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581A -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 - Google Patents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581A
KR20220170581A KR1020210081598A KR20210081598A KR20220170581A KR 20220170581 A KR20220170581 A KR 20220170581A KR 1020210081598 A KR1020210081598 A KR 1020210081598A KR 20210081598 A KR20210081598 A KR 20210081598A KR 20220170581 A KR20220170581 A KR 20220170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main
main body
branch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971B1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8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971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aving lapped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eld in expanded condition in radial direction prior to instal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배전 선로의 본선의 피박부위를 수용하는 메인바디, 본선과 유격되게 배열되는 분기선의 피박부위를 수용하는 서브바디, 및 대응되는 본선과 분기선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연결 지지하는 경질로 이루어지고 대응되는 본선과 분기선을 연결하는 점핑선을 삽입하는 리지드서포트튜브를 포함하여, 본선과 분기선의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INSULATION SLEEVE FOR LIVE FRONT OPERATE IN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출된 도체를 포함한 본선을 튜빙(tubing)하는 메인바디와 노출된 도체를 포함한 분기선을 튜빙(tubing)하는 서브바디를 경질의 리지드서포트튜브(지지대)로써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리지드서포트튜브에 의해 본선과 분기선이 접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고,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상호 지지함에 따라 메인바디와 서브바디에 가해지는 내부응력(스트레스)의 해소가 가능한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선과 분기선을 슬리브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본선 및 분기선의 피복을 벗겨, 슬리브 양단의 내측 홈에 끼운 후, 슬리브를 압착한다.
이 경우, 도심지 계통 단순화 및 건주 민원 해소를 위한 공중분기 공법 적용시 가섭선의 수평 횡하중 및 수평 종하중으로 인한 접속개소 스트레스 발생에 의한 단선고장 및 여름철 전선의 팽창에 따른 상하단 전선 접촉에 의한 고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중분기 설치개수 점퍼선의 탈락에 의한 고장 및 정전의 감소를 위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55886호(2019.05.24. 공개, 발명의 명칭 : 슬리브)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노출된 도체를 포함한 본선을 튜빙(tubing)하는 메인바디와 노출된 도체를 포함한 분기선을 튜빙(tubing)하는 서브바디를 경질의 리지드서포트튜브로써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리지드서포트튜브에 의해 본선과 분기선이 접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고,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상호 지지함에 따라 메인바디와 서브바디에 가해지는 내부응력(스트레스)의 해소가 가능한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는: 배전 선로의 본선의 피박부위를 수용하는 메인바디; 상기 본선과 유격되게 배열되는 분기선의 피박부위를 수용하는 서브바디; 및 대응되는 상기 본선과 상기 분기선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를 연결 지지하는 경질로 이루어지고, 대응되는 상기 본선과 상기 분기선을 연결하는 점핑선을 삽입하는 리지드서포트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본선을 삽입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이 절개된 메인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분기선을 삽입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이 절개된 서브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는 절연부재에 의해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는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지드서포트튜브 또는 상기 커버는 스틱걸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는 노출된 도체를 포함한 본선을 튜빙(tubing)하는 메인바디와 노출된 도체를 포함한 분기선을 튜빙(tubing)하는 서브바디를 경질의 리지드서포트튜브로써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리지드서포트튜브에 의해 본선과 분기선이 접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상호 지지함에 따라 메인바디와 서브바디에 가해지는 내부응력(스트레스)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를 설치하는 요부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를 설치하는 요부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100)는 메인바디(110), 서브바디(120) 및 리지드서포트튜브(1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100)는 공중에 배열되는 배전 선로의 본선(10)과 분기선(20)이 유격 간격을 유지하거나 최소한 서로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선(10)과 분기선(20)이 공중분기슬리브(100)에 의해 서로 접하지 않음에 따라 상호 접함에 의한 화재 발생이 방지된다.
공중분기슬리브(100)의 메인바디(110)는 배전 선로의 본선(10)의 피박부위(도체)를 포함하여 수용한다. 이를 위해, 메인바디(110)는 본선(10)을 축 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해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메인바디(110)는 절연 재질 또는 비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메인바디(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서브바디(120)는 본선(10)과 상하 방향 또는 평면상 전후 방향으로 유격되게 배열되는 분기선(20)의 피박부위(도체)를 포함하여 수용한다.
그래서, 서브바디(120)는 분기선(20)을 축 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해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서브바디(120)는 절연 재질 또는 비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메인바디(110)는 본선(1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이 절개되어 메인절개부(112)를 형성한다. 그래서, 메인바디(110)는 메인절개부(112)를 기준으로 벌어지며 본선(10)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서브바디(120)는 분기선(2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이 절개되어 서브절개부(122)를 형성한다. 그래서, 서브바디(120)는 서브절개부(122)를 기준으로 벌어지며 분기선(20)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리지드서포트튜브(130)는 대응되는 본선(10)과 분기선(20)의 상하 또는 전후 이격거리를 유지한 채 메인바디(110)와 서브바디(120)를 연결 지지하도록 경질로 이루어진 채 메인바디(110)와 서브바디(120)를 연결한다.
그리고, 리지드서포트튜브(130)는 대응되는 본선(10)과 분기선(20)을 연결하는 점핑선(30)을 삽입한다. 이로써, 리지드서포트튜브(130)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리지드서포트튜브(130)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메인바디(110)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메인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메인바디(110)와 리지드서포트튜브(130)가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경우, 메인바디(110)는 본선(10)의 배열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지드서포트튜브(130)는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이 서브바디(120)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서브바디(1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서브바디(120)와 리지드서포트튜브(130)가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경우, 서브바디(120)는 분기선(20)의 배열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점핑선(30)은 본선(10)과 분기선(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점핑선(30)을 내부에 삽입하여 보호한다.
아울러, 리지드서포트튜브(130)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리지드서포트튜브(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메인바디(110)는 메인절개부(112)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본선(10)이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고, 서브바디(120)는 서브절개부(122)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분기선(20)이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바디(110)와 서브바디(120)는 대응되는 본선(10)과 분기선(20)을 수용한 후 절연부재(140)에 의해 감싸여진다.
절연부재(140)는 본선(10)이 메인바디(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기선(20)이 서브바디(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절연부재(140)는 절연 테이프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메인바디(110), 서브바디(120) 및 절연부재(140)는 장기간 햇빛 등 외부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열화 등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메인바디(110)와 서브바디(120)는 커버(150)에 의해 커버링됨으로써 보호된다.
편의상, 커버(150)는 메인바디(110) 및 서브바디(120) 각각을 덮어 보호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커버(150)는 배가름 형태로 형성되어 메인바디(110) 및 서브바디(120)를 덮어씌우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커버(150)는 배가름 형태의 절개 부위를 후크 등으로 결속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임의적으로 공중분기슬리브(1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커버(1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절연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커버(15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메인바디(110)와 서브바디(120) 및 리지드서포트튜브(130), 또는 메인바디(110)와 서브바디(120)를 개별적으로 덮어 보호할 수도 있고, 1개 구비되어 메인바디(110), 서브바디(120) 및 리지드서포트튜브(130)를 한꺼번에 덮어 보호할 수도 있다. 편의상, 커버(150)는 복수 개가 나뉘어지게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리지드서포트튜브(130) 또는 커버(150)는 공중에서 본선(10), 분기선(20) 또는 공중분기슬리브(100)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 간접활선용 스틱을 임시적으로 걸어두기 위해 스틱걸이(132)를 구비할 수 있다. 스틱걸이(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스틱걸이(132)는 리지드서포트튜브(13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스틱걸이(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스틱걸이(132)가 리지드서포트튜브(130)에 구비되고, 리지드서포트튜브(130)가 커버(150)로 감싸여질 경우, 리지드서포트튜브(130)를 감싸는 커버(150)는 스틱걸이(132)를 노출되게 구비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선 20 : 분기선
30 : 점핑선 100 : 공중분기슬리브
110 : 메인바디 112 : 메인절개부
120 : 서브바디 122 : 서브절개부
130 : 리지드서포트튜브 140 : 절연부재

Claims (5)

  1. 배전 선로의 본선의 피박부위를 수용하는 메인바디;
    상기 본선과 유격되게 배열되는 분기선의 피박부위를 수용하는 서브바디; 및
    대응되는 상기 본선과 상기 분기선의 이격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를 연결 지지하는 경질로 이루어지고, 대응되는 상기 본선과 상기 분기선을 연결하는 점핑선을 삽입하는 리지드서포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본선을 삽입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이 절개된 메인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분기선을 삽입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이 절개된 서브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는 절연부재에 의해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서브바디는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드서포트튜브 또는 상기 커버는 스틱걸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
KR1020210081598A 2021-06-23 2021-06-23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 KR102637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598A KR102637971B1 (ko) 2021-06-23 2021-06-23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598A KR102637971B1 (ko) 2021-06-23 2021-06-23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581A true KR20220170581A (ko) 2022-12-30
KR102637971B1 KR102637971B1 (ko) 2024-02-20

Family

ID=8453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598A KR102637971B1 (ko) 2021-06-23 2021-06-23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9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203Y1 (ko) * 2003-12-17 2004-03-30 한국전기철도기술 주식회사 T자형 접속용 압축 슬리브
KR101686013B1 (ko) *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KR20200094437A (ko) * 2019-01-30 2020-08-07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분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203Y1 (ko) * 2003-12-17 2004-03-30 한국전기철도기술 주식회사 T자형 접속용 압축 슬리브
KR101686013B1 (ko) * 2016-01-27 2016-12-13 이재필 배전선로접속용 분기 슬리브의 이질판 고정장치
KR20200094437A (ko) * 2019-01-30 2020-08-07 한국전력공사 전력선 분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971B1 (ko)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1704B2 (en) Modular wiring system
US11689153B2 (en) Lead assembly for connecting solar panel arrays to inverter
JP6895720B2 (ja) 分岐付ケーブル及びその布設方法
KR20210135197A (ko) 지중케이블의 배선을 위한 입상관의 방수장치
KR20220170581A (ko) 간접활선용 공중분기슬리브
US9389383B2 (en) Hybrid optical fiber cable
US5516302A (en) End feed connector for pre-bussed rigid conduit
KR10162614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커넥터 장치
US10833494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electrical interconnection
CN109155510B (zh) 作为分线盒备件的布置结构以及用于安装该布置结构的方法
CN108879119B (zh) 电缆驳接组件及电缆驳接方法
KR100941474B1 (ko) 도선용 절연 고정구
US20150357085A1 (en) Insulated electric cord
KR200490136Y1 (ko) 가공선로와 지중선로의 연결장치
US1971626A (en) Cable installation
US2021037658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wire stability and protection
JP2001266665A (ja) 光ファイバ複合電力ケーブル
CN215265643U (zh) 一种绝缘阻燃型环保电缆
CN219122987U (zh) 一种分散式布置的集束动态海底电缆
CN220042966U (zh) 一种用于电缆的接地屏蔽
JP2003098362A (ja) 光通信ケーブルの成端箱
AU1026200A (en) Branching device for cables
KR101800025B1 (ko) 광복합 전력 케이블용 광 접속함
US10665971B2 (en) Cable connector and cable termination
JPH08149673A (ja) 集合同軸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