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940A -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940A
KR20220167940A KR1020210077301A KR20210077301A KR20220167940A KR 20220167940 A KR20220167940 A KR 20220167940A KR 1020210077301 A KR1020210077301 A KR 1020210077301A KR 20210077301 A KR20210077301 A KR 20210077301A KR 20220167940 A KR20220167940 A KR 2022016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water
nois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두
Priority to KR102021007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940A/ko
Publication of KR2022016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0Waste-disintegrating apparatus combined with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형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펀 효과를 사용하지 않고, 실린더 운동을 오수관부로 전달하는 링크를 구비하며, 실린더의 동작으로 오수관부를 회전하여 오수를 배출하고, 오수탱크부에 이동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할 때, 오수관부를 배출커버로 밀폐하여 오수탱크부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한 공기 마찰 소음을 저감하고, 배출되는 오수의 양을 조절하여 오수에 의한 마찰 소음을 저감하도록 하는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구동버튼으로 출력하는 누름신호를 입력받는 시작단계(S1); 상기 누름신호를 통해 동작실린더부(40)의 로드(41)가 전진하며, 일측은 상기 로드(41)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오수관(22)과 연결되는 링크부(50)를 통하여 상기 제2 오수관(22)이 회전플랜지(23)를 축으로 회전하고, 변기보울(11) 내부의 오수가 오수탱크부(30)로 배출되는 오수이동단계(S2); 상기 동작실린더부(40)의 로드(41)가 후퇴하며, 상기 제2 오수관(22)을 직립하고, 변기보울(11)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준비단계(S3); 외부의 진공압력이 상기 오수탱크(30) 내부로 확장하여 내부의 오수가 배수관(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오수배출단계(S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Water-saving and Low Noise vacuum toilet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절수형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펀 효과를 사용하지 않고, 실린더 운동을 오수관부로 전달하는 링크를 구비하며, 실린더의 동작으로 오수관부를 회전하여 오수를 배출하고, 오수탱크부에 이동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할 때, 오수관부를 배출커버로 밀폐하여 오수탱크부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한 공기 마찰 소음을 저감하고, 배출되는 오수의 양을 조절하여 오수에 의한 마찰 소음을 저감하도록 하는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보울에 물이 항상 고여있고, 보울에 추가적인 급수를 통한 사이펀 원리로 보울 내부의 오수가 배출된다.
하지만, 오수 배출에 사용되는 물의 양이 많아서 급수가 원활하지 못한 선박, 항공기와 같은 운송수단에서는 물의 사용량이 많은 변기를 사용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0006호“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에 자동으로 용변이 대변인지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여 용변 처리를 위한 물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외부에서부터 확장되는 진공압력은 오수를 배출한 뒤에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때 공기의 마찰로 소음이 발생하고, 배출되는 오수는 배출관과 마찰하여 소음이 발생하였으며, 전술한 소음은 사용자를 불편하게 하였다.
하지만, 진공변기는 일반적인 사이펀 원리를 사용하는 변기보다 사용하는 물의 양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었으므로, 선박, 항공기와 같은 운송수단 등에 구비된 화장실처럼 급수가 원활하지 않은 곳에서는 소음에 대한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고 진공변기가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변기보다 물의 사용량을 줄이는 것은 물론이며, 진공 압력에 의한 공기 마찰 소음을 저감하면서, 배출되는 오수의 속도를 조절하여 배출관과 오수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진공변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0006호 (2012.10.05.)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펀 효과를 사용하지 않고, 실린더의 운동을 통해 오수관을 회전하여 오수를 배출하여 사용하는 물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또한, 오수관부의 닫음으로써, 오수탱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것이다.
그리고, 오수탱크에 외부의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순환관 설치하고, 순환밸브를 통하여 오수탱크 내부에 제공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오수의 양을 조절하여 오수와 배출관의 마찰 소음을 저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구동버튼으로 출력하는 누름신호를 입력받는 시작단계(S1); 상기 누름신호를 통해 동작실린더부(40)의 로드(41)가 전진하며, 일측은 상기 로드(41)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오수관(22)과 연결되는 링크부(50)를 통하여 상기 제2 오수관(22)이 회전플랜지(23)를 축으로 회전하고, 변기보울(11) 내부의 오수가 오수탱크부(30)로 배출되는 오수이동단계(S2); 상기 동작실린더부(40)의 로드(41)가 후퇴하며, 상기 제2 오수관(22)을 직립하고, 변기보울(11)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준비단계(S3); 외부의 진공압력이 상기 오수탱크(30) 내부로 확장하여 내부의 오수가 배수관(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오수배출단계(S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준비단계(S3)는 상기 제2 오수관(22)이 직립 되었을 때, 상기 제2 오수관(22) 외주면 일측에 힌지결합하여 회전하는 배출커버(25)로 상기 제2 오수관(22)을 닫는 내부밀폐단계(S5)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외부의 진공압력이 상기 변기보울(11) 내부로 확장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오수탱크부(30) 내부의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막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내부밀폐단계(S5)는, 상기 배출커버(25)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26)를 통하여 하방으로 지지 됨으로써, 상기 오수탱크(30)내부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한 공기 마찰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준비단계(S3) 이후에, 상기 오수탱크부(30)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 압력계통과 연결되는 순환관(33)과, 상기 순환관(33)의 개폐를 제어하는 순환밸브(34)를 통하여 상기 오수탱크부(30) 내부에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주입단계(S6)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배수관(60)으로 배출되는 오수의 속도를 제어하여 오수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변기는 사이펀 효과를 사용하지 않고, 실린더의 운동을 통해 오수관을 회전하여 오수를 배출하여 사용하는 물의 양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오수관부의 닫음으로써, 오수탱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오수탱크에 외부의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순환관 설치하고, 순환밸브를 통하여 오수탱크 내부에 제공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오수의 양을 조절하여 오수와 배출관의 마찰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대기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대기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오수배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오수배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플랜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대기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대기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오수배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오수배출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는 몸체부(10)와 오수관부(20)와 오수탱크부(30)와 동작실린더부(40)와 링크부(50)와 배수관(60)과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0)는 내부에 오수를 일시 수용하는 변기보울(11)과, 사용자를 착좌상태로 지지한다.
그리고, 일측에 구비되는 급수부가 설치되어 변기보울(11) 내부에 물을 제공하며, 변기보울(11)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급수밸브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오수관부(20)는 변기보울(11) 하부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제1 오수관(21)과, 제1 오수관(21)과 회전플랜지(23)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오수관(22)이 구비되어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유로를 형성한다.
이때, 제2 오수관(22)은 오수유로를 개폐하도록 끝단의 외주면 일측에 힌지결합하여 회전하는 배출커버(25)를 포함하여 오수탱크부(30) 내부의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막을 수 있다.
더하여, 제2 오수관(22)이 직립 되었을 때, 배출커버(25)를 하방으로 지지하도록 상부에 지지대(26)를 설치하여 배출커버(25)를 닫음으로써 오수탱크(30) 내부가 진공되어도 배출커버(25)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올바른 실시예로, 지지대(26)는 배출커버(25)에 의하여 밀려 올라갈 수 있도록 일면이 경사를 포함하며, 내부에 탄성지지부재(27)를 포함하여 하방으로 지지할 수 있고, 탄성지지부재(27)에 의하여 배출커버(25)가 하방으로 밀착 고정되어 변기보울(11) 방향으로의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오수탱크부(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한 공기 마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오수관부(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오수를 담아두는 오수탱크부(30)는 오수를 오수관부(20)로 부터 받고 배수관(60)으로 보내도록 연결된다.
다음으로, 동작실린더부(40)는 몸체부(10)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며, 동작실린더부(40)의 로드(41)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로드(41)는 제2 오수관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로드(41)가 관통한 부분을 통하여 오수탱크부(30) 내부의 오수와 악취가 유출되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링으로 로드(41)의 외주면에 설치한다.
더하여, 동작실린더부(40)는 몸체부(10)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유지보수와 동작의 여부를 판단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로, 동작실린더부(40)는 외부의 진공 시스템과 연계되도록 에어(AIR) 실린더를 사용하였으나, 실린더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링크부(50)는 일측은 로드(41)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오수관(22)의 단부측과 가깝도록 연결되어 동작실린더부(40)의 로드(4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는 동작에 대응하여 제2 오수관(22)이 회전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여, 링크부(50)는 제1 연결링크(51)와 ‘ㄴ’형상의 제2 연결링크를 포함하며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연결링크(51)의 일측은 로드(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연결링크(52)의 일측은 제2 오수관(22)에 연결된다.
이때, 제2 오수관(22)에 연결되는 제2 연결링크(52)는 회전하지 않도록 제2 연결링크(52)와 연결되는 위치에 제2 오수관(22) 홈을 형성하여 결합하거나, 제2 오수관(22)과 나란한 부분의 제2 연결링크(52)를 삽입하는 설계 또한 가능하며 결합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연결링크(52)는 모서리가 회전플랜지(2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로드(41)의 동작으로 제2 연결링크(52)에 연결된 제2 오수관(22)을 회전하여 사이펀 효과를 위한 추가적인 급수를 하지 않고 오수를 배출하여 물을 아낄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더하여, 링크부(50)의 구성을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54)를 통하여 오수관부(20) 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오수탱크부(30)는 외부 압력계통(미도시)과 연결되는 순환관(31)과, 상기 순환관(31)의 개폐를 제어하는 순환밸브(32)를 포함하고, 오수탱크부(30)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여, 제2 오수관(22)이 직립하고, 지지대(26)에 의하여 배출커버(25)가 닫히게 되면 오수탱크부(30) 내부가 밀폐되어 외부의 진공압력이 확장하지 못하게 되는데, 순환관(31)과 순환밸브(32)를 통하여 오수탱크부(30) 내부에 제공되는 공기의 량을 제어하여 배수관(60)으로 배출되는 오수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오수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부는 외부에서 발생하여 오수탱크부(30) 내부로 확장되는 진공압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미도시)와, 진공펌프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탱크(미도시)를 구비하여 오수탱크(30) 내부로 공기를 제공할 수 있으나 전술한 진공펌프와 압축공기탱크를 활용한 진공 시스템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동작 방법에 관하여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링크(51)와 제2 연결링크(52)는 로드(41)의 전방 또는 후방 동작에 의하여 제2 연결링크(52)의 단부가 실린더와 수평한 각도부터 제2 연결링크(52)의 내각만큼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로, 제2 연결링크(52)의 내각은 직각으로 형성되었으나 제2 연결링크(52)의 내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여, 제2 연결링크(52)의 끝단에 연결된 제2 오수관(22)이 제2 연결링크(52)의 동작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변기보울(11)의 오수가 오수탱크부(30)로 배출될 수 있게되며, 변기보울(11) 내부를 저수할 수 있도록 제2 오수관(22)이 직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링크부(50)는 회전플랜지(23)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도록 제1 연결링크(51)와 제2 연결링크(52)에 하나 이상의 회전제어부재(53)을 구비하여 제2 오수관(22)이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소정의 위치에서 회전제어부재(53)이 제1 연결링크(51) 또는 제2 연결링크(52)와 걸리게 함으로써 오수관부(20)의 피로도를 분담할 수 있으므로 장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여, 제1 연결링크(51)에 설치된 회전제어부재(53)은 로드(41)가 소정의 거리 이상이 될 때, 제2 연결링크(52)의 일측을 지지하여 회전 반경을 제어하고, 제2 연결링크(51)에 설치된 회전제어부재(53)은 제1 연결링크(51)의 일측을 지지하여 회전 반경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제어부재(53)은 제1 연결링크(51)와 제2 연결링크(52)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회전제어부재(53)의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플랜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플랜지(23)는 제1 오수관(22)과 제2 오수관(22) 각각의 일측이 원형을 이루고, 사이에 이음관(28)을 포함하며, 이음관(28)의 외주면을 따라 패킹(29)을 포함하여 제1 오수관(22)과 제2 오수관(22)이 각각 이음관(28)에 결합되어 회전한다.
이때, 이음관(28)의 길이는 몸체부(10)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는 동작실린더부(40)의 로드가 몸체부(10)를 관통하여 인입되었을 때, 제2 오수관(22)과 나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부는 사용자가 구동버튼으로 출력하는 누름신호를 입력받는 시작단계(S1)로 시작한다.
다음으로, 누름신호를 통해 동작실린더부(40)의 로드(41)가 전진하며, 일측은 로드(41)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오수관(22)과 연결되는 링크부(50)를 통하여 상기 제2 오수관(22)이 회전플랜지(23)를 축으로 회전하고, 변기보울(11) 내부의 오수가 오수탱크부(30)로 배출되는 오수이동단계(S2) 수행된다.
이때, 변기보울(11) 내부의 오수가 한 번에 빠질 수 있도록 동작실린더부(40)의 동작을 신속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동작실린더부(40)의 로드(41)가 후퇴하며, 상기 제2 오수관(22)을 직립하고, 변기보울(11)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준비단계(S3)를 수행한다.
다만, 준비단계(S3)는 오수관(22)이 직립 되었을 때, 제2 오수관(22) 외주면 일측에 힌지결합하여 회전하는 배출커버(25)로 제2 오수관(22)을 닫는 내부밀폐단계(S5)를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진공압력이 변기보울(11) 내부로 확장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오수탱크부(30) 내부의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막는 효과가 있게 된다.
더하여, 배출커버(25)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26)를 통하여 하방으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오수탱크(30)내부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한 공기 마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다음으로, 외부의 진공압력이 상기 오수탱크(30) 내부로 확장하여 내부의 오수가 배수관(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오수배출단계(S4)를 포함한다.
다만, 준비단계(S3) 이후에는 오수탱크부(30)가 밀폐되므로, 오수탱크부(30)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 압력계통과 연결되는 순환관(33)과, 순환관(33)의 개폐를 제어하는 순환밸브(34)를 통하여 오수탱크부(30) 내부에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주입단계(S6)을 포함함으로써, 배수관(60)으로 배출되는 오수의 속도를 제어하여 오수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오수탱크부(30)가 밀폐된 상태에서 오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므로, 오수의 배출 이후에 배수관(60)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한 공기 마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오수배출단계(S4)가 진행 되는 도중 동작실린더부(40)의 동작이 진행되지 않도록 인터록 제어하며, 오수배출단계(S4)를 진행한 후에 누름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시작단계(S1)로 돌아간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몸체부 11: 변기보울
20: 오수관부 21: 제1 오수관
22: 제2 오수관 23: 회전플랜지
25: 배출커버
26: 지지대 27: 탄성지지부재
28: 이음관
30: 오수탱크부 31: 순환관
32: 순환밸브
40: 동작실린더부 41: 로드
50: 링크부 51: 제1 연결링크
52: 제2 연결링크 53: 회전제어부재
54: 연결구
60: 배수관

Claims (4)

  1.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구동버튼으로 출력하는 누름신호를 입력받는 시작단계(S1);
    상기 누름신호를 통해 동작실린더부(40)의 로드(41)가 전진하며, 일측은 상기 로드(41)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오수관(22)과 연결되는 링크부(50)를 통하여 상기 제2 오수관(22)이 회전플랜지(23)를 축으로 회전하고, 변기보울(11) 내부의 오수가 오수탱크부(30)로 배출되는 오수이동단계(S2);
    상기 동작실린더부(40)의 로드(41)가 후퇴하며, 상기 제2 오수관(22)을 직립하고, 변기보울(11) 내부에 물을 급수하는 준비단계(S3);
    외부의 진공압력이 상기 오수탱크(30) 내부로 확장하여 내부의 오수가 배수관(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오수배출단계(S4);를 포함하는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S3)는 상기 제2 오수관(22)이 직립 되었을 때, 상기 제2 오수관(22) 외주면 일측에 힌지결합하여 회전하는 배출커버(25)로 상기 제2 오수관(22)을 닫는 내부밀폐단계(S5)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외부의 진공압력이 상기 변기보울(11) 내부로 확장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오수탱크부(30) 내부의 오수와 악취의 역류를 막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내부밀폐단계(S5)는, 상기 배출커버(25)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26)를 통하여 하방으로 지지 됨으로써, 상기 오수탱크(30)내부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한 공기 마찰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S3) 이후에,
    상기 오수탱크부(30)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 압력계통과 연결되는 순환관(33)과, 상기 순환관(33)의 개폐를 제어하는 순환밸브(34)를 통하여 상기 오수탱크부(30) 내부에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주입단계(S6)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배수관(60)으로 배출되는 오수의 속도를 제어하여 오수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KR1020210077301A 2021-06-15 2021-06-15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KR20220167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301A KR20220167940A (ko) 2021-06-15 2021-06-15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301A KR20220167940A (ko) 2021-06-15 2021-06-15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40A true KR20220167940A (ko) 2022-12-22

Family

ID=8457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301A KR20220167940A (ko) 2021-06-15 2021-06-15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9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006B1 (ko) 2011-10-07 2012-10-12 스티븐 준 한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006B1 (ko) 2011-10-07 2012-10-12 스티븐 준 한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1250B2 (ja) 洋風水洗式便器
US6470505B1 (en) Water efficient toilet
KR20220167940A (ko)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KR20220167939A (ko)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
KR20230037404A (ko) 악취 역류 방지구조의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의 제어 방법
KR20230037403A (ko) 악취 역류 방지구조의 절수형 저소음 진공 변기
JP2012219508A (ja) 排水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
WO2017121363A1 (zh) 节水坐便器
JP5057191B2 (ja) 排水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
JP2002088880A (ja) 水洗便器
CN110409575B (zh) 一种马桶冲水机构及其冲水控制方法
KR101985189B1 (ko) 진공 흡입식 좌변기
KR100815206B1 (ko) 남성용 순환식 변기 세정장치
CN209907514U (zh) 一种自动直冲马桶
CN113622492A (zh) 坐便器及其冲洗方法
JP3049695U (ja) 直通式節水便器
CN218292152U (zh) 一种双泵冲水马桶
US6502252B1 (en) Toilet water supply device
CN218374253U (zh) 一种真空小便器
CN217811407U (zh) 排水阀及冲水箱
JP7344439B2 (ja) 水洗大便器
CN111270741B (zh) 一种折叠型两用排便器
ES2841511B2 (es) Mecanismo de descarga para cisterna de inodoro
JP5057190B2 (ja) 排水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
JP2592095B2 (ja) 水洗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