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477A -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477A
KR20220167477A KR1020210076494A KR20210076494A KR20220167477A KR 20220167477 A KR20220167477 A KR 20220167477A KR 1020210076494 A KR1020210076494 A KR 1020210076494A KR 20210076494 A KR20210076494 A KR 20210076494A KR 20220167477 A KR20220167477 A KR 20220167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acid
fraction
ginseng
enhan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6211B1 (en
Inventor
허준혁
성준엽
심성례
신현정
조혜선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10076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211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7649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6211B1/en
Publication of KR20220167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4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2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adding an organic acid to a ginseng extract, subjecting the ginseng extract with the organic acid to acid hydrolysis, and fractionating the acid hydrolysis result using an alcohol-based solvent; and recovering and concentrating an alcohol layer obtained by the fracti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can be obtained from the ginseng extract. Therefore, the high-quality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s can be provided to a consumer stably. The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s are particularly effective in preventing cell damage caused by particulate matters, thereby being used in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food compositions, cosmetic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the cell damage caused by the particulate matters.

Description

미세먼지로부터 피부 방어 효능을 갖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fine dust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본 발명은 미세먼지로부터 피부 방어 효능을 갖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having a skin defense effect against fine dust.

인삼은 식물 분류학상으로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음지성 초본식물로서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사용되었다. 인삼의 사포닌은 항암 작용, 항산화 작용, 동맥경화 및 고혈압 예방, 간기능 개선, 항피로, 항스트레스 작용, 노화 방지, 두뇌 활동 촉진, 항염 활성,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 및 단백질 합성 능력의 촉진 등의 생리 활성이 있으며, 고려 홍삼은 항산화, 혈압 강하, 알코올성 고지혈증 개선, 혈당 강하 작용 등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inseng is a perennial shade-tolerant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genus Panax of the family Araliaceae, and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medicinal material in oriental medicine for a long time. Ginseng's saponin has various physiological functions such as anti-cancer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prevention of arteriosclerosis and high blood pressure, improvement of liver function, anti-fatigue, anti-stress activity, anti-aging, stimulation of brain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s and promotion of protein synthesis ability. It is known that Korean red ginseng has excellent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lowering blood pressure, improving alcoholic hyperlipidemia, and lowering blood sugar.

인삼은 일반적으로 가공 방법에 따라 백삼과 홍삼으로 구분되며, 백삼은 밭에서 채굴한 가공되지 아니한 인삼 즉, 수삼을 그대로 건조한 것을 지칭하며 홍삼은 수삼을 증숙하여 건조 가공한 것으로 제조과정에서 사포닌 변형과 아미노산 변화 등 여러 화학적인 변화가 수반된다. 홍삼은 제조 과정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인삼에 존재하지 않는 진세노사이드 Rg2, Rg3, Rh1, Rh2 등의 사포닌 성분이 생성되며, 홍삼 특유의 유효 성분은 암 예방 작용, 암세포 성장억제 작용, 혈압 강하 작용, 뇌신경세포 보호 및 학습 능력 개선 작용, 항혈전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이 우수하여 탁월한 약리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Ginseng is generally divided into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depending on the processing method. White ginseng refers to unprocessed ginseng mined in the field, that is, fresh ginseng that is dried as it is. It involves several chemical changes, such as amino acid changes. In red ginseng, saponin components such as ginsenosides Rg2, Rg3, Rh1, and Rh2, which do not exist in ginseng, are produced by the heat appli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xcellent pharmacological efficacy can be expected, as it is excellent in protecting brain nerve cells, improving learning ability, antithrombotic action, and antioxidant action.

이와 같은 효과는 주로 인삼 또는 홍삼 내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에 의한 것이며, 특히 진세노사이드 Rh1은 간보호, 항종양 작용, 혈소판 응집억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These effects are mainly due to ginsenosides contained in ginseng or red ginseng, and in particular, ginsenoside Rh1 has been reported to have hepatoprotective, antitumor, and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y effects.

진세노사이드 성분들은 각각 다양한 약효를 나타내고, 그 구조에 따라 약효의 종류와 강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원하는 진세노사이드를 강화하는 방법이 시도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에 오존을 처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g3가 강화된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Since each of the ginsenoside components exhibits various medicinal effects, and the type and strength of the medicinal effec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structure, methods of enhancing desired ginsenosides have been attempt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of obtaining a ginseng or red ginseng extract enriched in ginsenoside Rg3 by treating ginseng or red ginseng extract with ozone.

본 발명자들은 인삼 추출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h1을 특히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에, 유기산을 이용하여 인삼 추출물을 산 가수분해 처리한 후 알코올계 용매로 분획을 수행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Rh1이 특히 강화된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이러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이 미세먼지로부터 피부 손상을 방지하는 효능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While studying a method for specifically enriching ginsenoside Rh1 from ginseng extract, the present inventors acid hydrolyzed the ginseng extract using an organic acid and then fractionated it with an alcohol solvent to obtain a particularly enriched ginsenoside Rh1.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after confirming that the fraction could be obtained, and that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was very effective in preventing skin damage from fine dus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2910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02910

본 발명은 인삼 추출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from ginseng extract.

또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 방지 효능이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by using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인삼 추출물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산 가수분해 반응 후 알코올계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하는 것, 및 상기 분획에 의해 수득된 알코올 층을 회수하여 농축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insenoside Rh1, which includes adding an organic acid to a ginseng extract, fractionating using an alcohol-based solvent after an acid hydrolysis reaction, and recovering and concentrating the alcohol layer obtained by the fractionation. Methods for preparing enriched fractions ar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comprising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에 따르면 인삼 추출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h1이 강화된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로써 우수한 품질의 진세노사이드 Rh1이 강화된 분획물을 안정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효능이 우수하므로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 방지용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등의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action enriched in ginsenoside Rh1 can be obtained from a ginseng extrac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tably provide a high-quality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to consumers, and since such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has excellent efficacy in preventing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It can be used in various products such as food compositions, cosmetic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도 1은 제조예 1의 산 가수분해 반응시 전환 진세노사이드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산 가수분해 반응에 이용된 산 종류(홍삼초, 아세트산, 시트르산, 염산)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효과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수불용성 물질 제거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인간 각질형성세포 HaCaT에서 미세먼지 처리에 의해 증가된 TNF-α 의 발현이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뚜렷하게 감소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인간 각질형성세포 HaCaT에서 미세먼지 처리에 의해 증가된 CYP1A1의 발현이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감소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인간 각질형성세포 HaCaT에서 미세먼지 처리에 의해 활성화되고 분해된 AhR의 발현이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회복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인간 각질형성세포 HaCaT에서 미세먼지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p62, LC3-Ⅱ의 발현이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감소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1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converted ginsenoside during the acid hydrolysis reaction of Preparation Example 1.
Figure 2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the ginsenoside Rh1 enhancing effect according to the acid type (red ginseng vinegar, acetic acid, citric acid, hydrochloric acid) used in the acid hydrolysis reaction.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enhancing ginsenoside Rh1 according to the removal of water-insoluble substances.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TNF-α, which was increased by treatment with fine dust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reatment with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5 is a graph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CYP1A1, which was increased by treatment with fine dust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was decreased by treatment with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6 is a graph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AhR, which was activated and degraded by fine dust treatment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was restored by treatment with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7 is a graph showing that the expression of autophagy-related proteins p62 and LC3-II activated by treatment with fine dust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was reduced by treatment with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은 인삼 추출물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산 가수분해 반응 후 알코올계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 method for preparing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dding an organic acid to a ginseng extract, acid hydrolysis, and fractionation using an alcohol-based solvent.

본 발명에서 인삼 추출물은 인삼으로부터 통상의 방식으로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은 인삼의 잎, 어린 새싹, 줄기, 줄기 껍질, 뿌리, 뿌리 껍질, 종자, 열매, 미숙과, 완숙과, 과육, 과피, 꽃, 수술군(androecium), 암술군(gynoecium), 꽃받침, 수술, 꽃잎, 꽃받침 조각, 심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인삼의 뿌리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seng extract may be obtained from ginseng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ginseng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such as cultivated or commercially available. The ginseng is a ginseng leaf, young sprout, stem, stem bark, root, root bark, seed, fruit, immature fruit, mature fruit, flesh, fruit skin, flower, stamen group (androecium), pistil group (gynoecium), calyx, It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mens, petals, calyx pieces, carpel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preferably refers to the root of ginseng.

상기 인삼은 다양하게 가공된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수삼, 미삼, 흑삼, 산삼, 장뇌삼, 산양삼, 호정화 인삼, 효소 처리된 미삼, 발효 인삼, 홍삼 및 발효 홍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삼은 말리지 아니한 인삼을 말하고, 미삼은 머리와 몸통에서 분리된 다리부분과 세미를 말한다. 여기서 세미란 본삼을 제외한 잔뿌리를 말한다. 홍삼은 생인삼을 쪄서 익혀 건조한 것으로 건조 과정에서 갈변 반응이 일어나 담황갈색 내지 적갈색을 띄는 것이다. 흑삼은 홍삼을 더 여러 번 찌고 건조하여 흑색으로 변화한 인삼을 말한다. 산삼은 자생 인삼을 말하며, 장뇌삼은 심어서 기른 산삼을 말한다. 산양삼은 산간의 삼림 하에서 인위적으로 종자나 묘삼을 파종 이식하여 재배한 인삼이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은 인삼을 찌는 증삼 과정에서 인삼의 표면에서 생성되는 증삼액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증삼액은 인삼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효성분 또는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한다. The ginseng includes variously processed ones, for example, at leas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resh ginseng, misam, black ginseng, wild ginseng, camphor ginseng, wild ginseng, dehydrated ginseng, enzyme-treated fine ginseng, fermented ginseng, red ginseng, and fermented red ginseng. It may be 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resh ginseng refers to ginseng that has not been dried, and fine ginseng refers to the legs and semi-separated from the head and body. Here, semi refers to fine roots excluding main ginseng. Red ginseng is raw ginseng that has been steamed, cooked, and dried, and a browning reaction occurs during the drying process, resulting in a light yellowish brown to reddish brown color. Black ginseng refers to ginseng that has changed to black by steaming and drying red ginseng several times. Wild ginseng refers to ginseng that grows naturally, and camphor ginseng refers to wild ginseng that has been planted and grown. Sanyangsam is ginseng cultivated by artificially planting and transplanting seeds or seedlings under forests in the mountains. In addition, the ginseng extract may be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the steamed ginseng liquid produced on the surface of ginseng in the process of steaming ginseng. The steamed ginseng solution contains active ingredients or ginsenosides present on the surface of ginseng.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인삼으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의미하며,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제한 없이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추출물은 인삼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인삼 또는 이의 건조물의 분말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 refers to a material extracted from ginseng by any method, and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all of the extracted extract, the concentrate obtained therefrom, and the dried product and powder of the concentrate without limitation. The extract can be obtained by extracting from ginseng or its dried product, and can also be extracted from the powder of the ginseng or its dried product.

상기 추출물을 인삼으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추출물은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도 포함한다.When the extract is obtained by extraction from ginseng, all known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such as solvent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filtration and reflux extraction may be used as the extraction method, preferably prepared by using solvent extraction or reflux extraction. can do. The extraction process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and then additional steps such as concentration or lyophilization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obtained extract may b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concentrate, and the concentrate may be lyophilized and then a high-concentration extract powder may be prepared using a grinder. The extract also includes fractions obtained by further fractionating the extract.

상기 인삼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할 때, 물, 유기용매, 초임계 유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C1-C4의 저급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벤젠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및 유기용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물 및 유기용매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및 C1-C4의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When obtaining an extract from the ginse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organic solvents, supercritical fluids, and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as an extraction solvent. The organic solvent is alcohol, preferably C1-C4 lower alcohol, hexane (n-hexane), ether, glycerol,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ethyl acetate, m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chloroform, benzene, and mixtures thereof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lvents, preferably ethanol. For example, when a mixture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is used as the extraction solvent, the mixture of water and the organic solvent may preferably be a mixture of water and a C1-C4 lower alcohol, more preferably water.

인삼 추출물 제조시, 추출은 20℃ 내지 130℃, 또는 30℃ 내지 120℃에서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10℃, 또는 70℃ 내지 105℃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0℃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추출은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6시간 내지 8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추출은 1회 내지 7회 실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4회 실시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2회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When preparing the ginseng extract, the extraction may be carried out at 20 ° C to 130 ° C, or 30 ° C to 120 ° C, preferably 50 ° C to 110 ° C, or 70 ° C to 105 ° C, more preferably It may be carried out at 85 ° C to 10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Extraction may be carried out for 2 to 12 hours, preferably for 5 to 10 hours, more preferably for 6 to 8 hours. Extraction may be performed 1 to 7 times, preferably 1 to 4 times, and more preferably 1 to 2 tim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는, 인삼 추출물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산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산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Re가 진세노사이드 Rg1으로 전환되고, 진세노사이드 Rg1은 진세노사이드 Rh1으로 다시 전환됨으로써 1차적으로 진세노사이드 Rh1이 강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cid hydrolysis reaction is performed by adding an organic acid to a ginseng extract, and ginsenoside Re is converted to ginsenoside Rg1 by this acid hydrolysis reaction, and ginsenoside Rg1 is ginsenoside Rg1. The reinforcing effect of ginsenoside Rh1 can be achieved primarily by being converted back to senoside Rh1.

상기 유기산은 상기 인삼 추출물 대비 0.01%(v/v) 이상, 또는 0.02%(v/v) 내지 10%(v/v), 또는 0.025%(v/v) 내지 7%(v/v), 또는 0.03%(v/v) 내지 5%(v/v), 또는 0.035%(v/v) 내지 4.5%(v/v)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진세노사이드 Rh1으로의 진세노사이드 전환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The organic acid is 0.01% (v / v) or more, or 0.02% (v / v) to 10% (v / v), or 0.025% (v / v) to 7% (v / v) compared to the ginseng extract, Alternatively, it may be added at a concentration of 0.03% (v/v) to 5% (v/v), or 0.035% (v/v) to 4.5% (v/v).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conversion of ginsenoside to ginsenoside Rh1 may occur sufficiently.

상기 산 가수분해 반응은 25℃ 내지 97℃, 35℃ 내지 95℃, 45℃ 내지 93℃, 50℃ 내지 90℃, 60℃ 내지 8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진세노사이드 Rh1으로의 진세노사이드 전환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The acid hydrolysis reaction may be performed at 25 °C to 97 °C, 35 °C to 95 °C, 45 °C to 93 °C, 50 °C to 90 °C, or 60 °C to 85 °C.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conversion of ginsenoside to ginsenoside Rh1 may occur sufficiently.

상기 산 가수분해 반응은 5시간 내지 35시간, 또는 7시간 내지 33시간, 또는 9시간 내지 31시간, 또는 11시간 내지 29시간, 또는 13시간 내지 27시간, 또는 15시간 내지 25시간, 또는 17시간 내지 24시간, 또는 18시간 내지 24시간, 또는 18시간 내지 23시간, 또는 18시간 내지 2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진세노사이드 Rh1으로의 진세노사이드 전환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The acid hydrolysis reaction is 5 hours to 35 hours, or 7 hours to 33 hours, or 9 hours to 31 hours, or 11 hours to 29 hours, or 13 hours to 27 hours, or 15 hours to 25 hours, or 17 hours to 24 hours, or 18 to 24 hours, or 18 to 23 hours, or 18 to 22 hours.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conversion of ginsenoside to ginsenoside Rh1 may occur sufficiently.

상기 유기산은 젖산, 아세트산, 포름산, 시트르산, 옥살산, 아스코르브산, 요산, 부티르산, 스테아르산 및 프로피온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및 시트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The organic acid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ic acid, acetic acid, formic acid, citric acid, oxalic acid, ascorbic acid, uric acid, butyric acid, stearic acid, and propionic acid.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ic acid and citric acid is included.

상기 산 가수분해 반응은 pH 2.0~6.0, 또는 pH 2.5~5.0, 또는 pH 3.0~4.7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를 충족하는 경우 진세노사이드 Rh1으로의 진세노사이드 전환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The acid hydrolysis reaction may be performed at pH 2.0 to 6.0, pH 2.5 to 5.0, or pH 3.0 to 4.7. When the above numerical range is satisfied, conversion of ginsenoside to ginsenoside Rh1 may occur sufficiently.

상기 산 가수분해물은 pH가 4.5 이하로 낮기 때문에 이후 반응에서 반응물의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이후 공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산 가수분해물을 중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화를 위해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탄산수소나트륨, L-아르기닌, 트로메타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기성 성분을 첨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산 가수분해물의 산도를 pH 6.0 내지 6.5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Since the acid hydrolyzate has a low pH of 4.5 or less, the instability of the reactants tends to increase in the subsequent reaction, and unintended precipitates may occur in the subsequent process, further neutralizing the acid hydrolyzate. it is desirable For neutralization, one or more basic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ammonia, sodium bicarbonate, L-arginine, and tromethamine may be added, thereby reducing the acidity of the acid hydrolyzate. It can be adjusted to the pH range of 6.0 to 6.5.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산 가수분해물을 알코올계 용매로 분획함으로써 2차적으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insenoside Rh1 enhancing effect can be achieved secondarily by fractionating the acid hydrolyzate with an alcohol-based solvent.

상기 분획은 통상의 분획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2차 이상 분획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추가의 분획 공정을 통해서 얻어진 분획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인삼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물,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으로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물도 본 출원의 분획물에 포함된다. 여러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분획물을 농도 구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통하여 활성 성분의 성질에 따라 분리하여서 진세노사이드 Rh1이 더욱 강화된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The fraction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conventional fractionation process, and secondary or higher fractionation may be performed to maximize the effect of enhancing ginsenoside Rh1, and fractions obtained through such an additional fractionation process are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 variety of additionally performed fractions obtained by passing ginseng extract through an ultrafiltration membrane having a certain molecular weight cut-off value, separation by various chromatography (made for separation according to size, charge, hydrophobicity or affinity), etc. Active fractions obtained through purification methods are also included in the frac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fraction in which ginsenoside Rh1 is more enriched can be prepared by separating a fraction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mix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active component through concentration gradient column chromatography or the like.

정제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충진제를 선택하여 수차례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리카겔, 세파덱스, LH-20, ODS 겔, RP-18, 폴리아미드, 도요펄(Toyopearl) 및 XAD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충진제를 이용하여 활성 분획물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함에 있어 용출 용매, 용출 속도 및 용출 시간은 본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매, 속도 또는 시간을 적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purification, column chromatography may be performed several times by selecting an appropriate filler as necessa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ctive fraction may be separated and purified using a fill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gel, Sephadex, LH-20, ODS gel, RP-18, polyamide, Toyopearl and XAD resin. In using the chromatography, the elution solvent, elution rate, and elution time may apply solvents, rates, or times generally used in the art.

본 발명에서 알코올계 용매를 이용한 분획시, 상기 산 가수분해물에 알코올계 용매를 혼합하고 정치시킨 후 층이 분리되면 분별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Rh1이 강화된 알코올계 용매층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fractionation using an alcohol-based solvent, an alcohol-based solvent layer fraction enriched in ginsenoside Rh1 can be obtained by mixing the alcohol-based solvent with the acid hydrolyzate, allowing it to stand, and then separating the layers and separating them.

상기 알코올계 용매는 상기 산 가수분해물 대비 중량 기준으로 0.1배 이상, 또는 0.1배 내지 30배, 또는 0.2배 내지 30배, 또는 0.3배 내지 25배, 또는 0.5배 내지 20배, 또는 0.7배 내지 10배, 또는 1배 내지 5배, 또는 1배 내지 1.5배로 포함될 수 있다. 알코올계 용매의 양이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산 가수분해물 내의 유효성분들이 충분히 분획되지 않을 수 있다. 알코올계 용매의 양이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잔류 용매를 제거한 처리를 1회~수회 반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The alcohol-based solvent is 0.1 times or more, or 0.1 times to 30 times, or 0.2 times to 30 times, or 0.3 times to 25 times, or 0.5 times to 20 times, or 0.7 times to 10 times, based on the weight of the acid hydrolyzate. times, or 1-5 times, or 1-1.5 times. When the amount of the alcohol-based solvent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active ingredients in the acid hydrolyzate may not be sufficiently fractionated. When the amount of the alcohol-based solvent exceeds the upper limi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reatment for removing the residual solvent must be repeated once or several times.

상기 알코올계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부탄올을 포함한다. The alcohol-based solvent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such as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butanol, and isobutanol, and preferably includes butanol.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분획에 의해 수득된 알코올 층을 회수하여 농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알코올 층을 감압농축하고 및/또는 희석함으로써 원하는 농도의 알코올 층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알코올 층의 분획물에는 진세노사이드 Rh1이 강화되어 있는 한편, 수불용성 물질 또한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overing and concentrating the alcohol layer obtained by the fractionation. As such, by concentrating and/or diluting the alcohol layer under reduced pressure, an alcohol layer fraction having a desired concentration may be prepared. By the way, while the fraction of the alcohol layer is enriched with ginsenoside Rh1, it may also contain a large amount of water-insoluble substances.

따라서, 상기 알코올 층의 분획물로부터 수불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불용성 물질의 제거를 위해, 35℃ 내지 90℃, 또는 55℃ 내지 85℃, 또는 60℃ 내지 80℃, 또는 62℃ 내지 79℃, 또는 65℃ 내지 75℃에서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원심분리 또는 여과를 통해 침전물을 제거함으로써 수불용성 물질이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깨끗이 수득할 수 있다.Therefore, a step of removing water-insoluble substances from the fractions of the alcohol layer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Specifically, heating may be performed at 35°C to 90°C, or 55°C to 85°C, or 60°C to 80°C, or 62°C to 79°C, or 65°C to 75°C for the removal of water-insoluble substances. can Thereafter, by cooling to room temperature and removing the precipitate through centrifugation or filtration, a water-insoluble material-free fraction enriched with ginsenoside Rh1 can be clearly obtained.

이처럼 상기 알코올 층의 분획물에는 다량의 수불용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가열, 원심분리 또는 여과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은 상기 중화된 산 가수분해물을 알코올계 용매로 분획하는 단계 전 또는 후에, 비양자성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분획을 추가로 수행하고 이렇게 수득된 분획물을 제거함으로써 다량의 수불용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 경우에는 상기 알코올 층의 분획물로부터 수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생략되어도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중화된 산 가수분해물을 알코올계 용매로 분획하는 단계 전 또는 후에, 비양자성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분획을 수행하고 이렇게 수득된 분획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공정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fraction of the alcohol layer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insoluble substances, the above-described heating, centrifugation, or filtration steps are additionally performed to remove them. By the way, the present inventors efficiently remove a large amount of water-insoluble substances by further performing fractionation using an aprotic organic solvent before or after the step of fractionating the neutralized acid hydrolyzate with an alcohol-based solvent and removing the obtained f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removed, and in this case, it was confirmed that an additional process for removing water-insoluble substances from the fractions of the alcohol layer may be omitted. Therefore, in the method for preparing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ractionation is performed using an aprotic organic solvent before or after the step of fractionating the neutralized acid hydrolyzate with an alcohol-based solvent, and the obtained fraction is removed.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oing, whereby the process efficiency can be increased.

구체적으로는, 상기 산 가수분해물에 비양자성 유기용매를 혼합하고 정치시킨 후 층이 분리되면 분별함으로써, 수불용성 물질이 함유된 비양자성 유기용매 층 분획물을 제거할 수 있다.Specifically, after mixing the aprotic organic solvent with the acid hydrolyzate and leaving it to stand, fractions of the aprotic organic solvent layer containing water-insoluble substances can be removed by separating the layers.

또는, 상기 알코올 층의 분획물에 비양자성 유기용매를 혼합하고 정치시킨 후 층이 분리되면 분별함으로써, 수불용성 물질이 함유된 비양자성 유기용매 층 분획물을 제거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raction of the aprotic organic solvent layer containing the water-insoluble material may be removed by mixing the fraction of the alcohol layer with the aprotic organic solvent, leaving it to stand, and then separating the fraction from the alcohol layer.

상기 비양자성 유기용매는 상기 산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알코올 층의 분획물 대비 중량 기준으로 0.1배 이상, 또는 0.1배 내지 30배, 또는 0.5배 내지 30배, 또는 0.5배 내지 25배, 또는 0.7배 내지 20배, 또는 0.7배 내지 10배, 또는 1배 내지 5배, 또는 1배 내지 3배로 포함될 수 있다. 비양자성 유기용매의 양이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산 가수분해물 또는 상기 알코올 층의 분획물 내의 수불용성 물질들이 충분히 분획 및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비양자성 유기용매의 양이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이후 잔류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므로 비경제적일 수 있다.The aprotic organic solvent is 0.1 times or more, or 0.1 times to 30 times, or 0.5 times to 30 times, or 0.5 times to 25 times, or 0.7 times to 20 times based on the weight of the acid hydrolyzate or the fraction of the alcohol layer. times, or 0.7 to 10 times, or 1 to 5 times, or 1 to 3 times. When the amount of the aprotic organic solvent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water-insoluble substances in the acid hydrolyzate or fractions of the alcohol layer may not be sufficiently fractionated and removed. If the amount of the aprotic organic solvent exceeds the upper limit, it may be uneconomical because it takes time and money to remove the residual solvent thereafter.

상기 비양자성 유기용매는 헥산(n-헥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벤젠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헥산(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rotic organic sol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xane (n-hexane), ether, ethyl acetate, m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chloroform, benzene, and mixed solvents thereof, preferably hexane (n-hexane), ethyl acetate, and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chloromethane.

이와 같이 비양자성 유기용매 층이 제거된 산 가수분해물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알코올계 용매를 이용한 분획을 수행함으로써 알코올 층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cid hydrolyzate from which the aprotic organic solvent layer is removed can be fractionated using an alcohol-based solvent to obtain an alcohol layer fraction.

또는, 상기 산 가수분해물로부터 알코올 층의 분획물을 수득한 후, 비양자성 유기용매 층을 제거함으로써 공정 효율적으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Alternatively, after obtaining a fraction of the alcohol layer from the acid hydrolyzate, a fraction enriched with ginsenoside Rh1 may be obtained efficiently by removing the aprotic organic solvent layer.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최종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은 진세노사이드 Rh1을 100 ㎍/㎖ 이상, 또는 100 ㎍/㎖ 내지 1,000 ㎍/㎖, 또는 120 ㎍/㎖ 내지 500 ㎍/㎖, 또는 140 ㎍/㎖ 내지 200 ㎍/㎖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nal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t least 100 μg/ml, or 100 μg/ml to 1,000 μg/ml, or 120 μg/ml to 500 μg/ml, or 140 μg ginsenoside Rh1. /ml to 200 μg/ml.

이와 같이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효능이 우수하므로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 방지용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등의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다.Since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prepared in this way has excellent efficacy in preventing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it can be used in various products such as food compositions, cosmetic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상기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는 입자 지름이 10㎛ 이하인 것으로 외부로부터 세포 내에 유입되어 세포의 성장과 정상적인 대사 과정을 방해할 수 있는 화합물이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ne dust (particulate matter, PM) has a particle diameter of 10 μm or less, and may include any compound that is introduced into cells from the outside and can interfere with cell growth and normal metabolic processes, for example, polycyclic aromatics. May contain hydrocarbon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상기 다환방향족 탄화수소는 세포 내부로 유입되면 AhR과 결합하여 여러 유전자군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CYP1A1, CYP1A2, CYP1B1, COX-2, TNF-α, MMPs 등의 발현이 증가되어 나타날 수 있는바, 상기와 같은 유전자들의 발현량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미세먼지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is introduced into the cell, it can bind to AhR and induce the expression of various gene groups, there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CYP1A1, CYP1A2, CYP1B1, COX-2, TNF-α, MMPs, etc. Ther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ell protective effect of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against fine dust by confirming the change i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above genes.

상기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은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활성 산소종 또는 독성물질에 의해 유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포 성장 억제나 세포사멸이 진행될 수 있고 피부세포에서 이를 구성하는 각종 섬유 단백질의 합성이 저해되고 분해 효소의 발현이 증가될 수 있다.The "cell damage by fine dust" may be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or toxic substances induced by fine dust, and thus cell growth inhibition or cell death may proceed, and various fiber proteins constituting it in skin cells. synthesis may be inhibited and expression of degradative enzymes may be increased.

상기 "세포 손상"은 피부 세포, 호흡기 세포 또는 각막 세포의 손상일 수 있다.The "cell damage" may be damage to skin cells, respiratory cells or corneal cells.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이 가지는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에 미세먼지와 함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처리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 미세먼지에 의해 증가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뚜렷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preventing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of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keratinocytes are treated with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together with fine dust to induce inflammatory cytokine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α,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creased by fine dust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treatment of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또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 방지의 작용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에 미세먼지와 함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처리하여 CYP1A1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미세먼지에 의해 증가된 CYP1A1의 발현이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to prevent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keratinocytes were treated with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together with fine dust to confirm the expression level of CYP1A1,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CYP1A1, which was increased by fine dust, was reduced by treatment with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또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 방지의 작용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에 미세먼지와 함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처리하여 AhR의 단백질 수준을 확인한 결과, 미세먼지에 의해 활성화된 이후 분해됨으로써 감소되었던 AhR의 단백질 수준이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to prevent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keratinocytes were treated with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together with fine dust to confirm the protein level of AhR,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tein level of AhR, which was reduced by decomposition after being activated by fine dust, was restored by treatment with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또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 방지의 작용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에 미세먼지와 함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처리하여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p62, LC3-Ⅱ의 단백질 수준을 확인한 결과, 미세먼지 처리에 의해 활성화되었던 p62, LC3-Ⅱ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for preventing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keratinocytes were treated with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together with fine dust to induce autophagy-related proteins p62, LC3-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rotein level of II,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p62 and LC3-II, which were activated by the fine dust treatment, were reduced.

따라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은 미세먼지의 세포 내 유입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세포의 손상을 방지하고, 미세먼지의 직접적인 작용 기전을 억제할 수 있는 활성을 가짐이 분명하므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 방지를 위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prevents cell damage by suppress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caused by the influx of fine dust into cells and has an activity capable of suppressing the direct mechanism of action of fine dust. The 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can be usefully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세포 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cell damage comprising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의 손상은 예컨대 피부노화, 피부 주름의 증가, 피부 탄력의 손상, 피부 색의 손상, 색소 과형성, 기미, 주근깨, 피부의 건조, 피부 염증,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건선을 포함할 수 있다.Damage to skin cells caused by fine dust is, for example, skin aging, increase in skin wrinkles, damage to skin elasticity, damage to skin color, hyperpigmentation, melasma, freckles, dry skin, skin inflammation, contact dermatitis, atopic dermatitis , or psoriasis.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피부 주름의 증가, 피부 탄력의 손상, 피부 색의 손상, 색소 과형성, 기미, 주근깨, 피부의 건조, 피부 염증,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건선의 개선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is for improving skin aging, increase in skin wrinkles, damage to skin elasticity, damage to skin color, pigment hyperplasia, melasma, freckles, dry skin, skin inflammation, contact dermatitis, atopic dermatitis, or psoriasis can be used for purpose.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a 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and a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상기 "화장품학적 유효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방지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The "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for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effect of preventing skin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 It may be formulated as an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and sp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softening lotion, nourishing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are used as carrier components It can be.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 chlorofluorohydro propellants such as carbon, propane/butane or dimethyl ether.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olution or emulsion, a solvent, solubiliz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 glycol oil, fatty acid esters of glycerol,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may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uspension, as a carrier component,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n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a suspension agent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and the like may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as carrier components,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 taurate, sarcosinate,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aliphatic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과 상기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and the carrier component as an active ingredient, for example,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Customary adjuvants such as flavorings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comprising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 "예방"은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으로 인한 증상 또는 이의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의 발생의 억제를 의미한다.The "prevention" means suppression of symptoms caused by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or symptoms caused by complications thereof.

상기 용어 "치료"는 이미 발생된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또는 이 질환의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의 경감 또는 제거를 의미한다.The term "treatment" means the alleviation or elimination of a disease caused by already generated fine dust or a symptom due to a complication of the disease.

상기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은 피부 염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피부건조증 및 건선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ease caused by the fine dust may be a disea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kin inflammation, atopic dermatitis, contact dermatitis, seborrheic dermatitis, acne, xeroderma and psoriasi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치료학적 유효량(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es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상기 "치료학적 유효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The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for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rapeutic or preventive efficacy of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s one commonly used in formulation, and may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gum,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and the like.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agents are described in detail i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내 주입, 복강내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in the case of parenter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may be used.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A suitabl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varie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patient's age, weight, sex, patholog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excretion rate and reaction sensitivity, usually A skilled practitioner can readily determine and prescribe dosages effective for the desired treatment or prophylaxis.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0.0001~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30 mg/kg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아울러, 투여 기간은 1일 내지 2개월일 수 있으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제한 없이 투여될 수 있다.The daily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0.0001 to 100 mg/kg, preferably 0.001 to 30 mg/kg, which may be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In addition, the administration period may be 1 day to 2 months, but it may be administered without limitation until the effect of preventing or treating a disease appears.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prepared in unit dosage form by formulation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or excipient according to a method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It can be prepared by placing it in a multi-dose container. At this time,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or emulsion in an oil or aqueous medium, or may be in the form of an extract, powder, granule, tablet or capsule, and may additionally contain a dispersing agent or stabilizer.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are only for exempl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제조예 1.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a)의 제조 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a)

1-1. 증삼농축액의 제조1-1. Manufacture of steamed ginseng concentrate

인삼을 수세하고 건조한 후 95℃ 수증기에 3시간 가온 후 방냉시 발생하는 증삼액을 포집하여 농축액 당도가 58 브릭스에 도달할 때까지 52℃에서 감압 농축하여 증삼농축액을 수득하였다. 이때 수득된 증삼농축액의 고형분 함량은 대략 52%였다. After washing and drying the ginseng, it was warmed to 95°C steam for 3 hours, and then the steamed ginseng liquid generated during cooling was collected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52°C until the concentrated liquid sugar content reached 58 Brix to obtain a steamed ginseng concentrate. At this time, the solid content of the obtained steamed ginseng concentrate was approximately 52%.

1-2. 진세노사이드 Rh1의 강화1-2. Enhancement of ginsenoside Rh1

상기 제조예 1-1의 증삼농축액에 아세트산 용액(순도 99.0% 이상, 덕산, 014-00266)을 1%(v/v) 농도로 혼합한 후 80℃ 이상으로 가온하고 21시간 동안 가열하여 산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하였다. 산 가수분해물에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 6.0~6.5로 중화하였다. An acetic acid solution (purity of 99.0% or higher, Deoksan, 014-00266) was mixed with the steamed ginseng concentrate of Preparation Example 1-1 at a concentration of 1% (v/v), heated to 80° C. or higher, and heated for 21 hours to obtain acid hydration. A decomposition reaction was performed. Sodium hydroxide was added to the acid hydrolyzate to neutralize it to pH 6.0-6.5.

중화된 산 가수분해물에 중량 기준으로 1.2배의 수포화 부탄올을 첨가한 후 흔들어 혼합하고 충분하게 분리될 때까지 정치하여 수포화 부탄올 층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실온에서 감압농축한 후 고형분 질량의 약 5배수의 정제수에 용해시킨 후 진세노사이드 Rh1 함량을 측정하였다(표 1 참조). To the neutralized acid hydrolyzate, 1.2 times by weight of saturated butanol was added, shaken and mixed, and allowed to stand until sufficiently separated to obtain a saturated butanol layer fraction. After concentrating under reduced pressure at room temperature, it was dissolved in purified water of about 5 times the solid mass, and the content of ginsenoside Rh1 was measured (see Table 1).

상기 분획물을 70℃로 가온하여 7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원심분리에 의해 침전물을 제거하여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a)를 수득하였다.The fractions were warmed to 70 °C and heated for 72 hours. After cooling to room temperature, the precipitate was removed by centrifugation to obtain a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a).

제조예 2.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b)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2. Preparation of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b)

상기 제조예 1-2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단계에서 산 가수분해 반응시 1%(v/v) 아세트산 용액 대신에 시트르산 분말(덕산, 1287)을 1%(w/v) 농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수득하였으며, 산 가수분해 반응 시간은 18시간 또는 21시간으로 달리하였다. 각각의 분획물을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b) (18h) 및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b) (21h)로 나타냈다.Except for using citric acid powder (Duksan, 1287) at a concentration of 1% (w / v) instead of 1% (v / v) acetic acid solution during acid hydrolysis in the step of strengthening ginsenoside Rh1 of Preparation Example 1-2 and obtained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by the same method, and the acid hydrolysis reaction time was changed to 18 hours or 21 hours. Each fraction was designated as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b) (18h) and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b) (21h).

제조예 3.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c) 내지 (e)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3. Preparation of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s (c) to (e)

상기 제조예 1-1의 증삼농축액에 아세트산 용액(순도 99.0% 이상, 덕산, 014-00266)을 1%(v/v) 농도로 혼합한 후 80℃ 이상으로 가온하고 21시간 동안 가열하여 산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하였다. 산 가수분해물에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 6.0~6.5로 중화하였다. An acetic acid solution (purity of 99.0% or higher, Deoksan, 014-00266) was mixed with the steamed ginseng concentrate of Preparation Example 1-1 at a concentration of 1% (v/v), heated to 80° C. or higher, and heated for 21 hours to obtain acid hydration. A decomposition reaction was performed. Sodium hydroxide was added to the acid hydrolyzate to neutralize it to pH 6.0-6.5.

중화된 산 가수분해물에 중량 기준으로 1.2배의 수포화 부탄올을 혼합한 후 흔들어 혼합하고 충분하게 분리될 때까지 정치하여 수포화 부탄올 층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The neutralized acid hydrolyzate was mixed with 1.2 times the weight of saturated butanol, shaken, and allowed to stand until sufficiently separated to obtain a saturated butanol layer fraction.

상기 수포화 부탄올 층 분획물에 중량 기준으로 1.2배의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클로로메탄을 각각 혼합하고 정치시킨 후 층 분리가 이루어진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층, 헥산 층, 디클로로메탄 층을 각각 분리하여 제거하였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층, 헥산 층, 디클로로메탄 층이 각각 제거된 각각의 분획물을 실온에서 감압농축하여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c) 내지 (e)를 각각 수득하였다.The saturated butanol layer fraction was mixed with ethyl acetate, hexane, and dichloromethane in an amount of 1.2 times by weight, respectively, allowed to stand, and the layers were separated, and then the ethyl acetate layer, the hexane layer, and the dichloromethane layer were separated and removed. Each of the fractions from which the ethyl acetate, hexane, and dichloromethane layers were removed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room temperature to obtain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s (c) to (e), respectively.

제조예 4.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f) 내지 (h)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4. Preparation of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s (f) to (h)

상기 제조예 3에서, 산 가수분해 반응시 1%(v/v) 아세트산 용액 대신에 시트르산 분말(덕산, 1287)을 1%(w/v) 농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f) 내지 (h)를 수득하였다.Ginseno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as in Preparation Example 3, except that citric acid powder (Duksan, 1287) was used at a concentration of 1% (w / v) instead of 1% (v / v) acetic acid solution during the acid hydrolysis reaction. Side Rh1 enriched fractions (f) to (h) were obtained.

실시예 1. 산 가수분해 반응시 전환 진세노사이드의 확인 Example 1. Identification of converted ginsenoside during acid hydrolysis

산 가수분해 반응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전환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조예 1-2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단계에서, 정제수, 아세트산, 시트르산으로 각각 산 가수분해를 수행한 이후에 각 진세노사이드 종류에 따른 함량(㎍/㎖) 및 그 변화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In order to confirm the ginsenoside conversion according to the acid hydrolysis reaction, in the ginsenoside Rh1 enrichment step of Preparation Example 1-2, acid hydrolysis was performed with purified water, acetic acid, and citric acid, respectively, and then each ginsenoside type The content (μg / ml) and its change according to were confirm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실시예 2. 부탄올 층 분획물에서 진세노사이드 Rh1의 강화 효과의 확인Example 2. Identification of the enhancing effect of ginsenoside Rh1 in the butanol layer fraction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해, 상기 제조예 1-1의 증삼농축액 대비 제조예 1-2의 수포화 부탄올 층 분획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h1 함량을 비교하였다. 각각의 진세노사이드의 증가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되었다. The content of ginsenoside Rh1 contained in the hydrosaturated butanol layer fraction of Preparation Example 1-2 was compared with the steamed ginseng concentrate of Preparation Example 1-1 by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The increase rate (%) of each ginsenosid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증가율(%)= 수포화 부탄올 층 분획물 내 진세노사이드 함량/증삼농축액 내 진세노사이드 함량 * 100Increase rate (%) = ginsenoside content in saturated butanol layer fraction / ginsenoside content in steamed ginseng concentrate * 100

Rb1Rb1 Rb2Rb2 RcRc RdRd Rg3sRg3s Rg3rRg3r ReRe RfRf Rg1Rg1 Rg2sRg2s Rh1Rh1 제조예 1-1의 증삼농축액 (mg/g)Steamed ginseng concentrate of Preparation Example 1-1 (mg/g) 19.3319.33 7.557.55 9.669.66 2.362.36 1.131.13 2.122.12 7.197.19 1.311.31 3.373.37 1.301.30 0.330.33 제조예 1-2의 수포화 부탄올 층 분획물 (mg/g)Saturated butanol layer fraction (mg / g) of Preparation Example 1-2 122.92122.92 54.3054.30 69.1969.19 19.3119.31 17.4717.47 9.789.78 38.7538.75 10.4710.47 19.0519.05 13.0413.04 19.1519.15 증가율 (%)Increase (%) 636636 719719 716716 818818 15471547 461461 539539 799799 565565 10031003 58035803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증삼농축액의 산 가수분해물 반응 후 부탄올 분획을 수행하여 수득된 부탄올 층 분획물에서 진세노사이드 Rh1이 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부탄올 분획 전의 증삼농축액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h1 함량과 비교해보면, 대략 58배만큼 진세노사이드 Rh1 함량이 증가되었고, 이와 같은 진세노사이드 Rh1의 증가는 다른 진세노사이드에 비해 특히 높은 증가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From the results in Table 1, it can be confirmed that ginsenoside Rh1 is enhanced in the butanol layer fraction obtained by performing butanol fractionation after acid hydrolyzate reaction of steamed ginseng concentrate. Compared to the ginsenoside Rh1 content contained in the steamed ginseng concentrate before butanol fractionation, the ginsenoside Rh1 content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58 times, and this increase in ginsenoside Rh1 showed a particularly high increase rate compared to other ginsenosides can confirm.

실시예 3. 산 가수분해 시간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종류 및 함량의 변화Example 3. Change in ginsenoside type and content according to acid hydrolysis time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a) 제조시에, 산 가수분해 시간 조건을 0시간, 3시간, 6시간, 18시간 및 24시간으로 달리하면서 분획물을 수득하였고, 이로써 수득된 최종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a) 내에서 주요 진세노사이드 Rg1, Re, Rh1, Rg2s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낸다.In preparing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a), the fractions were obtained while varying the acid hydrolysis time conditions to 0 hour, 3 hours, 6 hours, 18 hours and 24 hours, and the final ginsenoside Rh1 obtained thereby Changes in the content of major ginsenosides Rg1, Re, Rh1, and Rg2s in the enriched fraction (a) were confi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0시간0 hours 3시간3 hours 6시간6 hours 18시간18 hours 21시간21 hours 24시간24 hours Rg1Rg1 494.8494.8 433.9433.9 254.4254.4 52.352.3 54.154.1 60.360.3 ReRe 1152.91152.9 918.9918.9 710.8710.8 225.5225.5 171.3171.3 108.5108.5 Rh1Rh1 141.9141.9 185.6185.6 245.6245.6 300.5300.5 328.9328.9 275.8275.8 Rg2sRg2s 480.8480.8 597.6597.6 635.4635.4 737.4737.4 711.3711.3 753.4753.4 (Rg1+Re)/Rh1(Rg1+Re)/Rh1 11.6111.61 7.297.29 3.933.93 0.920.92 0.680.68 0.6110.611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산 가수분해 반응은 대략 18시간 내지 24시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21시간으로 수행한 경우에, 가장 우수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From the results of Table 2, when the acid hydrolysis reaction is performed in the range of about 18 hours to 24 hour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insenoside Rh1 enhancing effect is excellent, and in particular, when carried out for 21 hours, the most excellent ginseng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enoside Rh1 exhibits an enhancing effect.

실시예 4. 산 종류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효과의 차이Example 4. Differences in ginsenoside Rh1 enhancing effect depending on the type of acid

본 발명에서 산 가수분해 반응시 처리하는 산 종류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h1의 강화 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조예 1에서 1%(v/v) 아세트산 대신에 1%(v/v) 홍삼초(출원번호 10-2017-0061190에 개시된 "홍삼초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홍삼 미분을 누룩균으로 당 가수분해 후 정제수를 투입하고, 초산균으로 2차 발효한 후 제균하여 사용함), 1%(v/v) 염산(ACROS ORGANICS, 12420001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인삼 추출물의 분획물 (a) 및 (b)를 제조하였다. 산 가수분해 시간은 18시간 및 21시간으로 달리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strengthening effect of ginsenoside Rh1 according to the type of acid treated during the acid hydrolysis reaction, 1% (v / v) instead of 1% (v / v) acetic acid in Preparation Example 1 Red ginseng vinega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red ginseng vinegar" disclosed in Application No. 10-2017-0061190, specifically, red ginseng fine powder is hydrolyzed with Nuruk bacteria, purified water is added, secondary fermentation with acetic acid bacteria is used, and then bacteria are removed. ) and 1% (v/v) hydrochloric acid (ACROS ORGANICS, 124200010), but the ginseng extract fractions (a) and (b)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The acid hydrolysis time was varied between 18 hours and 21 hours.

상기 제조예 1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a), 제조예 2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b), 인삼 추출물의 분획물 (a) 및 (b)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h1의 함량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The content of ginsenoside Rh1 contained in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a) of Preparation Example 1,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b) of Preparation Example 2, and the ginseng extract fractions (a) and (b) It was confirm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2.

도 2의 결과로부터, 유기산인 아세트산 또는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각각 수득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a) 또는 (b)의 경우, 진세노사이드 Rh1이 매우 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rom the results of FIG. 2 , it can be seen that ginsenoside Rh1 is highly enriched in the case of ginsenoside Rh1-enriched fractions (a) or (b) obtained using organic acids such as acetic acid or citric acid, respectively.

반면, 홍삼초를 이용하여 수득된 인삼 추출물의 분획물 (a)의 경우 가수분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적정 수준의 Rh1이 생성되지 않았고, 염산을 이용하여 수득된 인삼 추출물의 분획물 (b)의 경우 가수분해가 과도하게 진행되어 Rh1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raction (a) of the ginseng extract obtained using red ginseng vinegar, hydrolysis was not effectively performed and thus an appropriate level of Rh1 was not produced, and in the case of fraction (b) of the ginseng extract obtained using hydrochloric acid, hydrolysis Decomposition proceeded excessively, and it was confirmed that Rh1 was small.

실시예 5. 수불용성 물질 제거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h1의 강화 효과Example 5. Strengthening effect of ginsenoside Rh1 according to the removal of water-insoluble substances

본 발명에서 부탄올 층 분획물에 대해 비양자성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 및 제거한 후 진세노사이드 Rh1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조예 1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a), 제조예 2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b), 제조예 3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c) 내지 (e), 및 제조예 4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f) 내지 (h)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h1의 함량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ffect of enhancing ginsenoside Rh1 after fractionation and removal using an aprotic solvent for the butanol layer fraction, the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a) of 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Example 2 Contained in the ginsenoside Rh1-enriched fraction (b), the ginsenoside Rh1-enriched fractions (c) to (e) of Preparation Example 3, and the ginsenoside Rh1-enriched fractions (f) to (h) of Preparation Example 4 The content of ginsenoside Rh1 was confirm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

도 3으로부터, 아세트산 또는 시트르산 가수분해물을 각각 부탄올 분획하여 수득된 부탄올 층 분획물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클로로메탄 분획을 통해 불수용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득된 각각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c) 내지 (e), 또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f) 내지 (h)의 경우 대조군(증삼농축액) 대비 진세노사이드 Rh1 함량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헥산, 디클로로메탄 분획을 통해 불수용성 물질을 제거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d), (e), (g), (h)의 경우 Rh1 함량이 크게 증가되었고, 이는 진세노사이드 강화 분획물 (a) 또는 (b)에 비해서도 더욱 증가된 것이다. From FIG. 3, each of the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s obtained by removing water-insoluble substances through ethyl acetate, hexane, and dichloromethane fractions with respect to the butanol layer fraction obtained by butanol fractionation of acetic acid or citric acid hydrolyzate, respectively (c ) to (e), or in the case of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s (f) to (h),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tent of ginsenoside Rh1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teamed ginseng concentrat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insenoside Rh1-enriched fractions (d), (e), (g), and (h) in which water-insoluble substances were removed through hexane and dichloromethane fractions, the Rh1 content was greatly increased, which was It is further increased compared to (a) or (b).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추가적인 분획 공정을 통해 수불용성 물질 함유 분획물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수불용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부탄올 층 분획물의 농축 단계 이후에 수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가열 및 침전물 제거 등의 추가적인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점에서 공정의 효율성이 증대된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insoluble material can be easily removed by removing the water-insoluble material-containing fraction through such an additional fractionation process, heating and precipitate removal are performed to remove the water-insoluble material after the concentration step of the butanol layer fraction.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is increased in that no additional process needs to be performed.

실험예 1.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에 의한 염증 인자의 발현 감소 효과 Experimental Example 1. Effect of reducing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factors by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세포의 손상 인자의 발현이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에 의해 억제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미세먼지와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처리 전후에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To confirm that the expression of skin cell damage factors induced by fine dust is inhibited by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inflammatory cytokine TNF-α was observ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fine dust and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did

구체적으로, HaCaT 세포를 3.5×105 세포/웰 밀도로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이후, FBS 2%가 함유된 DMEM 배지에 1.25, 2.5, 5 ㎍/㎖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과, 미세먼지로서 ERM-CZ100(조인트 리서치 센터) 50 ㎍/㎖을 함께 희석하여 18시간 처리하였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로는 제조예 1의 Rh1 강화 분획물에 정제수 및 1,2-헥산다이올을 첨가하여 진세노사이드 Rh1 함량이 0.20%가 되도록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은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대신 α-나프토플라본(α-Naphthoflavone, α-NF)을 미세먼지와 함께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를 회수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그 다음, RNA 정량 후 preRNA, oligo dT, DEPC DW를 합한 뒤 65℃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얼음에 5분간 시료를 옮겨 놓은 뒤 42℃에서 1시간, 70℃에서 10분간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PCR 프리믹스 및 하기 표 3의 TNF-α에 대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였다. 그 후, 2% 아가로오즈 겔에 러닝하여 TNF-α의 mRNA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Specifically, HaCaT cells were seeded in a 6-well plate at a density of 3.5×10 5 cells/well and cultured for 24 hours. Thereafter, 1.25, 2.5, and 5 μg/ml of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and 50 μg/ml of ERM-CZ100 (Joint Research Center) were diluted together in DMEM medium containing 2% FBS and treated for 18 hours did As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one prepared by adding purified water and 1,2-hexanediol to the Rh1-enhanced fraction of Preparation Example 1 so that the ginsenoside Rh1 content was 0.20% was used. At this time, the positive control group was treated by diluting α-naphthoflavone (α-NF) with fine dust instead of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Cells were then recovered and RNA was isolated. Then, after RNA quantification, preRNA, oligo dT, and DEPC DW were combined, reacted at 65 ° C for 5 minutes, moved the sample to ice for 5 minutes, and reacted at 42 ° C for 1 hour and 70 ° C for 10 minutes to synthesize cDNA. PCR was performed using the PCR premix and the primers for TNF-α in Table 3 below. Then, the expression level of TNF-α was compared by running on a 2% agarose gel,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4 .

유전자gene 프라이머primer 서열 (5'->3')Sequence (5'->3') 서열번호sequence number TNF-αTNF-α ForwardForward CACAGTGAAGTGCTGGCAACCACAGTGAAGTGCTGGCAAC 1One ReverseReverse ACATTGGGTCCCCCAGGATAACATTGGGTCCCCCAGGATA 22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질형성세포 HaCaT에 50 ㎍/㎖의 미세먼지를 처리하였을 때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mRNA 발현이 증가되었고,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2.5 ㎍/㎖, 5 ㎍/㎖ 처리시 미세먼지 단독 처리군 대비 각각 60.2%, 19.8% 정도 감소 효능이 나타났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인 α-NF에 의한 감소 효능(약 7.2%)보다 높은 수준이다. 특히,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처리한 모든 군에서 양성 대조군 대비 우수한 TNF-α 발현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keratinocyte HaCaT was treated with 50 μg/ml of fine dust, the mRNA expression of TNF-α, an inflammatory cytokine, was increased, and the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2.5 μg/ml, 5 μg / ㎖ treatment, 60.2% and 19.8%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fine dust alone treatment group, and this is higher than the reduction efficacy (about 7.2%) by α-NF, which is a positiv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in all groups treated with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an excellent TNF-α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was shown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이로부터, 미세먼지에 의해 피부 염증 반응이 증가하고,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은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skin inflammatory response is increased by fine dust, and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 thereby preventing skin damage caused by fine dust. .

실험예 2.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에 의한 CYP1A1의 발현 감소 효과Experimental Example 2. Effect of reducing CYP1A1 expression by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AhR은 세포 내 사이토졸에 존재하며 리간드와 결합시 활성화되어 핵 내로 이동하고 ARNT와 복합체를 형성한 후 이종 반응 요소(xenobiotic responsive element, XRE)에 결합하여 CYP1A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hR 리간드로 알려져 있는 미세먼지 내에 함유된 PAHs의 자극을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이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CYP1A1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It is known that AhR exists in the intracellular cytosol, is activated upon binding to a ligand, moves into the nucleus, forms a complex with ARNT, and then binds to a xenobiotic responsive element (XRE) to increase CYP1A1 expression. To confirm that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suppresses the stimulation of PAHs contained in fine dust, known as AhR ligands, the expression level of CYP1A1 was observed.

구체적으로, HaCaT 세포를 3.5×105 세포/웰 밀도로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FBS 2%가 함유된 DMEM 배지에 1.25, 2.5, 5 ㎍/㎖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과 ERM-CZ100(조인트 리서치 센터) 50 ㎍/㎖을 함께 희석하여 18시간 처리한 후, 세포를 회수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그 다음, RNA 정량 후 preRNA, oligo dT, DEPC DW를 합한 뒤 65℃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얼음에 5분간 시료를 옮겨 놓은 뒤 42℃에서 1시간, 70℃에서 10분간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PCR 프리믹스 및 하기 표 4의 CYP1A1에 대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진행하였다. 그 후, 2% 아가로오즈 겔에 러닝하여 CYP1A1의 mRNA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Specifically, HaCaT cells were seeded in a 6-well plate at a density of 3.5×10 5 cells/well and cultured for 24 hours. Thereafter, 1.25, 2.5, and 5 μg/ml of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and 50 μg/ml of ERM-CZ100 (Joint Research Center) were diluted together in DMEM medium containing 2% FBS, treated for 18 hours, and the cells was recovered and RNA was isolated. Then, after RNA quantification, preRNA, oligo dT, and DEPC DW were combined, reacted at 65 ° C for 5 minutes, moved the sample to ice for 5 minutes, and reacted at 42 ° C for 1 hour and 70 ° C for 10 minutes to synthesize cDNA. PCR was performed using the PCR premix and the primers for CYP1A1 in Table 4 below. Then,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CYP1A1 was compared by running on a 2% agarose gel,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 .

유전자gene 프라이머primer 서열 (5'->3')Sequence (5'->3') 서열번호sequence number CYP1A1CYP1A1 ForwardForward TCTTTCTCTTCCTGGCTATCTCTTTCTCTTCCTGGCTATC 33 ReverseReverse CTGTCTCTTCCCTTCACTCTCTGTCTCTTCCCTTCACTCT 44 β-actinβ-actin ForwardForward GGCATCGTGATGGACTCCGGGCATCGTGATGGACTCCG 55 ReverseReverse GCTGGAAGGTGGACAGCGAGCTGGAAGGTGGACAGCGA 66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HaCaT 세포에 50 ㎍/㎖의 미세먼지를 처리하였을 때 증가된 CYP1A1 발현이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5 ㎍/㎖ 처리시 미세먼지 단독 처리군 대비 약 12.3% 감소 효능이 나타났다.As shown in FIG. 5,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d CYP1A1 expression when HaCaT cells were treated with 50 μg/ml of fine dust was reduced by treatment with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Specifically, when treated with 5 μg/ml of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an effect of reducing about 12.3% was shown compared to the fine dust alone treatment group.

실험예 3. AhR 단백질 수준Experimental Example 3. AhR protein level

AhR은 세포 내 사이토졸에 존재하며 리간드와 결합시 활성화되어 핵 내로 이동하고 ARNT와 복합체를 형성한 후 이종 반응 요소(XRE)에 결합하여 CYP1A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후 이 활성화된 AhR은 세포 핵에서 제거되고 28S 프로테오좀에 의해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와 결합하여 반응 후 분해되는 AhR의 단백질 수준이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회복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AhR의 발현 수준을 관찰하였다.AhR exists in the intracellular cytosol, is activated upon binding to ligand, moves into the nucleus, forms a complex with ARNT, and then binds to a heterologous response element (XRE) to increase the expression of CYP1A1. is known to be removed from the cell nucleus and degraded by the 28S proteosome. Therefore, the expression level of AhR was observed to confirm whether the protein level of AhR, which is degraded after reaction with fine dust, is recovered by treatment with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구체적으로, HaCaT 세포를 2.5×105 세포/웰 밀도로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DPBS로 세척한 다음 FBS 2%가 함유된 DMEM 배지에 1.25, 2.5, 5 ㎍/㎖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6시간 전처리하였다. 그리고 배지를 제거한 후 FBS 2%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상기 각 농도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확물과 ERM-CZ100(조인트 리서치 센터) 50 ㎍/㎖을 함께 희석하여 24시간 처리하였다. DPBS로 세척 후 방사성 면역침전 분석(RIPA) 완충액을 처리하여 세포를 모으고 원심분리하였다. 그 다음 웨스턴 블롯용 전기영동 겔을 200V 40분간 로딩하고 트랜스퍼를 통해 PVDF 멤브레인으로 옮긴 다음 AhR 항체를 노출시켜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Specifically, HaCaT cells were seeded in a 6-well plate at a density of 2.5×10 5 cells/well and cultured for 24 hours. Thereafter, the medium was removed, washed with DPBS, and pretreated with 1.25, 2.5, and 5 μg/ml of the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in DMEM medium containing 2% FBS for 6 hours. After removing the medium,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of each concentration and 50 μg/ml of ERM-CZ100 (Joint Research Center) were diluted together in DMEM medium containing 2% FBS, and treated for 24 hours. After washing with DPBS, cells were collected and centrifuged by treatment with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RIPA) buffer. Then, the electrophoresis gel for Western blotting was loaded at 200 V for 40 minutes, transferred to a PVDF membrane through transfer, and protein expression was confirmed by exposure to AhR antibody,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6 .

도 6에서와 같이, 미세먼지 단독 처리군의 경우에는, AhR 활성화 이후 단백질 분해에 의해 그 수준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Rh1 강화 분획물을 함께 처리한 경우에는 AhR 단백질 분해가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5 ㎍/㎖ 처리시 미세먼지 단독 처리군 대비 약 230.4% 증가 효능이 나타났다.As shown in FIG. 6, in the case of the fine dust alone treatment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was reduced by proteolysis after AhR activation. In addition, when the Rh1-enhanced fraction was treated together, it was confirmed that AhR protein degradation was inhibited. Specifically, when treated with 5 μg/ml of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the efficacy increased by about 230.4% compared to the fine dust alone treatment group.

따라서, 실험예 2 및 3의 결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은 미세먼지의 작용 기전을 직접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Therefore,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s 2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prevents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by directly inhibiting the action mechanism of fine dust.

실험예 4. 자가포식 활성 억제 효능Experimental Example 4. Autophagy activity inhibitory effect

미세먼지는 피부 각질세포에서 AhR 활성화를 통해 P62, LC3-Ⅱ를 활성화하여 세포 내 자가포식 과정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Rh1 강화 분획물이 미세먼지로 인해 활성화되는 자가포식 작용을 억제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P62, LC3-Ⅱ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Fine dust is known to activate the intracellular autophagy process by activating P62 and LC3-II through AhR activation in skin keratinocytes. Therefore, in this experiment, the expression levels of P62 and LC3-II were observed to confirm whether the Rh1-enhanced fraction inhibits autophagy activated by fine dust.

구체적으로, HaCaT 세포를 2.5×105 세포/웰 밀도로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DPBS로 세척한 다음 FBS 2%가 함유된 DMEM 배지에 1.25, 2.5, 5 ㎍/㎖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6시간 전처리하였다. 그리고 배지를 제거한 후 FBS 2%가 함유된 DMEM 배지에 각 농도의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과 ERM-CZ100(조인트 리서치 센터) 50 ㎍/㎖을 함께 희석하여 24시간 처리하였다. DPBS로 세척 후 방사성 면역침전 분석(RIPA) 완충액을 처리하여 세포를 모으고 원심분리하였다. 그 다음 웨스턴 블롯용 전기영동 겔을 200V 40분간 로딩하고 트랜스퍼를 통해 PVDF 멤브레인으로 옮긴 다음 p62 및 LC3-Ⅱ 항체를 노출시켜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Specifically, HaCaT cells were seeded in a 6-well plate at a density of 2.5×10 5 cells/well and cultured for 24 hours. Thereafter, the medium was removed, washed with DPBS, and pretreated with 1.25, 2.5, and 5 μg/ml of the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in DMEM medium containing 2% FBS for 6 hours. After removing the medium, each concentration of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and 50 μg/ml of ERM-CZ100 (Joint Research Center) were diluted together in DMEM medium containing 2% FBS and treated for 24 hours. After washing with DPBS, cells were collected and centrifuged by treatment with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RIPA) buffer. Then, the electrophoresis gel for Western blotting was loaded at 200 V for 40 minutes, transferred to a PVDF membrane through transfer, and protein expression was confirmed by exposing p62 and LC3-II antibodi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7 .

도 7의 결과로부터, 미세먼지에 의해 피부 각질세포에서 자가포식 연관 단백질인 P62, LC3-Ⅱ의 수준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에 의해 이와 같은 자가포식 연관 단백질의 수준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 5 ㎍/㎖ 처리시 미세먼지 단독 처리군 대비 각각 약 36.1%, 33.1% 감소 효능이 나타났으며, 이는 α-NF에 의한 감소 효능(각각 약 24.1%, 32.5%)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From the results of FIG. 7,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s of autophagy-related proteins P62 and LC3-II were increased in skin keratinocytes by fine dus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evel of such autophagy-related proteins is reduced by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Specifically, when treated with 5 μg/ml of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reduction efficiencies of about 36.1% and 33.1%, respectively, were shown compared to the group treated with fine dust alone, which was reduced by α-NF (about 24.1% and 32.5%, respectively). %) is higher.

<110> KOREA GINSENG CORP. <120>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130> 2021-DPA-4067 <160> 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Forward primer <400> 1 cacagtgaag tgctggcaac 20 <210> 2 <211> 20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Reverse primer <400> 2 acattgggtc ccccaggata 20 <210> 3 <211> 20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P1A1 Forward primer <400> 3 tctttctctt cctggctatc 20 <210> 4 <211> 20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P1A1 Reverse primer <400> 4 ctgtctcttc ccttcactct 20 <210> 5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eta-actin Forward primer <400> 5 ggcatcgtga tggactccg 19 <210> 6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eta-actin Reverse primer <400> 6 gctggaaggt ggacagcga 19 <110> KOREA GINSENG CORP. <120>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130> 2021-DPA-4067 <160> 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Forward primer <400> 1 cacagtgaag tgctggcaac 20 <210> 2 <211> 20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lpha Reverse primer <400> 2 acattgggtc ccccaggata 20 <210> 3 <211> 20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P1A1 Forward primer <400> 3 tctttctctt cctggctatc 20 <210> 4 <211> 20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P1A1 reverse primer <400> 4 ctgtctcttc ccttcactct 20 <210> 5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eta-actin Forward primer <400> 5 ggcatcgtga tggactccg 19 <210> 6 <211> 19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eta-actin Reverse primer <400> 6 gctggaaggt ggacagcga 19

Claims (8)

인삼 추출물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산 가수분해 반응 후 알코올계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하는 것, 및
상기 분획에 의해 수득된 알코올 층을 회수하여 농축하는 것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
Adding an organic acid to the ginseng extract and fractionating it using an alcohol-based solvent after an acid hydrolysis reac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comprising recovering and concentrating the alcohol layer obtained by the fraction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 가수분해 반응은 18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되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cid hydrolysis reaction is carried out for 18 hours to 24 hours, a method for producing a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계 용매는 부탄올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lcohol-based solvent is a method for producing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comprising butano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젖산, 아세트산, 포름산, 시트르산, 옥살산, 아스코르브산, 요산, 부티르산, 스테아르산 및 프로피온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or producing a ginsenoside Rh1 enriched fraction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ic acid, acetic acid, formic acid, citric acid, oxalic acid, ascorbic acid, uric acid, butyric acid, stearic acid and propionic aci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획에 의해 수득된 알코올 층에 비양자성 유기용매를 가하여 분획을 수행하고 이로써 수득된 비양자성 유기용매 층을 제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method for preparing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fractionation by adding an aprotic organic solvent to the alcohol layer obtained by the fractionation, and removing the aprotic organic solvent layer thus obtain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비양자성 유기용매는 헥산(n-헥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벤젠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aprotic organic solvent is hexane (n-hexane), ether, ethyl acetate, m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chloroform, benzene, and mixed solvents of ginsenoside Rh1-enriched fraction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ufacturing method.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손상 방지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cell damage caused by fine dust, comprising a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prepar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6 as an active ingredient.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Rh1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comprising the ginsenoside Rh1-enhanced fraction prepar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6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0210076494A 2021-06-14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KR1026662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494A KR102666211B1 (en) 2021-06-14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494A KR102666211B1 (en) 2021-06-14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3668A Division KR20240073825A (en) 2024-04-22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477A true KR20220167477A (en) 2022-12-21
KR102666211B1 KR102666211B1 (en) 2024-05-16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910B1 (en) 2011-06-07 2016-03-15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Methods for Enrichment of Ginsenosi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910B1 (en) 2011-06-07 2016-03-15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Methods for Enrichment of Ginsenosid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4166A (en) A method of preparing ginseng extract comprising minor saponin in high concentration
KR101367423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162298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fermented steam-dried ginseng berry
KR101625474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ass-production of ginsenoside Rh4
KR101771788B1 (en) Herb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scutellariae radix and gastrodiae rhizoma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nerologic disease
Lee et al. Inhibitory effect agains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anax ginseng CA Meyer extracts
KR101794006B1 (en) Anti inflammatory comprising plant extract
KR10220131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Ginseng and Ginseng Berry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
KR20190064714A (en) Anti-inflammatory agent containing backhousia citriodora extract
KR102666211B1 (en)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WO2022215441A1 (en) Novel polyphenol compound
KR20220167477A (en)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US20220354918A1 (en) Anti-obesity composition including geumhwagyu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190059860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uritus Comprising Natural Extracts
KR102585880B1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beneficial bacteria
JP2017518335A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a foliaged soybean leaf
KR20160069919A (en) Anti-inflammatory agent containing allilum hookeri extract
KR20240073825A (en) Method For Preparing Ginsenoside Rh1 Enhanced Fractions With Skin Protective Effect From Particulate Matters
KR10220491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Fraction of Ginseng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s
KR20100116919A (en)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 from codonopsis lanceolata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hyperlipidemia or fatty liver
KR102364062B1 (en)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ntaining active mountain-cultivated ginse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50097698A (en) A method for producing oleanolic acid and ursolic acid from persimmon peel
KR102486633B1 (en) Lipid accumulation inhibitory or anti-obesity composition comprising ergosterol peroxide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547208B1 (en) A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Immunity Comprising Column-purified Fraction Of Ginseng Extract
KR102070854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muscular damage comprising Vigna angularis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