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241A -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241A
KR20220169241A KR1020210079418A KR20210079418A KR20220169241A KR 20220169241 A KR20220169241 A KR 20220169241A KR 1020210079418 A KR1020210079418 A KR 1020210079418A KR 20210079418 A KR20210079418 A KR 20210079418A KR 20220169241 A KR20220169241 A KR 20220169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data
machining
log data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79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9241A/ko
Publication of KR2022016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data acquisition, e.g. workpiec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42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lanning or managing the needed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설비로 가공했던 가공 데이터를 LOG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게 하고 이 LOG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LOG 데이터를 이용해서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도표화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한 대의 가공설비에서 가공하면서 발생한 가공 데이터를 한꺼번에 LOG 데이터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어 가공변수가 많거나 변수를 자주 변경하는 등 처리해야 할 가공 데이터가 많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LOG 데이터를 통합하여 쉽고 편리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가공 설비에 탑재되는 PLC를 통해 이루어지는 가공 데이터를 LOG 데이터로 얻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가공 설비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가공 데이터를 쉽고 편리하게 추출하고 이를 시각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VISUALIZATION METHOD FOR PROCESSING DATA}
본 발명은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비를 통해 가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가공 데이터를 LOG 데이터 형태로 설비에 저장하게 하고, 이 LOG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도표화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LOG 데이터는 설비에 탑재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기록하여 저장하게 함으로써,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가공하여 편리하게 추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도표화는 시간별, 월별, 주별, 월별, 분기별, 및 연도별 중 적어도 하나로 시각화할 수 있음으로, 원하는 기간을 설정하여 원하는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설비는 가공대상물에 따라 한 번 가공으로 끝날 수도 있으나, 테이블 위에서 여러 번에 걸쳐 가공해야 할 수도 있다. 또한, 가공대상물에 따라서는 가열과 가압 등 여러 가지 가공 조건에 맞춰 가공대상물에 대해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이용되는 가공설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162554호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블록 주택, 황토 블록 주택, 콘크리트 주택, 목조 주택 또는 리모델링 벽돌 주택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구조 및 시공방법을 통해 축조된 주택의 벽체에 부착 시공되는 준불연 단열재를 재단하는 한편, 외면에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준불연 단열재 가공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준불연 단열재 가공설비는 준불연 단열재 가공물의 가공시 사용자의 입력값을 토대로 준불연 단열재 가공물의 크기와 무관하게 누름대를 이용하여 가공물을 고정하고, 준불연 단열재 가공물과 직접 접촉되지 않는 열선의 비접촉 부위를 냉풍을 이용하여 냉각시키고, 또한, 장력 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준불연 단열재 가공물의 가공시 열선의 과열로 인해 늘어진 열선을 팽팽하게 잡아당겨 그 장력을 조절하고, 열선이 고정된 고정대와 이동대만을 선택적으로 오실레이팅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준불연 단열재 가공물을 정밀하게 재단 및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761303호
일종 고속철도 팬터그래프 카본 습판 자동화 가공 설비 및 그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례로 밀링 스테이션, 쇼 컷팅 스테이션 및 챔퍼 스테이션이 설치되고, 랙, 띠톱 기계, 피삭재 밀링 장치, 피삭재 챔퍼 장치, CNC 수치제어 시스템 및 공압 시스템을 포함한다. 가공할 카본 습판 피삭재는 랙 위에 놓여 차례로 밀링, 쇼 컷팅 및 챔퍼 가공을 한다. 또한, 띠톱 기계의 톱테에는 띠톱 상부 가이드 서보 회전 장치 및 띠톱 하부 가이드 서보 회전 장치가 설치되고, 띠톱 상부 가이드 서보 회전 장치 및 띠톱 하부 가이드 서보 회전 장치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대응하는 회전 밴드쇼 톱날과 동기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쇼 컷팅 방식을 통해 카본 습판을 가공하고, 쇼 컷팅, 밀링 및 챔퍼 공정을 한대의 설비에 통합하여, 하나로 묶은 후 밀링, 쇼 컷팅과 챔퍼 공정을 자동으로 완성함으로써, 재료를 절약하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08353호
제공된 도광 필름 제품 가공 설비는 도광 필름 가공 분야에 관한 것으로, 이 설비는 제1 도광 필름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투입 장치와, 제1 도광 필름의 전달 방향으로 차례로 장착되는 스크린 도트 가공 장치, 냉각 장치, 커팅 장치, 폐기물 수집 장치 및 제품 수집 장치와, 연동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스크린 도트 가공 장치는 제1 도광 필름의 양면에 스크린 도트을 전사하고, 냉각 장치는 스크린 도트 가공 후의 제1 도광 필름을 냉각시키며, 커팅 장치는 냉각된 제1 도광 필름을 커팅하고, 폐기물 수집 장치는 제2 도광 필름을 권취하는데 사용되며, 제2 도광 필름은 제1 도광 필름에서 도광 필름 제품을 커팅한 후의 여재이고, 제2 도광 필름의 권취 전달 방향과 제1 도광 필름의 전달 방향은 0이 아닌 협각을 이룬다. 연동 컨트롤러는 스크린 도트 가공 장치, 냉각 장치 및 커팅 장치의 시동 및 정지를 프로그램 제어하여, 도광 필름 양면 스크린 도트의 원스텝 형성, 도광 필름 제품의 커팅 및 여재 회수의 일체화 생산을 실현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가공설비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데 필요한 가공 데이터, 예를 들어서, 생산수량, 조업시간, 가동시간, 가동조건 등을 수기로 작성하여 작업일지로 남겨야 한다.
(2) 이에, 이러한 가공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가공 데이터를 통해 얻은 생산성이나 생산현황 등을 확인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3) 따라서, 이처럼 가공설비에 이용된 가공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컴퓨터 등에 입력해서 저장해놓고 필요할 때 저장된 가공 데이터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4) 하지만, 이러한 입력 작업은 가공 데이터가 많지 않을 때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가공설비 대수가 많거나, 한 대의 가공설비에서도 가공 데이터가 여러 번에 걸쳐 바뀌어야 하는 가공, 또는 가공 데이터의 변수가 많을 때는 수작업으로 입력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5) 또한, 수작업으로 가공 데이터를 입력하다가 입력할 때 오기나 누락이 발생하면 가공 데이터의 신뢰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생산성이나 생산현황에서도 전혀 다른 결과가 도출하게 되어 데이터에 관한 신뢰가 떨어진다.
(6) 이러한 가공 데이터는 매일 발생할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1년 내내 24시간동안 발생하게 되므로, 가공 데이터를 관리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62554호 (등록일: 2020.09.28) 한국등록특허 제10-1761303호 (등록일: 2017.07.19)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08353호 (공개일: 2020.09.17)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가공설비로 가공했던 가공 데이터를 LOG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게 하고 이 LOG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추출된 LOG 데이터를 이용해서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도표화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한 대의 가공설비에서 가공하면서 발생한 가공 데이터를 한꺼번에 LOG 데이터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어 가공변수가 많거나 변수를 자주 변경하는 등 처리해야 할 가공 데이터가 많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LOG 데이터를 통합하여 쉽고 편리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공 설비에 탑재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통해 이루어지는 가공 데이터를 LOG 데이터로 얻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가공 설비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가공 데이터를 쉽고 편리하게 추출하고 이를 시각화할 수 있게 한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화 방식으로 가공 데이터를 시간별, 월별, 주별, 월별, 분기별, 및 연도별 중 적어도 하나로 시각화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가공 데이터를 통해 원하는 형태로 쉽게 가공하여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은, 가공 데이터를 LOG 데이터로 기록하여 저장해 놓은 가공 설비에서 상기 LOG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단계(S01); 및 추출된 LOG 데이터를 이용해서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도표화하여 보여주는 제2단계(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가공 설비는,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 금형, 또는 프레스 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OG 데이터는, 상기 가공 설비에 탑재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서 정해진 로직에 따라 가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가공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표화는, 시간별, 월별, 주별, 월별, 분기별, 및 연도별 중 적어도 하나로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가공설비에서 가공에 관련해서 LOG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 가공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이 추출된 LOG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도표화하여 보여줌으로써, 누구든지 가공설비에 대한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2) 또한, 상기 LOG 데이터는 가공설비에 이미 탑재되어 가공 제어에 이용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통해 제어가 이루어지는 가공 데이터를 추출하여 LOG 데이터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LOG 데이터를 쉽게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출된 LOG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도표화하여 보여줄 수 있다.
(3) 특히, 이처럼 LOG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 상태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다시 선택하게 하여 이를 도표화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방대한 LOG 데이터에서 원하는 항목만을 다시 추출해서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도표화할 수 있다.
(4) 그리고 이처럼 추출되는 LOG 데이터는 시간별, 월별, 주별, 월별, 분기별, 및 연도별로 시각화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생산성이나 생산현황을 보려고 하는 주기에 맞춰 쉽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5) 한편, 이러한 가공 설비로는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 금형, 또는 프레스 금형과 같이, 가공 변수가 많거나 가공 변수를 자주 변경하는 설비에 적용함으로써, 방대한 가공 데이터를 쉽게 관리하면서도 생산성과 생산현황을 쉽게 시각화하여 도표로 보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LOG 데이터를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가공 데이터로,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용 금형에서 이용했던 가공 데이터를 예로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LOG 데이터로 추출된 데이터를 보여주는 이미지로, 세분되어 시각화로 보여주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항목별로 나눠서 도표화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LOG 데이터를 이용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시각적으로 도표화한 예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가공 설비에서 가공에 이용했던 가공 데이터를 기록해서 저장해 놓은 LOG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이 추출된 LOG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다양하게 도표화하여 보여줌으로써, 가공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보여줄 수 있게 되어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가공데이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LOG 데이터를 이용한 도표화는 시간별, 월별, 주별, 월별, 분기별, 및 연도별 등으로 선택해서 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선택된 기간에 따라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쉽게 추출하여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LOG 데이터는 가공 설비에 이미 장착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통해 추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가공 데이터를 쉽고 편리하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출된 LOG 데이터를 통해 가공 설비 전체에 관한 관리와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쉽게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가공 설비로는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 금형이나 프레스 금형에 적용함으로써, 금형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동작하는 다양한 센서와 여러 종류의 히터 등 여러 개의 변수와, 각 변수가 작업 공정에 따라 달라지는 변숫값에 대해서도 쉽게 LOG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하여 누구든지 원하는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로 도표화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은 LOG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이를 도표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므로, 아래에서는 두 단계로 나눠서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 제1단계
제1단계(S10)는, [도 1]과 같이, 가공설비에서 LOG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가공설비는 가공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입력된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게 해서 실질적으로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설비를 말한다. 이러한 가공설비는 가공 데이터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예시적으로,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 금형과 프레스 금형을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공설비로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하는 금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LOG 데이터는, [도 2]와 같이, 가공설비에 따라 이를 제어하는 시간이나, 제어조건, 가공조건, 제어상태 등, 실질적으로 가공설비를 가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하나의 테이블로 저장하게 해서 바로 얻을 수도 있고, 이처럼 가공설비를 가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시각화에 필요한 데이터 형태로 추출한 다음 저정하게 해서 얻을 수도 있다.
[도 2]는 이러한 LOG 데이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LOG 데이터는, [도 2]에서, 가공 상태(Statue)와 가공시간(Date)을 기준으로 가공기의 모델번호, 발포시간, 발포액의 총유량, ISO 비율(ISO[이소시아네이트]와 POL[폴리올]의 배합비율), POL 토출량, ISO 토출량, POL 압력, ISO 압력, POL 온도, 그리고 ISO 온도를 포함하는 변수로 테이블을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LOG 데이터를 구성하는 테이블은 가공 설비에 따라 변수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변수 구성에서도 달라질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처럼 이루어진 상기 LOG 데이터는 가공 설비로 가공함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처럼 모든 데이터가 저장된 테이블에서 시각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해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LOG 데이터는 가공 설비에 별도로 저장된 데이터를 그대로 활용하게 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해서 얻을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공 설비에 이미 탑재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서 얻은 LOG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PLC는 입출력 모듈을 통해 로직, 시퀀싱, 연상, 타이밍 등 특수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는 메모리를 이용하는 컨트롤러로, 프로그래밍을 통해 상기 가공 설비가 정해진 로직에 따라 가공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바로 LOG 데이터로 저장하게 해서 본 발명에 따라 활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제2단계
제2단계(S20)는, [도 1]과 같이, 상술한 추출된 LOG 데이터를 이용해서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도표화하여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LOG 데이터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테이블을 그대로 이용해서 이를 도표화하여 그대로 보여줄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데이터를 가공하여 도표화에 필요한 세부 데이터를 추출한 추출된 LOG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도표화에 필요한 추출된 LOG 데이터는 가공 설비에 저장된 LOG 데이터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세부 데이터를 산출하여 도표화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도 2]의 LOG 데이터를 가공한 [도 3]에서는, 날짜와 시간 분을 세분화하고, 타임을 통해 1시간당 횟수 및 수량을 파악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모델 번호별 차종/금형으로 구분하여 금형별 생산량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으며, 리워크 횟수를 산출할 수 있게 가공된 예를 보여준다.
한편, 이처럼 추출된 LOG 데이터를 이용한 도표화는, [도 4]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발포 로보트 데이터로 차종과 시간 주·야간 근무, 시간과 모델을 각각 보여주고 있고, 제품명에 따른 발포횟수를 표로 보여주고 있으며, 차종별 생산량과 수량을 그래프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시간대별 생산수량을 막대그래프로 보여주고 있다. 이 외에도 추출된 LOG 데이터에 있는 항목이라면 어떠한 데이터라도 이처럼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화 주기를 시간별, 월별, 주별, 월별, 분기별, 및 연도 등을 선택해서 보여줄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추출된 LOG 데이터는 가공 설비에 저장된 LOG 데이터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셀 자료로 추출하고 이를 시각화 프로그램인 'POWER BI'을 통해 시각화한 예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이 외에도 구글의 스프레드시트(Spredsheets) 방식으로 데이터를 추출해서 다양하게 시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선(python), 피에이치피(PHP), 프로세싱(Processing)과 통계그래픽 기능이 우수한 프로그램인 'R' 등을 통해서도 시각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공 설비에 저장된 LOG 데이터를 추출해서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 시각화를 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도표화를 통해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가공 데이터를 LOG 데이터로 기록하여 저장해 놓은 가공 설비에서 상기 LOG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1단계(S01); 및
    추출된 LOG 데이터를 이용해서 생산현황과 생산성을 도표화하여 보여주는 제2단계(S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가공 설비는,
    폴리우레탄 발포 성형 금형, 또는 프레스 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LOG 데이터는,
    상기 가공 설비에 탑재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서 정해진 로직에 따라 가공이 이루어지게 하는 가공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도표화는,
    시간별, 월별, 주별, 월별, 분기별, 및 연도별 중 적어도 하나로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
KR1020210079418A 2021-06-18 2021-06-18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 KR20220169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418A KR20220169241A (ko) 2021-06-18 2021-06-18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418A KR20220169241A (ko) 2021-06-18 2021-06-18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241A true KR20220169241A (ko) 2022-12-27

Family

ID=8456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418A KR20220169241A (ko) 2021-06-18 2021-06-18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924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303B1 (ko) 2015-04-27 2017-07-25 제 지앙 첸롱 쏘잉 머신 컴퍼니 리미티드 고속철도 팬터그래프 카본 습판 자동화 가공 설비 및 그 가공 방법
KR20200108353A (ko) 2020-04-15 2020-09-17 난징 브레디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 리미티드 도광 필름 제품 가공 설비
KR102162554B1 (ko) 2020-05-19 2020-10-07 주식회사 미트하임 다양한 패턴을 갖는 준불연 단열재 가공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준불연 단열재 가공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303B1 (ko) 2015-04-27 2017-07-25 제 지앙 첸롱 쏘잉 머신 컴퍼니 리미티드 고속철도 팬터그래프 카본 습판 자동화 가공 설비 및 그 가공 방법
KR20200108353A (ko) 2020-04-15 2020-09-17 난징 브레디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 리미티드 도광 필름 제품 가공 설비
KR102162554B1 (ko) 2020-05-19 2020-10-07 주식회사 미트하임 다양한 패턴을 갖는 준불연 단열재 가공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준불연 단열재 가공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12015004939B4 (de) Verfahren zum Optimieren der Produktivität eines Bearbeitungsprozesses einer CNC-Maschine
CN103076757B (zh) 具有自动加工功能的智能型数控机床及其控制方法
US10775768B2 (en) Machine control program creating device
US20170052518A1 (en) Automation management interface
WO2015097886A1 (ja) 加工情報管理装置および工具経路生成装置
EP0078856A1 (en) Numerical control device
CN103116316A (zh) 一种适应刀具类型或尺寸变化的数控加工控制方法
CN103984288A (zh) 一种数控珩磨机图形参数化自动编程系统
DE102017008879A1 (de) Numerische Steuerung
US10386814B2 (en) Machining status display apparatus, and NC program generating apparatus and NC program edi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EP0511395A1 (en) Conversational type numerical control equipment
CN107992639A (zh) 一种数控切割系统
KR20220169241A (ko) 가공 설비의 가공 데이터 시각화 방법
CN107797530B (zh) 数值控制装置、控制系统、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CN103376773B (zh) 一种控制每转进给量的控制方法和设备
CN106624259A (zh) 一种高效数控切割系统
EP2348430A2 (de) System zum Gestalten eines Formteils
AT518965B1 (de) Visualisierung einer Produktionsanordnung
KR102188017B1 (ko) 금형제작용 공작 측정관리 시스템
US5321346A (en) NC data creation method
CN106886196A (zh) 与数控系统直接通讯的计算机辅助制造方法及装置和系统
JPH02165928A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成形条件の最適化制御システム
ITMI931228A1 (it) Macchina per lo stampaggio particolarmente di tipo centrifugo, di materiali a basso punto di fusione, materiali sintetici o simili
DE2431441A1 (de) Anordnung zur numerischen steuerung der werkzeug- oder werktischbewegung in einer arbeitsmaschine
JP2859707B2 (ja) 折曲げデータ編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