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822A -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822A
KR20220167822A KR1020210076752A KR20210076752A KR20220167822A KR 20220167822 A KR20220167822 A KR 20220167822A KR 1020210076752 A KR1020210076752 A KR 1020210076752A KR 20210076752 A KR20210076752 A KR 20210076752A KR 20220167822 A KR20220167822 A KR 20220167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aterial
discharge head
display panel
discharg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협
김용환
배민호
이상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822A/ko
Priority to US17/687,887 priority patent/US20220396064A1/en
Priority to CN202210611227.4A priority patent/CN115532523A/zh
Priority to CN202221345342.3U priority patent/CN218590957U/zh
Publication of KR2022016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05C5/021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2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40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는 스테이지, 및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인 제1 방향 일측을 향해 개구된 토출구를 포함하며, 스테이지보다 제1 방향 타측에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토출 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들은 다양한 전자 제품, 예를 들어 TV,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등을 중심으로 그 적용예가 다양화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커버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는 광학 투명 접착제를 통해 표시 패널에 부착될 수 있다. 광학 투명 접착제는 잉크젯 설비를 이용한 도포 방식 또는 롤러를 이용한 도포 방식 등을 통해 표시 패널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의 다양한 평면 형상에 대응 가능하며, 접착 부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는 스테이지; 및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인 제1 방향 일측을 향해 개구된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지보다 상기 제1 방향 타측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토출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스테이지와 마주보며 배치되되,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토출 헤드는 접착 물질을 수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롤러를 포함하는 교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접착 물질을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교반부를 둘러싸며 배치된 히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보다 상기 제1 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제1 방향 타측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헤드를 이용한 토출 공정에서, 상기 토출 헤드 및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제2 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되,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토출 헤드의 상기 제2 방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헤드를 이용한 토출 공정에서, 상기 토출 헤드 및 상기 광 조사부 간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헤드 및 상기 광 조사부는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는 표시 패널이 고정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테이지; 및 상기 스테이지가 회전하여 상기 안착면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인 제1 방향 타측을 향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안착면을 향하여 접착 물질을 토출하는 토출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안착면의 배치 방향을 변경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안착면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제1 방향 일측을 향해 개구되며 상기 접착 물질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되,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접착 물질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토출 헤드가 상기 접착 물질을 토출하는 동안, 상기 토출 헤드의 상기 제3 방향 타측에서 상기 제3 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안착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 물질을 가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타측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접착 물질을 토출하되,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개구부를 지나는 동안 상기 접착 물질을 비토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토출 헤드가 상기 접착 물질을 토출 시 상기 토출 헤드와 마주보는 도포면을 포함하되, 상기 도포면은 상기 개구부를 정의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보다 친수성이 클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스테이지 상에 표시 패널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스테이지를 회전하여 상기 표시 패널이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상에 접착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에 도포된 상기 접착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커버 윈도우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접착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는 토출 헤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토출 헤드는 이동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으로 상기 접착 물질을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에 도포된 상기 접착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는 광 조사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토출 헤드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도포된 상기 접착 물질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갖는 표시 패널의 일면에 광학 투명 접착제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DD)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며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CW)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소자 및 회로들, 예컨대 스위칭 소자 등과 같은 화소 회로, 상기 화소 회로의 동작에 의해 광을 방출하는 자발광 소자(self-light emitting element)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자발광 소자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무기물 기반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예컨대 Micro LED), 폭 및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나노 사이즈를 갖는 무기물 기반의 발광 다이오드(예컨대 nano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커버 윈도우(CW)를 바라보는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 패널(DP)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OP) 및 노치부(NC)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표시 영역(DA)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개구부(OP)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도 있다. 노치부(NC)는 표시 패널(DP)의 평면 구조에서, 표시 패널(DP)의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패널(DP)의 전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DP)을 보호하며, 표시 패널(DP)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유리, 플라스틱 또는 석영 등의 리지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패널(DP)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DP)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대체로 표시 패널(DP)과 평면상 유사한 형상을 가지지만, 그 크기는 표시 패널(DP)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의 양 단변에서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패널(DP)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패널(DP)의 개구부(OP) 및 노치부(NC)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및 커버 윈도우(CW)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A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AD)는 표시 패널(DP)과 커버 윈도우(CW)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착 부재(AD)는 광학 투명 점착제 또는 광학 투명 수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에서 표시 패널(DP)의 개구부(OP)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접착 부재(AD)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접착 부재(AD)는 표시 패널(DP)에서 개구부(OP)를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D)는 표시 패널(DP)과 커버 윈도우(CW)가 직접 맞닿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1)는 표시 패널(DP)의 일면 상에 접착 부재(AD)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1)는 스테이지(100), 토출 헤드(200), 광 조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지(100)는 안착부(110), 안착부(11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20), 안착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10)는 대상 기판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기판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패널(DP)이 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대상 기판으로 간략화하여 설명한다. 안착부(110)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착부(110)의 평면 형상은 대상 기판의 평면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110)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부(120)는 안착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120)는 안착부(110)의 회전을 통해 안착부(110)에 포함된 면들의 배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120)는 안착부(110)의 제3 방향(Z) 일측을 향해 배치된 일면을 제3 방향(Z) 타측을 향해 배치되도록 회전시키고, 제3 방향(Z) 타측을 향해 배치된 타면을 제3 방향(Z) 일측을 향해 배치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회전부(120)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회전부(120)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회전부(120)에 포함된 회전축의 연장 방향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부(120)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회전부(120)는 안착부(110)를 회전시키는 예시적인 구성에 불과할 수 있다. 즉, 안착부(110)의 제3 방향(Z) 일측면과 타측면은 다른 구성에 의해 지향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안착부(110)의 내부에는 고정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안착부(110) 상에 배치되는 대상 기판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130)는 정전척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30)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고정부(130)는 인가된 전원을 이용하여 정전기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대상 기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부(130)는 음압을 제공하는 진공 흡착척을 포함하여 대상 기판을 고정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부(130)가 진공 흡착척인 경우, 고정부(130)는 복수의 흡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헤드(200)는 접착 물질(AM)을 토출할 수 있다. 토출 헤드(200)는 스테이지(100)의 제3 방향(Z) 타측에 고정된 대상 기판의 제3 방향(Z) 타측면 상에 접착 물질(AM)을 도포할 수 있다. 토출 헤드(200)를 이용한 접착 물질(AM)의 도포는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며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 헤드(200)는 본체부(210), 토출 구동부(220) 및 교반부(stirring part)(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헤드(200)의 이동 속도(v1)는 일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접착 물질(AM) 도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다.
본체부(210)는 접착 물질(AM)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10)는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210)는 수용부(212) 및 토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12)는 접착 물질(AM)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212)의 내부 공간에는 접착 물질(AM)이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212)의 제3 방향(Z) 일측에는 토출부(211)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212)와 토출부(211)는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토출부(211)는 제3 방향(Z) 일측으로 개구된 토출구(OL)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OL)는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토출구(OL)는 스테이지(100)의 제3 방향(Z) 타측면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토출부(211)의 내부 폭(W)은 제3 방향(Z)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본체부(210)에는 토출 구동부(220)가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구동부(220)는 본체부(210)에 대하여 본체부(210) 내부에 수용된 접착 물질(AM)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구동부(220)는 시린지 또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구동부(220)는 토출부(211)의 접착 물질(AM)을 외부로 밀어내는 토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접착 물질(AM)은 토출 구동부(220)로부터 제공되는 토출 구동력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 구동부(220)는 토출부(211)의 접착 물질(AM)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토출부(211)의 접착 물질(AM)은 대상 기판과의 인력으로 인해 대상 기판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토출부(211)에 배치된 접착 물질(AM)이 대상 기판 측으로 이동하면, 토출 구동부(220)는 수용부(212)에 배치된 접착 물질(AM)을 토출부(211)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체부(210)의 내부에는 교반부(stirring part)(230)가 배치될 수 있다. 교반부(stirring part)(230)는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stirring part)(230)는 롤러의 회전을 통해 접착 물질(AM)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부(stirring part)(230)에 포함된 롤러는 단위 시간 당 일정한 횟수로 회전하며 접착 물질(AM)의 점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물질(AM)의 점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접착 물질(AM)의 점도가 높아지면 롤러의 단위 시간 당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접착 물질(AM)의 점도가 낮아지면 롤러의 단위 시간 당 회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토출 헤드(200)는 스테이지(100)보다 제3 방향(Z)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토출 헤드(200)는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며 접착 물질(AM)을 토출할 수 있다. 토출 헤드(200)는 스테이지(100)보다 제3 방향(Z) 타측에 위치하며, 토출 헤드(200)의 토출구(OL)는 제3 방향(Z) 일측으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토출 헤드(200)으로부터 토출되는 접착 물질(AM)은 스테이지(100)의 제3 방향(Z) 타측면 상에 고정된 대상 기판의 제3 방향(Z) 타측면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출 헤드(200)를 이용하여 대상 기판 접착 물질(AM)을 도포하는 과정은 제3 방향(Z) 타측으로부터 제3 방향(Z) 일측을 향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접착 물질(AM)의 도포는 접착 물질(AM)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토출되며 이루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제3 방향(Z) 타측을 의미하고,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은 제3 방향(Z) 일측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 기판이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DP)과 같이 개구부(도 1의 'OP' 참조)를 포함하는 경우, 개구부(OP)를 정의하는 대상 기판의 측면에 접착 물질(AM)이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대상 기판이 개구부(OP)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되는 스테이지(100)의 일면 상에 접착 물질(AM)이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지(10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OL)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토출 헤드(20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며 접착 물질(AM)을 도포하는 경우, 접착 물질(AM)은 대상 기판의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의해 정의되는 소정의 영역에 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OL)가 제2 방향(Y)으로 제1 길이를 갖고, 토출 헤드(200)가 제1 방향(X)으로 제2 길이의 거리만큼 이동하며 접착 물질(AM)을 토출하였다면, 대상 기판 상에 도포되는 접착 물질(AM)은 평면 상 제1 방향(X)으로 제2 길이를 갖고, 제2 방향(Y)으로 제1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대상 기판 상에 도포되는 접착 물질(AM)의 두께는 토출 헤드(200)의 이동 속도(v1)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헤드(200)의 이동 속도(v1)가 빠를수록 대상 기판 상에 도포되는 접착 물질(AM)의 두께는 감소하고, 토출 헤드(200)의 이동 속도(v1)가 느릴수록 대상 기판 상에 도포되는 접착 물질(AM)의 두께는 증가할 수 있다. 즉, 접착 물질(AM)의 점도가 일정하고, 토출 헤드(200)의 이동 속도(v1)가 일정한 경우, 대상 기판 상에 도포되는 접착 물질(AM)의 두께는 영역별로 일정할 수 있다.
토출 헤드(200)의 제1 방향(X) 타측에는 광 조사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광 조사부(300)는 대상 기판 상에 도포된 접착 물질(AM)에 광(L)을 조사하여 접착 물질(AM)을 가경화시킬 수 있다. 광 조사부(300)는 토출 헤드(200)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광 조사부(300)는 제3 방향(Z) 일측을 향해 광(L)을 조사할 수 있다. 광 조사부(300)가 조사하는 광(L)은 자외선일 수 있다. 광 조사부(300)가 조사하는 광(L)은 대상 기판 상에 도포된 접착 물질(AM)을 가경화시킬 수 있다.
광 조사부(300)는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며 광(L)을 조사할 수 있다. 광 조사부(300)의 이동 방향은 토출 헤드(20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조사부(300)는 토출 헤드(20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며 접착 물질(AM)을 도포할 때, 토출 헤드(200)의 제1 방향(X) 타측에서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며 광(L)을 조사할 수 있다. 즉, 광 조사부(300)는 토출 헤드(200)에 의해 도포된 접착 물질(AM)을 가경화시키기 위해 토출 헤드(200)의 이동 방향 타측에서 토출 헤드(200)를 따라가며 광(L)을 조사할 수 있다.
광 조사부(300)의 이동 속도(v2)는 토출 헤드(200)의 이동 속도(v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 물질(AM) 도포 과정에서 토출 헤드(200)와 광 조사부(300) 간의 간격(d)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광 조사부(300)의 이동 속도(v2)는 토출 헤드(200)의 이동 속도(v1)보다 작거나 또는 클 수 있다. 광 조사부(300)의 이동 속도(v2)가 느려지면 영역별 광(L) 조사량이 증가하고, 광 조사부(300)의 이동 속도(v2)가 빨라지면 영역별 광(L) 조사량이 감소할 수 있다.
광 조사부(300)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 조사부(300)가 조사하는 광(L)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선광 형태로 조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광 조사부(300)가 조사하는 광(L)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되, 제1 방향(X)으로도 소정의 폭을 갖는 면광 형태로 조사될 수도 있다.
접착 물질(AM) 도포 및 광(L) 조사가 함께 이루어지는 동안, 광 조사부(300)와 토출 헤드(200) 간의 간격(d)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 헤드(200)으로부터 토출되어 대상 기판 상에 도포된 접착 물질(AM)이 도포된 이후, 광 조사가 이루어지기 까지의 시간 간격이 일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1)에 의하면,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토출구(OL)를 포함하며,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며 접착 물질(AM)을 토출하는 토출 헤드(200)를 이용하여 대상 기판에 접착 물질(AM)을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1)는 제3 방향(Z) 일측으로 개구된 토출구(OL)를 포함하는 토출 헤드(200)를 포함하여 접착 물질(AM)을 스테이지(100)의 제3 방향(Z) 타측면 상에 고정된 대상 기판의 제3 방향(Z) 타측면에 도포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1)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접착 물질(AM)을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물질(AM)이 스테이지(100) 측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테이지(100)가 접착 물질(AM)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 기판이 개구부(OP)를 포함하는 경우 개구부(OP)를 정의하는 대상 기판의 측면이 접착 물질(AM)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스테이지(100) 상에 배치되는 대상 기판으로 표시 패널(DP)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후술하는 설명에서 표시 패널(DP)은 간략화하여 노치부(NC)를 미포함하며, 개구부(OP)만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스테이지 상에 표시 패널을 고정하는 단계(S11), 스테이지를 회전하여 표시 패널이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S21), 표시 패널의 일면에 토출 헤드를 이용하여 접착 물질을 도포하고, 도포된 접착 물질을 가경화시켜 접착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S31), 및 표시 패널 상에 커버 윈도우를 부착하는 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스테이지(100) 상에 표시 패널(DP)을 고정시킬 수 있다.(S11) 표시 패널(DP)은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지(100)는 안착부(110), 회전부(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스테이지(100)의 안착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DP)은 안착부(110)의 제3 방향(Z) 일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안착부(110)의 제3 방향(Z) 일측면 상에 배치되면, 고정부(130)가 작동하여 표시 패널(DP)을 안착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130)가 작동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고정부(130)가 정전척인 경우 고정부(130)에 전원이 인가되고, 고정부(130)가 진공 흡착척인 경우 고정부(130)에 음압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두 번째로 스테이지(100)를 회전하여 표시 패널(DP)이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S21)
스테이지(100)는 회전부(12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테이지(100)의 회전은 스테이지(100)에 고정된 표시 패널(DP)의 일면을 제3 방향(Z) 타측을 향하도록 배치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회전부(120)는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테이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스테이지(100)의 회전을 통해 안착부(110)의 제3 방향(Z) 일측을 향하는 면이 제3 방향(Z) 타측을 향하게 되고, 제3 방향(Z) 타측을 향하는 면이 제3 방향(Z) 일측을 향하게 될 수 있다. 즉, 스테이지(100)는 180° 회전할 수 있다. 스테이지(100)가 회전하더라도 고정부(130)에 의해 표시 패널(DP)은 고정될 수 있다.
스테이지(100)가 회전하면, 안착부(110)에 고정된 표시 패널(DP)은 안착부(110)의 제3 방향(Z)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고정부(130)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다면 중력에 의해 스테이지(10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패널(DP)은 고정부(130)에 의해 안착부(110)에 고정되어 스테이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및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세 번째로 표시 패널(DP)의 일면에 토출 헤드(200)를 이용하여 접착 물질(AM)을 도포하고 도포된 접착 물질(AM)을 가경화시켜 접착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S31)
도 8은 토출 헤드(200)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에 접착 물질(AM)을 도포하며, 도포된 접착 물질(AM)을 광 조사부(300)를 통해 가경화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개구부(OP)가 배치된 영역 주변에 접착 물질(AM)을 도포하여 접착 부재(AD)를 형성하는 과정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표시 패널(DP) 상에 접착 부재(AD)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토출 헤드(200)는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며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 상에 접착 물질(AM)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은 제3 방향(Z) 타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물질(AM)은 토출 헤드(200)의 토출구(OL)로부터 토출되어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이 때, 토출 헤드(200)는 표시 패널(DP)에 접촉하지 않은 채 접착 물질(AM)을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 상에 도포할 수 있다. 토출 헤드(200)의 이동 속도(v1)는 일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 상에 도포되는 접착 물질(AM)의 두께가 영역별로 균일하고, 결과적으로 접착 부재(AD)의 두께 또한 영역별로 균일해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친수성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은 표시 패널(DP)의 측면보다 친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 도포되는 접착 물질(AM)은 친수성일 수 있다. 접착 물질(AM) 및 표시 패널(DP) 간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물질(AM)은 가압하지 않더라도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 상에 안정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토출 헤드(200)의 토출구(OL)를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 토출 헤드(200)의 내부에 있던 접착 물질(AM)은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 측으로 토출되어 이동할 수 있다. 토출된 접착 물질(AM)은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토출 헤드(200)가 개구부(OP)가 배치된 영역을 지나는 경우 해당 영역에서는 접착 물질(AM)과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 간의 거리가 멀어져 접착 물질(AM)이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토출 헤드(200)가 개구부(OP)와 중첩하는 경우, 해당 영역에서 접착 물질(AM)은 토출 헤드(200)으로부터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접착 물질(AM)은 중력으로 인해 개구부(OP)를 정의하는 표시 패널(DP)의 측면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OP)를 정의하는 표시 패널(DP)의 측면 상에는 접착 물질(AM)이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되는 스테이지(100)의 일면 상에도 접착 물질(AM)이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 패널(DP)을 뒤집은 상태로 접착 물질(AM)을 도포하므로, 중력으로 인해 개구부(OP)로 접착 물질(AM)이 진입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포면(DPb)이 친수성 표면 처리된 반면, 개구부(OP)를 정의하는 표시 패널(DP)의 측면은 친수성 표면 처리가 되지 않아 접착 물질(AM)이 진입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토출구(OL)와 도포면(DPb) 간의 간격이 멀어져 접착 물질(AM)의 토출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물질(AM)의 도포 공정이 반복되더라도 개구부(OP)를 정의하는 표시 패널(DP)의 측면 및 개구부(OP)에 의해 노출된 스테이지(100)는 접착 물질(AM)에 의해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헤드(200)가 개구부(OP)가 배치된 영역을 지나서 다시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과 인접하는 경우, 접착 물질(AM)은 토출구(OL)로부터 토출되어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 상에 도포될 수 있다.
토출 헤드(200)가 제1 방향(X) 일측으로 이동하며 접착 물질(AM)을 도포함과 동시에, 토출 헤드(200)의 제1 방향(X) 타측에는 광 조사부(300)가 제1 방향(X) 일측으로 이동하며 제3 방향(Z) 일측을 향해 광(L)을 조사할 수 있다. 광 조사부(300)의 이동 속도(v2)는 토출 헤드(200)의 이동 속도(v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토출 헤드(200)의 이동 속도(v1)보다 작거나 또는 클 수 있다. 토출 헤드(200)의 이동 속도(v1)와 광 조사부(300)의 이동 속도(v2)가 동일한 경우, 토출 헤드(200) 및 광 조사부(300) 간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광 조사부(300)는 도포된 접착 물질(AM)에 광(L)을 조사하여 가경화시켜 접착 부재(AD)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경화는 완전한 경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반경화된 것을 의미하며, 표시 패널(DP) 상에 형성된 접착 부재(AD)는 접착력을 가져 후술하는 공정에서 커버 윈도우(CW)와 결합될 수 있다. 광 조사부(300)와 토출 헤드(200) 간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 상에 접착 물질(AM)이 도포되고, 도포된 접착 물질(AM)에 광(L)이 조사되어 가경화가 이루어지면, 표시 패널(DP) 상에는 접착 부재(AD)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네 번째로 표시 패널(DP) 상에 커버 윈도우(CW)를 부착할 수 있다.(S41)
커버 윈도우(CW)의 부착은 다시 스테이지(100)를 회전시킨 후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커버 윈도우(CW)의 부착은 표시 패널(DP)이 스테이지(100)의 제3 방향(Z) 타측면 상에 고정한 상태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다시 스테이지(100)를 회전시켜 스테이지(100)의 제3 방향(Z) 일측면 상에 표시 패널(DP)을 위치시킨 후 커버 윈도우(CW)를 부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표시 패널(DP)의 도포면(DPb) 상에 접착 부재(AD)가 형성되면, 회전부(120)를 통해 다시 스테이지(10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제3 방향(Z) 일측면 상에는 커버 윈도우(CW)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표시 패널(DP)의 제3 방향(Z) 일측면 상에 배치된 접착 부재(AD)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 윈도우(CW) 및 표시 패널(DP) 사이에는 접착 부재(AD)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개구부(OP)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접착 부재(AD)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1)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1)에 대한 설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1)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조 장치(1_1)는 토출 헤드(200)와 광 조사부(300)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되었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1)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조 장치(1_1)는 토출 헤드(200) 및 광 조사부(300)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00)는 토출 헤드(200)와 광 조사부(300)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결합부(400)의 제1 방향(X) 일측 단부는 토출 헤드(200)에 결합되고, 결합부(400)의 제1 방향(X) 타측 단부는 광 조사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헤드(200) 및 광 조사부(300)는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토출 헤드(200) 및 광 조사부(300) 간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토출 헤드(200) 및 광 조사부(300) 간의 간격(d)은 결합부(40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조 장치(1_1)에 의하면,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토출구(OL)를 포함하며,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며 접착 물질(AM)을 토출하는 토출 헤드(200)를 이용하여 대상 기판에 접착 물질(AM)을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조 장치(1_1)는 제3 방향(Z) 일측으로 개구된 토출구(OL)를 포함하는 토출 헤드(200)를 포함하여 접착 물질(AM)을 스테이지(100)의 제3 방향(Z) 타측면 상에 고정된 대상 기판의 제3 방향(Z) 타측면에 도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조 장치(1_1)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접착 물질(AM)을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물질(AM)이 스테이지(100) 측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테이지(100)가 접착 물질(AM)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 기판이 개구부(OP)를 포함하는 경우 개구부(OP)를 정의하는 대상 기판의 측면이 접착 물질(AM)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조 장치(1_1)는 토출 헤드(200)와 광 조사부(300)를 일체화하는 결합부(400)를 더 포함하여, 토출 헤드(200)와 광 조사부(300) 간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형성하는 접착 부재(AD)의 영역별 경화도를 균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조 장치(1_2)는 토출 헤드(200)의 본체부(210)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부(24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1)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조 장치(1_2)에 포함된 토출 헤드(200)는 본체부(210)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부(240)는 본체부(210)의 내부 벽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히터부(240)는 교반부(230)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히터부(240)는 열을 발생시켜 본체부(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물질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부(240)는 본체부(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접착 물질(AM)에 열을 제공하여 접착 물질(AM)의 온도 및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접착 물질(AM)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점도가 감소하고, 온도가 감소할수록 점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교반부(stirring part)(230)의 롤러를 통한 교반과 함께 히터부(240)로부터 제공되는 열을 이용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접착 물질(AM)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조 장치(1_2)에 의하면,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토출구(OL)를 포함하며,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며 접착 물질(AM)을 토출하는 토출 헤드(200)를 이용하여 대상 기판에 접착 물질(AM)을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조 장치(1_2)는 제3 방향(Z) 일측으로 개구된 토출구(OL)를 포함하는 토출 헤드(200)를 포함하여 접착 물질(AM)을 스테이지(100)의 제3 방향(Z) 타측면 상에 고정된 대상 기판의 제3 방향(Z) 타측면에 도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제조 장치(1_2)는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접착 물질(AM)을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물질(AM)이 스테이지(100) 측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테이지(100)가 접착 물질(AM)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 기판이 개구부(OP)를 포함하는 경우 개구부(OP)를 정의하는 대상 기판의 측면이 접착 물질(AM)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토출 헤드(200)의 본체부(210)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부(240)를 이용한 접착 물질(AM)의 온도 조절을 통해 본체부(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접착 물질(AM)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100: 스테이지
200: 토출 헤드
300: 광 조사부

Claims (20)

  1. 스테이지; 및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반대인 제1 방향 일측을 향해 개구된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지보다 상기 제1 방향 타측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토출 헤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스테이지와 마주보며 배치되되,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헤드는 접착 물질을 수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롤러를 포함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접착 물질을 상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교반부를 둘러싸며 배치된 히터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보다 상기 제1 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테이지의 상기 제1 방향 타측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헤드를 이용한 토출 공정에서,
    상기 토출 헤드 및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제2 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되,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토출 헤드의 상기 제2 방향 타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헤드를 이용한 토출 공정에서,
    상기 토출 헤드 및 상기 광 조사부 간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헤드 및 상기 광 조사부는 일체화된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10. 표시 패널이 고정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테이지; 및
    상기 스테이지가 회전하여 상기 안착면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인 제1 방향 타측을 향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안착면을 향하여 접착 물질을 토출하는 토출 헤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안착면의 배치 방향을 변경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안착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제1 방향 일측을 향해 개구되며 상기 접착 물질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되,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접착 물질을 토출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헤드가 상기 접착 물질을 토출하는 동안, 상기 토출 헤드의 상기 제3 방향 타측에서 상기 제3 방향 일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안착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접착 물질을 가경화시키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방향 타측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접착 물질을 토출하되,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개구부를 지나는 동안 상기 접착 물질을 비토출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토출 헤드가 상기 접착 물질을 토출 시 상기 토출 헤드와 마주보는 도포면을 포함하되,
    상기 도포면은 상기 개구부를 정의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보다 친수성이 큰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18. 스테이지 상에 표시 패널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스테이지를 회전하여 상기 표시 패널이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 상에 접착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에 도포된 상기 접착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커버 윈도우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접착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는 토출 헤드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토출 헤드는 이동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으로 상기 접착 물질을 토출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도포된 상기 접착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는 광 조사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토출 헤드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도포된 상기 접착 물질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10076752A 2021-06-14 2021-06-14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167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52A KR20220167822A (ko) 2021-06-14 2021-06-14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7/687,887 US20220396064A1 (en) 2021-06-14 2022-03-07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N202210611227.4A CN115532523A (zh) 2021-06-14 2022-05-31 用于制造显示装置的设备
CN202221345342.3U CN218590957U (zh) 2021-06-14 2022-05-31 用于制造显示装置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52A KR20220167822A (ko) 2021-06-14 2021-06-14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822A true KR20220167822A (ko) 2022-12-22

Family

ID=8439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752A KR20220167822A (ko) 2021-06-14 2021-06-14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96064A1 (ko)
KR (1) KR20220167822A (ko)
CN (2) CN218590957U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0056A (en) * 1969-07-24 1971-03-16 Du Pont Multi-colored plastic building product and its manufacture
US5368645A (en) * 1993-09-24 1994-11-29 Specialty Coating Systems Inc. Vacuum chuck for coating apparatus
JPH09276769A (ja) * 1996-04-11 1997-10-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塗布装置
JP3760926B2 (ja) * 2003-04-25 2006-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吐出方法
KR20190090108A (ko) * 2018-01-23 2019-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 장치,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방법 및 라미네이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8590957U (zh) 2023-03-10
US20220396064A1 (en) 2022-12-15
CN115532523A (zh)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465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기판 접합 장치
US9565489B2 (en) Display device
US9427933B2 (en) Quantum rod sheet, backlight uni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700047B2 (en) Panel with a notch accommodating a component,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305050B2 (en) Flexible panel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US1110145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5352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132345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9606287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20096263A (ko) 평판 표시 장치
KR102359607B1 (ko) 표시 장치
US9470921B2 (en) Display device
TWI619987B (zh) 顯示裝置之製造設備及方法
US979605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panel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20220167822A (ko)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0025126B2 (en) Display device
TW201500784A (zh) 發光裝置及使用其製造顯示裝置之方法
US9606385B2 (en) Display device
KR20150079093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사이드 실링 장치
US20160116787A1 (en) Display device
TW200827879A (en) Method for disposing spacer
KR101156208B1 (ko) 자외선 경화장치
KR20060134685A (ko) 액정표시패널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패널의제조방법
KR102178750B1 (ko) 레진 경화 장치 및 방법
KR20160033310A (ko) 레진 경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