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931B1 -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931B1
KR102408931B1 KR1020200075944A KR20200075944A KR102408931B1 KR 102408931 B1 KR102408931 B1 KR 102408931B1 KR 1020200075944 A KR1020200075944 A KR 1020200075944A KR 20200075944 A KR20200075944 A KR 20200075944A KR 102408931 B1 KR102408931 B1 KR 102408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lenses
conditional expression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752A (ko
Inventor
정필선
안치호
강찬구
오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솔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솔루텍
Priority to KR102020007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9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6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fluids in transparent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Abstract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8 렌즈를 포함하며, 제1 렌즈, 제3 렌즈, 제6 렌즈, 및 제8 렌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제2 및 제7 렌즈는 광학 접합 물질로 형성되며, 제2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제1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1 및 제3 렌즈가 제2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1군의 제1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제7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제6 렌즈와 제8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6 및 제8 렌즈가 제7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2군의 제2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제2 렌즈의 굴절률은 제1 렌즈의 굴절률 및 제3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제7 렌즈의 굴절률은 제6 렌즈의 굴절률 및 제8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제1 렌즈의 입사면,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제1 경계면,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제2 경계면, 및 제3 렌즈의 출사면 중 적어도 한 면은 비구면이며, 제6 렌즈의 입사면, 제6 렌즈와 제7 렌즈 사이의 제3 경계면, 제7 렌즈와 제8 렌즈 사이의 제4 경계면, 및 제8 렌즈의 출사면 중 적어도 한 면은 비구면이다.

Description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Lens optical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본 개시는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씨모스 이미지센서(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CMOS 이미지센서)나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와 같은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카메라(촬상 장치)의 보급 및 사용 분야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카메라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고체 촬상 소자의 화소 집적도는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카메라에 내장되는 렌즈 광학계의 성능 개선을 통해 카메라의 소형화 및 경량화도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소형화에 적합하므로 모바일 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모바일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카메라는 초소형을 요구하면서도 DSLR 카메라(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수준의 고성능을 요구한다. 이에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카메라용 렌즈 광학계는 비구면 렌즈를 이용하여 컴팩트하면서도 높은 성능구현을 하고 있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면서 적용되는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 렌즈 광학계 또한 고화소에 초슬림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비구면 렌즈들을 경통에 조립하는 방식으로는, 가령 64M 픽셀 이상의 초고화소 센서에 적용하여 컴팩트한 광학 성능을 구현하기에 한계가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초슬림하게 구현하면서도 광학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학계를 컴팩트하게 구현함으로써 초슬림의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8 렌즈를 포함하며, 제1 렌즈, 제3 렌즈, 제6 렌즈, 및 제8 렌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제2 및 제7 렌즈는 광학 접합 물질로 형성되며, 제2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제1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1 및 제3 렌즈가 제2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1군의 제1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제7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제6 렌즈와 제8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6 및 제8 렌즈가 제7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2군의 제2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제2 렌즈의 굴절률은 제1 렌즈의 굴절률 및 제3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제7 렌즈의 굴절률은 제6 렌즈의 굴절률 및 제8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제1 렌즈의 입사면,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제1 경계면,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제2 경계면, 및 제3 렌즈의 출사면 중 적어도 한 면은 비구면이며, 제6 렌즈의 입사면, 제6 렌즈와 제7 렌즈 사이의 제3 경계면, 제7 렌즈와 제8 렌즈 사이의 제4 경계면, 및 제8 렌즈의 출사면 중 적어도 한 면은 비구면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경계면과 제2 경계면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3 경계면과 제4 경계면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렌즈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1): 0.01 ≤ ThiL2 ≤ 0.1
조건식(2): 1.4 ≤ Ind2 ≤ 1.8
조건식(3): 0.01 ≤ ThiL7 ≤ 0.1
조건식(4): 1.4 ≤ Ind7 ≤ 1.8
여기서, ThilL2는 제2 렌즈의 두께를 나타내며, ThilL7은 제7 렌즈의 두께를 나타내며, Ind2는 제2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내며, Ind7는 제7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렌즈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5): 0.15 ≤ OAL_L1toL3/OAL ≤ 0.25
조건식(6): 0.1 ≤ OAL_L1toL3/IH ≤ 0.2
조건식(7): 0.15 ≤ OAL_L6toL8/OAL ≤ 0.25
조건식(8): 0.1 ≤ OAL_L6toL8/IH ≤ 0.2
여기서, OAL_L1toL3(단위: mm)는 제1 렌즈의 입사면의 중심과 제3 렌즈의 출사면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OAL_L6toL8(단위: mm)는 제6 렌즈의 입사면의 중심과 제8 렌즈의 출사면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OAL(단위: mm)은 제1 렌즈의 입사면의 중심과 제7 렌즈의 출사면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내며, IH(단위: mm)는 유효경의 상고의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렌즈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9): 0.55 ≤ TTL/IH ≤ 0.8
조건식(10): 70 ≤ Fov ≤ 90
여기서, TTL(단위: mm)은 제1 렌즈의 입사면의 중심에서 상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며, FOV(단위: °)는 렌즈 광학계의 화각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접합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접합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접합 렌즈는 입사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4 및 제5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2 접합 렌즈는 2개 이상의 변곡점을 가지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내지 제3 렌즈로 이루어진 제1 젭합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 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6 내지 제8 렌즈로 이루어진 제2 접합 렌즈;를 포함하며, 제2 렌즈 및 제7 렌즈는 광학 접합 물질로 형성되며, 제2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제1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1 및 제3 렌즈가 제2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1군의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제7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제6 렌즈와 제8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6 및 제8 렌즈가 제7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2군의 제2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제2 렌즈의 굴절률은 제1 렌즈의 굴절률 및 제3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제7 렌즈의 굴절률은 제6 렌즈의 굴절률 및 제8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접합 렌즈는 입사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촬상 장치는 렌즈 광학계와, 렌즈 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상을 촬상하는 고체 촬상 소자를 포함하며,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8 렌즈를 포함하며, 제1 렌즈, 제3 렌즈, 제6 렌즈, 및 제8 렌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제2 및 제7 렌즈는 광학 접합 물질로 형성되며, 제2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제1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1 및 제3 렌즈가 제2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1군의 제1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제7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제6 렌즈와 제8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6 및 제8 렌즈가 제7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2군의 제2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제2 렌즈의 굴절률은 제1 렌즈의 굴절률 및 제3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제7 렌즈의 굴절률은 제6 렌즈의 굴절률 및 제8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제1 렌즈의 입사면,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제1 경계면,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제2 경계면, 및 제3 렌즈의 출사면 중 적어도 한 면은 비구면이며, 제6 렌즈의 입사면, 제6 렌즈와 제7 렌즈 사이의 제3 경계면, 제7 렌즈와 제8 렌즈 사이의 제4 경계면, 및 제8 렌즈의 출사면 중 적어도 한 면은 비구면이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촬상 장치는 렌즈 광학계와, 렌즈 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상을 촬상하는 고체 촬상 소자를 포함하며,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내지 제3 렌즈로 이루어진 제1 젭합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 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6 내지 제8 렌즈로 이루어진 제2 접합 렌즈;를 포함하며, 제2 렌즈 및 제7 렌즈는 광학 접합 물질로 형성되며, 제2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제1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1 및 제3 렌즈가 제2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1군의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제7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제6 렌즈와 제8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6 및 제8 렌즈가 제7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2군의 제2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제2 렌즈의 굴절률은 제1 렌즈의 굴절률 및 제3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제7 렌즈의 굴절률은 제6 렌즈의 굴절률 및 제8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접합 렌즈는 입사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2개 이상의 렌즈를 접합하여 1개 군의 접합 렌즈를 구현함으로써, 고성능을 유지하면서, 초소형 및 초슬림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파워배치 분산으로 높은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민감도가 낮은 설계가 가능하여 양산성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주요 구성요소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제1 접합 렌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제2 접합 렌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렌즈 단부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치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주요 구성요소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치도이다.
도 8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주요 구성요소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치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 및 촬상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혹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면(image plane)(IP)”이라고 기재된 표현은 렌즈 광학계를 지나 상이 맺히는 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면측(image plane side)”은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 소자등이 위치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렌즈 광학계를 기준으로 “물체측(object side)”과 “상면측”은 서로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렌즈의 두 양면 중 물체측에 있는 면을 입사면이라고 하고, 상면측에 있는 면을 출사면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주요 구성요소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의 제1 접합 렌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의 제2 접합 렌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렌즈 광학계는 물체(OBJ) 측으로부터 상면(IP)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8 렌즈(L1~L8)를 포함한다.
제1 렌즈(L1), 제2 렌즈(L2) 및 제3 렌즈(L3)는 제1 접합 렌즈(CL1)를 이룬다.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제2 렌즈(L2)는 광학 접합 물질(20)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즈(L2)의 광학 접합 물질(20)이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1 렌즈(L1) 및 제3 렌즈(L3)가 제2 렌즈(L2)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됨으로써 1군의 제1 접합 렌즈(CL1)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1 접합 렌즈(CL1)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입사면(1)이 물체(OBJ)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 사이의 소정의 간격은 제2 렌즈(L2)의 두께가 된다. 즉, 제2 렌즈(L2)의 두께 ThilL2는 제1 렌즈(L1)의 출사면의 정점과 제3 렌즈(L3)의 입사면의 정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렌즈(L2)의 두께 ThilL2(단위: mm)는 다음의 조건식(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1): 0.01 ≤ ThiL2 ≤ 0.1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 사이에는 제2 렌즈(L2)의 광학 접합 물질(20)이 채워짐에 따라, 제1 렌즈(L1)의 출사면은 제2 렌즈(L2)의 입사면과 같으며, 제2 렌즈(L2)의 출사면은 제3 렌즈(L3)의 입사면과 같다. 이하에서, 제1 렌즈(L1)의 출사면(즉, 제2 렌즈(L2)의 입사면)은 제1 경계면(2)으로 기술하며, 제3 렌즈(L3)의 입사면(즉, 제2 렌즈(L2)의 출사면)은 제2 경계면(3)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3 렌즈(L1~L3)의 접합의 기구적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가 이격됨에 따라, 제1 경계면(2)과 제2 경계면(3)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경계면(2)과 제2 경계면(3)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계면(2)은 물체(OBJ)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비구면이며, 제2 경계면(3)도 물체(OBJ)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비구면이되, 제1 경계면(2)의 곡률반경과, 제2 경계면(3)의 곡률반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L1)의 입사면(1) 및 제3 렌즈(L3)의 출사면(4)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렌즈(L1)의 입사면(1), 제1 경계면(2), 제2 경계면(3), 및 제3 렌즈(L3)의 출사면(4)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2 렌즈(L2)의 굴절률은 제1 렌즈(L1)의 굴절률 및 제3 렌즈(L3)의 굴절률과 다르다.
광학 접합 물질은 광학적 성질이 우수하면서 접착성이 있는 물질일 수 있다. 광학 접합 물질은, 제조 공정을 고려하여, UV 경화성 또는 열 경화성 물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학 접합 물질로 제조되는 제2 렌즈(L2)의 굴절률 Ind2는 다음의 조건식(2)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2): 1.4 ≤ Ind2 ≤ 1.8
제4 렌즈(L4)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제4 렌즈(L4)는 예를 들어, 양볼록 렌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5 렌즈(L5)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제5 렌즈(L5)는 예를 들어, 상면(IP)측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6 렌즈(L6), 제7 렌즈(L7) 및 제8 렌즈(L8)는 제2 접합 렌즈(CL2)를 이룬다. 제6 렌즈(L6)와 제8 렌즈(L8)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제7 렌즈(L7)는 광학 접합 물질(70)로 형성될 수 있다. 제7 렌즈(L7)의 광학 접합 물질(70)이 제6 렌즈(L6)와 제8 렌즈(L8)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6 렌즈(L6) 및 제8 렌즈(L8)가 제7 렌즈(L7)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됨으로써 2군의 제2 접합 렌즈(CL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2 접합 렌즈(CL2)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2개 이상의 변곡점을 가지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변곡점은 곡률 반경의 부호가 (+)에서 (-)로 변하거나 (-)에서 (+)로 변하는 점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변곡점은 렌즈의 형상이 볼록에서 오목으로 변하거나 오목에서 볼록으로 변하는 점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접합 렌즈(CL2)는 예를 들어, 렌즈 면의 중심부(광축으로부터 소정 반경 내) 에서 상면(IP)측을 향해 오목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합 렌즈(CL2)의 출사면(12)은 광축(OA) 근처에서 상면(IP)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광축(OA)으로부터 주변부로 갈수록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6 렌즈(L6)와 제8 렌즈(L8)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6 렌즈(L6)와 제8 렌즈(L8) 사이의 소정의 간격은 제7 렌즈(L7)의 두께가 된다. 즉, 제7 렌즈(L7)의 두께 ThilL7는 제6 렌즈(L6)의 출사면의 정점과 제8 렌즈(L8)의 입사면의 정점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7 렌즈(L7)의 두께 ThilL7(단위: mm)는 다음의 조건식(3)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3): 0.01 ≤ ThiL7 ≤ 0.1
제6 렌즈(L6)와 제8 렌즈(L8) 사이에는 제7 렌즈(L7)의 광학 접합 물질(70)이 채워짐에 따라, 제6 렌즈(L6)의 출사면은 제7 렌즈(L7)의 입사면과 같으며, 제7 렌즈(L7)의 출사면은 제8 렌즈(L8)의 입사면과 같다. 이하에서, 제6 렌즈(L6)의 출사면(즉, 제7 렌즈(L7)의 입사면)은 제3 경계면(10)으로 기술하며, 제8 렌즈(L8)의 입사면(즉, 제7 렌즈(L7)의 출사면)은 제4 경계면(11)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제6 렌즈(L6)와 제8 렌즈(L8)가 이격됨에 따라, 제3 경계면(10)과 제4 경계면(11)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경계면(10)과 제4 경계면(11)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경계면(10)은 물체(OBJ)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비구면이며, 제4 경계면(11)은 2개 이상의 변곡점을 가지는 비구면일 수 있다.
또한, 제6 렌즈(L6)의 입사면(9) 및 제8 렌즈(L8)의 출사면(12)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렌즈(L6)의 입사면(9), 제3 경계면(10), 제4 경계면(11), 및 제8 렌즈(L8)의 출사면(12)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7 렌즈(L7)의 굴절률은 제6 렌즈(L6)의 굴절률 및 제8 렌즈(L8)의 굴절률과 다르다. 제7 렌즈(L7)의 광학 접합 물질은, 제조 공정을 고려하여, UV 경화성 또는 열 경화성 물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학 접합 물질로 제조되는 제7 렌즈(L7)의 굴절률 Ind7은 다음의 조건식(4)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4): 1.4 ≤ Ind7 ≤ 1.8
또한, 제1 및 제2 접합 렌즈(CL1, CL2)는 다음의 조건식(5)~(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5): 0.15 ≤ OAL_L1toL3/OAL ≤ 0.25
조건식(6): 0.1 ≤ OAL_L1toL3/IH ≤ 0.2
조건식(7): 0.15 ≤ OAL_L6toL8/OAL ≤ 0.25
조건식(8): 0.1 ≤ OAL_L16toL38/IH ≤ 0.2
여기서, OAL_L1toL3(단위: mm)는 제1 렌즈(L1)의 입사면(1)의 중심과 제3 렌즈(L3)의 출사면(4)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내며, 제1 접합 렌즈(CL1)의 두께에 해당한다. OAL_L6toL8(단위: mm)는 제6 렌즈(L6)의 입사면(9)의 중심과 제8 렌즈(L8)의 출사면(12)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제2 접합 렌즈(CL2)의 두께에 해당한다. OAL(단위: mm)은 제1 렌즈(L1)의 입사면(1)의 중심과 제7 렌즈(L7)의 출사면(12)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IH(단위: mm)는 유효경의 상고의(즉, 상면(IP)에서의 상의 직경)를 나타낸다.
조건식(5)은 제1 내지 제3 렌즈(L1~L3)의 두께와 렌즈 광학계 전체의 두께의 관계를 보여주며, 조건식(7)은 제6 내지 제8 렌즈(L6~L8)의 두께와 렌즈 광학계 전체의 두께의 관계를 보여준다. 조건식(5)와 (7)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 렌즈(L1~L3)의 두께 및 제6 내지 제8 렌즈(L6~L8)의 두께를 줄임에 따라 렌즈 광학계의 고성능을 유지하면서 렌즈 광학계를 초슬림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조건식(6)은 제1 내지 제3 렌즈(L1~L3)의 두께와 상면(IP)의 크기의 관계를 보여주며, 조건식(8)은 제6 내지 제8 렌즈(L6~L8)의 두께와 상면(IP)의 크기의 관계를 보여준다. 조건식(6)와 (8)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 렌즈(L1~L3)의 두께 및 제6 내지 제8 렌즈(L6~L8)의 두께를 줄임에 따라 상면(IP)의 크기 대비 렌즈 광학계를 초슬림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접합 렌즈(CL1, CL2)는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2매의 광학 렌즈의 접합 렌즈일 수 있으나, 그 사이에서 접착제로 기능하는 광학 접합 물질을 렌즈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렌즈 광학계 전체의 길이를 초슬림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렌즈(L1~L3)나 제6 내지 제8 렌즈(L6~L8)는 공기가 개재되지 않은 상태로 접합됨으로써, 높은 수준에서 색수차가 보정될 수 있다.
제8 렌즈(L8)와 상면(IP)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광학 필터(optical filter, OF)가 구비될 수 있다. 광학 필터(OF)는 예를 들어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적외선 차단 필터(IR-Cut Filter), 커버 글라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필터(OF)로서 적외선 차단 필터가 구비되는 경우, 가시광선은 투과되고, 적외선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적외선이 상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광학 필터(OF) 없이 촬영 렌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렌즈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9)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9): 0.55 ≤ TTL/IH ≤ 0.8
여기서, TTL(단위: mm)은 제1 렌즈(L1)의 입사면(1)의 중심에서 상면(IP)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조건식(9)를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는 상면(IP)의 크기 대비 렌즈 광학계의 전체 길이를 줄여, 초슬림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렌즈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10)을 만족할 수 있는 바, 고해상도의 광각 렌즈가 구현될 수 있다.
조건식(10): 70 ≤ Fov ≤ 90
여기서, FOV(단위: °)는 렌즈 광학계의 화각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렌즈 광학계에서 제1 내지 제8 렌즈(L1~L8)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plastic)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제1 렌즈(L1), 제3 렌즈 내지 제7 렌즈(L3~L7)는 모두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렌즈를 사용할 경우, 글라스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가볍고 양산에 유리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렌즈(L2)의 광학 접합 물질(20)이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제1 내지 제3 렌즈(L1~L3)가 1군의 접합 렌즈를 구성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렌즈(L1~L3)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 광학계는 고성능을 유지하면서, 초소형 및 초슬림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제1 렌즈(L1), 제3 렌즈 내지 제6 렌즈(L3~L6), 제8 렌즈(L8)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 렌즈(L1), 제3 렌즈 내지 제6 렌즈(L3~L6), 제8 렌즈(L8) 중 일부를 글라스로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L1), 제3 렌즈(L3), 제6 렌즈(L3~L6) 및 제8 렌즈(L8)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되, 제4 렌즈 및 제5 렌즈(L4~L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글라스로 제조할 수도 있다. 글라스 렌즈를 사용할 경우,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고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조리개(Stop, ST)는 예시적으로, 제1 접합 렌즈(CL1)의 출사면(4) 측에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리개(ST)는 렌즈 광학계의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조리개(ST)가 없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제1 접합 렌즈(CL1)의 접합의 기구적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렌즈(L1)는 입사면(1)과 출사면(즉, 제1 경계면(2))으로 규정되는 제1 렌즈 몸체(10)와, 제1 렌즈 몸체(10)의 외곽에서 연장되는 제1 렌즈 단부(11)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3 렌즈(L3)는 입사면(즉, 제2 경계면(3))과 출사면(4)으로 규정되는 제3 렌즈 몸체(30)와, 제3 렌즈 몸체(30)의 외곽에서 연장되는 제3 렌즈 단부(31)를 포함한다.
제1 렌즈 단부(11)는 출사면 쪽으로 오목한 홈을 규정하는 제1 접합면(12)과 제2 접합면(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면(12)은 제1 렌즈 단부(11)의 내측면이며, 제2 접합면(13)은 제1 렌즈(L1)의 출사면(즉, 제1 경계면(2))과 상기 제1 접합면(12) 사이의 면이다. 달리 말하면, 제1 렌즈 단부(11)는 제3 렌즈(L3)의 제3 렌즈 단부(31)의 일부가 삽입되어 맞닿을 수 있는 형상으로 단차되어 있다. 제1 렌즈 단부(11)의 오목한 홈으로 제3 렌즈 단부(31)의 일부가 끼워지게 된다.
제3 렌즈 단부(31)는 제3 렌즈 단부(31)의 끝단면인 제3 접합면(32)과, 제3 렌즈(L3)의 입사면(즉, 제2 경계면(3))과 제3 접합면(32) 사이의 제4 접합면(33)을 포함한다.
제3 렌즈(L3)의 일부가 제1 렌즈(L1)의 오목한 홈으로 끼워지게 됨에 따라 제1 렌즈 단부(11)의 제1 접합면(12)과 제2 접합면(13)은 제3 렌즈 단부(31)의 제3 접합면(32)과 제3 접합면(33)에 각각 맞닿게 된다. 도 2에 도시되듯이, 제1 렌즈(L1)의 출사면(즉, 제1 경계면(2))의 끝단과 제3 렌즈(L3)의 입사면(즉, 제2 경계면(3))의 끝단 사이에는 갭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갭이 있는 경우, 제조 공정에서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의 간격 유지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바, 도 2에 도시되듯이, 제2 접합면(13)에 단차를 두어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의 간격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L1)의 출사면(즉, 제1 경계면(2))과 제3 렌즈(L3)의 입사면(즉, 제2 경계면(3))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그 사이의 공간에 광학 접합 물질(20)이 채워진다. 광학 접합 물질(20)은 제1 렌즈 단부(11)와 제3 렌즈 단부(31)의 맞닿는 면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접합 물질(20)은 예를 들어 UV 경화성 물질 또는 열 경화성 물질일 수 있으며,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광학 접합 물질(20)이 경화됨에 따라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를 접합시키게 된다.
광학 접합 물질(20)은, 경화되었을 때, 앞서 설명된 조건식(2)를 만족하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렌즈(L2)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제3 렌즈(L1~L3)를 일체의 제1 접합 렌즈(CL1)로 제작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렌즈(L1~L3)의 간격과 광축 정열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렌즈(L1~L3)를 일체의 제1 접합 렌즈(CL1)의 형태로 다른 렌즈들(즉, 제4 내지 제7 렌즈(L4~L7)와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성능구현과 제작 생산성을 올릴 수 있는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렌즈(L1)의 제1 렌즈 단부(11)에 오목한 홈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 및 도 4b는 렌즈 단부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렌즈(L1)의 제2 접합면(13)은 제1 렌즈(L1)의 출사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 접합면(13)에 단차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내지 제3 렌즈(L1~L3)의 접합의 기구적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렌즈(L1)의 제1 렌즈 단부(11) 대신에 제3 렌즈(L3)의 제3 렌즈 단부(31)에 오목한 홈이 마련된다. 즉, 제1 렌즈(L1)의 제1 렌즈 단부(11)는 끝단면인 제1 접합면(12)과 제1 렌즈(L1)의 출사면과 제1 접합면(12) 사이의 제2 접합면(13)을 포함한다. 한편, 제3 렌즈 단부(31)의 내측면인 제3 접합면(32)과, 제3 렌즈(L3)의 입사면과 제3 접합면(32) 사이의 제4 접합면(33)을 포함하고, 제3 접합면(32)과 제4 접합면(33)은 오목한 홈을 규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렌즈(L1)의 제1 렌즈 단부(11)의 일부가 제3 렌즈(L3)의 제3 렌즈 단부(31)의 오목한 홈에 끼워지게 된다.
제1 내지 제3 렌즈(L1~L3)의 접합의 기구적 구조는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10-2020-0039437호(출원일: 2020년 3월 31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L1)의 제1 렌즈 단부(11) 및 제3 렌즈(L3)의 제3 렌즈 단부(13)의 기구적 구조에 의한 렌즈 접합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 사이에 개재되는 광학 접합 물질 자체가 접착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1 렌즈(L1)의 제1 렌즈 단부(11) 및 제3 렌즈(L3)의 제3 렌즈 단부(13)가 모두 평평한 단순 구조를 갖더라도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는 접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가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제1 접합 렌즈(CL1)의 제조 공정 중 광학 접합 물질의 경화 단계에서, 제1 렌즈(L1)와 제3 렌즈(L3)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또록 지지하는 장치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제2 접합 렌즈(CL2)의 접합 구조 역시, 제1 접합 렌즈(CL1)의 접합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되듯이, 제6 렌즈(L6)는 제6 렌즈 몸체(60)와, 제6 렌즈 몸체(60)의 외곽에서 연장되는 제6 렌즈 단부(61)를 포함하며, 제8 렌즈(L8)는 제8 렌즈 몸체(80)와, 제8 렌즈 몸체(80)의 외곽에서 연장되는 제8 렌즈 단부(81)를 포함한다. 제6 렌즈 단부(61)와 제8 렌즈 단부(81) 중 어느 하나가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이 오목한 홈으로 끼워지게 될 수 있다. 한편, 제6 렌즈(L6)의 출사면(즉, 제3 경계면(10))과 제8 렌즈(L8)의 입사면(즉, 제4 경계면(11))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그 사이의 공간에 광학 접합 물질(70)이 채워진다. 광학 접합 물질(20)은 제1 렌즈 단부(11)와 제3 렌즈 단부(31)의 맞닿는 면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제6 렌즈 단부(61)와 제8 렌즈 단부(81)의 서로 맞닿는 면은 접합면들(62, 63, 82, 83)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설계에 따른 수치 실시예를 통해 렌즈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각 수치 실시예에서 렌즈면 번호(1, 2, 3, …, n; n은 자연수)는 물체 (OBJ)측으로부터 상면(IP)측으로 순차적으로 나열되며, 도면에는 렌즈 면의 부호를 도시한다. 그리고, OBJ는 물체를, EFL은 각 렌즈의 초점 거리를, F-no는 F 넘버를, FOV는 화각을, R은 곡률 반경을, Dn은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을, Nd는 굴절률을, Vd는 아베수를 나타낸다. ST는 조리개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 사용되는 비구면의 정의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비구면 형상은 광축 방향을 x축으로 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y축으로 할 때, 광선의 진행 방향을 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x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A, B, C, D, E 및 F는 비구면 계수를, c는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역수(1/R)를 각각 나타낸다.
< 비구면 방정식 >
Figure 112020064093053-pat00001
<제1 수치 실시예>
도 1은 제1 수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의 표 1은 제1 수치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Radius Thickness Nd Vd
1 1.89790 0.68235 1.53349 55.85588
2 46.79729 0.05000 1.56112 46.01898
3 6.96272 0.20009 1.66709 20.35619
4 4.53522 0.11676    
Stop Infinity 0.10000    
5 6.61042 0.65134 1.53349 55.85588
6 -16.56917 0.47663    
7 -4.14178 0.56605 1.66709 20.35619
8 -8.76809 0.47946    
9 12.84926 0.69892 1.61927 25.95994
10 -3.39994 0.07000 1.62429 25.99952
11 -12.67153 0.35000 1.53349 55.85588
12 2.90631 0.30000    
13 Infinity 0.21000 1.51827 64.19733
14 Infinity 0.96387    
Image Infinity 0.00000    
다음의 표 2 및 표 3은 제1 수치 실시예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K 4th 6th 8th 10th
1 -0.55868 -0.00481 -0.00262 -0.00531 0.00064
2 -0.74430 -0.00002 -0.00001 0.00003 -0.00001
3 -71.69508 -0.00358 -0.06210 0.12369 -0.23501
4 3.80577 -0.04025 -0.02976 0.04834 -0.12322
Stop          
5 0.00000 -0.01736 0.00837 -0.04904 0.11297
6 0.00000 -0.03077 0.03759 -0.13927 0.25202
7 15.58423 -0.10242 0.04711 -0.09391 0.10084
8 32.50103 -0.12411 0.08245 -0.05769 0.01693
9 0.00000 -0.14875 0.03501 0.01196 -0.03447
10 0.00000 -0.03209 -0.10967 0.20685 -0.14563
11 -3.34702 -0.03737 0.01827 -0.03281 0.01989
12 -1.00000 -0.09308 0.03217 -0.00950 0.00204
13
14
Image          
12th 14th 16th 18th 20th
1 -0.00019 -0.00029 0.00017 0.00000 0.00000
2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3 0.24709 -0.12251 0.02309 0.00000 0.00000
4 0.18984 -0.13247 0.03519 0.00000 0.00000
Stop          
5 -0.07211 0.01416 0.00000 0.00000 0.00000
6 -0.23253 0.02848 0.11369 -0.08103 0.01698
7 -0.16064 0.17450 -0.08435 0.00000 0.00000
8 0.01093 -0.00987 0.00262 -0.00023 0.00000
9 0.03161 -0.01447 0.00356 -0.00045 0.00002
10 0.05422 -0.01164 0.00145 -0.00010 0.00000
11 -0.00558 0.00081 -0.00006 0.00000 0.00000
12 -0.00030 0.00003 0.00000 0.00000 0.00000
13
14
Image          
도 5는 제1 수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상면만곡으로는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보여준다.
<제2 수치 실시예>
도 6은 제2 수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의 표 4는 제2 수치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Radius Thickness Nd Vd
1 1.91134 0.72203 1.53349 55.85588
2 3609.73017 0.04000 1.59363 39.84769
3 7.85442 0.23797 1.66709 20.35619
4 4.64654 0.10656    
Stop Infinity 0.10000    
5 6.30276 0.63346 1.53349 55.85588
6 -19.27370 0.47162    
7 -4.12954 0.56840 1.66709 20.35619
8 -8.74671 0.47286    
9 13.97215 0.74325 1.61927 25.95994
10 -4.52218 0.06322 1.65626 38.11173
11 -12.77789 0.39351 1.53349 55.85588
12 2.93472 0.30000    
13 Infinity 0.21000 1.51827 64.19733
14 Infinity 0.98709    
Image Infinity 0.00000
다음의 표 5 및 표 6은 제2 수치 실시예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K 4th 6th 8th 10th
1 -0.54099 -0.00431 -0.00283 -0.00523 0.00136
2 5574277.40 -0.00039 -0.00113 -0.00595 0.01372
3 -71.69508 -0.05225 0.12497 -0.21419 0.11802
4 3.80577 -0.04750 0.01263 -0.06876 0.05130
Stop          
5 0.00000 -0.01295 -0.01719 -0.00422 0.07419
6 0.00000 -0.05289 0.18154 -0.64641 1.36141
7 15.59452 -0.10637 0.07625 -0.19829 0.29079
8 32.50714 -0.10888 0.04263 -0.00536 -0.02213
9 0.00000 -0.15653 0.08244 -0.07072 0.04100
10 0.00000 0.02541 -0.16119 0.16019 -0.08202
11 -3.34702 -0.00024 -0.02034 -0.01428 0.01487
12 -1.00000 -0.09680 0.03696 -0.01173 0.00264
13          
14          
Image
12th 14th 16th 18th 20th
1 -0.00107 0.00016 0.00008 0.00000 0.00000
2 -0.00975 0.00187 0.00000 0.00000 0.00000
3 0.03630 -0.05642 0.01461 0.00000 0.00000
4 0.05217 -0.08042 0.02823 0.00000 0.00000
Stop          
5 -0.05550 0.01141 0.00000 0.00000 0.00000
6 -1.73106 1.26495 -0.49141 0.08011 -0.00100
7 -0.34163 0.26111 -0.10044 0.00000 0.00000
8 0.02778 -0.01398 0.00314 -0.00026 0.00000
9 -0.00884 -0.00130 0.00100 -0.00018 0.00001
10 0.02513 -0.00472 0.00053 -0.00003 0.00000
11 -0.00478 0.00074 -0.00006 0.00000 0.00000
12 -0.00041 0.00004 0.00000 0.00000 0.00000
13          
14          
Image
도 7은 제2 수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제3 수치 실시예>
도 8은 제3 수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의 표 7는 제3 수치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Radius Thickness Nd Vd
1 1.89789 0.68235 1.53349 55.85588
2 46.78019 0.05000 1.52147 64.99902
3 6.96245 0.20009 1.66709 20.35619
4 4.53512 0.11676    
Stop Infinity 0.10000    
5 6.61038 0.65133 1.53349 55.85588
6 -16.56908 0.47661    
7 -4.14180 0.56606 1.66709 20.35619
8 -8.76809 0.47946    
9 12.84789 0.69894 1.61927 25.95994
10 -3.40195 0.07000 1.64376 56.43692
11 -12.67731 0.35000 1.53349 55.85588
12 2.90624 0.30000    
13 Infinity 0.21000 1.51827 64.19733
14 Infinity 0.96387    
Image Infinity 0.00000    
다음의 표 8 및 표 9는 제3 수치 실시예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K 4th 6th 8th 10th
1 -0.45858 -0.00337 -0.00274 -0.00386 0.00178
2 0.00 0.05432 0.41074 -0.79030 0.46297
3 -71.69508 -0.05550 0.07970 -0.12965 0.11772
4 3.80577 -0.05418 0.00774 -0.03385 0.07113
Stop          
5 0.00000 -0.02787 0.00721 -0.00728 0.05029
6 0.00000 -0.02237 -0.00259 0.06563 -0.36682
7 15.39542 -0.07660 0.01880 -0.10124 0.18691
8 32.61586 -0.06935 0.02864 -0.01663 0.00415
9 0.00000 -0.08473 0.03138 -0.02442 0.01391
10 0.00000 -0.16326 0.11625 -0.05581 0.01461
11 -3.34702 0.11649 -0.03472 -0.03270 0.02312
12 -1.00000 -0.08718 0.02985 -0.00752 0.00128
13          
14          
Image
12th 14th 16th 18th 20th
1 -0.00189 0.00065 -0.00004 0.00000 0.00000
2 -0.08866 0.00000 0.00000 0.00000 0.00000
3 -0.06026 0.01412 -0.00044 0.00000 0.00000
4 -0.06485 0.02720 -0.00317 0.00000 0.00000
Stop          
5 -0.03668 0.00731 0.00000 0.00000 0.00000
6 0.91625 -1.23311 0.89821 -0.33540 0.05036
7 -0.26012 0.20300 -0.07363 0.00000 0.00000
8 0.00343 -0.00264 0.00062 -0.00005 0.00000
9 -0.00369 0.00031 0.00005 -0.00001 0.00000
10 -0.00191 0.00009 0.00001 0.00000 0.00000
11 -0.00620 0.00085 -0.00006 0.00000 0.00000
12 -0.00015 0.00001 0.00000 0.00000 0.00000
13
14          
Image
도 9는 제3 수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수치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F-넘버(Fno), 초점거리(f) 및 화각(FOV)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 10과 같다.
용어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Fov 79.04 78.20 76.91
F 5.52 5.70 5.15
Fno 2.55 2.61 2.55
다음은 제1 내지 제3 수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가 조건식 1 내지 식 8를 만족함을 보인 것이다. 표 11에서 FOV(화각)의 단위는 °이다.
용어 정의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조건식1 0.01 ≤ ThiL2 ≤ 0.1 0.05 0.04 0.03
조건식2 1.4 ≤ Ind2 ≤ 1.8 1.56 1.59 1.52
조건식3 0.01 ≤ ThiL7 ≤ 0.1 0.07 0.06 0.05
조건식4 1.4 ≤ Ind7 ≤ 1.8 1.62 1.66 1.64
조건식5 0.15 ≤ OAL_L1toL3/OAL ≤ 0.25 0.16 0.17 0.19
조건식6 0.1 ≤ OAL_L1toL3/IH ≤ 0.2 0.10 0.11 0.12
조건식7 0.15 ≤ OAL_L6toL8/OAL ≤ 0.25 0.19 0.20 0.22
조건식8 0.1 ≤ OAL_L6toL8/IH ≤ 0.2 0.12 0.13 0.14
조건식9 0.55 ≤ TTL/IH ≤ 0.8 0.62 0.64 0.61
조건식10 70 ≤ Fov ≤ 90 79.04 78.20 76.91
표 12는 표 11을 얻는데 필요한 변수들의 값을 정리한 것이다. 표 12에서 Semi IH는 유효경 상고의 절반, B.F.L는 제8 렌즈(L8)의 출사면의 중심에서 상면(IP)(이미지 센서의 센서면)까지의 거리, Ind1, Ind2, Ind3, Ind6, Ind7 및 Ind8은 각각 제1 렌즈(L1)의 굴절률, 제2 렌즈(L2)의 굴절률, 제3 렌즈(L3)의 굴절률, 제6 렌즈(L6)의 굴절률, 제7 렌즈(L7)의 굴절률 및 제8 렌즈(L8)의 굴절률, Abv1, Abv2, Abv3, Abv6, Abv7 및 Abv8은 각각 제1 렌즈(L1)의 아베수, 제2 렌즈(L2)의 아베수, 제3 렌즈(L3)의 아베수, 제4 렌즈(L4)의 아베수, 제5 렌즈(L5)의 아베수 및 제6 렌즈(L6)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TTL, IH, Semi IH, OAL, OAL_L1toL3, OAL_L6toL8, B.F.L, ThiL2 및 ThiL7 값들의 단위는 ㎜이다.
용어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IH 9.50 9.50 9.50
Semi IH 4.75 4.75 4.75
TTL 5.92 6.05 5.80
OAL 4.44 4.55 4.74
OAL_L1toL3 0.93 1.00 1.10
OAL_L6toL8 1.12 1.20 1.30
B.F.L 1.47 1.50 1.06
ThiL2 0.050 0.040 0.030
ThiL7 0.070 0.063 0.050
Ind1 1.533 1.536 1.536
Ind2 1.561 1.594 1.521
Ind3 1.667 1.667 1.667
Ind6 1.619 1.536 1.536
Ind7 1.624 1.656 1.644
Ind8 1.533 1.667 1.667
Abv1 55.86 55.66 55.66
Abv2 46.02 39.85 65.00
Abv3 20.36 20.35 20.35
Abv6 25.96 55.66 55.66
Abv7 26.00 38.11 56.44
Abv8 55.86 20.35 20.35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구비한 촬상 장치(모바일 폰)(10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촬상 장치(100)는 렌즈 광학계(110)와, 상기 렌즈 광학계(110)에 의해 결상된 상(image)를 수광하여 전기적인 화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12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광학계(110)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렌즈 광학계가 채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소형의 디지털 카메라, 모바일 폰용 카메라, 자동차용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촬영이 가능한 촬상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촬상 장치는 일반적인 예일 뿐이며 보다 다양한 광학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차량용 카메라의 렌즈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렌즈 광학계는 가상 현실 장치, 증강 현실 장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현실 장치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블랙박스, AVM(around view monitoring) 시스템 또는 후방 카메라 등 다양한 차량용 장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광학계는 드론이나 레저 스포츠용 캠코더와 같은 다양한 액션캠(action cam)에 적용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렌즈 광학계는 다양한 감시용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에서 렌즈들의 형상이 다소 변형되더라도 상기한 조건식(1) 내지 조건식(10)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건식(1) 내지 조건식(10) 중 적어도 일부를 만족하지 않더라도, 렌즈들의 파워 배치, 형상 조건 및 기타 조건들을 만족할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밖에도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1: 제1 접합 렌즈 CL2: 제2 접합 렌즈
L1 : 제1 렌즈 L2 : 제2 렌즈
L3 : 제3 렌즈 L4 : 제4 렌즈
L5 : 제5 렌즈 L6 : 제6 렌즈
L7 : 제7 렌즈 L8 : 제8 렌즈
OA: 광축 OF : 광학 필터
OBJ : 물체 ST : 조리개
IP : 상면 10, 30, 60, 80: 렌즈 몸체
11, 31, 61, 81: 렌즈 단부 12, 13, 32, 33, 62, 63, 82, 83: 접합면
20, 70: 광학 접합 물질

Claims (20)

  1. 물체측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8 렌즈를 포함하며,
    제1 렌즈, 제3 렌즈, 제6 렌즈, 및 제8 렌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제2 및 제7 렌즈는 광학 접합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상기 제1 및 제3 렌즈가 상기 제2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1군의 제1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상기 제7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상기 제6 렌즈와 상기 제8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상기 제6 및 제8 렌즈가 상기 제7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2군의 제2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렌즈의 굴절률 및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상기 제6 렌즈의 굴절률 및 상기 제8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7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상기 제1 렌즈의 입사면,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의 제1 경계면,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제2 경계면, 및 상기 제3 렌즈의 출사면 중 적어도 한 면은 비구면이며,
    상기 제6 렌즈의 입사면, 상기 제6 렌즈와 상기 제7 렌즈 사이의 제3 경계면, 상기 제7 렌즈와 상기 제8 렌즈 사이의 제4 경계면, 및 상기 제8 렌즈의 출사면 중 적어도 한 면은 비구면인 렌즈 광학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면과 상기 제2 경계면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렌즈 광학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경계면과 상기 제4 경계면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갖는 렌즈 광학계.
  4. 제1 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1): 0.01 ≤ ThiL2 ≤ 0.1
    조건식(2): 1.4 ≤ Ind2 ≤ 1.8
    조건식(3): 0.01 ≤ ThiL7 ≤ 0.1
    조건식(4): 1.4 ≤ Ind7 ≤ 1.8
    여기서, ThilL2는 상기 제2 렌즈의 두께를 나타내며, ThilL7은 상기 제7 렌즈의 두께를 나타내며, Ind2는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내며, Ind7는 상기 제7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5. 제4 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5): 0.15 ≤ OAL_L1toL3/OAL ≤ 0.25
    조건식(6): 0.1 ≤ OAL_L1toL3/IH ≤ 0.2
    조건식(7): 0.15 ≤ OAL_L6toL8/OAL ≤ 0.25
    조건식(8): 0.1 ≤ OAL_L6toL8/IH ≤ 0.2
    여기서, OAL_L1toL3(단위: mm)는 제1 렌즈의 입사면의 중심과 제3 렌즈의 출사면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OAL_L6toL8(단위: mm)는 제6 렌즈의 입사면의 중심과 제8 렌즈의 출사면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OAL(단위: mm)은 제1 렌즈의 입사면의 중심과 제7 렌즈의 출사면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내며, IH(단위: mm)는 유효경의 상고의를 나타낸다.
  6. 제1 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9): 0.55 ≤ TTL/IH ≤ 0.8
    조건식(10): 70 ≤ Fov ≤ 90
    여기서, TTL(단위: mm)은 제1 렌즈의 입사면의 중심에서 상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며, FOV(단위: °)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화각을 나타낸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2 접합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 광학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렌즈는 입사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비구면 렌즈인 렌즈 광학계.
  9. 제1 항에 있어서,
    제4 렌즈 및 제5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 렌즈인 렌즈 광학계.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 렌즈는 2개 이상의 변곡점을 가지는 비구면 렌즈인 렌즈 광학계.
  11. 물체측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내지 제3 렌즈로 이루어진 제1 젭합 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 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6 내지 제8 렌즈로 이루어진 제2 접합 렌즈;를 포함하며,
    제2 렌즈 및 제7 렌즈는 광학 접합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상기 제1 및 제3 렌즈가 상기 제2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1군의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상기 제7 렌즈의 광학 접합 물질이 상기 제6 렌즈와 상기 제8 렌즈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상기 제6 및 제8 렌즈가 상기 제7 렌즈의 접합력에 의하여 접합되는 2군의 제2 접합 렌즈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1 렌즈의 굴절률 및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상기 제7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6 렌즈의 굴절률 및 상기 제8 렌즈의 굴절률과 다르며,
    상기 접합 렌즈는 입사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비구면 렌즈인 렌즈 광학계.
  12. 제11 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1): 0.01 ≤ ThiL2 ≤ 0.1
    조건식(2): 1.4 ≤ Ind2 ≤ 1.8
    조건식(3): 0.01 ≤ ThiL7 ≤ 0.1
    조건식(4): 1.4 ≤ Ind7 ≤ 1.8
    여기서, ThilL2는 상기 제2 렌즈의 두께를 나타내며, ThilL7은 상기 제7 렌즈의 두께를 나타내며, Ind2는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내며, Ind7는 상기 제7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13. 제12 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5): 0.15 ≤ OAL_L1toL3/OAL ≤ 0.25
    조건식(6): 0.1 ≤ OAL_L1toL3/IH ≤ 0.2
    조건식(7): 0.15 ≤ OAL_L6toL8/OAL ≤ 0.25
    조건식(8): 0.1 ≤ OAL_L6toL8/IH ≤ 0.2
    여기서, OAL_L1toL3(단위: mm)는 제1 렌즈의 입사면의 중심과 제3 렌즈의 출사면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OAL_L6toL8(단위: mm)는 제6 렌즈의 입사면의 중심과 제8 렌즈의 출사면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OAL(단위: mm)은 제1 렌즈의 입사면의 중심과 제7 렌즈의 출사면의 중심간의 거리를 나타내며, IH(단위: mm)는 유효경의 상고의를 나타낸다.
  14. 제11 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9): 0.55 ≤ TTL/IH ≤ 0.8
    조건식(10): 70 ≤ Fov ≤ 90
    여기서, TTL(단위: mm)은 제1 렌즈의 입사면의 중심에서 상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며, FOV(단위: °)는 상기 렌즈 광학계의 화각을 나타낸다.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 및 제5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 렌즈인 렌즈 광학계.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 렌즈는 2개 이상의 변곡점을 가지는 비구면 렌즈인 렌즈 광학계.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3 렌즈, 상기 제6 렌즈 및 상기 제7 렌즈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렌즈 광학계.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의 제1 경계면 및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제2 경계면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렌즈 광학계.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와 상기 제7 렌즈 사이의 제3 경계면 및 상기 제7 렌즈와 상기 제8 렌즈 사이의 제4 경계면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렌즈 광학계.
  20. 제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광학계와,
    상기 렌즈 광학계에 의해 결상된 상을 촬상하는 고체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0200075944A 2020-06-22 2020-06-22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KR102408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44A KR102408931B1 (ko) 2020-06-22 2020-06-22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44A KR102408931B1 (ko) 2020-06-22 2020-06-22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752A KR20210157752A (ko) 2021-12-29
KR102408931B1 true KR102408931B1 (ko) 2022-06-16

Family

ID=7917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944A KR102408931B1 (ko) 2020-06-22 2020-06-22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9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59152A1 (en) 2014-08-01 2016-09-08 Largan Precision Co., Ltd.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CN108121052A (zh) 2016-11-28 2018-06-05 三星电机株式会社 光学成像系统
CN110346919A (zh) 2019-08-14 2019-10-18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CN110618522A (zh) 2019-10-29 2019-12-27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像透镜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893A (ko) * 2018-05-29 2019-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59152A1 (en) 2014-08-01 2016-09-08 Largan Precision Co., Ltd.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CN108121052A (zh) 2016-11-28 2018-06-05 三星电机株式会社 光学成像系统
CN110346919A (zh) 2019-08-14 2019-10-18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US20210048638A1 (en) 2019-08-14 2021-02-18 Zhejiang Sunny Optical Co., Ltd Optical imaging lens assembly
CN110618522A (zh) 2019-10-29 2019-12-27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像透镜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752A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229B1 (ko) 촬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834729B1 (ko) 광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상 장치
KR101452084B1 (ko) 초소형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
US9897777B2 (en) Optical system
KR101218999B1 (ko) 촬상 광학계
KR101536557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850962B1 (ko)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KR101848085B1 (ko)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KR101914042B1 (ko) 광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상 장치
KR101425793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834551B1 (ko) 초광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상 장치
KR101834555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364974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671451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834554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734037B1 (ko)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KR10172947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2246993B1 (ko) 촬상 광학계
KR102483504B1 (ko) 촬상 광학계
KR10171032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CN110824672A (zh) 取像镜片系统及取像装置
KR101869965B1 (ko)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KR102008497B1 (ko) 촬상 렌즈 시스템
KR102408931B1 (ko)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KR102182514B1 (ko) 촬상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