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610A - 바실러스 진셍지솔리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실러스 진셍지솔리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610A
KR20220168610A KR1020210078022A KR20210078022A KR20220168610A KR 20220168610 A KR20220168610 A KR 20220168610A KR 1020210078022 A KR1020210078022 A KR 1020210078022A KR 20210078022 A KR20210078022 A KR 20210078022A KR 20220168610 A KR20220168610 A KR 20220168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fuscin
composition
bacillus
accumulation
inhib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미
조시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1007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610A/ko
Publication of KR20220168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2Spore-forming bacteria, e.g.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or Lactobacillus sporoge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Abstract

본원에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에는 바실러스 (Bacillus) 속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상기 파쇄물 또는 배양물의 추출물이 함유된다. 상기 조성물은 리포푸신 축적을 억제 또는 리포푸신을 제거하여 항노화 또는 미백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 예컨대 피부 과색소침착,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루게릭병, 심근경색증 및 연령 관련 황반변성 등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실러스 진셍지솔리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LIPOFUSCIN ACCUMULATION OR REMOVING LIPOFUSCIN COMPRISING CULTURE OR ITS EXTRACT OF BACILLUS GINSENGISOLI}
본원에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및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속 균주가 개시된다.
리포푸신 (Lipofuscin)은 세포 내 리포좀에서 다양한 대사물을 소화하거나 처리할 때 생성되는 일종의 대사 찌꺼기로서, 심근 (心筋)에 생리적으로 존재하는 황갈색의 색소 과립이다. 리포푸신이 세포 내에 많이 축적될수록 세포 기능은 떨어지고 노화 속도도 빨라진다.
장수한 노인의 심장은 갈색을 띠며 작아지는데, 이는 리포푸신 색소가 많아지기 때문이며 이를 심갈색위축 (心褐色萎縮)이라 한다. 간장에서도 이와 같은 색소침착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고, 이를 간갈색위축이라 한다. 또한, 암환자나 오랫동안 중증 폐결핵과 같은 소모성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서 심장, 간장, 신장에 리포푸신 색소가 침착된 사례들이 보고된 바 있다. 한편, 피부가 노화될 경우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 기미, 검버섯과 같은 색소침착인데, 이러한 색소침착은 리포푸신이 축척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에, 리포푸신을 '몸 속의 검버섯'이라고도 불리운다. 따라서, 피부 세포에 리포푸신이 축적되지 않도록 리포푸신의 생성 및/또는 축적을 억제하는 것이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세포의 대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리포푸신은 노화는 물론 세포 기능이 떨어지거나 외부 독소에 반복하여 노출될 경우 더욱 많은 양이 세포 내에 축적된다. 또한, 축적된 리포푸신은 세포의 정상 기능을 방해하고 노화 속도를 더욱 촉진시킨다. 리포푸신은 피부 세포뿐만 아니라 간, 신장, 심장 근육, 망막, 부신, 신경 세포 및 신경절 세포에서 발견되는데, 중요 신체 장기에 쌓여 다양한 퇴행성 질환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리포푸신이 심장 근육에 쌓일 경우 심장 근육을 악화시켜 심근경색을 유발할 수 있고, 리포푸신이 망막이나 신경 세포에 쌓일 경우 황반변성이나 알츠하이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호르몬을 분비하는 부신 및 간, 뇌하수체 등의 장기에 쌓일 경우 성장호르몬, 성호르몬 등 신체 호르몬의 대사 기능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리포푸신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피부과 레이저 시술을 통해 주로 이루어져 왔다. 또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물질을 이용하여 왔고, 리포푸신을 직접적으로 제거함에 있어서 알려진 물질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바실러스 균주를 이용한 리포푸신 축적 억제나 제거에 관해서도 공지된 바가 없다.
KR 10-2016-0049435 A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신규한 기탁번호가 KCCM12963P인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헤리티지 GR22 (Bacillus ginsengisoli Heritage GR22) 균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바실러스 (Bacillus) 속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상기 파쇄물 또는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바실러스 속 균주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Bacillus ginsengisoli) 및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중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Bacillus ginsengisoli)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기탁번호가 KCCM12963P인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헤리티지 GR22 (Bacillus ginsengisoli Heritage GR22)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은 피부 과색소침착 (skin hyperpigmentation), 근감소증 (sarcopenia), 조로증 (progeria),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루게릭병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심근경색증 (myocardial infarction), 연령 관련 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신경 세로이드 리포푸신증 (neuronal ceroid lipofuscinoses, NCL), 말단비대증 (acromegaly), 탈신경성 위축증 (denervation atrophy)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과색소침착은 기미 (melasma), 검버섯 (liver spot), 주근깨 (freckle), 흑색점 (lentigo), 모반 (nevus),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및 염증에 의한 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0.01 내지 99.99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기탁번호가 KCCM12963P인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헤리티지 GR22 (Bacillus ginsengisoli Heritage GR22) 균주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신규한 기탁번호가 KCCM12963P인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헤리티지 GR22 (Bacillus ginsengisoli Heritage GR22) 균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헤리티지 GR22 균주의 16S rDNA 부분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실험예에 따라 섬유아세포에서 바실러스 속 균주 배양물의 리포푸신 제거 효능을 확인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바실러스 (Bacillus) 속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상기 파쇄물 또는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 등과 함께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파쇄물'은 미생물 자체를 화학적 또는 물리적 힘에 의해 파쇄하여 얻은 산물을 의미한다.
상기 '배양물'은 배양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미생물을 배양한 배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 또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배양물은 미생물 배양의 결과물인 대사물 또는 분비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 자체도 배양물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배양물은 본 개시물에 따른 미생물을 적합한 액체 배지에서 배양하여 얻은 배양액 자체, 상기 배양액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미생물을 제거한 여액 (여과액 또는 원심분리한 상등액), 상기 배양액을 초음파 처리하거나 상기 배양액에 용해효소 (lysozyme)를 처리하여 수득한 파쇄액, 또는 상기 배양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한 농축 분말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배양물은 배양액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배양물은 균주를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균주를 제거하고 얻은 배양액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배양물은 배양액을 농축한 농축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상기 파쇄물 또는 배양물을 추출하여 얻어진 산물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농축, 건조, 분획 등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최광위 개념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추출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바실러스 속 균주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바실러스 속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인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인삼 및 상기 인삼 근권의 토양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Bacillus ginsengisoli) 및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중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Bacillus ginsengisoli)인 것이 리포푸신 제거 활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기탁번호가 KCCM12963P인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헤리티지 GR22 (Bacillus ginsengisoli Heritage GR22)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헤리티지 GR22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DNA 부분 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항노화용'은 유전적 요인 등을 포함하는 내적 요인과 자외선 등을 포함하는 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노화 현상을 예방, 지연 및/또는 개선하는 용도를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은 세포의 노화 수준을 감소시켜 세포의 노화와 관련된 질병 또는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항노화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은 피부 과색소침착 (skin hyperpigmentation), 근감소증 (sarcopenia), 조로증 (progeria),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루게릭병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심근경색증 (myocardial infarction), 연령 관련 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신경 세로이드 리포푸신증 (neuronal ceroid lipofuscinoses, NCL), 말단비대증 (acromegaly), 탈신경성 위축증 (denervation atrophy)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과색소침착은 기미 (melasma), 검버섯 (liver spot), 주근깨 (freckle), 흑색점 (lentigo), 모반 (nevus),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및 염증에 의한 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과색소침착을 저해하여 미백 및/또는 피부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액상 또는 고체 상태의 제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액상의 제형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 등이 있다. 상기의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상기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일 측면에서 약 5 내지 12 g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 측면에서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 염, 알긴산 및 그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다양할 수 있으나,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경구 투여 형태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 1 ㎍/kg 내지 200 mg/kg, 다른 일 측면에서 50 ㎍/kg 내지 50 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으로서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0.01 내지 99.99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또는 1 중량% 이상이고, 99.99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기탁번호가 KCCM12963P인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헤리티지 GR22 (Bacillus ginsengisoli Heritage GR22) 균주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개시물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물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미생물 분리 및 동정
대한민국 경기도 안성시에서 재배한 인삼과 인삼 근권에 있는 토양 1 g을 PBS buffer (phosphate buffered saline) 50 mL에 넣고 30분간 교반한 후, 여과지 (whatman filter pape, 2 μm)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고체 배지 M17 Agar에 도말하여 30 ℃에서 2일 동안 정치 배양하였다. 이후, 미생물 집락 (colony)이 보이는 균주를 최소 2회에서 최대 4회까지 계대 배양하여 단일 균주를 최종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미생물을 액체 배지에서 배양시킨 후, 미생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일반적으로 박테리아 동정에 사용되는 27F (5'-AGAGTTTGATCMTGGCTCAG-3', 서열번호 2)와 1492R (5'-TACGGYTACCTTGTTACGACTT-3', 서열번호 3)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증폭시키고 이의 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염기서열을 Gene Bank에서 검색한 결과, 분리된 균주는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Bacillus ginsengisoli) DCY53 (KCTC 13945) 균주와 97% 상동성을 갖는 것을 최종 확인하여 이를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헤리티지 GR22 (Bacillus ginsengisoli Heritage GR22) 균주로 명명하고, 상기 균주를 2021년 03월 05일자로 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하고 기탁번호 KCCM12963P를 부여받았다. 서열번호 1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헤리티지 GR22 균주의 16S rDNA 부분 서열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미생물 집락이 보이는 균주를 최소 2회에서 최대 4회까지 계대 배양하여 단일 균주를 최종 분리하고, 액체 배지에서 배양시킨 후 미생물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일반적으로 박테리아 동정에 사용되는 27F (5'-AGAGTTTGATCMTGGCTCAG-3', 서열번호 2)와 1492R (5'-TACGGYTACCTTGTTACGACTT-3', 서열번호 3)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방법으로 증폭시키고 이의 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염기서열을 Gene Bank에서 검색한 결과, 분리된 균주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KU4와 98% 상동성을 가졌다.
실시예 2. 미생물 배양액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동정한 바실러스 진셍지솔리와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균주를 각각 0.5% glucose가 함유된 M17 배지에 접종하여 30 ℃에서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미생물 배양 후 12,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제거하고, 미생물 배양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배양액을 한외여과 (ultrafiltration, 10 KDa cutoff)를 통해 농축하고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이후, 농축액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리포푸신 제거 활성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바실러스 속 균주로 바실러스 진셍지솔리와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균주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바실러스 속 균주의 리포푸신 제거 활성을 평가하였다.
인간진피섬유아세포인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 Lonza, Switzerland)를 10% 우혈청 (fetal bovin serum)을 포함하는 DMEM 배지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1210-0038)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은 모두 37 ℃, 5% CO2 배양기에서 수행하였다. 세포가 90% 컨플루언트 (confluent)하게 자란 상태에서 산화 유발 물질 (40 μM 류펩틴, 45 μM FeCl3, 및 10 μM H2O2)을 10일 동안 처리하여 리포푸신 생성이 유도된 섬유아세포를 제조하였다. 배지는 이틀에 한번씩 교환해 주었다. 바실러스 속 균주를 처리한 실험군의 경우, 산화 유발 물질을 처리한 10일 후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액과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배양액으로 제조된 파우더 10 ppm을 각각 7일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각 실험군의 리포푸신 함량을 형광플레이트 리더기 (Synergy H1 hybrid multi-mode microplate reader, BioTeck)를 이용하여 리포푸신 피그먼트의 자발형광 (autofluorescence)을 측정하였다. 측정 파장은 excitation 340~410 nm, emission 440~480 nm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섬유아세포에 40 μM 류펩틴 (leupeptin), 45 μM FeCl3, 및 10 μM H2O2 처리하였을 때, 산화 유발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섬유아세포 대조군에 비해 약 80%에 해당하는 높은 함량으로 리포푸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리포푸신이 생성된 섬유아세포 실험군에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액과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배양액을 처리할 경우 생성된 리포푸신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액을 처리한 실험군은 리포푸신 제거 활성이 매우 뛰어났다 (도 2 참조).
본 개시물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물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상기 실시예 2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물 0.01 중량%, 글리세린 3 중량%, 부틸렌 글리콜 2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2 중량%,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에탄올 1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미량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영양화장수
상기 실시예 2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물 0.01 중량%, 밀납 4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중량%,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유동파라핀 5 중량%, 스쿠알란 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 중량%, 글리세린 3 중량%, 부틸렌 글리콜 3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3 중량%,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미량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영양크림
상기 실시예 2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물 0.01 중량%, 밀납 1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중량%,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유동파라핀 10 중량%, 스쿠알란 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부틸렌 글리콜 3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3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미량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4. 팩
상기 실시예 2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물 0.01 중량%, 폴리비닐알콜 13 중량%,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에탄올 5 중량%, 노닐페닐에테르 0.3 중량%, 미량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5. 국소 투여용 약제 (패취제)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국소 투여용 약제 (패취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2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물 2.0
베타-1,3-글루칸 3.0
디에틸아민 0.7
아황산나트륨 0.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O=9) 1.0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Cetomacrogol 1000) 1.0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Cetiol LC) 2.5
폴리에틸렌글리콜400 3.0
폴리아크릴산(Carbopol 934P) 1.0
정제수 잔량
total 100
제형예 6. 산제
상기 실시예 2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물 2g, 유당 1g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7. 정제
상기 실시예 2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물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8. 캡슐제
상기 실시예 2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물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9. 환
상기 실시예 2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물 1g, 유당 1.5g, 글리세린 1g, 자일리톨 0.5g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g이 되도록 환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0. 과립
상기 실시예 2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물 150g, 대두추출물 50mg, 포도당 200mg, 전분 600mg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mg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1. 드링크제
상기 실시예 2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물 50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각 병에 200ml씩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12. 카라멜
상기 실시예 2의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배양물 50mg, 옥수수 시럽 (corn syrup) 1.8g, 탈지우유 0.5g, 대두 레시틴 0.5g, 버터 0.6g, 식물성 경화유 0.4g, 설탕 1.4g, 마가린 0.58g 및 식염 20mg을 혼합 및 성형하여 캬라멜을 제조하였다.
이상, 본 개시물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개시물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CCM12963P 20210305
<110> AMOREPACIFIC CORPORATION <120> COMPOSITION FOR INHIBITING LIPOFUSCIN ACCUMULATION OR REMOVING LIPOFUSCIN COMPRISING CULTURE OR ITS EXTRACT OF BACILLUS GINSENGISOLI <130> 21P077/IND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984 <212> DNA <213> Unknown <220> <223> Bacillus ginsengisoli Heritage GR22 <400> 1 ggacgggtga gtaacacgtg ggcaacctgc ctgtaagact gggataactt cgggaaaccg 60 aagctaatac cggataggat cttctccttc atgggagatg attgaaagat ggtttcggct 120 atcacttaca gatgggcccg cggtgcatta gctagttggt gaggtaacgg ctcaccaagg 180 caacgatgca tagccgacct gagagggtga tcggccacac tgggactgag acacggccca 240 gactcctacg ggaggcagca gtagggaatc ttccgcaatg gacgaaagtc tgacggagca 300 acgccgcgtg agtgatgaag gctttcgggt cgtaaaactc tgttgttagg gaagaacaag 360 tacgagagta actgctcgta ccttgacggt acctaaccag aaagccacgg ctaactacgt 420 gccagcagcc gcggtaatac gtaggtggca agcgttatcc ggaattattg ggcgtaaagc 480 gcgcgcaggc ggtttcttaa gtctgatgtg aaagcccacg gctcaaccgt ggagggtcat 540 tggaaactgg ggaacttgag tgcagaagag aaaagcggaa ttccacgtgt agcggtgaaa 600 tgcgtagaga tgtggaggaa caccagtggc gaaggcggct ttttggtctg taactgacgc 660 tgaggcgcga aagcgtgggg agcaaacagg attagatacc ctggtagtcc acgccgtaaa 720 cgatgagtgc taagtgttag agggtttccg ccctttagtg ctgcagctaa cgcattaagc 780 actccgcctg gggagtacgg tcgcaagact gaaactcaaa ggaattgacg ggggcccgca 840 caagcggtgg agcatgtggg ttaattcgaa gcaacgcgaa gaaccttacc aggtcttgac 900 atcctctgac actctagaga taaacgttcc ccttcggggg acagagtgac aggggtgcat 960 ggttgtcctc acctccggcc ggag 984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7F primer <400> 2 agagtttgat cmtggctcag 20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492R primer <400> 3 tacggytacc ttgttacgac tt 22

Claims (14)

  1. 바실러스 (Bacillus) 속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상기 파쇄물 또는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실러스 속 균주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Bacillus ginsengisoli) 및 바실러스 튜링겐시스 (Bacillus thuringiensis) 중 1 이상인,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Bacillus ginsengisoli)인,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기탁번호가 KCCM12963P인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헤리티지 GR22 (Bacillus ginsengisoli Heritage GR22)인,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 조성물인,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 조성물인,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인,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푸신 축적으로 인한 질환은 피부 과색소침착 (skin hyperpigmentation), 근감소증 (sarcopenia), 조로증 (progeria),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루게릭병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심근경색증 (myocardial infarction), 연령 관련 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신경 세로이드 리포푸신증 (neuronal ceroid lipofuscinoses, NCL), 말단비대증 (acromegaly), 탈신경성 위축증 (denervation atrophy)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과색소침착은 기미 (melasma), 검버섯 (liver spot), 주근깨 (freckle), 흑색점 (lentigo), 모반 (nevus),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및 염증에 의한 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0.01 내지 99.99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13. 기탁번호가 KCCM12963P인 바실러스 진셍지솔리 헤리티지 GR22 (Bacillus ginsengisoli Heritage GR22) 균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 활성을 갖는 것인, 균주.
KR1020210078022A 2021-06-16 2021-06-16 바실러스 진셍지솔리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KR20220168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22A KR20220168610A (ko) 2021-06-16 2021-06-16 바실러스 진셍지솔리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22A KR20220168610A (ko) 2021-06-16 2021-06-16 바실러스 진셍지솔리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610A true KR20220168610A (ko) 2022-12-26

Family

ID=8454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022A KR20220168610A (ko) 2021-06-16 2021-06-16 바실러스 진셍지솔리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86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435A (ko) 2014-10-27 201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Atm 저해제를 포함하는 세포의 노화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435A (ko) 2014-10-27 201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Atm 저해제를 포함하는 세포의 노화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068B1 (ko)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2204477B1 (ko) 신규 바이우라실,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2611B1 (ko)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균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311725B1 (ko) 락토바실러스 크러스토룸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9642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220168610A (ko) 바실러스 진셍지솔리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푸신 축적 억제 또는 리포푸신 제거용 조성물
CN112438921B (zh) 包括由冠突曲霉所得的发酵三七根提取物的用于改善皮肤美容的组合物
US11744865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lipofuscin accumulation or removing lipofuscin
KR20180114782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표고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395985B1 (ko) 세라티아 속 미생물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90089748A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58085B1 (ko)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서브스페시스 락티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06107A (ko) 크리세오박테리움 카멜리아에 균주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68736B1 (ko) 마이크로박테리움 올레이보란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411240B1 (ko) 파이시코쿠스 제주엔시스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484422B1 (ko) 사막 선인장 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2782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한 미생물 하프니아 알베이 돌송이 ht-3 및 이의 용도
KR102495402B1 (ko) 버크홀데리아 비에트나미엔시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2480527B1 (ko) 코쿠리아 팔루스트리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2152790B1 (ko) 멜라닌의 탈색 촉진용 조성물
KR102480529B1 (ko) 큐티박테리움 그래뉼로섬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EP3950697A1 (en) Novel compound and use of same
CN110740722B (zh) 包含后发酵茶来源的山柰酚类化合物的美白组合物
KR102552781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한 미생물 크로모박테리움 아쿠아티쿰 돌송이 ht-2 및 이의 용도
KR20160088840A (ko) 부티로락톤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타메이트 독성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