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326A - 전자현수막을 활용한 전자게시대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현수막을 활용한 전자게시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326A
KR20220169326A KR1020210079619A KR20210079619A KR20220169326A KR 20220169326 A KR20220169326 A KR 20220169326A KR 1020210079619 A KR1020210079619 A KR 1020210079619A KR 20210079619 A KR20210079619 A KR 20210079619A KR 20220169326 A KR20220169326 A KR 20220169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bulletin board
electronic bulletin
advertis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249B1 (ko
Inventor
김용수
김수미
정철종
Original Assignee
김용수
김수미
(주)포이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김수미, (주)포이든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20210079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24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전자게시대 시스템은,
광고주가 게시하고자 하는 전자현수막에 대한 설정정보를 입력하는 광고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광고주 단말기;
상기 광고주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설정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설정정보에 따른 전자현수막의 게시를 관리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설정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전자현수막을 게시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게시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게시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정보 입력부는 광고문구, 광고지역, 업종카테고리, 및 디자인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현수막을 활용한 전자게시대 시스템{Electronic bulletin board system using electronic banners}
본 발명은 전자게시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자식 전광판에 게시되는 시각콘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제작하고 게시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나 시가지에는 광고나 홍보를 하기 위해서 천으로 제작한 다양한 현수막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현수막의 난립과 방치, 훼손 등으로 인하여 도시미관과 환경이 크게 손상되고 있으며, 또한 일회성 사용 후에 폐기되고 있어 자원 낭비 및 폐기물처리와 관련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현수막은 일반적으로 철재로 된 지지대를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다단의 현수막을 횡방향으로 양측 지지대에 고정시키거나, 지지대의 측면에서 광고판을 삽입하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현수막은 광고내용이 바뀔때마다 새롭게 다시 제작. 설치 및 폐기의 문제 발생하고, 별도의 조명시설이 미비하여 야간에는 잘 보이지 않아 광고 효과가 떨어지며, 비바람 등에 의해 찢기거나 방치되어 도시미관을 훼손시킨다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새로운 현수막의 설치나, 유효기간이 지난 현수막의 제거작업에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고, 설치/제거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 또한 상존하는 관리상 문제가 지속 되어왔다. 더불어 앞서 언급한 문제중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게시대는 쌍방의 직관적 사용 부재로 사용자 중심의 다양한 시각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소상공인간 치열한 경쟁으로 추첨을 통한 광고 게시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광고 니즈 충족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전자게시대를 사용한 효율적인 광고물의 게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되어지는 데이터 또한 재생산이나 새로운 콘테츠로의 창출을 유도하지 못하고 있어 낭비라는 측면에서는 기존 현수막 광고의 문제점들을 충분히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자식 전광판을 이용한 전자게시대가 만들어지고 있으나, 사용자와 관리자간의 원활한 소통이 어려워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확하고 신속한 내용을 제작하거나 수정하기가 불편하고, 야간에 전광판에서 발산되는 과도한 빛으로 인하여 눈부심을 유발하여 빛 공해를 일으키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076486호 (2011.10.18.) 등록특허 제10-1589964호 (2016.01.25.)
본 발명은 기존 현수막게시대 광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고를 희망하는 사용자가 전자식 현수막(전자게시대), 전자식 전광판에 게시되는 시각콘텐츠를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정확하고 신속하게 게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자게시대의 주변환경 정보에 따라 최적의 광고효율을 낼 수 있도록 전자게시대의 위치나 게시 기간을 추천하고, 소비자들이 광고를 촬영하여 사용자가 제공한 링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광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야간이나 기상의 변화에도 광고를 접하는 고객들에게 과도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절한 밝기의 광고를 제공해 광고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광고주가 게시하고자 하는 전자현수막에 대한 설정정보를 입력하는 광고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광고주 단말기;
상기 광고주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설정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설정정보에 따른 전자현수막의 게시를 관리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설정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전자현수막을 게시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게시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게시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정보 입력부는 광고문구, 광고지역, 업종카테고리, 및 디자인을 포함하는 상기 설정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전자게시대 시스템이다.
여기에서,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디자인은 상기 전자현수막에 표시되는 레이아웃 및 색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운영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빅데이터관리서버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것이 좋으며,
상기 광고정보 입력부에 상기 광고문구 및 상기 업종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추천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이 상기 광고정보 입력부에 제공되어 상기 광고주가 디자인을 선택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고문구가 입력되면 상기 광고문구의 전체 글자수, 문장부호, 띄어쓰기 및 키워드 정보를 반영하여 전자현수막 디자인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광고정보 입력부에 제공되어 상기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데이터를 포함하는 키워드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문구가 입력되면 상기 키워드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광고문구에 포함된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도면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추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업종카테고리가 입력되면 상기 업종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광고정보 입력부에 제공되어 상기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업종에서 사용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업종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업종카테고리가 입력되면 상기 업종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업종에 해당하는 도면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추천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전자게시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게시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전자게시대의 주변에 위치하는 인접 전자게시대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변환경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업종카테고리가 입력되면 상기 업종이 광고되지 않는 광고지역이 상기 전자게시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주변환경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운영서버로 제공되어 상기 광고주에게 광고지역을 추천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광고주가 업로드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업종카테고리 또는 상기 키워드를 인식하여 입력받는 이미지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전자게시대는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설정정보를 전달받는 통신모듈과, 상기 전자게시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전자게시대는 상기 전자게시판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게시판의 화면을 촬영하거나 조도 및 휘도를 측정하여 상기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전자게시대가 설치된 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상정보에 적합한 조도범위 및 휘도범위를 연산하며,
상기 모니터링모듈로부터 전송된 상기 조도 및 휘도와 상기 조도범위 및 휘도범위를 대비하여 상기 전자게시판의 조도 및 휘도를 조절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후 N번째 상기 전자게시판에 게시되고 있던 상기 전자현수막이 N+1번째 또는 N-1번째 전자게시판에서 게시되도록 하는 것이 좋고,
상기 전자게시판은 일 영역에 QR코드를 표시하는 QR코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QR코드는 상기 광고주가 입력한 링크데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QR코드를 촬영한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데이터가 지정하는 웹사이트를 불러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게시대 시스템에 의하면, 광고주는 광고주 단말기의 광고정보입력부에 설정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광고를 빠르고 쉽게 원하는 전자게시대에 게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게시대 시스템은 광고주로부터 광고문구, 업종카테고리, 광고지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적합한 디자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 있어, 광고주가 광고의 제작하기 쉽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 전자게시대는 전면부에 모니터링모듈이 구비되어 전자게시판의 상태를 촬영해 광고주가 현재 광고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즉각적인 피드백, 문제 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전자게시대의 모니터링모듈에서 전자게시판의 조도와 휘도를 측정하고 이를 실시간 기상정보, 시간과 함께 연산하여 기상조건이나 야간에도 적절한 조도, 휘도를 유지해 광고효과를 높이고 빛공해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 광고주들은 광고를 게시하고자 하는 전자게시대에 QR코드 등으로 표시되는 접속안내수단을 직접 단말기로 스캔함으로써 운영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광고 제작 및 게시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고객들은 전자게시판에 포함된 QR코드 등 링크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광고주가 제공한 링크데이터를 이용해 링크연결된 웹페이지에 바로 접속할 수 있거나, 광학식 문자판독(OCR)을 통해 관련 정보를 텍스트로 전달받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소비자가 광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게시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전자게시대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전자게시대의 구성요소와 그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전자게시대에 게시되는 광고의 변화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게시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광고주 또는 고객이 단말기를 이용해 전자게시대의 광고나 링크데이터를 촬영 또는 스캔하는 경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문자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광학문자판독(OCR) 또는 인공지능 기반 광학문자판독(AI-OCR)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서 실행하는 경우에 표시되는 인트로, 회원가입 및 로그인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로그인 후 광고주가 본인의 회원정보를 수정하거나 프로필 사진을 설정,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12는 광고를 하기 위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광고지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 13은 광고 내용으로 포함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맞춤 광고를 의뢰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맞춤광고의 신청내역을 광고주가 상세히 확인할 수 있는 화면 및 광고제작의뢰 화면이다.
도 15는 맞춤광고의 제작의뢰 입력창 및 맞춤광고의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이다.
도 16 및 17은 어플리케이션의 또 다른 메뉴인 대량맞춤광고신청의 선택시 노출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메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광고가 게시되지 않고 있거나 시스템의 문제가 발생한 것을 확인한 경우, 이를 대응하기 위한 고객지원 및 대응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전자게시대를 이용한 광고 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게시대 시스템(100)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전자게시대 시스템(100)의 구조 및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게시대 시스템(100)(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주 단말기(1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게시대(120), 운영서버(130), 및 빅데이터관리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주 단말기(110)는, PC, 스마트폰, PDA, 태블릿PC, 노트북 등 다양한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나 유선 또는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게시대(120)는, 운영서버(130)으로부터 설정정보를 전달받아 광고하고자 하는 내용의 광고를 전광판 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고객이나 소비자들에게 노출하는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서, 여러 지역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도 3은 전자게시대(120)의 일 예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게시대(120)는 메인전광판(121), 메인전광판과 함께 고정되며 메인전광판을 지지하는 메인전광판 지지구조물(122), 동일한 규격으로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전광판인 전자게시판(123), 전자게시대의 전광판 화면의 송출 및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24),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25) 및 모니터링모듈(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전광판(121)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게시대(1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전자게시판(123)보다 넓은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형태나 모양 등은 크게 제한되지 않고 개별적인 전자게시대의 위치, 주변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전광판을 전자게시대에 안전하게 고정, 지지하는 메인전광판지지구조물(122)은 메인전광판을 전자게시대의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대에 안전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부 면에 전자게시대나 관청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이미지, 지전자게시대에 개별적으로 지정되거나 할당된 큐알코드(QR코드) 등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게시판(123)은 메인전광판(121)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란히 구비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전광판(121), 전자게시판(123)이 LCD, LED 모듈 등 컬러를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전광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전광판(121)은 625ㅧ364 (227,500 픽셀)의 해상도로 (W)729mmㅧ(H)417mm의 화면크기를 가지고, 하나 이상의 전자게시판(123)은 1250ㅧ156 (195,000 픽셀)의 해상도로 (W)6,000mmㅧ(H)750mm의 화면크기를 가지는 LED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전자게시판에는 광고와 같은 시각 콘텐츠를 게시하기 위한 전광판 외에도 일부 영역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게시판에 포함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부분은 광고를 접하는 고객들이 광고에 대하여 더 많은 정보를 얻거나 광고주들이 제공하고자 하는 웹페이지에 연결하기 위한 링크이미지, 예를들어 큐알코드(QR코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전자게시대 제어모듈(124)은 메인전광판(121), 하나 이상의 전자게시판(123)들의 동작, 표시 상태등을 제어하여, 전자게시판의 제어모듈(124)과 별도로 구비되어 메인전광판(121)을 제어하는 메인전광판 제어모듈(124-1)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운영서버(130)는, 블루투스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주 단말기(110) 및 전자게시대(120)와 연결될 수 있고, 빅데이터관리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예를들어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각종 설정정보나 이미지를 받아 전자게시대나 빅데이터관리서버에 전달하고, 연산된 데이터를 광고주 단말기에 전송하는 등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운영서버(130)는 광고주 단말기(110), 전자게시대(120) 또는 후술할 빅데이터관리서버(140)과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통신부(131)을 포함하고, 통신부(131), 전자게시대(120) 또는 빅데이터관리서버(140)를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운영서버(130)는 실질적으로 전자게시대 시스템(100)의 제어에 관여하고, 전국적으로 분포된 전자게시대의 위치, 게시대의 구조 및 크기, 현재 진행중인 광고의 내용과 광고주의 정보, 현재 진행중인 광고의 광고기간 등을 관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130)는 광고주 단말기(110)의 광고정보입력부(111)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이미지의 레이아웃, 컬러 및 기타 데이터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각각 인식하고 데이터화 할 수 있는 이미지처리부(133)을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미지처리부(133)은 예를들어 광고주가 특정 광고이미지를 촬영하여 광고정보입력부(111)에 입력한 경우 해당 이미지를 통신부로부터 전달받아 처리하여 레이아웃, 컬러 등의 각각의 구성요소 들을 분리해 데이터화할 수 있고, 결과를 연산부에 전달하거나 연산부를 통해 빅데이터관리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모듈(125)는 전자게시대의 구조물, 메인전광판(121) 또는 전자게시판 등에 제어모듈(124)과 함께 설치되며 메인전광판(121)이나 전자게시판의 화면 작동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제어하는 설정정보나 신호를 외부 또는 운영서버(130)로부터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모니터링모듈(126)은 전자게시대(120)와 함께 설치되어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모듈(126)은 메인전광판(121) 및 하나 이상의 전자게시판(123)에서 화면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을 사진 또는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모듈(126)은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 각각의 화면에서 표출되는 빛의 양을 파악하여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 각각의 휘도를 측정할 수 있다.
운영서버(130)는 전자게시대 제어모듈(124) 및 통신모듈(125)로부터 모니터링모듈(126)에서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 정보 및 측정된 휘도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니터링모듈(126)은 전자게시대의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빅데이터관리서버(140)는, 외부 네트워크나 운영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으며,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특정 데이터를 선별하고 운영서버(130)의 연산부(13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빅데이터관리서버(140)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데이터베이스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자게시대 데이터베이스(142), 전자게시대 주변환경 데이터베이스(143),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145),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 업종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자게시대 시스템(100)을 광고주가 사용하는 경우 각 구성요소간의 데이터의 이동과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광고주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광고를 게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광고주는 광고주 단말기의 광고정보 입력부(111)에 게시하고자 하는 광고에 대한 설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설정정보는 광고 하고자하는 업종카테고리 정보, 광고지역 정보, 광고하고자하는 내용이나 광고문구 정보, 광고에 사용할 이미지나 도면, 색상 등을 포함하는 디자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광고주 단말기(110)는 전자게시대(120)에 화면으로 표출되는 시각콘텐츠 및 광고내용이 담긴 설정정보를 운영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고, 예를들어 설정정보를 운영서버(130)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전자게시대 통신모듈(125) 및 제어모듈(124)는 수신한 정보를 처리한 후 메인전광판(121)이나 전자게시판(123)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고를 희망하는 광고주들이 광고주 단말기(110)를 통하여 개인정보를 인증해 가입하고, 생성된 계정을 사용하여 로그인한 뒤, 광고를 게시하고자 하는 광고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 광고하고자 하는 시각 콘텐츠에 대한 광고문구정보 등 설정정보를 광고정보입력부를 통해 운영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운영서버(130)는 광고주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제공하거나 광고주가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네트워킹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설정정보들은 빅데이터관리서버(140)에 저장, 관리될 수 있고, 다른 광고주들의 데이터 또한 데이터베이스 또는 빅데이터로 관리되어 광고주들에게 특정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나 연산 데이터로 활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운영서버(130)에서 처리된 설정정보들은 통신부를 통해 전자게시대(120)의 통신모듈(125)에 수신되고, 통신모듈(125)는 설정정보를 메인전광판(121)에 관한 것인지 전자게시판(123)에 관한 것인지 판단하여 메인전광판 제어모듈(124-1) 또는 제어모듈(124)에 전달할 수 있고, 전달된 설정정보들은 메인전광판(121) 또는 전자게시판(123)에 표시되어 광고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이미지처리부는 설정정보를 받아 이를 조합함으로써 가상으로 광고시 예상되는 디자인샘플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운영서버(130)는 광고주가 입력한 설정정보에 의해 제작된 광고디자인샘플을 광고주 단말기(110)를 통해 광고주에게 다시 제공하여 광고주의 검수 및 피드백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즉, 광고주는 광고주 단말기(110)를 통하여 설정정보를 입력한 후, 운영서버(130)에 설정정보를 전달하고, 운영서버(130)는 이를 제공받은 후 이미지처리부에서 디자인샘플로 제작하며, 그 결과를 광고주에 다시 전달해 확인 및 피드백을 받고, 광고주의 승인을 얻은 이후 전자게시대에 광고 이미지를 게시하는 과정을 통해 광고주가 광고를 쉽게 개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운영서버(130)는 광고주 단말기(110)에서 운영서버(130)로 전송되는 설정정보에 따라 요금을 과금할 수 있으며, 광고주 단말기(11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해당 요금이 결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 운영서버(130)는 요금이 결제된 경우에만 제어정보가 전자게시대 시스템(10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 전자게시대의 제어모듈(124)은, 일정시간 경과 후 어느 하나의 전자게시판(123)에 게시되는 광고내용을 다른 하나의 전자게시판(123)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광고주의 승인 후 전자게시대에는 광고주의 광고가 일정 기간동안 게시될 수 있다.
도 4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전자게시대(120)에 게시되는 광고의 표시 상태 변화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전자게시판에 대하여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한다고 할 때, 전자게시대의 제어모듈(124)은 일정 시간 경과 후 첫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고 있던 광고를 두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도록 하고, 두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고 있던 광고는 세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도록 하는 등, N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고 있던 광고가 N+1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의 (a) 에서 도 4의 (b)로 변화)
이 때, N은 1 이상의 자연수이고, 전자게시대에 포함되는 전자게시판의 수인 M 보다 작거나 같다.
이 때, 제어모듈(124)은 가장 아래의 전자게시판에 게시되고 있던 광고가 첫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자게시판의 갯수보다 전자게시판(123)에 게시되어야할 광고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마지막 전자게시판(123)에 게시되고 있던 광고를 소정시간동안 게시하지 않도록 하고, 소정시간동안 게시되지 않고 있던 새로운 광고가 첫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자게시대는 전자게시판의 수보다 많은 광고를 의뢰받아 표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자게시판의 수의 1배 ~ 2배의 광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자게시판의 수보다 1개 내지 4개 더 많은 수의 광고를 받아 표시할 수 있고, 그보다 더 많은 광고가 의뢰되는 경우 이를 예약 광고로 저장할 수 있다.
전자게시판보다 더 많은 광고가 의뢰된 경우 제어모듈은 각 광고를 의뢰일 또는 운영서버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할 수 있으며, 1번, 2번 ... K번 광고로 설정한 후, 각 전자게시판이 현재 표시중인 광고번호를 일정 시간 이후 이보다 1 만큼 더 큰 번호의 광고가 표시되게 조절하고, 1 만큼 더 큰 번호의 광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시 1번 광고를 표시하게하여 주기적으로 화면으로 표출되는 광고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게시판에서 광고가 노출되는 시간은 9초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초 이상인 것이 좋으며, 여기에서 광고가 노출되는 시간은 광고가 하나의 전자게시판에서 노출되는 시간일 수 있고, 전체 전자게시대에서 연속적으로 노출되는 시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게시대의 동작을 설명하면, 전자게시판(123)이 4개가 구비되고, 게시하여야 할 광고가 6개인 경우에, 9초 경과후에는 첫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어 있던 광고는 두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도록 하고, 두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콘텐츠는 세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세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콘텐츠는 네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도록 하고, 네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콘텐츠는 다음 18초간 게시되지 않도록 하며, 게시되지 않고 있던 새로운 시각콘텐츠를 첫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어느 하나의 시각콘텐츠가 게시되는 전자게시대 (123)의 위치를 달리하면서 36초간 게시되고, 18초 동안은 게시되지 않는 형태를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자게시대 제어모듈(124)은 상술한 바와는 반대방향으로, N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고 있던 광고가 N-1번째 전자게시판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의 (b)에서 도 4의 (a)로 변화)
이와 같이, 전자게시대 제어모듈(124)는 주기적으로 광고가 다른 위치의 전자게시판에 게시되도록 하여, 위치에 따른 광고의 노출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며, 전자게시판의 갯수보다 게시되어야할 광고의 수가 많은 경우에도 동일한 시간 동안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자게시대 제어부(124)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자게시판을 통합된 하나의 전광판으로서 활용하여 하나의 광고를 모든 전자게시판에 걸쳐 화면으로 표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운영서버(1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전자게시대에 광고를 개시할 수 있도록 진행 중인 광고의 광고기간이 종료된 이후의 예약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들어, 광고주는 광고주 단말기(110)을 이용하여 원하는 지역의 전자게시대를 확인한 후, 해당 전자게시대의 광고 중 일부를 선택하여 광고기간이 종료된 이후 자신의 광고를 게시하기 위한 예약정보를 운영서버(130)에 전송하고, 운영서버(130)는 이를 수신한 뒤 저장하며, 이전 광고의 광고기간이 종료되기 이전에 예약한 사용자에 관련 내용을 전달한 후 광고를 게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사용자가 예약한 정보 중 일부는 또 다른 사용자에게 공개되어 여러 사용자들이 특정 전자게시대의 광고 예약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추가적인 2순위 예약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예약정보는 운영서버(130)에서 관리되며, 선운영서버(130)가 후술할 빅데이터관리서버(140)로 예약정보를 전송하여 전자게시대별 예약데이터가 전자게시대 데이터 베이스에 빅데이터로 저장 및 활용되거나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해 그 경향을 분석하고 향후 광고 수요를 분석하여 전재게시대의 추가 설치시 위치를 결정하는데에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광고주는 광고주 단말기(110)를 통하여 본인이 희망하는 광고이미지 또는 광고이미지가 포함된 데이터를 운영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고, 운영서버(140)는 이미지처리부에서 전송된 이미지의 구성요소들을 인식한 후, 해당 이미지와 유사한 레이아웃을 가지는 광고 디자인 템플릿 또는 디자인 샘플을 인공지능을 활용하거나 빅데이터관리서버(140)를 활용해 선정하여 광고주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고, 직접 운영서버(13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이미지 정보와 유사한 광고를 쉽게 찾아 자신의 광고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광고주는 광고주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전자게시대에 포함된 접속안내수단을 실제 오프라인 상에서 촬영할 수 있으며, 광고주 단말기(110)는 접속안내수단을 인식한 후 광고를 의뢰하기 위한 화면, 링크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연결하기 위한 링크를 제공하여 광고주가 빠르고 쉽게 광고를 의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설정정보에는 광고를 접하는 고객이나 소비자들이 광고내용 및 광고주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링크 또는 큐알코드(QR코드)를 제공하는 링크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링크데이터는 설정정보 또는 광고문구정보에 포함되며, 광고에 이미지로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위 경우, 고객 또는 소비자는 광고에 포함된 링크데이터, 예를 들어 QR코드를 자신의 단말기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촬영 또는 스캔하여 광고주가 제공한 링크데이터를 제공받거나 링크된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촬영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예를들면, 전자게시판(123)에 표시되는 광고는 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링크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링크이미지는 큐알코드(QR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QR코드 이외에도 하이퍼링크 등을 통해 소비자가 세부정보를 얻기 위한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로 접속 가능한 링크를 포함하는 데이터라면 그 형태는 다를 수 있다.
고객이나 소비자는 게시된 광고를 시청한 후 해당 광고를 휴대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히 촬영하거나 인식할 수 있으며, 이때 원하는 광고를 촬영하거나 인식시킴으로써 광고주인 사용자가 광고에 포함시킨 링크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주소로 소비자가 접속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고주가 전자게시대에 포함된 접속안내수단을 촬영하거나, 소비자가 광고에 포함된 링크데이터를 촬영하는 행위 이외에도, 광고주나 소비자가 전자게시대를 촬영하는 과정에서 LED에 표출된 이미지를 캡쳐하거나 스캔하고, 캡쳐 또는 스캔된 이미지에 포함된 정보를 문자로 추론, 인식하여 광고주나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광학문자판독(OCR)기능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공지능기반 광학문자판독(AI-OCR) 기능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AI-OCR 기능의 개략적인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자게시대를 사용자가 단말기로 촬영 또는 스캔하면, 해당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에 의해 매칭된 문자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모니터링모듈(126)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는 운영서버 또는 빅데이터관리서버(140)에 저장, 관리되며, 사용자는 본인이 의뢰한 광고 및 다른 광고들이 함께 촬영된 데이터에 접근권한을 부여받아 접근하여 실제 광고판에 노출되는 화면들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운영서버(130)는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에서 표출되는 광고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운영서버(130)는 모니터링모듈(126)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나 이미지정보를 광고주 단말기(110)에 전송할 수 있으고, 이를 통하여 광고주는 광고가 제대로 게시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촬영된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권한은 운영서버에서 관리되며, 해당 전자게시대에 광고를 의뢰한 광고주들에게 접근이 허용될 수 있다.
모니터링모듈(126)에 포함되는 조도센서(미도시)는 메인전광판(121) 및 하나 이상의 전자게시판(123)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자게시대 제어모듈(124)은 메인전광판(121) 및 복수개의 전자게시판(123)에 표출되는 화면의 밝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는데, 전자게시대 제어부(124)는 조도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되는 조도의 크기에 따라 메인전광판(121) 및 복수개의 전자게시판(123)에 표출되는 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자게시대 제어부(124)는 조도가 낮을 경우에는 메인전광판(121) 및 복수개의 전자게시판(123)에 표출되는 화면의 밝기를 어둡게 하고, 조도가 높을 경우에는 메인 전광판(121) 및 복수개의 전자게시판(123)에 표출되는 화면의 밝기를 밝게하여 시인성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모듈(125)에 의해 측정되는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 각각의 휘도는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 각각에서 화면으로 표출되는 광고의 시각콘텐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되는 시각콘텐츠의 색상구성에 따라 휘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백색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경우 휘도가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특히 야간에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일으켜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으로 표출되는 광고 시각콘텐츠의 색상구성에 따라서, 메인전광판(121) 및 복수개의 전자게시판(123)에 표출되는 화면의 밝기를 조절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게시대 제어모듈(124)은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가 일정값 이하이고, 메인전광판(121), 또는 복수개의 전자게시판(123) 중에서 모니터링모듈(125)에 의해 측정된 휘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것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되는 전자게시대 전광판(121, 123)의 밝기를 조절하여, 측정되는 휘도가 소정의 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게시대 제어모듈(124)는 조도에 따라서만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조도가 일정값 이하인 경우, 다시 말해서 야간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전자게시대(120)의 휘도를 소정의 값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 또는 운전자의 눈부심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야간 빛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에 표출되는 시각콘텐츠의 색상구성에 따라 각 전자게시대(120)의 휘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밝은 색의 구성이 많은 경우에는 휘도가 높아져 보행자 또는 운전자의 눈부심을 일으킬 수 있는데, 전자게시대 제어부(124)는 시각콘텐츠의 구성에 따라 각각의 전자게시대(121, 123)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전자게시대(120)에 사용되는 메인전광판(121) 또는 전자게시판(123)은 화소간격이 6mm 이고, 휘도가 7,500 cd/㎡ 이상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자게시대 제어모듈(124)은 조도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되는 조도가 일정값이하인 경우 야간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야간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 각각의 평균휘도값이 1000cd/㎡ 이하가 되도록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모듈(124)이 색좌표 조절제어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각 광원의 시비율(점등비율)을 조정함으로써 휘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LED의 밝기를 1023단계로 구분하였을 때 1023, 640, 512, 256 등으로 조절하며 전체 휘도값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QR코드 표시부의 경우 전자게시대의 다른 영역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데, 이때 작은 크기의 led를 좁은 간격으로 배열한 모듈이 사용되는 것이 좋고, qr코드 표시부는 다른 영역과 별도로 제어되거나, qr코드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전자게시대의 연장부 인것처럼 화면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조도 및 휘도를 측정가능한 모니터링모듈로부터 휘도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받는 방법 이외에도, 빅데이터관리서버(140)로부터 기상정보 데이터를 전달받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빅데이터관리서버(14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국내 및 각 전자게시대(120)가 설치된 지역의 기상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위치에 따른 기상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기상정보에 따라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어, 흐리거나 비, 안개와 같은 기상, 미세먼지가 높음 이상인 조건에서는 소비자들의 시계가 좁고 시야거리가 짧아지므로 광고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 메인전광판(121) 및 전자게시판(123의 밝기를 높이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130)는 모니터링모듈(126)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측정된 조도정보, 휘도정보를 통해 화면의 밝기와 광고의 색상 구성에 따른 휘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영서버(130)는 야간에 게시되는 경우 눈부심을 과도하게 일으킬 수 있는 광고의 색상구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고, 이를 광고주 단말기(110)기 제공함으로써 야간에 눈부심을 일으킬 수 있는 광고가 전자게시대 시스템(100)에 게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으로 빅데이터관리서버(140)의 인공지능을 통한 시각콘텐츠의 분석 및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인공지능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게시하고자 하는 광고 시각콘텐츠의 휘도 및 색상구성을 판단해 야간 게시 적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피드백하거나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야간 게시 적합성을 만족하는 시각콘텐츠로 수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에, 디자인 템플릿은 간단한 텍스트 등을 입력하면 광고 시각콘텐츠를 완성할 수 있는 형태의 디자인 템플릿인 것이 좋다.
이에 따라, 광고주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운영서버(130)에서 제공된 디자인 템플릿에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손쉽게 시각콘텐츠 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130)에서 제공되는 디자인 템플릿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게시 목적이나 업종 등에 따라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에, 운영서버(130)에서 제공되는 디자인 템플릿은 야간에 게시하는 경우 눈부심을 과도하게 일으키지 않을 수 있는 색상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운영서버(130)가 모니터링모듈(126)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측정된 휘도정보를 통해 화면의 밝기와 시각콘텐츠의 색상 구성에 따른 휘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통해 마련된 기준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관리서버(140)는 광고주 단말기(110) 또는 운영서버(130)로부터 광고하고자 하는 업종카테고리에 대한 정보, 광고를 게시하고자 하는 광고 지역에 대한 광고지역정보,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문구정보와 디자인 및 광고 게시기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광고주로부터 이 중 일부 정보를 제공받은 후 최적의 디자인을 선정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부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서, 해당 정보를 토대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해 최적의 광고디자인이나 광고지역 등을 판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로는 광고주로부터 광고문구, 업종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업종카테고리 정보가 입력되면, 운영서버가 해당 입력 정보를 바탕으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에서 적합한 이미지, 도면을 선별하여 광고주에게 추천, 제공할 수 있다.
광고문구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광고문구에서 전체 글자 수, 문장부호, 띄어쓰기 정보를 인공지능이 인식, 분석할 수 있고,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전자현수막 디자인이 운영서버로부터 광고정보 입력부(111)에 제공되어 광고주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의 키워드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로부터 광고문구에 포함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도면, 이미지를 광고정보 입력부(111)에 제공해 광고주에게 추천할 수 있다.
업종카테고리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업종에 맞는 디자인들이 선정되어 운영서버로부터 광고정보 입력부(111)에 제공되어 광고주가 원하는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의 업종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로부터 입력된 업종에 해당하는 도면, 이미지를 광고정보 입력부(111)에 제공해 광고주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때, 가장 많이 사용된 이미지나 업종카테고리별 사용가능한 이미지, 업종을 대표하는 도면이 선택될 수 있고 광고주는 이미지의 선별 기준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운영서버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에서 적절한 이미지나 도면을 선정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운영서버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키워드 또는 업종에 대한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 후 도출된 이미지를 키워드 이미지 데이터베이이스 또는 업종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하여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를 보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사용자가 업종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만을 입력한 경우에 해당 업종카테고리의 광고가 수행되는 전자게시판의 위치정보 및 진행중인 광고의 게시기간, 전자게시판의 주변환경을 기반으로 주변에 유사하거나 동일한 업종카테고리의 광고가 적어 광고효과가 가장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전자게시판의 위치, 광고기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최적의 결과를 연산하기 위하여 전자게시대 주변의 전자게시판 분포를 데이터화한 주변환경 데이터가 빅데이터관리서버(140)의 주변환경 데이터베이스(143)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주변환경 데이터는 주변환경 데이터베이스(143)에 저장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활용가능한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아래 표 1 및 표 2에서 전자게시대 데이터베이스(142) 및 주변환경 데이터베이스(143)의 구현 예를 나타내었다.
번호 지역 주소 게시대구성 업종카테고리 광고기간 대기수
1번 .... m번 1번 ... n번
P001 부산 OO동 XX~ 전자게시대5 병원 식당 210301
~210531
210412
~211011
0
P002 ... ... ... ... ... ... ... ... ... ...
번호 광고 업종카테고리 인근 전자게시판1 ... 인근 전자게시판7 1km내
게시판 수
게시대1 ... 게시대5 거리(m) 업종 ... 거리(m) 업종
P001 병원 ... 식당 200 카센터 920 쇼핑몰 7
P002 ... ... ... ... ... ... ... ... ...
또 다른 기능으로는, 구체적으로 빅데이터관리서버(140)는 등록된 전자게시판의 주변에 존재하는 광고게시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전자게시판의 광고현황을 파악하며, 광고주가 특정 업종카테고리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업종카테고리의 광고 빈도가 낮거나 광고가 게시되지 않은 지역을 선정하여 운영서버에 제공하는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업종카테고리의 광고가 진행중인 경우 동일 업종카테고리의 광고를 중복 게시하는 것은 효율이 낮으므로, 해당 업종카테고리의 광고가 게시되지 않거나, 그 빈도가 낮은 광고지역이 도출되어 광고주에게 제공되는 경우에 높은 광고효율이 얻어질 수 있다.
또는, 예상되는 위치의 전자게시대(120)에 대하여 광고기간을 계산하거나, 모든 전자게시대(120)가 광고 게시중인 경우 효율을 고려하여 적절한 광고기간을 광고주에게 제공하고, 필요시 예약을 진행하는 기능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는, 전자게시판을 이용하는 광고 방법이 제공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전자게시대(120) 및 전자게시대 시스템(100)을 활용한 광고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전자게시대 및 전자게시대 시스템(100)의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 구성요소간 관계는 전술한 측면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부분의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전자게시판이란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물을 의미하며, 전자현수막이란 다말기나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표시, 제공될 수 있는 시각콘텐츠 로서 광고, 뉴스, 안내 등을 포함한다.
본 측면의 광고방법은 전자게시판의 전자게시대를 이용하는 광고방법으로서,
일 영역에 QR코드가 구비되는 전자현수막을 전자게시판에 게시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고주가 게시하고자 하는 전자현수막에 대한 설정정보를 광고주 단말기(110)의 광고정보 입력부(111)에 입력하는 단계, 광고주 단말기(1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운영서버가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설정정보에 따른 전자현수막의 게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운영서버가 전자현수막이 게시되는 적어도 1개의 전자게시판을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게시대(120)에 설정정보를 전달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광고정보 입력부(111)는 광고문구, 광고지역, 업종카테고리, 및 디자인 등의 광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정정보는 광고에 대한 정보 이외에도 광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웹사이트 또는 특정 웹페이즈의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ㅈ기하다.
이때, 일 영역에서 QR코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QR코드 표시부가 구비되는 전자게시판이 전자현수막을 표시하는 전자게시판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전자게시판의 크기나 구조는 제한되지 않으나 수명, 에너지 효율을 고려할 때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전자게시판인 것이 좋고, 디스플레이 되는 전영역에서 일부 영역을 QR코드를 나타내기 위한 QR코드 표시부로 구분하여 포함하는 것도 좋다.
바람직한 일 예시로는, QR코드 표시부는 전자게시판의 전자현수막이 표시되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높은 것이 좋으며, 예를들어 LED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는 것이 좋고, 이때 LED 디스플레이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LED가 사용되거나 LED 사이의 간격이 좁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현수막이 표시되는 부분의 해상도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QR코드 표시부는 광고를 접하는 고객들이 이를 인식, 촬영하여 정해진 웹페이지로 접속하기 위해 더 높은 해상도와 적절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QR코드 표시부는 전자게시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QR코드 표시부의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나 전자현수막의 설치 환경과 고객들과의 거리 등을 고려해 크기가 정해지는 것이 좋다.
이어서 고객이 전자현수막을 개인 단말기로 촬영하는 단계(S200)이 포함된다. 고객은 전자현수막에 포함된 광고 및 QR코드를 접한 이후에 개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광고에 표시된 QR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에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QR코드를 인식하거나, 클라우드 기능을 활용하여 웹상에서 QR코드를 인식해 특정 웹페이지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촬영된 QR코드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웹사이트를 고객의 개인 단말기에 불러와 표시하는 단계(S300)가 이루어진다.
고객의 개인 단말기는 전자게시판의 전자현수막에 표시되는 QR코드를 인식함으로써 화면에 미리 정해진 웹사이트를 불러오는데, 해당 웹사이트는 광고주가 광고하고자하는 제품이나 웹사이트에 관한 것이고, 광고주가 광고를 게시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입력할 때 입력한 링크데이터를 통하여 지정된 웹사이트가 불려질 수 있다.
고객들은 개인 단말기에 불려온 웹사이트를 통하여 광고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거나 주문을 할 수 있고, 광고주가 입력한 링크데이터가 지정하는 홈페이지나 웹사이트에서 광고주에 대한 기타 정보를 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위와 같은 광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광고주가 광고를 게시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S100 단계의 이전에 광고주가 원하는 광고를 전자현수막에 게시하는 단계(S1)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면 광고주가 원하는 광고를 전자현수막에 게시하는 단계(S1)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게시판을 이용한 광고 방법은 광고주가 광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로그인 후, 광고 메뉴를 선택하여 맞춤 광고를 의뢰하거나 광고 추천을 받는 단계(S10), 광고주 단말기(11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선택에 따라서 광고 설정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10 단계에서 광고주는 전자게시판에 구비된 접속안내수단을 촬영 또는 스캔하여 바로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고주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맞춤 광고 의뢰를 선택하는 경우,
업종카테고리 정보, 광고지역 정보, 게시기간 정보 또는 광고문구 정보를 설정정보로서 입력받는다. 이때, 광고주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다양한 디자인 템플릿 중 원하는 디자인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으며, 광고주가 특정 이미지나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업로드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처리, 분석하여 그와 유사한 광고 템플릿이나 디자인 들을 찾거나 조합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광고주가 광고 추천 받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
업종카테고리 정보, 광고지역 정보, 게시기간 정보 및 광고문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정보로서 입력 받은 후, 입력되지 않은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추천받아 광고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어플리케이션은 업종카테고리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업종카테고리 정보를 운영서버에 전달한 후 빅데이터관리서버(140)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빅데이터로부터 적합한 광고지역, 게시기간, 광고문구 및 이미지 데이터를 선정하여 광고주에게 추천할 수 있다.
광고주에게 제공되는 광고 샘플은 광고주가 확인 후 승인한 경우에 전자게시판에 게시되며, 광고주가 수정요청 하는 경우, 요청 사항에 따라 S20단계의 설정정보 입력단계 또는 S10단계의 광고 메뉴 선택단계로 돌아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는 전술한 전자게시대 시스템(100)을 광고주가 활용하기 위한 전자게시대 광고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제공된다.
전술한 전자게시대 시스템(100)에서 광고주 단말기(110)를 이용해 광고주가 광고를 의뢰할 수 있으며, 광고주가 광고주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전자게시대 시스템(100)을 이용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빅데이터 운영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서비스하거나 클라우드 방식을 통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을 서비스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9는 본 측면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 제공되는 스마트폰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의 도면에서 표시된 화면 및 이미지는 모두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목적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8 및 도 9는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서 실행하는 경우에 표시되는 인트로, 회원가입 및 로그인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화면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상표, 제공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광고주에 대한 계정 정보를 운영서버(130)에 저장하기 위하여 인증번호를 입력받아 본인인증을 요청하고 본인인증을 완료하기위한 단계의 화면이 포함될 수 있다.
광고주는 본인명의 휴대폰 등의 수단을 통한 인증을 통해 회원가입을 하거나, 이미 회원가입한 광고주의 경우 로그인할 수 있으며, 회원 아아디 및 비밀번호를 찾을 수도 있다.
도 10은 로그인 후 광고주가 본인의 회원정보를 수정하거나 프로필사진을 설정,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12는 광고를 하기 위한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광고지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표시한 화면이다. 광고주가 로그인 후 스마트폰, 단말기의 위치검색기능을 활성화하여 위치정보를 활용가능한 상태에서 GPS를 통한 광고주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으며, 광고지역을 지도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제공되는 지도는 제한되지 않으면 외부 사이트 또는 플랫폼을 통하여 제공되는 지도, 광고주의 휴대폰에 설치된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광고주가 광고를 게시할 수 있도록 관리자가 등록한 전자게시대(120)를 검색하고, 전자게시대(120)의 세부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광고 내용으로 포함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맞춤광고를 의뢰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광고하고자 하는 업종카테고리에 대한 정보, 광고의 시각콘텐츠로 활용되는 이미지, 레이아웃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할 수 있으며, 게시대 번호, 게시기간, 기시일정 및 입력된 정보에 따라 계산된 결제금액과 결제방법 등이 화면에 표시되어 광고주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맞춤광고의 신청내역을 광고주가 상세히 확인할 수 있는 화면과, 맞춤광고로 게시하기 위한 광고를 직접 제작의뢰하거나 샘플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다.
도 15는 맞춤광고의 제작의뢰 입력창 및 맞춤광고의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이다.
도 16 및 17은 어플리케이션의 또 다른 메뉴인 대량맞춤광고신청의 선택시 노출되는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여러대의 전자게시대(120)를 한번에 선택하고 광고를 게시할 수 있으며, 개별 맞춤광고 신청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고의 세부내용 및 결제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8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메뉴를 나타낸 것이고, 도 19은 고객지원 메뉴를 나타낸 것이며, 어플리케이션에서 광고가 게시되지 않고 있거나 시스템의 문제가 발생한 것을 확인한 경우, 광고주들이 대응하고 조치하기 위한 대응방안과 제보방법을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게시대를 이용한 광고 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측면의 어플리케이션은 전자게시대(120)에 원하는 광고를 게시하기 위한 전자게시대 광고 어플리케이션으로, 어플리케이션의 광고주로부터 광고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은 후, 해당 정보를 운영서버에 전송하고, 운영서버에서 광고 샘플을 제작해 광고주에게 다시 제공하거나, 광고주로부터 받은 정보를 운영서버에 전송하며, 운영서버는 이를 빅데이터관리서버(140)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빅데이터관리서버(140)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효율이 높은 광고지역이나 광고효율이 높은 광고 게시 기간, 적합한 이미지 등을 도출하고, 이를 운영서버를 통해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광고주는 운영서버에서 광고 샘플을 제공받은 후 이에대한 피드백, 수정사항을 전송하거나 광고 샘플을 확인함으로써 전자게시대(120)에 원하는 광고가 게시되어 광고 기간동안 표시되도록 의뢰할 수 있으며, 또한 운영서버 또는 빅데이터관리서버(140)로부터 제안된 광고지역이나, 광고 게시 기간 또는 디자인, 도면 등을 확인한 후 이에 대한 피드백, 수정사항을 전송하거나 제시된 조건을 승인함으로써 전자게시대(120)에 원하는 광고를 게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광고주가 아닌 고객(사용자)가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객이 개인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전자현수막을 촬영한 이미지 파일을 개인 단말기의 갤리러나 앨범에 접근하여 열람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은 개인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전자 현수막의 QR코드 이미지를 인식하여 고객(사용자)에게 QR코드에 지정된 웹페이지로의 하이퍼링크(Hyperlink)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사용자)는 해당 링크를 통하여 광고주가 미리 지정한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개인 단말기에서 OCR, AI-OCR을 통해 인식된 문자는 하이퍼링크로 인식되어 개인 단말기에서 하이퍼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100: 전자게시대 시스템 110: 광고주 단말기
111 : 광고정보 입력부 120: 전자게시대
121: 메인전광판 122 : 메인전광판 지지구조물
123: 전자게시판 124: 제어모듈
124-1 : 메인전광판 제어모듈 125 : 통신모듈
125-1 : 메인전광판 통신모듈 126: 모니터링 모듈
130: 운영서버 131 : 통신부
132 : 연산부 133 : 이미지처리부
140: 빅데이터관리서버 141 : 데이터베이스
142: 전자게시대 데이터베이스 143 : 주변환경 데이터베이스
144 :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145 :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광고주가 게시하고자 하는 전자현수막에 대한 설정정보를 입력하는 광고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광고주 단말기;
    상기 광고주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설정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설정정보에 따른 전자현수막의 게시를 관리하는 운영서버; 및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설정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전자현수막을 게시하는 적어도 1개의 전자게시판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게시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정보 입력부는 광고문구, 광고지역, 업종카테고리, 및 디자인을 포함하는 상기 설정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디자인은 상기 전자현수막에 표시되는 레이아웃 및 색상을 포함하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빅데이터관리서버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정보 입력부에 상기 광고문구 및 상기 업종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추천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이 상기 광고정보 입력부에 제공되어 상기 광고주가 디자인을 선택하게 하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문구가 입력되면 상기 광고문구의 전체 글자수, 문장부호, 띄어쓰기 및 키워드 정보를 반영하여 전자현수막 디자인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광고정보 입력부에 제공되어 상기 선택이 이루어지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데이터를 포함하는 키워드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문구가 입력되면 상기 키워드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광고문구에 포함된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도면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추천되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종카테고리가 입력되면 상기 업종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광고정보 입력부에 제공되어 상기 선택이 이루어지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업종에서 사용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업종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업종카테고리가 입력되면 상기 업종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업종에 해당하는 도면이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추천되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전자게시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게시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전자게시대의 주변에 위치하는 인접 전자게시대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변환경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업종카테고리가 입력되면 상기 업종이 광고되지 않는 광고지역이 상기 전자게시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주변환경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운영서버로 제공되어 상기 광고주에게 광고지역을 추천하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광고주가 업로드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업종카테고리 또는 상기 키워드를 인식하여 입력받는 이미지인식부를 포함하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게시대는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설정정보를 전달받는 통신모듈과, 상기 전자게시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게시대는 상기 전자게시판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게시판의 화면을 촬영하거나 조도 및 휘도를 측정하여 상기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전자게시대가 설치된 지역의 기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상정보에 적합한 조도범위 및 휘도범위를 연산하며,
    상기 모니터링모듈로부터 전송된 상기 조도 및 휘도와 상기 조도범위 및 휘도범위를 대비하여 상기 전자게시판의 조도 및 휘도를 조절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후 N번째 상기 전자게시판에 게시되고 있던 상기 전자현수막이 N+1번째 또는 N-1번째 전자게시판에서 게시되도록 하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게시판은 일 영역에 QR코드를 표시하는 QR코드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QR코드는 상기 광고주가 입력한 링크데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QR코드를 촬영한 단말기에서 상기 링크데이터가 지정하는 웹사이트를 불러오는 전자게시대 시스템.



KR1020210079619A 2021-06-18 2021-06-18 전자현수막을 활용한 전자게시대 시스템 KR102542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19A KR102542249B1 (ko) 2021-06-18 2021-06-18 전자현수막을 활용한 전자게시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619A KR102542249B1 (ko) 2021-06-18 2021-06-18 전자현수막을 활용한 전자게시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326A true KR20220169326A (ko) 2022-12-27
KR102542249B1 KR102542249B1 (ko) 2023-06-13

Family

ID=84568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619A KR102542249B1 (ko) 2021-06-18 2021-06-18 전자현수막을 활용한 전자게시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24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68B1 (ko) * 2008-10-31 2010-01-27 (주) 디엔에이소프트 인터넷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76486B1 (ko) 2010-03-05 2011-10-24 김석원 다단 엘이디 전자현수막
KR20140031457A (ko) * 2012-08-31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 서비스 서버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20150015062A (ko) * 2013-07-30 2015-02-10 주식회사 케이티 이미지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89964B1 (ko) 2015-09-16 2016-02-01 주식회사 디지털전광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1895B1 (ko) * 2015-07-23 2016-04-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정 기반의 자동 문구 디자인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75388A (ko) * 2015-12-23 2017-07-0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안내장치
KR20200084098A (ko) * 2019-01-02 2020-07-10 장세영 광고매체를 추천하여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광고매체를 추천하기 위한 서버 및 광고매체 추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68B1 (ko) * 2008-10-31 2010-01-27 (주) 디엔에이소프트 인터넷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76486B1 (ko) 2010-03-05 2011-10-24 김석원 다단 엘이디 전자현수막
KR20140031457A (ko) * 2012-08-31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 서비스 서버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20150015062A (ko) * 2013-07-30 2015-02-10 주식회사 케이티 이미지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611895B1 (ko) * 2015-07-23 2016-04-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정 기반의 자동 문구 디자인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9964B1 (ko) 2015-09-16 2016-02-01 주식회사 디지털전광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5388A (ko) * 2015-12-23 2017-07-0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안내장치
KR20200084098A (ko) * 2019-01-02 2020-07-10 장세영 광고매체를 추천하여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광고매체를 추천하기 위한 서버 및 광고매체 추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249B1 (ko)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6425B2 (en) Claiming real estate in panoramic or 3D mapping environments for advertising
US20160162950A1 (en)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store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12506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dvertisement and information displays on vehicles based on an e-commerce site
US20020112026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signs
US20070265006A1 (en) Interactive text messaging system for information distribution
US20080072139A1 (en) Mobilizing Webpages by Selecting, Arranging, Adapting, Substituting and/or Supplementing Content for Mobile and/or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Optimizing Content for Mobile and/or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Enhancing Usability of Mobile Devices
KR101947009B1 (ko) 미사용 시간대를 이용한 전광판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496049A (zh) 使用用户兴趣信息和基于地图的位置信息确定广告
US20130185162A1 (en) Advertise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6526813A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中への視覚広告コンテンツの適応的な埋め込み
CN1338081A (zh) 在因特网中的电子广告牌上销售广告空间的系统和方法
JP2002040974A (ja) 広域電子広告機能を有する電子看板システム
US8139751B1 (en) System and method to communicate information to an employee
US7831654B1 (en) System and method to communicate information to an employee
KR102542249B1 (ko) 전자현수막을 활용한 전자게시대 시스템
KR20000072615A (ko) 전광판을 이용한 인터넷 광고방법
KR102597620B1 (ko) 전자게시대를 이용한 광고방법
KR102059673B1 (ko) 시스템 관리자를 중심으로 광고주와 영상기기 보유자 3자간의 실시간 광고정보 공유가 가능하고, 영상기기에 연결되는 중간제어 셋톱박스를 통해 영상기기에서 표출되는 광고 콘텐츠의 내용 및 화면범위 제어가 가능하여 영상기기를 통한 광고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광고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589964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1819B1 (ko) 기능성 필름을 이용한 영상서비스 시스템 및 영상서비스 방법
KR1019324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친화적 광고 방법
US20200082438A1 (en) Coordination system for events with customizable advertisement space
KR102353742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20010078123A (ko)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 및위치정보 안내방법
KR20190080378A (ko) 사이니지를 이용한 부동산 매물광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