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491A - 매트리스 폼 - Google Patents

매트리스 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491A
KR20220165491A KR1020210074185A KR20210074185A KR20220165491A KR 20220165491 A KR20220165491 A KR 20220165491A KR 1020210074185 A KR1020210074185 A KR 1020210074185A KR 20210074185 A KR20210074185 A KR 20210074185A KR 20220165491 A KR20220165491 A KR 20220165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user
mattress
insertion member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원
Original Assignee
서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원 filed Critical 서진원
Priority to KR102021007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5491A/ko
Publication of KR2022016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6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reinforced with sheet-like or rigid elements, e.g. prof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리스 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은 연성 재질로 형성되되, 상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에는 복수의 요홈이 형성된 바디 및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트리스 폼{MATTRESS FOAM}
본 발명은 경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리스 폼에 관한 것이다.
매트리스는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기 위해 바닥이나 침대 프레임 등의 상면에 적층하는 침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푹신하게 제조되고, 사용자는 매트리스 위에서 안락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사람마다 수면 자세와 습관이 다르고 신체의 구조나 똑같은 자극에 대해 느끼는 정도가 다르다. 따라서, 같은 매트리스위에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는 경우라도 사람마다 느끼는 안락함의 정도가 상이하게 된다.
특히, 사람마다 본인의 편안한 휴식을 위하여 매트리스가 제공하는 푹신함의 정도에 대해 각기 다른 선호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의 제조업자들은 다양한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나 다양한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 폼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이러한 매트리스나 매트리스 폼은 제조된 후에는 경도를 조절할 수가 없으므로,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이미 선택하여 구매한 매트리스가 나중에는 본인의 취향이나 신체 상태에 적합하지 않게 되더라도 계속적으로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맞춤형으로 경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매트리스 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각각의 사용자의 선호도에 적합한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 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경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매트리스 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전술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은 연성 재질로 형성되되, 상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에는 복수의 요홈이 형성된 바디 및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홈은 상기 상면에 복수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홈은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홈부를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되 상기 복수의 영역에는 상이한 형상의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에는 상기 요홈과 교차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요홈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사용자의 선호도에 적합한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 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경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매트리스 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효과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매트리스와 매트리스 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매트리스 폼의 사용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도 4의 X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도 4의 Y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도 4의 Z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폼(100)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매트리스와 매트리스 폼(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매트리스 폼(100)은 매트리스(MT)의 상측에 적층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트리스 폼(100)은 매트리스(MT)의 상측에 적층될 수 있고, 매트리스(MT)와 매트리스 폼(100)은 별도의 커버에 의해 커버되어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매트리스 폼(100)이 적층된 매트리스에 눕는 경우, 사용자는 매트리스 폼(100)의 경도에 따라 푹신함의 정도를 상이하게 느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측에 배치된 매트리스(MT)의 경도보다는 상측에 배치된 매트리스 폼(100)의 경도에 따라 느끼는 푹신함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감각은 매트리스 폼(1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매트리스 폼(100)의 경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에게 적절한 경도의 매트리스 폼(100)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폼(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폼(100)은 연성 재질로 형성되되, 상면(US), 하면(BS) 및 상기 상면(US)과 하면(BS)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SS)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US)에는 복수의 요홈(120)이 형성된 바디(110) 및 상기 요홈(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120)에 삽입되는 삽입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0)는 매트리스 폼(100)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구성일 수 있다.
바디(110)는 상면(US), 하면(BS) 및 상면(US)과 하면(BS)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SS)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US)은 바디(110)의 상측으로서, 사람이 눕는 부분일 수 있다. 사람은 바디(110)의 상면(US)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누울 수도 있으나, 바디(110)의 상면(US)과 사람의 사이에는 매트리스 커버나 담요, 이불 등이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면(BS)은 바디(110)의 하면(BS)으로서, 매트리스(MT)와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트리스(MT)의 상면에 매트리스 폼(100)이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매트리스(MT)의 상면과 매트리스 폼(100)의 하면(BS)은 접촉될 수 있다. 매트리스(MT)의 상면과 매트리스 폼(100)의 하면(BS)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도 있으나, 매트리스(MT)와 매트리스 폼(100)의 사이에는 매트리스 커버 등 별도의 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측면(SS)은 바디(110)의 상면(US)과 하면(BS)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SS)은 바디(110)의 옆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매트리스 폼(100)은 개략적으로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트리스 폼(100)은 개략적으로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SS)은 매트리스 폼(100)의 옆면을 따라 4개의 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110)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매트리스 폼(100)은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에게 푹신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바디(110)는 합성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성을 가져 상면(US)에 누운 사용자에게 푹신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바디(110)를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디(110)의 상면(US)에는 요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요홈(120)은 바디(110)의 상면(US)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요홈(120)은 바디(110)의 상면(US)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요홈(120)에는 삽입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재(200)는 요홈(120)에 삽입되어 매트리스 폼(100)의 경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부재(200)는 다양한 경도를 갖도록 다양한 종류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요홈(12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요홈(120)에 삽입되는 삽입부재(200)를 선택함으로써 매트리스 폼(100)의 경도를 선택할 수 있다.
삽입부재(200)는 바디(110)를 이루는 재질보다 큰 경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부재(200)는 폴리우레탄, 고무, 라텍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재(200)는 같은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다양한 경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요홈(120)에 삽입될 삽입부재(200)를 선택함으로써 매트리스 폼(100)의 경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디(110)보다 강한 경도를 가짐으로써 매트리스 폼(100)에 누운 사용자에게 일정한 경도를 제공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삽입부재(200)를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삽입부재(200)는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삽입부재(20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재(200)는 요홈(1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요홈(120)은 바디(110)의 상면(US)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요홈(120)은 바디(110)의 상면(US)에 복수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개인마다 상이한 체형을 가지고 있고, 개인마다 같은 외부의 자극에 의해 느끼는 자극의 정도가 다르다. 따라서, 요홈(120)이 바디(110)의 상면(US)에 복수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이나 신체적 특성이 대응되도록 특정 위치에 형성된 요홈(120)에 삽입부재(200)를 삽입하여 매트리스 폼(100)을 맞춤형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매트리스 폼(100)의 사용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디(110)의 상면(US)에는 복수의 요홈(120)이 복수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키나 체형에 대응되도록 원하는 위치에 삽입부재(200)를 삽입하여 본인의 체형이나 신체적 특성에 적절하도록 매트리스 폼(100)을 맞춤형으로 조립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경도의 삽입부재(200)를 요홈(120)에 삽입함으로써, 매트리스 폼(100)이 사용자가 원하는 경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매트리스 폼(100)은 사용자의 신체를 적절한 정도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요홈(120)마다 본인이 원하는 다양한 경도의 삽입부재(200)를 삽입함으로써, 각 부위마다 상이한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 폼(100)을 조립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신체 부위마다 원하는 경도대로 매트리스 폼(100)에 의해 지지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사용자는 허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요홈(120)에는 상대적으로 강성을 갖는 삽입부재(200)를 삽입하고, 하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요홈(120)에는 상대적으로 연성을 갖는 삽입부재(200)를 삽입하여 매트리스 폼(100)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요홈(120)의 개수와 배열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다수의 요홈(120)이 형성될 수 있고, 그 배열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로서, 삽입부재(200)는 요홈(120)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형성된 요홈(120)에 삽입부재(200)를 사용하여 맞춤형 매트리스 폼(100)을 조립하여 이용할 수 있고,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재(200)를 분리시키거나 다른 경도의 삽입부재(200)로 교체하여 매트리스 폼(10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본인의 취향, 체형 또는 신체적 특성에 따라 매트리스 폼(100)을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성장기에 있는 아이이거나 청소년인 경우, 신체의 크기가 변형되는 것에 기초하여 매트리스 폼(100)을 변형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매트리스 폼(100)의 주 사용자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그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되도록 매트리스 폼(100)을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트리스 폼(100)으로부터 삽입부재(200)를 모두 이탈시켜 바디(110)의 전 부위가 푹신하도록 변형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리스 폼(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10)의 상면(US)에는 복수의 요홈(120)이 형성될 수 있고, 요홈(120)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의 적어도 일부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홈(120)과 교차하는 위치에 돌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요홈(120)은 바디(110)의 상면(US)에 형성될 수 있고, 삽입부재(200)가 삽입되는 홈부와 홈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홈부를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홈(120)은 내부에 삽입부재(20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인 홈부가 형성될 수 있고, 홈부가 중심부에 마련되도록 홈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바디(110)의 상면(US)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바디(110)의 상면(US)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부의 내측에는 삽입부재(200)가 삽입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지지부는 홈부를 둘러싸도록 외측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일부 영역에는 불연속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불연속적인 부분으로 형성되되, 전체적으로는 홈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부(130)는 바디(110)의 상면(US)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매트리스 폼(100)의 상부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매트리스 폼(100)의 상부에 누운 경우 바디(110)는 삽입부재(200)가 삽입되지 않은 부분이 수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의 무게에 의해 바디(110)가 일부 수축하는 경우, 돌출부(130)는 바디(110)가 일정량 이상 수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매트리스 폼(100)에 누운 경우,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는 삽입부재(200)가 삽입되지 않은 바디(110)의 부분, 즉 돌출부(130)에 의해서도 일정 정도 지지받을 수 있어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130)는 바디(110)의 상면(US)에 형성되고 외측을 향해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130)는 요홈(120)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130)는 요홈(120)의 사이 또는 요홈(120)과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30)는 요홈(120)의 사이 또는 요홈(120)과 교차하는 위치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돌출부(130)는 바디(110)의 상면(US)에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130)는 바디(110)의 상면(US)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기둥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로서, 돌출부(130)는 요홈(120)의 지지부와 같은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요홈(120)의 지지부보다 낮은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측에 누워 바디(110)가 수축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비로소 접촉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30)가 요홈(120)의 사이 또는 요홈(120)과 교차하는 위치에 요홈(120)의 지지부보다 작거나 같은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측에 누워 바디(110)가 수축하는 경우에도 돌출부(130)가 빈 공간을 메워주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부(130)는 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30)는 바디(11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30)는 삽입부재(200)에 비해 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 돌출부(130)가 삽입부재(200)에 비해 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요홈(120)에 삽입부재(20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디(110)에 눕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는 돌출부(130)와 바디(110)에 의해 지지받을 수 있어 푹신함을 느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바디(110)의 상면(US)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되, 복수의 영역에는 상이한 형상의 요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요홈(120)은 바디(110)의 상면(US)의 구획된 영역마다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110)의 상면(US)은 제1 요홈(120a)이 형성된 제1 영역(A1), 제2 요홈(120b)이 형성된 제2 영역(A2) 및 제3 요홈(120c)이 형성된 제3 영역(A3)으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110)의 상면(US)은 사용자의 신체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도록 바디(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획될 수 있다. 즉, 바디(110)는 사용자가 바디(110)에 누웠을 때 머리부터 발 끝까지 향한 방향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제1 영역(A1)에는 머리가 위치하도록 하고, 제2 영역(A2)에는 허리를 포함한 상체나 하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하고, 제3 영역(A3)에는 하체의 나머지 부분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요홈(120a), 제2 요홈(120b), 제3 요홈(120c)은 형상이 다르므로, 각각의 요홈(120)은 하중에 의해 수축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요홈(120)의 형상은 구획된 영역별로 상이하므로 요홈(120)에 삽입부재(200)가 삽입된 경우나 삽입되지 않은 경우 바디(110)의 각 영역은 하중에 의해 수축하는 정도와 수축 태양이 상이할 수 있다.
이처럼, 영역별로 하중에 의해 수축하는 정도가 달라지는 경우 사용자가 누웠을 때 느끼는 푹신함이나 안락함은 구획된 영역별로 달라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형이나 신체적 특성에 따라 눕는 방향이나 위치를 달리하여 매트리스 폼(100)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X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제1 요홈(120a)이 형성된 제1 영역(A1)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5는 제1 요홈(120a)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제1 요홈(120a)에 삽입부재(200)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바디(110)의 제1 영역(A1)에는 제1 요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영역(A1)에는 복수의 제1 요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요홈(120a)은 제1 영역(A1) 내에서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요홈(120a)은 제1 홈부(121a)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홈부(121a)의 외측을 따라 제1 지지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21a)는 삽입부재(200)가 삽입되기 위해 마련된 공간일 수 있다. 제1 홈부(121a)는 삽입부재(20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재(200)는 제1 홈부(121a)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22a)는 제1 홈부(121a)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1 홈부(121a)를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지지부(122a)는 바디(110)의 상면(US)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내부에는 제1 홈부(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122a)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지지부(122a)는 초승달 모양으로 형성된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두 부분은 끝부분이 서로 이격되어 제1 지지부(122a)는 전체적으로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122a)는 내부에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지지부(122a)는 초승달 모양으로 형성되되, 내부의 일 영역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제1 지지부(122a) 내부에 형성된 홈 부분도 함께 수축하면서 외부의 하중을 완충할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로서, 제1 지지부(122a)의 불연속면은 사용자의 신체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 즉 사용자가 누웠을 때 좌우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영역(A1)에 머리를 대고 눕는 경우, 제1 요홈(120a)은 사용자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V" 형상으로 접히면서 수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요홈(120a)이 접히면서 제1 지지부(122a)의 이격된 부분이 서로 가까워져 접촉될 수 있고, 이에 의해 "V" 형상으로 제1 요홈(120a)이 접힐 수 있다. 따라서, 매트리스 폼(100)에 누운 사용자의 머리는 적절한 정도로 뒤로 젖혀질 수 있고, 매트리스 폼(100)은 사용자의 목이 편안하도록 머리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요홈(120a)에는 삽입부재(200)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바디(110)의 제1 영역(A1)의 일부분에 일정 정도 이상의 경도가 확보되기를 원하는 경우 경도가 확보되기를 원하는 부분에 위치한 제1 요홈(120a)에 삽입부재(200)를 삽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요홈(120a)의 사이 또는 제1 요홈(120a)과 교차하는 위치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30)는 제1 요홈(120a)의 제1 지지부(122a)와 같거나 낮은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측에 누워 바디(110)가 수축되는 경우 제1 지지부(122a)는 함께 수축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1 지지부(122a)도 함께 수축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측에 누워 바디(110)와 제1 지지부(122a)가 함께 수축하는 경우 돌출부(130)는 비로소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측에 누워 바디(110)가 수축하는 경우에도 돌출부(130)가 제1 요홈(120a)의 사이의 빈 공간을 메워주게 되므로, 바디(110)는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신체에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Y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제2 요홈(120b)이 형성된 제2 영역(A2)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7는 제2 요홈(120b)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2 요홈(120b)에 삽입부재(200)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바디(110)의 제2 영역(A2)에는 제2 요홈(120b)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영역(A2)에는 복수의 제2 요홈(120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요홈(120b)은 제2 영역(A2) 내에서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요홈(120b)은 제2 홈부(121b)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홈부(121b)의 외측을 따라 제2 지지부(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부(121b)는 삽입부재(200)가 삽입되기 위해 마련된 공간일 수 있다. 제2 홈부(121b)는 삽입부재(20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재(200)는 제2 홈부(121b)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22b)는 제2 홈부(121b)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2 홈부(121b)를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지지부(122b)는 바디(110)의 상면(US)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내부에는 제2 홈부(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122b)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지지부(122b)는 개략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삽입부재(200)가 삽입되기 위한 제2 홈부(121b)가 마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122b)는 사각형을 이루는 각 변은 제2 홈부(121b)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지지부(122b)는 전체적으로는 개략적인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네 변은 일부만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재(200)가 제2 홈부(121b)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부재(200)의 외측면의 일 영역은 제2 지지부(122b)의 굴곡진 부분과 접촉할 수 있어 삽입부재(20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로서, 제2 지지부(122b)의 각 꼭지점은 사용자가 누웠을 때 상하좌우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매트리스 폼(100)에 눕는 방향은 제2 지지부(122b)의 대각선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매트리스 폼(100)에 누운 경우 제2 요홈(120b)은 제2 홈부(121b)를 향해 접히면서 수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요홈(120b)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제2 홈부(121b)를 향해 구겨지듯 접히면서 수축될 수 있고, 제2 요홈(120b)에는 사용자의 허리나 등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부(122b)는 개략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 지지부(122b)의 각 꼭지점은 사용자의 상하좌우에 배치되므로, 제2 요홈(120b)은 제1 요홈(120a)에 비해 외부 하중에 의해 수축되는 정도가 적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면(US)에 누운 경우 제2 요홈(120b)은 상대적으로 덜 수축되므로 사용자의 허리나 등을 상대적으로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요홈(120b)에는 삽입부재(200)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바디(110)의 제2 영역(A2)의 일부분에 일정 정도 이상의 경도가 확보되기를 원하는 경우 경도가 확보되기를 원하는 부분에 위치한 제2 요홈(120b)에 삽입부재(200)를 삽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요홈(120b)의 사이 또는 제2 요홈(120b)과 교차하는 위치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30)는 제2 요홈(120b)의 제2 지지부(122b)와 같거나 낮은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측에 누워 바디(110)가 수축되는 경우 제2 지지부(122b)는 함께 수축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2 지지부(122b)도 함께 수축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측에 누워 바디(110)와 제2 지지부(122b)가 함께 수축하는 경우 돌출부(130)는 비로소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측에 누워 바디(110)가 수축하는 경우에도 돌출부(130)가 제2 요홈(120b)의 사이의 빈 공간을 메워주게 되므로, 바디(110)는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신체에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의 Z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제3 요홈(120c)이 형성된 제3 영역(A3)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9는 제3 요홈(120c)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3 요홈(120c)에 삽입부재(200)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바디(110)의 제3 영역(A3)에는 제3 요홈(120c)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3 영역(A3)에는 복수의 제3 요홈(120c)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요홈(120c)은 제3 영역(A3) 내에서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요홈(120c)은 제3 홈부(121c)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홈부(121c)의 외측을 따라 제3 지지부(122c)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부(121c)는 삽입부재(200)가 삽입되기 위해 마련된 공간일 수 있다. 제3 홈부(121c)는 삽입부재(20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재(200)는 제3 홈부(121c)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3 지지부(122c)는 제3 홈부(121c)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3 홈부(121c)를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지지부(122c)는 바디(110)의 상면(US)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내부에는 제3 홈부(121c)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3 지지부(122c)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지지부(122c)는 개략적으로 6각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삽입부재(200)가 삽입되기 위한 제3 홈부(121c)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로서, 제3 지지부(122c)의 각 꼭지점은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상하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고, 사용자의 좌우에 두개씩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매트리스 폼(100)에 눕는 방향은 6각별의 서로 대향하는 두 꼭지점을 가로지르는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매트리스 폼(100)에 누운 경우 제3 요홈(120c)은 제3 홈부(121c)를 향해 접히면서 수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요홈(120c)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제3 홈부(121c)를 향해 구겨지듯 접히면서 수축될 수 있고, 제3 요홈(120c)에는 사용자의 다리 등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3 지지부(122c)는 개략적으로 6각별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2 지지부(122b)에 비해 외부의 하중에 의해 수축되는 정도가 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면(US)에 누운 경우 제3 요홈(120c)은 상대적으로 더 수축되므로 사용자의 다리를 상대적으로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3 요홈(120c)에는 삽입부재(200)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바디(110)의 제3 영역(A3)의 일부분에 일정 정도 이상의 경도가 확보되기를 원하는 경우 경도가 확보되기를 원하는 부분에 위치한 제3 요홈(120c)에 삽입부재(200)를 삽입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요홈(120c)의 사이 또는 제3 요홈(120c)과 교차하는 위치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30)는 제3 요홈(120c)의 제3 지지부(122c)와 같거나 낮은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측에 누워 바디(110)가 수축되는 경우 제3 지지부(122c)는 함께 수축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3 지지부(122c)도 함께 수축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측에 누워 바디(110)와 제3 지지부(122c)가 함께 수축하는 경우 돌출부(130)는 비로소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바디(110)의 상측에 누워 바디(110)가 수축하는 경우에도 돌출부(130)가 제3 요홈(120c)의 사이의 빈 공간을 메워주게 되므로, 바디(110)는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신체에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MT: 매트리스
100: 매트리스 폼
110: 바디
120, 120a, 120b, 120c: 요홈
121a, 121b, 121c: 홈부
122a, 122b, 122c: 지지부
130: 돌출부
200: 삽입부재

Claims (7)

  1. 연성 재질로 형성되되, 상면,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에는 복수의 요홈이 형성된 바디; 및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상면에 복수의 열과 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매트리스 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삽입부재가 삽입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홈부를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되,
    상기 복수의 영역에는 상이한 형상의 요홈이 형성되는, 매트리스 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는,
    상기 요홈과 교차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된, 매트리스 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요홈에 탈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매트리스 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매트리스 폼.
KR1020210074185A 2021-06-08 2021-06-08 매트리스 폼 KR20220165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185A KR20220165491A (ko) 2021-06-08 2021-06-08 매트리스 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185A KR20220165491A (ko) 2021-06-08 2021-06-08 매트리스 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491A true KR20220165491A (ko) 2022-12-15

Family

ID=8443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185A KR20220165491A (ko) 2021-06-08 2021-06-08 매트리스 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54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1335B1 (en) Mattress structure, mattress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mattress
US20120233784A1 (en) Multiple zone gel cushion
US20100005594A1 (en) Cushioning structures for body parts
US9668584B2 (en) Meditation support
JP6231865B2 (ja) マットレス
JP3120773U (ja) マットレス
KR20220165491A (ko) 매트리스 폼
KR101205824B1 (ko) 다경도?다탄성 매트리스의 제조방법
JP2003339484A (ja) 弾性体ユニットおよびマットレス
CA3030739A1 (en) Coil spring mattress construction
JP3206930U (ja) マットレス
KR100401331B1 (ko) 신체부위에 대응하여 다른 경도를 갖는 매트리스
JPH0161047B2 (ko)
KR102629541B1 (ko) 수면자세 맞춤기능 교정 베개
JP2002159375A (ja) 寝 具
CN215650109U (zh) 一种腰背支撑件及靠背组件
KR102355396B1 (ko) 베개
RU2589426C1 (ru) Подушка
US20220287469A1 (en) Adjustable mattress side rails
US20220202196A1 (en) Mattress
JP3109153U (ja) 背骨安定盤,及び背骨安定用寝具
EP2410890B1 (en) Seat backrest
KR20100008737U (ko) 매트리스
KR200372638Y1 (ko) 접이형 매트리스
KR200353542Y1 (ko) 이종 매트리스를 갖는 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