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687A -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687A
KR20220166687A KR1020210075757A KR20210075757A KR20220166687A KR 20220166687 A KR20220166687 A KR 20220166687A KR 1020210075757 A KR1020210075757 A KR 1020210075757A KR 20210075757 A KR20210075757 A KR 20210075757A KR 20220166687 A KR20220166687 A KR 20220166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llectual property
information
transaction
provid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피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피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피샵
Priority to KR102021007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6687A/ko
Publication of KR2022016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687A/ko
Priority to KR1020230130034A priority patent/KR20230142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서에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판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가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을 수행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조회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의 결과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 및 상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계약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계약에 관한 결과값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판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계약에 관한 승인 또는 거부를 선택하도록 지원하며, 그 후,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 승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판매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계약에 따른 거래를 완료한다. 상기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는, 거래 완료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거래가 완료됨을 표시하도록 지원한다.

Description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METHOD FOR PROVIDING MEDIATION SERVICE FOR INTELLECTUAL PROPERTY TRANSACTION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개시서에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판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가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을 수행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조회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의 결과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 및 상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계약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계약에 관한 결과값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판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계약에 관한 승인 또는 거부를 선택하도록 지원하며, 그 후,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판매 승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판매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계약에 따른 거래를 완료한다.
근래 지식재산권에 관한 가치 제고에 힘입어 날로 지식재산권의 거래가 점증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다른 재화 및 용역과 달리 무체재산권으로서의 지식재산권에 관하여는 최근의 편리한 온라인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이는 그러한 목적의 온라인 거래 시스템이 부재하거나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4056호에는 디지털 컨텐츠에 관한 거래 시스템이 개시되는데, 이 특허문헌에서 거래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은 디지털 컨텐츠인데, 이는 동 문헌에서 '디지털 이미지, 디지털 이미지와 사운드의 결합체, 디지털 동영상 혹은 이들의 유사 디지털 컨텐츠들로 온라인상에서 육안 혹은 청각에 의하여 인식되어지는 모든 데이터를 통칭'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즉, 이 특허문헌에서의 거래는 디지털화된 데이터에 관한 저작권에 한하여 이를 소정의 거래소에서 주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지분 거래하는 방식으로 이해된다. 이와 같은 거래소에 의한 거래는 수급에 의하여 정해진 주가에 의하여 다량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거래 가격의 일별 등락이 커서 지식재산권의 가치 평가에 비해 객관적이고 합리적이라 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유권에 한정되는바, 산업재산권 및 저작권을 아우르는 지식재산권 전반에 대한 1:1, 1:n, m:n 소유권, 사용권, 실시권 등의 거래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KR 10-0967301 B KR 10-2018-0024056 A KR 10-2222462 B KR 10-1293634 B
따라서 본 개시서에서는 지식재산권의 판매자와 구매자(구매희망자) 간의 중개에 있어서 그 지식재산권의 검증 및 가치 평가의 결과에 기하여 구매자에게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거래 가격 및 수수료를 제시하면서도, 소유권, 사용권, 실시권 등 다양한 종류의 권리에 관한 거래를 촉진하는 방식의 워크플로를 가진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개시서의 일 양상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그 방법은, (a) 판매자에 대응하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가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상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을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b) 구매자에 대응하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조회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의 결과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c)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 및 상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계약을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d)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생성된 계약에 관한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결과값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판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계약에 관한 승인 또는 거부를 선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e)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계약에 관한 승인을 포함하는 판매 승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판매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계약에 따른 거래를 완료하거나 완료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f) 상기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거래 완료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거래가 완료됨을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가 제공되는바, 그 컴퓨팅 장치는, 판매자에 대응하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을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ii) 상기 통신부에 의하여 구매자에 대응하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조회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의 결과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iii) 상기 통신부에 의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 및 상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계약을 생성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계약을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iv) 상기 생성된 계약에 관한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결과값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판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계약에 관한 승인 또는 거부를 선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v) 상기 통신부에 의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계약에 관한 승인을 포함하는 판매 승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판매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계약에 따른 거래를 완료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거래를 완료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vi) 상기 거래가 완료되면, 거래 완료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거래가 완료됨을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한다.
본 개시서의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지식재산권의 판매자와 구매자(구매희망자) 간의 중개에 있어서 구매자는 그 지식재산권의 검증 및 가치 평가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고, 판매자는 소유권, 사용권, 실시권 등 다양한 종류의 권리에 관한 거래를 할 수 있어 그의 이익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판매자 및 구매자 모두의 시간과 노력이 절감되며 편의성이 제고되고 경제적으로도 서로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있어서는 발명에 이르는 노력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서에 따라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이라 함)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서에 따른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로 소통(communication)하는 컴퓨팅 장치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서에 따른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인 서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서에 따른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단말인 판매자 단말 또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단말인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나타낸 예시적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판매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적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지식재산권 조회 요청 정보에 응하여 구매자가 이용하는 단말인 구매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는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나타낸 예시적 도면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구매자 단말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나타낸 예시적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개시서에서 이용된 "지식재산권"이라는 용어는 저작권, 산업재산권 및 기타 신지식재산권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산업재산권에는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등이 포함되고, 저작권에는 음원, 캐릭터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서에서는 지식재산권의 일종인 특허권을 대상으로 한 실시 예가 주로 개시되나 통상의 기술자는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하는바, 어떠한 순서도 시사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개시서에 표시된 실시 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개시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도면에 예시된 것과 상이한 문구,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개시서에 따른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인바, 후술되는 관리자 단말, 판매자 단말 및 구매자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들과 서버 및 결제 서버는 기본적으로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미도시)와 직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팅 장치(100)는, 전형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storage),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network-attached storage)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는 하드 디스크,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와 같은 기억 장치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연결 기반의 저장 장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통신부(110)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와의 사이에서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는바, 일 예시로서 그러한 요청과 응답은 동일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세션(session)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바, 예컨대 UDP(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그램(datagram)으로서 송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인터페이스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유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와 같이 적합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 컴퓨팅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덧붙여, 넓은 의미에서 상기 통신부(110)는 명령어 또는 지시 등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 장치, 인쇄 장치, 디스플레이, 기타 외부 출력 장치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연동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에게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컴퓨팅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내장하거나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그러한 디스플레이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1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또는 TPU(tensor processing unit),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서에 따른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로 소통하는 컴퓨팅 장치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320), 판매자 단말(340), 관리자 단말(360) 및 결제 서버(400)가 본 개시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지식재산권 거래 중계 장치인 서버(200)와 소통하는바, 이에 의하여 후술하는 본 개시서의 방법이 실시된다. 예컨대, 구매자 단말(320) 및 판매자 단말(340)은 휴대 단말일 수도 있고, 개인용 컴퓨터(PC)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제 도 3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본 개시서에 따른 방법을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개시서에 따른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인 서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서에 따른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컴퓨팅 장치인 서버(200)에서 실현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서버(200)를 포함한 본 개시서의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들은 복수개의 컴퓨팅 장치들(개별 모듈에 대응되는 장치들)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서버(200)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수의 컴퓨팅 장치들이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판매자에 대응하는 판매자 단말(340)로부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가 컴퓨팅 장치(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 획득 모듈(210)에 의하여 획득(S120)되면, 컴퓨팅 장치(200)가, 상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을 컴퓨팅 장치(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지식재산권 검증 모듈(230)을 통하여 수행(S140a)하거나, 그 대안으로서 타 장치, 예컨대, 관리자가 이용하는 관리자 단말(360)로 하여금 상기 검증을 수행하도록 지원(S140b)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단계(S100)에서 획득된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 및 상기 검증의 결과는 컴퓨팅 장치(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220) 또는 컴퓨팅 장치(200)의 통신부(110)에 의하여 소통되는 외부의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를 입력받거나 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판매자가 이용하는 단말인 판매자 단말 또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단말인 관리자 단말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나타낸 예시적 도면들이다.
단계(S100)에서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판매자 단말(34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는바, 상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는, 특허의 경우, 도 5a의 참조부호 510로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지식재산권의 출원번호 및 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출원일자, 등록일자, 권리자(판매자)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는 지식재산권의 거래 옵션을 포함할 수 있는바, 더 구체적으로, 그 거래 옵션은 판매 대상이 되는 지식재산권의 종류, 예를 들면, 특허권, 상표권, 특허권의 실시권 또는 상표권의 사용권을 포함할 수 있고, 실시권 또는 사용권과 같은 라이선스의 기간 및/또는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지식재산권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는 외부 링크 정보, 예컨대 URL(520), 그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의 표제(530), 그 지식재산권에 관한 간단한 설명(540), 상세 설명(57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0)에서는 지식재산권의 권리 및 지분의 가치가 검증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 이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의 거래 가격, 예컨대, 감정가 및 판매가가 그 지식재산권의 검증 결과(550)로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거래 가격은,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양도가액, 러닝 로열티(running royalty) 또는 고정 로열티(fixed royalty)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팅 장치(200)의 지식재산권 검증 모듈(230)에 의하여 상기 검증이 수행되는 제1 실시 예의 대안으로서 제2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타 장치, 예컨대, 관리자 단말(360)에 의하여 상기 검증이 수행되는데, 이를 위하여 관리자 단말에는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식재산권의 검증 결과(550), 지식재산권의 현재 상황(560) 및 기타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를 입력하여 이들을 컴퓨팅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판매자 단말 또는 관리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적 도면이다.
바람직하게는, 단계(S100)에서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이 완료되면, 컴퓨팅 장치(200)가 그 검증 결과(550)를 판매자 단말(340)에게 되돌려줌(S160)으로써 판매자 단말(340)로 하여금 그 검증 결과(550)를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바, 예컨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목록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들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구매자에 대응하는 구매자 단말(320)로부터 지식재산권 조회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지식재산권 데이터 제공 모듈(240)이,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의 결과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그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구매자 단말(320)에 제공함으로써 구매자 단말(320)로 하여금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방법에 따라 지식재산권 조회 요청 정보에 응하여 구매자가 이용하는 단말인 구매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는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나타낸 예시적 도면들이다.
도 7의 예시를 참조하면,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는,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의 표제(720), 그 지식재산권에 관한 간단한 설명(730), 그 지식재산권의 거래 가격(740) 및 현재 상황(75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는 상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 상기 지식재산권의 거래 수수료, 상기 지식재산권의 가치 평가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8에 예시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에는,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의 표제(810),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820), 지식재산권의 거래 가격을 포함하는 지식재산권의 가치 평가 정보(830), 지식재산권의 거래 옵션(840), 지식재산권의 현재 상황(85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현재 상황에는, 예를 들어, 아직 검증(혹은 감정)이 완료되지 않았으나 조회에 노출된 상태인 '준비 중' 상태, 구매자에 의한 구매가 가능한 상태인 '판매 중' 상태, 구매자에 의한 구매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인 '거래 중' 상태, 거래가 완료된 상태인 '판매 완료' 상태가 포함될 수 있는바, 참조부호 850로 예시된 바와 같다.
도 8에서 '판매 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판매 중'이라고 표시된 버튼을 제공하는 것의 대안으로서 '거래하기'라고 표시된 버튼(850)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구매자 단말(320)로부터 컴퓨팅 장치(200)가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다음 단계(S300)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9의 예시에는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의 다양한 항목들, 예컨대,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상세 설명, 상기 외부 링크 정보에 의하여 열람되는 상기 지식재산권의 내용, 리뷰 및 질문/답변 등의 항목들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910) 및 선택된 항목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920)가 예시된다.
더 구체적으로 그 지식재산권이 특허인 경우, 상기 지식재산권의 내용은 그 특허를 소개하는 내용, 특허의 대상인 기술의 개요, 목적, 기술 이전의 범위, 명칭, 권리자, 발명자 및 출원인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도 7 내지 도 9에 각각 예시된 것과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들, 문구들 및 상이하게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매자 단말(320)에 표시함으로써 그 구매자 단말(320)로부터 컴퓨팅 장치(200)가 상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계속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구매자 단말(320)로부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가 획득(S320)되면, 컴퓨팅 장치(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지식재산권 계약 처리 모듈(250)이,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 및 상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계약을 생성(S340a)하거나 그 대안으로서 타 장치, 예컨대, 관리자 단말(360)로 하여금 상기 계약을 확인 및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방법에 따라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구매자 단말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나타낸 예시적 도면들이다.
일 예시로서, 상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거래하기' 버튼(850)에 대한 조작에 의하여 구매자 단말(320)에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구매자 단말(320)에 입력되어, 컴퓨팅 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는바, 그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도 10a 내지 도 10c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는, 구매자(주문자)의 이름, 구매자의 휴대폰 또는 전화 번호, 구매자의 이메일 등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계약을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매자의 계약 당사자로서의 신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는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라이선스 기간 또는 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00) 다음으로,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계약 처리 모듈(250)이, 상기 생성된 계약에 관한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결과값 정보를 판매자 단말(340)에 제공함으로써 판매자 단말(340)로 하여금 상기 계약에 관한 승인 또는 거부를 선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계약에 관한 현재 상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준비 중', '판매 중', '거래 중', '판매 완료' 중 하나일 수 있다.
만약 상기 계약에 관한 판매 거부에 해당하는 판매 거부 정보가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200)의 계약 처리 모듈(250)은, 구매자 단말(320)에 그 판매 거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의 세부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그 반면, 단계(S400)에서 판매가 승인되면,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500)에서 컴퓨팅 장치(200)의 계약 처리 모듈(250)이, 판매자 단말(340)로부터 획득된 상기 계약에 관한 승인을 포함하는 판매 승인 정보에 응하여, 상기 판매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계약에 따른 거래를 완료하거나 완료하도록 지원한다(S520 내지 S580).
구체적으로, 단계(S500)에서 판매 승인에 따른 계약 완료(S560)가 수행될 수 있는바, 이는 전자 계약으로서 수행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전자 계약 및 이에 대응하는 신고서는 계약 처리 모듈(250)이 소정의 API를 통하여 해당 지식재산권을 관할하는 기관, 예컨대, 특허청 또는 저작권위원회에 제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500)에서 판매 승인에 따른 결제(S540)가 수행될 수 있는바, 그 결제의 액수는 상기 거래 가격 및 상기 거래 수수료를 포함할 수 있고, 그 결제는 예컨대 가상 계좌 및 포인트 거래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트 거래 시스템에 의할 경우, 결제(S540) 단계(S300)에서의 포인트의 적립은 상기 거래 가격 및 상기 거래 수수료에 비례하는 포인트에 관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거래 건당 소정의 고정 포인트에 관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다. 적립되는 포인트에 관한 정보, 예컨대, 포인트 액수, 적립 일시 및 이에 대응하는 구매자를 식별하기 위한 구매자 식별 정보는 소정의 포인트 데이터베이스(260; 미도시)에 기록될 수 있다. 그처럼 적립된 포인트를 결제에 이용하는 것 또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본 개시서의 지엽적인 상세 사항에서 본 발명의 정수를 흐리지 않도록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단계(S500)에서 판매 승인에 따른 계약 완료에 기하여,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의 세부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세부 정보는 현재 상황을 포함할 수 있는바, 예컨대 현재 상황이 '판매 완료'로 갱신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거래 단계(S500)가 완료되면, 컴퓨팅 장치(200)에 의하여 구현되는 지식재산권 계약 처리 모듈(250)이, 그 거래 완료 정보를 구매자 단말(320)에 제공함으로써 구매자 단말(320)로 하여금 상기 거래가 완료됨을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서의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의 몇몇 실시 예들에서는, 거래 완료의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700)가 더 수행될 수 있는바, 일 실시 예에서는, 단계(S700)에서 컴퓨팅 장치(200)가 구매자 단말(320)로부터 사용자 평가, 예컨대 동일 판매자에 의하여 판매되는 다른 지식재산권 또는 판매자 자신에 관한 평가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보유함으로써, 단계(S200)에서 지식재산권 조회 요청 정보에 응하여 구매자 단말(320)에 그 평가 정보가 제공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단계(S700)에서 상기 포인트의 적립 대신에, 또는 상기 포인트의 적립과 병행하여 컴퓨팅 장치(200)가 구매자 단말(320)에 소정의 할인 쿠폰을 제공할 수 있는바, 이를 위하여 할인 쿠폰 데이터베이스(270;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구매자에게 제공된 할인 쿠폰은 해당 구매자가 다른 구매의 기회에 이용할 수 있는바, 그 다른 구매의 단계(S600)에서 상기 할인 쿠폰의 이용 여부에 따라 상기 지식재산권의 거래 수수료가 감액될 수 있다. 다만 할인 쿠폰의 이용 양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이용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단계들(혹은 이에 대응되는 프로세스들)은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각각의 단계들(혹은 대응되는 프로세스들)은 논리적으로 모순되거나 맥락상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동시에 또는 이시(異時)에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서에 나타난 단계들이 하나 또는 여러 컴퓨팅 장치에서 운영체제에 의하여 취급되는 잡(job)으로서 단일의 프로세스(single process)로 수행될 수도 있고, 다중의 프로세스(multiple processes)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의 프로세스 내 존재하는 단일 스레드(single thread) 또는 다중 스레드(multiple threads)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각 단계들은 1회 수행될 여지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판매자 및 구매자를 포함하는 사용자들로부터 송수신되는 거래 중개 서비스 처리에 관한 요청에 지속적으로 응답하여 이들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은 실시간(real-time)으로, 그리고/또는 반복적으로(iteratively) 수행될 수 있는바, 서버(200), 관리자 단말(360) 등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그 반복을 수행하는 잡(job), 프로세스(process), 혹은 스레드(thread)가 복수로 마련되어 병렬 처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앞서 언급된 지식재산권 데이터베이스(220), 포인트 데이터베이스(260), 할인 쿠폰 데이터베이스(270) 등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본 개시서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지식재산권의 판매자와 구매자(구매희망자) 간의 중개에 있어서 구매자는 그 지식재산권의 검증 및 가치 평가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고, 판매자는 소유권, 사용권, 실시권 등 다양한 종류의 권리에 관한 거래를 할 수 있어 그의 이익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는 비대면 거래가 가능해지는바 이를 통하여 판매자 및 구매자 모두의 시간 및 노력이 절감되며 편의성이 제고되고 경제적으로도 서로 만족할 수 있는 거래 플랫폼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개시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관한 설명에 기초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들, 그리고 그 단계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특정 용례에 적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는 범용 컴퓨터 및/또는 전용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특별한 모습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들은 내부 및/또는 외부 메모리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컴퓨터,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혹은 대안으로서, 상기 프로세스들은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programmable gate array), 예컨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혹은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Programmable Array Logic; PAL) 또는 기타 명령어(instruction)를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전자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또는 장치들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인스트럭션),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에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기계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의 대상물 또는 선행 기술들에 기여하는 부분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기계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Blu-ray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전술한 장치들 중 어느 하나뿐만 아니라 프로세서, 프로세서 아키텍처 또는 상이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들의 이종 조합, 또는 다른 어떤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기계 상에서 실행되기 위하여 저장 및 컴파일 또는 인터프리트될 수 있는, C와 같은 구조적 프로그래밍 언어, C++ 같은 객체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고급 또는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어셈블리어, 하드웨어 기술 언어들 및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언어 및 기술들)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바, 기계어 코드, 바이트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양상에서는, 앞서 설명된 방법 및 그 조합들이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때, 그 방법 및 방법의 조합들이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실행 가능한 코드로서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일 양상에서는,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는 시스템들로서 실시될 수 있고, 방법들은 장치들에 걸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산되거나 모든 기능들이 하나의 전용, 독립형 장치 또는 다른 하드웨어에 통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양상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단계들을 수행하는 수단들은 앞서 설명한 임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모든 순차 결합 및 조합들은 본 개시서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ROM/RAM 등과 같은 메모리와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MPU, CPU, GPU, TPU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개발자들에 의하여 작성된 명령어들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본 개시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이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것에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논리적으로 동치(logically equivalent)인 방법이 포함될 것인 바,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는 전술한 예시들에 의하여 제한되어서는 아니되며, 법률에 의하여 허용 가능한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판매자에 대응하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가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상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을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b) 구매자에 대응하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조회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의 결과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c)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 및 상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계약을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d)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생성된 계약에 관한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결과값 정보를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판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계약에 관한 승인 또는 거부를 선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e)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계약에 관한 승인을 포함하는 판매 승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판매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계약에 따른 거래를 완료하거나 완료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f) 상기 거래가 완료되면, 상기 컴퓨팅 장치가, 거래 완료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거래가 완료됨을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지식재산권의 권리 및 지분의 가치가 검증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는 상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 상기 지식재산권의 거래 가격, 상기 지식재산권의 거래 수수료, 상기 지식재산권의 가치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의 세부 정보가 갱신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가상 계좌 및 포인트 거래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g) 상기 거래의 완료 후,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처리는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평가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소정의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할인 쿠폰의 이용 여부에 따라 상기 지식재산권의 거래 수수료가 감액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재산권은 산업재산권인,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재산권의 거래 가격은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양도가액, 러닝 로열티(running royalty) 또는 고정 로열티(fixed royalty)인,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는 라이선스 기간 또는 지역을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1.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판매자에 대응하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i)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을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ii) 상기 통신부에 의하여 구매자에 대응하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조회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검증의 결과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iii) 상기 통신부에 의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 및 상기 지식재산권 구매 요청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지식재산권에 관한 계약을 생성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계약을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iv) 상기 생성된 계약에 관한 현재 상황을 포함하는 결과값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판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계약에 관한 승인 또는 거부를 선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v) 상기 통신부에 의하여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계약에 관한 승인을 포함하는 판매 승인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판매 승인 정보에 따라 상기 계약에 따른 거래를 완료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타 장치로 하여금 상기 거래를 완료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vi) 상기 거래가 완료되면, 거래 완료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구매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거래가 완료됨을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세스에서 상기 지식재산권의 권리 및 지분의 가치가 검증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재산권 데이터 정보는 상기 지식재산권 식별 정보, 상기 지식재산권의 거래 가격, 상기 지식재산권의 거래 수수료, 상기 지식재산권의 가치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v) 프로세스에서 상기 지식재산권 판매 정보의 세부 정보가 갱신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vii) 상기 거래의 완료 후, 후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고,
    상기 후처리는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평가를 획득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구매자 단말을 통하여 소정의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10075757A 2021-06-10 2021-06-10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220166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57A KR20220166687A (ko) 2021-06-10 2021-06-10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0230130034A KR20230142685A (ko) 2021-06-10 2023-09-27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757A KR20220166687A (ko) 2021-06-10 2021-06-10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0034A Division KR20230142685A (ko) 2021-06-10 2023-09-27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687A true KR20220166687A (ko) 2022-12-19

Family

ID=845354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757A KR20220166687A (ko) 2021-06-10 2021-06-10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0230130034A KR20230142685A (ko) 2021-06-10 2023-09-27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0034A KR20230142685A (ko) 2021-06-10 2023-09-27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6668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01B1 (ko) 2007-12-21 2010-07-01 이명수 전자 상거래상의 물류비용 및 판매비용의 지급 그리고회수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방법
KR101293634B1 (ko) 2012-10-11 2013-08-13 주식회사 제이윈파트너스 오픈 마켓 정산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24056A (ko) 2016-08-25 2018-03-08 주식회사 씨에스 오픈마켓형 디지털 컨텐츠 거래 시스템
KR102222462B1 (ko) 2020-08-03 2021-03-03 주식회사 떴다마켓 휴대폰 판매 기반의 하이브리드형 토탈 오픈 마켓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01B1 (ko) 2007-12-21 2010-07-01 이명수 전자 상거래상의 물류비용 및 판매비용의 지급 그리고회수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 제공방법
KR101293634B1 (ko) 2012-10-11 2013-08-13 주식회사 제이윈파트너스 오픈 마켓 정산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24056A (ko) 2016-08-25 2018-03-08 주식회사 씨에스 오픈마켓형 디지털 컨텐츠 거래 시스템
KR102222462B1 (ko) 2020-08-03 2021-03-03 주식회사 떴다마켓 휴대폰 판매 기반의 하이브리드형 토탈 오픈 마켓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685A (ko)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25498A1 (en) Useful and novel shopping application
JP2018538639A5 (ko)
US11127047B2 (en) Digital promotion system using digital collectibles
US201502870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oling and converting purchase rewards to cash for end-users
JP6144959B2 (ja) 有価証券取引システム
TW202147200A (zh) 使用產品或服務作為多層次行銷樹之開始
KR20090001595A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US20210326954A1 (en) Multi-platform e-commerce system with asynchronous cart
KR20120084000A (ko) 구매패턴 기반 쇼핑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600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post-transaction orders and redemption
US20160379248A1 (en) Presenting opportunities for instant transactions
KR101569046B1 (ko) 상품구매 ui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20220383395A1 (en) Multi-service provider interactive support and communication interface
TWI640942B (zh) 線上議價系統及線上商品促銷系統
KR20220166687A (ko) 지식재산권 거래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0975724B1 (ko) 실시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JP7299713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RU118776U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KR102461944B1 (ko) 감정 이력에 따른 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매물 감정 거래 시스템
US11508002B2 (en) Totem based beauty consulting system and interface
US20240161178A1 (en) Extended reality storefronts
TW201903666A (zh) 線上團購方法
JP7232030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807333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EP4305579A1 (en) Totem based beauty consulting system and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