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930A - 연결 배관의 액체 및/또는 기체의 누출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 및 누출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연결 배관의 액체 및/또는 기체의 누출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 및 누출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930A
KR20220167930A KR1020210077274A KR20210077274A KR20220167930A KR 20220167930 A KR20220167930 A KR 20220167930A KR 1020210077274 A KR1020210077274 A KR 1020210077274A KR 20210077274 A KR20210077274 A KR 20210077274A KR 20220167930 A KR20220167930 A KR 20220167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detection
sensor
pipe
electrode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이건영
박성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930A/ko
Publication of KR2022016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 G01M3/1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은 연결 배관의 액체나 기체의 누출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 및 액체의 누출을 센싱하는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는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플랜지로 연결된 연결 배관의 누출 감지하고, 제1배관의 외주면 상에 부착되는 제1지지체; 제2배관의 외주면 상에 부착되는 제2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와 접촉하고, 개구 및 개구를 덮는 탄성 윈도우를 포함하는 실린더 패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 및 상기 실린더 패드의 탄성 윈도우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 배관의 액체 및/또는 기체의 누출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 및 누출 감지 센서 {A sensing device for sensing leakage of gas and/or liquid from connected pipes and the sensor thereof}
본 개시물은 연결 배관의 액체나 기체의 누출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 및 액체의 누출을 센싱하는 센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나 반도체 장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화학 물질이 공정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인산, 질산, 초산, 염산과 같은 산성 물질,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알칼리성 물질, 과산화수소, 아이소프로필알코올과 같은 유기성 물질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화학 물질이 공정에 투입되기 위해서는 배관을 통해 이송되며, 서로 다른 배관을 연결시키기 위해 플랜지를 이용하는 연결 배관이 사용된다. 하지만, 배관의 연결 부위에서 기체 또는 액체 형태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화학 물질의 누출은 누출로 인한 금전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인체에 해로운 화학 물질의 경우 인명사고에 이르게 하는 중대한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 배관에서 누출되는 액체나 기체를 조기에 센싱하고, 경고를 발생시키기 위한 센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배관 및 제2배관을 포함하는 연결 배관의 누출 감지 장치로서, 제1배관의 외주면 상에 부착되는 제1지지체; 제2배관의 외주면 상에 부착되는 제2지지체;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와 접촉하고, 개구 및 개구를 덮는 탄성 윈도우를 포함하는 실린더 패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 및 상기 실린더 패드의 탄성 윈도우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누출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실린더 패드는 직사각형 형상의 유연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 패드는 1회 이상 권취되며, 일 단부는 미리 결정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탄성 윈도우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고, 탄성 윈도우는 실린더 패드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팽창하면 센서에 컨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탄성 윈도우에 부착되는 마그네틱을 더 포함하고, 탄성 윈도우는 실린더 패드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팽창하면, 마그네틱은 센서의 금속과의 인력에 의해 센서에 컨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센서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형성되는 센싱 PCB; 컨트롤러 및 배터리가 실장되는 메인 PCB; 및 센싱 PCB 및 메인 PCB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PCB는 실린더 바디를 향하는 면에 위치하고,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전극 및 제2전극 각각은: 센싱 PCB의 중심 영역에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교차하는 교차부; 및 교차부를 둘러싸는 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쇼트되는 경우, 누출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누출 감지 신호는 무선 통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연결 바디에 형성된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윈도우에 부착되는 마그네틱을 더 포함하고,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는 마그네틱과 인력을 형성하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 각각은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린더 패드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실린더 패드의 외주면 상에는 눈금자 또는 계량표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연결된 연결 배관의 액체 누출 감지 센서로서,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형성되는 센싱 PCB; 컨트롤러 및 배터리가 실장되는 메인 PCB; 및 센싱 PCB 및 메인 PCB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 바디를 포함하고, 제1전극 및 제2전극 각각은: 센싱 PCB의 중심 영역에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교차하는 교차부; 및 교차부를 둘러싸는 루프부를 포함하는, 누출 감지 센서가 개시된다.
누출 감지 센서는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 배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쇼트되는 경우, 누출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누출 감지 신호는 무선 통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연결 바디에 형성된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 각각은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르면,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를 배관에 부착하고, 실린더 패드를 감싸는 방식으로 실린더 바디를 형성하므로, 설치가 용이하다.
본 개시물에 따르면, 실린더 패드의 단부에 경사를 형성하므로 실린더 패드를 감싸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공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르면, 실린더 패드에 형성된 탄성 윈도우가 기체 또는 액체의 누출시 외부로 팽창하여 센서에 접함으로서 누출을 센싱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르면, 탄성 윈도우의 외면에 마그네틱을 형성하고, 센서에 금속과 같은 자성체를 형성하여 누출시 마그네틱이 센서에 부착되어 고정되므로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르면, 센싱 PCB에 형성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폐곡선 및 교차부를 형성하므로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르면, 센서의 연결 바디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를 수용홈에 삽입시키므로, 센서를 실린더 바디에 부착시키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르면,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가 서로 슬라이딩하여 센서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센서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르면, 실린더 패드를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고, 눈금을 형성하므로 액체의 누출시 누출량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르면, 무선 통신을 이용해 센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다른 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PCB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내었으며,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다른 측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 배관(10)은 제1배관(11) 및 제2배관(12)을 포함하고 플랜지(1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배관(11) 및 제2배관(12)은 플랜지(1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플랜지(13)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해 결합될 수 있다. 제1배관(11) 및 제2배관(12)은 원형의 실린더 형상일 수 있고 금속, 플라스틱,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배관(11) 및 제2배관(12)의 내부에는 화학 물질이 흐를 수 있으며, 화학 물질은 액체일 수도 있고 기체일 수도 있다. 이 때, 제1배관(11) 측의 플랜지(13)와 제2배관(12) 측의 플랜지(13) 사이에는 실링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2개의 배관(11, 12)를 연결하는 것이므로, 내부에 흐르는 화학 물질은 누출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는 제1지지체(111), 제2지지체(112), 실린더 바디(120) 및 센서(130)을 포함한다. 실린더 바디(120)는 개구가 형성된 실린더 패드(121),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탄성 윈도우(122) 및 탄성 윈도우에 부착되는 마그네틱(123)을 포함한다. 센서(130)은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이 형성되는 센싱 PCB(131), 컨트롤러(1321) 및 배터리(1322)가 실장되는 메인 PCB(132), 센싱 PCB(131) 및 메인 PCB(132)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 바디(133),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부(134) 및 제2슬라이딩부(135)를 포함한다.
제1지지체(111)는 제1배관(11)의 외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지지체(111)은 제1배관(11)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갖는 디스크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지지체(111)은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2개의 파츠로 분리될 수 있고, 각각의 파츠는 디스크 형상의 제1지지체(111)를 절반으로 분리한 형상일 수 있다. 각각의 파츠는 볼트 및 너트 결합을 이용해 결합되어 디스크 형상의 제1지지체(111)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는 연결 배관(10)을 설치하는 과정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설치된 연결 배관(10)에도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제2지지체(112)는 제2배관(12)의 외주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지지체(112)은 제2배관(12)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갖는 디스크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지지체(112)은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2개의 파츠로 분리될 수 있고, 각각의 파츠는 디스크 형상의 제2지지체(112)를 절반으로 분리한 형상일 수 있다. 각각의 파츠는 볼트 및 너트 결합을 이용해 결합되어 디스크 형상의 제2지지체(112)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는 연결 배관(10)을 설치하는 과정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설치된 연결 배관(10)에도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지지체(111) 및 제2지지체(112)는 금속, 플라스틱, 실리콘, 유리와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지지체(111) 및 제2지지체(112)의 외주면은 실린더 바디(120)의 실린더 패드(121)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다.
실린더 패드(121)는 직사각형 형상의 패드로서 유연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 패드(121)는 플라스틱, 실리콘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린더 패드(121)를 실린더 형상으로 벤딩시키고 제1지지체(111) 및 제2지지체(112)의 외주면에 실린더 패드(121)의 내주면이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패드(121)가 벤딩되는데 있어서 중첩 영역(1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첩 영역에서 하부에 위치한 실린더 패드(121)의 단부는 미리 결정된 각도(a)를 가질 수 있다. 실린더 패드(121)의 단부가 미리 결정된 각도(a)를 가짐으로써, 실린더 패드가(121) 1회 이상 권취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단차나 공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출되는 화학 물질이 실린더 바디(120)의 외부로 재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체(111) 및 제2지지체(112)를 제1배관(11) 및 제2배관(12)에 부착하고 실린더 패드(121)를 감싸는 방식으로 실린더 바디(120)를 형성하므로, 설치가 용이하다.
실린더 패드(121)의 측면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그 개구에는 탄성 윈도우(122)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윈도우(122)는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므로써 누출되는 화학 물질이 실린더 바디(120)의 외부로 재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윈도우(12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 또는 기체 형태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부풀어 오름으로써 센서(130)의 센싱 PCB(131)에 컨택될 수 있다. 센싱 PCB(131) 상에는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 윈도우(122)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어, 탄성 윈도우(122)는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를 서로 쇼트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컨트롤러(1321)는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윈도우(122)에는 마그네틱(123)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그네틱(123)은 탄성 윈도우(122)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윈도우(122)의 내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체 또는 액체 형태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어 탄성 윈도우(122)가 팽창하여 센싱 PCB(131)에 컨택하는 경우, 제1슬라이딩부(134) 또는 제2슬라이딩부(135)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금속과 마그네틱(123)은 자력으로 인해 서로 인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그네틱(123)은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을 서로 쇼트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컨트롤러(1321)는 화학 물질이 누출되었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탄성 윈도우(122)의 외면에 위치하는 마그네틱(123)은 센서에 형성된 금속과 같은 자성체와 인력을 형성하므로, 마그네틱(123)은 센서(130)에 부착되어 고정되므로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PCB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물에 따른 센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130)는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이 형성되는 센싱 PCB(131), 컨트롤러(1321) 및 배터리(1322)가 실장되는 메인 PCB(132), 센싱 PCB(131) 및 메인 PCB(132)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 바디(133),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부(134) 및 제2슬라이딩부(135)를 포함한다.
센싱 PCB(131)는 센서(130)의 일면에 위치하며, 일면은 실린더 바디(120)를 향하는 면이다. 또한, 특히 액체가 누출되는 경우의 센싱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중력 방향인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센싱 PCB(131)는 탄성 윈도우(122)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학 물질이 누출되어 탄성 윈도우(122)가 팽창하는 경우, 탄성 윈도우(122) 또는 마그네틱(123)이 센싱 PCB(131)에 컨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센싱 PCB(131) 상에는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은 구리 재질로 형성되는 배선 라인일 수 있으며,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은 서로 컨택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교차하는 형상의 교차부 및 상기 교차부를 둘러싸는 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은 센싱 PCB(131)의 중심 영역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센싱 PCB(131)의 외곽 영역에서 교차부를 둘러싸는 루프부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은 서로 컨택하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화학 물질의 누출로 인해 탄성 윈도우(122)가 팽창하여 센싱 PCB(131)에 컨택하게 되면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은 서로 쇼트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개시물에 따른 센서(130)는 화학 물질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윈도우(122)에 마그네틱(123)이 부착되는 경우, 화학 물질의 누출로 인해 탄성 윈도우(122)가 팽창하여 센싱 PCB(131)에 마그네틱(123)이 컨택하면,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은 서로 쇼트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개시물에 따른 센서(130)는 화학 물질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은 교차부에서 교차하도록 형성될 뿐만 아니라, 교차부를 감싸도록 폐곡선이 형성되므로, 센싱 PCB(131)의 외곽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누출이 되는 경우에도 센싱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메인 PCB(132)는 센서(130)의 타면에 위치하며, 타면은 실린더 바디(120)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면이다. 메인 PCB(132)에는 컨트롤러(1321) 및 배터리(1322)가 실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13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의 쇼트가 발생하는 경우 누출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321)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신호는 무선 신호일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예를 들어, 지그비,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신호, 이동통신 신호와 같은 장거리 무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322)는 센서(13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충전식 또는 교체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센싱 PCB(131) 및 메인 PCB(132) 사이에는 연결 바디(133)이 개재될 수 있다. 연결 바디(133)에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수용홈 내부에는 제1슬라이딩부(134) 및 제2슬라이딩부(135)가 삽입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부(134) 및 제2슬라이딩부(135) 각각은 굴곡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슬라이딩부(134) 및 제2슬라이딩부(135) 각각은 일 면이 실린더 바디(120)의 실린더 패드(121)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센서(130)의 센싱 PCB(131)가 탄성 윈도우(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슬라이딩부(134) 및 제2슬라이딩부(135)는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134,135)의 폭이 가변적일 수 있다. 즉, 제1슬라이딩부(134) 및 제2슬라이딩부(135)의 슬라이딩 결합으로 인해 센서의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구조물인 제1슬라이딩부(134) 및 제2슬라이딩부(135)를 이용해 센서(130)를 실린더 바디(120)에 부착시키므로 센서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물에 따르면, 센서(130)는 독립적으로 연결 배관(10)에 부착되어 액체 화학 물질의 누출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실린더 바디(120), 제1지지체(111), 및 제2지지체(112)와 독립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130)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센싱 PCB(131)이 위치하고 하측에 메인 PCB(132)가 위치하도록 연결 배관(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슬라이딩부(134) 및 제2슬라이딩부(135)는 연결 배관(10)의 일 부분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연결 배관(10)의 연결부에서 액체가 누출되는 경우, 누출된 액체는 센싱 PCB(131)에 직접 드롭될 수 있으며, 액체로 인해 제1전극(1311) 및 제2전극(1312)가 서로 쇼트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센서(130)는 액체 화학 물질의 누출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물에 따른 센싱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린더 패드(121)가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실린더 패드(121)의 외주면에는 눈금자 및 계량표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 패드(121)는 플라스틱, 아크릴,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가 확인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체 또는 액체의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액체 화학 물질이 누출되는 경우에 그 누출량을 계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화학물질이 누출되는 경우, 실린더 패드(120)의 내부에는 액체 화학 물질이 고이게 된다. 실린더 패드(120)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액체의 수면에 해당하는 계량 표시를 확인함으로써, 누출된 액체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1: 제1지지체 112: 제2지지체
120: 실린더 바디 121: 실린더 패드
122: 탄성 윈도우 123: 마그네틱
1211: 중첩 영역 130: 센서
131: 센싱 PCB 132: 메인 PCB
133: 연결 바디 134: 제1슬라이딩부
135: 제2슬라이딩부 1311: 제1전극
1312: 제2전극 1321: 컨트롤러
1322: 배터리

Claims (19)

  1. 제1배관 및 제2배관을 포함하는 연결 배관의 누출 감지 장치로서,
    제1배관의 외주면 상에 부착되는 제1지지체;
    제2배관의 외주면 상에 부착되는 제2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 및 상기 제2지지체와 접촉하고, 개구 및 개구를 덮는 탄성 윈도우를 포함하는 실린더 패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 및
    상기 실린더 패드의 탄성 윈도우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누출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패드는 직사각형 형상의 유연성 물질로 형성되는,
    누출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패드는 1회 이상 권취되며, 일 단부는 미리 결정된 각도를 갖는,
    누출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윈도우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윈도우는 실린더 패드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팽창하면 상기 센서에 컨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윈도우에 부착되는 마그네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윈도우는 상기 실린더 패드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팽창하면, 상기 마그네틱은 상기 센서의 금속과의 인력에 의해 상기 센서에 컨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형성되는 센싱 PCB;
    컨트롤러 및 배터리가 실장되는 메인 PCB; 및
    상기 센싱 PCB 및 상기 메인 PCB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 바디를 포함하는,
    누출 감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PCB는 상기 실린더 바디를 향하는 면에 위치하고,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감지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 각각은:
    상기 센싱 PCB의 중심 영역에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교차하는 교차부; 및
    상기 교차부를 둘러싸는 루프부를 포함하는,
    누출 감지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쇼트되는 경우, 누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누출 감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감지 신호는 무선 통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감지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디에 형성된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는,
    누출 감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윈도우에 부착되는 마그네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마그네틱과 인력을 형성하는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누출 감지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 각각은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감지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패드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패드의 외주면 상에는 눈금자 또는 계량표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감지 장치.
  15. 제1배관 및 제2배관이 연결된 연결 배관의 액체 누출 감지 센서로서,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형성되는 센싱 PCB;
    컨트롤러 및 배터리가 실장되는 메인 PCB; 및
    상기 센싱 PCB 및 상기 메인 PCB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 각각은:
    상기 센싱 PCB의 중심 영역에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교차하는 교차부; 및
    상기 교차부를 둘러싸는 루프부를 포함하는,
    누출 감지 센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감지 센서는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 배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감지 센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쇼트되는 경우, 누출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누출 감지 센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감지 신호는 무선 통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감지 센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디에 형성된 수용홈 내에 삽입되는 제1슬라이딩부 및 제2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슬라이딩부 각각은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 감지 센서.
KR1020210077274A 2021-06-15 2021-06-15 연결 배관의 액체 및/또는 기체의 누출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 및 누출 감지 센서 KR20220167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274A KR20220167930A (ko) 2021-06-15 2021-06-15 연결 배관의 액체 및/또는 기체의 누출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 및 누출 감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274A KR20220167930A (ko) 2021-06-15 2021-06-15 연결 배관의 액체 및/또는 기체의 누출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 및 누출 감지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930A true KR20220167930A (ko) 2022-12-22

Family

ID=8457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274A KR20220167930A (ko) 2021-06-15 2021-06-15 연결 배관의 액체 및/또는 기체의 누출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 및 누출 감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9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850B1 (ko) 압력 측정 장치
KR20090086909A (ko) 유체 차압 측정 장치
US6826966B1 (en) Flow sensor package
KR101610053B1 (ko) 누수감지센서
CN204230155U (zh) 一种不用拆卸就能直接校验的气体密度继电器
KR20220167930A (ko) 연결 배관의 액체 및/또는 기체의 누출을 센싱하는 센싱 장치 및 누출 감지 센서
KR20160116919A (ko)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CN111289037A (zh) 基于电子水尺的物联网系统
KR20190133518A (ko) 누출 감지장치
CN206399564U (zh) 一种无线压力传感器
CN211344813U (zh) 一种天然气仪表故障检测装置
CN113915537A (zh) 防止管路内气体泄漏之方法及其装置
KR101584682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압력감지장치
CN210719138U (zh) 一种精准测温的静力水准仪
KR20050095019A (ko) 파이프 조인트 누출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KR20180097935A (ko) 수소가스 누출 감지장치
US20150084659A1 (en) Contact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detecting incorrect mechanical contacting of contact structures
KR200241665Y1 (ko) 기계식 핑거
CN212513443U (zh) 检测管道中液流压力的装置
KR101417662B1 (ko) 수위 측정 및 누수 감지 기능을 구비한 개스킷
KR20240008521A (ko) 이형 압전소자를 이용한 누수센서
CN220625590U (zh) 压力传感器
CN217819210U (zh) 漏液检测装置
CN202018366U (zh) 气动压边传感自检系统
CN210180596U (zh) 一种压力传感芯片的封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