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178A -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178A
KR20220170178A KR1020210080899A KR20210080899A KR20220170178A KR 20220170178 A KR20220170178 A KR 20220170178A KR 1020210080899 A KR1020210080899 A KR 1020210080899A KR 20210080899 A KR20210080899 A KR 20210080899A KR 20220170178 A KR20220170178 A KR 20220170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upport
frame
hous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일
Original Assignee
이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일 filed Critical 이태일
Priority to KR102021008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70178A/ko
Publication of KR20220170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52Base structures or suppor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식 주택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띄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지면과 이격된 데크의 설치로 사용면적 확장이 가능하도록,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어 상측에 주택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 상기 주택지지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하방으로 설치되고 지면에 놓여져, 주택지지프레임이 지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 상기 주택지지프레임에 평행하게끔 지지다리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데크레일;을 포함하여, 마주하게 설치된 데크레일에 의해 데크가 지면과 이격되게 결합되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Support structure of movable house}
본 발명은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식 주택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띄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사용면적 확장이 가능한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주택이란 대지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과 설치가 자유로운 집을 말하며,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축법상 '가설건축물'에 해당하고 제작방식이 간편해 제작 기간이 짧고 제작 비용이 적게 들어, 농막, 주말용 전원주택, 레저용 임시주택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동식 주택 중 농막은, 농가를 운영하면서 필요한 기계나 자재 등을 보관하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농지법상 연면적 20㎡를 넘게 설치할 수 없는바, 통상 농막의 크기는 3m × 6m 를 가진다. 또한, 대지에 고정된 데크를 설치하는 것은 농지를 훼손한다는 명목상 불법으로 간주된다.
근래 농지에 농막을 설치하고, 대지에 고정된 데크를 설치한 불법 증축이 이루어져 관할 구청으로부터 원상복구 명령을 받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불법 설치된 데크를 철거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04884호 '이동식 회전 가변주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식 주택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띄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지면과 이격된 데크의 설치로 사용면적 확장이 가능한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는,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어 상측에 주택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 상기 주택지지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하방으로 설치되고 지면에 놓여져, 주택지지프레임이 지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 상기 주택지지프레임에 평행하게끔 지지다리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데크레일;을 포함하여, 마주하게 설치된 데크레일에 의해 데크가 지면과 이격되게 결합되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된다.
또한, 상기 데크레일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적어도 하나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레일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레일프레임 중 최내측에 위치되는 레일프레임에는, 데크 설치를 위한 데크지지대 또는 데크지지판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은,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프레임모듈과, 제1 지지프레임모듈에 인접하면서 사각틀 형태로 배치된 제2 지지프레임모듈을 형성하되, 상기 데크는, 제1 지지프레임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다리에 설치된 데크레일에 의해 인출되는 제1 데크와, 제2 지지프레임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다리에 설치된 데크레일에 의해 인출되는 제2 데크와, 인출된 제1 데크와 제2 데크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데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는, 상하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를 이루는 다리프레임과, 상기 다리프레임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지면과 맞닿는 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볼트는, 다리프레임과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출라인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프레임은, 주택지지프레임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택지지프레임은, 두 개가 직교하거나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다리프레임의 상부에 끝단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다리에 의해 지면과 이격된 주택지지프레임의 상측에 주택이 설치되므로, 주택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띄워 설치할 수 있으며, 주택지지프레임의 하측에서 지면과 이격되게 구비된 데크가 데크레일에 의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바, 농지법에 위반되지 않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사용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볼트를 조이거나 풀어 지면의 굴곡에 상관없이 주택지지프레임이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배출라인을 통해 다리프레임 내로 유입된 빗물이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 및 지지다리는 조립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어, 단시간 내에 주택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적용되는 데크가 데크레일에 의해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적용되는 데크가 데크레일의 상측에 얹혀지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의 상측에 주택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의 상측에 주택이 설치되고 데크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적용되는 지지다리에 두 개의 주택지지프레임이 직교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적용되는 지지다리에 두 개의 주택지지프레임이 직교하게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적용되는 지지다리에 두 개의 주택지지프레임이 나란히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적용되는 지지다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적용되는 지지다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적용되는 지지다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적용되는 데크레일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에 적용되는 데크레일의 다른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에서는 이동식 주택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띄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지면과 이격된 데크의 설치로 사용면적 확장이 가능하도록,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어 상측에 주택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 상기 주택지지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하방으로 설치되고 지면에 놓여져, 주택지지프레임이 지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 상기 주택지지프레임에 평행하게끔 지지다리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데크레일;을 포함하여, 마주하게 설치된 데크레일에 의해 데크가 지면과 이격되게 결합되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지지프레임(100), 지지다리(200), 데크레일(300)을 포함한다.
주택지지프레임(100)은 바(bar)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사각틀 형태로 배치된다.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은 일부가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생산비용의 절감과 운반의 용이성 측면에서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은, 복수 개의 사각틀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프레임모듈(100a)과, 제1 지지프레임모듈(100a)에 인접하면서 사각틀 형태로 배치된 제2 지지프레임모듈(100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프레임모듈(100a)과 제2 지지프레임모듈(100b)은, 하나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을 공유하게끔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사각틀 형태로 배치된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이 설치되며, 설치될 주택의 크기를 고려하여 단일 또는 복수 개의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을 배치할 수 있다.
지지다리(200)는, 기둥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주택지지프레임(100)의 각 모서리에 하방으로 설치된다. 일 예로,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에 의해 하나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을 공유하는 제1 지지프레임모듈(100a)과 제2 지지프레임모듈(100b)이 형성된 경우, 지지다리(200)는 총 6개가 구비되어 주택지지프레임(1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다리(200)는 하단이 지면과 맞닿도록 놓여져, 주택지지프레임(100)이 지면과 이격되도록 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주택이 지지다리(200)로 인해,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처럼 지면과 이격되게끔 설치되는 주택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지지다리(200)에 의해 지지되는 주택지지프레임(100)의 각 지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끔 지지다리(200)가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지지다리(200)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형태를 이루면서 주택지지프레임(100)과 결합되는 다리프레임(210)과, 다리프레임(210)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지면과 맞닿는 높이조절볼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높이조절볼트(220)을 조이거나 풀면서 해당 다리프레임(210)과 결합된 주택지지프레임(100) 지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바, 사각틀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이 수평을 이루게끔 설치할 수 있다.
다리프레임(210)과 주택지지프레임(100)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주택의 이동과 설치 측면에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리프레임(21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지지프레임(100)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다리프레임(210)에 결합되는 두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을 직교하거나 나란하게 배치하는 것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다리프레임(210)은 주택지지프레임(100)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태인 다리프레임(210)에 두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을 직교하게끔 결합시, 일 주택지지프레임(100)의 끝단부가 다리프레임(210)을 이루는 일측벽에 가장자리가 일치되게끔 하고, 타 주택지지프레임(100)의 끝단부가 상기 일측벽과 직교하는 타측벽에 가장자리가 일치되게끔 할 수 있다. 이때, 일 주택지지프레임(100)의 끝단과, 타 주택지지프레임(100)의 끝단은 상호 맞닿게끔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태인 다리프레임(210)에 두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이 일렬로 나란히 결합시, 일 주택지지프레임(100)의 끝단부와 타 주택지지프레임(100)의 끝단부가 다리프레임(210)을 이루는 일측벽에 가장자리가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프레임(210)을 이루는 측벽과 가장자리가 일치되게 배치된 주택지지프레임(100)은, 다리프레임(210)의 상부에 끝단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다리프레임(210)의 상부에 끼워진 주택지지프레임(100)이 다리프레임(210)의 상단과 상면이 일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지지프레임(100)은 종단면이 하방으로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다리프레임(210)의 상단에서 주택지지프레임(100)과 맞닿는 지점에 주택지지프레임(100)이 끼워지는 제1 결합홈(214)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지지프레임(100)에서 다리프레임(210)의 상단과 맞닿는 지점에 다리프레임(210)이 끼워지는 제2 결합홈(110)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홈(214)과 제2 결합홈(110)이 상호 끼워짐에 따라, 주택지지프레임(100)은, 다리프레임(210)의 상단과 상면이 일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를 이루는 다리프레임(210)에는 상술한 높이조절볼트(220)가 나사결합되고, 결합된 높이조절볼트(22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지지다리(2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프레임(210)에 억지끼워져 고정되며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볼트(220)와 결합되는 볼트결합구(211)와, 볼트결합구(211)의 하측에 구비되어 높이조절볼트(22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로크와셔(212)와 로크너트(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를 이루면서 주택지지프레임(100)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다리프레임(210)은, 주택지지프레임(100)이 결합되더라도 개방된 상단을 통해 빗물이나 이물질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며, 내부로 들어간 이물질로 인해 높이조절볼트(220)의 회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높이조절볼트(22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프레임(210)과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출라인(221)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높이조절볼트(220)에는, 상기 결합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입형성된 배출라인(221)이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리프레임(210) 내로 유입된 빗물이나 이물질은, 배출라인(221)을 따라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데크레일(300)은, 주택지지프레임(100)에 평행하게끔 지지다리(200)의 측면에 결합된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이 제1 지지프레임모듈(100a)과 제2 지지프레임모듈(100b)을 형성하는 경우, 제1 지지프레임모듈(100a)을 지지하는 4개의 지지다리(200)의 측면에 마주하게끔 데크레일(3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지지프레임모듈(100b)을 지지하는 4개의 지지다리(200)의 측면에 마주하게끔 데크레일(3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프레임모듈(100a)을 지지하는 4개의 지지다리(200) 중 2개는 제2 지지프레임모듈(100b)을 지지하는 4개의 지지다리(200) 중 2개로 사용될 수 있다.
마주하게 설치된 데크레일(300)에는 데크(400)가 지면과 이격되게 결합되며, 데크레일(30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4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이 제1 지지프레임모듈(100a)과 제2 지지프레임모듈(100b)을 형성한 경우, 데크(400)는, 제1 지지프레임모듈(100a)을 지지하는 지지다리(200)에 설치된 데크레일(300)에 의해 인출되는 제1 데크(400a)와, 제2 지지프레임모듈(100b)을 지지하는 지지다리(200)에 설치된 데크레일(300)에 의해 인출되는 제2 데크(40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데크(400a)와 제2 데크(400b)가 외부로 인출시, 이격된 상태를 이루는바, 본 발명에서의 데크(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된 제1 데크(400a)와 제2 데크(400b) 이격된 공간에 끼워지는 보조데크(40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보조데크(400c)는 탈착식으로 구비되어, 제1 데크(400a)와 제2 데크(400b)를 인출하고, 하나의 연결된 판 형태를 이루도록 할 시 사용된다.
데크레일(300)은, 구체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적어도 하나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레일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레일프레임(310) 중 최내측에 위치되어 인출되는 레일프레임(310)에는, 데크(400) 설치를 위한 데크지지대(410) 또는 데크지지판(420)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레일프레임(310)으로 구성된 데크레일(300)은, 외측에 위치하는 레일프레임(310)이 지지다리(200)에 설치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레일프레임(310)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내측에 위치하는 레일프레임(310)에는 데크(400)가 얹혀져 결합될 수 있는 데크지지대(41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마주하는 데크레일(300) 중 내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레일프레임(310)에 복수 개의 데크지지대(410)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복수 개의 데크지지대(410)의 상측에 데크(400)가 얹혀져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데크레일(30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3개의 레일프레임(3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최외측에 위치하는 제1 레일프레임(310a)은 지지다리(200)에 설치되고, 제1 레일프레임(310a)과 인접한 내측에 위치한 제2 레일프레임(310b)은 제1 레일프레임(310a)으로부터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고, 최내측에 위치하는 제3 레일프레임(310c)은 제2 레일프레임(310b)으로부터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마주하는 제3 레일프레임(310c)은 마주하는 측을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를 이루어, 데크지지판(420)의 양측 가장자리가 결합될 수 있으며, 데크지지판(420)의 상측에 데크(400)가 얹혀져 결합되거나, 데크지지판(420)의 상측에 복수 개의 데크지지대(410)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데크지지대(410)의 상측에 데크(400)가 얹혀져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3개의 레일프레임(3100으로 구성된 데크레일(300)은, 그 상측에 구비된 데크(400)를 인출하는데 있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일프레임(310b)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오는 제3 레일프레임(310c)의 인출길이가 제1 레일프레임(310a)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오는 제2 레일프레임(310b)의 인출길이보다 짧게끔 구성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데크(400)가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외부로 인출된 데크(400)와 지면 사이에 아웃트리거를 설치하여, 데크(400)가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는, 지지다리(200)에 의해 지면과 이격된 주택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 주택이 설치되므로, 주택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띄워 설치할 수 있으며, 주택지지프레임(100)의 하측에서 지면과 이격되게 구비된 데크(400)가 데크레일(300)에 의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바, 농지법에 위반되지 않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사용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 및 지지다리(200)는 조립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어, 단시간 내에 주택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볼트(220)를 조이거나 풀어 지면의 굴곡에 상관없이 주택지지프레임(100)이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볼트(220)에 형성된 배출라인(221)을 통해 지지다리(200)를 구성하는 다리프레임(210) 내로 유입된 빗물이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100 : 주택지지프레임 100a : 제1 지지프레임모듈
100b : 제 지지프레임모듈 110 : 제2 결합홈
200 : 지지다리 210 : 다리프레임
211 : 볼트결합구 212 : 로크와셔
213 : 로크너트 214 : 제1 결합홈
220 : 높이조절보트 221 : 배출라인
300 : 데크레일 310 : 레일프레임
310a : 제1 레일프레임 310b : 제2 레일프레임
310c : 제3 레일프레임
400 : 데크 400a : 제1 데크
400b : 제2 데크 400c : 제3 데크
410 : 데크지지대 420 : 데크지지판

Claims (5)

  1.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어 상측에 주택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
    상기 주택지지프레임(100)의 각 모서리에 하방으로 설치되고 지면에 놓여져, 주택지지프레임(100)이 지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200);
    상기 주택지지프레임(100)에 평행하게끔 지지다리(200)의 측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데크레일(300);을 포함하여,
    마주하게 설치된 데크레일(300)에 의해 데크(400)가 지면과 이격되게 결합되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레일(3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적어도 하나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레일프레임(310)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레일프레임(310) 중 최내측에 위치되는 레일프레임(310)에는, 데크(400) 설치를 위한 데크지지대(410) 또는 데크지지판(42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주택지지프레임(100)은, 사각틀 형태로 배치되는 제1 지지프레임모듈(100a)과, 제1 지지프레임모듈(100a)에 인접하면서 사각틀 형태로 배치된 제2 지지프레임모듈(100b)을 형성하되,
    상기 데크(400)는, 제1 지지프레임모듈(100a)을 지지하는 지지다리(200)에 설치된 데크레일(300)에 의해 인출되는 제1 데크(400a)와, 제2 지지프레임모듈(100b)을 지지하는 지지다리(200)에 설치된 데크레일(300)에 의해 인출되는 제2 데크(400b)와, 인출된 제1 데크(400a)와 제2 데크(400b)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데크(40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200)는, 상하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기둥 형태를 이루는 다리프레임(210)과, 상기 다리프레임(210)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나사결합되고 하단이 지면과 맞닿는 높이조절볼트(220)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볼트(220)는, 다리프레임(210)과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출라인(221)이 함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프레임(210)은, 주택지지프레임(100)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택지지프레임(100)은, 두 개가 직교하거나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다리프레임(210)의 상부에 끝단부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KR1020210080899A 2021-06-22 2021-06-22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KR20220170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899A KR20220170178A (ko) 2021-06-22 2021-06-22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899A KR20220170178A (ko) 2021-06-22 2021-06-22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178A true KR20220170178A (ko) 2022-12-29

Family

ID=8453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899A KR20220170178A (ko) 2021-06-22 2021-06-22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701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884A (ko) 2017-07-05 2019-01-15 최은희 이동식 회전 가변주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884A (ko) 2017-07-05 2019-01-15 최은희 이동식 회전 가변주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324B2 (en) Field paver connector and restraining system
CA2769400C (en) Support pedestal for supporting an elevated building surface
DK1513430T3 (da) Modulært stativ
US8011156B1 (en) Construction set
US8245651B1 (en) Suspended storage device
US9611597B2 (en) Access structure integration assembly and integrated acces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20011548A1 (en) Single post support
US8176703B2 (en) Shelter structure, in particular for electrical equipments
KR200447684Y1 (ko) 블록형 데크 조립체
US6079177A (en) Removable ceiling panel assembly
KR200442005Y1 (ko) 합성목재 데크의 연결구조
KR20220170178A (ko) 이동식 주택 지지구조
KR101930476B1 (ko)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KR101260667B1 (ko) 데크 플레이트 고정 구조
US9976296B2 (en) Modular deck system
KR200384420Y1 (ko) 비닐하우스용 지주
KR200339622Y1 (ko) 육묘장치
CN216962251U (zh) 一种浴室底座
KR200329188Y1 (ko)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선반
US20230392406A1 (en) A foundation device
CA3102535A1 (en) System of a deck support pier block
JP2005299247A (ja) 施設構造物の固定方法
US20050086732A1 (en) Base structure for modular above ground swimming pools
CN114190798A (zh) 一种浴室底座
JPH08193699A (ja) ガスボンベ載置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