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690A -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690A
KR20220170690A KR1020210081862A KR20210081862A KR20220170690A KR 20220170690 A KR20220170690 A KR 20220170690A KR 1020210081862 A KR1020210081862 A KR 1020210081862A KR 20210081862 A KR20210081862 A KR 20210081862A KR 20220170690 A KR20220170690 A KR 20220170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auxiliary power
power supply
control device
ground 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013B1 (ko
Inventor
박수아
강동배
변재홍
정규조
이원용
이호심
이재옥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21008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0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84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control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은 보조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부하군; 복수의 상기 부하군에 속하는 부하들이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 및 상기 보조전원장치에서 접지고장 정보가 올라오면 차단이 가능한 부하들 중, 해당 접지고장을 발생시키는 부하를 탐색하여 격리시키는 열차종합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를 포함하여 별도의 배선작업이나 추가적인 장치 설치 없이 소프트웨어 로직 변경만으로 접지(선간단락) 발생부위를 찾아 격리시킨 후 정상운행이 가능하게 하므로 간단한 로직 변경만으로 열차 운용 안전성을 향상 및 차량 운행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ISOLATING A FAULTY LOAD IN A STATIC INVERTER FOR AN ELECTRIC RAILWAY}
본 발명은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운행 중 보조전원 접지(선간단락) 고장 발생 시 해당 보조전원장치를 차단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기동할 수 있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일반 중고장 시 해당 보조전원장치를 차단하고 연장급전을 통해 부하전원을 공급하지만, 접지(선간단락) 고장 시에는 사고 전류가 확산되지 않도록 연장급전 투입을 방지하기 때문에 반 편성(혹은 1/3편성)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경우 보조전원장치의 주요 부하 중의 하나인 주변압기 오일펌프 모터 혹은 주변압기 냉각팬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일부 동력(최악의 경우 1/3동력)만 남게 되고 이는 곧 열차운행 중지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냉난방장치(3량 혹은 4량) 전원공급이 안되므로 승객들에게 큰 불편을 야기시킨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기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보조전원장치 중, 중고장이 발생한 제1 보조전원장치(1), 부하 단에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접한 정상상태의 제2 보조전원장치(2), 고장 난 제1 보조전원장치(1)와 정상 상태의 제2 보조전원장치(2) 간 전원 라인이 서로 인통 될 수 있도록 개방 및 차단을 시켜주는 연장급전 접촉기(3), 및 연장급전 조건을 파악하여 연장급전 투입여부를 결정해주는 종합제어장치(4)를 포함한다.
한 개의 상기 제1 보조전원장치(1)에서 중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중고장 정보가 상기 종합제어장치(4)로 전달되며, 해당 종합제어장치(4)는 연산을 통해 접지고장(선간단락) 이외의 중고장일 경우 상기 연장급전 접촉기(3)를 투입하여 인접한 정상 상태에 있는 상기 제2 보조전원장치(2)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라인을 인통 시킨다.
그러나 접지고장(선간단락) 중고장일 경우 상기 제1 보조전원장치(1)의 중고장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연장급전 접촉기(3) 투입을 차단하여 인접한 상기 제2 보조전원장치(2)까지 사고전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메커니즘을 갖는 종래 시스템은 제1 보조전원장치(1)의 일부 부하에서 접지고장(선간단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보조전원장치(1)는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고전류 확산방지를 위해 기동 정지하여 전체 편성 중, 반편성의 전체 보조전원장치 부하에 전원공급이 중지되며, 고장유닛에 연장급전이 불가하여 최소한의 영업운전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어 열차운행에 차질이 발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0627호(2015.07.24)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은 상술한 접지 및 선간단락이 발생하여도 해당 부위를 찾아 부하를 격리시킨 후 보조전원장치가 지속적으로 가동하여 차량이 정상 운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은 보조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부하군; 복수의 상기 부하군에 속하는 부하들이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 및 상기 보조전원장치에서 접지고장 정보가 올라오면 차단이 가능한 부하들 중, 해당 접지고장을 발생시키는 부하를 탐색하여 격리시키는 열차종합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방법은 (a)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로부터 고장을 접수하는 단계; (b)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상기 보조전원장치로부터 접수한 고장이 접지고장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상기 (b)단계에서 접지고장으로 판단한 경우, 모든 부하를 차단하는 단계; (d) 상기 보조전원장치가 소정시간 간격으로 재기동하는 단계; (e)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상기 보조전원장치의 재기동 후 고장부하를 탐색하는 단계; (f)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상기 (e)단계에서 탐색한 고장부하를 격리하는 단계; 및 (g) 상기 보조전원장치가 재기동함에 따라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격리되지 않은 모든 부하에 전원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방법의 (e)단계는 (e-1)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복수의 부하 중 첫 번째 부하에 상기 보조전원장치의 전원을 투입하는 단계; (e-2)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첫 번째 부하에 전원투입 후, 상기 보조전원장치에서 접지고장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e-3)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상기 (e-2) 단계에서 상기 보조전원장치에서 접지고장이 발생하면, 첫 번째 부하를 고장부하로 탐색하고 차단하는 단계; 및 (e-4)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상기 (e-2) 단계에서 상기 보조전원장치에서 접지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두 번째 부하에 상기 보조전원장치의 전원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은 기존의 시스템에서 별도의 배선작업이나 추가적인 장치 설치 없이 소프트웨어 로직 변경만으로 접지(선간단락) 발생부위를 찾아 격리시킨 후 정상운행이 가능하게 하므로 간단한 로직 변경만으로 열차 운용 안전성을 향상 및 차량 운행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연장급전을 설명하기 위한 전동차 편성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의 구성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방법의 플로우차트 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방법 중, 고장부하 탐색 방법의 플로우차트 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간선형 전기동차 편성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은 제어차(TC)에 탑재되어 열차 정보 관리 시스템의 역할을 하는 열차종합 제어장치(100), 상기 제어차(TC)에 각각 1대씩 설치되는 보조전원장치(200), 구동차(M')에 각각 1대씩 설치되는 주변압기, 오일펌프, 또는 냉각팬에 해당하는 제1 부하군(300), 각 차량에 1대씩 설치되며 승객 서비스와 밀접한 부하로 냉난방장치 또는 객실송풍기에 해당하는 제2 부하군(400), 및 상기 제어차(TC)에 설치되며 공기압축기를 동작시켜주는 공기압축기 기동장치에 해당하는 제3 부하군(500)을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제1 부하군(300)에 해당하는 주변압기, 오일펌프 또는 냉각팬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추진동력을 상실하여 열차운행 중지 및 구원운전을 초래한다.
또한, 상기 제2 부하군(400)에 해당하고 승객 서비스와 밀접한 냉난방장치에 전원이 차단된 경우, 하절기 냉방장치 또는 동절기 난방장치 중지로 승객의 불편을 야기한다.
또한, 상기 제3 부하군(500)에 해당하는 공기압축기 기동장치에 전원이 차단된 경우 공기압축기 기동이 정지되어 제동이 불가능하고, 판토그래프 압력상승 부족 등 차량 안전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상술한 제1 부하군(300) 내지 제3 부하군(500)은 상기 보조전원장치(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기 때문에 해당 보조전원장치(200)의 기능이 상실되면, 부하군에 속한 장치들의 기능이 모두 상실된다.
상기에서 전기철도차량의 부하를 제1 내지 제3 부하군(300, 400, 500)으로 한정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전기철도차량의 부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의 복수의 부하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에 의한 고장부하를 탐색하고 격리시키는 동작을 도 3 및 아래의 [표 1]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한 대의 상기 보조전원장치(200)로부터 접지고장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순차기동을 통해 접지부위를 찾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에서 접지고장(1회) 정보가 올라오는 즉시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고장이 발생한 해당 보조전원장치(200)에 연결된 제1 내지 제3 부하군(300,400,500)의 부하 중 차단 가능한 부하를 차단시킨다.
상기 제1 내지 제3 부하군(300,400,500)의 부하 중 차단 가능한 부하는 접지고장을 발생시키는 부하일 수 있다.
접지고장 발생 후 상기 보조전원장치(200)가 자동 재기동하게 되면,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분리되어 있던 부하군의 부하들을 제어차(Tc) 차량부터 순차적으로 전원을 투입하여 부하들을 동작시킨다.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부하군(300,400,500)의 부하 중 접지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차단 가능한 부하에 전원을 하나씩 투입하면서 상기 보조전원장치(200)로부터 접지고장이 입력되는지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특정 부하(접지가 발생한 부하)를 동작시키는 순간 상기 보조전원장치(200)로부터 접지고장 정보(2회)를 입력받는다.
상기 열차종합제어장치(100)는 고장이 입력된 시점에 투입된 부하에서 접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부하 장치의 기동을 차단하며 해당 부하 장치의 접지고장을 표시 및 기록한다.
상기 보조전원장치(200)는 두 번째 경고장 발생으로 자동 재기동하며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격리되었던 정상 부하들에 전원을 모두 투입하여 전원을 정상 공급해주고, 차단된 부하를 차량 재기동 시까지 계속 차단하여 운행하도록 한다.
순서 고장 보조전원장치(200) 열차종합 제어장치(100)
0 고장 없음 정상동작 부하전원 투입 중
1 접지고장 발생(1회) 정지, 접지고장신호 출력 전체 부하 차단
2 - 재기동 부하 순차 투입
3 접지고장 발생(2회) 정지, 접지고장신호 출력 전체 부하 차단고장 시점에 투하된 부하 격리
4 - 재기동 격리한 부하를 제외하고부하전원 투입
5 고장 없음 정상동작 격리부하를 제외한 모든 부하전원 투입하여 정상운행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으면서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에 의한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200)로부터 고장을 접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이후,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상기 보조전원장치(200)로부터 접수한 고장이 접지고장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0).
상기 S200 단계에서 접지고장이 아닌 경우 연장급전 단계(S300`)를 수행하고, 접지고장인 경우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부하군(300,400,500)의 부하 중 접지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차단 가능한 부하를 차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0).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에 의해 부하가 차단되면, 상기 보조전원장치(200)는 소정시간 간격으로 재기동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
참고로,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의 부하차단과 상기 보조전원장치의 재기동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의 소정시간 간격으로 재기동함에 따라 고장부하를 탐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0).
고장부하를 탐색하는 상기 S500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재기동한 보조전원장치(200)의 전원을 전기철도차량에 편성된 상기 제어차(TC), 구동차(M') 등에 탑재된 제1 내지 제3 부하군(300,400,500)의 부하 중 접지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차단 가능한 부하에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고장부하를 탐색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부하군(300,400,500)의 부하 중 접지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차단 가능한 복수의 부하 중 첫 번째 부하에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의 전원을 투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10).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첫 번째 부하에 전원투입 후,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에서 접지고장(선간단락)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20).
전원 투입 후, 상기 S520 단계에서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에서 접지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첫 번째 부하를 고장부하로 탐색하고 차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30).
상기 S520 단계에서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에서 접지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두 번째 부하에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의 전원을 투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10a).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두 번째 부하에 전원투입 후,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에서 접지고장(선간단락)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20a).
전원 투입 후, 상기 S620a 단계에서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에서 접지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두 번째 부하를 고장부하로 탐색하고 차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30a).
상기 S520a 단계에서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에서 접지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마지막 N 번째 부하에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의 전원을 투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10b).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N 번째 부하에 전원투입 후,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에서 접지고장(선간단락)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20b).
전원 투입 후, 상기 S520b 단계에서 상기 보조전원장치(200)에서 접지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N 번째 부하를 고장부하로 탐색하고 차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30b).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첫 번째 부하부터 N 번째 부하까지 전원을 투입해 가면서 접지고장이 발생한 부하를 탐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상기 S500 단계에서 탐색한 고장부하를 격리하는 단계(S600)를 수행하고, 상기 보조전원장치(200)는 재기동하는 단계(S700)를 수행하여,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100)는 격리되지 않은 모든 부하에 전원을 투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800).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열차종합 제어장치
200 : 보조전원장치
300 : 제1 부하군
400 : 제2 부하군
500 : 제3 부하군

Claims (8)

  1. 보조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부하군;
    복수의 상기 부하군에 속하는 부하들이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 및
    상기 보조전원장치에서 접지고장 정보가 올라오면 차단이 가능한 부하들 중, 해당 접지고장을 발생시키는 부하를 탐색하여 격리시키는 열차종합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는
    상기 보조전원장치로부터 1차 접지고장 정보를 수신하면 고장이 발생한 해당 보조전원장치에 연결된 상기 제1 내지 제3 부하군의 부하 중 접지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차단 가능한 부하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는
    상기 보조전원장치를 재기동시켜 분리되어 있던 부하군의 부하들을 제어차 차량부터 순차적으로 전원을 투입시켜 부하들을 동작시키고, 동작시키는 순간 상기 보조전원장치로부터 2차 접지고장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해당 부하를 접지가 발생한 부하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는
    상기 보조전원장치가 기동하여 2차 접지고장 정보를 발생시킨 부하를 접지고장으로 표시, 기록하고, 격리한 후, 나머지 정상 부하들에 전원을 정상 공급해주고, 격리된 부하를 차량 재기동시까지 계속 격리하여 운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
  5. (a)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장치로부터 고장을 접수하는 단계;
    (b)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상기 보조전원장치로부터 접수한 고장이 접지고장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상기 (b)단계에서 접지고장으로 판단한 경우, 모든 부하를 차단하는 단계;
    (d) 상기 보조전원장치가 소정시간 간격으로 재기동하는 단계;
    (e)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상기 보조전원장치의 재기동 후 고장부하를 탐색하는 단계;
    (f)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상기 (e)단계에서 탐색한 고장부하를 격리하는 단계; 및
    (g) 상기 보조전원장치가 재기동함에 따라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격리되지 않은 모든 부하에 전원을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e-1)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복수의 부하 중 첫 번째 부하에 상기 보조전원장치의 전원을 투입하는 단계;
    (e-2)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첫 번째 부하에 전원투입 후, 상기 보조전원장치에서 접지고장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e-3)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상기 (e-2) 단계에서 상기 보조전원장치에서 접지고장이 발생하면, 첫 번째 부하를 고장부하로 탐색하고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e-4)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상기 (e-2) 단계에서 상기 보조전원장치에서 접지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두 번째 부하에 상기 보조전원장치의 전원을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종합 제어장치가 복수의 부하에 대해 상기 (e-1) 단계 내지 (e-4) 단계를 반복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방법.
KR1020210081862A 2021-06-23 2021-06-23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11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862A KR102511013B1 (ko) 2021-06-23 2021-06-23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862A KR102511013B1 (ko) 2021-06-23 2021-06-23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690A true KR20220170690A (ko) 2022-12-30
KR102511013B1 KR102511013B1 (ko) 2023-03-16

Family

ID=8453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862A KR102511013B1 (ko) 2021-06-23 2021-06-23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0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024U (ko) * 1995-11-14 1997-06-18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보조전원장치의 자동연장급전회로
KR20000025964A (ko) * 1998-10-16 2000-05-06 추호석 보조전원장치의 제어방법
KR20080039712A (ko) * 2006-11-01 2008-05-07 현대로템 주식회사 다중 보조전원장치를 갖는 3량편성 디젤동차 차량의 연장급전 제어방법
KR20150058826A (ko) * 2013-11-21 2015-05-2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연장급전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024U (ko) * 1995-11-14 1997-06-18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보조전원장치의 자동연장급전회로
KR20000025964A (ko) * 1998-10-16 2000-05-06 추호석 보조전원장치의 제어방법
KR20080039712A (ko) * 2006-11-01 2008-05-07 현대로템 주식회사 다중 보조전원장치를 갖는 3량편성 디젤동차 차량의 연장급전 제어방법
KR20150058826A (ko) * 2013-11-21 2015-05-29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연장급전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KR101540627B1 (ko) 2013-11-21 2015-08-06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연장급전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013B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6722B2 (en) High voltage interlock system and control strategy
CN112078366B (zh) 一种电动车辆双电源控制系统及电动车辆
US201703314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iagnostics
KR101371854B1 (ko) 절연저항측정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누전진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1032008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electrical system having at least two onboard subsystems
CN113352898B (zh) 用于电池电动车辆的跛行回家模式
EP3922502A1 (en) Rail transit train and fault protection method thereof
US9030140B2 (en) In-vehicle power supply system with multiple voltage-reducing devices
EP1350942B1 (en) Thrust control malfunction accommodation system and method
US201602886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driving for fuel cell vehicle
JP3919472B2 (ja) 車両用内燃機関制御装置
KR102511013B1 (ko) 전기철도차량 보조전원장치 고장부하 탐색 및 격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01765A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JP4946161B2 (ja) 車載バッテリー監視システム
US100867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ally driven accessories
CN103889768B (zh) 切断电动电机的电源的安全方法及相应的设备
CN112373522B (zh) 紧急牵引分级控制方法、存储介质、设备、网络系统及轨道车辆
US106618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omotive diagnostics
US4419588A (en) Security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s for light aircraft equipped for flight on instruments
CN108725206B (zh) 一种电动车辆的控制方法及使用该控制方法的电动车辆
CN111559247A (zh) 一种电动汽车上电控制方法
US6781808B2 (en) Method for detecting electrical faulty conditions in power devices of a propulsion system
KR100770712B1 (ko) 철도 차량용 hvac 시스템의 백업 제어장치
KR102548307B1 (ko) 전기 자동차의 감전사고 방지방법
KR102447817B1 (ko) 고전압 인터락 검출기능이 구비된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