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980A - Auxiliary buoyancy apparatus - Google Patents

Auxiliary buoyanc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980A
KR20220166980A KR1020210075946A KR20210075946A KR20220166980A KR 20220166980 A KR20220166980 A KR 20220166980A KR 1020210075946 A KR1020210075946 A KR 1020210075946A KR 20210075946 A KR20210075946 A KR 20210075946A KR 20220166980 A KR20220166980 A KR 20220166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uoyancy
auxiliary buoyancy
support member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9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3988B1 (en
Inventor
김진영
이윤석
Original Assignee
김진영
이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이윤석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21007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988B1/en
Publication of KR20220166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9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9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4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translational freedom, e.g. telescopic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An auxiliary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part placed on a hull; a connection part having a plurality of frames that are composed of multiple stag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retchabl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and a buoyancy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having a position thereof adjust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onnection part so as to provide buoyancy to the hull, thereby capable of preventing capsize accidents occurring during heavy work and improving stability of a ship.

Description

보조부력장치{AUXILIARY BUOYANCY APPARATUS}Auxiliary buoyancy device {AUXILIARY BUOYANCY APPARATUS}

본 발명은 보조부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uoyancy device.

기존의 양식장 작업용 선박의 경우 너클 크레인 또는 지브 크레인을 선박에 탑재하여 중량물 작업을 해왔다. 일반적인 작업선은 길이에 비해 선폭이 적정 값 보다 작고, 전복의 우려가 늘 잔존해왔다. 어선 또는 바지선의 경우 중량물 작업시 크레인 암의 길이를 길게 전개할 경우 길이*중량물에 해당하는 전도 모멘트가 작용된다.In the case of existing ships for farm work, a knuckle crane or a jib crane has been mounted on the ship to work on heavy objects. The line width of the general work line is smaller than the appropriate value compared to the length, and the concern of overturning has always remained. In the case of fishing boats or barges, when the length of the crane arm is extended while working on heavy objects, an overturning moment corresponding to length * heavy weight is applied.

작업선박은 주로 흘수가 낮은 편이며 수면에서 건현까지의 높이 차가 크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크레인으로 중량물 작업을 할 때, 중량물의 무게중심이 선박의 무게중심보다 높이 위치하면서 전도복원 반경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Working vessels are characterized by low draft and small difference in height from the water surface to the freeboard. In addition, when working with a heavy object with a cran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eavy object may exceed the tipping restoration radius while being located higher tha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hip.

이 때, 선박에서 중량물을 걷어 올릴 때 갑작스러운 하중 변화에 따라 침수 또는 전복이 야기된다.At this time, flooding or overturning occurs according to a sudden load change when lifting a heavy object from a ship.

이에 따라 크레인으로 중량물 작업할 때, 무게균형 상실로 인한 전복방지를 위해 고의로 선박 좌 우측에 중량물을 추가 탑재하여 조업하는 사례도 종종 확인되었다.Accordingly, when working with heavy objects with a crane, it has often been confirmed that heavy objects are intentionally additionally loa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ip to prevent overturning due to loss of weight balance.

작업 중 전복사고가 일어나는 원인은 잔잔한 해상의 상황에서나 혹은 기후조건의 변화와 관계없이 매번 똑같은 양식작물 인양조건을 갖추어 작업하더라도 인양 대상이 고중량으로 될 경우, 전복 사고를 피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The cause of an overturn accident during work is that it is difficult to avoid an overturn accident when the lifting target becomes heavy, even if the lifting conditions are the same every time regardless of the change in climatic conditions or in calm sea condi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조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중량물 작업시에 발생하는 전복사고를 예방하고, 선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조부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buoyanc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capsize accident occurring during heavy work by providing auxiliary buoyancy and improving the stability of a shi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는, 선체 상에 배치되는 지지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하고, 일단이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신축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선체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Auxiliary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portion disposed on a hull, a plurality of fra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tretchabl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It may include a buoyancy unit for providing buoyancy to the hull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unit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가 관통 연결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and a second support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상기 제2 지지부는,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이격공간에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2 지지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체 상에 고정되는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into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and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2 may include a third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the other end fixed on the hull.

상기 연결부는,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구 및 상기 부력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formed at one end,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space and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and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buoyancy unit.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다단의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ylinder installed inside the frame and stretched and contracted by hydraulic pressure to sequentially draw in or withdraw the multi-stage fr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는, 보조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중량물 작업시에 발생하는 전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Auxiliary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uxiliary buoyanc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verturn accident occurring during heavy 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는, 연결부를 신축시킴에 따라 부력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보조부력 없이도 선박의 사용이 가능하며, 중량물 작업시에는 부력부를 통해 보조부력을 제공하여 선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auxiliary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par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ship can be used without auxiliary buoyancy. stabi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가 장착된 선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조부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조부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가 장착된 선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보조부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p equipped with an auxiliary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vessel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buoyancy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front view of Figure 1;
5 and 6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auxiliary buoyancy device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p equipped with an auxiliary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auxiliary buoyancy device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Conversely,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under"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below"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part exists in the midd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가 장착된 선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조부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p equipped with an auxiliary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ship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auxiliary buoyancy device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1 .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선박은 선체 상에 크레인(2) 및 보조부력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선박은 크레인(2)을 통해 중량물을 인양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레인(2)은 너클 크레인 또는 지브 크레인일 수 있다. 또한, 선박에는 유압공급부(미도시)가 설치되어 크레인(2)으로 유압을 공급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ship may have a crane 2 and an auxiliary buoyancy device 10 installed on the hull. The ship can work on lifting heavy objects through the crane 2. For example, the crane 2 may be a knuckle crane or a jib crane. In addition, a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ship to supply hydraulic pressure to the crane 2 so as to operate.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보조부력장치(10)는 지지부(100), 연결부(200) 및 부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부력장치(10)는 복수개가 선박의 양측에 설치되어, 선박에 보조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auxiliary buoyancy device 10 may include a support part 100 , a connection part 200 and a buoyancy part 30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a plurality of auxiliary buoyancy devices 1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ship to provide auxiliary buoyancy to the ship.

지지부(100)는 제1 지지부(110) 및 제2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0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110 and a second support part 120 .

제1 지지부(110)는 선체(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110)의 일면은 선체(1)의 내벽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110 may be installed on the hull (1). For example,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11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ull (1).

또한, 제1 지지부(110)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삽입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홀(111)은 일면에서 타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형태일 수 있다. 삽입홀(111)에는 후술할 연결부(200)가 관통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ertion hole 111 penetrating the other surfac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110 . For example, the insertion hole 111 may be inclined up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connection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enetra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11 .

제2 지지부(120)는 제1 지지부재(121), 제2 지지부재(122) 및 제3 지지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12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ember 121 , a second support member 122 and a third support member 123 .

제1 지지부재(121)는 제1 지지부(110)의 일측에서 선체(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1)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각은 소정 거리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의 이격공간에는 후술할 연결부(20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may be installed on the hull 1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110 . The first support members 121 are formed as a pair, and each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this time,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121 .

또한,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는 각각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연결홀(12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부재(231)가 연결홀(121b) 및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연결부(200)를 관통 연결함으로써, 연결부(200)가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121 may be formed with connection holes 121b penetrating each side surface. 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member 231 penetrates and connects the connection part 200 inserted between the connection hole 121b and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121, so that the connection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It can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21.

제2 지지부재(122)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 상단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를 연결할 수 있다. The second support member 122 is disposed on top of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121 to connect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121 .

제3 지지부재(123)는 일단이 제2 지지부재(1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선체(1)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3 지지부재(123)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재(121) 및 제2 지지부재(122)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third support member 123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122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ull 1. At this time, the third support member 123 may be inclin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ccordingly,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22 can be improved.

연결부(200)는 프레임(210), 실린더(220), 제1 연결구(230) 및 제2 연결구(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200 may include a frame 210 , a cylinder 220 , a first connector 230 and a second connector 240 .

프레임(2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다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프레임(210) 각각의 단면적은 상이하며, 단면적이 큰 프레임(210) 내부에 단면적이 작은 프레임(21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때, 최외측에 배치된 프레임(210)은 제1 지지부재(121)에 연결되고, 최내측에 배치된 프레임(210)은 부력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210)의 단면은 원형 또는 팔각형일 수 있다. A plurality of frames 210 may be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frames 210 has a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 and the frame 210 with a small cross-sectional area is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frame 210 with a large cross-sectional area. At this time, the outermost frame 2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 and the innermost frame 210 may be connected to the buoyancy unit 300 . As another example, the frame 210 may have a circular or octagonal cross section.

또한, 프레임(210)은 선체를 관통하거나 또는 선체의 테두리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210 may pass through the hull or be supported on the rim of the hull.

실린더(미도시)는 프레임(2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는 선박에 설치된 유압공급부(미도시)로부터 유압을 공급받거나 유압이 해제됨으로써 신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린더는 유압뿐만 아니라 공압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A cylind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rame 210 . For example, the cylinder may be expanded and retracted by receiving hydraulic pressure from a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not shown) installed in the ship or releasing hydraulic pressure. Alternatively, the cylinder may be actuated by pneumatic as well as hydraulic pressure.

이에 따라, 실린더는 다단의 프레임(210)을 순차적으로 인출하거나 인입시킴으로써 연결부(200) 전체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ylinder may allow the entir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200 to be stretched or retracted by sequentially pulling out or pulling in the multi-stage frame 210 .

제1 연결구(230) 및 제2 연결구(24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제1 연결구(230)는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고, 제2 연결구(240)는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구(230)는 최외측에 배치된 프레임(210)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2 연결구(240)는 최내측에 배치된 프레임(210)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230 and the second connector 240 have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first connector 23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connector 240 is the frame It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210).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230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outermost frame 210, and the second connector 240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innermost frame 210.

이때, 제1 연결구(230)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121)의 이격공간(121a)에 삽입되며, 제1 체결부재(231)가 관통 연결됨으로써 제1 지지부재(121)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or 230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space 121a of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121,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231 is penetrated and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21. can

제2 연결구(240)는 후술할 부력부(300)의 제3 연결구(320)에 삽입되며, 제2 체결부재(241)가 관통 연결됨으로써 부력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240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nnector 320 of the buoyancy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coupled to the buoyancy body 310 as the second fastening member 241 is through-connected.

부력부(300)는 부력체(310) 및 제3 연결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oyancy unit 300 may include a buoyancy body 310 and a third connector 320.

부력체(310)는 내부 공간을 갖는 통 형상으로, 내부에는 발포성 물질을 충진함으로써 부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체(31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내부에는 발포성 폴리우레탄이 충진 되고, 표면에는 폴리우레아가 도포될 수 있다.The buoyancy body 31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may have buoyancy by filling the inside with a foamable material. For example, the buoyancy body 3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made of aluminum, the inside of which is filled with foamed polyurethane, and the surface of which is coated with polyurea.

제3 연결구(320)는 부력체(3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연결구(320)에는 연결부(200)의 제2 연결구(240)가 삽입되고, 제2 체결부재(241)에 의해 제3 연결구(320) 및 제2 연결구(24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00) 및 부력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connector 32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uoyancy body 310 . The second connector 240 of the connector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third connector 320, and the third connector 320 and the second connector 240 may be connected b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241. Accordingly, the connection part 200 and the buoyancy part 300 may be coupled.

한편, 하나의 부력부(300)에는 다수 개의 연결부(200)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연결부(20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제1 지지부(110) 및 제2 지지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200 may be connected to one buoyancy part 300, and the number of first support parts 110 and second support parts 12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nnection parts 200 may be installed. .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조부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auxiliary buoyancy device shown in FIG.

보조부력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의 길이를 축소하여 부력체(310)를 수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의 길이를 늘려 부력체(310)를 수면에 잠기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부(200)의 길이를 신축시킴에 따라 부력체(310)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uxiliary buoyancy device 10 may reduc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200 to separate the buoyancy body 310 from the water surface, and as shown in FIG. 5,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200 may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uoyancy body 310 to be submerg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at is, the buoyancy body 310 can be raised and lowered as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200 is stretched and contracted.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310)를 하강시켜 수면에 잠기도록 할 경우, 부력체(310)가 선체(1)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when the buoyancy body 310 is lowered to be submerg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buoyancy body 310 may provide buoyancy to the hull 1.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2)을 작동시켜 중량물의 인양 작업을 할 경우 선체(1)가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이때 부력체(310)에서 제공하는 부력에 의해 선체(1)가 무게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수평 상태로 용이하게 복구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when lifting a heavy object by operating the crane 2, the hull 1 may be inclined to one side by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At this time, the buoyancy body 310 provides The weight of the hull 1 can be maintained by the buoyancy and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enabling it to be easily restored to a horizontal stat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10)는 보조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중량물 작업시에 발생하는 전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at is, the auxiliary buoyanc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n overturn accident occurring during heavy work by providing auxiliary buoyancy.

또한, 보조부력장치(10)는 연결부(200)를 신축시킴에 따라 부력부(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보조부력 없이도 선박의 사용이 가능하며, 중량물 작업시에는 부력부(300)를 통해 보조부력을 제공하여 선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buoyancy device 1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part 300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onnection part 200, so that the ship can be used without auxiliary buoyancy, and when working with heavy objects, through the buoyancy part 300 Auxiliary buoyancy can be provided to improve ship stability.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가 장착된 선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보조부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p equipped with an auxiliary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auxiliary buoyancy device shown in FIG.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력장치(10)는 지지부(100), 연결부(200), 부력부(300) 및 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박(1)의 일측에는 연결부(20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하로 소정 길이 연장된 가이드홀(3)이 형성될 수 있다.7 to 9, the auxiliary buoyancy device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part 100, a connection part 200, a buoyancy part 300 and an adjustment part 400, In one side of the ship 1, a guide hole 3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and downward may be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00 can move upward and downward.

지지부(100), 연결부(200) 및 부력부(300)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Since the support part 100, the connection part 200, and the buoyancy part 30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only the parts with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조절부(400)는 제1 받침부재(410), 제1 높이조절부(420), 제2 받침부재(430) 및 제2 높이조절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justing unit 400 may include a first supporting member 410 , a first height adjusting unit 420 , a second supporting member 430 and a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440 .

제1 받침부재(410)는 제1 지지부(110) 및 제2 지지부(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받침부재(410)는 선박(1)의 바닥 표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내입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410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support part 1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20 . The first supporting member 41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ssel 1, or may be inserted.

제1 높이조절부(420)는 선박(1)의 바닥 내측에 설치되어 제1 받침부재(41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높이조절부(420)는 실린더일 수 있으며, 선박에 설치된 유압공급부(미도시)로부터 유압을 공급받거나 유압이 해제됨으로써 신축될 수 있다.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4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ttom of the ship 1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member 410 . For example,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420 may be a cylinder, and may be expanded and contracted by receiving hydraulic pressure from a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not shown) installed in a ship or releasing hydraulic pressure.

이에 따라 제1 높이조절부(420)는 신축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받침부재(41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선박의 바닥에 안착시키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받침부재(4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420 expands and contracts, as shown in FIG. 8, the first support member 410 is moved downward to seat it on the bottom of the ship, or as shown in FIG. 9, the first The supporting member 410 may be moved upward.

제2 받침부재(430)는 선박(1)의 테두리 내측에 배치되어 연결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1)의 테두리 내측에는 상하로 연장되며 가이드홀(3)과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과 대응되는 형태의 제2 받침부재(430)가 테두리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받침부재(430)는 연결부(2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4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rim of the ship 1 to support the connection part 200 . For example, a space extending vertically and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hole 3 may be formed inside the rim of the vessel 1, and a second support member 43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is space is inserted into the rim It can be. Accordingly, the second support member 430 ma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00 .

다른 예로, 제2 받침부재(430)의 상부에 경사면(431)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431)은 연결부(200)의 경사각도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연결부(200)를 더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n inclined surface 43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430 . The inclined surface 43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part 200, so that the connection part 200 can be supported more effectively.

제2 높이조절부(440)는 선박(1)의 테두리 내측에 설치되어 제2 받침부재(43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높이조절부(440)는 실린더일 수 있으며, 선박에 설치된 유압공급부(미도시)로부터 유압을 공급받거나 유압이 해제됨으로써 신축될 수 있다.The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44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im of the ship 1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 member 430. For example,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unit 440 may be a cylinder, and may be expanded and contracted by receiving hydraulic pressure from a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not shown) installed on a ship or releasing hydraulic pressure.

이에 따라 제2 높이조절부(440)는 신축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받침부재(43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선박의 바닥에 안착시키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받침부재(41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440 expands and contracts,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430 is moved downward to seat it on the bottom of the ship, or as shown in FIG. 9, the first The supporting member 410 may be moved upward.

제1 높이조절부(420)를 통해 제1 받침부재(410)를 승하강 시킴으로써 부력부(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수면의 높이 등 주변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부력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buoyancy unit 300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first support member 410 up and down through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420 . Accordingly, the buoyancy unit 300 can be moved to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the height of the sea level.

또한, 제2 높이조절부(440)를 통해 제2 받침부재(430)를 승하강 시킴으로써, 제1 높이조절부(420)에 의해 가이드홀(3)을 따라 상하로 위치가 조절된 연결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부(200)가 상승되면서 가이드홀(3)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으나, 제2 받침부재(430)가 상승되면서 가이드홀(3)의 개방 부위를 막으므로 파도가 칠 경우 물이 흘러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aising and lowering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430 through the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440, the connection unit 200 whose position is adjusted vertically along the guide hole 3 by the first height adjusting unit 420 ) can be supported. As the connecting portion 200 is raised, a part of the guide hole 3 may be opened, but as the second support member 430 is raised, the open portion of the guide hole 3 is blocked, so that water flows in when waves hit. It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However,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means of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but these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선박 2: 크레인
10: 보조부력장치 100: 지지부
110: 제1 지지부 111: 삽입홀
120: 제2 지지부 121: 제1 지지부재
121a: 이격공간 121b: 연결홀
122: 제2 지지부재 123: 제3 지지부재
200: 연결부 210: 프레임
230: 제1 연결구 231: 제1 체결부재
240: 제2 연결구 241: 제2 체결부재
300: 부력부 310: 부력체
320: 제3 연결구
400: 조절부 410: 제1 받침부재
420: 제1 높이조절부 430: 제2 받침부재
440: 제2 높이조절부
1: ship 2: crane
10: auxiliary buoyancy device 100: support
110: first support 111: insertion hole
120: second support member 121: first support member
121a: separation space 121b: connection hole
122: second support member 123: third support member
200: connection part 210: frame
230: first connector 231: first fastening member
240: second connector 241: second fastening member
300: buoyancy part 310: buoyancy body
320: third connector
400: control unit 410: first supporting member
420: first height adjusting unit 430: second supporting member
440: second height adjusting unit

Claims (5)

선체 상에 배치되는 지지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프레임이 다단으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하고, 일단이 지지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신축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어 상기 선체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를 포함하는 보조부력장치.
a support placed on the hull;
A plurality of frames are stretchable in multiple stag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Auxiliary buoyancy device comprising a buoyancy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and adjusting its position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onnection unit to provide buoyancy to the hu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가 관통 연결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보조부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a first support portion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and
An auxiliary buoyancy device comprising a second support par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part, to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coupl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이격공간에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제2 지지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체 상에 고정되는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부력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support part,
a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a second support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and
Auxiliary buoyancy device comprising a third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fixed on the hul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제1 연결구; 및
상기 부력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는 보조부력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on part,
a first connector formed at one end and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space and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and
Auxiliary buoyancy device comprising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buoyanc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다단의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보조부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art,
Auxiliary buoyanc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ylinder installed inside the frame and stretched and contracted by hydraulic pressure to sequentially introduce or withdraw the multi-stage frame.
KR1020210075946A 2021-06-11 2021-06-11 Auxiliary buoyancy apparatus KR1025839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46A KR102583988B1 (en) 2021-06-11 2021-06-11 Auxiliary buoyanc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46A KR102583988B1 (en) 2021-06-11 2021-06-11 Auxiliary buoyanc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80A true KR20220166980A (en) 2022-12-20
KR102583988B1 KR102583988B1 (en) 2023-10-05

Family

ID=8453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946A KR102583988B1 (en) 2021-06-11 2021-06-11 Auxiliary buoyanc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98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624A (en) 2008-07-23 2010-02-02 고갑석 Ship balancing apparatus
KR20100092582A (en) * 2009-02-13 2010-08-23 청호파워텍(주) Generator using force of wave
KR20120087168A (en) * 2009-11-11 2012-08-06 프라운호퍼 유에스에이, 인크. System for wave energy harvesting employing transport of stored energ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624A (en) 2008-07-23 2010-02-02 고갑석 Ship balancing apparatus
KR20100092582A (en) * 2009-02-13 2010-08-23 청호파워텍(주) Generator using force of wave
KR20120087168A (en) * 2009-11-11 2012-08-06 프라운호퍼 유에스에이, 인크. System for wave energy harvesting employing transport of stored ener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988B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1557B2 (en) Offshore apparatus and method for oil operations
US7156040B2 (en) Extended semi-submersible vessel (ESEMI)
US5890835A (en) Hydraulic lift for boats
FI114306B (en) Procedure and pontoon for mounting a deck on a floating sea engineering substructure
AU2005226752A1 (en) Single column extendable draft offshore platform
JP7355806B2 (en)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objects from the deck of a ship exposed to movement
WO2015143490A1 (en) A loading platform assembly
NL2006280C2 (en) Vessel comprising a stabilizing system.
US4509446A (en) Drydocking device having a moment resisting arrangement
US7040680B2 (en) Load handling device
KR20190001451A (en) Floating structure
KR20220166980A (en) Auxiliary buoyancy apparatus
KR20110084874A (en) Lifting system
US20100003085A1 (en) Mating
US3739737A (en) Marine platforms
KR101186257B1 (en) A Crane Vessel With A Flotage And A Stabilization Method Thereof
KR102309460B1 (en) Port Plants and Methods for Mooring Floating Bodies in Port Plants
US3541986A (en) Submersible salvage unit and method of operation
KR20140144555A (en) Anti-roll apparatus for ship
EP1517831B1 (en) Multi-purpose heavy lift vessel
US2924946A (en) Submersible barge for off-shore drilling
JP2636156B2 (en) 3 float type floating boat stand
KR101959554B1 (en) Mud skid device for refloating sunken vessel
CN107323631B (en)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anti-shipwreck device of water injection type ship
JPS641918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