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653A -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 Google Patents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653A
KR20220167653A KR1020210076912A KR20210076912A KR20220167653A KR 20220167653 A KR20220167653 A KR 20220167653A KR 1020210076912 A KR1020210076912 A KR 1020210076912A KR 20210076912 A KR20210076912 A KR 20210076912A KR 20220167653 A KR20220167653 A KR 20220167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airway tube
main body
oropharyngeal airway
tube cap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136B1 (ko
Inventor
김기훈
김세훈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13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9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p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11Diagnosing or evaluating reflu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61M2205/584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having a color c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8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pH-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관 삽관을 준비하는 동안 일시적인 환기를 목적으로 입안을 통해 구인두까지 인입 거치시킨 상태에서,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한 후 삽관 튜브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구인두 기도관(에어웨이)으로서, 적용 도중에 위액을 포함한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 쪽으로 역류할 경우, 역류된 내용물의 성분에 반응하여 변화되는 색상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함은 물론, 역류된 위장의 내용물이나 체내 분비물을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Airway device capable of measuring pH}
본 발명은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관 삽관을 준비하는 동안 일시적인 환기를 목적으로 입안을 통해 구인두까지 인입 거치시킨 상태에서,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한 후 삽관 튜브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구인두 기도관(에어웨이)으로서, 적용 도중에 위액을 포함한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 쪽으로 역류할 경우, 역류된 내용물의 성분에 반응하여 변화되는 색상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함은 물론, 역류된 위장의 내용물이나 체내 분비물을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Trachea)이란 후두와 폐를 연결하는 관 모양의 구조물로서 공기의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기관지 속 분비물을 배출하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기관의 상부가 막히게 되면 환자는 호흡이 곤란해지고 이는 곧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기관 내지 호흡기 관련 질환자들을 포함하여 입이나 코로 숨을 쉬기 어려운 환자들을 상대로 필요에 따라서는 기관 내에 삽관을 통해 산소 또는 의약품이 환자의 기도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관 삽관을 준비하는 동안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적인 환기를 목적으로 입안을 통해 구인두까지 인입 거치시킨 상태에서,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한 후 삽관 튜브를 고정하는데 구인두 기도관(에어웨이)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식이 진행을 위해서 또는 전신 상태의 악화 등으로 인해서 장의 움직임이 떨어져 장폐색증이 발생한 경우, 장 내용물을 배출시킬 목적으로 levin tube(레빈관, 일명 콧줄이라고 함)를 삽입한다.
하지만, 복압이 많이 올라갔거나 환자가 배에 힘을 심하게 주는 경우 식도를 통해 위쪽으로 삽입된 레빈관을 따라 장내용물이 식도 쪽으로 역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levin tube가 삽입되어 있지 않더라도 복압이 많이 증가하거나 환자가 복부에 심하게 힘을 주는 등의 행위로 인해 장내용물의 역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식도를 통해 역류된 위액은 빨리 제거하지 않는 경우, 삽관된 튜브를 따라 기도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는 흡입성 폐렴의 원인이 되며, 이처럼 역류가 많은 경우 석션(suction) 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첨부 도면 도 2에서와 같다.
하지만, 위액의 역류가 미세하게 진행되는 경우, 역류의 진단이 늦어져 흡인성 폐렴으로 진행된 이후 이를 발견하기도 하므로, 위액 역류량의 많고 적음을 떠나 역류가 발생한 사실에 대해 의료진의 직관적인고 즉각적인 확인과 신속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구인두 기도관(에어웨이)과 관련된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6962호(명칭 : 기도유지장치 ; 출원일 : 2018.12.20.)
문헌 2 :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5-0009863호(명칭 : 기도관 고정 및 구강내 이물질 제거용 마우스 ; 출원일 : 1992.05.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관 삽관을 준비하는 동안 일시적인 환기를 목적으로 입안을 통해 구인두까지 인입 거치시킨 상태에서,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한 후 삽관 튜브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구인두 기도관(에어웨이)으로서, 적용 도중에 위액을 포함한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 쪽으로 역류할 경우, 역류된 내용물의 성분에 반응하여 변화되는 색상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함은 물론, 역류된 위장의 내용물이나 체내 분비물을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구강을 통해 기도 측으로 삽입되어 인공호흡기가 적용되도록 하는 구인두 기도관 본체(11);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기도로 삽입된 선단(12a)에서 위액을 포함한 장내용물과 접하는 것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색상 변화가 확산되면서, 구강 외부로 노출된 선단(12b)으로 색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반응표시부(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본체(11)는 입의 외부에서 치아와 구강을 거쳐 구인두에 이르는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되, 입 방향 선단에 플랜지(11a)가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11)는 사출성형을 통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1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본체(11')와 하부본체(11")로 양분되고, 양분된 각 본체의 대응되는 단부가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1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양분되고, 양분된 각 본체의 대응되는 단부가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역류 위액의 성분에 화학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는 시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역류 위액의 성분 중 pH에 화학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는 시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관체인 본체(11)의 내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도포 마련되는 시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관체인 본체(11)의 내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면접하도록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시약이 첨가된 튜브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관체인 본체(11)의 외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접착 마련되는 시약이 첨가된 접착 또는 비접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관체인 본체(11)의 내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접착 마련되는 시약이 첨가된 접착 또는 비접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관체인 본체(11)의 길이 방향의 내경을 따라 1개 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마련되고, 선단은 플랜지(11a)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반응표시부(12)는 구인두 부분에 위치하는 단부에서 부터 타측 방향으로 길이 차이를 가지며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액 내지 체내 분비물을 흡입 배출시키는 별도의 배기경로(13)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배기경로(13)는 본체(11) 입 방향 선단의 플랜지(11a)에서 부터 구인두에 이르는 타측 단부에 이르도록 연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배기경로(13) 중 플랜지(11a) 측 선단은 돌출되어 개폐밸브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기관 삽관을 준비하는 동안 일시적인 환기를 목적으로 입안을 통해 구인두까지 인입 거치시킨 상태에서,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한 후 삽관 튜브(1)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구인두 기도관(10)으로서, 적용 도중에 위액을 포함한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 쪽으로 역류하거나 체내 분비물이 발생할 경우,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반응표시부(12) 중 구인두에 도달하도록 삽입된 선단(12a)이 위액을 포함한 장내용물과 접하는 것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색상 변화가 일어나고 이러한 색상 변화가 확산되면서 구강 외부 즉, 본체(11)의 플랜지(11a) 전면에 노출된 선단(12b)으로 색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의료진이 직관적이면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응표시부(12)가 본체(11)의 내경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마련됨으로써, 다각적 방향에서 위액 역류에 반응할 수 있도록 하며, 식도를 통해 역류하는 위액에 반응함은 물론, 기도 부위의 체내 분비물에도 반응하여 색상 변화를 통해 역류 내지 분비 부위 및 물성을 외부에서 색상 변화를 통해 전방위적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반응표시부(12)는 구인두 부분에 위치하는 단부에서 부터 타측 방향으로 길이 차이를 가지며 마련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반응표시부(12) 중 길이가 긴 부분이 먼저 역류 위액에 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고, 그 다음으로 긴 반응표시부(12)에 역류 위액이 도달하면 해당 반응표시부(12)의 색상이 변화하고, 그 다음으로 긴 반응표시부(12)에 역류 위액이 도달하면 해당 반응표시부(12)의 색상이 변화하는 등 길이에 따라 색상 변화 여부가 달리 나타나는 것에 따라 역류 위액이 어느 정도까지 역류하였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액 내지 체내 분비물을 흡입 배출시키는 별도의 배기경로(13)가 더 마련됨으로써, 위액이 역류한 상황을 반응표시부(12)의 색상 변화를 통해 확인한 상태에서 신속히 상기 배기경로(13)에 진공 흡입을 위한 석션 장치를 연결하여 위액 내지 체내 분비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구인두 기도관(에어웨이)의 구조 및 적용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역류 위액을 흡입 배출시켜 포집한 예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본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중 반응표시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중 반응표시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중 반응표시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중 반응표시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예 및 작용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16을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10)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을 통해 기도 측으로 삽입되어 인공호흡기가 적용되도록 하는 구인두 기도관 본체(11);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기도로 삽입된 선단(12a)에서 위액을 포함한 장내용물과 접하는 것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색상 변화가 확산되면서, 구강 외부로 노출된 선단(12b)으로 색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반응표시부(12);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본체(11)는 입의 외부에서 치아와 구강을 거쳐 구인두에 이르는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되, 입 방향 선단에 플랜지(11a)가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본체(11)는 사출성형을 통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1)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본체(11')와 하부본체(11")로 양분되고, 양분된 각 본체의 대응되는 단부가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역류 위액의 성분에 화학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는 시약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인 본체(11)의 내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도포 마련되는 시약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첨부 도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인 본체(11)의 내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면접하도록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시약이 첨가된 튜브체인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인 본체(11)의 외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접착 마련되는 시약이 첨가된 접착 또는 비접착 테이프인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첨부 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인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1개 또는 다수개가 마련되고, 일측 선단(12a)은 구인두 부위에 위치한 본체(11) 선단에 위치하고, 타측 선단(12b)은 본체(11)의 플랜지(11a) 외부면으로 유도되어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을 통해 기도 측으로 삽입되어 인공호흡기가 적용되도록 하는 구인두 기도관 본체(11);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기도로 삽입된 선단(12a)에서 위액을 포함한 장내용물과 접하는 것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색상 변화가 확산되면서, 구강 외부로 노출된 선단(12b)으로 색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반응표시부(12); 를 포함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10)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관 삽관을 준비하는 동안 일시적인 환기를 목적으로 입안을 통해 구인두까지 인입 거치시킨 상태에서, 기관 내 삽관을 시행한 후 삽관 튜브(1)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구인두 기도관(10)으로서, 적용 도중에 위액을 포함한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 쪽으로 역류하거나 체내 분비물이 발생할 경우,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반응표시부(12) 중 구인두에 도달하도록 삽입된 선단(12a)이 위액을 포함한 장내용물과 접하는 것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색상 변화가 일어나고 이러한 색상 변화가 확산되면서 구강 외부 즉, 본체(11)의 플랜지(11a) 전면에 노출된 선단(12b)으로 색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의료진이 직관적이면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본체(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의 외부에서 치아와 구강을 거쳐 구인두에 이르는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되, 입 방향 선단에 플랜지(11a)가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며, 관체로 이루어진 단면은 타원형(트랙형)인 것을 실시예로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본체(11)는 사출성형을 통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며, 이와 같이 되면, 구인두 기도관 본체(11)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1)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본체(11')와 하부본체(11")로 양분되고, 양분된 각 본체의 대응되는 단부가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도 다른 실시예로서 바람직하며, 이때, 착탈식 끼움 결합은 체결돌기가 체결홈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상부본체(11')와 하부본체(11")로 양분된 상태에서, 상기 반응표시부(12)를 이들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부본체(11')의 하단부와 하부본체(11")의 상단부를 대응시킨 후, 눌러서 체결돌기가 체결홈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결합되면서 온전한 구인두 기도관(10)을 조립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1)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발명으로부터 설계 변경을 통해,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양분되고 양분된 각 본체의 대응되는 단부가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양측으로 대칭 양분된 본체 사이에 상기 반응표시부(12)를 위치시키고, 양분된 본체 각각의 단부를 대응시킨 후, 눌러서 체결돌기가 체결홈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결합되면서 온전한 구인두 기도관(10)을 조립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11)는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이루어져,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반응표시부(12)의 색상 변화 정도를 외부 즉, 플랜지(11a) 표면으로 노출되어 확인이 이루어지기 전에 플랜지(11a)를 통해 투영되는 것으로부터 미리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역류 위액의 성분에 화학반응하여 색상이 변화(예 : 적색)하는 시약인 것을 실시예로 하며, 상기한 시약은 특히 역류 위액의 성분 중 pH 화학반응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시약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인 본체(11)의 내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도포 마련되는 시약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시약을 도포하여서 된 반응표시부(12)의 실시예는 관체인 본체(11) 내벽에 시약을 분사 또는 흘려보내고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반응표시부(12)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첨부 도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인 본체(11)의 내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면접하도록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시약이 첨가 또는 도포된 합성수지재 또는 종이재 튜브체인 것을 다른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시약이 첨가 또는 도포된 합성수지재 또는 종이재 튜브체로 이루어진 반응표시부(12)의 실시예는 관체인 본체(11) 내벽에 끼워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반응표시부(12)를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인 본체(11)의 외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접착 마련되는 시약이 첨가된 접착 또는 비접착 테이프인 것을 또 다른 실시예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발명으로부터 설계 변경을 통해, 관체인 본체(11)의 내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접착 마련되는 시약이 첨가된 접착 또는 비접착 테이프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시약이 첨가된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반응표시부(12)의 실시예는 관체인 본체(11) 외벽 또는 내벽에 부착 고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반응표시부(12)를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비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반응표시부(12)는 본체(11)의 플랜지(11a)에서 부터 구인두에 이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외벽 또는 내벽 표면에 형성되는 인입홈(걸림 단턱 형성)에 인입시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반응표시부(12)를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반응표시부(12)가 본체(11) 내벽에 마련되는 실시예는 상기 본체(11)가 첨부 도면 5를 통해 전술했던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본체(11')와 하부본체(11")로 양분되고, 양분된 각 본체의 대응되는 단부가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구조에 적용되어야만, 상기와 같이 비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진 반응표시부(12)를 본체(11)의 플랜지(11a)에서 부터 구인두에 이르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벽 표면에 형성되는 인입홈(걸림 단턱 형성)에 인입시켜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테이프는 리트머스 이끼에서 추출한 용액에 종이를 담갔다가 말린 리트머스 시험지인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며, 상기 리트머스 시험지의 색상은 빨강과 파랑으로서, 빨간색은 pH 8.0보다 염기쪽인 물질에 반응하여 파란색으로, 파란색은 pH 5.0보다 산성쪽인 물질에 반응하여 빨간색으로 변하는 것을 통하여 산과 염기를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첨부 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인 본체(11)의 길이 방향의 내경을 따라 1개 또는 내주면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마련되고, 선단은 플랜지(11a)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반응표시부(12)가 본체(11)의 내경 내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마련되면, 다각적 방향에서 위액 역류에 반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식도를 통해 역류하는 위액에 반응함은 물론, 기도 부위의 체내 분비물에도 반응하여 색상 변화를 통해 역류 내지 분비 부위 및 물성을 외부에서 색상 변화(반응표시부(12)가 액체에 젖어 색이 진해지는 것도 포함)를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반응표시부(12)는 구인두 부분에 위치하는 단부에서 부터 타측 방향으로 길이 차이를 가지며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다수의 반응표시부(12) 중 길이가 긴 부분이 먼저 역류 위액에 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고, 그 다음으로 긴 반응표시부(12)에 역류 위액이 도달하면 해당 반응표시부(12)의 색상이 변화하고, 그 다음으로 긴 반응표시부(12)에 역류 위액이 도달하면 해당 반응표시부(12)의 색상이 변화하는 등 길이에 따라 색상 변화 여부가 달리 나타나는 것에 따라 역류 위액이 어느 정도까지 역류하였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관 삽관을 준비하는 동안 일시적인 환기를 목적으로 입안을 통해 구인두까지 인입 거치시킨 상태에서 삽관을 시행한다. 이후, 삽관이 유지되는 중에 첨부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액을 포함한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 쪽으로 역류하거나 체내 분비물이 발생할 경우,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반응표시부(12) 중 구인두에 도달하도록 삽입된 선단(12a)이 위액을 포함한 장내용물과 접하는 것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색상 변화가 일어나고, 이러한 색상 변화가 확산되면서 첨부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외부로 노출된 선단(12b)으로 색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의료진이 직관적이면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액 내지 체내 분비물을 흡입 배출시키는 별도의 배기경로(13)가 더 마련되는 것도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배기경로(13)는 본체(11) 입 방향 선단의 플랜지(11a)에서 부터 구인두에 이르는 타측 단부에 이르도록 연통되는 것을 실시예로 하며, 구인두 측에 위치하는 선단은 누었을 때 하방(예컨대, 식도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경로(13)는 구인두 측에 위치하는 선단이 식도와 기도 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복수개가 플랜지(11a) 방향으로 연통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와 같이 위액이 역류한 상황을 반응표시부(12)의 색상 변화를 통해 확인한 상태에서 신속히 상기 배기경로(13)에 진공 흡입을 위한 석션 장치를 연결하여 위액 내지 체내 분비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위액을 포함한 위장의 내용물 내지 체내 분비물이 구인두 기도관(10)의 체내 선단부 측으로 역류할 경우, 역류된 내용물의 성분에 반응하여 변화되는 색상을 외부에서 의료진이 직관적이면서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바로 역류된 위장의 내용물이나 체내 분비물을 상기 배기경로(13)를 통해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입성 폐렴을 포함한 질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배기경로(13) 중 플랜지(11a) 측 선단은 돌출되어 개폐밸브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구인두 기도관 11 : 본체
11a : 플랜지 11',11" : 상부본체,하부본체
12 : 반응표시부 13 : 배출경로

Claims (18)

  1. 구강을 통해 기도 측으로 삽입되어 인공호흡기가 적용되도록 하는 구인두 기도관 본체(11);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기도로 삽입된 선단(12a)에서 위액을 포함한 장내용물과 접하는 것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색상 변화가 확산되면서, 구강 외부로 노출된 선단(12b)으로 색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반응표시부(12);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는,
    입의 외부에서 치아와 구강을 거쳐 구인두에 이르는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되, 입 방향 선단에 플랜지(11a)가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는,
    사출성형을 통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본체(11')와 하부본체(11")로 양분되고, 양분된 각 본체의 대응되는 단부가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양분되고, 양분된 각 본체의 대응되는 단부가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는,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표시부(12)는,
    역류 위액의 성분에 화학반응하여 색상이 변화하는 시약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표시부(12)는,
    관체인 본체(11)의 내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도포 마련되는 시약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표시부(12)는,
    관체인 본체(11)의 내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면접하도록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시약이 첨가된 튜브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표시부(12)는,
    관체인 본체(11)의 외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접착 마련되는 시약이 첨가된 접착 또는 비접착 테이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표시부(12)는,
    관체인 본체(11)의 내벽과 입 방향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1a) 외부면에 접착 마련되는 시약이 첨가된 접착 또는 비접착 테이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표시부(12)는,
    관체인 본체(11)의 길이 방향의 내경을 따라 1개 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마련되고, 선단은 플랜지(11a) 외부면으로 노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반응표시부(12)는 구인두 부분에 위치하는 단부에서 부터 타측 방향으로 길이 차이를 가지며 마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액 내지 체내 분비물을 흡입 배출시키는 별도의 배기경로(13)가 더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기경로(13)는,
    본체(11) 입 방향 선단의 플랜지(11a)에서 부터 구인두에 이르는 타측 단부에 이르도록 연통되어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기경로(13)의 선단은 돌출되어 개폐밸브가 더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기경로(13)의 구인두 측에 위치하는 선단은 환자가 누었을 때 식도바향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기경로(13)는 구인두 측에 위치하는 선단이 식도와 기도 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복수개가 플랜지(11a) 방향으로 연통 마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KR1020210076912A 2021-06-14 2021-06-14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KR102571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912A KR102571136B1 (ko) 2021-06-14 2021-06-14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912A KR102571136B1 (ko) 2021-06-14 2021-06-14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653A true KR20220167653A (ko) 2022-12-21
KR102571136B1 KR102571136B1 (ko) 2023-08-24

Family

ID=8453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912A KR102571136B1 (ko) 2021-06-14 2021-06-14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1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454B1 (ko) * 2006-10-18 2007-11-28 강신범 기관튜브 고정장치
JP2012170784A (ja) * 2011-02-24 2012-09-10 Terumo Corp 針組立体
JP5970448B2 (ja) * 2010-03-22 2016-08-17 アート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一つ以上のブロッキング要素を有する気管内チューブ、ブロッキング要素、及びブロッキング要素を使用する方法
US10617802B2 (en) * 2014-02-28 2020-04-14 Aspirate N Go Ltd. Aspira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454B1 (ko) * 2006-10-18 2007-11-28 강신범 기관튜브 고정장치
JP5970448B2 (ja) * 2010-03-22 2016-08-17 アート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一つ以上のブロッキング要素を有する気管内チューブ、ブロッキング要素、及びブロッキング要素を使用する方法
JP2012170784A (ja) * 2011-02-24 2012-09-10 Terumo Corp 針組立体
US10617802B2 (en) * 2014-02-28 2020-04-14 Aspirate N Go Ltd. Aspir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136B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3665B2 (en) Larynx mask having a connector
US7013899B2 (en) Perilaryngeal oral airway with multi-lumen esophogeal-obturator
CN104994899B (zh) 可逆性气道装置以及用于使患者通气的相关方法
US20200215285A1 (en) Tracheal tube and suction device
JP5380491B2 (ja) 喉頭マスク
EP1814620B1 (en) Secretion clearing ventilation catheter and airway management system
US6725862B2 (en) Tracheostomy tube apparatus for noninvasive suctioning
CN105343975B (zh) 一种无需喉镜的气管插管装置
US20040182384A1 (en) Perilaryngeal oral airway with temperature sensor
JP2013517016A (ja) 鎮静下内視鏡手技を受ける患者に使用するマスク
US20010054425A1 (en) Hyperpharyngeal tube
CN103223204A (zh) 多腔道一体式双重防误吸引流型喉罩
CN108671354A (zh) 心脑复苏抢救装置
US20030131853A1 (en) Oro-pharyngeal airway and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method therefor
US114785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flow oxygen therapy
EP0747077A2 (en) Endotracheal tube
KR102571136B1 (ko) pH 측정 가능한 구인두 기도관
CN107362428B (zh) 一种通气导管
US10010690B1 (en) Endotracheal tube apparatus
CN101455873B (zh) 三腔咽喉通气导管
JP6742033B2 (ja) 気管用アプリケータおよびその使用
JP2013192657A (ja) 吸引コネクタ及び気管チューブ
Sinha et al. Supraglottic airway devices other than laryngeal mask airway and its prototypes
US20180001043A1 (en) Tracheal protective neonatal ventilation device
CN201320340Y (zh) 双腔咽喉通气导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