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451A - 무정전 교체 단자대 - Google Patents
무정전 교체 단자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7451A KR20220167451A KR1020210076413A KR20210076413A KR20220167451A KR 20220167451 A KR20220167451 A KR 20220167451A KR 1020210076413 A KR1020210076413 A KR 1020210076413A KR 20210076413 A KR20210076413 A KR 20210076413A KR 20220167451 A KR20220167451 A KR 202201674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block
- voltage
- fixing member
- current
- wi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5—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mechanical asp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8—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ing faul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량계에 체결되는 전압용 단자대(200),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의 후방에 체결되는 전류용 단자대(300) 및 하부에 다수 구비된 CT 단락용 연결핀(410)에 의해 상기 전류용 단자대(300)의 상부에 체결되는 바이패스 핸들(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는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의 전방 중앙에 다수 구비되되, 전면에 상기 전력량계에 체결되는 제1 단자(211)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 제1 나사홀(214)이 함몰 형성된 전압용 고정부재(210), 상기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타측에 구비되되, 후방에 연결대(221)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221)의 전방에 제2 단자(222)가 다수 돌출 형성된 일체형 고정부재(220) 및 상기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나사홀(214)에 체결되는 제1 고정나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력량계 및 무정전 교체 단자대를 무정전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전압용 단자대, 전류용 단자대 및 바이패스 핸들을 각각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구조가 적용된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무정전 교체 단자대는 전력량계의 고장 또는 파손 시, 상기 전력량계를 무정전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3상 4선식이 주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는 계기용 변압변류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상기 게기용 변압변류기를 통해 소비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에서는 전력량계의 고장 또는 파손 시, CT 단락용 연결핀을 이용하여 무정전으로 전력량계를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에서는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의 고장 또는 파손 시,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를 무정전으로 교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에서는 다수의 고정나사(12, 13)에 의해 본체의 변성기로부터 인입되는 전선, 전력량계 접속용 봉 단자(11), CT 단락용 연결핀 커넥터(14) 및 전압 점검핀 커넥터(15)가 고정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에 전선, 전력량계 접속용 봉 단자(11), CT 단락용 연결핀 커넥터(14), 전압 점검핀 커넥터(15) 등을 체결 시, 다수의 접속점으로 인해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에 대한 조립성 및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조립 또는 체결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에서는 상기 CT 단락용 연결핀 커넥터(14) 및 전압 점검핀 커넥터(15)가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에 CT 단락용 연결핀 또는 전압 점검핀을 연결 또는 해체 시, 상기 CT 단락용 연결핀 커넥터(14) 및 전압 점검핀 커넥터(15)가 파손될 위험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에서는 외부 통신모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내장된 1구 콘센트의 크기가 커서,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량계 및 무정전 교체 단자대를 무정전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전압용 단자대, 전류용 단자대 및 바이패스 핸들을 각각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구조가 적용된 무정전 교체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 별도로 연결되는 CT 단락용 연결핀 커넥터 및 전압 점검핀 커넥터가 제거되어, CT 단락용 연결핀 및 전압 점검핀을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 안전하게 각각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무정전 교체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대의 전방에 제2 단자가 다수 돌출 형성된 일체형 고정부재가 적용되어, 종래의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 비해 접속점의 개수가 현저히 감소된 무정전 교체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한 크기의 콘센트가 적용되어, 종래의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 적용된 콘센트에 비해 두께 및 크기가 현저히 감소된 무정전 교체 단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는 전력량계에 체결되는 전압용 단자대(200),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의 후방에 체결되는 전류용 단자대(300) 및 하부에 다수 구비된 CT 단락용 연결핀(410)에 의해 상기 전류용 단자대(300)의 상부에 체결되는 바이패스 핸들(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는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의 전방 중앙에 다수 구비되되, 전면에 상기 전력량계에 체결되는 제1 단자(211)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 제1 나사홀(214)이 함몰 형성된 전압용 고정부재(210), 상기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타측에 구비되되, 후방에 연결대(221)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221)의 전방에 제2 단자(222)가 다수 돌출 형성된 일체형 고정부재(220) 및 상기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나사홀(214)에 체결되는 제1 고정나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는 후면에 제1 관통홀(201)이 다수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전류용 단자대(300)는 상기 전류용 단자대(300)의 전방 중앙에 다수 구비되되, 전면에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의 제1 관통홀(201)에 관통 삽입되는 제3 단자(311)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 제2 나사홀(314)이 함몰 형성된 전류용 고정부재(310), 상기 전류용 고정부재(310)의 우측에 구비되되, 후면에 전선(510)이 관통 삽입되는 제3 전선 삽입홀(321)이 관통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 제3 나사홀(323)이 함몰 형성된 중성선 고정부재(320) 및 상기 제2 나사홀(314) 또는 제3 나사홀(323)에 체결되어, 상기 제2 나사홀(314) 또는 제3 나사홀(323)에 삽입된 전선(5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나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압용 고정부재(210)는 상면 일측에 전압 점검핀(500)이 삽입되는 전압 점검핀 삽입홀(213)이 함몰 형성되고, 후면에 제1 전선 삽입홀(212)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전류용 단자대(300)는 후면에 전선(510)이 삽입되는 제2 관통홀(301)이 다수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류용 고정부재(310)는 후면에 전선(510)이 삽입되는 제2 전선 삽입홀(312)이 함몰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CT 단락용 연결핀(410)이 삽입되는 제1 단락용 연결핀 삽입홀(313)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중성선 고정부재(320)는 상면 일측에 CT 단락용 연결핀(410)이 삽입되는 제2 단락용 연결핀 삽입홀(322)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나사(230)는 상기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나사홀(214)에 체결되어, 상기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전선 삽입홀(212)에 삽입된 전선(510)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단자(311)의 길이는 상기 제1 관통홀(201) 및 제1 단자(211)의 길이를 합산한 값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단자(311)는 외주면의 하부에 절연을 위해 상기 제 3단자(311)를 둘러싸도록 절연체(3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서는 전력량계 및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를 무정전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전압용 단자대, 전류용 단자대 및 바이패스 핸들을 각각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구조가 적용되어, 상기 전압용 단자대 또는 전류용 단자대 중에서 어느 하나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상기 전압용 단자대 또는 전류용 단자대를 별도로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서는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 별도로 연결되는 CT 단락용 연결핀 커넥터 및 전압 점검핀 커넥터가 제거되어, CT 단락용 연결핀 및 전압 점검핀을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 안전하게 각각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서는 고정 나사가 체결되는 접속점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연결대 및 다수의 제2 단자(3L, 2L, 1L)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일체형 고정부재가 적용되어, 상기 일체형 고정부재에 대한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서는 콤팩트한 크기의 콘센트가 적용되어, 종래의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 적용된 콘센트에 비해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의 두께 및 크기가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정전 교체 단자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전압용 단자대로부터 전류용 단자대 및 바이패스 핸들이 분리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3은 전압용 단자대에 전류용 단자대가 체결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전압용 단자대로부터 전류용 단자대가 분리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전압용 고정부재, 일체형 고정부재 및 제1 고정나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전류용 고정부재, 중성선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나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바이패스 핸들을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전압용 단자대로부터 전류용 단자대 및 바이패스 핸들이 분리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3은 전압용 단자대에 전류용 단자대가 체결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전압용 단자대로부터 전류용 단자대가 분리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전압용 고정부재, 일체형 고정부재 및 제1 고정나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전류용 고정부재, 중성선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나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바이패스 핸들을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전압용 단자대(200)로부터 전류용 단자대(300) 및 바이패스 핸들(400)이 분리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3은 전압용 단자대(200)에 전류용 단자대(300)가 체결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전압용 단자대(200)로부터 전류용 단자대(300)가 분리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전압용 고정부재(210), 일체형 고정부재(220) 및 제1 고정나사(23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전류용 고정부재(310), 중성선 고정부재(320) 및 제2 고정나사(33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바이패스 핸들(400)을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는 전압용 단자대(200), 전류용 단자대(300) 및 바이패스 핸들(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전압용 단자대(200)는 전력량계에 체결되고, 전류용 단자대(300)는 전압용 단자대(200)의 후방에 체결된다. 도 2,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바이패스 핸들(400)은 바이패스 핸들(400)의 하부에 다수 구비된 CT 단락용 연결핀(410)에 의해 전류용 단자대(300)의 상부에 체결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압용 단자대(200)는 전압용 고정부재(210), 일체형 고정부재(220), 제1 고정나사(230)및 콘센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전압용 고정부재(210)는 전압용 단자대(200)의 전방 중앙에 다수 구비된다. 그리고, 전압용 단자대(200)의 전면에는 전력량계에 체결되는 제1 단자(211)(P1, P2, P3, P0)가 돌출 형성되고, 전압용 단자대(200)의 상면 타측에는 제1 나사홀(214)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제1 단자(21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환봉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체형 고정부재(220)는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타측에 구비된다. 일체형 고정부재(220)의 후방에는 연결대(221)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연결대(221)의 전방에는 제2 단자(222)(3L, 2L, 1L)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돌출 형성된다. 이때, 일체형 고정부재(220)의 연결대(221)의 일측은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전선 삽입홀(212)을 통해 최우측에 배치된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하부에 체결된다.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전선 삽입홀(212)에 대해서는 추후에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일체형 고정부재(220)에서는 연결대(221) 및 다수의 제2 단자(222)(3L, 2L, 1L)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일체형 고정부재(220)에 대한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나사(230)는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나사홀(214)에 체결된다. 이때, 제1 고정나사(230)는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전선 삽입홀(212)에 삽입된 전선(5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전선 삽입홀(212) 및 상기 제1 전선 삽입홀(212)에 삽입된 전선(510)에 대해서는 추후에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콘센트(240)는 전압용 단자대(200)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에서는 콤팩트한 크기의 콘센트(240)가 적용되어, 종래의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에 적용된 콘센트(240)에 비해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의 두께 및 크기가 현저히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압용 단자대(200)의 후면에는 제1 관통홀(201)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관통 형성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류용 단자대(300)는 전류용 고정부재(310), 중성선 고정부재(320) 및 제2 고정나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전류용 고정부재(310)는 전류용 단자대(300)의 전방 중앙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구비된다. 그리고, 전류용 고정부재(310)의 전면에는 전압용 단자대(200)의 제1 관통홀(201)에 관통 삽입되는 제3 단자(311)(1S, 2S, 3S)가 돌출 형성되고, 전류용 고정부재(310)의 상면 타측에는 제2 나사홀(314)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제3 단자(311)(1S, 2S, 3S)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환봉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단자(311)(1S, 2S, 3S)는 전압용 단자대(200)의 제1 관통홀(201)을 관통한 후, 전력량계 측으로 돌출되고, 제3 단자(311)(1S, 2S, 3S) 및 제1 단자(211)(P1, P2, P3, P0)의 말단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3 단자(311)(1S, 2S, 3S)의 길이는 제1 관통홀(201) 및 제1 단자(211)(P1, P2, P3, P0)의 길이를 합산한 값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3 단자(311)(1S, 2S, 3S)의 외주면의 하부에는 절연을 위해 상기 제3 단자(311)(1S, 2S, 3S)를 둘러싸도록 절연체(315)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체(315)는 제 3단자(1S, 2S, 3S)에 대한 아크 또는 쇼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중성선 고정부재(320)는 전류용 고정부재(310)의 우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중성선 고정부재(320)의 후면에는 전선(510)이 관통 삽입되는 제3 전선 삽입홀(321)이 관통 형성되고, 중성선 고정부재(320)의 상면 타측에는 제3 나사홀(323)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고정나사(330)는 전류용 고정부재(310)의 제2 나사홀(314) 또는 중성선 고정부재(320)의 제3 나사홀(323)에 체결되어, 전류용 고정부재(310)의 제2 나사홀(314) 또는 중성선 고정부재(320)의 제3 나사홀(323)에 삽입된 전선(5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상면 일측에는 전압 점검핀(500)이 삽입되는 전압 점검핀 삽입홀(213)이 함몰 형성되고,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후면에는 전선(510)이 삽입되는 제1 전선 삽입홀(212)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전압 점검핀(500)은 전압용 단자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정 장비이다.
그리고, 전류용 단자대(300)의 후면에는 제2 관통홀(301)이 다수 관통 형성된다. 전선은 전류용 단자대(300)의 제2 관통홀(301)에 관통 삽입된 후,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전선 삽입홀(212)에 삽입된다.
한편, 전류용 고정부재(310)의 후면에는 전선(510)이 삽입되는 제2 전선 삽입홀(312)이 함몰 형성되고, 전류용 고정부재(310)의 상면 일측에는 전류를 단락시키기 위한 CT 단락용 연결핀(410)이 삽입되는 제1 단락용 연결핀 삽입홀(313)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중성선 고정부재(320)의 상면 일측에는 전류를 단락시키기 위한 CT 단락용 연결핀(410)이 삽입되는 제2 단락용 연결핀 삽입홀(322)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바이패스 핸들(400)은 전류용 단자대(3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바이패스 핸들(400)의 하부에는 전류를 단락시키기 위한 CT 단락용 연결핀(410)이 다수 구비된다.
다음으로, 전압용 단자대(200)로부터 전류용 단자대(300)를 분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바이패스 핸들(400)의 다수의 CT 단락용 연결핀(410)을 전류용 고정부재(310)의 제1 단락용 연결핀 삽입홀(313) 및 중성선 고정부재(320)의 제2 단락용 연결핀 삽입홀(322)에 중력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로 인해, 바이패스 핸들(400)의 CT 단락용 연결핀(410)은 제2 전선 삽입홀(312) 또는 제3 전선 삽입홀(321)에 삽입된 전선(510)의 일측을 중력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 이후, 사용자는 바이패스 핸들(400)이 체결된 전류용 단자대(300)를 일방향(아래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전압용 단자대(200)의 제1 관통홀(201)로부터 전류용 고정부재(310)의 제3 단자(311)(1S, 2S, 3S)를 분리시키고, 이와 동시에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전선 삽입홀(212)로부터 전선(51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바이패스 핸들(400)이 체결된 전류용 단자대(300)는 전압용 단자대(200)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류용 단자대(300)는 전류용 고정부재(310)의 제3 단자(311) 및 전선(510)에 의해 전압용 단자대(200)로부터 분리되거나, 전압용 단자대(200)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용 단자대(100)에서는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가 전력량계에 체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전압용 단자대(200)로부터 전류용 단자대(30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전압용 단자대(200)가 전류용 단자대(30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전력량계로부터 전압용 단자대(20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압용 단자대(200) 또는 전류용 단자대(300) 중에서 어느 하나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전압용 단자대(200) 또는 전류용 단자대(300)를 별도로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에서는 전력량계 및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를 무정전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전압용 단자대(200), 전류용 단자대(300) 및 바이패스 핸들(400)을 각각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구조가 적용되어,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 또는 전류용 단자대(300) 중에서 어느 하나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 또는 전류용 단자대(300)를 별도로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에서는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에 별도로 연결되는 CT 단락용 연결핀 커넥터 및 전압 점검핀 커넥터가 제거되어, CT 단락용 연결핀(410) 및 전압 점검핀(500)을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에 안전하게 각각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에서는 고정 나사가 체결되는 접속점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연결대(221) 및 다수의 제2 단자(222)(3L, 2L, 1L)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일체형 고정부재(220)가 적용되어, 상기 일체형 고정부재(220)에 대한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에서는 콤팩트한 크기의 콘센트(240)가 적용되어, 종래의 무정전 교체 단자대(10)에 적용된 콘센트에 비해 상기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의 두께 및 크기가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무정전 교체 단자대(100)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 종래의 무정전 교체 단자대
11: 봉 단자
12: 봉 단자 고정나사
13: 전선 고정나사
14: CT 단락용 연결핀 커넥터
15: 전압 점검핀 커넥터
100: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
200: 전압용 단자대
201: 제1 관통홀
210: 전압용 고정부재
211: 제1 단자
212: 제1 전선 삽입홀
213: 전압 점검핀 삽입홀
214: 제1 나사홀
220: 일체형 고정부재
221: 연결대
222: 제2 단자
230: 제1 고정나사
240: 콘센트
300: 전류용 단자대
301: 제2 관통홀
310: 전류용 고정부재
311: 제3 단자
312: 제2 전선 삽입홀
313: 제1 단락용 연결핀 삽입홀
314: 제2 나사홀
320: 중성선 고정부재
321: 제3 전선 삽입홀
322: 제2 단락용 연결핀 삽입홀
323: 제3 나사홀
330: 제2 고정나사
400: 바이패스 핸들
410: CT 단락용 연결핀
500: 전압 점검핀
510: 전선
11: 봉 단자
12: 봉 단자 고정나사
13: 전선 고정나사
14: CT 단락용 연결핀 커넥터
15: 전압 점검핀 커넥터
100: 본 발명에 의한 무정전 교체 단자대
200: 전압용 단자대
201: 제1 관통홀
210: 전압용 고정부재
211: 제1 단자
212: 제1 전선 삽입홀
213: 전압 점검핀 삽입홀
214: 제1 나사홀
220: 일체형 고정부재
221: 연결대
222: 제2 단자
230: 제1 고정나사
240: 콘센트
300: 전류용 단자대
301: 제2 관통홀
310: 전류용 고정부재
311: 제3 단자
312: 제2 전선 삽입홀
313: 제1 단락용 연결핀 삽입홀
314: 제2 나사홀
320: 중성선 고정부재
321: 제3 전선 삽입홀
322: 제2 단락용 연결핀 삽입홀
323: 제3 나사홀
330: 제2 고정나사
400: 바이패스 핸들
410: CT 단락용 연결핀
500: 전압 점검핀
510: 전선
Claims (6)
- 전력량계에 체결되는 전압용 단자대(200),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의 후방에 체결되는 전류용 단자대(300) 및 하부에 다수 구비된 CT 단락용 연결핀(410)에 의해 상기 전류용 단자대(300)의 상부에 체결되는 바이패스 핸들(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정전 교체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는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의 전방 중앙에 다수 구비되되, 전면에 상기 전력량계에 체결되는 제1 단자(211)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 제1 나사홀(214)이 함몰 형성된 전압용 고정부재(210);
상기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타측에 구비되되, 후방에 연결대(221)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221)의 전방에 제2 단자(222)가 다수 돌출 형성된 일체형 고정부재(220); 및
상기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나사홀(214)에 체결되는 제1 고정나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단자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는
후면에 제1 관통홀(201)이 다수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전류용 단자대(300)는
상기 전류용 단자대(300)의 전방 중앙에 다수 구비되되, 전면에 상기 전압용 단자대(200)의 제1 관통홀(201)에 관통 삽입되는 제3 단자(311)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 제2 나사홀(314)이 함몰 형성된 전류용 고정부재(310);
상기 전류용 고정부재(310)의 우측에 구비되되, 후면에 전선(510)이 관통 삽입되는 제3 전선 삽입홀(321)이 관통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 제3 나사홀(323)이 함몰 형성된 중성선 고정부재(320); 및
상기 제2 나사홀(314) 또는 제3 나사홀(323)에 체결되어, 상기 제2 나사홀(314) 또는 제3 나사홀(323)에 삽입된 전선(5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나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단자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용 고정부재(210)는
상면 일측에 전압 점검핀(500)이 삽입되는 전압 점검핀 삽입홀(213)이 함몰 형성되고, 후면에 제1 전선 삽입홀(212)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전류용 단자대(300)는
후면에 전선(510)이 삽입되는 제2 관통홀(301)이 다수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단자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용 고정부재(310)는
후면에 전선(510)이 삽입되는 제2 전선 삽입홀(312)이 함몰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CT 단락용 연결핀(410)이 삽입되는 제1 단락용 연결핀 삽입홀(313)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중성선 고정부재(320)는
상면 일측에 CT 단락용 연결핀(410)이 삽입되는 제2 단락용 연결핀 삽입홀(322)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단자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나사(230)는
상기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나사홀(214)에 체결되어, 상기 전압용 고정부재(210)의 제1 전선 삽입홀(212)에 삽입된 전선(510)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단자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자(311)의 길이는
상기 제1 관통홀(201) 및 제1 단자(211)의 길이를 합산한 값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단자(311)는
외주면의 하부에 절연을 위해 상기 제 3단자(311)를 둘러싸도록 절연체(3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단자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6413A KR102527485B1 (ko) | 2021-06-14 | 2021-06-14 | 무정전 교체 단자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6413A KR102527485B1 (ko) | 2021-06-14 | 2021-06-14 | 무정전 교체 단자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7451A true KR20220167451A (ko) | 2022-12-21 |
KR102527485B1 KR102527485B1 (ko) | 2023-05-03 |
Family
ID=84536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6413A KR102527485B1 (ko) | 2021-06-14 | 2021-06-14 | 무정전 교체 단자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7485B1 (ko) |
Citation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48343A (ja) * | 1994-03-10 | 1995-09-26 | 資哲 ▲はい▼島 | 無停電用通電カセツト及び短絡カセツト付端子盤 |
KR200217828Y1 (ko) * | 2000-10-10 | 2001-03-15 | 전명수 | 무정전 교체형 전력량계 |
JP2001074780A (ja) * | 1999-09-02 | 2001-03-23 | Toshiba Corp | 電力量計 |
KR200401743Y1 (ko) * | 2005-09-09 | 2005-11-21 | 주식회사 우신테크라인 | 단자대 교환기를 갖는 시험용 단자대 |
KR20050111220A (ko) * | 2004-05-21 | 2005-11-24 | 남양비젼 주식회사 | 단속이 용이하고 전원의 분기가 가능한 전력단자대 |
JP2008281541A (ja) * | 2007-04-09 | 2008-11-20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電力量計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電力量計の交換作業方法 |
KR100879430B1 (ko) | 2007-09-07 | 2009-01-20 | 태형산업주식회사 |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
KR20090025771A (ko) * | 2007-09-07 | 2009-03-11 | 태형산업주식회사 | 바이패스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
KR101027927B1 (ko) | 2009-08-21 | 2011-04-12 | 이종국 | 무정전 단자대 |
KR101162894B1 (ko) * | 2011-06-03 | 2012-07-05 | 태형산업주식회사 | 비교계량가능한 고압고객 전력량계용 무정전 교체단자대 |
KR101434600B1 (ko) * | 2013-05-20 | 2014-08-26 |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
KR20190078011A (ko) * | 2017-12-26 | 2019-07-04 | 한국전력공사 |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
KR102207183B1 (ko) * | 2019-10-11 | 2021-01-25 | 한국전력공사 | 무정전 교체 단자대 |
-
2021
- 2021-06-14 KR KR1020210076413A patent/KR1025274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48343A (ja) * | 1994-03-10 | 1995-09-26 | 資哲 ▲はい▼島 | 無停電用通電カセツト及び短絡カセツト付端子盤 |
JP2001074780A (ja) * | 1999-09-02 | 2001-03-23 | Toshiba Corp | 電力量計 |
KR200217828Y1 (ko) * | 2000-10-10 | 2001-03-15 | 전명수 | 무정전 교체형 전력량계 |
KR20050111220A (ko) * | 2004-05-21 | 2005-11-24 | 남양비젼 주식회사 | 단속이 용이하고 전원의 분기가 가능한 전력단자대 |
KR200401743Y1 (ko) * | 2005-09-09 | 2005-11-21 | 주식회사 우신테크라인 | 단자대 교환기를 갖는 시험용 단자대 |
JP2008281541A (ja) * | 2007-04-09 | 2008-11-20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電力量計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電力量計の交換作業方法 |
KR100879430B1 (ko) | 2007-09-07 | 2009-01-20 | 태형산업주식회사 |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
KR20090025771A (ko) * | 2007-09-07 | 2009-03-11 | 태형산업주식회사 | 바이패스 스위치를 이용한 무정전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
KR101027927B1 (ko) | 2009-08-21 | 2011-04-12 | 이종국 | 무정전 단자대 |
KR101162894B1 (ko) * | 2011-06-03 | 2012-07-05 | 태형산업주식회사 | 비교계량가능한 고압고객 전력량계용 무정전 교체단자대 |
KR101434600B1 (ko) * | 2013-05-20 | 2014-08-26 |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 전력량계의 무정전 작업을 위한 멀티단자대 |
KR20190078011A (ko) * | 2017-12-26 | 2019-07-04 | 한국전력공사 | 전력량계 교체용 단자대 |
KR102207183B1 (ko) * | 2019-10-11 | 2021-01-25 | 한국전력공사 | 무정전 교체 단자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7485B1 (ko) | 2023-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4146B1 (ko) | 무정전 시공이 가능한 단자대 및 계량기 | |
US6747864B2 (en) |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 |
CN208736907U (zh) | 一种不断电拆换电表装置 | |
CN106684629B (zh) | 一种模块化的电源分配单元 | |
KR20170136665A (ko) | 전력량계의 단자대 | |
KR102527485B1 (ko) | 무정전 교체 단자대 | |
KR20080102675A (ko) | 전기접속 단자대 | |
JP5224766B2 (ja) | 電力量計の接続アダプタおよび電力量計の交換作業方法 | |
CN100578870C (zh) | 具有插座固定机构的电子装置 | |
CN206639940U (zh) | 镶嵌式短路装置 | |
CN106058524A (zh) | 一种用于印刷电路板连接的浮动连接器 | |
CN218732199U (zh) | 一种电连接器 | |
CN220323408U (zh) | 三相不停电换表装置 | |
CN214043378U (zh) | 平面变压器 | |
CN212230717U (zh) | 同轴连接器 | |
CN221508665U (zh) | 一种电子连接器的定位结构 | |
CN218241737U (zh) | 一种断路器的接线端子 | |
CN219737718U (zh) | 电池模组安规测试机构 | |
GB1584638A (en) | Multiway connector and screening partition | |
CN217901915U (zh) | 电流探头和电性能测试系统 | |
CN217427150U (zh) | 导电排连接结构、电子本体连接结构、电气设备 | |
CN216648801U (zh) | 一种方便组合拼接的插座 | |
CN216903580U (zh) | 具有线路板直插定位结构的耐高压连接器 | |
CN218887561U (zh) | 一种发电机测温元件快速接地装置 | |
KR102710081B1 (ko) | 시험용 단자대를 무정전으로 교체하기 위한 교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