분리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 또는 상기 서클립과 맞물리는 서클립 또는 슬롯을 포함한다.In the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onal shaf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the slot or circlip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the separator to install the slot or It includes a circlip or slot that engages with the circlip.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양단이 개구된 관통구조 또는 양단이 밀봉된 요홈구조이고; 상기 슬롯이 양단이 개구된 관통구조일 때, 상기 슬롯 일단 또는 양단에는 가이드 구조가 설치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t has a through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or a groove structure with both ends sealed; When the slot has a through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a guide structure is install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slot.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슬롯 또는 상기 서클립의 개수는 하나 또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이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slots or the circlips is one, two or more.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조는 상기 제2 동력전달휠 타측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을 더 포함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second rotation shaf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조는 상기 분리장치에 설치되는 제3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제3 회전축에 설치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third rotational shaft installed in the separator, and the slot is installed in the third rotational shaft.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조는 상기 제2 동력전달휠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멈춤쇠, 상기 분리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멈춤쇠와 원주 클램핑을 이루는 제2 멈춤쇠를 포함한다. In the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the first detent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paration device to and a second detent that constitutes circumferential clamping.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제1 멈춤쇠 또는 상기 제2 멈춤쇠 개수는 한쌍, 두쌍 또는 그 이상이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first detent or the second detent is one pair, two pairs or more.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조는 상기 제2 동력전달휠 타측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을 더 포함한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second rotation shaf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본 고안의 진일보 개선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전달휠과 상기 제2 동력전달휠 사이의 동력전달 구조는 기어 동력전달 구조, 벨트 동력전달 구조, 동기벨트 동력전달 구조 또는 체인휠 동력전달 구조이다.In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betwee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is a gear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a belt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a synchronous belt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r a chain wheel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본 고안의 유리한 효과: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분리장치 및 애완동물 화장실에 있어서, 분리장치는 장치 본체를 포함하고, 장치 본체 내에 분리기구를 설치하되, 분리기구는 장치 본체를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또한 두개의 영역은 분리기구 상에 설치된 분리홀에 의해서만 연통가능하고, 애완동물이 장치 본체 내에서 대소변을 본 후, 분변이 미리 넣은 애완동물용 향기모래와 뭉치게 되는데, 상기 장치 본체를 회전하여, 뭉치지 않은 애완동물용 향기모래를 분리기구 상의 분리홀을 거쳐 제1영역 내에 떨어지도록 하고, 분변과 뭉쳐진 애완동물용 향기모래는 계속하여 장치 본체 내에서 뒹굴게 되는데 오물 배출구로 배출될 때까지 뒹굴고; 이밖에, 분리기구의 적어도 일부분 구조는 상기 오물 배출구 주위에 둘러싸여, 애완동물이 장치 본체와 분변수집통이 전단운동(shearing motion)이 발생하는 영역과 쉽게 접촉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위험의 발생을 낮추었다.Advantageous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paration device and pet toile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device includes a device body, and a separation mechanism is installed in the device body, but the separation mechanism divides the device body into two areas and In addition, the two areas can be communicated only by a separation hole installed on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after the pet defecates and urinates in the device body, the feces are aggregated with the scented sand for pets that has been put in advance, and the device body is rotated So, the scent sand for pets that is not agglomerated is allowed to fall into the first area through the separation hole on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the scent sand for pets that is agglomerated with feces continues to roll in the device body until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sewage outlet. wallow;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tructure of the separation mechanism is surrounded around the waste outlet, preventing pets from easily contacting the area where the shearing motion of the device body and the fecal collection container occurs,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occurrence. .

본 고안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 중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의 설명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는 바, 자명한 것은, 하기 설명 중의 도면은 단지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있어서,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는 전제하에서, 이러한 도면에 의해 기타 도면을 얻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분리기구 구조 모식도(가)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분리기구 구조 모식도(나)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일부 구조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분리기구 구조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분해 구조 모식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차폐부 구조 모식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 화장실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선행기술 중 분리장치의 입체 구조 모식도이고;
도 13은 선행기술 중 분리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15는 본 고안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의 동력전달 연결시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 분리장치 중 동력전달기구의 일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17은 본 고안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에서 분리장치를 꺼낼 대의 평면도이고;
도 18은 본 고안 애완동물 화장실 중 케이스에 분리장치를 넣은 평면도이고;
도 19는 본 고안 분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20은 본 고안 분리장치의 세번째 실시예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21은 본 고안 분리장치의 세번째 실시예의 동력전달 연결시의 단면도이다.
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technical solu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prior art, the drawings necessary to b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r the prior art are briefly introduced. are only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other drawings may be obtained by these drawings, under the premise that no effort is made to create inventive step.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xploded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A) of the separation mechanism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b) of the separation mechanism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separation mechanis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ploded structure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ucture of the shiel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a separator in the prior art;
13 is a side view of a prior art separator;
14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transmission is connected;
16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in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plan view when the separation device is taken out of the case of the pe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lan view showing a separation device in a case of a pe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nected to power transmission.

이하 첨부도면인 도1~도21 및 글자내용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내용 및 본 고안과 선행기술 사이의 구별점을 이해할 수 있다. 하기 내용은 첨부도면 및 본 고안의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를 예로 든 방식을 통해, 본 고안의 기술적 해결수단(바람직한 기술적 해결수단을 포함)에 대해 보다 더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본 실시예 중의 어떠한 기술적 특징, 어떠한 기술적 해결수단이든지 모두 다양한 선택가능한 기술적 특징 또는 선택가능한 기술적 해결수단 중의 하나 또는 몇가지이고, 간결한 설명의 수요를 위해, 본 서류 중에서 본 고안의 모든 대체가능한 기술적 특징 및 대체가능한 기술적 해결수단을 완전하게 예로 들 수 없어, 매 하나의 기술적 특징의 실시형태는 이가 선택가능한 다양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라고 모두 강조하기 불편하므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응당 알아야 할 것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하나의 기술특징을 대체하거나 또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두개 또는 더욱 많은 기술적 수단 또는 기술적 특징을 서로 조합하여 새로운 기술적 해결수단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 내의 어떠한 기술적 특징 및 어떠한 기술적 해결수단이든지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응당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고 얻을 수 있는 임의의 대체 기술적 해결수단 및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임의의 두개 또는 더욱 많은 기술적 수단 또는 기술적 특징으로 서로 조합하여 얻어진 새로운 기술적 해결수단을 포함해야 한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21 and the tex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The following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bout the technical solutions (including preferred technical sol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method of exemplify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some optio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at needs to be explained is: any technical feature or any technical solution in this embodiment is one or several of various selectable technical features or selectable technical solutions. It is inconvenient to emphasize that all of the replaceable technical features and replaceable technical solutions of can not be fully exemplified, and that the embodiment of each technical feature is one of a variety of selectable embodiments, s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noted: A new technical solution can be obtained by replacing any one technical fea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or by combining any two or more technical means or technical feature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th each other. Any technical features and technical solu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do not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all include any alternative technology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obtain without making efforts to create inventive step. solutions and new technical solutions obtained by combining any two or more technical means or technical feature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고안의 설명에서,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다수의" 뜻은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이고; 용어 "상", "하", "좌", "우", "내", "외", "전단", "후단", "두부", "미부"등이 가리키는 방향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고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갖고, 특정된 방향으로 구성 및 조작됨을 의미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고안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이밖에, 용어 "제1", "제2", "제3"등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상대적 중요성을 가리키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at needs to be explained is that, unless otherwise specified, "a number of" means two or more than two; The directions or positional relationships indicated by the terms "top", "bottom", "left", "right", "inside", "outside", "front end", "rear end", "head", "tail", etc. Based on the direc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 shown, it is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and briefly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or imply that the indicated device or element necessarily has a specific direction, and is configured and manipulated in a specific direction. ,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limit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rms "first", "second", "third", etc. are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are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relative importance. should not understand

본 고안의 설명에서, 더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별다른 명확한 규정과 제한이 없는 한, 용어 "장착", "접속", "연결"은 광범위하게 이해되는 바, 예를 들어, 고정연결일 수도 있고,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일체로 될 수 있고;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인 접속일 수도 있고, 중간 매개물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고안에서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뜻을 이해할 수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at needs to be further explained is that, unless there are specific provisions and limitations, the terms "mounting", "connection", and "connection" are broadly understood, for example, fixed connection may be can be, can be detachably connected, or can be integral; It may be a mechanical connection or an electrical connection; It may be a direct connection or it may be connected by an intermediary.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specific meaning of the term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ccording to specific circumstances.

본 고안은 안전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분리장치 및 애완동물 화장실을 제공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ion device and a pet toilet that can effectively reduce safety risks.

이하 도1~도21을 결합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을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technical soluti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combining FIGS. 1 to 21 below.

본 고안은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바,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ion device,

오물 배출구가 설치된 장치 본체; a device body equipped with a waste discharge port;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를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분리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두개의 영역 사이는 상기 분리기구 상에 설치된 분리홀에 의해서만 연통되고; a separation mechanism installed in the device body to divide the device body into two regions, wherein the two regions are communicated only by a separation hole provided on the separation mechanism;

상기 분리기구는 적어도 일부분 구조가 상기 오물 배출구 주위에 둘러싸인다.At least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separation mechanism is wrapped around the waste outlet.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분리장치 및 애완동물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는 장치 본체를 포함하고, 장치 본체 내에 분리기구를 설치하되, 분리기구는 장치 본체를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또한 두개의 영역은 분리기구 상에 설치된 분리홀에 의해서만 연통가능하고, 애완동물이 장치 본체 내에서 대소변을 본 후, 분변이 미리 넣은 애완동물용 향기모래와 뭉치게 되는데, 상기 장치 본체를 회전하여, 뭉치지 않은 애완동물용 향기모래를 분리기구 상의 분리홀을 거쳐 제1영역 내에 떨어지도록 하고, 분변과 뭉쳐진 애완동물용 향기모래는 계속하여 장치 본체 내에서 뒹굴게 되는데 오물 배출구로 배출될 때까지 뒹굴고; 이밖에, 분리기구의 적어도 일부분 구조는 상기 오물 배출구 주위에 둘러싸여, 애완동물이 장치 본체와 분변수집통이 전단운동(shearing motion)이 발생하는 영역과 쉽게 접촉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위험의 발생을 낮추었다. In the separation device and pet toile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device includes a device body, and a separation mechanism is installed in the device body, the separation mechanism divides the device body into two areas, and further divides the device body into two areas. Communication is possible only by the separation hole installed on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after the pet defecates and urinates in the device body, the feces are agglomerated with the pre-added scented sand for pets. By rotating the device body, the pet The scented sand for animals is allowed to fall into the first area through the separation hole on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the scented sand for pets, which is agglomerated with feces, continues to roll i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until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filth discharge port;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tructure of the separation mechanism is surrounded around the waste outlet, preventing pets from easily contacting the area where the shearing motion of the device body and the fecal collection container occurs,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occurrence. .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분리기구는 사분기구와 펄링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사분기구는 상기 오물 배출구의 일측에 위치하고;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paration mechanism includes a quarter mechanism and a furling mechanism, and the quarter mechanism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waste outlet;

상기 사분기구로부터 상기 오물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펄링기구가 연신 설치되고, 상기 펄링기구의 적어도 일부분 구조는 상기 오물 배출구 둘레에 둘러싸이고, 상기 펄링기구는 상기 사분기구와 멀어지는 일측에 펄링구가 설치된다.The furling mechanism is elongated from the quarter mechanism in the direction of the sewage outlet, at least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furling mechanism is surrounded by the sewage discharge port, and the furling mechanism is on one side away from the quarter mechanism. The furling sphere is installed.

분리기구는 사분기구와 펄링기구를 포함하고, 사분기구는 뭉쳐지지 않은 애완동물용 향기모래를 사분하여, 이를 제1영역 내에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펄링기구는 뭉쳐진 애완동물용 향기모래를 모아 오물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펄링기구를 설치하여 뭉쳐진 애완동물용 향기모래를 가이드하면서 모아서, 오물 배출구로부터 배출시켜, 장치 본체가 통상 또는 구상 등 구조이든지를 막론하고, 모두 오물 배출구의 크기를 증가할 필요가 없어, 안전성을 확보한다. The separation mechanism includes a quarter mechanism and a furling mechanism, and the quarter mechanism divides the unagglomerated pet scent sand so that it falls within the first area, and the furling mechanism collects the agglomerated scent sand for pets from the filth discharge port. It is intended to be discharged, and a furling mechanism is installed to guide and collect the clumped scented sand for pets, and discharge it from the dirt outlet, regardless of whether the device body has a normal or spherical structure, all of which need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irt outlet There is no, to ensure safety.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펄링기구는 봉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입부는 제1부분, 제2부분 및 봉합부를 포함하고,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furling mechanism includes a sealing portion,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ortion, a second portion and a sealing portion,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각각 상기 오물 배출구의 양측에 위치하여, 모두 상기 사분기구와 연결되고;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lth outlet, and are connected to the quarter mechanism;

상기 봉합부는 상기 제1부분, 상기 제2부분 및 상기 사분기구 사이의 갭을 봉합하여, 상기 펄링기구와 상기 사분기구가 상기 장치 본체를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한다. The sealing portion seals the gap between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portion, and the quarter mechanism, so that the furling mechanism and the quarter mechanism divide the device body into two regions.

펄링기구는 제1부분, 제2부분 및 봉합부에 의해 오물 배출구를 중간에 둘러싸이도록 하고, 제1부분, 제2부분, 봉합부 및 사분기구는 전체적으로 둘러싸여 장치 본체를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하여, 뭉쳐진 애완동물용 향기모래가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를 지나서 오물 배출구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The furling mechanism surrounds the filth outlet in the middle by the first part, the second part and the sealing part, and the first part, the second part, the sealing part and the quarter mechanism are entirely surrounded to divide the device body into two areas, The scented sand for pets may pass betwe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nd be discharged from the waste discharge port.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펄링기구는 제1 집합부와 제2 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합부는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집합부는 상기 제2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집합부와 상기 제2 집합부 사이는 "八"자형으로 양측으로 연신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furling mechanism includes a first set part and a second set part, the first set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the second set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and the first set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Between the aggregating part and the second aggregating part is extended to both sides in an “eight” shape.

제1 집합부와 제2 집합부는 "八"자형으로 양측으로 연신되어, 가이드와 모으는 작용을 하여, 장치 본체 내의 뭉쳐진 애완동물용 향기모래를 모아서 오물 배출구로부터 배출시킨다. The first collection part and the second collection part are extended to both sides in the shape of "八", and act to gather together with the guide to collect the aggregated scent sand for pets in the device body and discharge it from the waste discharge port.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서로 연결된 제1 봉입판과 제2 봉입판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1 봉입판과 상기 제2 봉입판은 모두 상기 사분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봉합부는 두개의 상기 제1 봉입판 및 상기 사분기구 사이에 연결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include both a first sealing plate and a second sealing plat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oth the first sealing plate and the second sealing plate are connected to the quarter mechanism; The sealing por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first sealing plates and the quarter mechanism.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제1 집합부와 상기 제2 집합부는 제1 집합판과 제2 집합판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1 집합판은 상기 제1 봉입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집합판은 상기 제2 봉입판과 연결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assembly part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include both a first assembly plate and a second assembly plate, the first assembly plate is connected to the first encapsulation plate, and the second assembly plat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aling plate.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제1 봉입판과 상기 제2 봉입판 사이의 끼인각은 90도이고, 상기 제1 집합판과 상기 제2 집합판 사이의 끼인각은 90도보다 작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an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encapsulating plate and the second encapsulating plate is 90 degrees, and an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capsulating plates is smaller than 90 degrees.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봉입판과 상기 제2 봉입판은 수직 설치되고, 상기 제1 집합판과 상기 제2 집합판 사이의 끼인각은 90도보다 작게 설치되어, 가이드와 모으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상기 제1 봉입판과 상기 제2 봉입판은 둔각으로 설치될 수도 있어, 제2 봉입판이 경사각도를 구비하도록 하여, 장치 본체가 회전할 때, 제2 봉입판 상에 떨어진 뭉쳐진 애완동물용 향기모래가 제2 봉입판을 거쳐 오물 배출구 내에 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봉입판과 상기 제2 봉입판 사이의 각도, 상기 제1 집합판과 상기 제2 집합판 사이의 끼인각, 제1 봉입판과 제1 집합판 사이의 끼인각 및 제2 봉입판과 제2 집합판 사이의 끼인각은 모두 수요에 따라 설정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encapsulation plate and the second encapsulation plate are vertically installed, and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capsulation plates is less than 90 degrees, so that the guide and the second encapsulation plate act to gather. However, the first sealing plate and the second sealing plate may be installed at an obtuse angle, so that the second sealing plate has an inclination angle, so that when the device body rotates, the second sealing plate is for a bundled pet falling on Fragrant sand may fall into the waste outlet through the second sealing plat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sealing plate and the second sealing plate,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set plate and the second set plate, the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seal plate and the first set plate, and the second seal plate and the second set plate. All included angles between assembly plates can be set according to demand.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펄링기구는 보호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판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오물 배출구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furling mechanism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plate, wherein the protective plate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nd the protective plate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waste outlet.

보호판의 설치를 통하여, 오물 배출구를 가릴 수 있어, 애완동물 화장실에 들어온 애완동물이 전단운동이 발생하는 위험영역과 접촉하지 못하게 하여, 이러한 전단운동이 애완동물 화장실에 들어오는 애완동물을 해칠 수 없어, 위험의 발생을 방지하였다. Through the installation of the protective plate, the filth outlet can be covered, preventing pets entering the pet toilet from contacting the danger zone where shear movement occurs, so that this shear movement cannot harm pets entering the pet toilet, Hazards were prevented.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사분기구는 사판이고, 상기 분리홀은 상기 사판 상에서 상기 오물 배출구과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quarter mechanism is a swash plate, and the separation hol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wash plate away from the waste discharge port.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분리기구는 여과망과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망은 상기 오물 배출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분리홀은 상기 여과망 상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부는 상기 오물 배출구에 씌워지고, 상기 차폐부의 적어도 일부분 구조는 오물 배출구 상방영역을 차폐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paration mechanism includes a filtering net and a shielding unit, the filtering ne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waste outlet, the separation hole is installed on the filtering net, the shielding unit is covered with the sewage outlet, and the shiel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ortion shields an area above the filth outlet.

여과망은 장치 본체를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또한 두개의 영역은 여과망 상에 설치된 분리홀에 의해서만 연통될 수 있어, 애완동물이 장치 본체 내에서 대소변을 본 후, 분변이 미리 넣은 애완동물용 향기모래와 뭉치게 되는데, 상기 장치 본체를 회전하여, 뭉치지 않은 애완동물용 향기모래를 여과망 상의 분리홀을 거쳐 제1영역 내에 떨어지도록 하고, 분변과 뭉쳐진 애완동물용 향기모래는 계속하여 장치 본체 내에서 뒹굴게 되는데 오물 배출구로 배출될 때까지 뒹굴고; 이밖에, 차폐부는 오물 배출구에 씌움설치되고, 오물 배출구가 차폐부 하측에 차폐되어, 애완동물 화장실에 들어오는 애완동물이 전단운동이 발생하는 위험 영역과 접촉하지 못하게 하여,이러한 전단운동이 애완동물 화장실에 들어오는 애완동물을 해칠 수 없어, 위험의 발생을 방지하였다.The filter net divides the main body of the device into two areas, and the two areas can be communicated only by a separation hole installed on the filter net, so that after the pet urinates i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the feces are pre-loaded with a scent for pets. It is aggregated with sand, and the device body is rotated so that unaggregated pet scent sand falls into the first area through the separation hole on the filter net, and the pet scent sand aggregated with feces continues in the device body. wallows until it is discharged into the filth outlet; In addition, the shield is installed to cover the filth outlet, and the filth outlet is shielded below the shield to prevent pets entering the pet toilet from contacting the danger zone where shear movement occurs, so that this shear movement Pets entering the room could not be harme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danger.

애완동물 화장실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장치, 케이스 내에 은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구 및 상기 분리장치와 상기 동력전달기구 사이에 고정되는 잠금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구조에 의해 상기 분리장치와 상기 동력전달기구 사이의 분리가능식 동력전달 연결을 구현한다.The pet toilet includes a case, the separation device located in the case,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oncealed and installed in the case, and a locking structure fixed between the separation device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the separation by the locking structure Implementing a detachable power transmission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애완동물 화장실은, 교모하고 낮은 원가로 기존의 애완동물 화장실 제품의 동력전달기구 중 기어가 분리장치 상에 위치하여 일으키는 수많은 문제를 해결하였고, 잠금구조가 분리장치와 동력전달기구 사이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잠금구조가 상기 분리장치와 상기 동력전달기구 사이의 분리가능식 동력전달 연결을 구현할 수 있어, 분리장치 상에 기어를 설치함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가져다주는 시각적, 심리적 및 손의 감촉 상의 부정적인 체험을 방지하였다. 사용자가 분리장치를 탈착하기 전에, 사용자는 우선 분리장치 회전축 중심을 고정하는 잠금기구를 열어야 하고; 본 고안중의 애완동물 화장실을 사용하면, 애완동물 화장실 제품 구조 설계 방면에서 분리장치와 결합된 동력전달기구를 하우징 내부에 넣어, 분리장치와 결합된 슬롯, 서클립 또는 멈춤쇠를 노출하기만 하면, 동력전달기구를 완전히 은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분리장치의 회전축 중심은 동력전달휠을 애완동물 화장실 하우징 내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되었기에, 사용자가 분리장치를 꺼내야 할 때, 별도의 조작을 다시 진행할 필요가 없어, 조작이 간단하다. The pet toile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many problems caused by the gears being located on the separation device among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s of existing pet toilet products at low cost and wear, and the locking structure is the separation device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In addition, the locking structure can implement a detachable power transmission connection between the separation device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thus, the visual, psychological and hand effects brought to the user by installing the gear on the separation device A negative experience on touch was prevented. Before the user attaches or detaches the separator, the user must first open the locking mechanism fixing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separator; If the pet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erms of the pet toilet product structure design, simply insert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ombined with the separator into the housing and expose the slot, circlip or detent associated with the separator. , can achieve the purpose of completely concealing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Since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of the separation device is fixed by fixing the power transmission wheel inside the pet toilet housing, when the user needs to take out the separation device,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again, and operation is simple.

실시예1:Example 1: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분리장치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본체(1)는 전통체(11)와 후통체(12)로 씌워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6, the separation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body 1, and the device body 1 is formed by covering the tube body 11 and the rear body 12 .

상기 장치 본체(1)에는 오물 배출구(4)와 애완동물이 출입하는 출입구(5)가 설치되고, 장치 본체(1) 내에는 분리기구(2)가 더 설치되고, 상기 분리기구(2)는 상기 장치 본체(1)를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되, 상기 두개의 영역 사이는 상기 분리기구(2) 상에 설치된 분리홀(27)에 의해서만 연통될 수 있다. The device body 1 has a dirt outlet 4 and an entrance 5 through which pets enter and exit, and a separation mechanism 2 is further installed in the device body 1, and the separation mechanism 2 The device main body 1 is divided into two areas,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areas can be communicated only by a separation hole 27 installed on the separation mechanism 2.

상기 분리기구(2)는 사판(21), 제1부분(22), 제2부분(23) 및 봉합부(24)를 포함하고, The separation mechanism 2 includes a swash plate 21, a first part 22, a second part 23 and a seam 24,

상기 분리홀(27)은 상기 사판(21) 상에서 상기 오물 배출구(4)와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부분(22)과 상기 제2부분(23)은 각각 상기 오물 배출구(4)의 양측에 위치하여, 모두 상기 사판(21)과 연결되고; The separation hole 27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wash plate 21 away from the sewage outlet 4, and the first part 22 and the second part 23 are each of the sewage outlet 4. Located on both sides, both are connected to the swash plate 21;

상기 봉합부(24)는 상기 제1부분(22), 상기 제2부분(23) 및 상기 사판(21) 사이의 갭을 봉합하고, 상기 제1부분(22), 상기 제2부분(23) 및 상기 봉합부(24)는 상기 오물 배출구(4)를 중간에 둘러싸이도록 하여, 상기 분리기구(2)가 상기 장치 본체(1)를 구획한 두개의 영역중 상기 사판(21) 상에서 상기 오물 배출구(4)와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하는 영역이 분리홀(27)에 의해서만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aling part 24 seals the gap between the first part 22, the second part 23 and the swash plate 21, and the first part 22 and the second part 23 And the sealing portion 24 surrounds the waste outlet 4 in the middle, so that the separation mechanism 2 divides the main body 1 of the device, and the sewage outlet is on the swash plate 21 The area located on one side away from (4) is allowed to communicate only by the separation hole 27.

상기 분리기구(2)는 제1 집합부(25)와 제2 집합부(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집합부(25)는 상기 제1부분(22)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집합부(26)는 상기 제2부분(23)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집합부(25)와 상기 제2 집합부(26) 사이는 "八"자형으로 양측으로 연신된다.The separation mechanism (2) further includes a first assembly part (25) and a second assembly part (26), wherein the first assembly part (25)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22),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25)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22). The aggregating part 26 is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23, and between the first aggregating part 25 and the second aggregating part 26 is extended to both sides in an “eight” shape.

상기 제1부분(22)과 상기 제2부분(23)은 서로 연결된 제1 봉입판(221)과 제2 봉입판(222)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1 봉입판(221)과 상기 제2 봉입판(222)은 모두 상기 사판(21)과 연결되고; 상기 봉합부(24)은 두개의 상기 제1 봉입판(221) 및 상기 사판(21) 사이에 연결된다. The first portion 22 and the second portion 23 include both a first sealing plate 221 and a second sealing plate 222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ealing plate 221 and the second sealing plate 2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l of the sealing plates 222 are connected to the swash plate 21; The sealing portion 24 is connected between the two first sealing plates 221 and the swash plate 21 .

상기 제1 집합부(25)와 상기 제2 집합부(26)는 제1 집합판(251)과 제2 집합판(252)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1 집합판(251)은 상기 제1 봉입판(221)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집합판(252)은 상기 제2 봉입판(222)과 연결된다. The first assembly part 25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26 include both a first assembly plate 251 and a second assembly plate 252, and the first assembly plate 251 is the first assembly plate 251. It is connected to the sealing plate 221, and the second assembly plate 252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aling plate 222.

애완동물은 출입구(5)로부터 들어와서, 사전에 깔아놓은 애완동물용 향기모래 위에서 대소변을 본다. 애완동물용 향기모래가 물을 만나면 뭉쳐지는 성능이 있기에, 애완동물 배설물은 애완동물용 향기모래와 쉽게 흩어지지 않는 덩어리를 형성한다. 애완동물이 대소변을 보고나서 출입구(5)로부터 장치 본체(1)를 떠난 후, 구동장치가 구동하기 시작하여 장치 본체(1)를 회전시켜 애완동물용 향기모래가 사판(21) 상의 분리홀(27)을 통과하여, 사판(21) 일측의 공간(A)에 진입하고, 체적가 비교적 큰 덩어리는 사판(21)의 타측 공간(B)에 남게 된다. The pet enters through the entrance 5 and defecates on the pre-laid scented sand for pets. When pet scent sand meets water, it has the ability to clump together, so pet excrement forms lumps that are not easily dispersed with pet scent sand. After the pet urinates and leaves the device body 1 from the entrance 5, the driving device starts to drive and rotates the device body 1 so that the scented sand for pets is separated through the separation hole on the swash plate 21 ( 27), enters the space A on one side of the swash plate 21, and a lump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remains in the space B on the other side of the swash plate 21.

장치 본체(1)가 계속하여 회전할 때, 덩어리는 중력 작용하에서 장치 본체(1) 저부에 분산된다. 그후 장치 본체(1)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집합부(25), 제2 집합부(26) 및 중력 작용하에서 덩어리를 사판(21)과 오물 배출구(4) 사이의 공간(C)내에 진입시킨 후, 이를 오물 배출구(4)로부터 배출시킨다. As the device body 1 continues to rotate, the lumps are dispersed to the bottom of the device body 1 under the action of gravity. After that, the apparatus body 1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first assembly part 25, the second assembly part 26, and the lump under the action of gravity are removed from the space C between the swash plate 21 and the waste discharge port 4 After entering the inside, it is discharged from the dirt discharge port (4).

장치 본체(1)는 상기 작업과정에서 여전히 분변수집통 입구와 전단 운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목표성있게 사판(21)에 가이드 작용을 하는 제1 집합부(25)와 제2 집합부(26)를 설계하였기에, 장치 본체(1)를 통모양으로 설계하여 체적가 증가되도록 하는 동시에 오물 배출구(4)의 크기를 증가할 필요가 없어, 안전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확보한다. The main body 1 of the device still undergoes shear movement with the inlet of the fecal collector during the above operation. However, since the first assembly part 25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26, which guide the swash plate 21, are designed with a purpose, the device body 1 is design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volume is increased and the dirt discharge port There is no need to increase the size of (4), ensuring that safety does not deteriorate.

애완동물 화장실은, 하우징(6) 및 분리장치를 포함하고, 분리장치는 상기 하우징(6)에 설치되고,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하우징(6)상에서 회전가능하며, 하우징(6)에는 분변수집홈이 설치되고, 분변수집홈의 위치는 오물 배출구(4)와 대응된다. The pet toilet includes a housing (6) and a separation device, the separation device is installed on the housing (6), the separation device is rotatable on the housing (6), and the housing (6) has a fecal collection groove. is installed, and the position of the fecal collection groove corresponds to the waste outlet 4.

실시예2: Example 2:

본 실시예2와 실시예1의 다른점: 상기 제1부분(22)과 상기 제2부분(23) 사이에 보호판(28)을 더 설치하되, 상기 보호판(28)은 상기 오물 배출구(4)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상기 보호판(28)에 약간의 통홀이 설치된다. Difference between Embodiment 2 and Embodiment 1: A protective plate 28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part 22 and the second part 23, but the protective plate 28 is installed in the waste outlet 4 It is located right on top of, and a few through holes are installed in the protective plate 28.

보호판(28)의 설치를 통해, 보호판(28)으로 오물 배출를 가리게 되어, 애완동물 화장실에 들어온 애완동물이 전단운동이 발생하는 위험영역과 접촉하지 못하게 하여, 이러한 전단운동이 애완동물 화장실에 들어오는 애완동물을 해칠 수 없어, 위험의 발생을 방지하였다.Through the installation of the protective plate 28, the discharge of waste is covered by the protective plate 28, preventing pets entering the pet toilet from contacting the danger zone where shearing occurs, and this shearing movement prevents pets entering the pet toilet. The animals could not be harme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danger.

실시예3: Example 3:

본 실시예3과 실시예1의 다른점: 도 7-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기구(2)는 여과망(20)과 차폐부(3)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망(20)은 상기 오물 배출구(4)의 일측에 위치하고, 여과망(20)에는 애완동물용 향기모래가 관통되는 것을 허용하는 분리홀(27)이 분포되고; 상기 차폐부(3)는 상기 오물 배출구(4)에 씌움 설치되고, 상기 차폐부(3)는 직육면체 구조이고, 상기 차폐부(3)에는 배출구(31)가 더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31)의 양측에 가이드판(32)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판(32)은 "八"자형으로 양측으로 연신된다.Differences between Embodiment 3 and Embodiment 1: As shown in Figs. 7-11, the separation mechanism 2 includes a filtering net 20 and a shielding part 3, and the filtering net 20 is Separation holes 27 are distributed on one side of the waste discharge port 4, and the filter net 20 allows scent sand for pets to pass through; The shielding part 3 is installed to cover the dirt outlet 4, the shielding part 3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and a discharge port 31 is further installed in the shielding part 3, and the outlet 31 The guide plate 32 is furthe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32 is stretched to both sides in an "八" shape.

애완동물은 출입구(5)로부터 들어와서, 사전에 깔아놓은 애완동물용 향기모래 위에서 대소변을 본다. 애완동물용 향기모래가 물을 만나면 뭉쳐지는 성능이 있기에, 애완동물 배설물은 애완동물용 향기모래와 쉽게 흩어지지 않는 덩어리를 형성한다. 애완동물이 대소변을 보고나서 출입구(5)로부터 장치 본체(1)를 떠난 후, 구동장치가 구동하기 시작하여 장치 본체(1)를 회전시켜 애완동물용 향기모래가 여과망(20) 상의 분리홀을 통과하여, 여과망(20) 일측의 공간(A)에 진입하고, 체적가 비교적 큰 덩어리는 여과망(20)의 타측 공간(B)에 남게 된다. The pet enters through the entrance 5 and defecates on the pre-laid scented sand for pets. When pet scent sand meets water, it has the ability to clump together, so pet excrement forms lumps that are not easily dispersed with pet scent sand. After the pet urinates and leaves the device body 1 from the entrance 5, the driving device starts to drive and rotates the device body 1 so that the scented sand for pets passes through the separation hole on the filter net 20. It passes through and enters the space (A) on one side of the filter net (20), and the lump with a relatively large volume remains in the space (B) on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net (20).

장치 본체(1)가 계속하여 회전할 때, 덩어리는 중력 작용하에서 장치 본체(1) 저부에 집중된다. 그후 장치 본체(1)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덩어리를 중력 작용하에서 장치 본체(1) 저부를 따라 차폐부(3)와 오물 배출구(4) 사이의 공간(C)내에 진입시킨 후, 이를 오물 배출구(4)로부터 장치 본체(1) 밖으로 배출시킨다. When the device body 1 continues to rotate, the mass is concentrated on the bottom of the device body 1 under the action of gravity. Then, the device body 1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make the mass enter the space C between the shield 3 and the dirt discharge port 4 along the bottom of the device body 1 under the action of gravity, and then turn it into dirt. It is discharged out of the device body (1) from the discharge port (4).

장치 본체(1)는 상기 작업과정에서 여전히 분변수집통 입구와 전단 운동이 발생한다. 그러나 차폐부(3)로 오물 배출구(4)를 가리게 되어, 애완동물 화장실에 들어온 애완동물이 전단운동이 발생하는 위험영역과 접촉하지 못하게 하여, 이러한 전단운동이 애완동물 화장실에 들어오는 애완동물을 해칠 수 없어, 위험의 발생을 방지하였다.The main body 1 of the device still undergoes shear movement with the inlet of the fecal collector in the above working process. However, the shielding part (3) covers the waste outlet (4), preventing the pet entering the pet toilet from contacting the danger zone where the shearing motion occurs, which harms the pet entering the pet toilet. This could not be done,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danger.

본 고안은 애완동물 화장실을 더 제공하였는 바, 케이스(100) 내에 위치하는 분리장치(200), 케이스(100) 내에 은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구(7) 및 분리장치(200)와 동력전달기구(7) 사이에 고정되는 잠금구조(8)를 포함하고, 잠금구조(8)에 의해 분리장치(200)와 동력전달기구(7) 사이의 분리가능식 동력전달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pet toilet, the separator 200 located in the case 100,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and the separation device 200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 7) and a locking structure 8 fixed therebetween, and a detachable power transmission connection between the separator 200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can be implemented by the locking structure 8.

여기서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케이스(100)에는 분리장치(200)가 입출하는 입출구가 구비되는데, 상기 입출구 위치는 케이스(100) 탑부 다시 말하면 분리장치(200) 반경방향에 있을 수 있고, 케이스(100) 측부 다시 말하면 분리장치(200) 축방향에 있을 수도 있고; 사이한 방향에 위치할 때, 분리장치(200)의 입출 방향 역시 다르다. What needs to be explained here is that the case 100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outlet through which the separator 200 enters and exits. (100) side, that i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parator 200; When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the entry and exit directions of the separator 200 are also different.

동력전달기구(7)는 분리장치(200)가 케이스(100)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그 회전축 중심과 분리장치(200)의 기하학적 축 중심은 중합된다.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is for driving the separation device 200 to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in the case 100, and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and the center of the geometric axis of the separation device 200 are overlapped.

잠금구조(8) 일단은 분리장치(200)와 연결되고, 타단은 동력전달기구(7)와 연결되며, 잠금구조(8)는 동력전달기구(7)와 분리될 수 있어, 분리장치(200)가 탈착될 때 분리장치(200)와 일부분 잠금구조(8)만 탈착할 수 있고, 동력전달기구(7) 중의 기어가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초래하고, 잠금구조(8)와 동력전달기구(7)가 연결될 때,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어, 동력전달기구(7)에 의해 분리장치(200)가 회전하도록 이끌어 줄 수 있다. One end of the locking structure 8 is connected to the separation device 2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and the locking structure 8 can be separa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so that the separation device 200 ) is detached, only the separation device 200 and a part of the locking structure 8 can be detached, and the gear in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does not ne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causing discomfort to the user, and the locking structure When 8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are connected, power can also be transmitted, and the separation device 200 can be guided to rotate by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

도15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진일보의 개선에 있어서, 동력전달기구(7)는 순차적으로 동력전달되게 연결되는 모터(71), 제1 동력전달휠(72)과 제2 동력전달휠(73)을 포함하고, 제2 동력전달휠(73)은 잠금구조(8)와 연결된다. As shown in FIGS. 15 and 16, in the further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includes a motor 71, a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sequentially connected to transmit power. I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is connected to the locking structure (8).

제1 동력전달휠(72)은 모터(71) 출력축에 장착되고, 제2 동력전달휠(73)은 제1 동력전달휠(72)과 동력전달되게 연결되어, 모터(71)의 출력 동력을 분리장치(200)에 전송한다.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is mount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71,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is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to transmit power, thereby providing output power of the motor 71. It is transmitted to the separator 200.

재차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제1 동력전달휠(72)과 제2 동력전달휠(73) 사이의 동력전달 구조는 기어 동력전달 형식, 벨트 풀리 동력전달 형식, 동기휠 동력전달 형식 또는 체인휠 동력전달 형식을 사용할 수 있고, 이 부분은 선행기술 중의 동력전달 구조를 사용할 수 있어, 여기서 더이상 장황하게 진술하지 않는다. What needs to be explained again is that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betwee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is a gear power transmission type, a belt pulley power transmission type, a synchronous wheel power transmission type, or a chain wheel. The power transmission form can be used, and this part can use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in the prior art, which is not further verbosely described here.

도17과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내에 분리기구인 분리장치(200)를 수용하는 수용챔버를 구비하고, 수용챔버 사각 쪽에 지지 롤러를 구비하며, 수용챔버 저부에 오물 배출구(700)를 구비한다.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case 100 has an accommodating chamber accommodating the separation device 200 as a separation mechanism, a support roller is provided on the square side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and a dirt discharge port 70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 is provided.

실시예4: Example 4:

도14-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기구(7)중 제1 동력전달휠(72)과 제2 동력전달휠(73)은 모두 기어 동력전달 형식이고; 모터(71)는 동력을 제공하고, 제1 동력전달휠(72)은 모터(71)의 동력을 제2 동력전달휠(73)에 전달하고; 14-16, 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are of gear power transmission type; The motor 71 provides power,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transmits the power of the motor 71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잠금구조(8)는 제2 동력전달휠(73)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81), 제1 회전축(81) 단부에 설치되는 슬롯(82), 분리장치(200)에 설치되어 슬롯(82)과 맞물리는 서클립(83)을 포함한다.The locking structure 8 is installed in the first rotational shaft 8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the slot 82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81, and the separator 200 to install the slot ( 82) and a circlip 83 engaging with it.

재차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서클립(83)은 분리장치(200)드럼 바디에 직접 설치된다. 드럼 바디에는 기타 분리기구의 필요특징이 더 있지만, 본문의 중점이 아니므로,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 What needs to be explained again is that the circlip 83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drum body of the separator 200. The drum body has other necessary features of the separation mechanism, but since it is not the focus of the text, it will not be further described.

나아가, 제1 회전축(81)의 축중심과 제2 동력전달휠(73)의 축중심, 및 분리장치(200)의 축중심은 동일한 직선 상에 있다.Furthermore, the axial center of the first rotating shaft 81, the axial center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axial center of the separator 200 are on the same straight line.

제2 동력전달휠(73)은 제1 회전축(81)에 의해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슬롯(82)은 서클립(83)과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고;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is fixed on the case 100 of the pet toilet by the first rotation shaft 81, and the slot 82 is coupled with the circlip 83 to transmit power;

제2 동력전달휠(73), 모터(71)는 모두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분리기구 드럼 바디는 애완동물 화장실 케이스(100)상에 안착된다. 구체적인 연결, 안착방식은 본 고안의 중점이 아니므로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motor 71 are all fixed on the pet toilet case 100, and the separator drum body is seated on the pet toilet case 100. Specific connection and seating methods are not the focu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are not described further.

상기 고안원리에 기반하여, 애완동물 화장실 제품 구조 설계방면은 동력전달기구(7)를 케이스(100) 내부에 넣어, 분리기구 서클립(83)과 결합되는 슬롯(82)을 노출하기만 하면, 동력전달기구를 완전히 은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Based on the above design principle, the pet toilet product structure design aspect simply puts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inside the case 100 and exposes the slot 82 coupled with the separation mechanism circlip 83, The purpose of completely concealing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an be achieved.

상기 고안원리에 기반하여, 분리기구의 회전축 중심은 제1 회전축(81)을 애완동물 화장실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분리기구를 꺼낼 필요가 있을 때, 별도의 조작을 다시 진행할 필요가 없다.Based on the above design principle,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of the separation mechanism is fixed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rotation axis 81 is fixed inside the pet toilet case 100. Accordingly, when the user needs to take out the separation mechanism,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again.

기존의 동력전달기구는 동력 전달 기어를 분리기구 드럼 바디에 놓고, 본 고안 동력전달기구는 분리기구와 독립되어 슬롯(82)과 서클립(83)의 결합방식을 사용하여 동력전달 시스템의 동력을 출력한다. In the existing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power transmission gear is placed on the drum body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ependent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uses the coupling method of the slot 82 and the circlip 83 to power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print out

또한 슬롯(82)과 서클립(83)의 분리는 간단하여,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서클립(83)을 슬롯(82)내에서 빼내기만 하면 된다. In addition, separation of the slot 82 and the circlip 83 is simple, and the circlip 83 only needs to be pulled out of the slot 82 in the radial or axi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슬롯(82)은 하나만 있을 수 있어, 대응되는 서클립(83) 역시 하나만 있을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re may be only one slot 82, so there may also be only one corresponding circlip 83.

물론, 슬롯(82)은 다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는데, 대응되는 서클립(83) 역시 다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slots 82 may be installed in plural numbers, and the corresponding circlips 83 may also be installed in plural numbers.

본 실시예에서, 슬롯(82)은 양단이 개구된 관통구조 또는 양단이 밀봉된 요홈구조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slot 82 is a through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or a groove structure with both ends sealed.

관통구조일 때, 분리장치(200)는 반경방향으로 꺼낼 수 있고,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구동될 수도 있고; 밀봉된 요홈구조일 때, 분리장치(200)는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꺼낼 수 있다. When the penetrating structure, the separator 200 can be pulled out in the radial direction, and can be driven while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When it is a sealed groove structure, the separator 200 can be taken out while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나아가, 슬롯(82)이 양단이 개구된 관통구조일 때, 슬롯(82) 일단 또는 양단에는 가이드 구조(88)가 설치된다. 재차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케이스(100)상의 입출구 위치가 고정되었기에, 아주 간편한 방식으로서 슬롯(82) 일단에 가이드 구조(88)를 설치하되, 여기서 가이드 구조(88)는 나팔구 모양이고, 변부는 호형 또는 직선구조일 수 있으며, 가이드 구조(88)의 개구가 슬롯(82)보다 큰 규격에 의해, 서클립(83)에 삽입될 때 이를 가이드하여, 삽입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Furthermore, when the slot 82 is a through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a guide structure 88 is install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slot 82 . What needs to be explained again is that since the position of the inlet and outlet on the case 100 is fixed, a guide structure 88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lot 82 as a very simple method, where the guide structure 88 is shaped like a trumpet ball, The edge may have an arc or straight structure, and the opening of the guide structure 88 is larger than the slot 82 to guide it when inserted into the circlip 83, so that the insertion efficiency is improved.

실시예5: Example 5:

도14-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기구(7)중 제1 동력전달휠(72)과 제2 동력전달휠(73)은 모두 기어 동력전달 형식이고; 모터(71)는 동력을 제공하고, 제1 동력전달휠(72)은 모터(71)의 동력을 제2 동력전달휠(73)에 전달하고; 14-16, 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are of gear power transmission type; The motor 71 provides power,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transmits the power of the motor 71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잠금구조(8)는 제2 동력전달휠(73)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81), 제2 동력전달휠(73) 타측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84), 제1 회전축(81) 단부에 설치되는 슬롯(82), 분리장치(200)에 설치되어 슬롯(82)과 맞물리는 서클립(83)을 포함한다.The locking structure 8 includes a first rotational shaft 8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 second rotational shaft 84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a first rotational shaft 81 It includes a slot 82 installed at the end and a circlip 83 installed in the separator 200 and engaged with the slot 82.

재차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서클립(83)은 분리장치(200)드럼 바디에 직접 설치된다. 드럼 바디에는 기타 분리기구의 필요특징이 더 있지만, 본문의 중점이 아니므로,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What needs to be explained again is that the circlip 83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drum body of the separator 200. The drum body has other necessary features of the separation mechanism, but since it is not the focus of the text, it will not be further described.

나아가, 제1 회전축(81), 제2 회전축(84)의 축중심과 제2 동력전달휠(73)의 축중심, 및 분리장치(200)의 축중심은 동일한 직선 상에 있다.Further, the axial centers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81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84, the axial center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axial center of the separator 200 are on the same straight line.

제2 동력전달휠(73)은 제1 회전축(81)과 제2 회전축(84)에 의해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슬롯(82)은 서클립(83)과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고;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is fixed on the case 100 of the pet toilet by the first rotational shaft 81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84, and the slot 82 is coupled with the circlip 83 for transmitting power;

제2 동력전달휠(73), 모터(71)는 모두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분리기구 드럼 바디는 애완동물 화장실 케이스(100) 상에 안착된다. 구체적인 연결, 안착방식은 본 고안의 중점이 아니므로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motor 71 are all fixed on the pet toilet case 100, and the separator drum body is seated on the pet toilet case 100. Specific connection and seating methods are not the focu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are not described further.

상기 고안원리에 기반하여, 애완동물 화장실 제품 구조 설계방면은 동력전달기구(7)를 케이스(100) 내부에 넣어, 분리기구 서클립(83)과 결합되는 슬롯(82)을 노출하기만 하면, 동력전달기구를 완전히 은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design principle, the pet toilet product structure design aspect simply puts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inside the case 100 and exposes the slot 82 coupled with the separation mechanism circlip 83, The purpose of completely concealing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an be achieved.

상기 고안원리에 기반하여, 분리기구의 회전축 중심은 제1 회전축(81)과 제2 회전축(84)을 애완동물 화장실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분리기구를 꺼낼 필요가 있을 때, 별도의 조작을 다시 진행할 필요가 없다.Based on the above design principle,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separation mechanism is fixed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rotation shaft 8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84 are fixed inside the pet toilet case 100. Accordingly, when the user needs to take out the separation mechanism,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again.

기존의 동력전달기구는 동력 전달 기어를 분리기구 드럼 바디에 놓고, 본 고안 동력전달기구는 분리기구와 독립되어 슬롯(82)과 서클립(83)의 결합방식을 사용하여 동력전달 시스템의 동력을 출력한다.In the existing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power transmission gear is placed on the drum body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ependent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uses the coupling method of the slot 82 and the circlip 83 to power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print out

또한 슬롯(82)과 서클립(83)의 분리는 간단하여,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서클립(83)을 슬롯(82)내에서 빼내기만 하면 된다.In addition, separation of the slot 82 and the circlip 83 is simple, and the circlip 83 only needs to be pulled out of the slot 82 in the radial or axi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슬롯(82)은 하나만 있을 수 있어, 대응되는 서클립(83) 역시 하나만 있을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re may be only one slot 82, so there may also be only one corresponding circlip 83.

물론, 슬롯(82)은 다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는데, 대응되는 서클립(83) 역시 다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slots 82 may be installed in plural numbers, and the corresponding circlips 83 may also be installed in plural numbers.

본 실시예에서, 슬롯(82)은 양단이 개구된 관통구조 또는 양단이 밀봉된 요홈구조이다.In this embodiment, the slot 82 is a through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or a groove structure with both ends sealed.

관통구조일 때, 분리장치(200)는 반경방향으로 꺼낼 수 있고,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구동될 수도 있고; 밀봉된 요홈구조일 때, 분리장치(200)는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꺼낼 수 있다.When the penetrating structure, the separator 200 can be pulled out in the radial direction, and can be driven while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When it is a sealed groove structure, the separator 200 can be taken out while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나아가, 슬롯(82)이 양단이 개구된 관통구조일 때, 슬롯(82) 일단 또는 양단에는 가이드 구조(88)가 설치된다. 재차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케이스(100)상의 입출구 위치가 고정되었기에, 아주 간편한 방식으로서 슬롯(82) 일단에 가이드 구조(88)를 설치하되, 여기서 가이드 구조(88)는 나팔구 모양이고, 변부는 호형 또는 직선구조일 수 있으며, 가이드 구조(88)의 개구가 슬롯(82)보다 큰 규격에 의해, 서클립(83)에 삽입될 때 이를 가이드하여, 삽입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Furthermore, when the slot 82 is a through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a guide structure 88 is install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slot 82 . What needs to be explained again is that since the position of the inlet and outlet on the case 100 is fixed, a guide structure 88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lot 82 as a very simple method, where the guide structure 88 is shaped like a trumpet ball, The edge may have an arc or straight structure, and the opening of the guide structure 88 is larger than the slot 82 to guide it when inserted into the circlip 83, so that the insertion efficiency is improved.

실시예6: Example 6: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기구(7)중 제1 동력전달휠(72)과 제2 동력전달휠(73)은 모두 기어 동력전달 형식이고; 모터(71)는 동력을 제공하고, 제1 동력전달휠(72)은 모터(71)의 동력을 제2 동력전달휠(73)에 전달하고; As shown in Figure 19, 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are of the gear power transmission type; The motor 71 provides power,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transmits the power of the motor 71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잠금구조(8)는 제2 동력전달휠(73)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81), 제1 회전축(81) 단부에 설치되는 서클립(83), 분리장치(200)에 설치되어 서클립(83)과 맞물리는 슬롯(82)을 포함한다.The locking structure 8 is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onal shaft 8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the circlip 83 installed on the end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81, and the separator 200. It includes a slot 82 that engages with a clip 83.

재차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슬롯(82)은 분리장치(200)드럼 바디에 직접 설치될 수 있고, 제3 회전축(85)에 의해 분리장치(200)드럼 바디에 고정될 수도 있다. 드럼 바디에는 기타 분리기구의 필요특징이 더 있지만, 본문의 중점이 아니므로,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Needing to be explained again, the slot 82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drum body of the separator 200, or may be fixed to the drum body of the separator 200 by the third rotational shaft 85. The drum body has other necessary features of the separation mechanism, but since it is not the focus of the text, it will not be further described.

나아가, 제1 회전축(81), 제3 회전축(85)의 축중심과 제2 동력전달휠(73)의 축중심, 및 분리장치(200)의 축중심은 동일한 직선 상에 있다.Further, the axial centers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81 and the third rotational shaft 85, the axial center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axial center of the separator 200 are on the same straight line.

제2 동력전달휠(73)은 제1 회전축(81)에 의해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슬롯(82)은 서클립(83)과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고;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is fixed on the case 100 of the pet toilet by the first rotation shaft 81, and the slot 82 is coupled with the circlip 83 to transmit power;

제2 동력전달휠(73), 모터(71)는 모두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분리기구 드럼 바디는 애완동물 화장실케이스(100)상에 안착된다.구체적인 연결, 안착방식은 본 고안의 중점이 아니므로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motor 71 are all fixed on the pet toilet case 100, and the separator drum body is seated on the pet toilet case 100. Specific connection and mounting method is not the foc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further stated.

상기 고안원리에 기반하여, 애완동물 화장실 제품 구조 설계방면은 동력전달기구(7)를 케이스(100) 내부에 넣어, 분리기구 슬롯(82)과 결합되는 서클립(83)을 노출하기만 하면, 동력전달기구를 완전히 은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design principle, the pet toilet product structure design aspect simply puts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inside the case 100 and exposes the circlip 83 coupled to the separation mechanism slot 82, The purpose of completely concealing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an be achieved.

상기 고안원리에 기반하여, 분리기구의 회전축 중심은 제1 회전축(81)을 애완동물 화장실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따라서 사용자가 분리기구를 꺼낼 필요가 있을 때, 별도의 조작을 다시 진행할 필요가 없다.Based on the above design principle,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of the separation mechanism is fixed by fixing the first rotation axis 81 inside the pet toilet case 100. Therefore, when the user needs to take out the separation mechanism, a separate There is no need to redo the operation.

기존의 동력전달기구는 동력 전달 기어를 분리기구 드럼 바디에 놓고, 본 고안 동력전달기구는 분리기구와 독립되어 슬롯(82)과 서클립(83)의 결합방식을 사용하여 동력전달 시스템의 동력을 출력한다.In the existing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power transmission gear is placed on the drum body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ependent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uses the coupling method of the slot 82 and the circlip 83 to power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print out

또한 슬롯(82)과 서클립(83)의 분리는 간단하여,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서클립(83)을 슬롯(82)내에서 빼내기만 하면 된다.In addition, separation of the slot 82 and the circlip 83 is simple, and the circlip 83 only needs to be pulled out of the slot 82 in the radial or axi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슬롯(82)은 하나만 있을 수 있어, 대응되는 서클립(83) 역시 하나만 있을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re may be only one slot 82, so there may also be only one corresponding circlip 83.

물론, 슬롯(82)은 다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는데, 대응되는 서클립(83) 역시 다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slots 82 may be installed in plural numbers, and the corresponding circlips 83 may also be installed in plural numbers.

본 실시예에서, 슬롯(82)은 양단이 개구된 관통구조 또는 양단이 밀봉된 요홈구조이다.In this embodiment, the slot 82 is a through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or a groove structure with both ends sealed.

관통구조일 때, 분리장치(200)는 반경방향으로 꺼낼 수 있고,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구동될 수도 있고; 밀봉된 요홈구조일 때, 분리장치(200)는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꺼낼 수 있다.When the penetrating structure, the separator 200 can be pulled out in the radial direction, and can be driven while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When it is a sealed groove structure, the separator 200 can be taken out while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나아가, 슬롯(82)이 양단이 개구된 관통구조일 때, 슬롯(82) 일단 또는 양단에는 가이드 구조(88)가 설치된다. 재차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케이스(100)상의 입출구 위치가 고정되었기에, 아주 간편한 방식으로서 슬롯(82) 일단에 가이드 구조(88)를 설치하되, 여기서 가이드 구조(88)는 나팔구 모양이고, 변부는 호형 또는 직선구조일 수 있으며, 가이드 구조(88)의 개구가 슬롯(82)보다 큰 규격에 의해, 서클립(83)에 삽입될 때 이를 가이드하여, 삽입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Furthermore, when the slot 82 is a through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a guide structure 88 is install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slot 82 . What needs to be explained again is that since the position of the inlet and outlet on the case 100 is fixed, a guide structure 88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lot 82 as a very simple method, where the guide structure 88 is shaped like a trumpet ball, The edge may have an arc or straight structure, and the opening of the guide structure 88 is larger than the slot 82 to guide it when inserted into the circlip 83, so that the insertion efficiency is improved.

실시예7: Example 7: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기구(7)중 제1 동력전달휠(72)과 제2 동력전달휠(73)은 모두 기어 동력전달 형식이고; 모터(71)는 동력을 제공하고, 제1 동력전달휠(72)은 모터(71)의 동력을 제2 동력전달휠(73)에 전달하고; As shown in Figure 19, 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are of the gear power transmission type; The motor 71 provides power,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transmits the power of the motor 71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잠금구조(8)는 제2 동력전달휠(73)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81), 제2 동력전달휠(73) 타측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84), 제1 회전축(81) 단부에 설치되는 서클립(83), 분리장치(200)에 설치되어 서클립(83)과 맞물리는 슬롯(82)을 포함한다.The locking structure 8 includes a first rotational shaft 8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 second rotational shaft 84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a first rotational shaft 81 It includes a circlip 83 installed at the end and a slot 82 installed in the separator 200 and engaged with the circlip 83.

재차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슬롯(82)은 분리장치(200)드럼 바디에 직접 설치될 수 있고, 제3 회전축(85)에 의해 분리장치(200)드럼 바디에 고정될 수도 있다. 드럼 바디에는 기타 분리기구의 필요특징이 더 있지만, 본문의 중점이 아니므로,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Needing to be explained again, the slot 82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drum body of the separator 200, or may be fixed to the drum body of the separator 200 by the third rotational shaft 85. The drum body has other necessary features of the separation mechanism, but since it is not the focus of the text, it will not be further described.

나아가, 제1 회전축(81), 제2 회전축(84), 제3 회전축(85)의 축중심과 제2 동력전달휠(73)의 축중심, 및 분리장치(200)의 축중심은 동일한 직선 상에 있다.Furthermore, the axial centers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81, the second rotational shaft 84, and the third rotational shaft 85, the axial center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axial center of the separator 200 are the same straight line. is on top

제2 동력전달휠(73)은 제1 회전축(81)과 제2 회전축(84)에 의해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슬롯(82)은 서클립(83)과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고;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is fixed on the case 100 of the pet toilet by the first rotational shaft 81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84, and the slot 82 is coupled with the circlip 83 for transmitting power;

제2 동력전달휠(73), 모터(71)는 모두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분리기구 드럼 바디는 애완동물 화장실 케이스(100) 상에 안착된다. 구체적인 연결, 안착방식은 본 고안의 중점이 아니므로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motor 71 are all fixed on the pet toilet case 100, and the separator drum body is seated on the pet toilet case 100. Specific connection and seating methods are not the focu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are not described further.

상기 고안원리에 기반하여, 애완동물 화장실 제품 구조 설계방면은 동력전달기구(7)를 케이스(100) 내부에 넣어, 분리기구 슬롯(82)과 결합되는 서클립(83)을 노출하기만 하면, 동력전달기구를 완전히 은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design principle, the pet toilet product structure design aspect simply puts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inside the case 100 and exposes the circlip 83 coupled to the separation mechanism slot 82, The purpose of completely concealing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an be achieved.

상기 고안원리에 기반하여, 분리기구의 회전축 중심은 제1 회전축(81)과 제2 회전축(84)을 애완동물 화장실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분리기구를 꺼낼 필요가 있을 때, 별도의 조작을 다시 진행할 필요가 없다.Based on the above design principle,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separation mechanism is fixed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rotation shaft 8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84 are fixed inside the pet toilet case 100. Accordingly, when the user needs to take out the separation mechanism,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again.

기존의 동력전달기구는 동력 전달 기어를 분리기구 드럼 바디에 놓고, 본 고안 동력전달기구는 분리기구와 독립되어 슬롯(82)과 서클립(83)의 결합방식을 사용하여 동력전달 시스템의 동력을 출력한다.In the existing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power transmission gear is placed on the drum body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ependent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uses the coupling method of the slot 82 and the circlip 83 to power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print out

또한 슬롯(82)과 서클립(83)의 분리는 간단하여,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서클립(83)을 슬롯(82)내에서 빼내기만 하면 된다.In addition, separation of the slot 82 and the circlip 83 is simple, and the circlip 83 only needs to be pulled out of the slot 82 in the radial or axi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슬롯(82)은 하나만 있을 수 있어, 대응되는 서클립(83) 역시 하나만 있을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re may be only one slot 82, so there may also be only one corresponding circlip 83.

물론, 슬롯(82)은 다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는데, 대응되는 서클립(83) 역시 다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slots 82 may be installed in plural numbers, and the corresponding circlips 83 may also be installed in plural numbers.

본 실시예에서, 슬롯(82)은 양단이 개구된 관통구조 또는 양단이 밀봉된 요홈구조이다.In this embodiment, the slot 82 is a through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or a groove structure with both ends sealed.

관통구조일 때, 분리장치(200)는 반경방향으로 꺼낼 수 있고,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구동될 수도 있고; 밀봉된 요홈구조일 때, 분리장치(200)는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꺼낼 수 있다.When the penetrating structure, the separator 200 can be pulled out in the radial direction, and can be driven while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When it is a sealed groove structure, the separator 200 can be taken out while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나아가, 슬롯(82)이 양단이 개구된 관통구조일 때, 슬롯(82) 일단 또는 양단에는 가이드 구조(88)가 설치된다. 재차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케이스(100)상의 입출구 위치가 고정되었기에, 아주 간편한 방식으로서 슬롯(82) 일단에 가이드 구조(88)를 설치하되, 여기서 가이드 구조(88)는 나팔구 모양이고, 변부는 호형 또는 직선구조일 수 있으며, 가이드 구조(88)의 개구가 슬롯(82)보다 큰 규격에 의해, 서클립(83)에 삽입될 때 이를 가이드하여, 삽입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Furthermore, when the slot 82 is a through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a guide structure 88 is install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slot 82 . What needs to be explained again is that since the position of the inlet and outlet on the case 100 is fixed, a guide structure 88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lot 82 as a very simple method, where the guide structure 88 is shaped like a trumpet ball, The edge may have an arc or straight structure, and the opening of the guide structure 88 is larger than the slot 82 to guide it when inserted into the circlip 83, so that the insertion efficiency is improved.

실시예8: Example 8:

도20과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기구(7)중 제1 동력전달휠(72)과 제2 동력전달휠(73)은 모두 기어 동력전달 형식이고; 모터(71)는 동력을 제공하고, 제1 동력전달휠(72)은 모터(71)의 동력을 제2 동력전달휠(73)에 전달하고; As shown in Figures 20 and 21, 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are of gear power transmission type; The motor 71 provides power,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transmits the power of the motor 71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잠금구조(8)는 제2 동력전달휠(73)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81), 제1 회전축(81) 단부에 설치되는 제1 멈춤쇠(86), 분리장치(200)에 설치되어 제1 멈춤쇠(86)와 원주 클램핑을 이루는 제2 멈춤쇠(87)를 포함한다.The locking structure 8 is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8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the first detent 86 installed on the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81, and the separator 200 and a second detent 87 forming a circumferential clamping with the first detent 86.

여기서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제1 멈춤쇠(86)와 제2 멈춤쇠(87)가 걸림될 때, 제1 회전축(81)이 회전될 때 분리장치(200)가 회전되도록 이끌어 줄 수 있어, 분리장치(200)를 탈착할 때, 분리장치(200)를 눌러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장치(200)를 회전시켜 제2 멈춤쇠(87)가 제1 멈춤쇠(86)와 당접되는 위치로부터 이탈되게 함으로써, 분리장치(200)를 케이스(100)내에서 원활하게 꺼낸다. What needs to be explained here is that when the first detent 86 and the second detent 87 are engaged, when the first rotating shaft 81 is rotated, the separator 200 can be guided to rotate. , When detaching the separation device 200, press the separation device 200 to rotate the separation device 2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detent 87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detent 86 By causing the separator 200 to be released from the position, the separation device 200 is smoothly taken out from the case 100.

탈착의 편리를 위해, 제1 멈춤쇠(86)와 제2 멈춤쇠(87)는 180도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1 멈춤쇠(86)와 제2 멈춤쇠(87)를 모두 포함하여, 멈춤쇠 사이에 비교적 큰 간격을 형성하여, 물체가 통과되도록 허용할 수 있어, 분리장치(200)를 임의로 꺼내는데 도움이 된다. For convenience of detachment, the first detent 86 and the second detent 87 include both a pair of first detent 86 and second detent 87 installed at 180 degrees, detent Creating a relatively large gap between them can allow objects to pass through, which is helpful in taking out the separator 200 arbitrarily.

재차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제2 멈춤쇠(87)는 분리장치(200) 드럼 바디에 직접 설치된다. 드럼 바디에는 기타 분리기구의 필요특징이 더 있지만, 본문의 중점이 아니므로,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Needing to be explained again, the second detent 87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drum body of the separator 200. The drum body has other necessary features of the separation mechanism, but since it is not the focus of the text, it will not be further described.

나아가, 제1 회전축(81)의 축중심과 제2 동력전달휠(73)의 축중심, 및 분리장치(200)의 축중심은 동일한 직선 상에 있다.Furthermore, the axial center of the first rotating shaft 81, the axial center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axial center of the separator 200 are on the same straight line.

제2 동력전달휠(73)은 제1 회전축(81)에 의해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제1 멈춤쇠(86)와 제2 멈춤쇠(87)가 당접될 때의 걸림 결합은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고;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is fixed on the case 100 of the pet toilet by the first rotation shaft 81, and when the first stop 86 and the second stop 87 are in contact Engagement is for transmitting power;

제2 동력전달휠(73), 모터(71)는 모두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분리기구 드럼 바디는 애완동물 화장실 케이스(100)상에 안착된다. 구체적인 연결, 안착방식은 본 고안의 중점이 아니므로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motor 71 are all fixed on the pet toilet case 100, and the separator drum body is seated on the pet toilet case 100. Specific connection and seating methods are not the focu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are not described further.

상기 고안원리에 기반하여, 애완동물 화장실 제품 구조 설계방면은 동력전달기구(7)를 케이스(100) 내부에 넣어, 분리기구 제2 멈춤쇠(87)와 결합되는 제1 멈춤쇠(86)를 노출하기만 하면, 동력전달기구를 완전히 은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design principle, the pet toilet product structure design aspect puts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inside the case 100, and the first detent 86 coupled to the second detent 87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s long as it is exposed, the purpose of completely concealing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an be achieved.

상기 고안원리에 기반하여, 분리기구의 회전축 중심은 제1 회전축(81)을 애완동물 화장실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분리기구를 꺼낼 필요가 있을 때, 별도의 조작을 다시 진행할 필요가 없다.Based on the above design principle, the center of the rotation axis of the separation mechanism is fixed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rotation axis 81 is fixed inside the pet toilet case 100. Accordingly, when the user needs to take out the separation mechanism,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again.

기존의 동력전달기구는 동력 전달 기어를 분리기구 드럼 바디에 놓고, 본 고안 동력전달기구는 분리기구와 독립되어 제1 멈춤쇠(86)와 제2 멈춤쇠(87)의 결합방식을 사용하여 동력전달 시스템의 동력을 출력한다.In the existing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power transmission gear is placed on the drum body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ependent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uses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rst detent 86 and the second detent 87 to obtain power Outputs the power of the transmission system.

또한 제1 멈춤쇠(86)와 제2 멈춤쇠(87)의 분리는 간단하여,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제2 멈춤쇠(87)를 제1 멈춤쇠(86)내에서 빼내기만 하면 된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of the first detent 86 and the second detent 87 is simple, just pulling the second detent 87 out of the first detent 86 in the radial or axi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제1 멈춤쇠(86)는 하나만 있을 수 있어, 대응되는 제2 멈춤쇠(87) 역시 한쌍만 있을 수도 있다. 한쌍의 제1 멈춤쇠(86) 사이에 아주 큰 일부공간이 보류되기에, 분리기구가 어떤 각도에 머물러 있든지, 분리기구를 모두 사용자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꺼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re may be only one first detent 86, so there may also be only one pair of corresponding second detents 87. Since a very large partial space is reserved between the pair of first detents 86, no matter what angle the separation mechanism is at, the user can turn the separation mechanism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ake it out.

물론, 제1 멈춤쇠(86)는 여러쌍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데, 대응되는 제2 멈춤쇠(87) 역시 여러쌍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first detent 86 may be installed in several pairs, and the corresponding second detent 87 may also be installed in several pairs.

실시예9: Example 9:

도20과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기구(7)중 제1 동력전달휠(72)과 제2 동력전달휠(73)은 모두 기어 동력전달 형식이고; 모터(71)는 동력을 제공하고, 제1 동력전달휠(72)은 모터(71)의 동력을 제2 동력전달휠(73)에 전달하고; As shown in Figures 20 and 21, 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are of gear power transmission type; The motor 71 provides power,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2 transmits the power of the motor 71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잠금구조(8)는 제2 동력전달휠(73)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81), 제2 동력전달휠(73) 타측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84), 제1 회전축(81) 단부에 설치되는 제1 멈춤쇠(86), 분리장치(200)에 설치되어 제1 멈춤쇠(86)와 원주 클램핑을 이루는 제2 멈춤쇠(87)를 포함한다.The locking structure 8 includes a first rotational shaft 8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 second rotational shaft 84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a first rotational shaft 81 It includes a first detent 86 installed at the end and a second detent 87 installed on the separator 200 to form a circumferential clamping with the first detent 86.

여기서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제1 멈춤쇠(86)와 제2 멈춤쇠(87)가 걸림될 때, 제1 회전축(81)이 회전될 때 분리장치(200)가 회전되도록 이끌어 줄 수 있어, 분리장치(200)를 탈착할 때, 분리장치(200)를 눌러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장치(200)를 회전시켜 제2 멈춤쇠(87)가 제1 멈춤쇠(86)와 당접되는 위치로부터 이탈되게 함으로써, 분리장치(200)를 케이스(100)내에서 원활하게 꺼낸다.What needs to be explained here is that when the first detent 86 and the second detent 87 are engaged, when the first rotating shaft 81 is rotated, the separator 200 can be guided to rotate. , When detaching the separation device 200, press the separation device 200 to rotate the separation device 2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detent 87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detent 86 By causing the separator 200 to be released from the position, the separation device 200 is smoothly taken out from the case 100.

탈착의 편리를 위해, 제1 멈춤쇠(86)와 제2 멈춤쇠(87)는 180도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1 멈춤쇠(86)와 제2 멈춤쇠(87)를 모두 포함하여, 멈춤쇠 사이에 비교적 큰 간격을 형성하여, 분리장치(200)를 임의로 꺼내는데 도움이 된다.For convenience of detachment, the first detent 86 and the second detent 87 include both a pair of first detent 86 and second detent 87 installed at 180 degrees, detent By forming a relatively large gap between them, it is helpful to take out the separator 200 arbitrarily.

재차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제2 멈춤쇠(87)는 분리장치(200) 드럼 바디에 직접 설치된다. 드럼 바디에는 기타 분리기구의 필요특징이 더 있지만, 본문의 중점이 아니므로,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Needing to be explained again, the second detent 87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drum body of the separator 200. The drum body has other necessary features of the separation mechanism, but since it is not the focus of the text, it will not be further described.

나아가, 제1 회전축(81)의 축중심, 제2 회전축(84)의 축중심과 제2 동력전달휠(73) 축중심, 및 분리장치(200)의 축중심은 동일한 직선 상에 있다.Furthermore, the axial center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81, the axial center of the second rotational shaft 84, the axial center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axial center of the separator 200 are on the same straight line.

제2 동력전달휠(73)은 제1 회전축(81)과 제2 회전축(84)에 의해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제1 멈춤쇠(86)와 제2 멈춤쇠(87)가 당접될 때의 걸림 결합은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고;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is fixed on the case 100 of the pet toilet by the first rotational shaft 81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84, and the first detent 86 and the second detent ( 87) is for transmitting power;

제2 동력전달휠(73), 모터(71)는 모두 애완동물 화장실의 케이스(100) 상에 고정되고, 분리기구 드럼 바디는 애완동물 화장실 케이스(100)상에 안착된다. 구체적인 연결, 안착방식은 본 고안의 중점이 아니므로 더이상 진술하지 않는다.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73 and the motor 71 are all fixed on the pet toilet case 100, and the separator drum body is seated on the pet toilet case 100. Specific connection and seating methods are not the focu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are not described further.

상기 고안원리에 기반하여, 애완동물 화장실 제품 구조 설계방면은 동력전달기구(7)를 케이스(100) 내부에 넣어, 분리기구 제2 멈춤쇠(87)와 결합되는 제1 멈춤쇠(86)를 노출하기만 하면, 동력전달기구를 완전히 은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design principle, the pet toilet product structure design aspect puts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7 inside the case 100, and the first detent 86 coupled to the second detent 87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s long as it is exposed, the purpose of completely concealing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an be achieved.

상기 고안원리에 기반하여, 분리기구의 회전축 중심은 제1 회전축(81)과 제2 회전축(84)을 애완동물 화장실케이스(100) 내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분리기구를 꺼낼 필요가 있을 때, 별도의 조작을 다시 진행할 필요가 없다.Based on the above design principle,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separation mechanism is fixed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rotation shaft 8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84 are fixed inside the pet toilet case 100. Accordingly, when the user needs to take out the separation mechanism,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again.

기존의 동력전달기구는 동력 전달 기어를 분리기구 드럼 바디에 놓고, 본 고안 동력전달기구는 분리기구와 독립되어 제1 멈춤쇠(86)와 제2 멈춤쇠(87)의 결합방식을 사용하여 동력전달 시스템의 동력을 출력한다.In the existing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power transmission gear is placed on the drum body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ependent of the separation mechanism and uses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rst detent 86 and the second detent 87 to obtain power Outputs the power of the transmission system.

또한 제1 멈춤쇠(86)와 제2 멈춤쇠(87)의 분리는 간단하여,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제2 멈춤쇠(87)를 제1 멈춤쇠(86)내에서 빼내기만 하면 된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of the first detent 86 and the second detent 87 is simple, just pulling the second detent 87 out of the first detent 86 in the radial or axi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제1 멈춤쇠(86)는 하나만 있을 수 있어, 대응되는 제2 멈춤쇠(87) 역시 한쌍만 있을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re may be only one first detent 86, so there may also be only one pair of corresponding second detents 87.

물론, 제1 멈춤쇠(86)는 여러쌍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데, 대응되는 제2 멈춤쇠(87) 역시 여러쌍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first detent 86 may be installed in several pairs, and the corresponding second detent 87 may also be installed in several pairs.

여기서 우선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안으로"는 수용공간 중앙을 향하는 방향이고, "밖으로"는 수용공간 중앙과 멀어지는 방향이다. What needs to be explained here first is that "inward" is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outside" is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본 고안의 설명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는 것은, 용어"중심", "종방향", "횡방향", "길이", "너비", "두께",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탑", "밑""내", "외", "순시침", "역시침", "축방향", "반경방향", "원주방향"등이 가리키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1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고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갖고, 특정된 방향으로 구성 및 조작됨을 의미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고안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erms "center", "longitudinal direction", "transverse direction", "length", "width", "thickness", "top", "bottom", "front" , "After", "Left", "Right", "Vertical", "Horizontal", "Top", "Bottom" "Inside", "Outside", "Instantaneous hand", "Reverse hand", "Axial" The directions or positional relationships indicated by "radial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etc. are based on the direc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 shown in FIG. It does not mean or imply that it has a specific direction and is configured and manipulated in a specific direction, so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limit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밖에, 용어"제1 ", "제2 "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상대적 중요성을 가리키는 것을 의미 또는 암시하거나 가리키는 기술적 특징의 개수를 은연중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이로써, "제1 ", "제2 "를 한정하는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특징을 명시하거나 은연중 내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다수의" 의미는 적어도 두개, 예를 들어 두개, 세개 등을 뜻하는 바, 별다른 명확한 구체적 제한이 없는 한 그러하다. In addition,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implicitly implying the number of technical features indicated, implying, or indicating relative importance. As such, a feature defining “first” or “second” may explicitly imply or implicitly imply at least one of the feature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number of" means at least two, eg two, three, etc., unless otherwise expressly specifically limited.

본 고안에서, 별다른 명확한 규정과 제한이 없는 한, 용어 "장착", "접속", "연결", "고정"등 용어는 광범위하게 이해되는 바, 예를 들어, 고정연결일 수도 있고,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거나, 또는 일체로 될 수 있고;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인 접속일 수도 있고, 중간 매개물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으며, 두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개의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는 바, 별다른 명확한 제한이 없는 한 그러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고안에서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뜻을 이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limited, the terms "mounting", "connection", "connection", "fixing", etc. are widely understood, for example, may be fixed connection or detachable may be integrally connected, or may be integral; It may be a mechanical connection or an electrical connection; It may be a direct connection, it may be connected by an intermediate medium, it may be a communication between two elements or an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lem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pecific meaning of the term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ccording to specific circumstances.

본 고안에서, 별다른 명확한 규정과 제한이 없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 "상" 또는 "하"에 있다는 것은 제1 과 제2 특징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제1과 제2 특징이 중간 매개물에 의해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상방"과"상면"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위 또는 대각선 상방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다는 것을 표시한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방"과 "하면"에 있다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바로 아래 또는 대각선 하방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단지 제1 특징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다는 것을 표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limited, the first feature being “above” or “below” the second feature means that the first and second features are in direct contact, or that the first and second features are in direct contact. Contact can be made indirectly through an intermediary. Also, a first feature being “above,” “above,” and “above” a second feature means that the first feature can be directly above or diagonally above the second feature, or only that the first feature horizontal height is indicates that it is higher than the second feature. A first feature being “below,” “below,” and “under” a second feature means that the first feature can be directly below or diagonally below the second feature, or just that the first feature horizontal height is equal to the second feature. indicates that it is lower than the characteristic.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용어 "하나의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등의 설명은 이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설명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을 결합하여 본 고안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표달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에 한한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밖에, 서로 모순되지 않은 상황에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 및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을 결합하고 조합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herein, reference terms such as “one embodiment”, “some embodiments”, “example”, “specific examples”, or “some examples” refer to specific features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or example, A combination of structures, materials or features is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exemplary representations of the term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ame embodiment or example. In addition, the specific features, structures, materials or characteristics described may be combined in any suitable manner in any one or multiple embodiments or examples. In addition, in a non-contradictory situatio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combine and combine different embodiments or examples and features of different embodiments or example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상기와 같이,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이지만,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를 숙지하고 있는 어떠한 당업자들이든지, 본 고안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어, 본 고안의 보호범위 내에 모두 포괄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is is only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who is familiar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technical scope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lternatively, replacements can be easily considered, and all should be covered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based 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claims.

도면에서 100, 케이스; 200, 분리장치; 300, 드럼 바디; 400, 드럼 기어; 500, 회전축; 600, 입구; 700, 오물 배출구; 800, 구동모터; 900, 모터 출력 기어; 1, 장치 본체; 2, 분리기구; 3, 차폐부; 4, 오물 배출구; 5, 출입구; 6, 하우징; 7, 동력전달기구; 8, 잠금구조; 11, 전통체; 12, 후통체; 20, 여과망; 21, 사판; 22, 제1부분; 23, 제2부분; 24, 봉합부; 25, 제1 집합부; 26, 제2 집합부; 27, 분리홀; 28, 보호판; 31, 배출구; 32, 가이드판; 221, 제1 봉입판; 222, 제2 봉입판; 251, 제1 집합판; 252, 제2 집합판; 71, 모터; 72, 제1 동력전달휠; 73, 제2 동력전달휠; 81, 제1 회전축; 82, 슬롯; 83, 서클립; 84, 제2 회전축; 85, 제3 회전축; 86, 제1 멈춤쇠; 87, 제2 멈춤쇠; 88, 가이드 구조.100 in the drawing, case; 200, separator; 300, drum body; 400, drum gear; 500, axis of rotation; 600, inlet; 700, filth outlet; 800, drive motor; 900, motor output gear; 1, device body; 2, separation mechanism; 3, shield; 4, dirt outlet; 5, doorway; 6, housing; 7,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8, lock structure; 11, traditional body; 12, olfactory body; 20, filter net; 21, Sapan; 22, first part; 23, second part; 24, suture; 25, first assembly unit; 26, second assembly unit; 27, separation hole; 28, protective plate; 31, outlet; 32, guide plate; 221, first sealing plate; 222, second sealing plate; 251, first assembly plate; 252, second assembly plate; 71, motor; 72, a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73,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81, a first rotational shaft; 82, slot; 83, circlip; 84, second rotation shaft; 85, third rotation axis; 86, first detent; 87, second detent; 88, guide structure.

Claims (30)

오물 배출구가 설치된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를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분리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두개의 영역 사이는 상기 분리기구 상에 설치된 분리홀에 의해서만 연통되고;
상기 분리기구는 적어도 일부분 구조가 상기 오물 배출구 주위에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 device body equipped with a waste discharge port;
a separation mechanism installed in the device body to divide the device body into two regions, wherein the two regions are communicated only by a separation hole provided on the separation mechanism;
Th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mechanism has at least a portion of the structure wrapped around the waste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구는 사분기구와 펄링(furling)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사분기구는 상기 오물 배출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사분기구로부터 상기 오물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펄링기구가 연신 설치되고, 상기 펄링기구의 적어도 일부분 구조는 상기 오물 배출구 둘레에 둘러싸이고, 상기 펄링기구는 상기 사분기구와 멀어지는 일측에 펄링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ion mechanism includes a quarter mechanism and a furling mechanism, the quarter mechanism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waste outlet;
The furling mechanism is elongated from the quarter mechanism in the direction of the sewage discharge port, at least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furling mechanism is surrounded by the sewage discharge port, and the furling mechanis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rling mechanism is installed on one side away from the quarter mechanism. Separator made b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펄링기구는 봉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입부는 제1부분, 제2부분 및 봉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각각 상기 오물 배출구의 양측에 위치하여, 모두 상기 사분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봉합부는 상기 제1부분, 상기 제2부분 및 상기 사분기구 사이의 갭을 봉합하여, 상기 펄링기구와 상기 사분기구가 상기 장치 본체를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urling mechanism includes a sealing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ortion, a second portion, and a sealing portio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lth outlet, and are connected to the quarter mechanism;
Th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ling portion seals the gap between the first portion, the second portion, and the quarter mechanism, so that the furling mechanism and the quarter mechanism divide the device body into two region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서로 연결되는 제1 봉입판과 제2 봉입판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1 봉입판과 상기 제2 봉입판은 모두 상기 사분기구와 연결되며; 상기 봉합부는 두개의 상기 제1 봉입판 및 상기 사분기구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include both a first sealing plate and a second sealing plat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oth the first sealing plate and the second sealing plate are connected to the quarter mechanism; The seal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etween the two first sealing plate and the quarter mechanis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펄링기구는 제1 집합부와 제2 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합부는 상기 제1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집합부는 상기 제2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집합부와 상기 제2 집합부 사이는 "八"자형으로 양측으로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urling mechanism includes a first set part and a second set part, the first set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the second set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and the first set part and the second set part are connected.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aggregation parts are stretched to both sides in the shape of an "eigh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합부와 상기 제2 집합부는 모두 제1 집합판과 제2 집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집합판은 상기 제1 봉입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집합판은 상기 제2 봉입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5,
Both the first assembly unit and the second assembly unit include a first assembly plate and a second assembly plate, the first assembly plate is connected to the first encapsulation plate, and the second assembly plate is connected to the second encapsulation plate.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pl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입판과 상기 제2 봉입판 사이의 끼인각은 90도이고, 상기 제1 집합판과 상기 제2 집합판 사이의 끼인각은 90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6,
An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encapsulating plate and the second encapsulating plate is 90 degrees, and an included angle between the first set plate and the second set plate is smaller than 90 degre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펄링기구는 보호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오물 배출구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urling mechanism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plate, the protective plate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and the protective plate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waste outl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기구는 사판이고, 상기 분리홀은 상기 사판에서 상기 오물 배출구와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eparator is a swash plate, and the separation hol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wash plate away from the waste discharge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구는 여과망과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망은 상기 오물 배출구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분리홀은 상기 여과망에 설치되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오물 배출구에 씌워지고, 상기 차폐부의 적어도 일부분 구조는 오물 배출구 상방영역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ion mechanism includes a filtering net and a shielding unit, the filtering ne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waste outlet, the separation hole is installed in the filtering net, the shielding unit is covered with the sewage outle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tructure of the shielding unit is disposed in the wastewater outlet.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hielding the area above the outle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에 배출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0,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ort is further installed in the shiel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홀은 상기 여과망에서 상기 오물 배출구와 멀어지는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hole is installed on one side away from the waste discharge port in the filter ne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직육면체 구조이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여과망과 근접하는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shielding unit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and the outlet is installed on one side adjacent to the filtering ne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 가이드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판은 "八"자형으로 양측으로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1,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guide plates are furthe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outlet, and the guide plates are extended to both sides in an "eight" shap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망상판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0,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elding portion is formed surrounded by a mesh pla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통상구조이고, 상기 장치 본체는 전통체와 후통체로 씌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of the device has a normal structure, and the main body of the device is formed by covering the tubular body and the rear tubular bod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에서, 상기 배출구와 마주하는 일측에 통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1,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hield, a through hole is installed on one side facing the outle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0,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of the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ntrance through which pets can enter and exit.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A pet toilet comprising th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제 19 항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장치, 케이스 내에 은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구 및 상기 분리장치와 상기 동력전달기구 사이에 고정되는 잠금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구조에 의해 상기 분리장치와 상기 동력전달기구 사이의 분리가능식 동력전달 연결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According to claim 19,
A case, the separation device located in the case,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oncealed and installed in the case, and a locking structure fixed between the separation device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e separation device and the power transmission by the locking structure A pet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t implements a detachable power transmission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s.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순차적으로 동력전달 연결되는 모터, 제1 동력전달휠과 제2 동력전달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력전달휠은 상기 잠금구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includes a motor, a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sequentially connected to power transmission, wherein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is connected to the locking structur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조는 상기 제2 동력전달휠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설치되는 슬롯 또는 서클립(circlip), 상기 분리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슬롯 또는 상기 서클립과 맞물리는 서클립 또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im 21,
The lock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rotational shaf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a slot or circlip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a circlip installed on the separator and engaged with the slot or the circlip. Or a separator comprising a slot.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양단이 개구된 관통구조 또는 양단이 밀봉된 요홈구조이고; 상기 슬롯이 양단이 개구된 관통구조일 때, 상기 슬롯 일단 또는 양단에는 가이드 구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slot has a through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or a groove structure with both ends sealed; When the slot is a through structure with both ends open, a pet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structure is installed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slot.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또는 상기 서클립의 개수는 하나 또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pet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slots or the circlip is one or two or more.
제 22 항 또는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조는 상기 제2 동력전달휠 타측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The method of claim 22 or 23 or 24,
The locking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second rotation shaf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조는 상기 분리장치에 설치되는 제3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제3 회전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locking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third rotational shaft installed on the separation device, and the slot is a pet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third rotational shaft.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조는 상기 제2 동력전달휠 일측에 설치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멈춤쇠, 상기 분리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멈춤쇠와 원주 클램핑을 이루는 제2 멈춤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According to claim 21,
The locking structure includes a first rotational shaf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a first detent installed on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a second detent installed on the separator to perform circumferential clamping with the first detent A pet toilet comprising a.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멈춤쇠 또는 상기 제2 멈춤쇠 개수는 한쌍, 두쌍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pet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first detent or the second detent is one pair, two pairs or more.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조는 상기 제2 동력전달휠 타측에 설치되는 제2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locking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second rotation shaf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전달휠과 상기 제2 동력전달휠 사이의 동력전달 구조는 기어 동력전달 구조, 벨트 동력전달 구조, 동기벨트 동력전달 구조 또는 체인휠 동력전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화장실.
According to claim 21,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between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wheel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wheel is a pet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a gear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a belt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a synchronous belt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r a chain wheel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KR2020210003910U 2021-07-02 2021-12-23 Separation device and pet toilet KR20230000090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752389.5A CN113349072A (en) 2021-07-02 2021-07-02 Separating mechanism and pet toilet comprising same
CN202110752389.5 2021-07-02
CN202121503963.5 2021-07-02
CN202121504615.X 2021-07-02
CN202121503984.7 2021-07-02
CN202110752671.3 2021-07-02
CN202110752671.3A CN113383713A (en) 2021-07-02 2021-07-02 Separator and pet lavatory
CN202121504615.XU CN215422178U (en) 2021-07-02 2021-07-02 Separator and pet lavatory
CN202121503963.5U CN215422177U (en) 2021-07-02 2021-07-02 Separator and pet lavatory
CN202121503984.7U CN215836407U (en) 2021-07-02 2021-07-02 Separating mechanism and pet toilet compri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090U true KR20230000090U (en) 2023-01-10

Family

ID=8012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910U KR20230000090U (en) 2021-07-02 2021-12-23 Separation device and pet toile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36243U (en)
KR (1) KR20230000090U (en)
TW (2) TWM628954U (en)
WO (1) WO202327309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3092A1 (en) * 2021-07-02 2023-01-05 北京猫猫狗狗科技有限公司 Separation apparatus and pet toile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104A (en) * 1988-02-01 1989-07-11 Pierson Jr Harry G Automated cat toilet
WO2013160899A1 (en) * 2012-04-26 2013-10-31 Shamir Global Ltd. Animal litter box
TWM450212U (en) * 2012-05-30 2013-04-11 Univ Far East Cat sandbox with electrical/manual cleaning, deodorizing and sterilization
CN203040358U (en) * 2013-01-23 2013-07-10 邱韵 Cat litter accommodating and cleaning device
KR20140138532A (en) * 2013-05-24 2014-12-04 김순자 Toilet for cats
CN203872742U (en) * 2014-04-22 2014-10-15 姚亮 Cat toilet structure
KR101578491B1 (en) * 2014-10-08 2015-12-18 김일환 Companion Animal Waste Treatment Device
CN207653240U (en) * 2017-12-26 2018-07-27 杭州倍趣科技有限公司 It is a kind of to be automatically separated out the intelligent cat litter box of cat just
US20200060221A1 (en) * 2018-08-27 2020-02-27 Petato Technology Limited Litter Collection Device for Efficient Animal Waste Removal and Method Thereof
CN109463289B (en) * 2018-12-07 2021-07-23 林冠华 Basin for pet life
CN210094287U (en) * 2019-04-12 2020-02-21 苏州有邻智能科技有限公司 Pet toilet
CN110089439A (en) * 2019-06-06 2019-08-06 艾辅华 A kind of Pet's toilet
WO2023273092A1 (en) * 2021-07-02 2023-01-05 北京猫猫狗狗科技有限公司 Separation apparatus and pet toilet
CN113349072A (en) * 2021-07-02 2021-09-07 北京猫猫狗狗科技有限公司 Separating mechanism and pet toilet comprising same
CN113383713A (en) * 2021-07-02 2021-09-14 北京猫猫狗狗科技有限公司 Separator and pet lava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3092A1 (en) 2023-01-05
TWM628954U (en) 2022-07-01
JP3236243U (en) 2022-02-07
TW202301970A (en) 2023-01-16
TWI823208B (en)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52731B (en) Pet cat excrement screening plant
KR20230000090U (en) Separation device and pet toilet
JP6218778B2 (en) Juice extractor module
CN113383713A (en) Separator and pet lavatory
CN114403747A (en) Round brush structure and cleaning robot
TW202300006A (en) pet toilet
CN208200556U (en) A kind of livestock-raising sewage disposal device
CN219844474U (en) Pet cat excrement screening plant
CN210976753U (en) Garbage collection device
CN215422177U (en) Separator and pet lavatory
CN213485840U (en) Grass trimmer
CN210632199U (en) Piglet feed micro-crushing system
CN114342812B (en) Separation device and pet toilet thereof
CN115918552A (en) Pet cat excrement screening plant
CN209463901U (en) A kind of bio-toilet
CN111877236A (en) Municipal administration poplar wadding cleaning device
CN219165372U (en) Automatic cat litter basin
CN220809741U (en) Water robot
CN216654728U (en) Compound breaker of caking material
CN218484450U (en) Dust collector convenient for adsorbing large-particle impurities
CN215232654U (en) High efficiency sewage treatment device
CN212678041U (en) Pig house with excrement and urine centralized processing mechanism
CN214936162U (en)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device for water outlet of tap water plant
CN218554196U (en) High titanium slag breaker
CN215742208U (en) Solid-liquid separation integrated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