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632A - 배송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송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632A
KR20220165632A KR1020220000166A KR20220000166A KR20220165632A KR 20220165632 A KR20220165632 A KR 20220165632A KR 1020220000166 A KR1020220000166 A KR 1020220000166A KR 20220000166 A KR20220000166 A KR 20220000166A KR 20220165632 A KR20220165632 A KR 20220165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terminal device
route
spots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4364B1 (ko
Inventor
한태민
Original Assignee
히얼위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얼위고(주) filed Critical 히얼위고(주)
Priority to KR102022000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36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0016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436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배송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그 장치(서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을 배송하려는 화주가 물품을 수령하려는 사용자(고객 등)에게 물품을 배송하기 위해 복수의 배송자들을 매칭하고 복수의 배송자들의 스케줄을 제시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송 관리 플랫폼과 연계되는 무인 택배함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Description

배송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system to support the delivery process}
본 발명은 배송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그 장치(서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을 배송하려는 화주가 물품을 수령하려는 사용자(고객 등)에게 물품을 배송하기 위해 복수의 배송자들을 매칭하고 복수의 배송자들의 스케줄을 제시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송 관리 플랫폼과 연계되는 무인 택배함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통상적으로 구매자는 상점 등의 판매점을 방문하여 원하는 물건을 선택하고, 선택한 물건에 대한 구매 비용을 결제하는 것에 의해 오프라인 상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구매한 물건은 상점 등의 판매점에서 제공하는 배송 또는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장소로 배달시키거나 직접 구매한 물건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한다.
인터넷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전자상거래 시장은 거래가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래가 이루어진 상품의 운송을 위한 배송 서비스가 동반된다. 배송 서비스는 배송원이 고객의 요청 상품을 요청 배송지로 배송하는 서비스이며, 배송원은 배송원 단말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배송 서비스가 대중화되면서 고객이 지정한 배송지의 주소의 특정 장소에 배송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다만 이와 같이 배송 장소를 요청하는 경우 고객이 요구하는 사항이 정확하게 전달되기 어려워 배송원이 이와 같은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국내특허공보 제10-2017-0079143호 (2017.07.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은,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요청에 대응하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을 위한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확인하는 단계;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중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제1 물품 위치들을 확인하는 단계; 제1 물품 위치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제1 배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제1 배달 경로를 제1 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배달 경로의 출발지는 단말 장치의 위치이고, 제1 배달 경로의 도착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 중 하나인 제1 스팟이고, 제1 배달 경로는 제1 물품 위치를 경유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페이지는 복수의 물품들에 대응하는 인센티브(incentive)들 및 각 물품의 배달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배달 경로를 제1 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는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제1 물품 위치들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배송 관리 방법은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배달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배달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제1 물품의 최종 목적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스팟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1 스팟을 출발지점으로 하고 제2 스팟을 도착지점으로 하는 스팟 그래프(spot graph) 상의 최단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물품 배송 관리 방법은: 최단 경로에서 제1 스팟을 출발지점으로 하는 제2 배달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제2 배달 경로를 위한 제2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배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물품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인센티브(incentive)는 각 물품들의 배달 잔여 시간에 반비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물품 배송 관리 방법은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제2 요청에 대응하여 생성된 배달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배달 경로에 대한 정보는 배달 경로의 총 이동 거리, 배달 경로의 총 이동 소요 시간, 배달 경로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품 위치들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들을 합산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플랫폼이 구현되는 모바일앱 또는 웹사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송수신기(transceiver);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을 위한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중 상기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제1 물품 위치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물품 위치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제1 배달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배달 경로를 상기 제1 페이지에 표시하고, 상기 제1 배달 경로의 출발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이고, 상기 제1 배달 경로의 도착지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 중 하나인 제1 스팟이고, 상기 제1 배달 경로는 상기 제1 물품 위치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페이지는 복수의 물품들에 대응하는 인센티브(incentive)들 및 각 물품의 배달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배달 경로를 제1 페이지에 표시할 때 상기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제1 물품 위치들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배달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달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물품의 최종 목적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팟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스팟을 출발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2 스팟을 도착지점으로 하는 스팟 그래프(spot graph) 상의 최단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단 경로에서 상기 제1 스팟을 출발지점으로 하는 제2 배달 경로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배달 경로를 위한 제2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배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화주로부터 배송되는 물품을 수령자에게 효율적으로 배송할 수 있다. 또한, 화주는 배달하는 과정에서 일일이 물품의 배송을 관리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단 거리 알고리즘 및 최소 비용의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신속하게 물품의 배송을 보장할 수 있으며, 배달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배송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전자 장치는 스팟(spot)을 통하여 입고 및 출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물품의 배송이 지연되거나 분실되지 않게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물품의 배송을 스케줄링 및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물품의 배송을 스케줄링 및 관리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쇼핑몰과 연동하여 쇼핑몰의 물품의 배송을 스케줄링 및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배달원에게 배달 물품 및 도착 장소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배달원에게 배달 물품 및 도착 장소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배달원을 위한 물품 배송의 스케줄을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의 예시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장치(또는 그 서버)(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장치(100)를 실시예들에 따른 플랫폼 장치 또는 전자 장치(100), 플랫폼 서버(100)로 호칭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배송이 필요한 물품의 소지자(또는 점유자 즉, 화주(shipper, consignor))의 단말 장치(101)로부터 물품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화주는 즉, 화주의 단말 장치(101)를 통하여 배송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로 업로드한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화물은 수화물, 보관물, 위탁물, 수납물 등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화주의 단말 장치(101)로부터 물품의 배달 요청에 대응하여, 화주의 단말 장치(101)로부터 특정 거리의 범위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달원의 단말 장치(103)를 확인한다. 즉, 전자 장치(100)는 해당 물품을 특정 위치(예를 들어, 경유 센터)까지 옮겨줄 수 있는 배달원(또는 배달원들)을 매칭한다. 전자 장치(100)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103)의 위치와 화주의 물품의 위치를 확인한다. 전자 장치(100)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103)의 위치와 화주의 물품의 위치에 기반하여 가까운 거리의 경유 센터를 확인(및/또는 탐색)한다. 전자 장치(100)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103)의 위치를 시작점으로 하여, 화주의 물품의 위치를 경유하여, 경유 센터의 위치를 도착점으로 하는 경로(path)(또는 추천 경로)를 확인(및/또는 탐색)한다. 전자 장치(100)는 탐색하여 생성된 경로(또는 추천 경로)를 배달원의 단말 장치(103)에게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경유 센터는, 기 설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경유 센터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경유 센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유 센터에 대한 정보는 경유 센터의 위치, 경유 센터가 포함할 수 있는 화물의 총 수량(또는 총 중량), 경유 센터의 비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경유 센터는 스팟(Spot) 또는 허브(Hub)로 호칭될 수 있다. 스팟(spot)은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 그 위치를 저장한 특정 지역 또는, 물품이 입고되거나 출고될 수 있는 물류 센터를 의미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특정 구역 내에 있는 화주들의 물품들을 모두 고려하여 배달원을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역 내에 제1 물품, 제2 물품 및 제3물품 등 복수의 물품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물품들을 모두 특정 경유 센터(제1 스팟) 또는 복수의 스팟들(제1 스팟, 제2 스팟 등)로 옮겨줄 수 있는 배달원 또는 배달원들을 매칭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각 물품에 대하여 배달원의 이동 경로를 계산할 수 있고, 배달원에게 각 경로를 제시함으로써 배달원으로 하여금 해당 경로로 각 물품을 옮기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화주의 물품이 사용자(102)에게 도착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 장치(102)로 물품 배송 완료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화주, 사용자(또는 고객) 및/또는 배달원의 각각의 단말 장치(101, 102, 103)는 예를 들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2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1의 전자 장치(100)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2의 S201 단계 내지 S206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201), 제1 요청에 대응하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을 위한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확인하는 단계(S202),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S203),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중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품 위치들을 확인하는 단계(S204),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품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배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205), 및/또는 생성된 배달 경로를 제1 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S206)를 포함할 수 있다.
S201 단계에서, 배달원의 단말 장치는 도 1의 배달원의 단말 장치(103)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 장치의 위치는 예를 들어,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위치 센서(GPS 센서)에 의해 생성된 배달원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요청은 예를 들어,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요청일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원이 경유할 수 있는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확인할 수 있다.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는 예를 들어, 물품을 배송하고자 하는 화주 또는 물품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화주의 단말 장치는 자신의 물품의 위치 또는 자신의 위치를 전자 장치(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고, 서버는 물품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위치를 확인하여, 배달원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예를 들어, 배달원의 배달 수단이 도보인 경우 2km, 오토바이 또는 자동차인 경우 10km 등)인 물품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물품의 위치들뿐 아니라 스팟(spot)의 위치도 확인할 수 있다. 스팟은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페이지는 예를 들어, 현재 배달원의 단말 장치가 있는 위치에 대한 지도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지도 상에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페이지는 예를 들어, 상술한 지도 및 배달원의 단말 장치가 이동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따른 경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페이지는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과 함께, 각 위치에 대응하는 인센티브(incentive)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인센티브는 예를 들어, 배달원의 단말 장치가 특정 물품의 배달을 성공할 경우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포인트(또는 마일리지 또는 리워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원이 제1 물품을 제1 스팟으로 옮기는데 성공하는 경우(또는 특정 시간 내에 제1 물품을 제1 스팟으로 옮기는데 성공한 경우)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특정 수량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페이지는 각 물품의 위치에 대하여 해당 물품의 위치에 해당 물품에 대한 인센티브를 표시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중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품 위치들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배달원은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제1 페이지에서 표시된 지도에서, 표시된 물품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품들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배달원은 배달원이 스스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물품들을 지도 상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선택에 대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요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배달원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품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배달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배달 경로는 도 1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경로로, 거리 또는 시간을 기준으로 생성된 최단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배달원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품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을 조합하여 최적의 배달 경로를 생성한다. 배달 경로의 출발 지점은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위치일 수 있고, 배달 경로의 도착 지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 중 하나인 도착 스팟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아래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로들 중 최적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1) 출발지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위치일 것
2) 도착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 중 하나일 것
3) 배달 경로는 배달원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품 위치들을 모두 경유할 것
S206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생성된 배달 경로를 제1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배달원이 올바른 경로를 통해 배달을 수행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화주로부터 배송되는 물품을 수령자에게 효율적으로 배송할 수 있다. 또한, 화주는 배달하는 과정에서 일일이 물품의 배송을 관리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단 거리 알고리즘 및 최소 비용의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신속하게 물품의 배송을 보장할 수 있으며, 배달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배송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전자 장치는 스팟(spot)을 통하여 입고 및 출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물품의 배송이 지연되거나 분실되지 않게 보장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물품의 배송을 스케줄링 및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전자 장치(300)가 화주(301)의 하나의 물품(301a)을 복수의 배달원(301b)에 의해 배달되도록 복수의 경로들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이다. 예를 들어, 화주의 제1 물품을 제1 스팟(302), 제2 스팟, 제3 스팟 순서로 경유한 후, 사용자(즉, 수령인)(303)에게 도착하도록 복수의 배달원(301b)들을 매칭할 수 있다. 즉, 제1 물품이 화주의 요청에 의해 배송이 시작된 경우, 전자 장치(300)는 복수의 배달원 중에서 제1 배달원을 매칭하고, 화주의 제1 물품을 화주의 물품 위치로부터 제1 스팟(302)으로 이동시키도록 제1 경로를 제공(및/또는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300)는, 제1 스팟(302)으로 이동이 완료 (또는 이동이 완료되기 전) 되면 상기 복수의 배달원 중에서 다른 배달원인 제2 배달원을 매칭하고, 제1 물품을 제1 스팟(302)에서 제2 스팟으로 이동시키도록 제2 경로를 제공(및/또는 설정)할 수 있다. 이를 반복하여, 전자 장치(300)는 복수의 스팟들을 경유하여 사용자(303)에게 물품을 배송하도록 복수의 경로들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300)가 복수의 경유들을 생성(및/또는 설정)하는 방법은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전자 장치(300)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화주로부터 배송되는 물품을 수령자에게 효율적으로 배송할 수 있다. 또한, 화주는 배달하는 과정에서 일일이 물품의 배송을 관리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300)는 최단 거리 알고리즘 및 최소 비용의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신속하게 물품의 배송을 보장할 수 있으며, 배달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배송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전자 장치(300)는 스팟(spot)을 통하여 입고 및/또는 출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물품의 배송이 지연되거나 분실되지 않게 보장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물품의 배송을 스케줄링 및 관리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3에서 설명한 복수의 경로들을 생성(및/또는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이다. 하나의 경로는 하나의 배달원의 수행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배달원이 복수의 경로를 경유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물품의 배송을 위한 복수의 경로들을 생성(및/또는 설정)하기 위하여, 먼저 화주의 물품의 위치(400) 및/또는 수령인의 단말 장치의 위치(401)를 확인한다. 화주의 물품의 위치 및/또는 수령인의 단말 장치의 위치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고, 수령인의 단말 장치로부터 및/또는 화주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전자 장치는 화주의 물품으로부터 특정 범위 내의 스팟들의 위치까지의 최단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물품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또는 보관이 가능한 보관 가능량이 충분한 가까운 스팟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보관 가능량은 크기 및/또는 질량에 관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주의 물품이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의 H건물에 존재하는 경우, H건물로부터 특정 반경 범위(예를 들어, 2km, 4km 이내 등)에 존재하는 스팟들을 확인한다. 전자 장치는 상기 물품의 위치와 가까운 순서로 확인된 스팟들의 보관 가능량을 확인하고, 보관 가능량이 충분한 스팟의 위치를 제1 스팟(400a)으로 선택할 수 있다(도 4(A)의 동작 ①). 한편 보관 가능량이 충분하다는 것은 화주의 물품에 상응하는 크기(예; 가로, 세로, 높이), 무게(예; kg) 및/또는 개수가 보관 가능량에 상응하는 크기, 무게 및/또는 개수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그 다음으로 전자 장치는 수령인의 단말 장치의 위치(또는 수령인이 지정한 위치)로부터 특정 범위 내의 스팟들의 위치까지의 최단 경로를 확인한다. 즉, 전자 장치는 수령인의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또는 보관 가능한 보관 가능량이 충분한 가까운 스팟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수령인의 위치가 대전광역시 K 대학의 G건물에 존재하는 경우, G건물로부터 특정 반경 범위(예를 들어, 2km, 4km 이내 등)에 존재하는 스팟들을 확인한다. 전자 장치는 물품의 위치와 가까운 순서로 확인된 스팟들의 보관 가능량을 확인하고, 보관 가능량이 충분한 스팟의 위치를 마지막 스팟(400b)으로 선택할 수 있다(도 4(A)의 동작 ②).
동시에, 전자 장치(300)는 해당 물품의 위치 및 제1 스팟(302)의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1 배달원(301b)을 매칭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 해당 물품의 위치 정보, 제1 스팟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어, 배달원의 제1 페이지에 해당 물품의 위치, 제1 스팟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배달 승낙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제1 배달원을 위하여 제1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경로(402a)는 제1 배달원의 현재 위치를 출발지점으로 하고, 해당 물품을 경유하여 제1 스팟을 도착지점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기 저장된 스팟(spot)들에 기초하여 출발 지점을 제1 스팟(400a)으로, 도착 지점을 도착 스팟(400b)으로 하는 최단 거리 경로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각 스팟(spot)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스팟(spot)들 및 스팟(spot)들 간의 최단 거리를 미리 계산하여 저장한 그래프(graph) 형태의 데이터 구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미리 스팟들의 위치와 스팟들 간의 경로 계산해 놓고, 스팟의 위치를 버텍스(vertex)로, 각 스팟들 간의 거리를 간선(edge)의 비용(cost)로 하는 스팟 그래프(spot graph)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술한 스팟 그래프(spot graph)를 이용하여 제1 스팟을 출발지점으로 하고 도착 스팟(400b)를 도착 지점으로 하는 최단 경로를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최단 경로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Dijkstra Algorithm), 벨만 포드 알고리즘(Bellman Ford Algorithm),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Floyd Warshall Algorithm), A* 알고리즘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 4(B)에서 생성한 스팟 그래프 상의 경로에서, 각 경로를 구성하는 간선(edge)들을 제2 경로, 제3 경로 등으로 지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생성된 제2 경로, 제3 경로 등으로 물품을 배달하기 위해 각 경로에 대응하는 배달원들을 매칭할 수 있다. 다시, 제2 경로를 통해 물품을 배달하기 위하여, 제2 경로의 출발 스팟인 제1 스팟 및 도착 스팟인 제2 스팟으로부터 특정 범위 내의 제2 배달원을 매칭할 수 있다. 또, 제2 경로를 통해 물품이 제2 스팟에 도착한 경우(또는 도착하기 특정 시간 이내인 경우), 전자 장치는 제3 경로를 통해 물품을 배달하기 위하여, 제3 경로의 출발 스팟인 제2 스팟 및 도착 스팟인 제3 스팟으로부터 특정 범위 내의 제3 배달원을 매칭할 수 있다. 이를 반복하여 전자 장치는 도착 스팟(400b)까지 물품을 옮기도록 복수의 배달원들을 매칭할 수 있다(도 4(A)의 동작 ③).
도 4(B)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는 물품이 도착 스팟(400b)에 도착한 경우(또는 도착하기 특정 시간 이내인 경우) 마지막으로 마지막 배달원을 매칭하여 수령인의 위치로 물품을 배달하기 위한 마지막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도 4(A)의 동작 ④).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화주로부터 배송되는 물품을 수령자에게 효율적으로 배송할 수 있다. 또한, 화주는 배달하는 과정에서 일일이 물품의 배송을 관리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최단 거리 알고리즘 및 최소 비용의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신속하게 물품의 배송을 보장할 수 있으며, 배달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배송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전자 장치는 스팟(spot)을 통하여 입고 및/또는 출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물품의 배송이 지연되거나 분실되지 않게 보장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쇼핑몰과 연동하여 쇼핑몰의 물품의 배송을 스케줄링 및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화주인 쇼핑몰(500)의 물품을 주문자(고객, 504)의 위치의 배송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쇼핑몰(500)은 고객에게 배송하고자 하는 물품을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 업로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쇼핑몰의 물품들의 위치를 확인하고,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방법에 기초하여 물품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spot)들(501, 502, 503)을 경유하여 고객의 위치로 배송하도록 경로들을 계산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스팟들(501 내지 503)은 구역 별로 그룹핑(grouping)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배달원에게 배달 물품 및 도착 장소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제1 페이지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제1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페이지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위치, 스팟, 물품들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지도 영역(60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페이지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가 위치하는 장소 외 다른 장소를 보기 위한 인터페이스(600a)도 포함할 수 있다.
지도 영역(600)은,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아이콘(60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특정 거리의 범위에 있는 물품(들)을 나타내는 제2 아이콘(602), 실시예들에 따른 스팟(spot)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3 아이콘(60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아이콘(602)은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특정 거리의 범위에 있는 물품(들)의 위치뿐만 아니라, 해당 물품으로부터 배달원이 받을 수 있는 인센티브(incentive), 해당 물품을 배달원이 배달하는데 주어지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달원은 배달하고자 하는 물품을 해당 물품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배달원이 물품에 대응하는 제2 아이콘(들)을 선택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선택된 물품들을 확인할 수 있고, 선택된 물품들 및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페이지는 배달원이 선택한 물품 및 경로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제2 영역(7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은 예를 들어, 현재 배달원의 위치, 배달원이 배달하고자 하여 선택한 물품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배달원이 물품을 검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인센티브는 배달원이 해당 물품을 배달하는데 주어지는 시간에 반비례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해당 물품을 배달하는데 주어지는 시간에 반비례하도록 인센티브를 책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센티브(I, Incentive)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술한 수학식에서, I는 인센티브를 나타내며, T는 해당 물품을 배달하는데 주어지는 시간을 나타내며, D는 해당 물품을 출발 지점에서 도착 지점(예를 들어, 제1 스팟 등)까지의 이동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k는 D/T 값을 한화(KRW)로 변환하기 위한 비례 상수일 수 있다.
인센티브(I, Incentive)는 예를 들어, 배달량이 많은 시간대(예를 들어, 점심 시간, 저녁 시간, 야식 시간 등)에는 더 높게 책정될 수 있다. 즉, 인센티브는 시간 대비 배달량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서버)는 복수의 배달원들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모니터링 기간 동안 모니터링하거나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모니터링 기간은 1개월, 1년 등의 기 설정된 기간을 나타내거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배달이 수행된 횟수 또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추가로 접수된 배달원의 인원수(또는 名數)가 소정의 인원수일 때 까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추가로 접수된(또는 신고된) 배달원의 인원수
예를 들면, 거리의 제한이 없는 배달원에게 더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서버)는 아래의 수학식 2에 기반하여 제1 인센티브(또는 기본 인센티브)를 산출하고, 수학식 3에 기반하여 제2 인센티브(또는 최종 인센티브)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상술한 수학식 2에서, I0는 해당 배달원에게 할당되는 제1 인센티브를 나타내며, Tt(total Time)는 해당 배달원이 상기 소정의 모니터링 기간 동안 물품들을 배달하는데 주어졌던 시간들의 합을 나타내며, Dt(total Distance)는 상기 소정의 모니터링 기간 동안 물품들을 출발 지점들에서 도착 지점(예를 들어, 제1 스팟 등)들까지의 이동 거리들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k'는 I0 값을 한화(KRW)로 변환하기 위한 비례 상수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상술한 수학식 3에서, I'는 제2 인센티브를 나타내며, SN(Number of Spot)은 해당 배달원이 상기 소정의 모니터링 기간 동안 거쳤던 스팟의 개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팟의 개수를 카운팅할 때 중복되는 스팟은 제외될 수 있다. 즉 더 많은 스팟을 커버(cover)하는 배달원에게는 더 많은 인센티브를 줄 수 있으며, 이는 적은 범위의 배달을 수행하는 배달원보다는 넓은 범위의 배달을 모두 수행하는 배달원에게 더 많은 인센티브를 할당하고, 그런 배달원을 많이 유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의 배달 유동성을 높이기 위함이라고도 볼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배달원에게 배달 물품 및 도착 장소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제1 페이지(예를 들어, 도 6의 제1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제1 페이지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도(700) 및 제2 영역(7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703)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원이 선택한 물품들을 경유하는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스케줄 등록 버튼) (703a)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경로 생성을 위한 요청(인터페이스를 통한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들 및 스팟들의 위치를 확인하여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동작에 기초하여 배달원의 경로를 생성한 후, 생성된 경로를 실시예들에 따른 지도 상에 표시(702)할 수 있다. 제1 페이지는 생성된 경로를 통해 수령할 수 있는 총 마일리지(또는 포인트 또는 리워드)의 합계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페이지는 배달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영역(7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701)은 해당 물품의 명칭, 해당 물품의 배달 위치, 해당 물품의 원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이 배달원을 위한 물품 배송의 스케줄을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제공되는 제2 페이지(800)를 나타낸다. 제2 페이지(800)는, 해당 배달원을 위해 생성된 물품의 배달 경로의 자세한 현황을 나타낸다. 제2 페이지(800)는 물품이 정기 배송(800a)인지 및/또는 단기 배송(800b)인지로 분류하여 탭(tab) 형태로 구분되어 물품의 배달 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페이지(800)는 각 물품의 배달 스케줄을 간략히 보여주는 제4 영역(80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영역(801)은 예를 들어, 출발 지점 및 도착 지점의 명칭, 해당 경로의 총 이동 거리, 해당 경로의 총 이동 소요 시간, 해당 경로를 통해 배달원이 받을 수 있는 총 인센티브의 양, 해당 경로의 현재까지의 이동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은 화주의 물품을 보관하고, 배달원이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친 후에 상기 물품을 찾아갈 수 있는(수령할 수 있는) 무인 택배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은 무인 택배함 (예; 각종 시설(예; 지하철 역사(station), 식당(restaurant) 등) 내에, 및/또는 편의점 내 또는 앞에 설치되는 택배함 등)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사이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고객)에게 개선된 배송 관리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PI는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의미하며, 운영체제나 C, C++, Pascal 등과 같은 언어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때, 윈도우를 만들고 파일을 여는 것과 같은 처리를 할 수 있도록 1,000여 개 이상의 함수로 구성될 수 있다. API는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체제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 프로그램과 통신할 때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가지며, API는 프로그램 내에서 실행을 위해 특정 서브루틴에 연결을 제공하는 함수를 호출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API는 함수의 호출에 의해 요청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거나 또는 연결되어야 하는 몇 개의 프로그램 모듈이나 루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IoT는 사물 간 인터넷 혹은 개체 간 인터넷(Internet of Object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ICT는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과 통신 기술(Communication Technology, CT)의 합성어로 정보기기의 하드웨어 및 이들 기기의 운영 및 정보 관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기술과 이들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생산, 가공, 보존, 전달, 활용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예를 들면, 화주의 화물을 무인 택배함에서 상기 화주가 설정한 목적지까지 운반해주는 배달원이 상기 무인보관함(110)으로부터 상기 화주의 화물을 꺼내는 과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배달원이 배달원의 단말 장치(103)에서 배송 관리 플랫폼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송 관리 플랫폼은 상기 서버(100)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배달원은 상기 배송 관리 플랫폼을 통하여 표시되거나 출력되는 i) 무인 택배함에 대한 정보, ii) 무인 택배함에 보관된 화물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무인 택배함에 대한 정보는 무인 택배함의 복수의 보관 수단 각각에 대한 상태(예; 대기 상태, 예약 상태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배달원이 상기 배달원의 단말 장치(103)을 통하여 배달원의 제1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원은 상기 배달원의 단말 장치(103)을 통하여 배송 관리 플랫폼을 실행하고, 상기 배송 관리 플랫폼을 통하여 제1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103)로부터 서버(100)에게 전달되고, 상기 서버(100)에 기록될 수 있다.
제1 정보는 상기 배달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배달원의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주민등록번호,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송 관리 플랫폼은, 상기 배달원의 개인 정보를 통하여 소정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에만 실행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배송 관리 플랫폼은, 상기 배달원의 개인 정보를 통하여 소정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에만 실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무인 보관함의 잠금 장치(잠금 수단, 잠금 부재)를 해제(unlock)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배달원이 화물을 출력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무인 보관함의 잠금 장치를 잠금(lock)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에서 출력되는 정보 입력 페이지를 통하여 배송 서비스에 상응하는 화물을 출력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배달원이 제2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제2 정보가 입력된 시간을 상기 화물에 대한 배송이 시작이 시간으로 간주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제1 객체 및 제2 객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제1 객체를 선택하면 보관 서비스를 신청하는 제1 정보가 서버(100)에 의해 생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제2 객체를 선택하면 보관 서비스를 신청하는 제3 정보가 서버(1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무인 보관함의 보관 리스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 리스트'라 함은 무인 택배함의 복수의 보관 수단 각각이 소정의 화물을 보관하고 있는 '위탁 상태(leaving state)'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케이스부가 비어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대기 상태(waiting state)'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위탁 상태인 보관 수단을 예약 보관 수단(또는 위탁 상태 보관 수단, 위탁 상태인 보관 수단이라 할 수 있고, 대기 상태인 보관 수단을 대기 보관 수단(또는 대기 상태 보관 수단, 대기 상태인 보관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상기 제2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보관 수단에 화물이 보관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보관 수단을 소정의 화물을 보관 중인 예약 보관 수단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보관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도 9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의 예시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장치(또는 그 서버) (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11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장치(또는 그 서버) (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 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예들에 따른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은,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요청에 대응하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을 위한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확인하는 단계;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중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제1 물품 위치들을 확인하는 단계; 제1 물품 위치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제1 배달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제1 배달 경로를 제1 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배달 경로의 출발지는 단말 장치의 위치이고, 제1 배달 경로의 도착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 중 하나인 제1 스팟이고, 제1 배달 경로는 제1 물품 위치를 경유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페이지는 복수의 물품들에 대응하는 인센티브(incentive)들 및 각 물품의 배달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배달 경로를 제1 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는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제1 물품 위치들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배송 관리 방법은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배달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배달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제1 물품의 최종 목적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스팟을 확인하는 단계; 및 제1 스팟을 출발지점으로 하고 제2 스팟을 도착지점으로 하는 스팟 그래프(spot graph) 상의 최단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물품 배송 관리 방법은: 최단 경로에서 제1 스팟을 출발지점으로 하는 제2 배달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제2 배달 경로를 위한 제2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배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물품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인센티브(incentive)는 각 물품들의 배달 잔여 시간에 반비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물품 배송 관리 방법은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제2 요청에 대응하여 생성된 배달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배달 경로에 대한 정보는 배달 경로의 총 이동 거리, 배달 경로의 총 이동 소요 시간, 배달 경로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품 위치들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들을 합산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플랫폼이 구현되는 모바일앱(mobile app) 또는 웹사이트(websi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송수신기(transceiver);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을 위한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중 상기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제1 물품 위치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물품 위치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제1 배달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배달 경로를 상기 제1 페이지에 표시하고, 상기 제1 배달 경로의 출발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이고, 상기 제1 배달 경로의 도착지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팟들 중 하나인 제1 스팟이고, 상기 제1 배달 경로는 상기 제1 물품 위치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페이지는 복수의 물품들에 대응하는 인센티브(incentive)들 및 각 물품의 배달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배달 경로를 제1 페이지에 표시할 때 상기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제1 물품 위치들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배달 완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배달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물품의 최종 목적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팟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스팟을 출발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2 스팟을 도착지점으로 하는 스팟 그래프(spot graph) 상의 최단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단 경로에서 상기 제1 스팟을 출발지점으로 하는 제2 배달 경로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배달 경로를 위한 제2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배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 서버 및/또는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 서버 및/또는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프로세서(110))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플랫폼이 구현되는 모바일앱 또는 웹사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송수신기(transceiver);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1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을 위한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하나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상기 모바일앱 또는 상기 웹사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물품들의 위치들 중 상기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제1 물품 위치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물품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팟들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제1 배달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배달 경로를 상기 제1 페이지에 표시하되, 상기 제1 페이지는 복수의 물품들 각각에 대응하는 인센티브(incentive)들 및 각 물품의 배달 잔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배달 경로의 출발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위치이고, 상기 제1 배달 경로의 도착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팟들 중 하나인 제1 스팟이고,
    상기 제1 배달 경로는 상기 제1 물품 위치를 경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배달 경로를 상기 제1 페이지에 표시할 때, 상기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선택된 제1 물품 위치들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를 함께 표시하고,
    배달 완료 신호를 상기 제1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배달 완료 신호를 수신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물품의 최종 목적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팟들 중 하나인 제2 스팟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스팟을 출발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2 스팟을 도착지점으로 하는 스팟 그래프(spot graph) 상의 최단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최단 경로에서 상기 제1 스팟을 출발지점으로 하는 제2 배달 경로를 확인하고,
    배달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배달 경로를 위한 제2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게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제2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생성된 배달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페이지를 상기 모바일앱 또는 상기 웹사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생성된 배달 경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배달 경로의 총 이동 거리, 상기 배달 경로의 총 이동 소요 시간, 상기 배달 경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품 위치들에 대응하는 인센티브들을 합산한 값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물품들 각각에 대응하는 최종 인센티브를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기반하여 설정하되,
    [수학식 1]
    Figure pat00004

    I'는 상기 최종 인센티브를 나타내고, I0는 기본 인센티브를 나타내고, SN(Number of Spot)은 해당 배달원이 소정의 모니터링 기간 동안 거쳤던 스팟들의 개수를 나타내되, 상기 스팟들의 개수를 카운팅할 때 중복되는 스팟은 제외되고,
    [수학식 2]
    Figure pat00005

    T는 상기 복수의 물품들 각각을 배달하는데 주어지는 시간을 나타내며, D는 상기 복수의 물품들 각각을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고, k는 D/T 값을 한화(KRW)로 변환하기 위한 비례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달원의 단말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배달원의 제1 정보를 상기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배달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무인 물품 보관함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고,
    상기 배달원이 물품을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에서 꺼냈음을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무인 물품 보관함의 잠금 장치를 잠금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
KR1020220000166A 2022-01-03 배송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KR102664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166A KR102664364B1 (ko) 2022-01-03 배송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269A KR102347933B1 (ko) 2021-06-08 2021-06-08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0220000166A KR102664364B1 (ko) 2022-01-03 배송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269A Division KR102347933B1 (ko) 2021-06-08 2021-06-08 배송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632A true KR20220165632A (ko) 2022-12-15
KR102664364B1 KR102664364B1 (ko) 2024-05-09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143A (ko) 2015-12-30 2017-07-10 제갈영식 위치 및 가격 기반 배송 주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143A (ko) 2015-12-30 2017-07-10 제갈영식 위치 및 가격 기반 배송 주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630A (ko) 2022-12-15
KR102347933B1 (ko) 2022-01-06
KR102574815B1 (ko) 2023-09-06
KR20220165633A (ko) 2022-12-15
KR102574816B1 (ko) 2023-09-06
KR20220165631A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4816B1 (ko) 배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610253B2 (en) Order processing for remotely ordered goods
US202200278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erving space in carrier vehicles to provide on demand delivery services
TWI727667B (zh) 用於包裹收取及遞送之路徑計畫的設備、系統及電腦實施方法
JP6476232B2 (ja) 物流支援システム、物流支援方法、および物流支援プログラム
US10445691B2 (en) System for improving order batching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items in retail store and method of using same
JP6151430B2 (ja) 有人集配拠点の能力を管理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602471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cing curb-side deliveries
US10878367B2 (en) Automatic capacity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00311851A1 (en) Moving means display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moving means display program
WO2018175895A1 (en) System for inventory control
CN111433796A (zh) 提示装置以及提示方法
US20230245042A1 (en) Location-based transportation network
JP2007182289A (ja) 移動者向け物品配送方法
JP2018073032A (ja) 配送支援のための情報処理装置および配送システムならびに配送支援方法
JP716382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81932B2 (ja) 配送管理装置、配送管理方法および配送管理プログラム
KR20200016314A (ko) 방문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664364B1 (ko) 배송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
JP723976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664365B1 (ko) 배송 관리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JP694220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22005451A1 (en) Door-step time estimation and delivery route optimization
JP664971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30297933A1 (en) System for travel plan based ship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