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696A - 자전거용 물병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696A
KR20220168696A KR1020210078500A KR20210078500A KR20220168696A KR 20220168696 A KR20220168696 A KR 20220168696A KR 1020210078500 A KR1020210078500 A KR 1020210078500A KR 20210078500 A KR20210078500 A KR 20210078500A KR 20220168696 A KR20220168696 A KR 20220168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water
bicycle
bottle body
win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435B1 (ko
Inventor
지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보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보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보틀
Priority to KR1020210078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4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04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65D25/16Loose, or loosely-attach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5/36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formed by applying shee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물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전방프레임에 부착하는 물병본체의 외부에 물병윈드커버를 장착하고, 물병윈드커버가 물병본체의 주변을 감싸는 공기유동을 유도해서 주변의 높은 온도에도 불구하고 물병본체에 포함된 물이 데워지지 않고 시원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용 물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자전거용 물병에 의하면, 자전거를 타게되면 자전거용 물병을 전방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에 고정된 물병윈드커버의 전방개구부에서 후방배출구로 공기가 배출되면서 물병본체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발생하여 물병본체 내의 물의 온도가 올라가지 않고, 물이나 음료등이 쉽게 상하지 않아서 보관이 용이한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물병{Water Bottle for Bycle}
본 발명은 자전거용 물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전방프레임에 부착하는 물병본체의 외부에 물병윈드커버를 장착하고, 물병윈드커버가 물병본체의 주변을 감싸는 공기유동을 유도해서 주변의 높은 온도에도 불구하고 물병본체에 포함된 물이 데워지지 않고 시원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용 물병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주 5일제 시행으로 여가 시간이 증가하면서, 야구, 축구, 테니스, 골프 등의 스포츠를 하거나, 여행, 낚시, 등산 등의 야외 활동 및 헬스장, 피트니스 센터, 조깅, 자전거 등 건강을 위하여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포츠나 야외활동 및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은 도중에 목이 마를 때 수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물병을 소지하고, 필요시 물병을 꺼내어 수분을 섭취하고 있다.
상기 스포츠 중에서도 자전거를 타는 운동을 많이하고 있는데, 자전거용 물병은 자전거의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으로 물병을 장착하여 자전거를 이용한 하이킹(hiking) 중에도 음료수를 마실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자전거용 물병은 미국 특허 제4,981,022호, 제5,040,709호, 제5,285,933호, 제5,607,087호 등에 개시된 바있다.
공지된 자전거용 물병은 두 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는데 하나는 프레임에 장착된 물병을 운전자가 손조작으로 분리하여 음용하게 되어 있는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브라켓에 장착된 물병으로부터 자전거의 핸들까지 튜브가 연장되어서 운전 중에도 연장된 튜브를 통해 음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자전거용 물병 중 전자는 운전자가 손으로 물병을 브라켓(Bracket)에서 분리하여 음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물병의 주출구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구성을 가진 마개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에서 뚜껑(2)은 중앙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관체(4)를 갖추고 있고, 이 관체(4)의 중심 내측에는 가이드포스트(6)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관체(4)와의 사이로 설치된 마개(8)를 안내하게 되어 있다.
상기 마개(8)의 내주면은 약간 큰 내경으로 확장된 주출통로(10)를 형성하고 있고, 그 하단에는 스톱퍼(12)가 대향되게 1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8)의 주출통로(10)는 그 하단으로 상기 가이드포스트(6)의 하단부에 형성된 밀봉단부(密封端部: 14)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물병본체(16)를 밀봉하게 된다.
(특허문헌 1) KR 10-2000-0018342 A
(특허문헌 2) KR 10-1076758 B1
그러나, 종래의 자전거용 물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자전거용 물병을 전방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에 고정하여 사용하는데, 더운날 자전거를 타다가 물을 마실 때 물의 온도가 높아서 마실수 없게 된다.
(2) 물병의 물의 온도가 심하게 상승하여 물병에 포함된 물이나 기타 음식물이 쉽게 상하여 보관이 어렵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병본체와; 상기 물병본체의 상단에 고정되는 물병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물병본체의 주연부에 물병윈드커버를 삽입하는데,
상기 물병윈드커버는 일측상단에 전방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개구부와 반대측 하단에 후방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벽을 따라서 돌출되는 유로형성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자전거용 물병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자전거를 타게되면 자전거용 물병을 전방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에 고정된 물병윈드커버의 전방개구부에서 후방배출구로 공기가 배출되면서 물병본체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발생하여 물병본체 내의 물의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다.
(2) 물병본체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므로, 물이나 음료등이 쉽게 상하지 않아서 보관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자전거용 물병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자전거용 물병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자전거용 물병의 일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자전거용 물병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자전거용 물병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자전거용 물병의 작동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그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을 다소 과장되거나 단순화시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고, 본원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 및 부호들은 사용자, 운용자 및 작성자에 의해서 임의로 정의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된 용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용어들은 본원 명세서의 전체적인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용어자체의 의미로 한정하여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병본체(100)와; 상기 물병본체(100)의 상단에 고정되는 물병뚜껑(1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물병본체(100)의 주연부에 물병윈드커버(200)를 삽입하는데,
상기 물병윈드커버(200)는 일측상단에 전방개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개구부(210)와 반대측 하단에 후방배출구(220)가 형성되며, 내벽을 따라서 돌출되는 유로형성구(2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물병은 자전거 프레임의 경사진 부분에 설치되는 브라켓(5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경사진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물병본체(10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물 등의 음료를 보관하게 된다.
상기 물병본체(100)의 상단에는 물병뚜껑(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물병뚜껑(110)에는 가이드와 마개가 형성되어 물이 나오는 것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입으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병본체(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띠형상의 연결홈(112)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홈(112)은 물병윈드커버(20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돌출띠(202)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물병윈드커버(200)는 물병본체(100)를 감쌀 수 있도록 상,하단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연결돌출띠(202)가 형성되어 물병본체(100)의 연결홈(112)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물병윈드커버(200)에는 일측상단에 상하로 길게 개방된 전방개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개구부(210)와 반대측 하단에는 후방배출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개구부(210)의 주연부는 공기를 잘 흡수할 수 있도록 외부로 벌어지는 전방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개구부(210)의 상단에는 다수개의 상단홀(211)이 형성되어 물병윈드커버(20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원할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방배출구(220)는 상부는 넓게 개방되고, 하부는 좁게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물병윈드커버(200)의 내부에는 내벽을 따라 돌출되는 유로형성구(2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유로형성구(230)는 물병윈드커버(200)의 내부를 나선형으로 내려가면서 돌출되어 물병본체(100)의 위주연과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로형성구(230)의 시작은 전방개구부(210)의 일측에서 시작되고, 끝은 후방배출구(220)의 일측에는 끝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유로형성구(230)는 나선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거나, 다수개의 돌출구가 형성되어 공기가 물병윈드커버(200)를 빠져나갈 때 물병본체(100)의 외주연을 완전히 감싸고 빠져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물병윈드커버(200)는 절반으로 쪼개져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일측에 힌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병윈드커버(200)의 상,하단에 형성되는 연결돌출띠(202)는 물병본체(100)의 연결홈(112)에 각각 삽입되도록 고정한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물병의 물병윈드커버(200) 주연부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은 도 6과 같이 흐르게 되고, 이러한 흐름에 의해서 주변의 뜨거운 공기와 차단되고, 열을 빼앗아 가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물의 온도상승을 막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자전거용 물병의 작동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물병은 자전거의 전방 프레임 또는 전방에 경사진 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켓(50)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물병본체(100)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물병윈드커버(200)를 끼워서 고정하고, 자전거 프레임의 브라켓(50)에 결합한다.
이때, 물병윈드커버(200)의 전방개구부(210)가 자전거의 진행방향으로 놓이도록 하고, 후방배출구(220)가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자전거용 물병을 부착한 상태로 자전거를 진행하면 공기가 전방개구부(210)를 통해서 유로형성구(230)를 따라서 회전하면서 물병본체(100)의 주연부를 돌아서 후방배출구(220)로 빠져나간다.
자전거의 속도가 빠를수록 자전거용 물병의 내부에 포함된 물의 온도는 낮아지게 되고, 외부의 뜨거운 열기와는 차단되어 물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아서, 시원한 물을 마실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되는 자전거용 물병에 의하면, 자전거를 타게되면 자전거용 물병을 전방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에 고정된 물병윈드커버의 전방개구부에서 후방배출구로 공기가 배출되면서 물병본체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발생하여 물병본체 내의 물의 온도가 올라가지 않고, 물이나 음료등이 쉽게 상하지 않아서 보관이 용이한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50 : 브라켓 100 : 물병본체
110 : 물병뚜껑 112 : 연결홈
200 : 물병윈드커버 202 : 연결돌출띠
210 : 전방개구부 211 : 상단홀
220 : 후방배출구 230 : 유로형성구

Claims (5)

  1.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물병본체(100)와; 상기 물병본체(100)의 상단에 고정되는 물병뚜껑(11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물병본체(100)의 주연부에 물병윈드커버(200)를 삽입하는데,
    상기 물병윈드커버(200)는 일측상단에 전방개구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개구부(210)와 반대측 하단에 후방배출구(220)가 형성되며, 내벽을 따라서 돌출되는 유로형성구(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물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개구부(210)의 주연부는 공기를 잘 흡수할 수 있도록 외부로 벌어지는 전방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물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윈드커버(200)는 절반으로 쪼개져서 형성되고, 일측에 힌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물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구(230)의 시작은 전방개구부(210)의 일측에서 시작되고, 끝은 후방배출구(220)의 일측에는 끝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물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구(230)는 물병윈드커버(200)의 내부를 나선형으로 내려가면서 돌출되어 물병본체(100)의 위주연과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물병.
KR1020210078500A 2021-06-17 2021-06-17 자전거용 물병 KR102651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500A KR102651435B1 (ko) 2021-06-17 2021-06-17 자전거용 물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500A KR102651435B1 (ko) 2021-06-17 2021-06-17 자전거용 물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696A true KR20220168696A (ko) 2022-12-26
KR102651435B1 KR102651435B1 (ko) 2024-03-27

Family

ID=8454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500A KR102651435B1 (ko) 2021-06-17 2021-06-17 자전거용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43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534A (ja) * 1997-07-31 1999-02-26 Rhythm Watch Co Ltd 飲料容器のホルダー
JP2000095228A (ja) * 1998-09-21 2000-04-04 Michael Hoerauf Mas Fab Gmbh & Co Kg 断熱カップ
US6182464B1 (en) * 1998-08-10 2001-02-06 Harvey R. Mamich Self-chilling bottle for a bicycle and the like
KR101170371B1 (ko) * 2010-11-23 2012-08-01 한희현 휴대용 냉각 모듈
KR101393926B1 (ko) * 2012-09-13 2014-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CN208730842U (zh) * 2018-06-28 2019-04-12 深圳闪易电商技术有限公司 一种车载空调出风口冷暖杯架
KR200491743Y1 (ko) * 2018-05-01 2020-05-28 (주)나모 휴대용 스마트 냉각용기 홀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534A (ja) * 1997-07-31 1999-02-26 Rhythm Watch Co Ltd 飲料容器のホルダー
US6182464B1 (en) * 1998-08-10 2001-02-06 Harvey R. Mamich Self-chilling bottle for a bicycle and the like
JP2000095228A (ja) * 1998-09-21 2000-04-04 Michael Hoerauf Mas Fab Gmbh & Co Kg 断熱カップ
KR101170371B1 (ko) * 2010-11-23 2012-08-01 한희현 휴대용 냉각 모듈
KR101393926B1 (ko) * 2012-09-13 2014-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KR200491743Y1 (ko) * 2018-05-01 2020-05-28 (주)나모 휴대용 스마트 냉각용기 홀더
CN208730842U (zh) * 2018-06-28 2019-04-12 深圳闪易电商技术有限公司 一种车载空调出风口冷暖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435B1 (ko)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497B2 (en) Dual chamber bott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944435B2 (en) Two-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US8616390B2 (en) Triple chamber bott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387961B2 (en)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US65848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with a consumable beverage
US10405680B2 (en) Lid featuring improved splash and spill resistance and ease of flow
US8235239B2 (en) Dual chamber bott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30168474A1 (en) Beverage transporting and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US8746475B2 (en) Multi-chambered bottles for separating cont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223792B1 (en) Funnel cap device for a fluid container
US20110024461A1 (en) Aeration pouring device
US5845807A (en) Drinking cup with pouring spout
US80611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with a consumable beverage
US9457927B2 (en) Multi-chamber beverage container and cap
KR100706426B1 (ko) 병의 스파우트
KR20220168696A (ko) 자전거용 물병
US8317058B2 (en) Bicyclists' water bottle with bottom drinking valve
KR101295227B1 (ko) 결로방지용 결합용기
US20160068216A1 (en) Cycle Frame Fluid Reservoir
ES2291872T3 (es) Boquilla vertedora para un recipiente que incluye un liquido, recipiente, procedimiento y su utilizacion.
US20020074366A1 (en) Vented fluid container closure
KR20170052358A (ko) 음료 용기
KR200489968Y1 (ko) 빨대가 구비된 음용기구
KR100889238B1 (ko) 마시기 쉬운 음료 병
KR102552920B1 (ko) 냉각기능을 가지는 음료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