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389A - 광학 이미징 렌즈 - Google Patents

광학 이미징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389A
KR20220164389A KR1020210104323A KR20210104323A KR20220164389A KR 20220164389 A KR20220164389 A KR 20220164389A KR 1020210104323 A KR1020210104323 A KR 1020210104323A KR 20210104323 A KR20210104323 A KR 20210104323A KR 20220164389 A KR20220164389 A KR 20220164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assembly
focal length
optical
refr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니옌 차이
Original Assignee
칼린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린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칼린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64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2Telephoto objectives, i.e. systems of the type + -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front vertex to the image plane is less than the equivalent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at least one element being a compound optical element, e.g. cemented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광학 이미징 렌즈는, 광축을 따라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제1 광학 어셈블리, 제2 광학 어셈블리, 제3 광학 어셈블리, 제4 광학 어셈블리, 제5 광학 어셈블리 및 제6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 및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 중 2개는 적어도 2개의 렌즈를 갖는 복합 렌즈를 포함하고, 나머지 4개는 단일 렌즈이고, 이를 통해 상기 광학 이미징 시스템은 이미징 품질이 높고 왜곡이 적은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광학 이미징 렌즈{OPTICAL IMAGE CAPTURING LENS}
본 발명은 광학 이미징 시스템의 응용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왜곡이 적고, 이미징 품질이 우수한 광학 이미징 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카메라 기능을 갖춘 휴대용 전자 제품의 등장으로, 광학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광학 시스템의 감광 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Sensor(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Sensor) 두 가지에 불과하고, 또한 반도체 제조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감광 소자의 화소 크기가 줄어들면서 광학 시스템은 점차 고화소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드론과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활발한 발전과 함께,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렌즈와 센서를 결합하여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통해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한다. 또한, 차량용 렌즈는 외부 응용 환경의 온도 변화에 따라, 렌즈의 품질에 있어서 온도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으므로, 이미징 품질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좋은 이미징 렌즈는 일반적으로 저왜곡(distortion), 고해상도(resolution) … 등 장점이 있다. 실제 응용면에서는 작은 크기와 비용을 고려해야 하므로, 다양한 제약 조건에서 우수한 이미징 품질의 렌즈를 설계하는 것은 설계자에게 어려운 문제이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이미징 품질을 가지며 왜곡이 적은 장점을 가진 광학 이미징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광학 이미징 렌즈는, 광축을 따라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제1 광학 어셈블리, 제2 광학 어셈블리, 제3 광학 어셈블리, 제4 광학 어셈블리, 제5 광학 어셈블리 및 제6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 및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 중 2개는 적어도 2개의 렌즈를 갖는 복합 렌즈를 포함하고, 나머지 4개는 단일 렌즈이고,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47>F/f1>0.14, 1.55>F/f6>0.46, -0.42>F/f8>-1.86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1은 제1 광학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이고, f6은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이고, f8은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학 이미징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광축을 따라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제6 렌즈, 제7 렌즈 및 제8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의 면은 볼록면이고, 상기 제2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의 물체측의 면은 볼록면이고, 상기 제3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의 이미지측의 면은 오목면이고, 상기 제3 렌즈의 물체측의 면과 상기 제2 렌즈의 이미지측의 면은 서로 접착되어 제2 광학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4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4 렌즈는 양면 오목 렌즈이고, 상기 제5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 렌즈는 양면 볼록 렌즈이고, 상기 제5 렌즈의 물체측의 면과 상기 제4 렌즈의 이미지측의 면은 서로 접착되어 제3 광학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상기 제6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6 렌즈는 양면 볼록 렌즈이고, 상기 제7 렌즈의 물체측의 면은 볼록면이고, 상기 제8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8 렌즈의 물체측의 면은 오목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굴절력 배열 및 조건 특성은 우수한 이미징 품질과 왜곡이 적은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의 필드 곡률 그래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의 왜곡 그래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의 필드 곡률 그래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의 왜곡 그래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의 필드 곡률 그래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의 왜곡 그래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의 변조 전달 함수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면을 결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100)이고, 광축(Z)을 따라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제1 광학 어셈블리(C1), 제2 광학 어셈블리(C2), 제3 광학 어셈블리(C3), 제4 광학 어셈블리(C4), 제5 광학 어셈블리(C5) 및 제6 광학 어셈블리(C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C1),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C4),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C5) 및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 중 2개는 적어도 2개의 렌즈를 갖는 복합 렌즈를 포함하고, 나머지 4개는 단일 렌즈이다.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C1)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C1)는 단일 렌즈이고 제1 렌즈(L1)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렌즈(L1)의 물체측의 면(S1)은 볼록면이고, 상기 제1 렌즈(L1)의 이미지측의 면(S2)은 평면 또는 오목면으로 설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L1)의 이미지측의 면(S2)은 상기 이미지측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오목면이다.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는 복합 렌즈이고 제2 렌즈(L2) 및 제3 렌즈(L3)를 포함하여, 렌즈의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수차 생성을 제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L2)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L3)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렌즈(L2)의 물체측의 면(S3)은 볼록면이고, 상기 제2 렌즈(L2)의 이미지측의 면(S4)은 상기 이미지측을 향하여 약간 볼록한 볼록면이고, 상기 제3 렌즈(L3)의 물체측의 면(S4)은 상기 물체측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오목면이고, 상기 제3 렌즈(L3)의 이미지측의 면(S5)은 메니스커스 형상의 오목면이고, 상기 제3 렌즈(L3)의 물체측의 면(S4)과 상기 제2 렌즈(L2)의 이미지측의 면(S4)은 서로 접착되어,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를 형성하고,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렌즈(L2)의 이미지측의 면(S4)과 상기 제3 렌즈(L3)의 물체측의 면(S4)은 상기 제2 렌즈(L2)와 상기 제3 렌즈(L3) 사이에 접착 평면이 형성되도록 평면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는 복합 렌즈이고 제4 렌즈(L4) 및 제5 렌즈(L5)를 포함하여, 렌즈의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수차 생성을 제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4 렌즈(L4)은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 렌즈(L5)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렌즈(L4)는 양면 오목 렌즈이고, 즉 상기 제4 렌즈(L4)의 물체측의 면(S7) 및 이미지측의 면(S8)은 모두 오목면이고, 상기 제5 렌즈(L5)는 양면 볼록 렌즈이고, 즉 상기 제5 렌즈(L5)의 물체측의 면(S8) 및 이미지측의 면(S9)은 모두 볼록면이고, 상기 제5 렌즈(L5)의 물체측의 면(S8)과 상기 제4 렌즈(L4)의 이미지측의 면(S8)은 서로 접착되어,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를 형성한다.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C4)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C4)는 단일 렌즈이고 제6 렌즈(L6)를 포함하고, 상기 제6 렌즈(L6)는 양면 볼록 렌즈이고, 즉 상기 제6 렌즈(L6)의 물체측의 면(S10) 및 이미지측의 면(S11)은 모두 볼록면이다.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C5)는 단일 렌즈이고 제7 렌즈를 포함하고,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C5)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7 렌즈의 물체측의 면(S12)은 볼록면이고, 상기 제7 렌즈(L7)의 이미지측의 면(S13)은 평면 또는 오목면으로 설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7 렌즈(L7)의 이미지측의 면(S13)은 상기 이미지측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오목면이다.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는 단일 렌즈이고 제8 렌즈(L8)를 포함하고, 상기 제8 렌즈(L8)는 오목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평면 오목 렌즈, 양면 오목 렌즈 또는 메니커스 렌즈이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8 렌즈(L8)의 물체측의 면(S14)은 메니스커스 형상의 오목면이고, 상기 제8 렌즈(L8)의 이미지측의 면(S15)은 상기 이미지측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오목면이다.
또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100)는 조리개(ST), 적외선 필터(L9) 및 보호 유리(L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리개(ST)는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의 제3 렌즈(L3)와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의 제4 렌즈(L4) 사이에 설치되어, 미광을 감소시켜, 이미징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상기 적외선 필터(L9)는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의 제8 렌즈(L8)의 이미지측의 면(S15)에 가깝고, 상기 적외선 필터(L9)는 유리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보호 유리(L10)는 상기 적외선 필터(L9)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 유리(L10)는 상기 적외선 필터(L9)와 촬상면(Im)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광학 이미징 렌즈(100)가 우수한 광학 성능과 높은 이미징 품질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100)는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한다:
(1) 1.47>F/f1>0.14;
(2) 1.26>F/f23>-1.31, 1.83>F/f2>0.52, -1.58>F/f3>-2.85;
(3) 0.86>F/f45>-0.43, -0.52>F/f4>-1.68, 1.94>F/f5>0.64;
(4) 1.55>F/f6>0.46;
(5) 1.07>F/f7>-0.17;
(6) -0.42>F/f8>-1.86.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100)의 초점 거리이고, f1은 상기 제1 렌즈(L1)의 초점 거리이고, f2는 상기 제2 렌즈(L2)의 초점 거리이고, f3은 상기 제3 렌즈(L3)의 초점 거리이고, f4는 상기 제4 렌즈(L4)의 초점 거리이고, f5는 상기 제5 렌즈(L5)의 초점 거리이고, f6은 상기 제6 렌즈(L6)의 초점 거리이고, f7은 상기 제7 렌즈(L7)의 초점 거리이고, f8은 상기 제8 렌즈(L8)의 초점 거리이고, f23은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의 초점 거리이고, f56은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의 초점 거리이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100)의 데이터이고, 광학 이미징 렌즈(100)의 초점 거리(F)(또는 유효 초점 거리라고 칭함), 조리개 값(Fno), 전체 시야각(FOV), 각 렌즈의 곡률 반경(R), 광축에서의 각 표면과 다음 표면 사이의 거리, 각 렌즈의 굴절률(Nd), 각 렌즈의 초점 거리, 제2 광학 어셈블리(C2)의 접착 초점 거리 및 제3 광학 어셈블리(C3)의 접착 초점 거리를 포함하고, 초점 거리, 곡률 반경 및 거리의 단위는 mm이다.
초점 거리(F)= 16.354 mm, 조리개 값(Fno)=1.63, 전체 시야각(FOV)= 22도
표면 번호 곡률 반경(R) 거리 굴절률(Nd) 초점 거리 접착 초점 거리 비고
S1 16.07 2.9 2.01 18.91 제1 렌즈
S2 64.7 0.17 1
S3 9.62 2.59 1.62 15.96 21.39 제2 렌즈
S4 -97.14 1.09 1.82 -7.72 제3 렌즈
S5 6.41 2.8 1
ST Infinity 2.67 1 조리개
S7 -8.19 1.27 1.62 -16.09 167.06 제4 렌즈
S8 12.95 3.41 1.81 14.35 제5 렌즈
S9 -12.95 0.1 1
S10 17.81 3.22 1.81 15.61 제6 렌즈
S11 -38.71 0.29 1
S12 26.46 4.44 1.91 30.92 제7 렌즈
S13 406.82 0.85 1
S14 -18.42 0.7 1.79 -17.8 제8 렌즈
S15 74.86 0.87 1
S16 Infinity 0.4 1.52 적외선 필터
S17 Infinity 1.06 1
S18 Infinity 0.5 1.52 보호 유리
S19 Infinity 0.28 0
Im Infinity 0 0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제1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100)의 초점 거리(F)=16.354mm이고, 조리개 값(Fno)=1.63이고, 전체 시야각(FOV)=22도이고, 상기 제1 렌즈(L1)의 초점 거리(F1)=18.91mm이고, 상기 제2 렌즈(L2)의 초점 거리(F2)=15.96mm이고, 상기 제3 렌즈(L3)의 초점 거리(F3)=-7.72mm이고, 상기 제4 렌즈(L4)의 초점 거리(F4)=-16.09mm이고, 상기 제5 렌즈(L5)의 초점 거리(F5)=14.35mm이고, 상기 제6 렌즈(L6)의 초점 거리(F6)=-15.61mm이고, 상기 제7 렌즈(L7)의 초점 거리(F7)=30.92mm이고, 상기 제8 렌즈(L8)의 초점 거리(F8)=-17.8mm이고, 상기 제2 렌즈(L2)와 상기 제3 렌즈(L3)를 접착하여 형성된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의 초점 거리(F23)=21.39mm이고, 상기 제4 렌즈(L4)와 상기 제5 렌즈(L5)를 접착하여 형성된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의 초점 거리(F45)=167.06mm이다. 또한, 상기 구체적인 매개변수에 의하면,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조건식의 구체적인 값은 다음과 같다:
(1) F/f1=0.86;
(2) F/f2=1.02, F/f3=-2.12, F/f23=0.76;
(3) F/f4=-1.02, F/f5=1.14, F/f45=0.1;
(4) F/f6=1.05;
(5) F/f7=0.53;
(6) F/f8=-0.92.
상기 표 1의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C1),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C4),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C5) 및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100)에 설정된 제(1)항 내지 제(6)항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b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100)는 상기 설계를 통해, 이미징 품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200)는 광축(Z)을 따라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제1 광학 어셈블리(C1), 제2 광학 어셈블리(C2), 제3 광학 어셈블리(C3), 제4 광학 어셈블리(C4), 제5 광학 어셈블리(C5) 및 제6 광학 어셈블리(C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C1)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C1)는 단일 렌즈이고 제1 렌즈(L1)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렌즈(L1)의 물체측의 면(S1)은 볼록면이고, 상기 제1 렌즈(L1)의 이미지측의 면(S2)은 상기 이미지측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오목면이다.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는 복합 렌즈이고 제2 렌즈(L2) 및 제3 렌즈(L3)를 포함하여, 렌즈의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수차 생성을 제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L2)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L3)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렌즈(L2)의 물체측의 면(S3)은 볼록면이고, 상기 제2 렌즈(L2)의 이미지측의 면(S4)은 상기 이미지측을 향하여 약간 볼록한 볼록면이고, 상기 제3 렌즈(L3)의 물체측의 면(S4)은 상기 물체측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오목면이고, 상기 제3 렌즈(L3)의 이미지측의 면(S5)은 메니스커스 형상의 오목면이고, 상기 제3 렌즈(L3)의 물체측의 면(S4)과 상기 제2 렌즈(L2)의 이미지측의 면(S4)은 서로 접착되어,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를 형성한다.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는 복합 렌즈이고 제4 렌즈(L4) 및 제5 렌즈(L5)를 포함하여, 렌즈의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수차 생성을 제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4 렌즈(L4)은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 렌즈(L5)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렌즈(L4)는 양면 오목 렌즈이고, 즉 상기 제4 렌즈(L4)의 물체측의 면(S7) 및 이미지측의 면(S8)은 모두 오목면이고, 상기 제5 렌즈(L5)는 양면 볼록 렌즈이고, 즉 상기 제5 렌즈(L5)의 물체측의 면(S8) 및 이미지측의 면(S9)은 모두 볼록면이고, 상기 제5 렌즈(L5)의 물체측의 면(S8)과 상기 제4 렌즈(L4)의 이미지측의 면(S8)은 서로 접착되어,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를 형성한다.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C4)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C4)는 단일 렌즈이고 제6 렌즈(L6)를 포함하고, 상기 제6 렌즈(L6)는 양면 볼록 렌즈이고, 즉 상기 제6 렌즈(L6)의 물체측의 면(S10) 및 이미지측의 면(S11)은 모두 볼록면이다.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C5)는 단일 렌즈이고 제7 렌즈를 포함하고,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C5)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7 렌즈의 물체측의 면(S12)은 볼록면이고, 상기 제7 렌즈(L7)의 이미지측의 면(S13)은 상기 이미지측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오목면이다.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는 단일 렌즈이고 제8 렌즈(L8)를 포함하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8 렌즈(L8)는 메니커스 렌즈이고, 즉 상기 제8 렌즈(L8)의 물체측의 면(S14)은 메니스커스 형상의 오목면이고, 상기 제8 렌즈(L8)의 이미지측의 면(S15)은 상기 이미지측을 향하여 약간 볼록한 볼록면이다.
또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200)는 조리개(ST), 적외선 필터(L9) 및 보호 유리(L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리개(ST)는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의 제3 렌즈(L3)와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의 제4 렌즈(L4)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개(ST)는 상기 제4 렌즈(L4)에 비해 상기 제3 렌즈(L3)의 이미지측의 면(T3)에 가깝고, 상기 적외선 필터(L9)는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의 제8 렌즈(L8)의 이미지측의 면에 가깝고, 상기 적외선 필터(L9)는 유리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보호 유리(L10)는 상기 적외선 필터(L9)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 유리(L10)는 상기 적외선 필터(L9)와 촬상면(Im)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광학 이미징 렌즈(200)가 우수한 광학 성능과 높은 이미징 품질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200)는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한다:
(1) 1.47>F/f1>0.14;
(2) 1.26>F/f23>-1.31, 1.83>F/f2>0.52, -1.58>F/f3>-2.85;
(3) 0.86>F/f45>-0.43, -0.52>F/f4>-1.68, 1.94>F/f5>0.64;
(4) 1.55>F/f6>0.46;
(5) 1.07>F/f7>-0.17;
(6) -0.42>F/f8>-1.86.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200)의 초점 거리이고, f1은 상기 제1 렌즈(L1)의 초점 거리이고, f2은 상기 제2 렌즈(L2)의 초점 거리이고, f3은 상기 제3 렌즈(L3)의 초점 거리이고, f4은 상기 제4 렌즈(L4)의 초점 거리이고, f5는 상기 제5 렌즈(L5)의 초점 거리이고, f6은 상기 제6 렌즈(L6)의 초점 거리이고, f7은 상기 제7 렌즈(L7)의 초점 거리이고, f8은 상기 제8 렌즈(L8)의 초점 거리이고, f23은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의 초점 거리이고, f56은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의 초점 거리이다.
아래 표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200)의 데이터이고, 광학 이미징 렌즈(200)의 초점 거리(F)(또는 유효 초점 거리라고 칭함), 조리개 값(Fno), 전체 시야각(FOV), 각 렌즈의 곡률 반경(R), 광축에서의 각 표면과 다음 표면 사이의 거리, 각 렌즈의 굴절률(Nd), 각 렌즈의 초점 거리, 제2 광학 어셈블리(C2)의 접착 초점 거리 및 제3 광학 어셈블리(C3)의 접착 초점 거리를 포함하고, 초점 거리, 곡률 반경 및 거리의 단위는 mm이다.
초점 거리(F)= 20.96 mm, 조리개 값(Fno)=2, 전체 시야각(FOV)=32도
표면 번호 곡률 반경(R) 거리 굴절률 초점 거리 접착 초점 거리 비고
S1 19.35 3.02 1.99 21.7 제1 렌즈
S2 113.57 0.63 1  
S3 10.59 2.97 1.61 18.55 -26 제2 렌즈
S4 -37.28 0.99 1.79 -8.91 제3 렌즈
S5 6.4 2.12 1  
ST Infinity 4.04 1   조리개
S7 -11.1 1.93 1.63 -20.07 58.77 제4 렌즈
S8 12.8 2.99 1.79 14.58 제5 렌즈
S9 -12.8 0.34 1  
S10 24.09 3.27 1.75 21.94 제6 렌즈
S11 -49.21 0.03 1  
S12 28.74 5.51 1.49 63.79 제7 렌즈
S13 220.47 0.97 1  
S14 -14.53 1.25 2.03 -15.46 제8 렌즈
S15 -87.06 1.18 1  
S16 Infinity 0.4 1.52   적외선 필터
S17 Infinity 0.6 1  
S18 Infinity 0.5 1.52   보호 유리
S19 Infinity 0.28 0  
Im Infinity 0 0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제2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200)의 초점 거리(F)=20.96mm이고, 조리개 값(Fno)=2이고, 전체 시야각(FOV)=32도이고, 상기 제1 렌즈(L1)의 초점 거리(F1)=21.7mm이고, 상기 제2 렌즈(L2)의 초점 거리(F2)=18.55mm이고, 상기 제3 렌즈(L3)의 초점 거리(F3)=-8.91mm이고, 상기 제4 렌즈(L4)의 초점 거리(F4)=-20.07mm이고, 상기 제5 렌즈(L5)의 초점 거리(F5)=14.58mm이고, 상기 제6 렌즈(L6)의 초점 거리(F6)=21.94mm이고, 상기 제7 렌즈(L7)의 초점 거리(F7)=63.79mm이고, 상기 제8 렌즈(L8)의 초점 거리(F8)=-15.46mm이고, 상기 제2 렌즈(L2)와 상기 제3 렌즈(L3)를 접착하여 형성된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의 초점 거리(F23)=-26mm이고, 상기 제4 렌즈(L4)와 상기 제5 렌즈(L5)를 접착하여 형성된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의 초점 거리(F45)=58.77mm이다. 또한, 상기 구체적인 매개변수에 의하면,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조건식의 구체적인 값은 다음과 같다:
(1) F/f1=0.97;
(2) F/f2=1.13, F/f3=-2.35, F/f23=-0.81;
(3) F/f4=-1.04, F/f5=1.44, F/f45=0.36;
(4) F/f6=0.96;
(5) F/f7=0.33;
(6) F/f8=-1.36.
상기 표 2의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C1),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C4),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C5) 및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200)에 설정된 제(1)항 내지 제(6)항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b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200)는 상기 설계를 통해, 이미징 품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300)는, 광축(Z)을 따라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제1 광학 어셈블리(C1), 제2 광학 어셈블리(C2), 제3 광학 어셈블리(C3), 제4 광학 어셈블리(C4), 제5 광학 어셈블리(C5) 및 제6 광학 어셈블리(C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C1),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C4),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C5) 및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 중 2개는 적어도 2개의 렌즈를 갖는 복합 렌즈를 포함하고, 나머지 4개는 단일 렌즈이다.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C1)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C1)는 단일 렌즈이고 제1 렌즈(L1)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렌즈(L1)의 물체측의 면(S1)은 볼록면이고, 상기 제1 렌즈(L1)의 이미지측의 면(S2)은 오목면이다.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는 복합 렌즈이고 제2 렌즈(L2) 및 제3 렌즈(L3)를 포함하여, 렌즈의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수차 생성을 제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 렌즈(L2)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L3)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렌즈(L2)의 물체측의 면(S3)은 볼록면이고, 상기 제2 렌즈(L2)의 이미지측의 면(S4)은 상기 이미지측을 향하여 약간 볼록한 볼록면이고, 상기 제3 렌즈(L3)의 물체측의 면(S4)은 상기 물체측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오목면이고, 상기 제3 렌즈(L3)의 이미지측의 면(S5)은 메니스커스 형상의 오목면이고, 상기 제3 렌즈(L3)의 물체측의 면(S4)과 상기 제2 렌즈(L2)의 이미지측의 면(S4)은 서로 접착되어,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를 형성한다.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는 복합 렌즈이고 제4 렌즈(L4) 및 제5 렌즈(L5)를 포함하여, 렌즈의 색수차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수차 생성을 제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4 렌즈(L4)은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 렌즈(L5)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렌즈(L4)는 양면 오목 렌즈이고, 즉 상기 제4 렌즈(L4)의 물체측의 면(S7) 및 이미지측의 면(S8)은 모두 오목면이고, 상기 제5 렌즈(L5)는 양면 볼록 렌즈이고, 즉 상기 제5 렌즈(L5)의 물체측의 면(S8) 및 이미지측의 면(S9)은 모두 볼록면이고, 상기 제5 렌즈(L5)의 물체측의 면(S8)과 상기 제4 렌즈(L4)의 이미지측의 면(S8)은 서로 접착되어,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를 형성한다.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C4)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C4)는 단일 렌즈이고 제6 렌즈(L6)를 포함하고, 상기 제6 렌즈(L6)는 양면 볼록 렌즈이고, 즉 상기 제6 렌즈(L6)의 물체측의 면(S10) 및 이미지측의 면(S11)은 모두 볼록면이다.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C5)는 단일 렌즈이고 제7 렌즈를 포함하고,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C5)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7 렌즈의 물체측의 면(S12)은 볼록면이고, 상기 제7 렌즈(L7)의 이미지측의 면(S13)은 상기 이미지측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오목면이다.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는 단일 렌즈이고 제8 렌즈(L8)를 포함하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8 렌즈(L8)는 메니커스 렌즈이고, 즉 상기 제8 렌즈(L8)의 물체측의 면(S14)은 메니스커스 형상의 오목면이고, 상기 제8 렌즈(L8)의 이미지측의 면(S15)은 상기 이미지측을 향하여 약간 오목한 오목면이다.
또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300)는 조리개(ST), 적외선 필터(L9) 및 보호 유리(L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리개(ST)는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의 제3 렌즈(L3)와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의 제4 렌즈(L4)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개(ST)는 상기 제4 렌즈(L4)에 비해 상기 제3 렌즈(L3)의 이미지측의 면(T3)에 가깝고, 상기 적외선 필터(L9)는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의 제8 렌즈(L8)의 이미지측의 면에 가깝고, 상기 적외선 필터(L9)는 유리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보호 유리(L10)는 상기 적외선 필터(L9)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 유리(L10)는 상기 적외선 필터(L9)와 촬상면(Im)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광학 이미징 렌즈(300)가 우수한 광학 성능과 높은 이미징 품질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300)는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한다:
(1) 1.47>F/f1>0.14;
(2) 1.26>F/f23>-1.31, 1.83>F/f2>0.52, -1.58>F/f3>-2.85;
(3) 0.86>F/f45>-0.43, -0.52>F/f4>-1.68, 1.94>F/f5>0.64;
(4) 1.55>F/f6>0.46;
(5) 1.07>F/f7>-0.17;
(6) -0.42>F/f8>-1.86.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300)의 초점 거리이고, f1은 상기 제1 렌즈(L1)의 초점 거리이고, f2은 상기 제2 렌즈(L2)의 초점 거리이고, f3은 상기 제3 렌즈(L3)의 초점 거리이고, f4은 상기 제4 렌즈(L4)의 초점 거리이고, f5는 상기 제5 렌즈(L5)의 초점 거리이고, f6은 상기 제6 렌즈(L6)의 초점 거리이고, f7은 상기 제7 렌즈(L7)의 초점 거리이고, f8은 상기 제8 렌즈(L8)의 초점 거리이고, f23은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의 초점 거리이고, f56은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의 초점 거리이다.
아래 표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300)의 데이터이고, 광학 이미징 렌즈(300)의 초점 거리(F)(또는 유효 초점 거리라고 칭함), 조리개 값(Fno), 전체 시야각(FOV), 각 렌즈의 곡률 반경(R), 광축에서의 각 표면과 다음 표면 사이의 거리, 각 렌즈의 굴절률(Nd), 각 렌즈의 초점 거리, 제2 광학 어셈블리(C2)의 접착 초점 거리 및 제3 광학 어셈블리(C3)의 접착 초점 거리를 포함하고, 초점 거리, 곡률 반경 및 거리의 단위는 mm이다.
초점 거리(F)= 16.36 mm, 조리개 값(Fno)=1.6, 전체 시야각(FOV)=36도
표면 번호 곡률 반경(R) 거리 굴절률 초점 거리 접착 초점 거리 비고
S1 16.13 2.69 1.84 25.66 제1 렌즈
S2 58.56 0.1 1  
S3 9.66 3.22 1.7 12.33 -44.02 제2 렌즈
S4 -133.3 0.6 1.7 -7.88 제3 렌즈
S5 4.54 1.28 1  
ST Infinity 4.39 1   조리개
S7 -7.34 0.7 1.62 -13.89 223.3 제4 렌즈
S8 13.2 4.1 1.78 13.47 제5 렌즈
S9 -11.2 0.1 1  
S10 13.11 3.59 1.62 16.16 제6 렌즈
S11 -30.16 0.1 1  
S12 27.46 4.11 1.91 28.85 제7 렌즈
S13 -311.8 1.1 1  
S14 -15.45 0.65 1.7 -17.67 제8 렌즈
S15 91.53 0.2 1  
S16 Infinity 0.4 1.53   적외선 필터
S17 Infinity 1.25 1  
S18 Infinity 0.5 1.53   보호 유리
S19 Infinity 0.44 1  
Im Infinity 0 1  
상기 표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제3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300)의 초점 거리(F)=16.36mm이고, 조리개 값(Fno)=1.6이고, 전체 시야각(FOV)=36도이다. 또한, 상기 제1 렌즈(L1)의 초점 거리(F1)=25.66mm이고, 상기 제2 렌즈(L2)의 초점 거리(F2)=12.33mm이고, 상기 제3 렌즈(L3)의 초점 거리(F3)=-7.88mm이고, 상기 제4 렌즈(L4)의 초점 거리(F4)=-13.89mm이고, 상기 제5 렌즈(L5)의 초점 거리(F5)=13.47mm이고, 상기 제6 렌즈(L6)의 초점 거리(F6)=16.16mm이고, 상기 제7 렌즈(L7)의 초점 거리(F7)=28.85mm이고, 상기 제8 렌즈(L8)의 초점 거리(F8)=-17.67mm이고, 상기 제2 렌즈(L2)와 상기 제3 렌즈(L3)를 접착하여 형성된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의 초점 거리(F23)=-44.02mm이고, 상기 제4 렌즈(L4)와 상기 제5 렌즈(L5)를 접착하여 형성된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의 초점 거리(F45)=223.3mm이다. 또한, 상기 구체적인 매개변수에 의하면,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조건식의 구체적인 값은 다음과 같다:
(1) F/f1=0.64;
(2) F/f2=1.33, F/f3=-2.08, F/f23=-0.37;
(3) F/f4=-1.18, F/f5=1.21, F/f45=0.07;
(4) F/f6=1.01;
(5) F/f7=0.57;
(6) F/f8=-0.93.
상기 표 3의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C1),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C2),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C3),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C4),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C5) 및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C6)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300)에 설정된 제(1)항 내지 제(6)항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b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광학 이미징 렌즈(300)는 상기 설계를 통해, 이미징 품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행 가능한 실시예일 뿐이며, 상기 표에 나열된 데이터 자료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당업자는 본 발명을 참조한 후, 매개변수 또는 설정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서 및 특허청구범위를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진 모든 동등한 변경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 200, 300: 광학 이미징 렌즈
C1: 제1 광학 어셈블리
C2: 제2 광학 어셈블리
C3: 제3 광학 어셈블리
C4: 제4 광학 어셈블리
C5: 제5 광학 어셈블리
C6: 제6 광학 어셈블리
L1: 제1 렌즈
L2: 제2 렌즈
L3: 제3 렌즈
L4: 제4 렌즈
L5: 제5 렌즈
L6: 제6 렌즈
L7: 제7 렌즈
L8: 제8 렌즈
L9: 적외선 필터
L10: 보호 유리
Im: 촬상면
ST: 조리개
Z: 광축
S1, S3, S4, S7, S8, S10, S12, S14: 물체측의 면
S2, S4, S5, S8, S9, S11, S13, S15: 이미지측의 면

Claims (24)

  1. 광학 이미징 렌즈에 있어서,
    광축을 따라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광학 어셈블리;
    제2 광학 어셈블리;
    제3 광학 어셈블리;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 광학 어셈블리;
    제5 광학 어셈블리; 및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 광학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 및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 중 2개는 적어도 2개의 렌즈를 갖는 복합 렌즈를 포함하고, 나머지 4개는 단일 렌즈이고,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47>F/f1>0.14; 1.55>F/f6>0.46; -0.42>F/f8>-1.86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1은 제1 광학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이고, f6은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이고, f8은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는 단일 렌즈이고 제1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는 복합 렌즈이고 제2 렌즈 및 제3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는 복합 렌즈이고 제4 렌즈 및 제5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광학 어셈블리는 단일 렌즈이고 제6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는 단일 렌즈이고 제7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6 광학 어셈블리는 단일 렌즈이고 제8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 이미징 렌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광학 이미징 렌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83>F/f2>0.52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2은 상기 제2 렌즈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58>F/f3>-2.85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3은 상기 제3 렌즈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광학 이미징 렌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0.52>F/f4>-1.68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4은 상기 제4 렌즈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94>F/f5>0.64를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5는 상기 제5 렌즈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광학 이미징 렌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광학 이미징 렌즈.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26>F/f23>-1.31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23은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0.86>F/f45>-0.43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45은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07>F/f7>-0.17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7은 상기 제5 광학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14. 광학 이미징 렌즈에 있어서,
    광축을 따라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물체측의 면은 볼록면인 제1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물체측의 면은 볼록면인 제2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이미지측의 면은 오목면이고, 물체측의 면과 상기 제2 렌즈의 이미지측의 면은 서로 접착되어 제2 광학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제3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양면 오목 렌즈인 제4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양면 볼록 렌즈이고, 물체측의 면과 상기 제4 렌즈의 이미지측의 면은 서로 접착되어 제3 광학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제5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양면 볼록 렌즈인 제6 렌즈;
    물체측의 면은 볼록면인 제7 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물체측의 면은 오목면인 제8 렌즈;
    를 포함하는 광학 이미징 렌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83>F/f2>0.52를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2은 상기 제2 렌즈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58>F/f3>-2.85를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3은 상기 제3 렌즈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0.52>F/f4>-1.68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4은 상기 제4 렌즈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94>F/f5>0.64를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5는 상기 제5 렌즈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7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광학 이미징 렌즈.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7 렌즈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광학 이미징 렌즈.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26>F/f23>-1.31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23은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0.86>F/f45>-0.43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45은 상기 제3 광학 어셈블리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07>F/f7>-0.17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7은 상기 제7 렌즈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는 1.47>F/f1>0.14; 1.55>F/f6>0.46; -0.42>F/f8>-1.86의 조건을 만족하고, 여기서 F는 상기 광학 이미징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6은 상기 제6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8은 상기 제8 렌즈의 초점 거리인, 광학 이미징 렌즈.
KR1020210104323A 2021-06-04 2021-08-09 광학 이미징 렌즈 KR202201643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120411A TWI771038B (zh) 2021-06-04 2021-06-04 光學成像鏡頭
TW110120411 2021-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389A true KR20220164389A (ko) 2022-12-13

Family

ID=7743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323A KR20220164389A (ko) 2021-06-04 2021-08-09 광학 이미징 렌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90715A1 (ko)
EP (1) EP4099074A1 (ko)
JP (1) JP7234311B2 (ko)
KR (1) KR20220164389A (ko)
TW (1) TWI771038B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0223A (en) * 1979-10-09 1982-01-12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6 Mm Ultra-fiche lens
JP2679016B2 (ja) * 1986-12-08 1997-11-19 ミノルタ株式会社 有限距離用ズームレンズ系
JP2679103B2 (ja) * 1987-04-22 1997-11-19 ミノルタ株式会社 投影レンズ系
JPH01261612A (ja) * 1988-04-13 1989-10-18 Konica Corp プロジェクター用投影レンズ
JP3206908B2 (ja) * 1990-03-30 2001-09-10 東洋製罐株式会社 コンパクトなズームレンズ
JPH04254814A (ja) * 1991-02-07 1992-09-10 Nikon Corp 投影レンズ
JP3008711B2 (ja) * 1992-11-20 2000-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小型のズームレンズ
JPH11125769A (ja) * 1997-10-21 1999-05-11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系
JP4228091B2 (ja) 1998-08-12 2009-02-25 株式会社ニコン 可変焦点距離レンズ系
JP2000066101A (ja) 1999-09-13 2000-03-03 Canon Inc 小型のズ―ムレンズ
JP3976782B1 (ja) * 2007-05-17 2007-09-19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5582905B2 (ja) 2010-07-27 2014-09-03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結像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5785338B2 (ja) * 2012-12-21 2015-09-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101994284B1 (ko) * 2013-01-11 2019-09-3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계
TWI672536B (zh) * 2016-03-29 2019-09-21 佳能企業股份有限公司 光學鏡頭
CN110873943B (zh) * 2018-08-31 2022-04-12 佳凌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99074A1 (en) 2022-12-07
JP7234311B2 (ja) 2023-03-07
US20220390715A1 (en) 2022-12-08
TW202248706A (zh) 2022-12-16
JP2022186563A (ja) 2022-12-15
TWI771038B (zh) 202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2250B2 (en) Optical image lens
US11860381B2 (en) Five lens camera module having specified lens to imaging plane distances
US8724239B2 (en) Optical lens system for image taking
US8611023B2 (en)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TWI424212B (zh) 攝影用光學鏡片組
WO2013099214A1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CN110873943B (zh) 光学成像镜头
CN110837160B (zh) 光学成像模块
WO2013099213A1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20230007296A (ko) 촬상 광학계
KR102220638B1 (ko) 촬상 렌즈
KR102008497B1 (ko) 촬상 렌즈 시스템
JP2023064031A (ja) 光学結像レンズ装置
KR20220164389A (ko) 광학 이미징 렌즈
JP2005091513A (ja) 撮像カメラ用光学レンズ
TWI786914B (zh) 光學成像鏡頭
TWI798036B (zh) 光學成像鏡頭
KR20230059116A (ko) 광학 이미징 렌즈
KR102208325B1 (ko) 촬상 렌즈
KR102244019B1 (ko) 촬상 렌즈
TWI804019B (zh) 光學成像鏡頭
TWI788961B (zh) 光學成像鏡頭
TWI835054B (zh) 光學成像鏡頭
KR102408931B1 (ko)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KR102173119B1 (ko) 촬상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