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489A -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489A
KR20220165489A KR1020210074179A KR20210074179A KR20220165489A KR 20220165489 A KR20220165489 A KR 20220165489A KR 1020210074179 A KR1020210074179 A KR 1020210074179A KR 20210074179 A KR20210074179 A KR 20210074179A KR 20220165489 A KR20220165489 A KR 20220165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rthritis
bongsul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걸
김창훈
홍선혜
Original Assignee
(주)애드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드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애드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1007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5489A/ko
Publication of KR2022016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4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STAT3 루시퍼라제 활성을 저해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관절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VIGNA ANGULARIS AND EXTRACT OF CURCUMA ZEDOARIA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S}
본 발명은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절(joint)은 뼈와 뼈가 연결된 부분으로서 팔, 다리 등 신체 여러 부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해준다. 관절을 이루는 뼈 끝은 매끈한 연골로 덮여있고 이 주위를 활막이 둘러싸고 있으며, 활막 바깥에는 관절주머니 있다. 활막은 활액을 분비해 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하고, 관절 주변 근육은 힘줄에 의해 뼈에 연결되어 관절을 움직일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며, 인대는 뼈 사이를 연결하여 관절 조직이 한 덩어리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관절염은 관절에 염증 및 통증이 발생되는 질환으로서, 주요하게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염, osteoarthritis) 및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으로 나눌 수 있다. 골관절염은 특정한 기질적 원인이 없이 주로 노화에 의해 많이 발생되며, 류마티스 관절염은 주로 30, 40대에서 잘 발생하며 여성에게서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절염은 사망에 이르는 중증 질환은 아니지만 관절의 통증, 활동 제한 등으로 삶의 질을 현저히 저하시키며, 치료 목적에 따른 개인 국가의 의료비 등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관절염은 장기간 치료를 필요로 하는데, 치료는 크게 비약물적 보존적 치료, 약물요법 및 수술적 치료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관리되는 비약물적 치료로 효과가 없거나 질환진행 정도에 따라서 약물요법을 병행한다. 약물요법으로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이부프로펜(ibuprofen), 나프록센(naproxen), 인도메타신(indomethacin)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등 증상 개선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소화기-심혈관계 부작용, 과민반응, 면역체계 악화와 같은 부작용이 발생한다. 또한 주사제의 경우 직접 투여해야 한다는 부담감 및 주사 부위에 염증 등 부작용을 겪는 환자가 많으며, 퇴행과 연골 생성촉진 및 재생유도하는 연골보호제는 그 효과가 미미하므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관절염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적소두(赤小豆)는 콩과의 식물로서 콩과의 팥(Phaseolus angularis Wight)의 종자이다. 적소두, 즉 팥은 우리나라와 중국등지에서 즐겨 먹는 곡물 중 하나이다. 적소두는 이뇨, 소염, 해농, 해열에 효능이 있으며, 전신부종, 간경화, 황달, 종기, 화농성 질환, 수종, 각기병, 소갈, 이질설사 등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봉술(Curcuma zedoaria)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인도가 원산지이다. 키는 40~50cm 정도이고, 잎보다 꽃줄기가 먼저 자라며, 꽃이 이삭꼴 꽃차례로 달린다. 봉술의 육질 뿌리줄기인 봉출(아출)은 어혈, 소화 기능 개선, 염증 개선 등에 효과가 있어 주로 봉출을 약재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봉술의 꽃 추출물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특히 봉술 꽃 추출물의 관절염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종래에 봉출 추출물의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743617호는 봉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봉출 에탄올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기재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는 봉술의 뿌리줄기인 봉출에 대한 항염증 효과만 개시되어 있을 뿐, 봉출의 관절염 치료 효과와 봉술의 꽃 추출물에 대한 관절염 치료효과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편, 화학 물질을 배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의약품인 합성 의약품은 저렴하고 복용이 편리하며 효능도 일정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부작용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부작용이 적으면서 효능도 뛰어난 생약재(生藥材)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생약재로 쓰이는 약용식물은 일반적으로 통증완화, 해독, 해열, 방부, 수렴 및 항염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활성성분은 약용식물의 추출하는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목적하는 효과에 따른 약용식물 부위의 선택은 약용식물의 원료화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 퇴행성 관절염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1743617 B1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퇴행성 관절염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합성 의약품은 저렴하고 복용이 편리하며 효능도 우수하나 다양한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용식물을 스크리닝 한 결과,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이 관절염 치료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봉술 추출물은 봉술의 전체, 또는 줄기, 뿌리, 잎, 꽃, 열매 및 씨앗으로 구성된 군으로 선택되는 봉술의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봉술 꽃 추출물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약용식물의 활성성분은 약용식물 추출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 약재 성분으로 이용되는 봉술의 뿌리줄기, 즉 봉출 추출물과 봉술 꽃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봉출 추출물보다 봉술 꽃 추출물에서의 유효성분 함량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봉술 꽃 추출물을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이용할 경우,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적소두 추출물 또는 봉술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 예컨대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약용식물의 일반적인 추출방법으로는 열수추출, 에탄올추출, 초음파추출, 가압추출, 초임계추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은 1:10 내지 10:1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중량비를 벗어날 경우 최적의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
본 발명의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은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9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70 중량% 초과할 경우 추출물의 함량 대비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미미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관절염은 퇴행성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강직성척추염, 반응성관절염, 건선관절염, 전신성홍반성루프스, 다발성근육염(polymyositis) 및 류마티스다발근육통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관절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퇴행성 관절염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과립제 및 캅셀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제로 제형화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의 혼합물(실시예)이 적소두 단독 추출물(비교예 1) 또는 적소두 추출물 및 봉출 추출물의 혼합물(비교예 2)보다 STAT3 루시퍼라제 활성을 저해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2 내지 표 4 참조). 특히, 봉술 꽃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한 실시예가 봉술 뿌리줄기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한 비교예 2보다 모든 측면에서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같은 약용 식물일지라도 식물의 부위에 따라 그 효과는 상이할 수 있으며, 적소두 추출물과 혼합하기 위한 추출물로서 봉출 추출물보다 봉술 꽃 추출물이 관절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적합함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며, 함량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은 STAT3 루시퍼라제 활성을 저해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관절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제조예 1: 봉술 추출물의 제조
봉술의 꽃을 세절하여 봉술 꽃의 10배 용량의 95%(w/w%) 에탄올에 넣고 상온에서 5일간 교반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N0. 5)로 여과하여 추출물 9.5L(고형분 160.5g)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2: 봉출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봉출을 믹서로 분말화 후 입자크기를 표준화시켜 상온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상기 봉출 분말에 10배 용량의 95%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N0. 5)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유효 성분 함량의 확인
제조예 1 및 2에서 제조한 각 추출물 내에서 유효성분인 올레아놀린산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HPLC 분석은 통합 컬럼 히터(integrated column heater), 오토샘플러(autosampler) 및 광다이오드 분석 검출기(2998)를 가진 분리 모듈(e2695)로 이루어진 Waters 시스템 (Waters Corp., Milford, MA)으로 수행하였으며, UV 흡수는 200-400nm에서 관찰하였다. 정량화는 280nm에서 피크(peak) 영역을 통합하여 수행하였다. 주사 부피는 10㎕이고, 컬럼(Jshpere ODS-H80, 250mm 4.6mm; 입자 크기, 4㎛; YMC Co. Ltd., Japan)을 컬럼 오븐(column oven)에 설치하고 40℃로 유지하였다. 이동상은 1% 아세트산(용매 A) 및 아세토나이트릴(용매 B)을 함유하는 물로 하였다. 유속은 1.0mL/분으로, 농도구배는 0.0 min, 8% B; 3.5 min, 15% B; 12.0 min, 17% B; 23.0 min, 24% B; 28.0min, 50% B; 33.0 min, 100% B; 40.0 min, 100% B; 및 50.0 min, 8% B로 하였다. 작동 사이에 재평형(reequilibration) 시간을 20분간 주었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올레아놀린산 함량(μg/ml)
제조예 1(봉술 추출물) 81.45±0.18
제조예 2 (봉출 추출물) 39.16±0.15
그 결과,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봉술 추출물에서의 유효성분(올레아놀린산)이 봉출 추출물에서 보다 2배 더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적소두 추출물은 평양상회(강원도 횡성군 안흥)에서 구입한 적소두 20kg을 95% 에탄올을 5배수로 희석하여 추출 온도 70℃에서 교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농축방식을 이용하여 60℃ 이하에서 50 brix 이상이 되도록 농축한 후 70℃에서 60분 동안 살균하여 제조하였다.
봉술 추출물은 봉술의 꽃을 세절하여 봉술 꽃의 10배 용량의 95%(w/w%) 에탄올에 넣고 상온에서 5일간 교반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N0. 5)로 여과하여 추출물 9.5L(고형분 160.5g)를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꽃 추출물을 3 : 7 중량비로 혼합하여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적소두 추출물의 제조
적소두 추출물은 평양상회(강원도 횡성군 안흥)에서 구입한 적소두 20kg을 95% 에탄올을 5배수로 희석하여 추출 온도 70℃에서 교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농축방식을 이용하여 60℃ 이하에서 50 brix 이상이 되도록 농축한 후 70℃에서 60분 동안 살균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적소두 추출물 및 봉출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적소두 추출물은 평양상회(강원도 횡성군 안흥)에서 구입한 적소두 20kg을 95% 에탄올을 5배수로 희석하여 추출 온도 70℃에서 교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농축방식을 이용하여 60℃ 이하에서 50 brix 이상이 되도록 농축한 후 70℃에서 60분 동안 살균하여 제조하였다.
봉출 추출물은 건조된 봉출을 믹서로 분말화 후 입자크기를 표준화시켜 상온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상기 봉출 분말에 10배 용량의 95%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N0. 5)로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적소두 추출물 및 봉출 추출물을 3 : 7 중량비로 혼합하여 적소두 추출물 및 봉출 추출물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IL-6에 의해 유도되는 STAT3의 전사활성 억제 효과 분석
2-1. 루시퍼라제(luciferase)가 도입된 형질전환체의 제조
인간 간암세포주인 Hep3B 세포(ATCC HB-8064)에 STAT3 리포터 유전자를 포함하는 pStat3-Luc와 pcDNA3.1(+)(Clontech laboratories, Palo Alto, CA)를 리포펙타민 플러스(lipofectamine plus, 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이용하여 형질감염(transfection)시켰다. 형질감염 이틀 후,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을 상기 형질감염시킨 세포에 100 ㎍/㎖의 농도로 처리하여 루시퍼라제(luciferase)가 안정하게 발현되는 클론(clone)을 얻었다. 이 클론에서 루시퍼라제가 안정하게 발현되는지 여부는 루시퍼라제 어세이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2-2. IL-6 반응성 STAT3 루시퍼라제 검사
상기 형질감염된 세포를 DMEM(GIBCO 119950965) 배지로 무혈청 배양(serum starvation)하고 시료(실시예, 비교예 1, 2)를 1시간 처리한 후, 10 ng/㎖ IL-6(R&D system, USA)를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반응한 세포를 PBS로 세척한 다음, 50 ㎕ 용해 완충용액(luciferase assay system, promega, USA)을 넣고 20분간 교반한 다음, 30 내지 100 ㎕의 루시퍼라제 기질(luciferase assay system, promega, USA)을 넣고 발색 정도를 루미노미터(luminometer; EG&G BERTHOLD, USA)를 이용하여 5분 안에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비교예 1 및 비교예 2를 처리한 군을 기준으로 하여 IL-6에 의해 유도되는 STAT3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50% 저해하는 농도를 계산하여 IC50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IC 50 (μM)
실시예 0.32
비교예 1 7.2
비교예 2 2.7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의 혼합물(실시예)이 적소두 추출물(비교예 1) 단독, 또는 적소두 추출물과 봉출 추출물의 혼합물(비교예 2)보다 STAT3 저해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염증성 인자 발현 억제 효과 확인
실시예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추출물의 관절염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poly(I)와 poly(I:C)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성 인자 발현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Human peripheral blood monocytic cell line인 THP-1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poly(I) 혹은 poly(I:C)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성 인자 억제 효과 측정을 위해 THP-1 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5×105 세포수가 되도록 분주하고, FBS를 첨가 하지 않은 RPMI 1640(penicillin 100 units, streptomycin 100 ㎍) 배지로 배양하였다. 12 시간 후, 시료의 최종농도가 60㎍/㎖ 가 되도록 DMSO(dimethylsulfoxide) 로 희석하여 1시간 전처리 하고, 50㎍/㎖의 poly(I) 혹은 100㎍/㎖의 poly(I:C)를 처리하여 37℃에서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후, 세포를 튜브에 모아 원심분리 하여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1회 세척한 후, RNeasy Mini Elute Canup kit를 사용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RNA의 농도와 순도는 2100 Bioanalyzer system(Agilent Technologies)로 측정하였고, Taqman reverse transcription reagents kit(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염증성인자의 발현 정도는 SYBR Green PCR master mix kit(Applied Biosystem)를 사용해 Real-time PCR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relative mRNA expression
IL-6 TNF-α MCP-1 ICAM-1
실시예 3.7 2.9 3.3 8.8
비교예 1 21.5 4.7 34.9 49.4
비교예 2 14.8 5.7 12.7 47.7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oly(I) 처리에 의해 증가한 염증인자가 실시예에서 현저히 억제되었다.
준비예 : 골관절염 동물모델의 제작
SD-Rat을 다물사이언스로부터 8주령을 구입하였다. 구입 후 사육시설에서 7일간 순화 기간을 거친 후 실험에 투입하였다. 사육은 온도 22±2, 습도 40~60%, 명암주기 12시간의 조건 하에서 사료·음수 자율 섭취, 자율 운동하도록 하여 사육하였다. 사육실 온·습도는 8시간 단위로 확인하였다.
관절염은 MIA 3mg/kg의 농도로 슬관절에 1cc 주사기로 투여하여 유도하였다.
실험예 4: 혈청 내 염증 사이토카인 발현 확인
관절염의 유도에 따른 염증성 cytokine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실험동물을 마취시킨 후 심장에서 혈액을 취하여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분리한 혈청으로부터 혈중 염증성 사이토카인 함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 각의 사이토카인에 대해서 ELISA 시험법을 이용하여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production in serum(pg/ml)
IL-6 TNF-α IL-1β
실시예 50.09 68.87 180.09
비교예 1 108.11 111.11 375.69
비교예 2 83.97 97.27 215.21
그 결과,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헐청 내 염증성 cytokine들이 실시예에서 현저히 억제되었다.

Claims (7)

  1.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술 추출물은 봉술 꽃 추출물인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은 1:10 내지 10:1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은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인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과립제 및 캅셀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0074179A 2021-06-08 2021-06-08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65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179A KR20220165489A (ko) 2021-06-08 2021-06-08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179A KR20220165489A (ko) 2021-06-08 2021-06-08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489A true KR20220165489A (ko) 2022-12-15

Family

ID=8443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179A KR20220165489A (ko) 2021-06-08 2021-06-08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54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617B1 (ko) 2015-11-26 2017-06-05 한국식품연구원 봉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617B1 (ko) 2015-11-26 2017-06-05 한국식품연구원 봉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947B1 (ko) 올레아놀린산 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lr 및 il-6 매개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6210680B1 (en)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WO2011033524A2 (en) Agents from ficus hispida for the amelior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diseases
KR20120119160A (ko) Il-6 유도 stat3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갖는 강황 또는 울금의 지상부 추출물, 또는 이의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08064160B (zh) 一种含有牡丹根皮、白芷根和柴胡根的混合物的提取物或其级分作为活性成分的药物组合物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97276B1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척추디스크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192409B1 (ko) 낙석등 건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상기 분획물의 제조방법
US11491202B2 (en) Herbal composition
KR20140045893A (ko) 마치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02846A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질환 억제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40045894A (ko) 개머루덩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65489A (ko) 적소두 추출물 및 봉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47440B1 (ko)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복합 생약제
Ramanathan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NILAVEMBU KUDINEERCAPSULES
CN104918627B (zh) 对于炎性肠疾病具有预防或治疗作用的药物组合物
KR20140003644A (ko)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1836406B1 (ko) 작약 및 오공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척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187905A1 (ko) 천화분, 백선피 및 상백피를 포함하는 암 및 내성암에 대한 약학적 조성물
KR101780939B1 (ko) 인삼 유래 화합물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증 조성물
Resmi et al. Economically Important Medicinal Plants in Traditional Polyherbal Formulations Prepared by Local Physicians of Rural Travancore
KR101837477B1 (ko) 뽕나무 잎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254467B1 (ko) 우황을 함유하는 생약 조성물
Yahia et al. Evaluation of the diuretic activity for the first time of Hyoscyamus albus and Umbilicus rupestris in rats
KR101305090B1 (ko) 관절용 초본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