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349A - 자동차용 블록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349A
KR20220169349A KR1020210111275A KR20210111275A KR20220169349A KR 20220169349 A KR20220169349 A KR 20220169349A KR 1020210111275 A KR1020210111275 A KR 1020210111275A KR 20210111275 A KR20210111275 A KR 20210111275A KR 20220169349 A KR20220169349 A KR 20220169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unting plate
essential
bus b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
유창원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1159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65155A1/ko
Publication of KR2022016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75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wo blocks, e.g. by means of busba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82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ssion control units, e.g. gearbox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록이다. 본 발명은 필수블록부(100), 선택블록부(200) 그리고 버스바조립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부(200)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는 고정부에의 장착을 위한 면적이 같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필수블록부(100)의 설치를 위한 면적과 상기 선택블록부(200)를 설치하기 위한 면적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부(100)는 필수블록하우징(110)과 필수블록커버(1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은 서로 직교하는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112)로 구성되고, 상기 필수블록커버(140)는 서로 직교하는 제1커버플레이트(141)와 제2커버플레이트(142)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록{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는 다양한 전장부품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자동차용 블록 들이 사용된다. 자동차용 블록에는 릴레이, 퓨즈, 저항 등이 설치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블록은 배터리와 모터구동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 연결을 담당하거나, 외부 전원과 배터리 사이에 위치되어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차용 블록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하나의 블록이 복수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에 있는 전원을 전장부품으로 전달하거나 배터리의 충전에 있어서 일반충전 기능과 급속충전 기능을 각각 가져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자동차에서는 이러한 모든 기능을 모든 사용자가 원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자동차용 블록의 기능을 분리시켜 자동차용 블록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서는 하나의 블록이 자동차에서 반드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구성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선택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하나의 하우징 내에 배치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선택기능을 위한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용 블록에 포함되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36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07958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용 블록에서 필수기능을 위한 구성과 선택기능을 위한 구성을 분리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록에서 필수기능을 위한 부품과 선택기능을 위한 부품을 별도의 하우징에 설치하여 선택기능을 위한 구성은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수기능을 수행하는 필수블록부와 선택기능을 수행하는 선택블록부를 버스바조립체로 연결할 수 있고, 선택블록부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수기능을 수행하는 필수블록부와 선택기능을 수행하는 선택블록부의 장착을 위해 필요한 면적이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수기능을 수행하는 필수블록부의 필수블록하우징 내에 부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록에서 사용되는 버스바를 단순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바조립체에 단자커버를 두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블록부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선택블록부가 별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부는 상기 필수블록부와 버스바조립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부와 선택블록부는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필수블록부의 외관을 필수블록하우징과 필수블록커버가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수블록하우징은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가 서로 직교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커버는 제1커버플레이트와 제2커버플레이트가 직교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부는 장착을 위한 면적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필수블록부 내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필수블록부의 필수블록하우징을 구성하는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에 부품이 장착되는 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지단과 체결단을 둘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수블록하우징의 제1마운팅플레이트에는 장착브라켓이 설치되고, 이에 전류센서와 커넥터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버스바조립체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조립체 상에 제1조립체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체에 형성된 단자커버는 상기 제2조립체가 연결되는 외부연결부를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필수블록하우징과 상기 필수블록하우징에 결합되는 필수블록커버가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전원관리를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하우징과 상기 선택블록하우징에 결합되는 선택블록커버가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필수블록부가 수행하는 기능과 다른 선택가능한 기능을 수행하고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선택블록부와, 상기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버스바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수블록하우징은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가 서로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필수블록커버는 제1커버플레이트와 제2커버플레이트가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수블록하우징의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동시에 연결되게 사이드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필수블록커버의 제1커버플레이트와 제2커버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동시에 연결되게 사이드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에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부가 위치되는 단자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에는 구획벽으로 구획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간에는 외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외면이 제1마운팅플레이트에 안착되게 부품이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에는 장착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장착브라켓의 설치공간에는 전류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의 일측에는 커넥터설치단이 형성될 수 있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수블록하우징에 장착되는 부품들의 회로연결을 위한 버스바는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의 표면을 향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외면이 향하도록 세워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에는 퓨즈의 설치를 위한 지지단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에는 릴레이의 설치를 위한 체결단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에는 상기 퓨즈와 릴레이에 연결된 버스바의 외부연결부가 위치되는 단자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단은 상기 릴레이가 제1마운팅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수블록하우징의 양단에는 장착편이 높이차를 두고 장착편이 형성될 수 있어 고정부에 필수블록부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버스바조립체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조립체는 상기 제2조립체에 형성된 안착채널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조립체가 연결되는 외부연결부를 덮는 단자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착채널은 상기 제2조립체의 외면에 형성된 안내리브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체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제1버스바하우징의 내부에 양단부가 노출되게 도전성재질로 만들어진 제1연결바스바가 위치되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조립체는 일체로 되고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제2버스바하우징과 제3버스바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버스바하우징의 양단으로 제2연결버스바의 양단부가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버스바하우징의 양단으로 제3연결버스바의 양단부가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조립체의 제1버스바하우징에는 상기 제2조립체의 제2연결버스바와 연결되는 외부연결부를 덮는 제1단자커버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조립체의 제3연결버스바와 연결되는 외부연결부를 덮는 제2단자커버가 상기 제1단자커버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조립체의 제2연결버스바 및 제3연결버스바가 연결되는 외부연결부를 동시에 차폐하는 제3단자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록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부가 별도의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분리될 수 있고,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부는 버스바조립체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부는 전원공급을 관리하고 배터리에의 충전을 관리할 수 있고 상기 선택블록부는 예를 들면 급속충전회로를 탑재할 수 있다. 따라서, 급속충전기능이 사용되지 않아도 되는 자동차에는 상기 선택블록부를 설치하지 않고 필수블록부를 사용하여 전원공급과 배터리의 충전을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블록부를 사용하지 않고 필수블록부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산의 사이클 타임을 절감할 수 있고, 오사양 조립 방지가 가능하게 된다.
자동차의 설계에 있어서 연비를 낮추기 위해서는 경량화와 소형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블록이 설치되는 공간은 미리 정해져 있고, 그 공간에 자동차용 블록을 설치하는데, 자동차용 블록을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부로 분리해서 구성하게 되면 필수블록부 만 사용해도 되는 경우에는 선택블록부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어서 선택블록부 만큼의 무게와 소요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부가 버스바조립체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선택블록부는 자동차의 선택 사양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필수블록부나 선택블록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배치가 보다 효율적으로 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필수블록하우징과 선택블록하우징이 각각 서로 직교하는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를 가지도록 하고, 이에 부품들이 장착되도록 하는데, 부품의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가지는 면이 제1마운팅플레이트나 제2마운팅플레이트에 안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필수블록하우징과 선택블록하우징에 부품의 배치가 효율적으로 되어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류센서와 커넥터를 필수블록하우징에 장착된 장착브라켓에 동시에 장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필수블록하우징의 내부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나눠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류센서가 설치된 장착브라켓의 일측에 커넥터가 장착되도록 하였으므로, 커넥터의 장착을 위해 필수블록하우징의 부품장착면적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부 내에서 사용되는 버스바의 설계를 함에 있어서,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단자대의 위치와 부품의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버스바의 길이와 절곡 횟수를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부에서 사용되는 버스바의 제작이 보다 용이하고, 버스바의 길이와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조립체의 제1조립체에 단자커버를 두었다. 따라서 버스바조립체의 제1조립체가 사용될 때,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부에 있는 외부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부의 절연을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록에서 필수블록부, 선택블록부, 버스바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모두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필수블록부, 선택블록부, 버스바조립체를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필수블록부의 필수블록커버와 선택블록부의 선택블록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필수블록커버가 제거된 필수블록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필수블록부의 장착브라켓 전방 주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필수블록부의 장착브라켓 후방 주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필수블록부의 필수블록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필수블록부의 필수블록커버의 외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필수블록부의 필수블록커버의 내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필수블록부의 장착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선택블록부의 선택블록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선택블록부의 선택블록하우징의 내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선택블록하우징의 외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선택블록부를 구성하는 선택블록커버의 외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선택블록부를 구성하는 선택블록커버의 내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버스바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버스바조립체의 내부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부가 버스바조립체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자동차용 블록은 필수블록부(100), 선택블록부(200) 그리고 버스바조립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부(100)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부(200)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기능 중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조립체(300)는 상기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 사이를 회로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필수블록부(100)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과 배터리에 대한 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부(200)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배터리에 대한 급속충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수블록부(100)는 자동차의 주행을 위한 전원공급과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지만, 상기 선택블록부(20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물론, 일반적인 충전과 급속충전을 필요 시에 선택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 모두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급속충전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선택블록부(200)는 없어도 된다.
상기 필수블록부(100)의 외관을 필수블록하우징(110)과 필수블록커버(14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부(200)의 외관을 선택블록하우징(210)과 선택블록커버(240)가 형성할 수 있다. 즉,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는 별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부(1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과 필수블록커버(140)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부(2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과 선택블록커버(240)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는 버스바조립체(300)를 통해 회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부(100)를 구성하는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은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에는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112)는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 대부분의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의 양측에는 사이드플레이트(114)들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14)는 양측의 것이 서로 면적이 다르고 형상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14)는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14)에는 장착편(11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편(116)은 자동차의 고정부에 필수블록부(100)를 장착하여 고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편(116)은 일측 사이드플레이트(114)에 인접하여 2개 씩 총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사이드플레이트(114)에 있는 장착편(116)은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자동차의 고정부에 높이차를 두고 형성된 단턱에 각각의 장착편(116)이 위치되어 장착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에는 다수 곳에 걸이공(1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공(118)에는 필수블럭커버(140)에 있는 걸이턱(146))이 걸어질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체결돌기(12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120)에는 필수블록커버(140)에 있는 체결편(148)이 걸어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120)와 체결편(148)은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달리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돌기(120)가 상기 필수블록커버(140)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148)이 필수블록하우징(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에는 단자대(122)들이 있다.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에는 제1단자대(122-1)와 제2단자대(122-2)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는 제3,제4,제5, 제6 단자대(122-3, 122-4, 122-5, 122-6)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단자대(122)는 체결너트(1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이 만들어져 있다. 상기 체결너트(124)는 외부의 터미널 등을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는 예를 들면 저항이나 프리차지릴레이가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벽(126)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에는 볼트나 나사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도면부호 부여않음)들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는 다수개의 지지단(12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단(128)에는 퓨즈(168)가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단(128)은 소정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에는 체결단(130)들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단(1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릴레이(170)들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단(130)도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에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단(128)과 체결단(130)은 부품들이 설치되는 위치, 예를 들면 필수블록부(100) 내에서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커버(140)는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에 결합되어 필수블록부(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커버(140)는 제1커버플레이트(141)와 제2커버플레이트(1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141)와 제2커버플레이트(142)는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141)는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와 결합되어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2커버플레이트(142)는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와 결합되어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와 마주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수블록커버(140)가 형성됨에 의해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에 장착된 부품들을 상기 필수블록커버(140)를 분리하면 쉽게 외부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141)와 제2커버플레이트(142)의 양측 끝부분에는 사이드플레이트(14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커버(140)의 사이드플레이트(144)는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의 사이드플레이트(114)와 겹쳐질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커버(140)의 사이드플레이트(144)는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의 사이드플레이트(114)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필수블록커버(140)의 사이드플레이트(144)가 필수블록하우징(110)의 사이드플레이트(114)보다 크기가 크게 될 수도 있다. 상기 필수블록커버(140)의 사이드플레이트(144)와 필수블록하우징(110)의 사이드플레이트(114)는 서로 소정 면적이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141)는 단차(146)를 가질 수 있다. 이 단차(146)에 의해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의 제1단자대(122-1)와 제2단자대(122-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커버(140)에는 다수개의 체결편(1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146)은 상기 제2커버플레이트(142)와 상기 사이드플레이트(144)에 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141)의 가장자리에는 걸이턱(14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턱(148)은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에 형성된 걸이공(118)에 걸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걸이턱(148)과 걸이공(118)은 그 위치가 서로 반대쪽에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걸이턱(148)이 필수블록하우징(110)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공(118)이 상기 필수블록커버(14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141)와 제2커버플레이트(142)에는 다수개의 커버슬롯(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슬롯(150)은 필수블록부(100)의 내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 열방출이 잘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141)와 제2커버플레이트(142)에는 다수개의 단자윈도우(15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단자윈도우(152)는 필수블록부(100)의 내부와 외부의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부(190)를 노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141)와 제2커버플레이트(142)에는 커넥터윈도우(153)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커넥터윈도우(153)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176)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필수블록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들을 설명한다.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의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는 프리차지릴레이(160), 피로(Pyro)스위치(162), 저항(164), 전류센서(166), 퓨즈(168)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의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에는 2개의 필수릴레이(170)와 페라이트코어(172)가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피로스위치(162)는 외부충격을 감지하여 선제적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저항(164)은 육면체 형상인데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는 외면이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 위치되도록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 구획벽(126)으로 구획된 공간 내에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류센서(166)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 설치되기는 하지만, 보다 정확하게는 장착브라켓(180)이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 설치되고, 이에 전류센서(16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74)에는 복수개의 커넥터(176)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74)에 전류센서(166)와 커넥터(176)를 설치함에 의해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의 표면을 상대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착브라켓(174)은 고정편(17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편(175)은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편(175)은 상기 장착브라켓(174)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175)은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74)에는 전류센서(166)가 위치되는 설치공간(17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77)은 전류센서(166)의 3개의 외면과 마주보는 내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77)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센서체결편(17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센서체결편(178)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전류센서(166)의 양측이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센서체결편(178)이 2군데에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74)의 일측에는 상기 커넥터(176)의 장착을 위한 커넥터설치단(180)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착브라켓(174)의 일측에 2개의 커넥터설치단(180)이 있다. 상기 커넥터설치단(180)은 설치되는 커넥터(176)의 갯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설치단(180)은 걸이리브(182) 쌍과 걸이돌기(18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이리브(182)는 2개가 한 쌍으로 서로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걸이리브(182) 사이에 상기 걸이돌기(18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돌기(184)에는 상기 커넥터(176)의 대응되는 부분인 걸림돌기가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176)에는 상기 커넥터설치단(180)에의 장착을 위해 걸이레일(도시되지 않음) 쌍과 걸림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레일에 상기 걸이리브(182)가 걸어지고 상기 걸이돌기(184)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어져서 상기 커넥터(176)가 상기 장착브라켓(174)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필수블록부(1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버스바(186)와 와이어(188)가 있어서 회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186) 중에서 일부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부(19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190)는 상기 단자대(122)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오는 터미널이나 상기 버스바조립체(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186)들은 필수블록부(100)에 다수개가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버스바(186)들은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의 표면과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의 표면에 면적이 작은 표면이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버스바(186)가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나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의 표면에 대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버스바(186)에서 면적이 넓은 표면이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나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와 마주보는 경우에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제1마운팅플레이트(111)나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 또는 상기 필수블록커버(140)의 제1커버플레이트(141)나 제2커버플레이트(142)에 인접한 위치에 있도록 될 수 있다.
상기 퓨즈(168)의 경우 상대적으로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서 돌출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지지단(128)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단(128)은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대(122) 들의 경우도 제1마운팅플레이트(111)나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에 대해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수릴레이(170)는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로부터 어느 정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품의 설치는 적어도 일부의 버스바(186)의 길이와 절곡회수를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부(200)를 구성하는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은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도 11에서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212)에는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212)는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에 대부분의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212)의 양측에는 사이드플레이트(214)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4)는 양측의 것이 서로 면적이 다르고 형상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4)에 인접하여서는 장착편(21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편(216)은 자동차의 고정부에 선택블록부(200)를 장착하여 고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편(216)은 일측 사이드플레이트(214)에 2개 씩 총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사이드플레이트(214)에 있는 장착편(216)은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자동차의 고정부에 높이차를 두고 형성된 단턱에 각각의 장착편(216)이 고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212)의 가장자리에는 다수 곳에 걸이공(2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공(218)에는 선택블록커버(240)에 있는 걸이턱(248)이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의 외면,특히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에는 다수개의 체결돌기(220)가 있을 수 있다.(도 13 참고) 상기 체결돌기(220)에는 선택블록커버(240)에 있는 체결편(246)이 걸어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220)와 체결편(246)은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달리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돌기(220)가 상기 선택블록커버(240)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246)이 제1마운팅플레이트(211)를 포함하는 선택블록하우징(2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212)에는 단자대(222)들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211)에는 제1단자대(222-1)와 제2단자대(222-2)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에는 제3, 제4, 제5 단자대(222-3, 222-4, 222-5)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단자대(222)는 체결너트(2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이 만들어져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212)에는 볼트나 나사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도면부호 부여않음)들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의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의 일측에는 구획벽(2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226)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는 브이디씨(VDC: Voltage Detect Circuit)(2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의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에는 제1지지단(228)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의 제1지지단(228)에는 릴레이(26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단(228)은 2개가 한 쌍을 이루어서 2쌍이 있을 수 있다. 이들 제1지지단(228)의 쌍은 각각 릴레이(266)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의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에는 제2지지단(228')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의 제2지지단(228')에는 퓨즈(262)가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단(228')은 상기 제1지지단(228)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단(228), 제2지지단(228') 그리고 단자대(222)가 돌출된 정도에 따라서 설치되는 부품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버스바(270) 들의 길이와 절곡위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선택블록커버(240)는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에 결합되어 선택블록부(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에서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선택블록커버(240)는 제1커버플레이트(241)와 제2커버플레이트(24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241)와 제2커버플레이트(242)는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241)는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212)와 결합되어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2커버플레이트(242)는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와 결합되어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212)와 마주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블록커버(240)가 형성됨에 의해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에 장착된 부품들을 상기 선택블록커버(240)를 분리하면 쉽게 외부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커버(240)의 제1커버플레이트(241)와 제2커버플레이트(242)의 양측 끝부분에는 사이드플레이트(244)가 있을 수 있다. 선택블록커버(240)의 사이드플레이트(244)는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의 사이드플레이트(214)와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커버(240)의 사이드플레이트(244)는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의 사이드플레이트(214)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선택블록커버(240)의 사이드플레이트(244)가 선택블록하우징(210)의 사이드플레이트(214)보다 크기가 크게 될 수도 있다. 상기 선택블록커버(240)의 사이드플레이트(244)와 선택블록하우징(210)의 사이드플레이트(214)는 서로 소정 면적이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제2커버플레이트(242)에는 다수개의 체결편(24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편(246)은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의 체결돌기(2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편(246)과 상기 체결돌기(22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편(246)은 상기 제2커버플레이트(242)에 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241)는 단차(247)를 가질 수 있다. 이 단차(247)에 의해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의 제1단자대(222-1)와 제2단자대(222-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241)의 가장자리에는 걸이턱(24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턱(248)은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에 형성된 걸이공(218)에 걸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걸이턱(248)과 걸이공(218)은 그 위치가 서로 반대쪽에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걸이턱(248)이 선택블록하우징(210)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공(218)이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24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커버(240)의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241)와 제2커버플레이트(242)에는 다수개의 커버슬롯(2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슬롯(250)은 선택블록부(200)의 내외부 사이의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 열방출이 잘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커버(240)의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241)와 제2커버플레이트(242)에는 다수개의 단자윈도우(25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단자윈도우(252)는 선택블록부(200)의 내부와 외부의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부(272)를 노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블록부(200)의 선택블록하우징(210)에는 여러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226)에 의해 구획된 내부에는 전압을 검출하는 브이디씨(2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단(228)의 쌍 들에는 각각 릴레이(266)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단(228')에는 퓨즈(262)의 양단이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릴레이(266)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돌출된 제1지지단(228)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단(228')에는 퓨즈(262)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퓨즈(262)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으므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상기 제2지지단(228')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단(228')에 퓨즈(262)가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릴레이(266)가 상기 제1지지단(228)에 설치되어 지지됨에 의해 릴레이(266)와 퓨즈(262) 사이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선택블록부(200)에서 사용되는 버스바(270)의 길이나 절곡회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의 제1마운팅플레이트(211)의 일측에는 커넥터(26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264)는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부(200)의 내부에서 부품들이 구성하는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와이어(268)와 버스바(27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70)는 상기 필수블록부(100)의 버스바(186)의 배치와 유사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70)들은 선택블록부(200)에 다수개가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버스바(270)들은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211)의 표면과 제2마운팅플레이트(212)의 표면에 면적이 작은 표면이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버스바(270)가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나 제2마운팅플레이트(212)의 표면에 대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버스바(270)에서 면적이 넓은 표면이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211)나 제2마운팅플레이트(212)와 마주보는 경우에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제1마운팅플레이트(211)나 제2마운팅플레이트(212)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 또는 상기 선택블록커버(240)의 제1커버플레이트(241)나 제2커버플레이트(242)에 인접한 위치에 있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스바(270)의 배치는 선택블록부(200) 내에서 버스바(270)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퓨즈(262)와 상기 제3단자대(222-3) 사이에 있는 버스바(270)는 1회만 절곡되고 직선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버스바(270)는 상기 제3단자대(222-3)와 상기 퓨즈(262)의 대응되는 부분의 위치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됨에 의해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버스바(270) 들에서 상기 단자대(222)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는 단부는 각각 외부연결부(272)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부(272)에는 선택블록부(200)의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나 버스바조립체(30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는 고정부에의 장착을 위한 면적이 같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의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와 상기 선택블록하우징(210)의 제1마운팅플레이트(211)는 같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필수블록부(100)의 설치를 위한 면적과 상기 선택블록부(200)를 설치하기 위한 면적이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버스바조립체(3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300)는 제1조립체(310)와 제2조립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체(310)와 제2조립체(320)는 각각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체(310)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제1연결버스바(314)가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제1버스바하우징(312)에 의해 감싸져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버스바(314)는 상기 제1버스바하우징(312)의 양단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하우징(312)은 직선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하우징(312)에는 제1에서 제3 단자커버(316,317,3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단자커버(316,317,318)들은 상기 제1버스바하우징(3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단자커버(316,317,318)가 3개 있으나, 그 갯수는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단자커버(318)는 2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자커버(316)와 제2단자커버(317)는 실질적으로 일체로 되어 있다. 상기 제1단자커버(316)는 상기 제5단자대(122-5)에 있는 외부연결부(190)를 덮고, 상기 제2단자커버(317)는 상기 제6단자대(122-6)에 있는 외부연결부(190)를 덮고, 상기 제3단자커버(318)는 상기 선택블록부(200)의 제3단자대(222-3)와 제4단자대(222-4)에 있는 외부연결부(272)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조립체(310)의 제1연결버스바(314)의 일단부는 상기 필수블록부(100)의 제3단자대(122-3)에 있는 외부연결부(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버스바(314)의 타단부는 상기 선택블록부(200)의 제5단자대(222-5)에 있는 외부연결부(2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조립체(320)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제2연결버스바(324)가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제2버스바하우징(322)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또한, 도전성재질로 만들어진 제3연결버스바(324')가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제3버스바하우징(322')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버스바하우징(322)과 제3버스바하우징(322')은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버스바(324)는 상기 제2버스바하우징(322)의 양단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버스바(324')는 상기 제3버스바하우징(322')의 양단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버스바하우징(322)과 제3버스바하우징(322')은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제2버스바하우징(322)의 일측 표면에는 안착채널(3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채널(325)에는 상기 제1조립체(31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채널(325)은 상기 제2버스바하우징(322)에 형성된 안내리브(326) 사이 또는 상기 안내리브(326)와 제3버스바하우징(3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버스바하우징(322')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다수개의 스페이서리브(328)가 상기 안착채널(325)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조립체(320)의 제2연결버스바(324)는 상기 선택블록부(200)의 제4단자대(222-4)에 있는 외부연결부(272)와 필수블럭부(100)의 제5단자대(122-5)에 있는 외부연결부(19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조립체(320)의 제3연결버스바(324')는 상기 선택블록부(200)의 제3단자대(222-3)에 있는 외부연결부(272)와 필수블럭부(100)의 제6단자대(122-6)에 있는 외부연결부(19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록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가 버스바조립체(3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외부연결부(190,272)들이 외부의 배터리나 인버터 그리고 퀵차저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가 모두 사용되는 경우에는 자동차는 급속충전기능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필수블록부(100)만 사용되고, 상기 선택블록부(20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급속충전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상기 필수블록부(100)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단자대(122-1)와 제2단자대(122-2) 그리고 제4단자대(122-4)의 외부연결부(190)와 외부, 예를 들면 배터리와 인버터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를 상기 버스바조립체(300)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부(100)의 제3단자대(122-3), 제5단자대(122-5), 제6단자대(122-6)에 있는 외부연결부(190)와 버스바조립체(300)의 연결버스바(314,324,324')들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부(200)의 제3단자대(222-3), 제4단자대(222-4), 제5단자대(222-5)에 있는 외부연결부(272)와 버스바조립체(300)의 연결버스바(314,324,324')들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부(100)의 제1단자대(122-1), 제2단자대(122-2)에 있는 외부연결부(190)는 인버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수블록부(100)의 제4단자대(122-4)의 외부연결부(190)에는 배터리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선택블록부(2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200)가 버스바조립체(300)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5단자대(222-5)에 있는 외부연결부(272)가 배터리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조립체(300)가 상기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상기 제2조립체(320)가 먼저 상기 필수블록부(100)와 선택블록부(300)에 결합되고, 상기 제2조립체(320)의 안착채널(325)에 상기 제1조립체(310)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필수블록부(100) 및 선택블록부(300)의 외부연결부(190,272)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체(310)가 상기 제2조립체(320)의 안착채널(325)에 안착되고 상기 필수블록부(100) 및 선택블록부(200)와 결합되면, 상기 제1조립체(310)에 있는 제1단자커버(316), 제2단자커버(317), 제3단자커버(318)가 상기 제2조립체(320)의 연결버스바(324,324')가 결합된 외부연결부(190,272)를 모두 차폐하여 절연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수블록부(100)의 외관을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과 필수블록커버(140)가 형성하므로, 상기 필수블록커버(140)를 필수블록하우징(110)에서 분리하면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의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와 제2마운팅플레이트(112)에 있는 부품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를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수블록하우징(110)의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는 장착브라켓(174)이 설치되는데, 상기 장착브라켓(174)에는 전류센서(166)뿐만 아니라 커넥터(176)도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의 표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164)은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 구획벽(126)에 구획된 공간 내에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표면이 안착되도록 세워져 설치되어 있어서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의 소요 면적을 줄이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에 지지단(128), 체결단(130), 단자대(122)가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들 부품사이를 연결하는 버스바(186)의 절곡 횟수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버스바(186)가 설치될 때, 상대적으로 면적이 좁은 측면이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111)나 제2마운팅플레이트(112)를 향하도록 함에 의해서도 상대적으로 제1마운팅플레이트(111)의 소요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필수블록부 110: 필수블록하우징
111: 제1마운팅플레이트 112: 제2마운팅플레이트
114: 사이드플레이트 116: 장착편
118: 걸이공 120: 체결돌기
122: 단자대 122-1: 제1단자대
122-2: 제2단자대 122-3: 제3단자대
122-4: 제4단자대 122-5: 제5단자대
122-6: 제6단자대 124: 체결너트
126: 구획벽 128: 지지단
130: 체결단 140: 필수블록커버
141: 제1커버플레이트 142: 제2커버플레이트
144: 사이드플레이트 146: 체결편
148: 걸이턱 150: 커버슬롯
152: 단자윈도우 153: 커넥터윈도우
160: 프리차지릴레이 162: 피로스위치
164: 저항 166: 전류센서
168: 퓨즈 170: 필수릴레이
172: 페라이트코어 174: 장착브라켓
175: 고정편 176: 커넥터
177: 설치공간 178: 센서체결편
180: 커넥터설치단 182: 걸이리브
184: 걸이돌기 186: 버스바
188: 와이어 190: 외부연결부
200: 선택블록부 210: 선택블록하우징
211: 제1마운팅플레이트 212: 제2마운팅플레이트
214: 사이드플레이트 216: 장착편
218: 걸이공 220: 체결돌기
222: 단자대 222-1: 제1단자대
222-2: 제2단자대 222-3: 제3단자대
222-4: 제4단자대 222-5: 제5단자대
224: 체결너트 226: 구획벽
228: 제1지지단 228': 제2지지단
240: 선택블록커버 241: 제1커버플레이트
242: 제2커버플레이트 244: 사이드플레이트
246: 체결편 247: 단차
248: 걸이턱 250: 커버슬롯
252: 단자윈도우 260: 브이디씨이
262: 퓨즈 264: 커넥터
266: 릴레이 268: 와이어
270: 버스바 272: 외부연결부
300: 버스바조립체 310: 제1조립체
312: 제1버스바하우징 314: 제1연결버스바
320: 제2조립체 322: 제2버스바하우징
322': 제3버스바하우징 324: 제2연결버스바
324': 제3연결버스바 325: 안착채널
326: 안내리브 328: 스페이서리브

Claims (14)

  1. 필수블록하우징과 상기 필수블록하우징에 결합되는 필수블록커버가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전원관리를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하우징과 상기 선택블록하우징에 결합되는 선택블록커버가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필수블록부가 수행하는 기능과 다른 선택가능한 기능을 수행하고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선택블록부와,
    상기 필수블록부와 선택블록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버스바조립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블록하우징은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가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고, 상기 필수블록커버는 제1커버플레이트와 제2커버플레이트가 직교하게 연결되는 자동차용 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블록하우징의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동시에 연결되게 사이드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필수블록커버의 제1커버플레이트와 제2커버플레이트의 양단부에 동시에 연결되게 사이드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록.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에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부가 위치되는 단자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에는 구획벽으로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외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외면이 제1마운팅플레이트에 안착되게 부품이 세워져 설치되는 자동차용 블록.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에는 장착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의 설치공간에는 전류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의 일측에는 커넥터설치단이 형성되어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블록.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블록하우징에 장착되는 부품들의 회로연결을 위한 버스바는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의 표면을 향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외면이 향하도록 세워서 배치되는 자동차용 블록.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에는 퓨즈의 설치를 위한 지지단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에는 릴레이의 설치를 위한 체결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마운팅플레이트와 제2마운팅플레이트에는 상기 퓨즈와 릴레이에 연결된 버스바의 외부연결부가 위치되는 단자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록.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단은 상기 릴레이가 제1마운팅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2마운팅플레이트의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록.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블록하우징의 양단에는 장착편이 높이차를 두고 장착편이 형성되어 고정부에 필수블록부를 고정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블록.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조립체는 제1조립체와 제2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체는 상기 제2조립체에 형성된 안착채널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조립체가 연결되는 외부연결부를 덮는 단자커버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블록.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채널은 상기 제2조립체의 외면에 형성된 안내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록.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제1버스바하우징의 내부에 양단부가 노출되게 도전성재질로 만들어진 제1연결바스바가 위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조립체는 일체로 되고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제2버스바하우징과 제3버스바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버스바하우징의 양단으로 제2연결버스바의 양단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3버스바하우징의 양단으로 제3연결버스바의 양단부가 노출되게 설치되는 자동차용 블록.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체의 제1버스바하우징에는 상기 제2조립체의 제2연결버스바와 연결되는 외부연결부를 덮는 제1단자커버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조립체의 제3연결버스바와 연결되는 외부연결부를 덮는 제2단자커버가 상기 제1단자커버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조립체의 제2연결버스바 및 제3연결버스바가 연결되는 외부연결부를 동시에 차폐하는 제3단자커버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록.
KR1020210111275A 2021-06-18 2021-08-23 자동차용 블록 KR20220169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1598 WO2022265155A1 (ko) 2021-06-18 2021-08-30 자동차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9342 2021-06-18
KR1020210079342 2021-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349A true KR20220169349A (ko) 2022-12-27

Family

ID=8456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275A KR20220169349A (ko) 2021-06-18 2021-08-23 자동차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934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671U (ko) 2015-04-15 2016-10-25 박현명 수첩다이어리 제조장치
KR20170079582A (ko) 2015-12-30 2017-07-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671U (ko) 2015-04-15 2016-10-25 박현명 수첩다이어리 제조장치
KR20170079582A (ko) 2015-12-30 2017-07-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75061B (zh) 电池包
JP5074782B2 (ja) 電気接続箱
JP6176126B2 (ja) 配線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
CN103444032A (zh) 高电压用电接线箱
WO2018087681A1 (en) Battery pack with gas discharging passage
EP3490026A1 (en) Battery module
EP1194027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for a vehicule
RU113080U1 (ru) Монтажные рейки и электр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содержащий упомянутые рейки
JPH11162445A (ja) バッテリと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
KR20220169349A (ko) 자동차용 블록
KR101212056B1 (ko) 전원분배유니트
KR102542323B1 (ko) 자동차용 블럭
WO2014017571A1 (ja) 電気接続箱
CN116404716A (zh) 高压配电盒和电池包
CN215816212U (zh) 电池模组和房车电池
WO2021131861A1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CN108075060B (zh) 具有由两种材料制成的壳体的电池包
CN217035865U (zh) 房车电池
WO2022265155A1 (ko) 자동차용 블록
JP2004119187A (ja) バッテリ構成方法
JP2022136729A (ja) コネクタ組立体
CN217934598U (zh) 一种新型触头盒及开关柜
CN218351778U (zh) 一种高压连接器绝缘扣件以及高压熔断器型连接器
WO2021006109A1 (ja) 電気接続箱
CN218160726U (zh) 一种汇流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