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450A -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450A
KR20220164450A KR1020220068543A KR20220068543A KR20220164450A KR 20220164450 A KR20220164450 A KR 20220164450A KR 1020220068543 A KR1020220068543 A KR 1020220068543A KR 20220068543 A KR20220068543 A KR 20220068543A KR 20220164450 A KR20220164450 A KR 20220164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civorus
disease
composition
rheumatoid arthritis
snake ven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기
이동권
신혜령
김효민
Original Assignee
독립바이오제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립바이오제약(주) filed Critical 독립바이오제약(주)
Publication of KR2022016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Naja melanoleuca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약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뱀의 일종인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Naja melanoleuca 뱀독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용 조성물 {NOVEL PEPTIDES DERIVED FROM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OR NAJA MELANOLEUCA,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BEHCET'S DISEASE OR RHEUMATOID ARTHRITI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펩타이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약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뱀의 일종인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 뱀독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면역계는 인체에 침입한 외부 항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나, 자기 관용성이 있어서 자기 조직을 공격하지 않는다. 그러나 면역계의 자기 관용성이 파괴되어 자신의 유전자에 의해 정상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을 면역세포가 공격대상으로 인식하여 항체를 만들거나 T 세포 반응을 일으켜서 정상조직을 파괴하는 경우를 자가면역이라 부르며 구체적인 증상이 나타나면 자가면역질환이라고 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을 싸고 있는 활막에 염증이 생겨 주위의 연골과 뼈에 염증이 퍼져 관절이 파괴되고 장애를 일으키는 만성적 질환으로서, 관절 내에 있는 활막에 염증이 생기고 혈액내의 면역세포들이 모이게 되어, 관절액이 증가하게 되어 관절이 부으면서 통증이 수반되게 된다. 이러한 류마티스 관절염은 주로 자가면역 이상반응에 의한 질환으로,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면역기능이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관절 내의 염증 반응은 주로 T 세포와 B 세포 및 대식세포 등이 주로 관여하며 이들에서 분비되는 TNF-α와 IL-1β를 분비하는 M1 대식세포와 IL-17을 분비하는 Th17 세포가 류마티스 관절염 질환을 더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류마티스 관절염을 비롯한 자가면역질환 치료는 TNF 억제제(Infliximab, Etanercept 등), IL-1 억제제(Anakinra, Canakinumab), 스테로이드, 비스테로이드성 염증억제제(NSAID), 사이토카인 억제제(Actemra), 신호전달 억제제(JAK3 inhibitor), 또는 TNF-α 관련 항체 치료제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치료제는 가려움, 호흡기 감염 등의 부작용이 따르고, 염증 억제를 통한 통증감소에 초점이 맞춰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법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베체트병(Behcet's disease)은 희귀난치성 염증성 질환으로 구강 및 생식기의 반복적인 아프타성 궤양, 포도막염, 피부염증 및 궤양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임상증상은 피부궤양뿐만 아니라 관절,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위장, 신장, 비뇨생식기, 폐, 심혈관, 장출혈, 장천공 등의 소화기계 관련, 상하대 정맥증후군, 대동맥 역류 등의 증상이 동반된 심각한 만성적 염증이 다면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전신성의 혈관염과 관련된 것으로, 베체트병의 중심적인 병리 생리학적 특징이다.
이러한 베체트병의 정확한 발병은 불명확하나, 자가면역(autoimmune)과 자가염증성(autoinflammatory) 반응이 중요한 원인이 되며, 연구보고에 따르면 베체트병 환자 혈장에서 싸이토카인 인터루킨-17이 높게 발현되어 염증 증상을 일으키는데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현재 베체트병 치료제로 TNF-α 항체 등의 바이오신약을 사용하고 있으나, 비용이 매우 비싸고, 결핵균 감염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반복 사용할 경우 내성으로 치료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한편, 뱀독은 독뱀류의 특수한 침샘인 독샘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독소의 혼합물을 의미하는데, 프로테아제를 비롯한 다양한 단백질분해효소와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뱀독은 산화에 대해서는 비교적 강하고 무독화하더라도 그 회복은 가역적이지만 환원에 대해서는 매우 약하여 시스테인에 의해 간단히 무독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의 독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가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36908호
본 발명은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의 독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27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펩타이드는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의 뱀독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Th17 세포 활성을 억제할 수 있고, T-reg 세포 활성을 유도할 수 있으며, Th1 세포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의 뱀독과 비교하여 더 낮은 독성 및 세포생존률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27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서열번호 1 내지 27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 뱀독으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펩타이드, 또는 상기 펩타이드 또는 이들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짐으로써,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치료제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간 피부세포 CCD-986 sk에 본 발명의 AP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 시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다.
도 2는 대식세포 RAW 264.7에 본 발명의 AP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 시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다.
도 3 내지 7은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Th17 세포로 분화 전 및 후의 RoRγt, IL-17, Foxp3, T-bet, 및 IFNγ의 mRNA 발현 정도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11는 Th17 세포로 분화된 세포에 본 발명의 AP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 시의 RoRγt, IL-17, Foxp3, 및 IFNγ의 mRNA 발현 정도를 나타낸다.
도 12은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AP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 시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다.
도 13a 내지 13d는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AP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 시의 장기 중량 변화를 나타낸다.
도 14a 및 14b는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AP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 시의 혈액생화학적 검사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는 류마티스 관절염 질환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AP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 시의 중증도 억제 효능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은 류마티스 관절염 질환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AP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 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다.
도 17은 류마티스 관절염 질환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AP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 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다.
도 18은 류마티스 관절염 질환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AP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 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태양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태양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의 독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베체트병"은 희귀난치성 염증성 질환으로, 증상이 있는 경우 활동성 베체트병(symptomatic Behcet's Disease)으로, 증상이 없는 경우 비활동성(asymptomatic Behcet's Disease)으로 나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류마티스 관절염"은 다수의 관절에 동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염증성 자가 면역질환으로, 만성적인 관절염에 의한 관절의 손상을 가져오거나 관절 외의 다른 장기에 침범하여 전신에 증상을 나타내기도 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자가 면역질환"이란, 면역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여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면역세포들이 우리 몸의 장기나 조직을 공격하여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염증성 질환"은 염증유발인자 또는 방사선조사 등 유해한 자극으로 인해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항진시켜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 IL-1, IL-6,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루코트리엔(leukotriene) 또는 NO와 같은 염증 유발물질(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뱀독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15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Naja melanoleuca 뱀독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6 내지 27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27의 아미노산 서열과 각각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예방"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는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투여"는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조성물을 도입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개체"는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 뱀독 유래 펩타이드 제조
본 발명의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M(Naja melanoleuca) 뱀독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를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펩타이드 합성방법으로 통상 사용되는 고체상 또는 액상 펩타이드 합성법을 사용하여 해당서열의 펩타이드를 제조하였다.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M(Naja melanoleuca)의 뱀독으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서열명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DAP1 QAMPFMEVYTRSACQTRETLV 1
DAP2 RSACQTRETLVSILEEHPHEISHLFKPSCVT 2
DAP3 SHLFKPSCVTVLRCGGCCSDESLTCTSTGK 3
DAP4 DESLTCTSTGKRSVGREIMRVDPHKETSKIE 4
DAP5 VDPHKETSKIEVMQFTEHTDCECRPQSASG 5
DAP6 QAMPFMEVYTRSACQ 6
DAP7 RSACQTRETLVSILE 7
DAP8 EEHPHEISHLFKPS 8
DAP9 PSCVTVLRCGGCCS 9
DAP10 CSDESLTCTSTGKRS 10
DAP11 CSDESLTCTSTGKRSVGREIMRVD 11
DAP12 STGKRSVGREIMRVD 12
DAP13 MRVDPHKETSKIE 13
DAP14 TSKIEVMQFTEHTDC 14
DAP15 EHTDCECRPQSASG 15
DNM1 LTCLICPEKYCNKVHTCRNGENICFKRFYE 16
DNM2 GENICFKRFYEGNLLGKRYPRGCAAT 17
DNM3 RGCAATCPEAKPREIVECCSTDKCNH 18
DNM4 NKVHTCRNGENICFKRFYE 19
DNM5 GNLLGKRYPRGCAATCPEAK 20
DNM6 LTCLICPEKY 21
DNM7 CNKVHTCRNGENI 22
DNM8 RNGENICFKRFYEGN 23
DNM9 FYEGNLLGKRYPR 24
DNM10 LGKRYPRGCAAT 25
DNM11 AATCPEAKPREIVE 26
DNM12 ECCSTDKCNH 27
[실시예 1]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 뱀독 유래 펩타이드의 독성 평가 (In vitro)
본 발명의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M(Naja melanoleuca) 뱀독 유래 펩타이드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간 피부세포인 CCD-986 sk 및 대식세포인 RAW 264.7을 이용하여 세포독성 발현을 측정하였다.
1-1. CCD-986 sk에서 독성 평가
CCD-986 sk 세포를 96well plate에 1*105/well의 세포수로 IMDM 배양액(5% FBS+1% penicillin streptomycin) / 37℃, CO2 5%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M(Naja melanoleuca) 뱀독, 및 뱀독 유래 펩타이드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상기 물질 처리 후 37℃, CO2 5%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시약을 처리하고 ELISA 검사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독성농도 (mg)
처리량 (mM) AP DAP1 DAP2 DAP3 DAP4 DAP5
7.3 100.01 17.97 25.91 22.04 25.48 24.75
11 150.7 27.08 39.04 33.21 38.39 37.29
50 684.99 123.09 177.45 150.95 174.5 169.5
65 890.49 160.02 230.69 196.24 226.85 220.35
70 958.99 172.33 248.43 211.37 244.36 237.3
73 1000.1 179.7 259.1 220.4 254.8 247.5
처리량 (mM) NM DNM1 DNM2 DNM3 DNM4 DNM5
0.22 1.63 0.34 0.65 0.62 0.52 0.46
0.73 5.42 2.12 2.16 2.06 1.72 1.54
2.2 16.3 6.4 6.5 6.2 5.2 4.6
4 29.714 11.606 11.84 11.28 9.44 8.44
7 52 20.31 20.72 19.74 16.52 14.77
7.3 54.2 21.2 21.6 20.6 17.2 15.4
22 163 64 65 62 52 46
상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P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7.3 내지 73 mM에서 AP 뱀독보다 현저하게 낮은 독성 및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AP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인간 피부세포에서 73 mM까지 처리 시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0.22 내지 22 mM에서 NM 뱀독보다 현저하게 낮은 독성 및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인간 피부세포에서 22 mM까지 처리시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1-2. RAW 264.7에서 독성 평가
RAW 264.7 세포를 96well plate에 1*105/well의 세포수로 IMDM 배양액(5% FBS+1% penicillin streptomycin) / 37℃, CO2 5%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M(Naja melanoleuca) 뱀독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상기 물질 처리 후 37℃, CO2 5%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시약을 처리하고 ELISA 검사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독성농도 (mg)
처리량 (mM) AP DAP1 DAP2 DAP3 DAP4 DAP5
7.3 100.01 17.97 25.91 22.04 25.48 24.75
11 150.7 27.08 39.04 33.21 38.39 37.29
50 684.99 123.09 177.45 150.95 174.5 169.5
65 890.49 160.02 230.69 196.24 226.85 220.35
70 958.99 172.33 248.43 211.37 244.36 237.3
73 1000.1 179.7 259.1 220.4 254.8 247.5
처리량 (mM) NM DNM1 DNM2 DNM3 DNM4 DNM5
0.22 1.63 0.34 0.65 0.62 0.52 0.46
0.73 5.42 2.12 2.16 2.06 1.72 1.54
2.2 16.3 6.4 6.5 6.2 5.2 4.6
4 29.714 11.606 11.84 11.28 9.44 8.44
7 52 20.31 20.72 19.74 16.52 14.77
7.3 54.2 21.2 21.6 20.6 17.2 15.4
22 163 64 65 62 52 46
상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P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7.3 내지 73 mM에서 AP 뱀독보다 현저하게 낮은 독성 및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AP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대식세포에서 73 mM까지 처리 시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70 mM 이상의 AP 뱀독을 처리하였을 경우, 세포생존율이 50% 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P 뱀독 CC50: 70mM). 그러나, 본 발명의 AP 뱀독 유래 펩타이드를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AP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AP 뱀독과 비교하여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0.22 내지 22 mM에서 NM 뱀독보다 현저하게 낮은 독성 및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대식세포에서 22 mM까지 처리 시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7 mM 이상의 NM 뱀독을 처리하였을 경우, 세포생존율이 50% 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NM 뱀독 CC50: 7mM). 그러나, 본 발명의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를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높은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NM 뱀독과 비교하여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 뱀독 유래 펩타이드의 효능 평가 (In vitro)
본 발명의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M(Naja melanoleuca) 뱀독 유래 펩타이드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이용하여 효능을 나타내는 농도를 측정하였다.
2-1. 효능 평가 세포 모델의 분화 여부 확인
수컷 ICR 생쥐(4-5주령)에서 비장세포에서 분리한 Splenocytes에 anti-CD3 항체와 anti-CD28항체를 처리하고 IMDM 배양액(5% FBS+1% penicillin streptomycin) +Th17 분화 촉진 사이토카인 / 37℃, CO2 5% 조건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실시간 PCR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3 내지 7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Th17 분화군은 염증성 세포인 Th17 세포의 분화인자 RoRγt 및 분비인자 IL-17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 염증성 세포 T-reg의 분화를 조절하는 인자인 Foxp3의 mRNA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6 및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염증성 세포인 Th1 세포와 관련된 전사인자인 T-bet 및 분화인자인 IFNγ의 mRNA 또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Th17 분화군은 Th17 세포로 분화됨과 동시에 Th1 세포로의 분화도 진행되어, 효능 평가를 위한 염증성 세포로 분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2-2.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의 효능 평가
수컷 ICR 생쥐(4-5주령)에서 비장세포에서 분리한 Splenocytes에 anti-CD3 항체와 anti-CD28항체를 처리하고 IMDM 배양액(5% FBS+1% penicillin streptomycin) +Th17 분화 촉진 사이토카인 / 37℃, CO2 5% 조건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분화 촉진 72시간 후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뱀독 및 AP 뱀독 유래 펩타이드를 200 내지 220 μM 농도로, NM(Naja melanoleuca) 뱀독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를 2 nM 내지 40 μM 농도로 처리한 후 37℃, CO2 5% 조건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실시간 PCR 또는 ELISA 검사법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8 내지 11에 나타내었다.
도 8 및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처리 시 Th17 분화군과 비교하여 염증성 세포인 Th17 세포의 분화인자 RoRγt mRNA 발현이 감소하였고, Th17 분화군과 비교하여 염증성 세포인 Th17 세포의 분비인자인 IL-17 단백질 발현 수준이 감소하였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 염증성 세포 T-reg의 분화를 조절하는 인자인 Foxp3의 mRNA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염증성 세포인 Th1 세포의 분화인자 IFNγ의 mRNA 또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염증성 세포를 감소시키고, 항 염증성 세포를 증가시킴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 의 뱀독 유래 펩타이드의 독성 평가 (In vivo)
본 발명의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M(Naja melanoleuca)의 뱀독 유래 펩타이드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독성 발현을 측정하였다.
3-1. 1차 독성 시험
수컷 ICR 생쥐(5주령)를 입수하여 7일간 순화시킨 후 생쥐를 restainer에 고정시키고, 1ml syringe needle 26G를 이용하여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및 AP 뱀독 유래 펩타이드, 및 NM(Naja melanoleuca)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를 각 농도 별로 I.V. 경로로 투여하였다. 투여 당일부터 14일 동안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사망동물의 수를 1일 1회 이상 관찰하고 체중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저농도 중농도 고농도
AP 일반증상 없음 윤기가 없음 입모
사망수 0/3 0/3 0/3
DAP1 일반증상 입모, 탈모, 라이딩 입모, 탈모 입모, 탈모
사망수 0/3 0/3 0/3
DAP2 일반증상 입모, 탈모, 무기력, 체온저하 입모, 탈모, 무기력, 체온저하 입모, 탈모
사망수 0/3 0/3 0/3
DAP3 일반증상 입모, 탈모 입모, 탈모 탈모, 윤기가 없음
사망수 0/3 0/3 0/3
DAP4 일반증상 입모, 탈모 입모, 탈모 입모
사망수 0/3 0/3 0/3
NM 일반증상 입모 입모, 탈모, 무기력 사망, 입모, 탈모, 무기력
사망수 0/3 0/3 2/3
DNM1 일반증상 입모, 탈모 입모, 무기력 입모, 탈모
사망수 0/3 0/3 0/3
DNM2 일반증상 입모, 탈모, 라이딩 입모 입모
사망수 0/3 0/3 0/3
DNM3 일반증상 심한입모, 탈모 심한입모, 탈모, 무기력 입모, 무기력
사망수 0/3 0/3 0/3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NM 뱀독의 경우 사망 개체수가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의 AP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군에서 사망 동물 및 특이 일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3-2. 2차 독성 시험
수컷 ICR 생쥐(5주령)를 입수하여 7일간 순화시킨 후 생쥐를 restainer에 고정시킨 후 1ml syringe needle 26G를 이용하여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및 AP 뱀독 유래 펩타이드, 및 NM(Naja melanoleuca)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를 각 농도 별로 I.V. 경로로 투여하였다. 투여 당일부터 14일 동안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사망동물의 수를 1일 1회 이상 관찰하고 체중을 측정하였다. 독성시험 종료 시 생존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하고 부검하여 혈액을 채취하고, 육안소견 및 각 장기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채취한 혈액으로 혈액생화학적 검사의 필요한 항목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5 내지 7, 및 도 12 내지 14에 나타내었다.
AP
(6904 μg/kg/5ml)
일반증상 없음
사망수 0/3
DAP1
(1240 μg/kg/5ml)
일반증상 없음
사망수 0/3
DAP2
(1788 μg/kg/5ml)
일반증상 없음
사망수 0/3
DAP3
(1521 μg/kg/5ml)
일반증상 없음
사망수 0/3
DAP4
(1759 μg/kg/5ml)
일반증상 없음
사망수 0/3
NM
(416 μg/kg/5ml)
일반증상 없음
사망수 0/3
DNM1
(162 μg/kg/5ml)
일반증상 없음
사망수 0/3
DNM2
(166 μg/kg/5ml)
일반증상 없음
사망수 0/3
DNM3
(158 μg/kg/5ml)
일반증상 없음
사망수 0/3
Organs Sign Group
CON AP DAP1 DAP2 DAP3 DAP4
Spleen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5 / 5
Liver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5 / 5
Kidney (L)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5 / 5
Kidney (R)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5 / 5
Heart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5 / 5
Lung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5 / 5
Testis (L)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5 / 5
Testis (R)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5 / 5
Organs Sign Group
CON NM DNM1 DNM2 DNM3
Spleen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Liver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Kidney (L)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Kidney (R)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Heart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Lung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Testis (L)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Testis (R) NAD 5 / 5 5 / 5 5 / 5 5 / 5 5 / 5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군에서 독성 시험 기간 동안 사망 동물 및 특이 일반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주차 체중 측정 결과, 본 발명의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군에서 10% 이상의 체중 손실은 나타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도 13a 내지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기의 중량 측정 결과, 본 발명의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에 따른 장기 중량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상기 표 6 및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검 결과 특이 소견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도 14a 및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분석한 결과, 검사 항목에 따른 약간의 변화가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모든 지표 수치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를 단회투여하여 독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본 발명의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에 의한 독성학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를 효능 농도 대비 100배 이상의 농도로 투여시 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 의 뱀독 유래 펩타이드의 류마티스 관절염 질환 치료 효능 평가 (In vivo)
본 발명의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M(Naja melanoleuca)의 뱀독 유래 펩타이드의 류마티스 관절염 질환 모델에서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의 중증도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4-1.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 확립 및 펩타이드의 중증도 억제 효능 평가
류마티스 관절염 마우스 모델을 제조하기 위해, 5주령 수컷 DBA/1J 정상 마우스를 입수하여 7일간 순화시킨 후 타입 II 콜라겐을 CFA(Complete Freud's adjuvant)와 동량으로 혼합하여 50 μg을 꼬리 피하에 주입하였다. 첫번째 주입 3주 후에 동일한 타입 II 콜라겐을 IFA(Incomplete Freud's adjuvant)와 동량으로 혼합하여 50 μg을 꼬리 피하에 주입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한 동물 모델에 제작 1일째부터 21일째까지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및 AP 뱀독 유래 펩타이드, 및 NM(Naja melanoleuca)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를 생쥐 피부(앞, 뒤 다리)에 외용제로 투여하였다. 상기 물질은 21일 동안 투여하였고, 증상 관찰은 1일에서 40일째까지 체중변화 및 증상, 사망동물의 수를 1일 1회 관찰하고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PBS를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였고, 관절염 치료제인 MTX는 I.V. 경로로 투여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물 모델인 CIA 모델 대조군과 비교 시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투여군은 중증도(severity score)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관절염 치료제인 MTX 투여군과 비교하여 DAP1, DAP2, DAP6, DAP7, DNM1, 및 DNM7 펩타이드 투여군은 크게 증가하지 않으며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중증도를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4-2. 펩타이드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4-1과 같이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을 제작하여 AP(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및 AP 뱀독 유래 펩타이드, 및 NM(Naja melanoleuca) 및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를 21일동안 처리하였다. 19일을 더 관찰한 후(총 40일) 생쥐를 희생시켜 혈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및 IL-1β를 ELISA 검사법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도 16 내지 18에 나타내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또는 MTX 처리군과 비교하여,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처리군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CIA 동물 모델 대조군과 비교 시 DAP1, DAP2, DAP6, 및 DAP7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고, 관절염 치료제인 MTX 처리군과 비교 시 DAP2, 및 DAP7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또는 MTX 처리군과 비교하여,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처리군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CIA 동물 모델 대조군과 비교 시 DAP1, DAP2, DAP6, 및 DAP7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고, 관절염 치료제인 MTX 처리군과 비교 시 DAP1, 및 DAP2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또는 MTX 처리군과 비교하여,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 처리군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β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CIA 동물 모델 대조군과 비교 시 DNM2, DAP1, DAP2, DAP6, 및 DAP7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고, 관절염 치료제인 MTX 대조군과 비교 시 DAP7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AP 또는 NM 뱀독 유래 펩타이드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110> Doknip Biopharm Co. <120> NOVEL PEPTIDES DERIVED FROM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OR NAJA MELANOLEUCA,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BEHCET'S DISEASE OR RHEUMATOID ARTHRITIS COMPRISING THE SAME <130> DNB <150> KR 10-2021-0073031 <151> 2021-06-04 <150> KR 10-2021-0073034 <151> 2021-06-04 <160> 27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1 <400> 1 Gln Ala Met Pro Phe Met Glu Val Tyr Thr Arg Ser Ala Cys Gln Thr 1 5 10 15 Arg Glu Thr Leu Val 20 <210> 2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2 <400> 2 Arg Ser Ala Cys Gln Thr Arg Glu Thr Leu Val Ser Ile Leu Glu Glu 1 5 10 15 His Pro His Glu Ile Ser His Leu Phe Lys Pro Ser Cys Val Thr 20 25 30 <210> 3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3 <400> 3 Ser His Leu Phe Lys Pro Ser Cys Val Thr Val Leu Arg Cys Gly Gly 1 5 10 15 Cys Cys Ser Asp Glu Ser Leu Thr Cys Thr Ser Thr Gly Lys 20 25 30 <210> 4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4 <400> 4 Asp Glu Ser Leu Thr Cys Thr Ser Thr Gly Lys Arg Ser Val Gly Arg 1 5 10 15 Glu Ile Met Arg Val Asp Pro His Lys Glu Thr Ser Lys Ile Glu 20 25 30 <210> 5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5 <400> 5 Val Asp Pro His Lys Glu Thr Ser Lys Ile Glu Val Met Gln Phe Thr 1 5 10 15 Glu His Thr Asp Cys Glu Cys Arg Pro Gln Ser Ala Ser Gly 20 25 30 <210> 6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6 <400> 6 Gln Ala Met Pro Phe Met Glu Val Tyr Thr Arg Ser Ala Cys Gln 1 5 10 15 <210> 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7 <400> 7 Arg Ser Ala Cys Gln Thr Arg Glu Thr Leu Val Ser Ile Leu Glu 1 5 10 15 <210> 8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8 <400> 8 Glu Glu His Pro His Glu Ile Ser His Leu Phe Lys Pro Ser 1 5 10 <210> 9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9 <400> 9 Pro Ser Cys Val Thr Val Leu Arg Cys Gly Gly Cys Cys Ser 1 5 10 <210> 10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10 <400> 10 Cys Ser Asp Glu Ser Leu Thr Cys Thr Ser Thr Gly Lys Arg Ser 1 5 10 15 <210> 11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11 <400> 11 Cys Ser Asp Glu Ser Leu Thr Cys Thr Ser Thr Gly Lys Arg Ser Val 1 5 10 15 Gly Arg Glu Ile Met Arg Val Asp 20 <210> 1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12 <400> 12 Ser Thr Gly Lys Arg Ser Val Gly Arg Glu Ile Met Arg Val Asp 1 5 10 15 <210> 13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13 <400> 13 Met Arg Val Asp Pro His Lys Glu Thr Ser Lys Ile Glu 1 5 10 <210> 1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14 <400> 14 Thr Ser Lys Ile Glu Val Met Gln Phe Thr Glu His Thr Asp Cys 1 5 10 15 <210> 15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AP15 <400> 15 Glu His Thr Asp Cys Glu Cys Arg Pro Gln Ser Ala Ser Gly 1 5 10 <210> 16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NM1 <400> 16 Leu Thr Cys Leu Ile Cys Pro Glu Lys Tyr Cys Asn Lys Val His Thr 1 5 10 15 Cys Arg Asn Gly Glu Asn Ile Cys Phe Lys Arg Phe Tyr Glu 20 25 30 <210> 17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NM2 <400> 17 Gly Glu Asn Ile Cys Phe Lys Arg Phe Tyr Glu Gly Asn Leu Leu Gly 1 5 10 15 Lys Arg Tyr Pro Arg Gly Cys Ala Ala Thr 20 25 <210> 18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NM3 <400> 18 Arg Gly Cys Ala Ala Thr Cys Pro Glu Ala Lys Pro Arg Glu Ile Val 1 5 10 15 Glu Cys Cys Ser Thr Asp Lys Cys Asn His 20 25 <210> 19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NM4 <400> 19 Asn Lys Val His Thr Cys Arg Asn Gly Glu Asn Ile Cys Phe Lys Arg 1 5 10 15 Phe Tyr Glu <210> 20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NM5 <400> 20 Gly Asn Leu Leu Gly Lys Arg Tyr Pro Arg Gly Cys Ala Ala Thr Cys 1 5 10 15 Pro Glu Ala Lys 20 <210> 2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NM6 <400> 21 Leu Thr Cys Leu Ile Cys Pro Glu Lys Tyr 1 5 10 <210> 22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NM7 <400> 22 Cys Asn Lys Val His Thr Cys Arg Asn Gly Glu Asn Ile 1 5 10 <210> 2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NM8 <400> 23 Arg Asn Gly Glu Asn Ile Cys Phe Lys Arg Phe Tyr Glu Gly Asn 1 5 10 15 <210> 24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NM9 <400> 24 Phe Tyr Glu Gly Asn Leu Leu Gly Lys Arg Tyr Pro Arg 1 5 10 <210> 25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NM10 <400> 25 Leu Gly Lys Arg Tyr Pro Arg Gly Cys Ala Ala Thr 1 5 10 <210> 26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NM11 <400> 26 Ala Ala Thr Cys Pro Glu Ala Lys Pro Arg Glu Ile Val Glu 1 5 10 <210> 27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NM12 <400> 27 Glu Cys Cys Ser Thr Asp Lys Cys Asn His 1 5 10

Claims (9)

  1. 서열번호 1 내지 27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 뱀독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Th17 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T-reg 세포 활성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Th1 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의 뱀독과 비교하여 더 낮은 독성 및 세포생존률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서열번호 1 내지 27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9.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서열번호 1 내지 27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
KR1020220068543A 2021-06-04 2022-06-03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용 조성물 KR20220164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034 2021-06-04
KR20210073034 2021-06-04
KR1020210073031 2021-06-04
KR20210073031 2021-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450A true KR20220164450A (ko) 2022-12-13

Family

ID=8432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543A KR20220164450A (ko) 2021-06-04 2022-06-03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64450A (ko)
WO (1) WO20222558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6062A1 (ko) * 2016-12-09 2018-06-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 또는 nm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02642A1 (ko) * 2019-07-02 2021-01-07 독립바이오제약(주) 뱀독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5848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Ginley et al. Interleukin-17A serves a priming role in autoimmunity by recruiting IL-1β-producing myeloid cells that promote pathogenic T cells
Cooper et al. IL-1 activity is reduced in psoriatic skin. Decreased IL-1 alpha and increased nonfunctional IL-1 beta.
AU2020204023A1 (en) Use of low dose IL-2 for treating autoimmune-related or inflammatory disorders
Moltó et al. Anti-IL-1 molecules: new comers and new indications
TWI510622B (zh) 用於治療及/或預防自體免疫疾病及用於調節性t細胞形成之藥劑
EP0979099B1 (en) Use of lactoferin in the treatment of allergen induced disorders
US2021024478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intracellular damage and bacterial infection
US7723290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the immune system
EP3065765B1 (en) Use of il-22 dimers in manufacture of medicaments for treating pancreatitis
KR101469167B1 (ko) 봉독-pla2를 포함하는 이상 조절 t 세포 활성 저하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CN112135623B (zh) 与疾病的治疗有关的组合物和方法
Wei et al. The NLRP3 inflammasome regulates corneal allograft rejection through enhanced phosphorylation of STAT3
KR20220164450A (ko) Agkistrodon piscivorus piscivorus 또는 Naja melanoleuca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베체트병 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용 조성물
EP3384923A1 (en) C4bp-based compounds for treating immunological diseases
US8106019B2 (en) CHEC-7 a novel sPLA2 inhibitor
US9617325B2 (en) Treatment of IgE-mediated disease
JP2003507011A (ja) Il−16拮抗剤
KR101976633B1 (ko) 폐 섬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2533675A (zh) 通过递送抗OSMRβ抗体治疗皮肤疾病或病症
US12006343B2 (en) C4BP-based compounds for treating immunological diseases
Leung Immune mechanisms in atopic dermatitis and relevance to treatment
CN115551533A (zh) 涉及治疗疾病的组合物和方法
Kosco-Vilbois et al. IL-18 Binding Protein Protects Against Contact
Mattos et al. Interleukin-10 steers the hepatic stellate cell-macrophage axis during liver fibrogenesis
TW201725047A (zh) 熱休克蛋白於治療異位性皮膚炎之用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