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927A - 도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927A
KR20220168927A KR1020210079015A KR20210079015A KR20220168927A KR 20220168927 A KR20220168927 A KR 20220168927A KR 1020210079015 A KR1020210079015 A KR 1020210079015A KR 20210079015 A KR20210079015 A KR 20210079015A KR 20220168927 A KR20220168927 A KR 20220168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oor
groove
door panel
auxiliar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열
Original Assignee
이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열 filed Critical 이중열
Priority to KR1020210079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927A/ko
Publication of KR2022016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05D3/14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with at least one of the hinge parts having a cup-shaped fixing part, e.g.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3Door leaves consisting of several adjacent similar elements, e.g. planks, without outer cover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E06B2003/7051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of layered construction involving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도어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도어는 석재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 중 일 측 방향인 제1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보조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경첩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석재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도어 패널에 프레임 없이 경첩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도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및 이의 제조 방법{DO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도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라믹 또는 석재로 형성되는 도어 패널에 경첩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도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 또는 세라믹 등과 같은 자재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재료이면서도 자연스럽고 깊은 아름다움을 줄 수 있는 자재이다. 나아가, 이와 같은 자재는 오랜 시간이 싫증나지 않는 고유의 심미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습기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강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전반적인 국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인테리어에 대한 수요자들의 요구가 커지고 있고, 그에 따라 건축물의 내외장재뿐만 아니라 장롱, 욕실 가구 등과 같은 같은 가구에도 석재 또는 세라믹과 같은 자재가 적용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특히, 주방 가구는 항상 물과 가까이 있는 만큼, 목재로 된 주방 가구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습기나 온도 변화에 따라 삭거나 갈라지는 등의 문제가 있으나, 석재 또는 세라믹으로 제조된 주방 가구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최근에 많이 소개되고 있다. 나아가, 최근 주방 가구 고급화에 대한 수요자의 관심도가 급증함에 따라, 석재 또는 세라믹 패널이 적용된 싱크대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경첩에는 도어 패널의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도어 패널 측으로 돌출되는 컵(cup)이 형성되고, 도어 패널은 이러한 컵이 안착될 수 있도록 컵 홈이 형성되어야 하며, 최종적으로 경첩을 도어 패널에 결합할 때에는 피스를 사용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도어 패널이 석재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면 그 자체의 무게로 인해 일정 두께 이상을 가질 수 없어 컵 홈을 형성하기 난해하며, 피스를 이용하여 경첩을 결합할 때 도어 패널이 깨지거나 금이 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석재 또는 세라믹 도어 패널이 적용된 도어에서는, 도어 패널의 내측에 목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제조되는 두꺼운 프레임이 결합되었다.
이러한, 도어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6256호(이하, 선행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따른 석재도어는 석재로 형성되는 도어 패널의 하중에 더해 내측의 두꺼운 프레임으로 인해 큰 하중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경첩 결합 부위의 내구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프레임으로 인해 도어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증가하여 세련미가 떨어지는 등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도어 패널과 프레임이 다른 재료로 형성됨에 따라 온도 변화에 따른 길이 변화율의 차이로 인해 도어 패널이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086256 B1 (2009.02.23 등록)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석재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도어 패널에 프레임 없이 경첩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여 도어 패널의 하중을 줄일 수 있는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도어 패널에 프레임 없이 경첩을 결합하여 석재 또는 세라믹 도어 패널의 가장자리에 도어 패널만 드러나게 하고, 이를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온도 변화에 따른 길이 변화율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도어 패널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이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는, 석재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도어 패널;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 중 일 측 방향인 제1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보조 패널; 및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경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석재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도어 패널에 프레임 없이 경첩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도어 패널의 가장자리에 도어 패널만 드러나게 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의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 중 상기 보조 패널과 중첩되는 영역이 연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 패널과 도어 패널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길이가 상기 도어 패널의 상기 제2 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 패널을 도어 패널에 부착할 때 보조 패널의 위치를 쉽게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강성 재질의 제1 접착제와, 연성 재질의 제2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는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이 중첩되는 영역 중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중간 영역인 제1 영역에 적용되고, 상기 제2 접착제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2 방향 일측과 타측 영역이 제2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온도 변화에 따른 길이 변화율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도어 패널의 휨 현상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보조 패널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제1 홈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 패널이 그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보조 패널에 대해 회전되어 어긋나거나 보조 패널로부터 탈락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는 서로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도어 패널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도어 패널의 상기 제2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이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은 타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홈부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3 홈부는 서로 대응되는 개수로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둘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보조 패널이 부착되는 영역 중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세 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 중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중간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 중 상기 제2 방향 일측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 다른 하나는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 중 상기 제2 방향 타측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경첩은 세 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경첩 중 두 번째 배치되는 경첩은 상기 제2 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경첩보다 상기 제2 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경첩에 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의 상부측 결합력이 강해지므로, 도어가 안정적으로 싱크대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이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제조 방법은, 세라믹 또는 석재로 형성되는 판 형상의 도어 패널 및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조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 중 일 측 방향인 제1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상기 보조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 중 상기 제1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상기 보조 패널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복수의 경첩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패널의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 중 상기 제1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강성 재질의 제1 접착제와, 연성 재질의 제2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는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이 중첩되는 영역 중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중앙 영역인 제1 영역에 적용되고, 상기 제2 접착제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2 방향 일측과 타측 영역인 제2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패널이 부착되는 영역에 제1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홈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패널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보조 패널을 상기 도어 패널에 부착하기 전,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의 일부를 상기 제1 홈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을 상기 도어 패널에 부착할 때, 상기 고정 부재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2 홈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이 중첩되는 영역에 복수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돌출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을 상기 도어 패널에 부착할 때, 상기 제3 홈부가 상기 돌출부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석재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도어 패널에 프레임 없이 경첩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도어 패널의 가장자리에 도어 패널만 드러나게 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두 재료의 온도 변화에 따른 길이 변화율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도어 패널의 휨 현상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포함한 싱크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disclosure)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광 디스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한편, 명세서(disclosure)의 용어는 document, specification, description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포함한 싱크대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싱크대(10)의 도어(100)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싱크대(10)의 도어(100)가 열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싱크대(10)는 본체(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는 박스 형상일 수 있다. 본체(11)는 상판, 측판, 하판, 후판부, 개수대, 수도꼭지 등의 구성들이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서로 결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본체(11)의 내측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는 내벽(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벽(12)은 본체(11)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내벽(12)은 목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벽(12)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이나, 석판 또는 세라믹과 같은 석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싱크대(10)는 도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3)는 싱크대(10)의 본체(1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100)는 복수의 경첩(150)에 의해 싱크대(10)의 내벽(12)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13)는 싱크대(10)의 본체(11)의 전면에서 경첩(14)을 기준으로 회동 개폐될 수 있다.
도어(13)는 경첩(14)을 포함할 수 있다. 경첩(14)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첩(14)은 두 개만 형성되어도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3)는 석재 또는 세라믹과 같은 무거운 자재로 형성되므로, 경첩(14)은 세 개 이상 형성되는 바람직할 수 있다. 경첩(14)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싱크대(10, 도 1 및 도 2에 도시)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여닫이 문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장롱, TV장 등과 같은 다양한 가구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는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과, 접착제(130)와, 고정 부재(140)와, 경첩(15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 중 일부를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 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이하, 도 3을 기준으로, 일면은 도어 패널(110)의 내측면, 일측은 도어 패널(110)의 내측면의 법선 방향을 의미하고, 타면은 도어 패널(110)의 외측면, 타측은 도어 패널(110)의 외측면의 법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기준으로, 제1 방향(X)은 좌우 방향을, 제2 방향(Y)은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어(100)는 도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석재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 패널(110) 자체가 습기를 흡수하여 삭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석재 또는 세라믹은 목재 도어 패널에 비해 비교적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므로, 수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종래의 목재 도어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이 얇게 형성되면, 도어(100)가 개방되었을 때 모서리 부분이 얇게 노출되므로 세련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패널(110)은 약 6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깨질 수 있는 물성을 가진 석재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므로, 6mm보다 얇게 형성되면 파손의 우려가 있고, 6mm보다 두껍게 형성되면 하중이 커져 경첩 부위의 내구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약 6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 패널(110)은 필요에 따라 6mm보다 얇게 형성되거나, 더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어 패널(110)의 일면 중 보조 패널(120)과 중첩되는 영역은 연마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이 중첩되는 영역은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조 패널(120)은 접착제(130)에 의해 도어 패널(110)에 부착되는데, 이 때 도어 패널(110)의 일면 중 상기 보조 패널(120)과 중첩되는 부분이 연마되면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제1 홈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부(111)는 도어 패널(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11)는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이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11)는 도어 패널(110)의 일면에서 타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11)는 도어 패널(110)의 두께의 대략 절반 깊이로 함몰될 수 있다. 제1 홈부(111)의 내측에는 고정 부재(140)의 타측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홈부(11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1 홈부(111)를 형성할 때 드릴과 같은 공구가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홈부(111)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NC(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를 사용하는 경우, 제1 홈부(111)의 형상은 사각형 등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1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부(111)는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11)는 제2 방향(Y)으로 나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홈부(111) 중 어느 하나는 도어 패널(110)의 제2 방향(Y)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도어 패널(110)의 제2 방향(Y) 타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0)는 보조 패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패널(120)은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는 온도의 변화에 따른 길이 수축 팽창의 정도가 석재 또는 세라믹과 유사하여, 서로 다른 자재로 형성되는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의 온도 변화에 따른 길이 수축 팽창율 차이로 인한 파손의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보조 패널(120)은 도어 패널(11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조 패널(120)은 도어 패널(110)에 접착제(130)로 부착될 수 있다. 보조 패널(120)은 도어 패널(110)의 일면 중 제2 방향(Y)에 수직한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패널(120)의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는 도어 패널(110)의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와 일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 패널(120)을 도어 패널(110)에 부착할 때, 보조 패널(120)의 제1 방향(X) 위치가 쉽게 가이드될 수 있다. 보조 패널(120)의 제1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는 경첩(150)이 결합될 수 있다.
보조 패널(120)의 제1 방향(X) 길이는 도어 패널(110)의 제1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 패널(120)은 경첩(150)이 결합되는 부분에 인접한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고, 도어(100)가 개방되었을 때, 도어 패널(110)의 모서리 부분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세련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보조 패널(120)은 일 측 방향인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패널(120)의 제1 방향(X)에 수직한 제2 방향(Y) 길이가 도어 패널(110)의 제2 방향(Y)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보조 패널(120)은 제2 방향(Y)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 패널(120)을 도어 패널(110)에 부착할 때, 보조 패널(120)의 제2 방향(Y) 위치가 쉽게 가이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착제(130)는 제1 접착제(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제(131)는 강성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제(131)는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일 수 있다. 제1 접착제(131)는 후술할 제2 접착제(132)에 비해 더욱 강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어 패널(110)이 보다 안정적으로 보조 패널(12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접착제(131)는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이 중첩되는 영역 중 제2 방향(Y) 중앙 영역인 제1 영역(A1)에 적용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길이 수축 팽창율의 차이로 인해 도어 패널(110)의 배불림 형상 또는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 강성 재질인 제1 접착제(131)가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이 중첩되는 영역 중 중앙 영역에만 적용되면,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의 길이 수축 팽창율 차이로 인한 도어 패널(110)의 파손 우려를 줄일 수 있다.
접착제(130)는 제2 접착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제(132)는 연성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제(132)는 실리콘 계열의 접착제일 수 있다. 제2 접착제(132)는 제1 영역(A1)에만 적용되는 제1 접착제(131)의 부족한 접착력을 보완할 수 있다.
제2 접착제(132)는 제1 영역(A1)의 제2 방향(Y) 일측과 타측 영역인 제2 영역(A2)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역(A2)은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이 중첩되는 영역 중 도어 패널(110)의 제2 방향(Y) 일단에 인접한 영역과 타단에 인접한 영역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의 길이 수축 팽창율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전위(dislocation)의 정도는 제1 영역(A1)보다 가장자리인 제2 영역(A2)에서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A2)에 비교적 부드러운 재질인 제2 접착제(132)가 사용되면 일정 수준의 접착력을 유지하면서도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의 길이 수축 팽창율 차이에 따른 도어 패널(110)의 배불림 및 파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패널(120)은 제2 홈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부(121)는 보조 패널(12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121)는 제1 홈부(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121)는 보조 패널(120)의 타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121)는 보조 패널(120)의 대략 절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121)의 내측에는 고정 부재(140)의 일측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홈부(12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제2 홈부(121)는 제1 홈부(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홈부(121)를 형성할 때 드릴과 같은 공구가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제2 홈부(121)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NC(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를 사용하는 경우, 제2 홈부(121)의 형상은 사각형 등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홈부(121)는 보조 패널(12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 부재(140)의 일단과 보조 패널(120)의 일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고, 그 부분에 별도의 충진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고정 부재(140)가 제1 홈부(111)의 깊이와 보조 패널(120)의 두께를 합한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되어, 고정 부재(140)의 일단과 보조 패널(120)의 일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 홈부(12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121)는 제1 홈부(11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홈부(121)는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121)는 제2 방향(Y)으로 나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홈부(121) 중 어느 하나는 보조 패널(120)의 제2 방향(Y)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제2 방향(Y) 타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조 패널(120)은 컵 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컵 홈(122)은 경첩(15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컵 홈(122)은 보조 패널(120)과 경첩(150)의 회동부(152)가 결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컵 홈(122)은 보조 패널(120)의 일면에서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보조 패널(120)을 관통하여 개구(opening)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컵 홈(122)은 경첩(150)의 컵(153)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컵 홈(122)에는 경첩(150)의 컵(153)이 수용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은 컵 홈(122)이 경첩(150)의 컵(153)에 안착됨에 따라 중력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경첩(150)에 컵(153)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보조 패널(120)에는 컵 홈(12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첩(150)에 컵(153)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경첩(150)의 결합 홀(154) 부분에 도어 패널(110) 및 보조 패널(1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 패널(120)은 결합 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123)은 컵 홈(122)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123)은 각각의 경첩에 대응하여 두 개씩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123)에는 결합 부재(155)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보조 패널(120)은 결합 홈(123)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경첩(150)의 컵(153)을 보조 패널(120)의 컵 홈(122)에 안착시킨 후, 결합 부재(155)를 경첩(150)의 결합 홈(123)을 통해 회전시키면서 보조 패널(120)을 관통시킴과 동시에 보조 패널(1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100)는 고정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40)는 제1 홈부(111)와 제2 홈부(1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이 서로 부탁되면 제1 홈부(111)의 위치와 제2 홈부(121)의 위치는 서로 합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홈부(111)와 제2 홈부(121)의 사이에는 기둥 형상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 부재(140)는 이러한 빈 공간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0)는 제1 홈부(111) 또는 제2 홈부(12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기둥 형상일 수 있다. 고정 부재(140)의 길이는 제1 홈부(111)의 깊이와 제2 홈부(121)의 깊이를 합한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0)의 단면 형상은 제1 홈부(111) 또는 제2 홈부(121)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40)는 제1 홈부(111)와 제2 홈부(121)의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부재(140)가 제1 홈부(111)와 제2 홈부(121) 사이의 빈 공간에서 유격 없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0)는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A2)에 적용되는 연성 재질의 제2 접착제(132)는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의 전후 방향 접착력은 강하지만 측 방향 접착력은 제1 접착제(131)에 비해 다소 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어 패널(110)은 그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보조 패널(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어긋나거나, 보조 패널(120)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고정 부재(140)가 도어 패널(110)에 형성되는 제1 홈부(111)와 보조 패널(120)에 형성되는 제2 홈부(121)에 걸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제2 접착제(132)의 측 방향 접착력을 보완할 수 있고, 도어 패널(110)이 보조 패널(120)에 대해 회전되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100)는 경첩(150)을 포함할 수 있다. 경첩(150)은 보조 패널(120)의 제1 방향(X)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첩(150)은 싱크대(10)의 내벽(12)에 결합되는 고정부(151)와 보조 패널(120)의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회동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경첩(15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첩(150)은 세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경첩(150)은 제2 방향(Y)으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경첩(150) 중 두 번째 배치되는 경첩(150)은 제2 방향(Y) 타측에 배치되는 경첩(150)보다 제2 방향(Y) 일측에 배치되는 경첩(150)에 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제2 방향(Y)은 상하 방향이고, 세 개의 경첩(150) 중 중간에 배치되는 경첩(150)은 하부에 배치되는 경첩(150)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경첩(150)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100)가 싱크대(10)의 내벽(12)에 결합되었을 때, 도어 패널(110) 및 보조 패널(120)의 하중으로 인해 하부에 배치된 경첩(150)을 기준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고, 하부에 배치되는 경첩(150)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경첩(150)에 더 많은 부하가 작용할 수 있다. 이 때, 두 번째 배치되는 경첩(150)이 하부에 배치되는 경첩(150)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경첩(150)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면, 도어(100)의 결합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경첩(150)은 보조 패널(120)에 결합되는 부분에 보조 패널(120) 측으로 돌출되는 컵(cup)(15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컵(153)은 경첩(150)의 회동부(152)에 형성될 수 있다. 컵(153)은 보조 패널(120)에 형성되는 컵 홈(122)에 안착될 수 있다. 컵(153)은 도어 패널(110) 및 보조 패널(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경첩(150)에는 컵(153)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경첩(150)에 형성되는 결합 홀(154) 부분에 도어 패널(110) 및 보조 패널(12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별도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경첩(150)은 결합 홀(15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홀(154)은 회동부(152)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홀(154)은 컵(153)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홀(154)은 각각의 경첩(150)마다 두 개씩 형성될 수 있다.
경첩(150)의 컵(153)이 보조 패널(120)에 형성되는 컵 홈(122)에 안착되면 결합 홀(154) 부분이 보조 패널(120)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결합 부재(155)를 결합 홀(154)을 통해 보조 패널(120)에 결합시키면, 경첩(150)이 보조 패널(1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어 제조 방법은 세라믹 또는 석재로 형성되는 판 형상의 도어 패널(110)을 준비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이 세라믹인 경우, 도어 패널(110)은 처음부터 소정 크기 및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이 석재인 경우, 도어 패널(110)은 두꺼운 석재를 가공하여 소정 크기 및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패널(110)을 준비하는 단계(S110)는 보조 패널(120)의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도어 패널(110)의 일면 중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을 연마하는 단계(S1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어 패널(110)의 일면 중 보조 패널(120)이 부착되는 영역을 연마할 수 있다.
연마 공정(S111)은 일반 사포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도어 패널(110)의 강도를 고려하여 다이아몬드 사포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연마되는 영역은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이 중첩되는 영역 전체에 걸쳐 수행될 수도 있고, 일부만 수행될 수도 있다.
도어 패널(110)을 준비하는 단계(S110)는 보조 패널(120)이 부착되는 영역에 제1 홈부(111)를 형성하는 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부(111)를 형성하는 단계(S112)는 드릴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NC(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홈부(111)는 공정의 용이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11)를 형성하는 단계(S112)는 도어 패널(110)을 연마하는 단계(S111)보다 우선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도어 패널(110)을 연마하는 단계(S111)가 수행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어 제조 방법은 도어 패널(110)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조 패널(120)을 준비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패널(120)은 제2 방향(Y) 길이가 도어 패널(110)의 제2 방향(Y)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패널(120)을 준비하는 단계(S120)는 보조 패널(120)의 복수의 경첩(150)이 결합되는 부분에 경첩(150)의 컵(153)이 수용될 수 있는 컵 홈(122)을 형성하는 단계(S121)를 포함할 수 있다. 컵 홈(122)은 경첩(150)의 컵(153)이 안착될 수 있도록 보조 패널(120)의 제1 방향(X) 일측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컵 홈(122)은 NC(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홈(122)은 보조 패널(120)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달리, 컵 홈(122)은 보조 패널(120)의 일면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 패널(120)을 준비하는 단계(S120)는 결합 홈(123)을 형성하는 단계(S12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123)은 드릴이나 NC(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123)은 컵 홈(122)이 형성된 후에 형성될 수도 있고, 컵 홈(122)과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컵 홈(122)보다 먼저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 패널(120)을 준비하는 단계(S120)는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홈부(1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홈부(121)를 형성하는 단계(S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부(121)는 드릴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NC(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홈부(121)는 공정의 용이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121)는 결합 홈(123)을 형성한 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홈부(121)는 컵 홈(122)보다 먼저 형성될 수도 있고, 컵 홈(121)을 형성한 후 결합 홈(123)을 형성하기 전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컵 홈(122) 및 결합 홈(123)과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어 제조 방법은 도어 패널(110)의 일면 중 일 측 방향인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보조 패널(120)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130)를 도포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130)는 도어 패널(110)과 보조 패널(120)이 중첩되는 영역의 전체에 걸쳐 도포될 수도 있고, 일부에만 도포될 수도 있다.
접착제(130)는 제1 영역(A1)에 도포되는 강성 재질의 제1 접착제(131)와, 제2 영역(A2)에 도포되는 연성 재질의 제2 접착제(1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접착제(130)를 도포하는 단계(S130)는 단일 접착제로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구분하여 각각 다른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영역(A1)와 제2 영역(A2)에 걸쳐 연성 재질의 제2 접착제(132)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접착제(130)는 보조 패널(120)에 도포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 패널(110)에 접착제(130)를 도포(S130)하고 보조 패널(120)을 도어 패널(110)에 부착(S150)하기 전, 고정 부재(140)의 일부를 도어 패널(110)의 제1 홈부(111)에 배치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정 부재(140)의 길이는 제1 홈부(111)의 깊이보다 크므로, 고정 부재(140)의 일부가 제1 홈부(111)에 배치되었을 때, 나머지 부분이 도어 패널(110)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 제조 방법은 도어 패널(110)의 일면 중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보조 패널(120)을 부착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패널(120)을 도어 패널(110)에 부착할 때, 고정 부재(140) 중 제1 홈부(111)의 내측에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보조 패널(120)의 제2 홈부(121)에 안착되도록 보조 패널(120)을 도어 패널(110)에 부착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홈부(121)가 보조 패널(12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경우, 보조 패널(120)이 도어 패널(110)에 부착된 후, 고정 부재(140)가 제1 홈부(111) 및 제2 홈부(1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홈부(121)는 보조 패널(120)의 일면까지 뚫려 있으므로, 보조 패널(120)이 도어 패널(110)이 부착된 후, 고정 부재(140)를 개구된 제2 홈부(121)를 통해 제1 홈부(111) 및 제2 홈부(1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 제조 방법은 도어 패널(110)의 일면 중 보조 패널(120)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과 보조 패널(120)의 일면을 코팅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은 우레탄 도장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어 제조 방법은 보조 패널(120)의 제1 방향(X) 일측에 복수의 경첩(150)을 결합하는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첩(150)은 컵(153)이 보조 패널(120)의 컵 홈(122)에 안착되고, 결합 부재(155)를 경첩(150)의 결합 홀(154)에 관통시켜 보조 패널(120)의 결합 홈(123)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통해 보조 패널(1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지 않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200)의 세부 구성은 도 1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서술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어 패널(210)은 돌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1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11)는 도어 패널(210)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211)는 도어 패널(210)과 보조 패널(220)이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11)는 제3 홈부(221)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돌출부(21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211)는 보조 패널(220)의 제3 홈부(221)의 내측에 유격없이 안착되어야 하는데, 이 때 제3 홈부(221)를 드릴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경우, 제3 홈부(221)는 보조 패널(220)의 타면에서 원통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는데, 이 때 돌출부(211)가 제3 홈부(221)의 내측에 유격없이 안착되려면 돌출부(211)가 제3 홈부(2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돌출부(211)는 도어 패널(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된 후 도어 패널(210)의 일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돌출부(211)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1)는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11)는 제2 방향(Y)으로 나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11) 중 어느 하나는 도어 패널(210)의 제2 방향(Y)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도어 패널(210)의 제2 방향(Y) 타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보조 패널(220)은 제3 홈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홈부(221)는 보조 패널(220)의 타면에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부(221)는 돌출부(21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부(221)는 돌출부(21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부(221)는 돌출부(211)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패널(220)이 도어 패널(210)에 부착되면, 제3 홈부(221)의 내측에는 돌출부(2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홈부(22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제3 홈부(221)는 돌출부(2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홈부(221)를 형성할 때 드릴과 같은 공구가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제3 홈부(221)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NC(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를 사용하는 경우, 제3 홈부(221)의 형상은 사각형 등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11) 및 제3 홈부(22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의 고정 부재(140) 및 제2 홈부(121)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돌출부(211)가 제3 홈부(221)의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제2 접착제(232)의 측 방향 접착력을 보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어 패널(210)이 보조 패널(220)에 대해 회전되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돌출부(211)가 보조 패널(220)에 형성되고, 제3 홈부(221)는 도어 패널(2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200)의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 제조 방법은 세라믹 또는 석재로 형성되는 판 형상의 도어 패널(210)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패널(210)을 준비하는 단계는 도어 패널(210)과 보조 패널(220)이 중첩되는 영역에 복수로 돌출되는 돌출부(211)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211)는 도어 패널(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조되어 도어 패널(210)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돌출부(211)는 기계적인 구조 또는 접착제에 의해 도어 패널(2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강한 접착력을 보장하기 위해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 같은 강성 재질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도어 제조 방법는 도어 패널(210)의 일면에 부착되고 일 측 방향인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보조 패널(220)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패널(220)을 준비하는 단계는 돌출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홈부(221)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홈부(221)는 드릴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NC(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홈부(221)는 공정의 용이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부(221)는 결합 홈(223)을 형성한 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홈부(221)는 컵 홈(222)보다 먼저 형성될 수도 있고, 컵 홈(221)을 형성한 후 결합 홈(223)을 형성하기 전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컵 홈(122) 및 결합 홈(223)과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 제조 방법은 도어 패널(210)의 일면 중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보조 패널(220)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패널(210)에 부착할 때, 보조 패널(220)을 제3 홈부(221)가 돌출부(211)에 안착되도록 보조 패널(220)을 도어 패널(210)에 부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6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지 않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300)의 세부 구성은, 도 1 내지 도 13과 관련하여 서술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 및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20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어 패널(310)은 돌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11)는 적어도 세 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11)는 도어 패널(310)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311)는 보조 패널(32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패널(320)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될 수도 있다.
돌출부(311)는 도어 패널(310)의 일면 중 보조 패널(320)의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311) 중 어느 하나는 보조 패널(320)의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 중 제2 방향(Y) 중간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보조 패널(120)의 제1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 중 제2 방향(Y) 일측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 다른 하나는 보조 패널(120)의 제1 방향(X)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 중 제2 방향(Y) 타측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4를 기준으로, 돌출부(311) 중 두 개는 보조 패널(120)의 좌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보조 패널(120)의 우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 중 중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부(311)는 보조 패널(32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제2 방향(Y) 길이가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돌출부(311)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돌출부(311)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11)는 도어 패널(3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된 후 도어 패널(310)의 일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어 패널(310)은 제4 홈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홈부(321)는 돌출부(31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홈부(321)에는 돌출부(311)가 안착될 수 있다.
제4 홈부(321)는 돌출부(31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 홈부(321) 중 어느 하나는 보조 패널(320)의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 중 제2 방향(Y) 중안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보조 패널(120)의 제1 방향 타측 가장자리 중 제2 방향(Y) 일측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 다른 하나는 보조 패널(320)의 제1 방향(X) 타측 가장자리 중 제2 방향 타측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홈부(321)는 돌출부(3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4 홈부(321)는 보조 패널(32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제2 방향(Y) 길이가 커질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4 홈부(321)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홈부(321)의 전후 방향 길이는 보조 패널(320)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 패널(320)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돌출되는 돌출부(311)가 제4 홈부(321)에 안착되었을 때, 보조 패널(320)의 일면과 돌출부(311)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아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311)가 보조 패널(320)의 두께보다 작은 높이로 돌출되는 경우, 제4 홈부(321)도 돌출부(311)의 높이에 대응되는 깊이로 보조 패널(320)의 타면에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3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 제조 방법은 보조 패널(320)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패널(320)을 준비하는 단계는 제4 홈부(321)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4 홈부(321)는 보조 패널(320)의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의 일부를 측 방향으로 깎아서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311)가 도어 패널(310)과 별도로 형성되어 도어 패널(310)의 일면에 부착되는 경우, 보조 패널(320)을 도어 패널(310)에 부착한 후, 돌출부(311)를 제4 홈부(321)에 삽입하여 도어 패널(310)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도어 패널(310)의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와 보조 패널(320)의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는 서로 일치하므로, 보조 패널(320)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돌출부(311)의 정확한 부착 위치를 파악하는 것보다, 도어 패널(310)의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를 보조 패널(320)의 제1 방향(X) 일측 가장자리에 일치시켜 보조 패널(320)을 도어 패널(310)에 부착한 후, 돌출부(311)는 제4 홈부(321)에 삽입하는 것이 더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311)를 도어 패널(310)의 일면에 우선 부착한 후, 제4 홈부(321)가 돌출부(311)에 안착되도록 보조 패널(320)을 도어 패널(310)에 부착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싱크대 11: 본체
12: 내벽 13: 도어
14: 경첩 100: 도어
110: 도어 패널 111: 제1 홈부
120: 보조 패널 121: 제2 홈부
122: 컵 홈 123: 결합 홈
130: 접착제 131: 제1 접착제
132: 제2 접착제 140: 고정 부재
150: 경첩 151: 고정부
152: 회동부 153: 컵
154: 결합 홀 155: 결합 부재
A1: 제1 영역 A2: 제2 영역

Claims (14)

  1. 석재 또는 세라믹으로 형성되는 도어 패널;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 중 일 측 방향인 제1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보조 패널; 및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경첩을 포함하는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의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 중 상기 보조 패널과 중첩되는 영역이 연마되는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길이가 상기 도어 패널의 상기 제2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강성 재질의 제1 접착제와, 연성 재질의 제2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는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이 중첩되는 영역 중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중간 영역인 제1 영역에 적용되고,
    상기 제2 접착제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2 방향 일측과 타측 영역이 제2 영역에 적용되는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보조 패널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1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제1 홈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는 서로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도어 패널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도어 패널의 상기 제2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도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은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이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은 타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홈부의 내측에 안착되는 도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3 홈부는 서로 대응되는 개수로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둘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보조 패널이 부착되는 영역 중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도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세 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 중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중간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 중 상기 제2 방향 일측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 다른 하나는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위치 중 상기 제2 방향 타측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도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첩은 세 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경첩 중 두 번째 배치되는 경첩은 상기 제2 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경첩보다 상기 제2 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경첩에 더 인접하여 배치되는 도어.
  11. 세라믹 또는 석재로 형성되는 판 형상의 도어 패널 및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에 부착되는 보조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 중 일 측 방향인 제1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상기 보조 패널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 중 상기 제1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상기 보조 패널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복수의 경첩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패널의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도어 패널의 일면 중 상기 제1 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강성 재질의 제1 접착제와, 연성 재질의 제2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는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이 중첩되는 영역 중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중앙 영역인 제1 영역에 적용되고,
    상기 제2 접착제는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2 방향 일측과 타측 영역인 제2 영역에 적용되는 도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패널이 부착되는 영역에 제1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홈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패널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보조 패널을 상기 도어 패널에 부착하기 전,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의 일부를 상기 제1 홈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을 상기 도어 패널에 부착할 때, 상기 고정 부재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2 홈부에 안착되는 도어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 패널과 상기 보조 패널이 중첩되는 영역에 복수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돌출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널을 상기 도어 패널에 부착할 때, 상기 제3 홈부가 상기 돌출부에 안착되는 도어 제조 방법.
KR1020210079015A 2021-06-17 2021-06-17 도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68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015A KR20220168927A (ko) 2021-06-17 2021-06-17 도어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015A KR20220168927A (ko) 2021-06-17 2021-06-17 도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927A true KR20220168927A (ko) 2022-12-26

Family

ID=8454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015A KR20220168927A (ko) 2021-06-17 2021-06-17 도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89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6866T3 (es) Pared de un cuerpo de mueble, método para fabricar una pared de este tipo y cuerpo de mueble o mueble con una pared de este tipo
US11350747B2 (en) Construction panel for a side of an item of furniture, method for producing said type of construction panel and side of an item of furniture and furniture body or item of furniture having a side
CN110520015B (zh) 家具主体的壁、用于生产该壁的方法以及包括该壁的家具主体或家具
US10722031B2 (en) Wall of a basic furniture structure, method for producing such a wall, and basic furniture structure or piece of furniture having such a wall
US8359807B2 (en) Plate product using natural stone for floor and wall finishing
US10881207B2 (en) Item of furniture and wall element for an item of furniture
ES2920048T3 (es) Mueble con elemento de material compuesto en forma de tablero acoplable con herraje integrado
KR20130024456A (ko)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US20090129859A1 (en) Assembly between a side member and a rear panel of a piece of furniture
KR20220168927A (ko) 도어 및 이의 제조 방법
JP6787805B2 (ja) 収納装置及び収納装置の設置方法
US6840591B2 (en) Metallic toe kick for wooden cabinets
KR101750105B1 (ko) 사물함 상판의 마감 손상이 없고 손끼임이 방지되는 사물함
ES2859623T3 (es) Mueble con elemento sobrepuesto exterior dotado de un herraje integrado
KR20050093754A (ko) 가구용 장식도어
CN114026307B (zh) 家具组成部件
KR20080091935A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및 그 제작방법
KR200394166Y1 (ko) 수납면적이 조절되는 가구
CN220504867U (zh) 装配式墙面暗门
KR102525841B1 (ko) 강화 경첩을 포함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JP6892959B1 (ja) 仕切板付き天板
KR101021287B1 (ko) 도어 및 도어의 제작방법
KR20220146846A (ko) 이중 세라믹 판넬의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가 구비된 가구
KR200192796Y1 (ko) 주방용 싱크대 도어
KR200299791Y1 (ko) 실내구획용 패널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