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622Y1 - 육묘장치 - Google Patents

육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622Y1
KR200339622Y1 KR20-2003-0032451U KR20030032451U KR200339622Y1 KR 200339622 Y1 KR200339622 Y1 KR 200339622Y1 KR 20030032451 U KR20030032451 U KR 20030032451U KR 200339622 Y1 KR200339622 Y1 KR 200339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seedling
side frame
frame
seedl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남진
박성태
김상열
강항원
홍연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진농기
박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진농기, 박성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진농기
Priority to KR20-2003-0032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6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6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Abstract

평상시에는 다수개의 육묘상자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해체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개량된 육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육묘장치는 받침 프레임체가 구비된다. 한 쌍의 측면 프레임체는 받침 프레임체의 상면에 세워져 결합되며 다수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연결 프레임은 측면 프레임체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받침 프레임체의 양측면 가장 자리에는 하부 나사공이 관통된 다수의 상향 결합편이 상향으로 돌출된다. 각각의 연결 프레임의 양단에는 상부 나사공이 관통된 하향 결합편이 연장하여 하향으로 절곡된다. 각각의 측면 프레임체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 스크류의 상부 끼움공과 하부 끼움공이 각각 관통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육묘장치는 간단한 고정 스크류의 탈거 작업만으로 해체할 수 있게 되어 육묘장치의 보관시에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농가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육묘장치 {RAISING SEEDINGS APPARATUS}
본 고안은 육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에는 다수개의 육묘상자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해체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개량된 육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장치는 모의 생육을 위한 육묘상자를 다수개 적층시켜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육묘장치는 대략 정방형의 받침 프레임체가 구비된다. 그 받침 프레임체의 양측 단부의 상면에 측면 프레임체가 수직으로 각각 설치된다. 그 받침 프레임체의 상단의 자유단부 사이에는 연결 프레임이 다수개 결합된다. 여기에, 각각의 연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부 끼움고리가 바깥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다. 이와 상응한 위치의 받침 프레임체의 일측과 타측에는 하부 끼움고리가 바깥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의 상부 끼움고리과 받침 프레임의 하부 끼움 고리에는 육묘장치 내에 설치된 육묘상자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 방지봉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유묘장치의 각 구성품인 받침 프레임체, 측면 프레임체 및 연결 프레임은 분해가 불가능하도록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겨울철 등의 경우에 공간을 차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관시 해체 가능하여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개량된 육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묘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및
도 3은 도 1의 A - 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육묘장치
110: 받침 프레임체 112: 상향 결합편
114: 하부 나사공 116: 하부 끼움고리
120: 측면 프레임체 122: 수직 프레임
122a: 상부 끼움공 122b: 하부 끼움공
122c: 결합홈 124: 수평 프레임
136: 상부 끼움고리 130: 연결 프레임
132: 하향 결합편 134: 상부 나사공
140: 이탈 방지봉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받침 프레임체, 상기 받침 프레임체의 상면에 세워져 결합되며 다수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체 및 상기 측면 프레임체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육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체의 양측면 가장 자리에는 하부 나사공이 관통된 다수의 상향 결합편이 상향으로 돌출되고, 각각의 상기 연결 프레임의 양단에는 상부 나사공이 관통된 하향 결합편이 연장하여 하향으로 절곡되고, 각각의 상기 측면 프레임체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 스크류의 상부 끼움공과 하부 끼움공이 각각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상기 받침 프레임체의 상향 결합편과 상기 연결 프레임의 하향 결합편이 끼워져 매몰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육묘장치에 의하면, 육묘장치의 구성품인 받침 프레임체, 측면 프레임체 및 연결 프레임을 고정 스크류에 의해 서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고안의 육묘장치는 간단한 고정 스크류의 탈거 작업만으로 해체할 수 있게 되어 육묘장치의 보관시에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묘장치(100)를 전체적으로 보여준다. 도 2는 도 1에서 보여준 육묘장치(100)의 각 구성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보여준 육묘장치(100)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육묘장치(100)는 받침 프레임체(110)의 상부에 한 쌍의 측면 프레임체(120)가 설치되고, 그 각각의 측면 프레임체(120)의 상단의 자유 단부에는 연결 프레임(130)으로 연결시킨 구성을 갖는다.
받침 프레임체(110)는 대략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을 갖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받침 프레임체(110)의 각 변 중 적어도 두개소 이상에는 하부 나사공(114)을 갖는 다수개의 상향 결합편(112)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받침 프레임체(110)의 저면에는 다수의 바퀴(144)가 설치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체(120)는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122)과 수평 프레임(124)을 종행으로 배열시켜 이루어진다. 측면 프레임체(120)의 수직 프레임(122)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 스크류(142)의 상부 끼움공(122a)과 하부 끼움공(122b)이 각각 관통된다. 측면 프레임체(120)의 일측면에는 결합홈(122c)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체(120)의 수평 프레임(124)은 대략 "ㄴ"자 형으로 형성되어 육묘상자(도시안됨)가 올려질 수 있도록 한다.
연결 프레임(130)은 대략 일자형으로 형성된다. 그 연결 프레임(130)의 양단에는 하향 결합편(132)이 하부 방향으로 연장하여 절곡된다. 하향 결합편(132)에는 상부 결합공(134)이 관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측면 프레임체(120)의 결합홈(122c)은 받침 프레임체(110)의 상향 결합편(112)과 연결 프레임(130)의 하향 결합편(132)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측면 프레임체(120)의 결합홈(122c)의 깊이는 받침 프레임체(110)의 상향 결합편(112)과 연결 프레임(130)의 하향 결합편(132)의 두께 만큼 형성하면 족하다.
또한, 각 연결 프레임(130)의 일측에는 상부 끼움고리(136)가 각각 설치되고 받침 프레임체(110)의 사방 변 중 적어도 두 변에는 하부 끼움고리(116)가 각각 설치된다. 연결 프레임(130)의 상부 끼움고리(136)와 받침 프레임체(110)의 하부 끼움고리(116)에는 이탈 방지봉(140)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육묘장치의 조립 및 분해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육묘장치(100)를 조립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받침 프레임체(110)를 작업장(도시안됨)의 바닥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받침 프레임체(110)의 각 상향 결합편(112)에는 측면 프레임체(120)의 수직 프레임(122)의 하단을 위치시킨다. 이어, 그 수직 프레임(122)의 하부 끼움공(122b)으로 고정 스크류(142)를 통과시킨 후, 수직 프레임(122)의 후방으로 돌출된 고정 스크류(142)를 상향 결합편(112)의 하부 나사공(114)에 체결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측면 프레임체(120)는 받침 프레임체(1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측면 프레임체(120)에 형성된 결합홈(122c)에는 하향 결합편(132)이 끼워져 보다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각 측면 프레임체(120)의 상부의 자유단부에는 연결 프레임(13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술한 과정과 동일 방법으로, 수직 프레임(122)의 상부 끼움공(122a)으로 고정 스크류(142)를 통과시키고, 그 통과된 고정 스크류(142)를 하향 결합편(132)의 상부 나사공(134)에 체결시켜 조립 작업을 완료한다. 마지막으로, 연결 프레임(130)의 상부 끼움고리(136)와 받침 프레임체(110)의 하부 끼움고리(116)에는 이탈 방지봉(140)을 끼운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본 고안의 육묘장치의 결합 상태는 도 3에서 정확히 보여주고 있다. 다수의 고정 스크류(142)에 의해 받침 프레임체(110), 측면 프레임체(120) 및 연결 프레임(130)이 서로 연결되어 육묘장치(100)를 구성하게 된다.
반대로, 본 고안의 육묘장치(100)를 해체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된 조립 과정과는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먼저, 이탈 방지봉(140)은 연결 프레임(130)의 상부 끼움고리(136)와 받침 프레임체(110)의 하부 끼움고리(116)로부터 빼낸다. 이후, 측면 프레임체(120)와 연결 프레임(130)을 연결하고 있던 고정 스크류(142)를 빼내면, 연결 프레임(130)은 측면 프레임체(120)로부터 해체된다. 그리고 나서, 측면 프레임체(120)와 받침 프레임체(110)를 연결하고 있던 고정 스크류(142)를 빼내면, 측면 프레임체(120)는 받침 프레임체(110)로부터 해체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개량된 육묘장치는 다수의 고정 스크류에 의해 육묘장치의 구성품인 받침 프레임체, 측면 프레임체 및 연결 프레임체를 조립함으로써, 간단한 고정 스크류의 탈거 작업만으로 해체할 수있게 되어 육묘장치의 보관시에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상기한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통상의 지식의 범위 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2)

  1. 받침 프레임체(110), 상기 받침 프레임체(110)의 상면에 세워져 결합되며 다수의 수직 프레임(122)과 수평 프레임(124)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체(120) 및 상기 측면 프레임체(12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 프레임(130)으로 구성되는 육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체(110)의 양측면 가장 자리에는 하부 나사공(114)이 관통된 다수의 상향 결합편(112)이 상향으로 돌출되고, 각각의 상기 연결 프레임(130)의 양단에는 상부 나사공(134)이 관통된 하향 결합편(132)이 연장하여 하향으로 절곡되고, 각각의 상기 측면 프레임체(120)의 수직 프레임(122)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 스크류(142)의 상부 끼움공(122a)과 하부 끼움공(122b)이 각각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122)의 일측면에는 상기 받침 프레임체(110)의 상향 결합편(112)과 상기 연결 프레임(130)의 하향 결합편(132)이 끼워져 매몰되는 결합홈(12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장치.
KR20-2003-0032451U 2003-10-16 2003-10-16 육묘장치 KR200339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451U KR200339622Y1 (ko) 2003-10-16 2003-10-16 육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451U KR200339622Y1 (ko) 2003-10-16 2003-10-16 육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622Y1 true KR200339622Y1 (ko) 2004-01-24

Family

ID=4934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451U KR200339622Y1 (ko) 2003-10-16 2003-10-16 육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6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658B1 (ko) 2011-08-25 2013-10-07 한민우 양액 재배용 베드를 지지하는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658B1 (ko) 2011-08-25 2013-10-07 한민우 양액 재배용 베드를 지지하는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6588B2 (en) Knockdown bed
US6681522B2 (en) Flower box
US20080061019A1 (en) Modular rack
CA2622205A1 (en) Shelving system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KR101900162B1 (ko) 가구용 골격 조립 구조
CA3007024A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a stand pole and a beam of a bunk bed and a bunk bed using the structure
KR100533522B1 (ko) 조립식 가구
KR200416201Y1 (ko) 조립구조를 갖는 놀이방의 울타리
KR102075150B1 (ko) 무볼트 조립식 앵글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앵글 조립체
JP3737507B1 (ja) 組立て構造
KR200339622Y1 (ko) 육묘장치
KR20170034061A (ko) 액세서리 부착 격자형 조립식 수납함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KR101327639B1 (ko) 후크걸림 방식을 이용한 분전반 브라켓
KR20110014469A (ko) 프레임 조립장치
KR100517310B1 (ko) 다용도 선반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JP3128281U (ja) 組立棚
US8961058B2 (en) Corner coupling
KR101990044B1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JP2013118894A (ja) シンク下キャビネットの置棚
KR101339717B1 (ko) 고정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테이블
KR200385595Y1 (ko) 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를 갖는 방범창
CN220089089U (zh) 一种拼装式展示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