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410A -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410A
KR20220167410A KR1020210075797A KR20210075797A KR20220167410A KR 20220167410 A KR20220167410 A KR 20220167410A KR 1020210075797 A KR1020210075797 A KR 1020210075797A KR 20210075797 A KR20210075797 A KR 20210075797A KR 20220167410 A KR20220167410 A KR 20220167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harcoal
parts
radon
p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안준모
박재훈
서보경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410A/ko
Publication of KR2022016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1Producing wall or panel-like structures, e.g. for hulls, fuselages, or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29C33/3857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by making impressions of one or more parts of models, e.g. shaped articles and including possible subsequent assembly of the parts
    • B29C2033/3871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by making impressions of one or more parts of models, e.g. shaped articles and including possible subsequent assembly of the parts the models being organic material, e.g. living or dead bodi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쉬 크기가 6 내지 40인 80 내지 85%의 입자크기분포를 가지는 숯분말에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S100); 혼합액을 목질몰드에 주입하고 성형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CHARCOAL BOARD FOR RADON RADIATION REDUCTION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재료에 사용되는 라돈방출 저감특성이 우수한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2002년 매년마다 240만 명이 공기오염으로 죽어가며 이중에서 150만 명은 실내공기오염으로 죽는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통계는 하루 24시간 중 8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현대인에게 건물 외부의 공기의 질도 중요하지만 실내공기의 질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공기의 질의 확보는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건축물 부분에서는 그 동안 에너지절약 설계 및 시공에 따른 건물 기밀화와 단열 강화에 따른 환기부족 등으로 실내 공기관리여건은 점점 더 악화되어 가고 있다. 더욱이 최근 각종 건축자재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및 유해물질들은 인체에 매우 유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거주자의 쾌적성과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대부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신축건물에서 원인을 알지 못하는 건물병증후군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환기량이 부족한 한정된 실내공간에서 각종 건축자재 등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계속적으로 순환되면서 그 농도가 증가될 때 나타나는 현상들이다. 많은 사람들이 밀폐된 건물 내에서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졸음, 눈의 자극, 집중력 감소 등을 호소하는 빌딩증후군 현상은 재실자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생산성과 능률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건축자재로부터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특성과 실내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합리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히 요구된다. 특히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영위하며 에너지 절감을 위해 점차 실내 생활공간을 밀폐화시키고 있다. 그로 인한 결과, 실내 공기 질을 저하시키는 오염원 즉 미세먼지, 석면,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크실렌, 라돈 등이 실내에 축적되고, 나아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표 1 참조).
구분 항목 기준
* ** *** ****
유지기준
5항목
PM 10(㎍/m3) 150 100 200 200
이산화탄소(ppm) 1000 -
포름알데히드(㎍/m3) 100 -
총부유세균(CFU/m3) - 800 - -
일산화탄소(ppm) 10 25 -
권고기준
5항목
이산화질소(ppm) 0.05 0.3 -
라돈(Bq/m3) 148 -
총휘발성유기화합물(㎍/m3) 500 400 1000 -
PM 2.5(㎍/m3) - 70 - -
곰팡이(CFU/m3) - 500 - -
※ 상기 표 1에서, "가"는 지하철역, 지하도상가, 철도역사, 여객자동차터미널, 항만시설, 대합실, 공항시설, 여객터미널,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대규모점포, 장례시장, 영화관, 학원, 전시시설, 인터넷 컴퓨터 게임시설 방이고, "나"는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산후조리원, 의료기관이고, "다"는 실내주차장이고, "라"는 실내체육시설, 실내공연장, 업무시설, 둘이상의 용도에 사용되는 건축물이다.
특허문헌 0001에는 0.1~1N 농도의 산 용액에 한천을 투입하고 80~100℃온도 하에서 30~40분 동안 반응시켜 가수분해한 다음, 상기 가수분해된 한천액에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중화시키고, 상기 중화된 한천액을 여과시켜 산성화된 칼슘염과 분리된 한천 여과액만을 취한 후, 상기 한천 여과액에 증점제와 보존제를 첨가하고 진공탈포 및 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천을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친환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재가 있다.
특허문헌 0002에는 방사성 물질을 발산하는 대상물을 감싸도록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상물이 중공부 내측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중공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대상물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필터와; 상기 본체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공기순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착필터는 의료기구에서 발생하는 아이오딘, 토양에서 발생하는 라돈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흡착 성능을 가지는 방사성 물질 흡착 필터링 장치에 관한 기재가 있다.
이와 같이 친환경 숯을 이용한 액상 페인트 및 입상 활성탄을 이용한 라돈 제거용 필터 등의 개발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필터기술에 사용되고 있는 분말 활성탄과 입상 활성탄의 경우 분진에 의한 비산현상, 라돈 흡착능력 부족 등의 한계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1503호 (발명의 명칭 : 한천을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공개일 : 2009.10.27.) 한국등록특허 제10-2034666호 (발명의 명칭 : 방사성 물질 흡착 필터링 장치, 등록일 : 2019.10.22.)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자재 중에 포함된 라돈 농도의 저감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돈 방사능을 고효율로 흡수하기 위한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메쉬 크기가 6 내지 40인 80 내지 85%의 입자크기분포를 가지는 숯분말에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S100); 혼합액을 목질몰드에 주입하고 성형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는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은 고형분 함량이 5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는 상기 숯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150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숯분말의 표면에는 0.5 내지 3 ㎛ 기공크기를 갖는 기공부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숯분말의 표면에는 1 ㎛ 이하의 기공크기를 갖는 제1 기공부;와 상기 제1 기공부보다 기공크기가 큰 제2 기공부;가 혼재되어 상기 제2 기공부가 상기 제1 기공부를 에워싸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술한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숯분말 및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포함함으로써, 높은 패킹 밀도를 유지하면서도 라돈 방사능의 흡수율을 증대시키고, 입자간 응집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기공부와 제2 기공부가 포함된 숯분말을 이용한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를 제공함으로써, 라돈 방사능의 흡수율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내재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에 있어 숯분말의 표면을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의 다른 공정 순서를 도시한 공정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이용한 라돈 방사능 측정을 위한 챔버의 모를 나타낸 실물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사용된 단위는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일 예로 % 또는 비의 단위는 중량% 또는 중량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은 숯분말에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혼합단계(S100); 및 혼합액을 목질몰드에 주입하고 성형하는 성형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 단계(S100)는 숯분말에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로서, 고출력 초음파, 교반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숯분말은 분쇄 장치를 이용하여 원료인 숯덩어리를 분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은 폴리비닐알콜을 함유한 접착성 혼합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은 종래 유기용매 또는 포름알데히드 방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숯의 기능을 살리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적은 접착제 첨가량으로 우수한 숯보드를 제조하여야 하며 숯분말의 입자크기에 따라 접착제 배합조건과 공정의 차가 생기므로 이에 따라 제품의 질도 당연히 달라지므로 배합조건 및 성형조건이 중요하다.
상기 성형 단계(S200)는 상기 혼합 단계(S100)에서 제조된 혼합액을 목재로 이루어진 목질몰드에 주입하고 일정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숯분말과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이 혼합된 혼합액을 사용하여 숯보드를 제조하는 경우, 종래 열압방식으로는 숯보드 제조 자체가 안되거나 되어도 고품질의 제품이 제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수분 흡수가 가능한 목질몰드에 상기 혼합액을 주입함으로써, 성형 단계(S200)는 수분을 20 내지 60%로 쉽게 조절할 수 있고, 그 중 가장 우수한 최종 함수율조건을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형 단계(S200)는 상기 혼합액을 목재로 이루어진 목질몰드에 주입한 후, 약 0.1 내지 1 MPa의 상대적으로 약한 압력을 가하여 성형할 수 있는데, 이는 경화시 숯보드 내에 기포를 탈포하고, 고도의 치수안정성을 발현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은 숯보드 내부에 숯분말을 분산 함입함으로써, 고효율로 라돈방사능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숯분말 입자의 유출을 막을 수 있어, 2차 오염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숯분말은 메쉬 크기가 6 내지 40인 입자가 80 내지 85%의 입자크기분포를 가지는 분말인 것으로서, 판상의 다공성 분말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에, 상기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는 라돈 방사능의 흡수율이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숯분말의 메쉬 크기는 하기 관계식 1 내지 5를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7 ≤ D1 ≤ 10
[관계식 2]
20 ≤ D2 ≤ 25
[관계식 3]
30 ≤ D3 ≤ 35
[관계식 4]
0.3 ≤ h1/h2 ≤ 0.4
[관계식 5]
0.6 ≤ h2/h3 ≤ 0.7
(상기 관계식 1 내지 5에서, D1은 상기 숯분말의 크기 분포에서, 피크의 중심 크기를 기준으로, 가장 큰 중심 크기를 갖는 제1 피크의 중심 크기이며, D2는 상기 숯분말의 크기 분포에서, 피크의 중심 크기를 기준으로, 두번째로 큰 중심 크기를 갖는 제2 피크의 중심 크기이고, D3은 상기 숯분말의 크기 분포에서, 피크의 중심 크기를 기준으로, 가장 작은 중심 크기를 갖는 제3피크의 중심 크기이고, h1은 상기 제1 피크의 중심 높이이며, h2는 상기 제2 피크의 중심 높이이며, h3은 상기 제3 피크의 중심 높이이다.)
상기 숯분말의 메쉬 크기 분포는 동적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DLS)을 이용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숯분말의 크기 분포는 25 ℃의 온도 및 0.01 내지 0.1 중량% 농도의 샘플의 조건으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숯분말의 크기 분포는 입자의 직경 및 해당 직경을 갖는 입자의 수로 도시되는 크기 분포일 수 있다. 한편, 적어도 쓰리모달 이상의 크기 분포는 숯분말의 크기 분포 상 적어도 셋 이상의 피크가 존재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피크의 중심에 해당하는 크기(입자 직경)가 중심 크기이며, 가장 작은 중심 크기를 갖는 제1피크에 속하는 입자들은 제1 입자로, 두번째로 큰 중심 크기를 갖는 제2 피크에 속하는 입자들은 제 2입자로, 가장 큰 중심 크기를 갖는 제3 피크에 속하는 입자들은 제3 입자로 통칭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숯분말은 쓰리모달 분포를 가지고 상기 관계식 1 내지 5를 만족함으로써, 최종 제조된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의 라돈 방사능 흡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숯보드 내부 또는 표면에 크랙(crack)이나 보이드(void)와 같은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은 고형분 함량이 5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는 상기 숯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150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내에 숯분말의 높은 패킹밀도를 유지하면서도 각 숯분말들이 동시에 여러 경로를 통해 라돈방사능을 고효율로 흡착할 수 있으며, 입자간 응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숯분말의 표면에는 0.5 내지 3 ㎛ 기공크기를 갖는 기공부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숯분말의 표면을 나타낸 SEM 사진이다. 도 2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숯분말의 표면에는 1 ㎛ 이하의 기공크기를 갖는 제1 기공부(100);와 상기 제1 기공부(100)보다 기공크기가 큰 제2 기공부(200);가 혼재되어 상기 제2 기공부(200)가 상기 제1 기공부(100)를 에워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기공부(100)와 제2 기공부(200)를 포함함으로써, 고효율로 라돈방사능을 저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기공부(100)는 0.5 내지 1 ㎛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0 ㎛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1 기공부(100) 기공크기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기공부(200)의 기공크기는 1.5 내지 3.1 ㎛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 ㎛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2 기공부(200) 기공크기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의 다른 공정 순서를 도시한 공정순서도이다.
도 3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은 상술한 혼합단계(S100) 및 성형단계(S200) 사이에, 상기 혼합단계(S100)에서 제조된 혼합액에 성형 첨가제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혼합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첨가제는 콜로이드 실리카, 실란, 유기산 및 부착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산성조건에서 용해되거나 연화지 않도록 하는 등의 물리적인 강도가 클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도 화학적으로 안정되며 고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sodium silicate로부터 이온교환방법 및 산-중화법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입자를 성장시켜 균일한 크기분포의 입자를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의 실리카 함량은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50 중량% 이상의 고농도의 콜로이드 실리카는 실리카의 겔 또는 침전이 되기 쉬우므로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된 분산액의 제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50 내지 70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혼합액 내에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저장 및 운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황토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160 내지 16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는 160 중량부 미만이거나 1600 중량부 초과이면, 혼합액의 점도, 겔화, 혼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최종 제조된 숯보드의 굽힘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실란은 상기 콜로이드 실리카와 함께 사용되어 혼합액의 혼합성을 향상시키고, 숯보드 제조시 성형성을 향상시키며, 숯보드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황토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실란은 20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실란은 20 중량부 미만이거나 50 중량부 초과이면, 혼합액의 점도, 겔화, 혼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최종 제조된 숯보드의 굽힘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황토 등에 포함된 산화물 입자 등의 각종 입자의 분산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유기산은 아세트산, 라틱산, 개미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착방지제는 성형시 황토 분말 등이 목질몰드에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부착방지제는 글리세린, 미네랄 오일, 페로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는 상술한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고정탄소함유량이 62%이고, 무기질함량이 15.5%인 숯덩어리를 분쇄하여 숯분말을 제조하였다. 분쇄조건은 숯덩어리를 유성밀로 1시간 분쇄하였고, 숯분말의 D1은 8 메쉬크기, D2는 22 메쉬크기, D3는 34 메쉬크기를 가지고, h1/h2는 0.34이고, h2/h3는 0.66인 입자 크기 분포를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숯분말의 미세 구조는 도 2에 도시하였다.
(제조예 2)
폴리비닐알콜(PVA) 펠렛 100g을 5L 유리플라스크에 넣고 물 1700mL를 부은 후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교반하여 녹은 폴리비닐알콜 접착제를 24시간 실온에서 숙성시켜 고형분 함량이 약 6%인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숯분말을 준비하고, 상기 숯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150 중량부 첨가하고 3시간 동안 혼합하였다(S100). 그 다음, 상기 혼합액에 상기 숯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콜로이드 실리카 1600 중량부, 실란 20 중량부, 유기산 10 중량부 및 부착방지제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 첨가제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더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S150). 마지막으로, 상기에서 혼합된 혼합액을 혼합액을 일면이 개방된 목질몰드에 주입하고 실온에서 하루동안 경화시켜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를 제조하였다(S200). 또한 상기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의 사진을 도 4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150 중량부 대신 170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150 중량부 대신 200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상기 숯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콜로이드 실리카 400 중량부, 실란 41 중량부, 유기산 3 중량부 및 부착방지제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 첨가제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상기 숯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콜로이드 실리카 300 중량부, 실란 50 중량부, 유기산 3 중량부 및 부착방지제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 첨가제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상기 숯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콜로이드 실리카 167 중량부, 실란 33 중량부, 유기산 2 중량부 및 부착방지제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 첨가제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150 중량부 대신 130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150 중량부 대신 250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상기 숯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콜로이드 실리카 133 중량부, 실란 67 중량부, 유기산 2 중량부 및 부착방지제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 첨가제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서 상기 숯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콜로이드 실리카 100 중량부, 실란 100 중량부, 유기산 2 중량부 및 부착방지제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 첨가제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상기 숯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콜로이드 실리카 57 중량부, 실란 100 중량부, 유기산 2 중량부 및 부착방지제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 첨가제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상기 숯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콜로이드 실리카 22 중량부, 실란 80 중량부, 유기산 2 중량부 및 부착방지제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 첨가제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2에서 숯분말의 D1은 6 메쉬크기, D2는 18 메쉬크기, D3는 28 메쉬크기, h1/h2는 0.45, h2/h3는 0.75 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2에서 숯분말의 D1은 12 메쉬크기, D2는 27 메쉬크기, D3는 38 메쉬크기, h1/h2는 0.25이고, h2/h3는 0.55 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혼합성 및 굽힘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6에서 성형 첨가제를 첨가한 혼합액에 대해 점도 평가, 겔화 평가, 혼합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에 대하여 굽힘강도 평가를 실시하여 하기 표 2에 수록하였다.
점도 겔화 혼합성 굽힘강도(MPa)
실시예1 3.8
실시예2 4.3
실시예3 4.1
실시예4 4.1
실시예5 4.0
실시예6 3.9
비교예1 2.7
비교예2 2.5
비교예3 X 3.1
비교예4 X 2.8
비교예5 X X X 2.5
비교예6 X X X 2.3
우수: ◎, 양호: ○, 미흡: △, 불량: Ⅹ
(실험예 2)
<라돈 방사능 측정>
우선 방사능 측정을 위하여 목재를 이용하여 챔버를 제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챔버는 가로, 세로 30cm의 크기로 하여 제작하였으며 내부에 라돈측정기를 자유롭게 넣었다 뺄 수 있는 뚜껑을 설치하여 챔버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라돈 측정용 챔버를 도 5에 도시하였다.
우선 상기 챔버 내부 일측에 석고 보드를 설치하여 시간경과에 따라 라돈방사능을 측정하였다. 라돈방사능 측정시 ㈜에프티랩사의 라돈측정기 라돈아이(모델명)인 라돈측정기를 이용하여 라돈방사능 측정하였고, 사용된 라돈측정기의 사양은 하기 표 3에 수록하였다.
측정값표시 측정온도 측정감도 측정범위 측정오차
10분간격 10 ~ 40 ℃ 0.5 pCi/l 0.1 ~ 99 pCi/l <±10%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2, 비교예 7 내지 8에서 제조된 두께 0.5 cm의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를 상기 챔버 내벽에 설치한 다음, 상기 챔버 내부 중앙부에 상기 챔버 내부 일측에 석고 보드를 설치하고, 상기 챔버 외부에 라돈측정기를 위치시켜 시간경과에 따른 라돈방사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수록하였다.
석고보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7 비교예 8
5분 1.05 0.68 0.62 0.65 0.95 1.00 0.81 0.87
2시간 1.26 0.89 0.81 0.85 1.13 1.20 1.05 1.13
4시간 1.35 0.84 0.76 0.80 1.22 1.28 0.99 1.06
6시간 1.32 0.79 0.72 0.76 1.19 1.25 0.94 1.01
8시간 1.26 0.67 0.61 0.64 1.13 1.20 0.79 0.85
10시간 1.41 0.79 0.72 0.76 1.27 1.34 0.94 1.01
12시간 1.63 0.59 0.54 0.57 1.47 1.55 0.70 0.76
14시간 1.85 0.87 0.79 0.83 1.67 1.76 1.03 1.11
16시간 2.52 0.90 0.82 0.86 2.27 2.39 1.07 1.15
18시간 2.3 1.14 1.04 1.09 2.07 2.19 1.35 1.46
20시간 2.26 1.45 1.32 1.39 2.03 2.15 1.72 1.85
22시간 2.41 1.58 1.44 1.51 2.17 2.29 1.87 2.02
24시간 2.04 1.74 1.58 1.66 1.84 1.94 2.05 2.21
상기 표 4에서 방사능 단위는 pCi/l 이다.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이 비교예 대비 가장 우수한 라돈 방사능 저감성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00 : 혼합 단계
S200 : 성형 단계
100 : 제1 기공부
200 : 제2 기공부

Claims (5)

  1. 메쉬 크기가 6 내지 40인 80 내지 85%의 입자크기분포를 가지는 숯분말에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S100);
    혼합액을 목질몰드에 주입하고 성형하는 단계(S200);
    를 포함하는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은 고형분 함량이 5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는 상기 숯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 접착액을 150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숯분말의 표면에는 0.5 내지 3 ㎛ 기공크기를 갖는 기공부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1 ㎛ 이하의 기공크기를 갖는 제1 기공부;와 상기 제1 기공부보다 기공크기가 큰 제2 기공부;가 혼재되어 상기 제2 기공부가 상기 제1 기공부를 에워싸는 구조를 포함하는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KR1020210075797A 2021-06-11 2021-06-11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7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97A KR20220167410A (ko) 2021-06-11 2021-06-11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97A KR20220167410A (ko) 2021-06-11 2021-06-11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410A true KR20220167410A (ko) 2022-12-21

Family

ID=8453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797A KR20220167410A (ko) 2021-06-11 2021-06-11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41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503A (ko) 2008-04-22 2009-10-27 황연학 한천을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34666B1 (ko) 2018-05-23 2019-10-28 제이더블유케미타운 주식회사 방사성 물질 흡착 필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503A (ko) 2008-04-22 2009-10-27 황연학 한천을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친환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34666B1 (ko) 2018-05-23 2019-10-28 제이더블유케미타운 주식회사 방사성 물질 흡착 필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71738B (zh) 一种页岩硅藻泥壁材及其制备方法
CN109250964B (zh) 一种复合地聚物轻质调湿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689708B (zh) 一种基于斜孔铝蜂窝板除甲醛空气净化滤芯及其制备方法
KR102185826B1 (ko) 단열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단열 시공 방법
KR101145703B1 (ko) 방사선 차폐 시트
CN113248181B (zh) 一种混凝土用抗碳化剂及制备方法
CN104946051A (zh) 一种健康环保的建筑内墙涂料
KR20220167410A (ko) 라돈방출저감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588104B1 (ko) 라돈방출저감용 활성탄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588107B1 (ko) 라돈방출저감용 황토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159754B1 (ko) 라돈 투과 차단용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410366B (zh) 一种硅钛气凝胶吸附与光催化内墙涂料的制备方法
CN110479052B (zh) 一种负离子除甲醛的空气净化装饰贴膜及制备方法
CN109266148B (zh) 一种节能环保建筑涂料及其制备方法
CN106634348A (zh) 镁玺方晶风道负离子喷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778423B1 (ko) 저독성 시멘트 몰탈
JP2005247635A (ja) 環境改善機能を有する石膏ボード
CN107353842A (zh) 一种中空玻璃加工用外道密封胶抗老化性能增强助剂
CN105985074B (zh) 一种可释放负氧离子的干粉砂浆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129673A (zh) 一种新型抗菌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848385B1 (ko) 흡습바 및 이를 갖는 진공복층유리
KR20220046723A (ko) 제올라이트와 야자각 분말 활성탄으로 코팅된 대기정화형 골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정화형 콘크리트 투수블록
WO2024111012A1 (ja) 多孔質シリカ-粘土複合材料、多孔質シリカ-粘土複合材料を含む水浄化剤、多孔質シリカ-粘土複合材料を含む土壌用粉体、及び多孔質シリカ-粘土複合材料の製造方法
CN107151128A (zh) 一种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050059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