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374A -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칩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374A
KR20220169374A KR1020217037353A KR20217037353A KR20220169374A KR 20220169374 A KR20220169374 A KR 20220169374A KR 1020217037353 A KR1020217037353 A KR 1020217037353A KR 20217037353 A KR20217037353 A KR 20217037353A KR 20220169374 A KR20220169374 A KR 20220169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bonding
terminal
horizon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9341B1 (ko
Inventor
이위 구오
Original Assignee
우한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한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우한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6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01L27/3276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01L27/325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9Chipl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칩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본딩 영역을 포함한 본딩 영역을 포함하고; 제1본딩 영역은 수평 본딩 영역과 제1경사 본딩 영역을 포함하며; 제1경사 본딩 영역은 제1단 및 제2단을 포함하고, 제2단에서 디스플레이 영역까지의 거리는 제1단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까지의 거리보다 크며; 제1경사 본딩 영역의 본딩 단자 그룹은 계단형인 균등한 간격 또는 불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칩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칩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시장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스크린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의 가장 중요한 매체로서, 소비자는 스크린의 시각 효과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고, 스크린 대 바디 비율에 대한 요구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풀 스크린은 기술을 통해 극히 좁은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대화를 실현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놀라운 시각 효과를 가져온다. 기존 COG(Chip On Glass) 패널 기술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프레임은 팬아웃 배선 영역과, 구동 칩 본딩 영역 및 연성 회로 기판 본딩 영역을 포함한다.
팬아웃 영역과 구동 칩 본딩 영역은 하부 프레임 높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팬아웃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구동 칩 본딩 영역을 연결하는 복수의 신호 배선이 포함되고, 시장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해상도 요구가 점점 더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신호선의 수량도 점점 증가되므로, 팬아웃 영역의 높이가 커지거나 높이를 압축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좁은 프레임 풀 스크린의 설계를 구현하는데 불리하다.
본 발명은 극히 좁은 디스플레이 설계를 실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칩을 제공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아래와 같은 기술 방안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제1방면으로 디스플레이 영역과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향한 방향을 제1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본딩 영역 및 제2본딩 영역을 포함한 본딩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본딩 영역은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평 본딩 영역 및 상기 수평 본딩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 본딩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된 제1경사 본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2방향에 수직되며;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에 연결되는 제1단 및 상기 수평 본딩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제2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에서, 상기 제2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까지의 거리보다 크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의 투영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상기 수평 본딩 영역의 투영의 바깥에 있으며; 및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은 복수의 본딩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계단형인 균등한 간격 또는 불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복수의 제1본딩 단자를 포함하고;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제3단 및 제4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방향에서, 상기 제3단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에 접근하여 있고, 상기 제4단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동일한 행 내에서의 복수의 상기 제1본딩 단자는 상기 제4단으로부터 상기 제3단으로 향해 경사되게 배열되고, 상기 제3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4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본딩 영역 및 상기 제2본딩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팬아웃 영역의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본딩 영역은 상기 팬아웃 영역과 상기 제2본딩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팬아웃 영역은 복수의 팬아웃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본딩 영역은, 복수의 제2본딩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팬아웃 배선의 일부분은 상기 제1본딩 영역 내까지 연장되어 각각 상기 제1본딩 단자와 상기 제2본딩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팬아웃 영역을 마주하는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의 단부의 최고점을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의 정점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방향에서, 상기 제2단에 위치하는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의 정점과 상기 제1단에 위치하는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의 정점의 연결선의 경사각 θ1은 둔각이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100°≤θ1≤179°이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방향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 내의 동일한 위치의 상기 제1본딩 단자의 정점 중심의 연결선의 경사각 θ2은 예각이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10°≤θ2≤85°이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본딩 영역은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과 상기 수평 본딩 영역이 둘러 싼 영역 내에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 내의 상기 제1본딩 단자는 복수의 행으로 분포되고, 인접한 행의 상기 제1 본딩 단자 위치는 엇갈리게 배치된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2경사 본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 본딩 영역과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의 두개의 단부에서 축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구동 칩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칩은 적어도 수평 단자 영역 및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 단자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된 경사 단자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 단자 영역은 복수의 제1구동 단자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구동 단자는 복수의 제1구동 단자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제1구동 단자 및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의 배열 방식은 상기 제1본딩 단자 및 상기 제1본딩 단자 그룹의 배열 방식과 동일하고; 상기 제1구동 단자와 상기 제1본딩 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은 제2방면으로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본딩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은 제3방면으로 구동 칩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 칩은 적어도 수평 단자 영역 및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 단자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된 제1경사 단자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은 제1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은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되는 제2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은 복수의 제1구동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은 상기 수평 단자 영역에 연결되는 제5단 및 상기 수평 단자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제6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연장 영역 상에서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의 투영은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바깥에 있으며; 복수의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은 계단형인 균등한 간격 또는 불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각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은 복수의 제1구동 단자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은 제7단 및 제8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방향에서, 상기 제7단은 상기 수평 단자 영역에 접근하여 있고, 상기 제8단은 상기 수평 단자 영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방향에서, 동일한 행 내의 복수의 상기 제1구동 단자는 상기 제8단으로부터 상기 제7단으로 향해 경사지게 배열되고, 상기 제7단에서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연장 영역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제8단에서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연장 영역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작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각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의 상기 제8단의 최고점을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의 정점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방향에서, 상기 제6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의 정점과 상기 제5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의 정점의 연결선의 경사각은 둔각이며, 상기 둔각은 100° 이상이고 179° 이하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방향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 1구동 단자 그룹 내의 동일한 위치의 상기 제1구동 단자의 정점 중심의 연결선의 경사각은 예각이며, 상기 예각의 크기는 10° 이상이고 85° 이하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 사이는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각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 내의 상기 제1구동 단자는 복수의 행으로 분포되며, 인접한 행의 상기 제1구동 단자 위치는 엇갈리게 배치된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칩은 제2경사 단자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두개의 단부에서 상기 제2경사 단자 영역과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은 축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출원의 유리한 효과는: 1)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제2경사 본딩 영역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고, 수평 본딩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상기 제2경사 본딩 영역의 제2단에서 팬아웃 영역까지의 거리는 수평 본딩 영역에 연결된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상기 제2경사 본딩 영역의 제1단에서 팬아웃 영역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이로 인해, 각 상기 팬아웃 배선의 일부분은 상기 제1본딩 영역 내까지 연장될 수 있어, 상기 팬아웃 영역과 상기 본딩 영역이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따라서 제1방향에서의 상기 팬아웃 영역의 높이가 단축되어, 제 1방향에서의 상기 팬아웃 영역과 상기 본딩 영역의 전체 높이가 단축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프레임의 축소를 실현할 수 있어, 시장에서 추구하는 고해상도를 만족하고 구동 칩의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 전제하에, 극히 좁은 프레임의 설계를 실현할 수 있고; 2) 상기 팬아웃 배선을 위한 배선 공간을 더 많이 남기기 위하여,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 내의 각 행의 제1본딩 단자를 상기 제4단으로부터 상기 제3단으로 향해 경사지게 배열하여, 상기 본딩 영역과 상기 팬아웃 영역의 각 구조의 설계를 진일보로 최적화하고, 따라서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공간 이용률이 진일보로 향상되어, 극히 좁은 프레임의 설계를 실현할 수 있으며; 3)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제2경사 본딩 영역은 복수의 본딩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따라서 인접한 본딩 단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본딩 영역과 상기 팬아웃 영역의 각 구조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또한 팬아웃 영역 배선의 선폭을 증가할 수 있어, 신호선의 임피던스를 줄이고 및 신호선이 너무 가늘어 끊어지는 위험을 줄여, 더욱 좋은 디스플레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병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본딩 영역과 팬아웃 영역의 평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본딩 영역과 팬아웃 영역의 각 구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본딩 영역과 팬아웃 영역의 각 구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이 제공하는 구동 칩의 평면 구조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해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과 결합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기술한다. 기술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 부분일 뿐, 실시예 전부를 의미하지 아니함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토대로, 당업자의 창조적 노동을 요하지 않는다는 전제로 얻어진 기타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해하여야 할 것은, "상", "하" 등 용어가 지시하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기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편이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지시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한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한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또한, "제1", "제2" 등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묵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정의된 특징은 하나 이상의 상기 특징을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복수"는 달리 명확하게 제한되지 않는 한, 두 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이한 실시예에서 참조 번호 및/또는 참조 문자를 반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복은 간소화 및 명료성을 목적으로 할 뿐, 그 자체는 논의된 다양한 실시예 및/또는 설치 사이의 관계를 지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은 기존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팬아웃 배선 영역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프레임에서 비교적 큰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극히 좁은 프레임 풀 스크린의 설계를 구현하는데 불리한 기술적 문제에 대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제2경사 본딩 영역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고, 수평 본딩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상기 제2경사 본딩 영역의 제2단에서 팬아웃 영역까지의 거리는 수평 본딩 영역에 연결된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상기 제2경사 본딩 영역의 제1단에서 팬아웃 영역까지의 거리보다 크며, 이로 인해, 각 상기 팬아웃 배선의 일부분은 상기 제1본딩 영역 내까지 연장될 수 있어, 상기 팬아웃 영역과 상기 본딩 영역이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따라서 제1방향에서의 상기 팬아웃 영역의 높이가 단축되며; 상기 제2본딩 영역을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제2경사 본딩 영역과 수평 본딩 영역이 둘러싼 영역 내에 설치하여, 제 1방향에서의 상기 본딩 영역의 높이를 단축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제 1방향에서의 상기 팬아웃 영역과 상기 본딩 영역의 전체 높이를 단축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프레임의 축소를 실현할 수 있고, 따라서 시장에서 추구하는 고해상도를 만족하고 구동 칩의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 전제하에, 극히 좁은 프레임의 설계를 실현할 수 있으며; 상기 팬아웃 배선을 위한 배선 공간을 더욱 많이 남기기 위하여,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 내의 각 행의 제1본딩 단자를 상기 제4단으로부터 상기 제3단으로 향해 경사지게 배열하여, 상기 본딩 영역과 상기 팬아웃 영역의 각 구조의 설계를 진일보로 최적화하고, 따라서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공간 이용률을 진일보로 향상시켜, 극히 좁은 프레임의 설계를 실현할 수 있으며;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제2경사 본딩 영역은 복수의 본딩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따라서 인접한 본딩 단자 그룹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본딩 영역과 상기 팬아웃 영역의 각 구조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고, 또한 팬아웃 영역 배선의 선폭을 증가할 수 있어, 신호선의 임피던스를 줄이고 및 신호선이 너무 가늘어 끊어지는 위험을 줄여, 더 좋은 디스플레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구동 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1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적어도 하나의 구동 칩(120) 및 적어도 하나의 연성 회로 기판(13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 칩(12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13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영역(10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을 둘러 싼 비디스플레이 영역(1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으로부터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102)으로 향한 방향을 제1방향(D1)으로 정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은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되고 제2방향(D2)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신호선(1011)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방향(D1)은 상기 제2방향(D2)에 수직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선(1011)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 내의 픽셀(미도시)을 충전하기 위한 데이터선이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 내부의 터치 센서에 연결된 터치 신호선인 하나 또는 두가지 종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102)은 팬아웃 영역(10) 및 본딩 영역(20)을 포함한다. 상기 본딩 영역(20)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에서 멀리 떨어진 팬아웃 영역(10)의 일 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팬아웃 영역(10)은 전체가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되고 제2방향(D2)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팬아웃 배선(11)을 포함하고, 각 상기 팬아웃 배선(11)의 일단은 각각 대응되는 상기 신호선(1011)에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딩 영역(20)은 제1본딩 영역(21) 및 제2본딩 영역(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본딩 영역(21)과 제2본딩 영역(22)은 상기 제1방향 (D1)을 따라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본딩 영역(21)은 상기 팬아웃 영역(10)에 접근하여 있고, 상기 제2본딩 영역(22)은 상기 팬아웃 영역(10)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본딩 영역(21)은 상기 제2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수평 본딩 영역(212) 및 상기 수평 본딩 영역(212) 단부에 위치한 제1경사 본딩 영역(211)과 제2경사 본딩 영역(21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211)과 상기 제2경사 본딩 영역(213)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212)의 두 개의 단부에서 축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211)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212)에 연결되는 제1단(211a) 및 상기 수평 본딩 영역(212)에서 멀리 떨어진 제2단(211b)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D2)에서, 상기 제2단(211b)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단(211a)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까지의 거리보다 크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 상에서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211)의 투영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 상에서 상기 수평 본딩 영역(212)의 투영의 바깥에 있다. 이에 따라, 각 상기 팬아웃 배선(11)의 일부분은 상기 제1본딩 영역(21) 내까지 연장될 수 있어, 상기 팬아웃 영역(10)과 상기 본딩 영역(20)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므로, 제1방향(D1)에서의 상기 팬아웃 영역(10)의 높이가 단축되고, 따라서 제 1방향에서(D1)의 상기 팬아웃 영역(10)과 상기 본딩 영역(20)의 전체 높이가 단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 프레임의 축소를 실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시장에서 추구하는 고해상도를 만족하고 구동 칩의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 전제하에, 극히 좁은 프레임의 설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본딩 영역(22)은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211)과, 상기 제2경사 본딩 영역(213) 및 상기 수평 본딩 영역(212)이 둘러 싼 영역 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딩 영역(20) 내의 상기 제1본딩 영역(21)과 상기 제2본딩 영역(22)의 배치가 가능하다.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본딩 영역(21)은 상기 제2경사 본딩 영역(213)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본딩 영역(22)은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211)과 상기 수평 본딩 영역(212)이 둘러 싼 영역 내에 설치한다.
여기서,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211)은 계단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본딩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인접한 본딩 단자 그룹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본딩 영역과 상기 팬아웃 영역의 각 구조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고, 또한 팬아웃 영역 배선의 선폭을 증가할 수 있어, 신호선의 임피던스를 줄이고 및 신호선이 너무 가늘어 끊어지는 위험을 줄여, 더욱 좋은 디스플레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복수의 제1바이딩 단자(2111)를 포함한다.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 내의 상기 제1본딩 단자(2111)는 복수의 행으로 분포되고, 인접한 행의 상기 제1 본딩 단자(2111)의 위치는 엇갈리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본딩 영역(212)은 복수의 제2본딩 단자(2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본딩 단자(2121)는 복수의 행으로 배열되고 또한 각 행의 상기 제2 본딩 단자(2121)는 수평으로 배열되며, 인접한 두 행의 상기 제2본딩 단자(2121)는 엇갈리게 되게 배열된다. 상기 팬아웃 배선(11)의 일부분은 상기 제1본딩 영역(21) 내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본딩 단자(2111)와 상기 제2본딩 단자(2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와 도3을 다시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상기 제2방향에서(D2)에서 계단형인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상기 제2방향에서(D2)에서 계단형인 불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물론, 복수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상기 제1방향(D1)에서 계단형인 균등한 간격 또는 불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도 2-4를 다시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 사이는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물론, 본 출원의 다른 한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 사이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팬아웃 영역(10)을 마주하는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의 단부의 최고점을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의 정점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방향(D2)에서, 상기 제2단(211b)에 위치하는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의 정점과 상기 제1단(211a)에 위치하는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의 정점의 연결선의 경사각 θ1은 둔각이다. 바람직하게, 100°≤θ1≤179°이다.
도 3과 도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2방향(D2)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 내의 동일한 위치의 상기 제1본딩 단자의 정점 중심의 연결선의 경사각 θ2은 예각이다. 바람직하게, 10°≤θ2≤85°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상기 제2방향(D2)에서 계단형인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방향(D2)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 내의 동일한 위치의 상기 제1본딩 단자의 정점 중심의 연결선의 경사각 θ2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상기 제2방향(D2)에서 계단형인 불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방향(D2)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 내의 동일한 위치의 상기 제1본딩 단자의 정점 중심의 연결선의 경사각 θ2은 상이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분이 동일하고 다른 한 일부분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4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211)은 4개 제1본딩 단자 그룹(201)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제1 본딩 단자 그룹(201)을 예로 들어, 각 본딩 단자 그룹 내의 제1 본딩 단자(2111)의 배열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각 상기 본딩 그룹(201)은 제3단(2011) 및 제4단(20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방향(D2)에서, 상기 제3단(2011)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212)에 접근하여 있고, 상기 제4단(2012)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212)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방향(D1)에서, 상기 제3단(201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4단에(2012)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101)까지의 거리보다 크며; 동일한 행 내에서의 복수의 상기 제1본딩 단자(2111)는 상기 제4단(2012)으로부터 상기 제3단(2011)으로 향해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제1본딩 단자 그룹(201) 내의 상기 제1본딩 단자(2111)는 두 개의 행으로 분포되고, 제1행 내의 상기 제1본딩 단자(2111)와 제2행 내의 상기 제1본딩 단자(2111)는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제2행 내의 하나의 상기 제1본딩 단자(2111)는 이에 대응하는 제1행 내의 두 개의 상기 제1본딩 단자(2111) 사이의 간격을 향하고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2본딩 영역(213)은 복수의 제2본딩 단자 그룹(205)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제2본딩 단자 그룹(205)은 복수의 제3본딩 단자(2131)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제3본딩 단자(2131)는 복수의 행으로 분포되고, 인접한 행의 상기 제3본딩 단자(2131) 위치는 엇갈리게 배치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칩(120)은 적어도 수평 단자 영역(41) 및 상기 수평 단자 영역(41)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 단자 영역(41)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된 제1경사 단자 영역(42)과 제2경사 단자 영역(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42) 및 상기 제2경사 단자 영역(43)은 제1방향(D1)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수평 단자 영역(41)은 상기 제1방향(D1)에 수직되는 제2방향(D2)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평 단자 영역(41)의 두개의 단부에서 상기 제2경사 단자 영역(43)과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41)은 축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42)은 상기 수평 단자 영역(41)에 연결되는 제5단(422) 및 상기 수평 단자 영역(41)에서 멀리 떨어진 제6단(423)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D1)에서, 상기 수평 단자 영역(41)의 연장 영역 상에서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42)의 투영은 상기 수평 단자 영역(41)의 바깥에 있으며; 복수의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421)은 계단형인 균등한 간격 또는 불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경사 단자(42)는 복수의 제1구동 단자 그룹(421)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421)은 복수의 제1구동 단자(4211)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단자 영역(41)은 복수의 제2구동 단자(4111)를 포함한다. 상기 제2경사 단자(43)는 복수의 제3구동 단자 그룹(431)을 포함하고, 각 상기 제2구동 단자 그룹(431)은 복수의 제3구동 단자(4311)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 단자(4211)와, 상기 제2구동 단자(4111) 및 상기 제3구동 단자(4311)는 각각 상기 제1본딩 단자(2111)와, 상기 제2본딩 단자(2121) 및 제3본딩 단자(21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421)은 제7단(421a) 및 제8단(421b)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D2)에서, 상기 제7단(421a)은 상기 수평 단자 영역(41)에 접근하여 있고, 상기 제8단(421b)은 상기 수평 단자 영역(41)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상기 제2방향(D2)에서, 동일한 행 내의 복수의 상기 제1구동 단자(4211)는 상기 제8단(421b)으로부터 상기 제7단(421a)을 향해 경사지게 배열되고, 상기 제7단(421a)에서 상기 수평 단자 영역(41)의 연장 영역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제8단(421b)에서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연장 영역(41)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작다.
각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421)의 상기 제8단(421b)의 최고점을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421)의 정점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1방향(D1)에서, 상기 제6단(423)에 위치하는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421)의 정점과 상기 제5단(422)에 위치하는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421)의 정점의 연결선의 경사각은 둔각이며, 상기 둔각은 100° 이상이고 179° 이하다.
상기 제2방향(D2)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 1구동 단자 그룹(421) 내의 동일한 위치의 상기 제1구동 단자(4211)의 정점 중심의 연결선의 경사각은 예각이며, 상기 예각의 크기는 10° 이상이고 85° 이하다.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421) 사이는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각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421) 내의 상기 제1구동 단자(4211)는 복수의 행으로 분포되며, 인접한 행의 상기 제1구동 단자(4211) 위치는 엇갈리게 배치된다.
상기 제2경사 단자 영역(43)은 복수의 제3 구동 단자(4311)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3구동 단자(4311)는 복수의 행으로 분포되며, 인접한 행의상기 제3구동 단자(4311) 위치는 엇갈리게 배치된다.
본 출원의 유리한 효과는: 1)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제2경사 본딩 영역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지고, 수평 본딩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상기 제2경사 본딩 영역의 제2단에서 팬아웃 영역까지의 거리는 수평 본딩 영역에 연결된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상기 제2경사 본딩 영역의 제1단에서 팬아웃 영역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이로 인해, 각 상기 팬아웃 배선의 일부분은 상기 제1본딩 영역 내까지 연장될 수 있어, 상기 팬아웃 영역과 상기 본딩 영역이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따라서 제1방향에서의 상기 팬아웃 영역의 높이(C2)가 단축되어, 제 1방향에서의 상기 팬아웃 영역과 상기 본딩 영역의 전체 높이가 단축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프레임의 축소를 실현할 수 있어, 시장에서 추구하는 고해상도를 만족하고 구동 칩의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 전제하에, 극히 좁은 프레임의 설계를 실현할 수 있고; 2) 상기 팬아웃 배선을 위한 배선 공간을 더 많이 남기기 위하여,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 내의 각 행의 제1본딩 단자를 상기 제4단으로부터 상기 제3단으로 향해 경사지게 배열하여, 상기 본딩 영역과 상기 팬아웃 영역의 각 구조의 설계를 진일보로 최적화하고, 따라서 비디스플레이 영역의 공간 이용률이 진일보로 향상되어, 극히 좁은 프레임의 설계를 실현할 수 있으며; 3) 제1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제2경사 본딩 영역은 복수의 본딩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따라서 인접한 본딩 단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본딩 영역과 상기 팬아웃 영역의 각 구조의 배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으며, 또한 팬아웃 영역 배선의 선폭을 증가할 수 있어, 신호선의 임피던스를 줄이고 및 신호선이 너무 가늘어 끊어지는 위험을 줄여, 더욱 좋은 디스플레이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4) 상기 제2본딩 영역을 제1 경사 본딩 영역 및/또는 제2경사 본딩 영역과 수평 본딩 영역이 둘러 싼 영역 내에 설치하여, 상기 본딩 영역 내의 상기 제1본딩 영역과 상기 제2본딩 영역의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로 개시하였지만,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개변 및 윤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디스플레이 영역과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향한 방향을 제1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제1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본딩 영역 및 제2본딩 영역을 포함한 본딩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본딩 영역은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평 본딩 영역 및 상기 수평 본딩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 본딩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된 제1경사 본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2방향에 수직되며;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에 연결되는 제1단 및 상기 수평 본딩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제2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에서, 상기 제2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까지의 거리보다 크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의 투영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상기 수평 본딩 영역의 투영의 바깥에 있으며; 및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은 복수의 본딩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계단형인 균등한 간격 또는 불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본딩 그룹은 복수의 제1본딩 단자를 포함하고;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제3단 및 제4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방향에서, 상기 제3단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에 접근하여 있고, 상기 제4단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동일한 행 내에서의 복수의 상기 제1본딩 단자는 상기 제4단으로부터 상기 제3단으로 향해 경사되게 배열되고, 상기 제3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4단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까지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본딩 영역 및 상기 제2본딩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팬아웃 영역의 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본딩 영역은 상기 팬아웃 영역과 상기 제2본딩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팬아웃 영역은 복수의 팬아웃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본딩 영역은, 복수의 제2본딩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팬아웃 배선의 일부분은 상기 제1본딩 영역 내까지 연장되어 각각 상기 제1본딩 단자와 상기 제2본딩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아웃 영역을 마주하는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의 단부의 최고점을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의 정점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방향에서, 상기 제2단에 위치하는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의 정점과 상기 제1단에 위치하는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의 정점의 연결선의 경사각 θ1은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100°≤θ1≤17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 내의 동일한 위치의 상기 제1본딩 단자의 정점 중심의 연결선의 경사각 θ2은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10°≤θ2≤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딩 영역은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과 상기 수평 본딩 영역이 둘러 싼 영역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본딩 단자 그룹은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2항에 있어서,
    각 상기 본딩 단자 그룹 내의 상기 제1본딩 단자는 복수의 행으로 분포되고, 인접한 행의 상기 제1 본딩 단자 위치는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2경사 본딩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 본딩 영역과 상기 제1경사 본딩 영역은 상기 수평 본딩 영역의 두개의 단부에서 축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구동 칩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칩은 적어도 수평 단자 영역 및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 단자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된 경사 단자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 단자 영역은 복수의 제1구동 단자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구동 단자는 복수의 제1구동 단자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제1구동 단자 및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의 배열 방식은 상기 제1본딩 단자 및 상기 제1본딩 단자 그룹의 배열 방식과 동일하고; 상기 제1구동 단자와 상기 제1본딩 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3.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청구항 1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본딩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구동 칩으로서,
    적어도 수평 단자 영역 및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 단자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된 제1경사 단자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은 제1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은 상기 제1방향에 수직되는 제2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은 복수의 제1구동 단자 그룹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은 상기 수평 단자 영역에 연결되는 제5단 및 상기 수평 단자 영역에서 멀리 떨어진 제6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연장 영역 상에서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의 투영은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바깥에 있으며; 복수의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은 계단형인 균등한 간격 또는 불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칩.
  16. 제15에 있어서,
    각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은 복수의 제1구동 단자를 포함하고; 각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은 제7단 및 제8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방향에서, 상기 제7단은 상기 수평 단자 영역에 접근하여 있고, 상기 제8단은 상기 수평 단자 영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방향에서, 동일한 행 내의 복수의 상기 제1구동 단자는 상기 제8단으로부터 상기 제7단으로 향해 경사지게 배열되고, 상기 제7단에서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연장 영역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제8단에서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연장 영역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칩.
  17. 제16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의 상기 제8단의 최고점을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의 정점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방향에서, 상기 제6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의 정점과 상기 제5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의 정점의 연결선의 경사각은 둔각이며, 상기 둔각은 100° 이상이고 17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칩.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에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 1구동 단자 그룹 내의 동일한 위치의 상기 제1구동 단자의 정점 중심의 연결선의 경사각은 예각이며, 상기 예각의 크기는 10° 이상이고 8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칩.
  19. 제16항에 있어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은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각 상기 제1구동 단자 그룹 내의 상기 제1구동 단자는 복수의 행으로 분포되며, 인접한 행의 상기 제1구동 단자 위치는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칩.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칩은 제2경사 단자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 단자 영역의 두개의 단부에서 상기 제2경사 단자 영역과 상기 제1경사 단자 영역은 축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칩.
KR1020217037353A 2021-06-17 2021-07-26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칩 KR1026693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676723.3A CN113362716B (zh) 2021-06-17 2021-06-17 显示面板、显示装置及驱动芯片
CN202110676723.3 2021-06-17
PCT/CN2021/108466 WO2022262079A1 (zh) 2021-06-17 2021-07-26 显示面板、显示装置及驱动芯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374A true KR20220169374A (ko) 2022-12-27
KR102669341B1 KR102669341B1 (ko) 2024-05-27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2079A1 (zh) 2022-12-22
JP2023534081A (ja) 2023-08-08
CN113362716A (zh) 2021-09-07
CN113362716B (zh) 2022-08-05
EP4358072A1 (en) 2024-04-24
JP7405859B2 (ja)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8132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1146925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9976051B (zh) 显示面板
CN108958539B (zh) 一种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08376522B (zh) 一种异形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371980B2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233021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a notched display area
US1018542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narrow bezel
CN113327516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362716B (zh) 显示面板、显示装置及驱动芯片
CN102231028A (zh) 引线结构以及具有此引线结构的显示面板
CN101969063A (zh) 像素阵列基板、导电结构以及显示面板
US11139362B2 (en) Display panel with asymmetrically disposed pads
KR10266934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구동 칩
CN101458428A (zh) 液晶显示面板
US20080054788A1 (en) Display panel with electrode wires
WO2024000793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EA046000B1 (ru) Дисплейная панель, 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микросхема драйвера
US11081504B2 (en) Display device
CN111708238A (zh) 一种阵列基板及显示面板
JP4738776B2 (ja) 表示装置
CN113437094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609649B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99525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952335B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