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300A -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 Google Patents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300A
KR20220169300A KR1020210079552A KR20210079552A KR20220169300A KR 20220169300 A KR20220169300 A KR 20220169300A KR 1020210079552 A KR1020210079552 A KR 1020210079552A KR 20210079552 A KR20210079552 A KR 20210079552A KR 20220169300 A KR20220169300 A KR 20220169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lla
perilla oil
seeds
oil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인
한상익
이명희
김민영
김성업
오은영
정찬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1007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9300A/ko
Publication of KR2022016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23D9/04Work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C11B1/08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by hot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늘새미 들깨를 포함하고,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a) 늘새미 들깨를 곡물 세척기에 투입하여 들깨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세 단계; (b) 상기 수세된 늘새미 들깨를 탈수하는 단계; (c) 상기 탈수된 늘새미 들깨를 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하는 단계; (d) 상기 건조된 늘새미 들깨를 볶는 단계; 및 (e) 상기 볶아진 늘새미 들깨를 착유기에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 상기 늘새미 들기름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늘새미 들기름은 들기름의 향기성분이 강화되고, 기호성이 증진되어, 기능성 들기름 제조 및 들기름의 상업적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Nulsaemi' perilla oil with enhanced flavor}
본 발명은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늘새미 들깨를 포함하고,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a) 늘새미 들깨를 곡물 세척기에 투입하여 들깨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세 단계; (b) 상기 수세된 늘새미 들깨를 탈수하는 단계; (c) 상기 탈수된 늘새미 들깨를 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하는 단계; (d) 상기 건조된 늘새미 들깨를 볶는 단계; 및 (e) 상기 볶아진 늘새미 들깨를 착유기에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 상기 늘새미 들기름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들깨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일년생 초본 식물로서, 여러가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의약작물, 유지작물 및 잎채소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들깨의 종실에는 오메가3 계열의 지방산인 알파-리놀렌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두뇌활동 및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을 억제하고, 학습능력 향상 및 수명 연장 효과 등의 생체 조절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종실자체는 통깨로서 들깨차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고, 또한, 들깨를 가루로 만들어 각종 음식재료에 사용하거나 종실로부터 추출한 오일은 식용이나 약제 첨가용, 공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들깨 잎에는 식물성 정유로서 독특한 향기를 가진 페릴라알데히드, 리모넨, 페릴라 케톤 등이 함유되어 있어 돼지고기나 생선회를 먹을 때 느끼한 맛이나 비린내를 없애주고 그 독특한 향은 입맛을 돋우어 줄 수 있어 신선 잎채소로 이용되고 있고, 들깨잎의 추출물은 화장품 색소나 향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 들깨의 독특한 향의 향기성분의 주종은 피라진류 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다(권태영. "상부공극·고상미량추출 가스크로마토 탄뎀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들기름 중의 피라진 조성 및 함량 측정." 국내석사학위논문 又石大學校 大學院, 2014. 전라북도).
한편, 들기름의 주요 향기 성분 중 하나인 퓨란류의 경우, 인체 발암성과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고, 식품 중 퓨란은 저농도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 위해 여부는 아직 불확실한 상태이나, 퓨란이 인체 암발생에 기여할 가능성은 있으므로 미국 식품의약품안정청에서는 상기 퓨란을 발암가능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상기 들깨를 이용한 들기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20-0069471에서는 저온압착방식을 통해 들기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10-2124631에서는 들기름 생산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향기성분이 강화된 들기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들기름 내 주요 향기성분인 퓨란류의 함량을 낮추며, 보다 풍미가 증진되며, 향기성분이 강화된 들기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늘새미 들깨를 포함하는 늘새미 들기름에서 향기성분이 강화된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늘새미 들깨를 포함하고,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a) 늘새미 들깨를 곡물 세척기에 투입하여 들깨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세 단계;
(b) 상기 수세된 늘새미 들깨를 탈수하는 단계;
(c) 상기 탈수된 늘새미 들깨를 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하는 단계;
(d) 상기 건조된 늘새미 들깨를 볶는 단계; 및
(e) 상기 볶아진 늘새미 들깨를 착유기에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늘새미 들기름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늘새미 들깨를 포함하고,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늘새미"는 들깨 품종으로서, 품종 출원공고번호 '명칭 2020-500'으로 2020년 4월 15일자로 품종명칭등록 출원공고되었으며, 2020년 6월 12일자로 등록번호 제05-0172-4호로 품종명칭 등록된 품종이며, 품종보호 출원번호 '출원 2020-223'으로 2020년 4월 1일자로 출원되어 2020년 4월 15일자로 품종보호 출원공개번호 '2020-268'로 출원공개된 품종이다.
상기 늘새미의 고유특성은, 종피색은 갈색이며 종실의 크기는 크고 무거우며 모양은 타원형이고, 배축의 색은 자주색이며 식물체 길이는 긴 편이다. 잎몸의 모양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이며, 꽃색은 흰색이고 잎몸의 윗면색과 뒷면의 색은 녹색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들깨(Perilla frutescens)"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서 참깨와 더불어 전통기름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는 유지작물이다. 상기 들깨를 착유하면 들기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들기름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들어 있어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고소한 향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들기름"은 생들깨를 세척 후 고온에서 들깨를 볶는 과정을 거쳐, 착유하여 제조한 들기름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로서, 늘새미 들깨를 이용하여 제조한 들기름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기 위하여 곡물 세척기에서 수세한 후, 상기 수세된 늘새미 들깨를 탈수한 뒤, 상기 탈수된 늘새미 들깨를 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하고, 건조된 늘새미 들깨를 볶고, 상기 볶아진 늘새미 들깨를 착유기에서 압착을 통해 착유하여 들기름을 추출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는 30℃ 조건에서, 수분함량이 5% 이하가 되도록 실시하고, 상기 볶음은 170℃ 조건에서 회전시키면서 15분간 실시하고, 상기 압착은 60℃ 조건에서, 550 내지 600kgf/㎠의 압력 조건으로, 15분간 압착하여 착유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향기성분"은 들기름의 향기에 영향을 미치는 방향성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퓨란류,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및 피라진류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들기름 내 향기성분은, 2-메틸-피라진(2-Methyl-pyrazine), 2,3,5-트라이메틸피라진(2,3,5-Trimethylpyrazine), 2,3-다이메틸피라진(2,3-Dimethylpyrazine), 2,5-다이메틸피라진(2,5-Dimethylpyrazine), 2,6-다이메틸-3-에틸피라진(2,6-Dimethyl-3-ethylpyrazine), 2,6-다이메틸피라진(2,6-Dimethylpyrazine), 2-메틸-5-에틸피라진(2-Methyl-5-ethylpyrazine), 에틸피라진(Ethylpyrazine), E,E-2,4-헵타디에날(E,E-2,4-heptadienal), 2-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2-메틸부타날(3-Methylbutanal), 2-메틸프로파날(2-Methylpropanal), 헥사날(Hexanal), 2-헥사노일퓨란(2-Hexanoylfuran), 3-(4-메틸-3-펜테닐)퓨란(3-(4-Methyl-3-pentenyl)furan), 1-펜텐-3-올(1-Penten-3-ol), 1,3,5-트리메틸벤젠(1,3,5-Trimethylbenzene), 3,5-옥타디엔-2-원(3,5-Octadien-2-one), 초산(Acetic acid), 펜타데케인(Pentadecane), Propanoic acid(프로피온산), 피리딘(Pyridine) 또는 리날롤(Linaloo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늘새미 들기름의 향기성분의 강화는 들기름 내 상기 피라진류 또는 알데히드류 성분의 증가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강화"는 수준이나 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늘새미 들기름 내 피라진류 성분, 구체적으로, 2,5-다이메틸피라진(2,5-dimethylpyrazine), 2,3,5-트라이메틸피라진(2,3,5-trimethylpyrazine) 또는 2-메틸-5-에틸피라진(2-Methyl-5-ethylpyrazine) 성분의 증가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표 5 및 표 6), 또한, 늘새미 들기름 내 알데히드류 성분이 다유 또는 다미 품종으로 제조된 들기름과 비교하여, 약 1.5배 증가한 것이 특징일 수 있고(표 5), 구체적으로, 2-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3-메틸부타날(3-Methylbutanal), 2-메틸프로파날(2-Methylpropanal) 또는 헥사날(Hexanal) 성분의 증가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표 6).
상기 용어, "피라진(pyrazine)"은 벤젠의 CH중 마주보는 두개가 질소로 치환된 물질로, 피리딘이나 다른 다이아진보다 덜 염기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늘새미 들기름 내 상기 피라진류 성분은 2,5-다이메틸피라진(2,5-dimethylpyrazine), 2,3,5-트라이메틸피라진(2,3,5-trimethylpyrazine) 또는 2-메틸-5-에틸피라진(2-Methyl-5-ethylpyrazin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 "알데히드(aldehyde)"는 포르밀기(-CHO)를 가지고 있는 탄소 화합물을 알데히드(알데하이드)라고 한다. 탄소수가 적은 알데히드는 물과 잘 섞이며, 환원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늘새미 들기름 내 상기 알데히드류 성분은 2-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3-메틸부타날(3-Methylbutanal), 2-메틸프로파날(2-Methylpropanal) 또는 헥사날(Hexana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들기름 전체 향기성분 조성 내 피라진류 또는 알데히드류 성분 함량 증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피라진류 성분 함량은 전체 향기성분 조성비 61% 내지 76%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라진류 성분은 2,5-다이메틸피라진(2,5-dimethylpyrazine), 2,3,5-트라이메틸피라진(2,3,5-trimethylpyrazine) 및 2-메틸-5-에틸피라진(2-Methyl-5-ethylpyrazine)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상기 2,5-다이메틸피라진 함량은 전체 향기성분 조성비 25% 내지 31%, 2,3,5-트라이메틸피라진은 전체 향기성분 조성비 5% 내지 8%, 및 2-메틸-5-에틸피라진은 전체 향기성분 조성비 3% 내지 6%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알데히드류 성분 함량은 전체 향기성분 조성비 12% 내지 16%인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데히드류 성분은 2-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3-메틸부타날(3-Methylbutanal), 2-메틸프로파날(2-Methylpropanal) 및 헥사날(Hexanal)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상기 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함량은 전체 향기성분 조성비 4% 내지 7%, 3-메틸부타날(3-Methylbutanal)은 전체 향기성분 조성비 1% 내지 4%, 2-메틸프로파날(2-Methylpropanal)은 전체 향기성분 조성비 1% 내지 4%, 및 헥사날(Hexanal)은 전체 향기성분 조성비 1.5% 내지 2.5%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향기성분 강화는 들기름 내 향기성분의 수율 또는 향기성분 함량의 증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들기름 제조를 위해 들깨 품종 '다유', '다미', 및 '늘새미'를 착유한 뒤, 이의 추출 수율을 계산하고(표 4), 상기 들기름 내 향기성분을 GC-MS를 통해 분석하였으며(표 5 및 표 6), 향기성분 비율 및 향기성분 개수를 분석하여, 본 발명의 늘새미 들기름이 다른 들깨 품종으로 제조한 들기름과 비교하여 향기성분 수율 및 향기성분 함량이 가장 높고(표 5), 향기성분을 분류하여 늘새미 들기름이 다른 들깨 들기름 보다 피라진류 성분 및 알데히드류 성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표 5 및 표 6), 향기성분의 개별 함량 분석을 통해, 상기 피라진류 성분 중 2,5-다이메틸피라진(2,5-dimethylpyrazine), 2,3,5-트라이메틸피라진(2,3,5-trimethylpyrazine) 또는 2-메틸-5-에틸피라진(2-Methyl-5-ethylpyrazine) 성분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고, 상기 알데히드류 성분 중 2-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3-메틸부타날(3-Methylbutanal), 2-메틸프로파날(2-Methylpropanal) 또는 헥사날(Hexanal) 함량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기 전체 구성비 중 펜타데케인(Pentadecane)의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여(표 6), 본 발명의 늘새미 들기름의 향기성분이 강화된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늘새미 들기름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체의 대부분의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늘새미 들기름은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여 기능성이 강화된 것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들깨의 기능성 성분 중 하나인 로즈마린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늘새미 들기름은 리놀렌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놀렌산은 오메가-3계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인 α-리놀렌산(ALA, C18:3)일 수 있다. 오메가-3 지방산은 동맥경화, 암세포 증식 억제 등의 생리적 효과가 있어 건강기능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ALA는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음식으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필수지방산이며, EPA와 DHA로 전환되는 전구물질로, 부족할 경우 두뇌와 망막에 필요한 DHA가 부족해 학습능력과 시각능력이 떨어지게 된다는 보고가 있다.
본 발명의 늘새미 들기름은 리놀렌산을 다량 함유하여 항산화, 항염증, 항암, 신경세포보호 효과를 가지는 약학, 식품,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a) 늘새미 들깨를 곡물 세척기에 투입하여 들깨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세 단계;
(b) 상기 수세된 늘새미 들깨를 탈수하는 단계;
(c) 상기 탈수된 늘새미 들깨를 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하는 단계;
(d) 상기 건조된 늘새미 들깨를 볶는 단계; 및
(e) 상기 볶아진 늘새미 들깨를 착유기에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늘새미", "들깨", "향기성분", "강화" 및 "들기름"의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c) 단계의 건조는 20℃ 내지 40℃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건조는 늘새미 들깨 내 수분함량이 1% 내지 5%가 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d) 단계의 볶는 단계는 150℃ 내지 190℃ 조건에서 5분 내지 30분간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e) 단계의 압착은 40℃ 내지 80℃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압착은 550 내지 600 kgf/㎠의 압력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며, 압착은 5분 내지 20분간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수세(rinsing)"는 불순물을 물로 씻어 없애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들깨로부터 들기름 제조과정에서 불순물을 거르기 위하여, 들깨를 물로 씻어,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탈수(dehydration)"는 물질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러 가지 목적에 따라 기체·액체·고체 속에 수분이 섞여 있으면 불편한 경우에 행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세과정에서 수세를 위하여 사용했던 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건조(drying)"는 물체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와 수분을 분리해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세 및 탈수과정 후 들깨의 잔여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볶음(parch)"은 물체에 열을 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과정 후 들깨에 열을 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착유(oil expression)"는 기름을 함유한 재료로부터 순수한 기름을 짜내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늘새미 들깨로부터 기름을 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늘새미 들기름의 향기성분 강화는 들기름 내 향기성분의 수율 또는 향기성분 함량의 증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늘새미 들기름 내 향기성분이 증가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향기성분의 수율, 개수, 또는 피라진류 또는 알데히드류 성분의 증가에 의한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들기름의 향기성분 주종이라고 알려진 방향성 물질인 피라진류 성분 중 2,5-다이메틸피라진(2,5-dimethylpyrazine), 2,3,5-트라이메틸피라진(2,3,5-trimethylpyrazine) 또는 2-메틸-5-에틸피라진(2-Methyl-5-ethylpyrazine)의 함량의 증가에 의한 것이거나, 알데히드류 성분 중 2-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3-메틸부타날(3-Methylbutanal), 2-메틸프로파날(2-Methylpropanal) 또는 헥사날(Hexanal)의 함량 증가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늘새미 들기름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늘새미" 및 "들기름"의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 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늘새미 들기름을 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들깨향 첨가 커피, 식음료, 녹즙, 빙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식품에는 예컨대,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스낵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 등 모든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건강식품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은 건강 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하는데, 경우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혼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데, 상기 식품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늘새미 들기름 내 향기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늘새미", "들기름", 및 "향기성분"의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향료"는 화장품, 식료품 등의 생활용품에 향기를 가하기 위해 첨가하는 향기가 강한 유기물질로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늘새미 들기름의 향기성분을 포함하여, 늘새미 들기름의 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일 구체예로서, 고체 방향제, 또는 액체 방향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늘새미 들기름 내 향기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늘새미", "들기름", 및 "향기성분"의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의 목적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늘새미 들기름 내 향기성분을 포함하여 향기성분이 강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으로는 상기 늘새미 들기름 내 향기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킬레이트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색소 및 향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유탁액, 현탁액, 페이스트, 크림, 로션, 겔, 파우더, 스프레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화장수, 폼, 팩, 유연수, 선스크린 크림 또는 선오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늘새미 들기름 내 향기성분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용어 "늘새미", "들기름", 및 "향기성분"의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의 목적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늘새미 들기름 내 향기성분을 포함하여 향기성분이 강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세정제 조성물은 과일, 야채 등의 식품은 물론, 식기 등의 각종 주방용품의 세정, 장난감 등의 각종 유아용품의 세정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내 바닥, 가구, 가전제품, 창틀, 블라인드, 방문, 조명기구 등의 거실 및 각종 실내용품의 오염 제거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일 구체예로서, 비누, 주방세제, 세탁세제, 또는 손 세정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은 들기름의 향기성분이 강화되고, 기호성이 증진되어, 기능성 들기름 제조 및 들기름의 상업적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품종별 들깨 종자의 종실 크기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2는 늘새미 품종으로 제조된 들기름과 다른 품종으로 제조된 들기름의 전체 향기성분의 조성비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늘새미 품종으로 제조된 들기름과 다른 품종으로 제조된 들기름의 향기성분 연관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늘새미 품종으로 제조된 들기름과 다른 품종으로 제조된 들기름의 기호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들깨 준비
들기름 추출 및 향기성분 분석을 위해 2019년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에서 증식한 늘새미, 다유, 다미, 들향 및 들샘 품종을 선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들깨 종자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선정한 들깨 종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품 종 명 천립중
(g)
경도
(g)
종실 크기(mm)
길이 두께
늘새미 5.2 304 2.72±0.19 2.41±0.11 1.83±0.13
다 유 3.8 270 2.28±0.12 2.01±0.11 1.76±0.11
그 결과, 표 1 및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늘새미는 천립중이 5.2g으로 기존의 대조 품종인 다유 종자의 3.8g에 비해 대립이며 종자의 단단함을 나타내는 경도에서도 304g으로 단단하며 종실의 크기와 두께에서도 일반 들깨 품종에 비해 크고 두꺼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들깨 품종에 따른 기능성분 함량 비교
상기 실시예 1에서 선정한 들깨 종자의 기능성분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들깨 종자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기능성분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over-night조건으로 추출하였고,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는 비색 정량법을 이용하였다. 폴리페놀은 gallic acid을 표준으로 하여 75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플라보노이드는 catechin hydrate를 표준으로 하여 510nm에서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함량을 측정하였다.
로즈마린산은 HPLC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Dionex HPLC를 이용하여 칼럼은 Eclipse XDB-C18, 4.6x150㎜, 5㎛을 이용하였고, PDA 검출기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품종명 TPC
(mgGAE/g)
TFC
(mgCE/g)
Rosmarinic acid(μg/g)
늘새미 4.78±0.06 2.73±0.08 1758.6±1.3
다 유 4.84±0.12 2.59±0.11 1829.9±2.5
들 샘 4.61±0.41 1.92±0.04 1583.8±19.0
들 향 3.83±0.04 1.98±0.09 1783.9±5.5
(TPC: Total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s; TFC: Total flavonoid contents)
그 결과,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들깨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분 함량 분석 결과 늘새미는 폴리페놀 성분이 4.78mg/g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는 품종이며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2.73mg/g으로 다른 품종들에 비해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들깨의 기능성분 중에 하나인 로즈마린산 함량 또한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들기름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선정한 들깨 품종으로부터 들기름을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늘새미 들깨를 곡물 세척기에 투입하여 들깨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기 위하여 수세한 후, 상기 수세된 늘새미 들깨를 탈수한 뒤, 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늘새미 들깨를 150℃ 내지 190℃ 조건에서 5분 내지 30분간 볶았으며, 상기 볶아진 늘새미 들깨를 착유기에서 압착을 통해 착유하여 들기름을 추출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는 30℃ 조건에서, 수분함량이 5% 이하가 되도록 실시하였고, 압착은 60℃ 조건에서, 550 내지 600kgf/㎠의 압력 조건으로, 15분간 압착하여 착유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들깨 품종에 따른 지방산 함량 비교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들기름의 지방산 함량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방산 분석은 자동유지추출장치(Buchi, B-811)시스템으로 조지방을 추출하고 GC(Agilent GC 7890A)를 이용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칼럼은 HP-FFAP capillary(30m X 0.318㎜ ID, 0.25㎛)을 이용하였고, FID 검출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품 종 명 지방산 조성 (%)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Oleic acid
(C18:1)
Linoleic acid
(C18:2)
Linolenic acid
(C18:3)
늘새미 7.0 2.4 13.9 13.3 63.4
다 유 6.8 2.3 16.2 12.7 62.0
다 미 6.4 2.1 14.2 14.1 63.3
들 샘 5.8 2.5 16.3 14.5 61.0
들 향 7.7 2.1 11.9 15.1 63.2
그 결과,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들기름의 주요 성분이며 기능성 지방산인 불포화 지방산 비교에서 늘새미 들기름은 불포화 지방산 중 활성이 가장 우수한 리놀렌산(C18:3)이 63.4%로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들깨 품종에 따른 조지방 함량 및 들기름 추출 수율 비교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들기름의 조지방 함량 및 들기름 추출 수율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지방 함량 분석은 자동유지추출장치(Buchi, B-811)시스템으로 조지방을 추출하고 GC(Agilent GC 7890A)를 이용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칼럼은 HP-FFAP capillary(30m X 0.318㎜ ID, 0.25㎛)을 이용하였고, FID 검출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들기름 수율 측정을 위해서 500g의 들깨 종자를 170℃에서 15분 볶은 후 유압 착유기를 이용하여 기름 추출량을 측정하였다.
품 종 명 조지방(%) 들기름 수율(%)
늘새미 45.1 39.9
다 유 46.4 39.5
다 미 41.0 32.9
들 샘 45.7 40.6
들 향 44.9 30.6
그 결과,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늘새미의 조지방 함량은 45.1%로 높았으며, 들기름 추출 수율 또한 39.9%으로 들기름이 많이 추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들기름 향기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품종별 들기름을 GC-MS 크로마토그램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들기름의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Poly dimethyl siloxane / divinyl benzene(PDMS/DVB) fiber(fiber length 1 cm, film thickness 65 μm)을 이용하여 headspace solid microextraction(HS-SPME)을 통해 향기성분을 채집한 뒤, GC-MS(Thermo Xcalibur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GC-MS 분석에 사용된 칼럼으로 DB-wax(60m x 0.25mm x 0.25um)를 이용하였고, 오븐 온도는 최초 40℃에서 5분간 정치 후 4℃/min의 조건으로 230℃까지 상승시킨 후 10분간 유지시켰다. 이동상(carrier)은 2mL/min의 속도 조건으로 헬륨가스를 이용하였으며, 인젝션 온도는 250℃, 이동상 가스의 분리비는 2:1로 하였다. 또한, 향기성분의 mass spectrum의 조건은 이온화 전압을 70 eV, 이온화 온도는 250℃, mass scan 범위는 35?550 m/z로 설정하였다.
이후, 각각 분리된 단일 피크(peak)의 mass spectra는 Wiley/NIST Mass Spectral 데이터베이스(DB)와 비교하여 물질을 동정하였으며(도 2), 내부표품(internal standard)을 이용한 함량비 계산을 위해 내부표품으로 10㎕의 1,2,3-Trichloropropane을 사용하였고, 내부표품의 peak area 면적과 분리된 물질의 peak area 면적을 상호 비교하여 비율로서 함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다유 및 다미는 전체적인 향기 조성이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늘새미의 경우에는 다유 및 다미 두 품종에 비해 알데히드류 조성비가 14%로 다른 두 품종인 다유의 8%와 다미의 10% 조성비와 확연하게 차이가 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데히드류 향의 경우 오일, 과일향, 와인향 등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향으로 들기름의 주성분인 피라진 향과 같이 들기름의 향기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8: 들기름 향기성분 함량 및 조성비 분석
상기 실시예 7의 방법을 통해, 들기름 내 향기성분의 함량 및 조성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화합물 종류에 따라 품종별 들기름 내 향기성분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함량을 비교하였으며, 특히, 들기름 및 들기름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알려진 방향물질 성분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품 종 명 향기성분 함량 및 조성비
합계 피라진류 알데히드류 퓨란류 기타
함량
(mg/g)
비율
(%)
함량
(mg/g)
비율
(%)
함량
(mg/g)
비율
(%)
함량
(mg/g)
비율
(%)
늘새미 38.3±0.5 26.3±0.3 68.7 5.3±0.1 13.9 1.0±0.2 2.6 5.6±0.1 14.7
다 유 36.3±0.3 25.7±0.2 70.6 3.1±0.1 8.4 2.3±0.2 6.2 5.4±0.1 14.7
다 미 32.7±0.3 25.6±0.2 78.4 3.2±0.1 9.7 0.2±0.0 0.5 3.8±0.0 11.5
들 샘 38.2±0.7 26.1±0.6 68.3 3.4±0.1 8.9 1.4±0.0 3.6 7.3±0.1 19.2
들 향 20.2±0.8 8.7±0.2 43.0 1.6±0.0 7.7 7.2±0.6 35.9 2.7±0.2 13.4
그 결과, 표 5에서 볼 수 있듯이, 늘새미 들기름은 정량 결과 38.3mg/g으로 향기성분이 가장 많았으며 들향의 20.2mg에 비해서는 약 2배 가까이 향기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기성분 종류에 따른 함량에서도 늘새미 들기름은 피라진류가 26.3mg으로 다른 품종들에 비해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알데히드류 분석에서 늘새미는 5.3mg을 함유하고 있어 다른 품종에 비해 그 함량과 함유비율에서 가장 높음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퓨란류는 늘새미 품종에서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고 조성비도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늘새미 품종으로 제조한 들기름의 수율이 39.9%로 가장 높았으며, 향기성분이 다른 품종으로 제조한 들기름 보다 다량 함유된 것을 확인하여 향기성분이 증가했음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늘새미 들기름에서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퓨란류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고, 주요 향기 성분으로 알려진 피라진류 및 알데히드류의 함량이 월등히 증가하여, 이로운 향기성분이 강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품종별 들기름 내 향기성분 개별 함량 분석을 통한 피라진류 및 알데히드류 향기성분 비교
상기 실시예 8에서 확인한 증진된 피라진류 및 알데히드류 향기성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내부표품의 peak area 면적 값과 향기성분의 peak area 면적 비를 계산하여 품종별 들기름 내 향기성분의 개별 함량을 확인하였다.
향기 성분 늘새미 다유 다미 들샘 들향
Total (mg/g) 38.28 36.34 32.71 38.23 20.18
Pyrazines : 26.31 25.67 25.64 26.10 8.67
2-Methyl_pyrazine 5.97 5.83 5.42 6.68 1.19
2,3,5-Trimethylpyrazine 2.55 2.31 2.49 2.50 1.36
2,3-Dimethylpyrazine 0.78 0.75 0.74 0.90 0.34
2,5-Dimethylpyrazine 10.75 10.03 10.30 9.56 3.58
2,6-Dimethyl-3-ethylpyrazine 1.20 1.35 1.38 0.99 0.50
2,6-Dimethylpyrazine 2.48 2.85 2.75 3.11 0.82
2-Methyl-5-ethylpyrazine 1.74 1.64 1.72 1.46 0.66
Ethylpyrazine 0.84 0.91 0.83 0.92 0.23
Aldehydes : 5.33 3.06 3.16 3.41 1.56
(E,E)-2,4-Heptadienal 0.61 0.45 0.36 0.72 0.15
2-Methylbutanal 1.98 1.19 1.28 1.10 0.50
3-Methylbutanal 0.98 0.45 0.53 0.54 0.34
2-Methylpropanal 1.06 0.71 0.71 0.68 0.33
Hexanal 0.70 0.26 0.27 0.36 0.24
Furans : 1.01 2.25 0.16 1.39 7.24
2-Hexanoylfuran 1.01 2.10 0.16 1.39 2.40
3-(4-Methyl-3-pentenyl)furan 0.00 0.15 0.00 0.00 4.84
Others 5.64 5.35 3.76 7.33 2.70
1-Penten-3-ol 2.07 1.39 1.27 2.12 0.55
1,3,5-Trimethylbenzene 0.00 0.00 0.00 0.00 0.71
3,5-Octadien-2-one 0.26 0.70 0.33 0.96 0.10
Acetic_acid 0.85 1.13 0.64 1.38 0.00
Pentadecane 0.50 0.32 0.38 0.30 0.38
Propanoic_acid 0.53 0.47 0.26 0.72 0.10
Pyridine 1.36 1.31 0.89 1.77 0.21
Linalool 0.08 0.05 0.00 0.08 0.66
1) 피라진류
상기 실험방법을 통해 피라진류의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6에서 볼 수 있듯이, 늘새미로 제조한 들기름 내 피라진류 향기성분 개별 함량 및 조성비가 다른 품종으로 제조한 들기름 내 피라진류 함량과 확연하게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상기 실시예 8에서 확인한 방향성 물질인 피라진류 성분 중 2,5-다이메틸피라진(2,5-dimethylpyrazine), 2,3,5-트라이메틸피라진(2,3,5-trimethylpyrazine) 및 2-메틸-5-에틸피라진(2-Methyl-5-ethylpyrazine)의 함량이 월등히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2) 알데히드류
상기 실험방법을 통해 알데히드류의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6에서 볼 수 있듯이, 늘새미로 제조한 들기름 내 알데히드류 향기성분 개별 함량 및 조성비가 다른 품종으로 제조한 들기름 내 알데히드류 함량과 확연하게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상기 실시예 8에서 확인한 방향성 물질인 알데히드류 성분 중 2-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3-메틸부타날(3-Methylbutanal), 2-메틸프로파날(2-Methylpropanal) 및 헥사날(Hexanal)의 함량이 월등히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늘새미 들기름에서 방향성 물질인 피라진류 및 알데히드류 성분이 다른 품종으로 제조된 들기름과 비교하여 월등히 증가한 것을 확인하여, 향기성분이 강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품종별 들기름 내 향기성분 연관 분석
들기름 향기성분을 기준으로 한 주요인 분석을 통해 각 성분이 미치는 요인에 대한 통계처리를 이용하여 품종별 들기름 내 향기성분 연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6 및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늘새미 품종의 들기름이 다른 품종에 비해서 주요 향기성분의 함량 조성이 종합적인 함량에서 높고 각 성분의 조성에서 다른 들기름과 차별성이 있음을 통계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다른 품종으로 제조한 들기름 내 주요 향기성분 개별 함량 조성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늘새미 들기름의 주요 향기성분 개별 함량 조성이 확연하게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들깨 품종에 따른 들기름 색차 비교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들기름의 색차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들기름의 색차는 Minolta CM-3500을 이용하여 투과도 분석을 통해 색차를 측정하였다.
품종명 CIELab color 채도
(Chroma)
갈색도
(420nm)
L a b
늘새미 36.43 1.01 19.91 19.9 1.03
다 유 35.44 2.72 18.41 18.6 1.34
다 미 35.17 2.54 17.84 18.0 1.23
들 샘 35.98 1.93 19.25 19.3 1.25
그 결과, 표 7에서 볼 수 있듯이, 늘새미 들기름은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인 L 값이 36.4로서 가장 밝은 색을 나타내며 적색을 나타내는 a 값이 1.01로서 가장 낮아 적색도 낮고, 또한 황색을 나타내는 b 값도 19.91로서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명도를 제외한 적색과 황색의 조합을 통한 색의 선명한 정도를 나타내는 채도(chroma)에서도 늘새미는 19.9로서 가장 색이 뚜렷함을 보이고, 볶음 가공에 의한 갈색도 측정을 위한 420nm에서의 흡광도를 분석한 결과 1.03으로서 갈색의 정도도 가장 낮음을 보여 늘새미 들기름의 색은 밝고, 갈색이 낮으며 가장 선명한 노란색 기름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들깨 품종에 따른 들기름 기호도 평가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들기름의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들기름 향기 성분의 조성에서 늘새미 품종이 전반적으로 들기름의 품질에서 좋을 것으로 판단되나, 실제 사람의 후각을 통한 판정을 통해 분석 결과와 일치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20대에서 50대까지 실험 대상자 20명을 선정하여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늘새미 들기름은 긍정적인 향기성분 선호도 조사에서 향, 맛, 고소함, 풀향기 그리고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기호도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늘새미 들깨를 포함하고,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성분 강화는 들기름 내 알데히드류 성분 함량의 증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늘새미 들기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데히드류 성분 함량은 전체 향기성분 조성비 12% 내지 16%인 것인, 늘새미 들기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데히드류 성분은 2-메틸부타날(2-Methylbutanal), 3-메틸부타날(3-Methylbutanal), 2-메틸프로파날(2-Methylpropanal) 및 헥사날(Hexanal)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늘새미 들기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성분 강화는 들기름 내 피라진류 성분 함량의 증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늘새미 들기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라진류 성분 함량은 전체 향기성분 조성비 61% 내지 76%인 것인, 늘새미 들기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라진류 성분은 2,5-다이메틸피라진(2,5-dimethylpyrazine), 2,3,5-트라이메틸피라진(2,3,5-trimethylpyrazine) 및 2-메틸-5-에틸피라진(2-Methyl-5-ethylpyrazine)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늘새미 들기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들기름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늘새미 들기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들기름은 리놀렌산을 포함하는 것인, 늘새미 들기름.
  10. (a)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깨를 곡물 세척기에 투입하여 들깨에 잔류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세 단계;
    (b) 상기 수세된 늘새미 들깨를 탈수하는 단계;
    (c) 상기 탈수된 늘새미 들깨를 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하는 단계;
    (d) 상기 건조된 늘새미 들깨를 볶는 단계; 및
    (e) 상기 볶아진 늘새미 들깨를 착유기에서 압착하여 착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성분 강화는 들기름 내 향기성분의 수율 또는 향기성분 함량의 증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건조는 20℃ 내지 40℃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건조는 늘새미 들깨 내 수분함량이 1% 내지 5%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볶는 단계는 150℃ 내지 190℃ 조건에서 5분 내지 30분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압착은 40℃ 내지 80℃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압착은 550 내지 600kgf/㎠의 압력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압착은 5분 내지 20분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제조방법.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늘새미 들기름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늘새미 들기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79552A 2021-06-18 2021-06-18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KR20220169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552A KR20220169300A (ko) 2021-06-18 2021-06-18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552A KR20220169300A (ko) 2021-06-18 2021-06-18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300A true KR20220169300A (ko) 2022-12-27

Family

ID=8456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552A KR20220169300A (ko) 2021-06-18 2021-06-18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93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ipdeevech et al. Fingerprint of volatile flavour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eas from Thailand
US20140113058A1 (en) Flavor deterioration inhibitor and inhibitor for the generation of citral deterioration smell
Yang et al. Characterization of key odorants in peeled and unpeeled flaxseed powders using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 and odor activity value calculation
Nuncio-Jáuregui et al. Processing pomegranates for juice and impact on bioactive components
KR102032135B1 (ko) 풋귤 및 유산균 그리고 비타민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이의 제조방법
Güneşer et al. Cold pressed versus refined winterized corn oils: quality, composition and aroma
Hematian Sourki et al. Phytochemical profiles of lemon verbena (Lippia citriodora HBK)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to cookie enrichment
Hussain et al.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sensory evaluation on edible flowers tea infusion
Kaur et al. Bioactive composition and promising health benefits of natural food flavors and colorants: potential beyond their basic functions
WO2020222296A1 (ja) 飲料、食品組成物、健康食品組成物、口腔用組成物、及び呈味改善剤
Narsing Rao et al. Chemical, fatty acid, volatile oi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hade dried neem (Azadirachta indica L.) flower powder.
Wu et al.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volatile extracts from seeds of Dendranthema nankingense and Borago officinalis
CN110869348A (zh) 吡咯化合物、香料组合物、以及含有它们的饮食品及化妆品
JP7379055B2 (ja) シトラールの熱劣化抑制用組成物及び熱劣化抑制方法
KR101258645B1 (ko)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iang et al. Effect of conventional and superheated steam roasting on the total phenolic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black cumin seeds.
KR20220169300A (ko) 향기성분이 강화된 늘새미 들기름
KR101889745B1 (ko) 커피초콩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8527A (ko) 향기성분이 강화된 들샘 생들기름 제조방법
Rohini et al. Phytochemicals characterization of nutraceutical enriched fruits and nuts spread
KR102348644B1 (ko) 관능성과 기능성을 개선한 더덕차의 제조방법
Selli et al. Biochemistry,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hazelnut (Corylus avellana L.) oil
KR102207741B1 (ko) 천연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기능성 샐러드 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nh et al. Acceptability, nutrition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pice formulations based on Coelocaryon oxycarpum (Cox), ginger and pepper
KR101674403B1 (ko) 패션프루츠 과육과 잎을 함유하는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