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250A -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250A
KR20220167250A KR1020220071551A KR20220071551A KR20220167250A KR 20220167250 A KR20220167250 A KR 20220167250A KR 1020220071551 A KR1020220071551 A KR 1020220071551A KR 20220071551 A KR20220071551 A KR 20220071551A KR 20220167250 A KR20220167250 A KR 20220167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current
power line
measuring
ground
insulation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효익
문효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
Publication of KR2022016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25Measuring very high resistances, e.g. isolation resistances, i.e. megohm-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는, 일단은 제1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대지에 접지되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대지를 향해 흐르는 제1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제1 누설 전류 측정부, 일단은 제2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대지에 접지되며, 상기 제1 기간에 중첩하지 않는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대지를 향해 흐르는 제2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제2 누설 전류 측정부, 및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누설 전류가 상기 제1 누설 전류 측정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누설 전류가 상기 제2 누설 전류 측정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 누설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2 누설 전류 측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Apparatus of measuring hot-line insulation resistance}
본 발명은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선은 전기가 통하는 도전체 및 이를 둘러싼 절연물로 구성된다. 절연물인 전선 피복이 노후되거나 손상되면 해당 부분을 통해 누설 전류가 흘러나올 수 있다. 누설 전류로 인해 감전 사고 또는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활선 상태 전선의 누설 전류는 저항성 누설 전류와 용량성 누설 전류로 구분될 수 있다. 누설 전류는 상용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여 전선과 대지 사이에 존재하는 임피던스 성분에 의한 누설 전류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측정 장치가 필요하며, 제작 및 설치 비용이 매우 비싼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0451호
활선 상태의 절연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활선 상태에서 전력선으로부터 대지로 흐르는 누설 전류를 이용하여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는, 일단은 제1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대지에 접지되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대지를 향해 흐르는 제1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제1 누설 전류 측정부, 일단은 제2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대지에 접지되며, 상기 제1 기간에 중첩하지 않는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대지를 향해 흐르는 제2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제2 누설 전류 측정부, 및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누설 전류가 상기 제1 누설 전류 측정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누설 전류가 상기 제2 누설 전류 측정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 누설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2 누설 전류 측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누설 전류 측정부는, 상기 제1 전력선과 상기 대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누설 전류 제한 저항, 상기 제1 누설 전류 제한 저항을 통과한 제1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온 오프되어 제1 누설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누설 전류 측정부는, 상기 제2 전력선과 상기 대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2 누설 전류 제한 저항, 상기 제2 누설 전류 제한 저항을 통과한 제2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온 오프되어 제2 누설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누설 전류 제한 저항 및 상기 제2 누설 전류 제한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1 전력선 및 상기 제2 전력선의 절연 저항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제1 누설 전류로 상기 제2 전력선의 절연 저항을 산출하고 측정된 상기 제2 누설 전류로 상기 제1 전력선의 절연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전력선 및 상기 제2 전력선은 전원과 부하 사이에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선 상태의 절연 저항을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전체 도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할당되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구현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특히, 첨부된 도면들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일부 구성 요소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하고 있다.
도 1은 전원과 부하를 연결하는 전력선의 등가 회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전원과 부하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전력선 중 하나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전원과 부하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전력선 중 나머지 하나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기능, 특징, 실시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실시예와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인용된다.
도 1은 전원과 부하를 연결하는 전력선의 등가 회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전력선(10)은 전기가 통하는 구리와 같은 금속의 도전체(11) 및 도전체(11)를 둘러싸고 있는 절연물(12)로 구성된다. 절연물(12)은 대부분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유전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중에 매설된 전력선(10)은 도전체(11)와 커패시터(20)로 구성된 등가 회로로 표현할 수 있다. 누설 전류(30)는 절연물(12)을 통하여 대지로 흐르게 된다. 전압이 높을수록 누설 전류(30)가 크므로 누설 전류(30)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절연물(12)의 두께와 재질을 적절하게 설정해야 한다. 전력선(10)이 정상적일 경우 누설 전류(30)는 대부분 수 uA 내지 수 mA로 흐르지만, 절연이 깨지거나 지락사고 발생시 누설 전류(30)는 높게 나타나며, 인체 감전 사고나 누설 전류(30)에 의한 전기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1의 (b)는 정상 상태인 한 쌍의 전력선(10a, 10b)에서 발생한 누설 전류(31)의 루프를 나타낸다. 제1 및 제2 전력선(10a, 10b)은 전원과 부하 사이에 전력을 전달한다. 즉, 제1 전력선(10a)은 전원에서 부하로 흐르는 전류의 경로이며, 제2 전력선(10b)은 부하에서 전원으로 전류가 되돌아오는 경로이다. 제1 및 제2 전력선(10a, 10b)의 좌측단에는 전원에 의해 전압 V가 인가된다. 정상 상태에서 발생한 누설 전류(31)는 제1 전력선(10a)으로부터 전원측에 가장 가까운 커패시터-절연 저항(20)을 통해 대지로 흐르며, 부하측에 가장 가까운 커패시터-절연 저항(20')을 통해 다시 제2 전력선(10b)으로 되돌아오는 루프를 가질 수 있다. 즉, 정상 상태에서는, 커패시터-절연 저항(20)을 통과하는 전류량도 크지 않으며, 대지를 통과하는 구간이 길기 때문에, 커패시터-절연 저항(20')을 통해 유입되는 전류량 역시 매우 작다.
도 1의 (c)는 지락 상태인 한 쌍의 전력선에서 발생한 누설 전류의 경로를 각각 나타낸다. (b)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전력선(10a, 10b)은 전원과 부하 사이에 전력을 전달하며, 제1 및 제2 전력선(10a, 10b)의 좌측단에는 전원에 의해 전압 V가 인가된다. 제2 전력선(10b)에 지락이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면, 누설 전류(32)는 제1 전력선(10a)으로부터 전원측에 가장 가까운 커패시터-절연 저항(20)을 통해 대지로 흐르며, 지락 지점(21)을 통해 다시 제2 전력선(10b)으로 되돌아오는 루프를 가질 수 있다. 즉, 지락 상태에서는, 누설 전류가 지락 지점(21)에서 제2 전력선(10b)으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지락 지점(21)을 통해 유입되는 전류량이 매우 커질 수 있다.
도 2는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100)는 제1 전력선(1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 제2 전력선(10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 및 누설 전류를 측정하도록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 및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의 일단은 제1 전력선(10a)의 도전체(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대지에 접지된다.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는 제1 누설 전류 제한 저항(111), 제1 누설 전류 제한 저항(111)을 통과한 제1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계(112) 및 제어부(130)에 의해 온 오프되어 제1 누설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1 스위치(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누설 전류 제한 저항(111), 제1 전류계(112) 및 제1 스위치(113)는 제1 전력선(10a)과 대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의 일단은 제2 전력선(10b)의 도전체(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대지에 접지된다.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는 제2 누설 전류 제한 저항(121), 제2 누설 전류 제한 저항(121)을 통과한 제2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계(122) 및 제어부(130)에 의해 온 오프되어 제2 누설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2 스위치(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누설 전류 제한 저항(121), 제2 전류계(122) 및 제2 스위치(123)는 제2 전력선(10b)과 대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누설 전류 제한 저항(111) 및 제2 누설 전류 제한 저항(121)은 제1 전력선(10a) 및/또는 제2 전력선(10b)에 지락 발생 후 누설 전류 측정시에 제1 누설 전류 및 제2 누설 전류가 커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누설 전류 제한 저항(111) 및 제2 누설 전류 제한 저항(121)은 제1 전력선(10a) 및 제2 전력선(10b)의 정상 상태에서 측정된 절연 저항보다 작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능적으로 스위칭 제어부(131), 누설 전류 측정부(132) 및 절연저항 산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제어부(131)는 제1 스위치(113)와 제2 스위치(123)를 교번하게 온시킬 수 있다. 누설 전류 측정부(132)는 제1 전류계(112) 및 제2 전류계(122)로부터 측정값을 읽어들일 수 있다. 절연 저항 산출부(133)는 제1 전압 V1이 인가된 전원, 제2 전압 V2가 인가된 부하 사이에 흐르는 정상 전류 및 측정된 누설 전류를 이용하여 절연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에 의한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 및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 및 (b)는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제1 누설 전류(40)의 루프 및 제2 누설 전류(41)의 루프를 각각 나타내며, (c)는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10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누설 전류의 루프를 나타낸다.
스위칭 제어부(131)는 제1 누설 전류와 제2 누설 전류가 중첩되지 않으면서 흐르도록 제1 스위치(113)와 제2 스위치(123)를 교번하게 온시킨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113)가 온 되는 제1 기간 동안에, 제2 스위치(123)는 오프되어 제1 전력선(10a)으로부터 빠져나간 제1 누설 전류(40)가 측정될 수 있다. 제1 전력선(10a)과 제2 전력선(10b) 사이에 제1 전압 V1이 인가된 전원측으로부터 제1 전력선(10a)에 유입된 정상 전류 중 일부는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를 통해 대지로 흐를 수 있다. 대지로 흘러든 제1 누설 전류(40)는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가 아닌 지점, 예를 들어, 제1 전력선(10a)과 제2 전력선(10b) 사이에 제2 전압 V2이 인가된 부하측에 가까운 지점에서 제2 전력선(10b)에 되돌아올 수 있다. 즉,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는 제1 기간 동안 제어된 지락 지점으로 동작하여 제2 전력선(10b)에 의해 가변되는 제1 누설 전류(40)의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절연 저항 Rx는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Rx = V1/I1 - R1
여기서, V1은 전원 양단에 걸린 전위차이고 그 전위차는 500 V이고, I1은 제1 누설 전류이고 그 측정값은 100 uA이며, R1은 제1 누설 전류 제한 저항이고 그 저항값은 100 kΩ이다. 제1 누설 전류(40)는 제2 전력선(10b)의 절연 저항에 의해 결정되며, 산출된 제2 전력선(10b)의 절연 저항은 4,900 kΩ이다.
동일하게,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2 스위치(123)가 온 되는 제2 기간 동안에, 제1 스위치(113)는 오프되어 제2 전력선(10b)으로 유입되는 제2 누설 전류가 측정될 수 있다. 제1 전력선(10a)과 제2 전력선(10b) 사이에 제1 전압 V1이 인가된 전원측으로부터 제1 전력선(10a)에 유입된 정상 전류 중 일부는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가 아닌 지점, 예를 들어, 제1 전력선(10a)과 제2 전력선(10b) 사이에 제2 전압 V2이 인가된 부하측에 가까운 지점에서 대지로 흐를 수 있다. 대지로 흘러든 제2 누설 전류(41)는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를 통해 제2 전력선(10b)에 되돌아올 수 있다. 즉,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는 제2 기간 동안 제어된 지락 지점으로 동작하여 제1 전력선(10a)에 의해 가변되는 제2 누설 전류(41)의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c)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113)와 제2 스위치(123)가 동시에 온 된 경우의 누설 전류의 루프를 나타낸다. 제1 스위치(113)와 제2 스위치(123)가 모두 온 되면, 제1 전력선(10a) 및 제2 전력선(10b) 모두에 지락이 발생한 상태이다. 따라서 매우 큰 누설 전류가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를 통해 대지로 흘러 들어가며,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를 통해 다시 제2 전력선(10b)로 되돌아 오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제1 스위치(113)와 제2 스위치(123)를 교번하게 온 시켜야 한다.
도 4는 전원과 부하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전력선 중 하나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전력선(10a, 10b)이 전원(200)과 부하(210) 사이에서 전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전원(200)은 접지된 태양 전지이며, 부하(210)는 인버터로 가정한다. 전원(200)이 접지되지 않은 경우의 누설 전류의 루프는 도 3의 (a)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지락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는 온 되고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는 오프되면, 제1 누설 전류(50)는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로부터 대지를 거쳐 전원(200)의 접지를 통해 돌아오는 루프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력선(10a)과 제2 전력선(10b) 사이에 제1 전압 V1이 인가된 전원측으로부터 제1 전력선(10a)에 유입된 정상 전류 중 일부는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를 통해 대지로 흐를 수 있다. 대지로 흘러든 제1 누설 전류(50)는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가 아닌 지점, 예를 들어, 제1 전력선(10a)과 제2 전력선(10b) 사이에 제2 전압 V2이 인가된 부하측에 가까운 지점에서 제2 전력선(10b)에 되돌아올 수 있다. 즉,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는 제1 기간 동안 제어된 지락 지점으로 동작하여 제2 전력선(10b)에 의해 가변되는 제1 누설 전류(50)의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2 전력선(10b)에 지락이 발생하면,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를 흐르는 제1 누설 전류(51)는 지락 지점(21)에서 제2 전력선(10b)으로 돌아온다. 제1 누설 전류(51)의 전류량은 제1 누설 전류(50)의 전류량보다 수 내지 수백배 클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제1 전력선(10c)에 지락이 발생하면, 누설 전류(52)는 지락 지점(21)에서 발생한다. 대부분의 전류가 지작 지점(21)을 통해 누설되므로,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가 측정할 수 있는 제1 누설 전류의 전류량은 매우 작거나 없을 수 있다. 즉,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는 제1 전력선(10a)에 발생한 지락을 검출할 수 없다.
도 5는 전원과 부하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전력선 중 나머지 하나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전력선(10a, 10b)이 전원(200)과 부하(210) 사이에서 전력을 전달한다. 지락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제1 누설 전류 측정부(110)는 오프되고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는 온 되면, 제1 전력선(10a)로부터 대지로 흐른 제2 누설 전류(60)는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10)를 통해 제2 전력선(10b)로 돌아오는 루프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력선(10a)과 제2 전력선(10b) 사이에 제1 전압 V1이 인가된 전원측으로부터 제1 전력선(10a)에 유입된 정상 전류 중 일부는 커패시터-절연 저항(20)을 통해 대지로 흐를 수 있다. 대지로 흘러든 제2 누설 전류(60)는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를 통해 제2 전력선(10b)에 되돌아올 수 있다. 즉,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는 제2 기간 동안 제어된 지락 지점으로 동작하여 제1 전력선(10a)에 의해 가변되는 제2 누설 전류(60)의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1 전력선(10b)에 지락이 발생하면, 제2 누설 전류 측정부(120)를 흐르는 제2 누설 전류(61)는 지락 지점(21)에서 대지로 흘러든다. 제2 누설 전류(61)의 전류량은 제2 누설 전류(60)의 전류량보다 수 내지 수백배 클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특히,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은, 특정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특징에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활선 상태에서 전력선으로부터 대지로 흐르는 누설 전류를 이용하여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제1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대지에 접지되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대지를 향해 흐르는 제1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제1 누설 전류 측정부;
    일단은 제2 전력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대지에 접지되며, 상기 제1 기간에 중첩하지 않는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력선으로부터 상기 대지를 향해 흐르는 제2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제2 누설 전류 측정부;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1 누설 전류가 상기 제1 누설 전류 측정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누설 전류가 상기 제2 누설 전류 측정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 누설 전류 측정부와 상기 제2 누설 전류 측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누설 전류 측정부는,
    상기 제1 전력선과 상기 대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1 누설 전류 제한 저항, 상기 제1 누설 전류 제한 저항을 통과한 제1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제1 전류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온 오프되어 제1 누설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누설 전류 측정부는,
    상기 제2 전력선과 상기 대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2 누설 전류 제한 저항, 상기 제2 누설 전류 제한 저항을 통과한 제2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제2 전류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온 오프되어 제2 누설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누설 전류 제한 저항 및 상기 제2 누설 전류 제한 저항의 저항값은 상기 제1 전력선 및 상기 제2 전력선의 절연 저항보다 작은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제1 누설 전류로 상기 제2 전력선의 절연 저항을 산출하고 측정된 상기 제2 누설 전류로 상기 제1 전력선의 절연 저항을 산출하는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선 및 상기 제2 전력선은 전원과 부하 사이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
KR1020220071551A 2021-06-11 2022-06-13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 KR202201672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05 2021-06-11
KR20210075905 2021-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250A true KR20220167250A (ko) 2022-12-20

Family

ID=8453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551A KR20220167250A (ko) 2021-06-11 2022-06-13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2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51B1 (ko) 2013-04-30 2014-10-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밀 활선 절연저항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51B1 (ko) 2013-04-30 2014-10-1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밀 활선 절연저항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157983A (ja) 電気的監視システム
US105851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a galvanic connection of a high-voltage condenser bushing assembly
JP2017020973A (ja) 検査システム
JP6003429B2 (ja) 測定装置
CN211529450U (zh) 电缆故障模拟装置及系统
US4550223A (en) Test device, and method for locating faults in a two-lead line
JP6420957B2 (ja) 試験装置及び方法
KR20220167250A (ko) 활선 상태에서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
EP1599738B1 (en) Detection of earth faults in three phase systems
US3281677A (en) Means for determining the self or earth impedance of an electric supply system by producing an indication when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exceeds that for the maximum permissible impedance
US3546581A (en) Insulation continuity tester including a grounded detector resistance and grounded voltage source
US2832042A (en) Fault locating apparatus
CN102998531B (zh) 电阻抗测量装置
CN110631782A (zh) 漏液检测装置
JP6189199B2 (ja) コンタクト検査装置、コンタクト検査方法及び電子部品
JPS5810667A (ja) 誘導電圧の大きい場所における接地抵抗測定法
CN105589006A (zh) 电阻辅助测量电容漏泄装置
US1923565A (en)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20085750A (ja) 漏液検出装置
US11979016B1 (en) LCDI power cord circuit having a power cord fault circuit for monitoring a neutral wire shield and a line wire shield integrity
CN217717965U (zh) 一种直流负载线路的漏电阻检测装置
CN212379540U (zh) 安检仪及其强电相间短路检测电路
JP5910894B2 (ja) 交流電位治療器
JP6038529B2 (ja) 測定装置
CN110702994A (zh) 一种新型gis设备导电回路电阻测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