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280A - Storage tan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orage tan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280A
KR20220164280A KR1020210072840A KR20210072840A KR20220164280A KR 20220164280 A KR20220164280 A KR 20220164280A KR 1020210072840 A KR1020210072840 A KR 1020210072840A KR 20210072840 A KR20210072840 A KR 20210072840A KR 20220164280 A KR20220164280 A KR 20220164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irculation
solution
valve
snow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8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동기
Priority to KR102021007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4280A/en
Publication of KR20220164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2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5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02Large container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74Large container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2588/743Large container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2590/22Safety features
    • B65D2590/24Spillage-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storing a salt water for road snow removal in a tank and supplying the same to a vehicle during a snow removal 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tank for preventing precipitation or solidification and maintaining a constant concentration of a road snow removal solution while it is stored in the tank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circulation conduit; a second circulation conduit; and a display unit.

Description

보관 탱크 및 그의 구동 방법{STORAGE TAN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Storage tank and its driving method {STORAGE TAN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로 제설 용액을 탱크(tank)에 보관하고 있다가 제설작업 시 차량에 공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 제설 용액을 탱크에 장기간 동안 보관하고 있는 도중에 침전이나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고 농도가 일정치로 유지되도록 하는 보관 탱크 및 그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storing a road snow removal solution in a tank and supplying it to a vehicle during snow removal work, and more specifically, to prevent precipitation or solidification while the road snow removal solution is stored in a tank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relates to a storage tank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or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at a constant valu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로 제설 용액을 보관하고 있는 탱크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ank holding a road snow removal solu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로의 제설을 위해 사용되는 제설 용액은 대용량의 탱크(1)에 보관하고 있다가 제설용 차량(2)에 공급된다.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지형학적으로 대륙의 동해안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위도에 위치하는 다른 지역에 비해 겨울이 한랭하며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가 심하다.A snow removal solution used for removing snow on roads is stored in a large-capacity tank 1 and then supplied to a vehicle 2 for snow removal. Korea is geographically located in the mid-latitude temperate climate zone, so the four seasons of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appear distinctly. In addition, because it is geographically located on the east coast of the continent, winters are colder than other regions located at the same latitud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summer and winter is large.

이러한 계절 상황과 더불어 눈도 겨울철에 집중되어 내린다. 따라서, 그 차이는 있으나 겨울철에는 제설 용액이 탱크(1)로부터 제설용 차량(2)에 공급되거나, 외부로부터 새로운 제설 용액이 탱크(1)에 주입되는 현상이 반복되므로 자연스럽게 순환 작용이 이루어져서 탱크(1)의 내부에서 제설 용액의 침전이 응고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흔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겨울철에도 탱크(1) 내에 보관된 제설 용액의 상부와 하부의 농도차가 발생하여, 초기에 공급되는 제설 용액의 농도보다 나중에 공급되는 제설 용액의 농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In addition to these seasonal conditions, snow is also concentrated in winter. Therefore,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winter,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supplied from the tank 1 to the snow removal vehicle 2, or a new snow removal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tank 1 from the outside. It is not common for the precipit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to solidify in the interior of 1). However, even in this winter season, a difference in concentration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 occurs,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supplied lat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initially supplied is lower.

그리고, 탱크(1) 내에 보관된 제설 용액의 농도차 발생 및 침전, 응고는 겨울철이 지나 비수기에 해당하는 타 계절에는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precipitation, and coagul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 appear more severe in other seasons corresponding to the off-season after the winter season.

즉, 겨울철이 지나면 비수기에 해당되는 봄, 여름 및 가을 동안 탱크(1)로부터 제설용 차량(2)에 제설 용액이 공급되거나, 외부로부터 새로운 제설 용액이 탱크(1)에 주입되는 일이 없이 탱크(1) 내의 제설 용액이 정체된 상태로 있게 된다. That is, after the winter season,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supplied from the tank 1 to the snow removal vehicle 2 during the off-season during spring, summer, and fall, or the tank 1 without a new snow removal solution being injected into the tank 1 from the outside. The snow-removing solution in (1) remains stagnant.

이로 인하여 탱크(1) 내에서 제설 용액이 침전되어 상층부의 용액의 농도가 낮은 반면, 하층부의 용액의 농도는 높게 된다. 더 나아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염화칼슘에 포함된 불순물들의 침전도 이루어지고 시간이 더욱 경과되는 경우 침전물이 응고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Due to this,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precipitated in the tank 1,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in the upper layer is low, whereas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in the lower layer is high. Furthermore, as time elapses, impurities included in calcium chloride are also precipitated, and when time elapses further, a phenomenon in which the precipitate solidifies occurs.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탱크에서 침전물이 잔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공급관(3)의 일측 종단부가 탱크(1)의 바닥면에서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경우 침전물(4)이 일측 종단부를 중심으로 주변에 방사형으로 배출되지 않고 벽면에 가까울수록 더 높게 잔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일측 종단부란 공급관(3) 중에서 제설 용액의 공급이 시작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참고로,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공급관(3)이란 탱크(1) 내부의 제설 용액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데 사용되는 관을 지칭하는 것으로, 넓게 드레인(drain) 관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b는 공급관(3)의 일측 종단부가 탱크(1)의 바닥면에서 벽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설치한 경우 침전물(4)이 중심부에서 벽면에 가까울수록 더 높게 잔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하나의 공급관(3)의 일측 종단부가 중앙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공급관(3)의 일측 종단부가 벽면 부근에 설치된 경우 두 공급관(3)의 일측 종단부 부근을 제외한 넓은 영역에 걸쳐 침전물(4)이 잔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d는 하나의 공급관(3)의 일측 종단부가 3시 방향의 벽면 부근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공급관(3)의 일측 종단부가 6시 방향으로 벽면 부근에 설치된 경우 두 공급관(3)의 일측 종단부 부근을 제외한 넓은 영역에 걸쳐 침전물(4)이 잔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s 2a to 2d show the remaining precipitate in the tank according to the prior art. 2a shows that when one side end of the supply pipe 3 is installed to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1, the precipitate 4 is not discharged radially to the surroundings around the one side end, and the closer to the wall, the higher the residual that shows what Here, one end portion means a portion where the supply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starts in the supply pipe (3). For re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the supply pipe 3 refers to a pipe used to discharge the snow removal solution inside the tank 1 to the outside, and is a concept including a wide drain pipe. Figure 2b shows that when one side end of the supply pipe (3)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wall at the bottom of the tank (1), the sediment (4) remains higher as it is closer to the wall in the center. Figure 2c shows the precipitate over a wide area except for the vicinity of one end of the two supply pipes (3) when one end of one supply pipe (3) is located in the center and one end of the other supply pipe (3) is installed near the wall ( 4) shows what remains. Figure 2d is a side end of two supply pipes (3) when one end of one supply pipe (3) is located near the wall in the direction of 3 o'clock and one end of the other supply pipe (3) is installed near the wall in the direction of 6 o'clock It shows that the precipitate 4 remains over a wide area except for the vicinity.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도로 제설 용액의 보관 탱크를 이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Therefore, when using the storage tank of the road snow removal solu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ollowing problems occurred.

첫째, 탱크에서 차량으로 제설 용액을 이송하기 전에 자체적으로 제설 용액을 순환시킨 후 이송하게 되는데, 침전물의 응고가 진행된 경우 원래 농도의 제설 용액을 제공할 수 없게 되어 원만한 제설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순환 과정을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그만큼 제설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First, before transferr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from the tank to the vehicle,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circulated and transported by itself. When the solidification of the sediment proceeds, it is impossible to provide the snow removal solution of the original concentration, so that the snow removal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smooth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time is taken to perform the circulation process, so that the snow removal work is delayed.

둘째, 제설 용액의 순환 과정을 생략하거나 소흘히 하는 경우 제설 용액의 농도가 상층부는 옅고 하층부로 갈수록 짙어져 제설작업 시 제설차량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다 보면 처음에는 짙은 농도의 제설 용액을 공급하게 되고 시간이 경과될수록 옅은 농도의 제설 용액을 공급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고농도로 인한 결정체가 생성되어 펌프 스트레이너(Pump strainer)가 막혀 효율적인 제설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Second, if the circulation process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omitted or neglected, the concent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light in the upper part and thicker as it goes to the lower part. As this elapses, a problem arises in supplying a snow removal solution of a light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efficient snow removal work was not performed due to the generation of crystals due to high concentration and clogging of the pump strainer.

셋째, 제설작업 시 제설용 차량의 살포기에 제설 용액을 주입하거나 자체순환과 제설작업 후 살포기에 남은 제설 용액을 탱크에 수거할 때 흡입 밸브(valve), 주수밸브. 순환밸브, 잔량수거밸브, 드레인밸브(Drain valve) 등을 작업 내용에 따라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여 열고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Third, a suction valve and a water injection valve when injecting snow removal solution into the spreader of a snow removal vehicle during snow removal work or collec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left in the spreader after self-circulation and snow removal work in the tank. It is inconvenient for the operator to directly open and close the circulation valve, the remaining amount collection valve, and the drain valve according to the work contents.

넷째, 탱크를 장시간 동안 사용하는 경우 수위계의 오염이나, 눈보라와 같은 악천후 또는 야간에 어두운 환경에서 제설 용액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침전물로 인하여 수위계 입구가 막혀 탱크 내의 제설 용액의 잔량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Fourth, when the tank is used for a long time,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the amount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in a dark environment at night or in bad weather such as contamination of the water level gauge or snowstorm,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in the tank is blocked due to sediment.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confirm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로 제설 용액을 장기간 동안 보관하는 탱크에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제설 용액을 순환시켜 탱크 내에서 위치에 관계없이 농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침전이나 응고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보관 탱크 및 그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irculate the snow removal solution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in a tank that stores the road snow removal solu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so that the concentration is maintained uniformly regardless of location in the tank, and to prevent precipitation or coagulation. It is to provide a storage tank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탱크(tank)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순환 관로; 상기 탱크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순환 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순환 관로의 길이가 상기 제2 순환 관로 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기능을 구비한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irculation pipe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tank to the bottom; A second circulation conduit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tank to the bottom, wherein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또한, 펌프(pump); 상기 탱크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공급 관로; 상기 제1 공급 관로와 펌프를 연결하는 제2 공급 관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기능을 구비한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 pump (pump); A first supply pip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tank; It provides a storage tank having a circul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upply pipe connecting the first supply pipe and the pump.

또한, 상기 제1 순환 관로는 상기 탱크의 하단으로부터 상단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first circulation pipe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tank by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in the upper direction.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1 거리는 상기 탱크의 높이 길이의 0.02 내지 0.05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0.02 to 0.05 of the height length of the tank.

또한, 상기 제1 순환 관로의 하단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출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outlet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irculation pipe.

또한, 상기 분출구들은 상기 탱크의 하단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outlets provide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face the lower end of the tank.

또한, 상기 제2 순환 관로는 상기 텡크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2 거리만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circulation pipe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by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tank to the lower end.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2 거리는 상기 탱크의 높이 길이의 0.02 내지 0.05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0.02 to 0.05 of the height length of the tank.

상기 제1 공급 관로와 상기 제2 공급 관로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밸브(valv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t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valve (valv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ly pipe and the second supply pipe.

또한, 상기 펌프와 상기 제1 순환 관로 및 상기 제2 순환 관로를 연결하는 제3 공급 관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supply pipe connecting the pump and the first circulation pipe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또한, 상기 제3 공급 관로와 상기 제1 순환 관로 사이에 배치되는 제4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urth valve disposed between the third supply pipe and the first circulation pipe.

또한, 상기 제3 공급 관로와 상기 제2 순환 관로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valve disposed between the third supply pipe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또한, 배출 관로; 상기 배출 관로와 상기 제3 공급 관로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It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valve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supply pipe.

또한, 상기 탱크에는 제설 용액이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tank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stored.

또한, 상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위 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tank.

또한, 상기 수위 측정기는 플로트 스위치(float switch), 기어식 트랜스미터, 초음파, 레이저(laser), 정전용량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by using one or more of a float switch, a gear transmitter, ultrasonic waves, a laser, and capacitance.

또한, 상기 탱크의 용량은 1만 리터(liter)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y of the tank is 10,000 liters or more.

또한, 상기 탱크를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one or two or more of the tank.

또한, 상기 탱크의 상부에 구비되는 농도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centration meter provided on the top of the tank.

또한, 시각, 상기 시각 비교를 통하여 시간 경과를 기록, 계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imer including a function of recording and measuring the elapsed time through time and time comparison.

또한,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 control unit receiving any one of a solution supply signal,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a solution collection signal;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omprising the.

또한,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된 신호가 용액 순환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제1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2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4 밸브를 개방하고, 제3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fter receiving any one of the solution supply signal,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by the control unit, closing the first valve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received signal is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opening the second valve by the controller; opening the fourth valve and closing the third valve by the controller; It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riving the pump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by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4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3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driving the pump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by the control unit, closing the fourth valve by the control unit and opening the third valve; It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riving the pump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by the control unit.

또한,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된 신호가 용액 순환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제1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공급 관로와 제2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순환 관로와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고, 제2 순환 관로와 상기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fter receiving any one of the solution supply signal,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by the control unit, closing the first valve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received signal is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opening, by the control unit, valves between the first supply line and the second supply line; opening, by the controller, valves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and closing valves between the second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It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riving the pump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by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순환 관로와 상기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고, 제2 순환 관로와 상기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driving the pump for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by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loses the valves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and closes the valves between the second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opening the valves between; It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riving the pump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by the control unit.

또한,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기설정된 시간 경과 또는 시각이 되면, 타이머부가 용액 순환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용액 순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before the controller receives any one of the solution supply signal,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time, the timer unit transmits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Provides a driving method of the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농도계가 측정한 농도값이 초기 농도 대비하여 기설정된 비율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농도계가 상기 제어부에 용액 순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ncentration value measured by the densitometer falls below a predetermined ratio with respect to the initial concentration before the controller receives any one of the solution supply signal,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the densitometer sends the controller to the controller. Transmitting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된 신호가 용액 공급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제1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2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3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4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fter receiving any one of the solution supply signal,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received signal is the solution supply signal, the control unit opening the first valve; opening the second valve by the controller; closing the third valve by the control unit; closing the fourth valve by the controller; It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riving the pump by the control unit.

또한,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된 신호가 용액 공급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제1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공급 관로와 제2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순환 관로와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2 순환 관로와 상기 제3 공급 관로 상의 제4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fter receiving any one of the solution supply signal,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by the control unit, when the received signal is the solution supply signal, the control unit opening the first valve; opening, by the control unit, valves between the first supply line and the second supply line; closing, by the control unit, valves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closing, by the control unit, a fourth valve on the second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It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riving the pump by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어부가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수위 측정기를 통하여 측정된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값 이하인 것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driving the pump by the control unit, the step of the control unit confirming that the water level measured through the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water level value; It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topping the driving of the pump by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기설정된 수위값은 400 내지 600 리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value provides a driving method of the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400 to 600 liters.

또한,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된 신호가 용액 수거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제1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2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3 밸브 및/또는 제4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fter receiving any one of the solution supply signal,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by the controller, if the received signal is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closing the first valve by the controller; closing the second valve by the controller; It provides a driving method of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pening the third valve and / or the fourth valve by the controller.

또한,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된 신호가 용액 수거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제1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공급 관로와 제2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3 공급 관로와 제1 순환 관로 사이의 밸브들 및/또는 상기 제3 공급 관로와 제2 순환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after receiving any one of the solution supply signal,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by the controller, if the received signal is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closing the first valve by the controller; closing, by the control unit, valves between the first supply line and the second supply line; The control unit opening the valves between the third supply line and the first circulation line and/or the valves between the third supply line and the second circulation line. provides

또한, 상기 제1 순환 관로는 탱크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순환 관로는 상기 탱크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순환 관로는 상기 제2 순환 관로보다 더 길고, 상기 제1 공급 관로는 상기 탱크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공급 관로는 상기 제1 공급 관로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고, 상기 제3 공급 관로는 상기 제1 순환 관로와 상기 제2 순환 관로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tank to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tank to the lower end, and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is longer than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The first supply pipe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tank, the second supply pipe connects the first supply pipe and the pump, and the third supply pipe connects the first circulation pipe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It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for doing.

또한, 상기 제1 순환 관로는 상기 탱크의 하단으로부터 상단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2 순환 관로는 상기 탱크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2 거리만큼 연장되고, 상기 제1 순환 관로의 하단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출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first circulation pipe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tank to the top by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extends from the top of the tank to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It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outlet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irculation pipe.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1 거리는 상기 탱크 높이 길이의 0.02 내지 0.05에서 선택되며, 상기 기설정된 제2 거리는 상기 탱크 높이 길의의 0.02 내지 0.05에서 선택되고, 상기 분출구들은 상기 탱크의 하단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t first distance is selected from 0.02 to 0.05 of the tank height length, the preset second distance is selected from 0.02 to 0.05 of the tank height length, and the jet outlets are formed to face the lower end of the tank. It provides a driving method of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제2 밸브는 제1 공급 관로와 제2 공급 관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밸브는 제3 공급 관로와 제2 순환 관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4 밸브는 상기 제3 공급 관로와 제1 순환 관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valv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ly line and the second supply line, the third valve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supply line and the second circulation line, and the fourth valve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supply line and And it provides a driving method of the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pipe.

또한, 상기 제1 밸브는 배출 관로와 제3 공급 관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first valve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the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supply pipe.

또한, 상기 탱크에는 제설 용액이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tank provides a driving method of the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stored.

또한, 상기 탱크의 용량은 1만 리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y of the tank is 10,000 liters or more.

또한, 상기 탱크는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tank provides a method of driving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than one is provided.

또한, 상기 수위측정기는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위측정기는 플로트 스위치, 기어식 트랜스미터, 초음파, 레이저, 정전 용량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water level meter is provided inside the tank, and the water level meter uses at least one of a float switch, a gear type transmitter, ultrasonic waves, laser, and capacitance.

본 발명인 보관 탱크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ors of the storage tank and its driving method,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탱크에 보관 중인 제설 용액을 순환시킴으로써, 탱크 내에서 위치에 관계없이 제설 용액의 농도가 항상 균일하게 유지되고, 침전이나 응고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초기에 공급되는 제설 용액과 이후에 공급되는 제설 용액 사이의 농도차이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by circula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the concent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always maintained uniformly regardless of location in the tank,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precipitation or coagulation.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between the snow removal solution initially supplied and the snow removal solution supplied thereafter.

둘째, 제설용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탱크에 보관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설 용액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by storing and circula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tank of the snow removal vehicle in the tank,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resources from being wast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by the snow removal solution.

셋째, 탱크에 보관 중인 제설 용액을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순환시켜 원하는 시점에서 제설용 차량의 탱크에 공급함으로써, 항상 원할한 제설작업이 가능하고, 인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Third, by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circula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and supplying it to the tank of the snow removal vehicle at a desired time, smooth snow removal work is always possible, an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manpower.

넷째, 제설 용액의 공급, 수거 및 순환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밸브를 조작하지 않고 원터치 동작에 의해 수행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Fourth, since the supply, collection and circul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performed by a one-touch operation without the user manually manipulating the valv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다섯째,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제설 용액의 수위를 표시장치를 통해 디지털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주야에 관계없이 제설 용액의 수위를 보다 편리하게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fth, by digitally displaying the water level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through the display devic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regardless of day and night, there is an effect of more conveniently and reliably recognizing the water level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여섯째, 제설 용액의 순환 과정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설 용액의 농도가 상층부는 옅고 하층부로 갈수록 짙어져 제설작업 시 제설차량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다 보면 처음에는 짙은 농도의 제설 용액을 공급하게 되고 시간이 경과될수록 옅은 농도의 제설 용액을 공급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since the circulation process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performed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the concent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light in the upper part and thicker as it goes to the lower part. It is suppli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liably prevent the problem of supplying a snow removal solution of a light concentration as time passes.

일곱째, 탱크를 장시간 동안 사용하거나 눈보라와 같은 악천후 또는 야간에 어두운 환경에서도 제설 용액의 양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침전물로 인하여 수위계 입구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탱크 내의 제설 용액의 잔량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venth, the amount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can be easily checked with the naked eye even when the tank is used for a long time, in bad weather such as a snowstorm or in a dark environment at night, and the water level gauge inlet is not clogged with sediment, s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in the tank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hecked at any ti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로 제설 용액을 보관하고 있는 탱크의 개략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 기술에 의한 탱크에서 침전물이 생기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설 용액 분출구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를 구성하는 탱크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측정기가 플로트 스위치로 구현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도계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농도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도계의 비중 측정부 내의 플로팅 모듈이 위치하는 부분을 보다 자세히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판넬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관 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에서 침전물이 생기지 않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제1 순환 모드와 제2 순환 모드의 순서도이다.
도 15는 제3 순환 모드와 제4 순환 모드의 순서도이다.
도 16은 제5 순환 모드와 제6 순환 모드의 순서도이다.
도 17은 제7 순환 모드와 제8 순환 모드의 순서도이다.
도 18은 탱크로부터 차량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에 대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19는 탱크로부터 차량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20은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탱크에 수거하는 단계에 대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21은 차량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탱크에 수거하는 단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상세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ank holding a road snow removal solu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s 2a to 2d are views showing the formation of precipitate in the tank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now removal solution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tank management device constituting a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water level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float switch.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nsit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ensitomet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a floating module is located in a specific gravity measuring unit of a densit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at no sediment is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riving a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 chart of the first circulation mode and the second circulation mode.
15 is a flowchart of a third circulation mode and a fourth circulation mode.
16 is a flowchart of a fifth circulation mode and a sixth circulation mode.
17 is a flowchart of a seventh circulation mode and an eighth circulation mode.
18 is a detailed flow chart of the step of supplying a snow removal solution from a tank to a vehicle.
19 is a detailed flow chart of another embodiment for supplying a snow removal solution from a tank to a vehicle.
20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step of collecting the snow removing solution remaining in the tank of the vehicle into the tank.
21 is a detailed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tep of collec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vehicle into the tank.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며, 어떠한 의미를 한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포함 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are not used to limit any meaning. And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ing”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os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combination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관 탱크의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는 탱크(tank)(1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순환 관로(101), 탱크(1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순환 관로(1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순환 관로(101)의 길이가 제2 순환 관로(102) 보다 더 길다.Referring to FIG. 3,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irculation pipe 101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tank 100 to the bottom, and a second circulation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tank 100. Conduit 102 is included. Here, the length of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is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102 .

탱크(100)는 제설 용액이 보관되는 저장소이다. 여기서, 제설 용액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염화칼슘(CaCl2)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탱크(100)의 형태 및 재질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제설 용액에 의한 내압이나 충격, 외부에서 가해지는 각종 외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제작된다. 예를 들어, 탱크(100)는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5 내지 15 mm의 두께를 갖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탱크(100)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스테인레스(stainless) 강판, 폴리에틸렌에 스테인레스(Stainless) 강판으로 보강된 재료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탱크(100)의 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수의 제설차량에 공급이 필요한 점에서 대용량으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탱크(100)의 용량은 1만 리터 이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만 내지 5만 리터(liter)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Tank 100 is a storage in which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stored. Here, there may be several snow removal solutions, for example, a calcium chloride (CaCl2) solution may be used.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tank 1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nd is manufactured to sufficiently withstand internal pressure or impact caused by the snow removal solution and various external forces appli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tank 100 may be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having a thickness of 5 to 15 mm. As another example, the tank 100 may be made of polyethylene (PE), a stainless steel plate, or a material reinforced with a stainless steel plate on polyethylene. The capacity of the tank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manufactured with a large capacity in that it needs to be supplied to a plurality of snow removal vehicles. For example, the tank 100 may have a capacity of 10,000 liters or more, and may be preferably selected from 10,000 to 50,000 liters.

제1 순환 관로(101)는 탱크(100)의 하단(바닥면)으로부터 상단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이격)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1 거리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1 거리는 탱크(100)의 상단 방향으로 내부 전체 높이의 2 내지 5% 중에서 선택된 높이까지 이격되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탱크(100)의 내부 높이가 5 미터(meter)인 경우 하단으로부터 상단 방향으로 0.1 내지 0.25 높이 중에서 선택된 높이 까지 이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is installed in a form spaced apart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from the lower end (bottom surface) of the tank 100 toward the upper end. Here, the first distanc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ut preferably, the first distance may be set to a distance up to a height selected from 2 to 5% of the total inner height of the tank 100 in the upper direction. When the internal height of the tank 100 is 5 meters, it may be installed in a form spac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a height selected from among 0.1 to 0.25 height.

이와 같이, 제1 순환 관로(101)를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하는 이유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설 용액을 바닥면 부근에서 아래 방향으로 분사하여 바닥면에 제설 용액이 응고된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하단부에 상단부를 향하는 상향 수류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의해 제설 용액이 상단부 방향으로 순환된다. 그리고, 제설 용액의 불순물 들의 침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침전물이 응고되는 현상도 발생되지 않는다.In this way, the reason for installing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to extend in the lower direction is to spray the snow removal solution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a downward direction near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snow removal solution does not form a solidified sediment on the floor surface , This is to ensure that upward water flow toward the upper end is formed at the lower end. As a result,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circulated in the upper end direction. In addition, the precipitation of impurities in the snow removal solution does not occur and the phenomenon of solidification of the precipitate does not occur.

도 4는 순환 관로의 하단에 설치되는 분출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outlet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lation pipe.

도 4를 참조하면, 순환 관로 예를 들어, 제1 순환 관로(101)의 하단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출구(103)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둘 이상의 분출구(103)들이 설치되는 경우 제설 용액이 보다 고르게 분출되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4 , one or more outlets 103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lation conduit, for example,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 When two or more outlets 103 are installed in this way, the snow removal solution has the effect of being more evenly ejected.

제2 순환 관로(102)는 탱크(1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2 거리만큼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2 거리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거리는 탱크(100)의 내부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전체 높이의 2 내지 5% 중에서 선택된 높이 까지 연장되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탱크(100)의 내부 전체 높이가 5 미터(meter)인 경우 상단으로 부터 하단 방향으로 0.1 내지 0.25 미터 중에서 선택된 높이 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102 is installed in a form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tank 100 to the lower end by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Here, the second distanc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second distance may be set to a distance extending from the inner top of the tank 100 to a selected height from 2 to 5% of the total height in the bottom direction. When the total height of the inside of the tank 100 is 5 meters, it may be installed in a form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a height selected from 0.1 to 0.25 meters.

이와 같이, 제2 순환 관로(102)를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하는 이유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설 용액을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분사하여 상단부에 하단부를 향하는 하향 수류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의해 제설 용액이 하단부 방향으로 순환된다. 또한, 하부에 있는 고농도의 제설 용액을 상부에 공급하여 저농도의 제설 용액과 섞이는 순환 동작이 이루어진다. In this way, the reason for installing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102 to extend in the lower direction is to spray the snow removal solution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so that a downward water flow toward the lower end is formed at the upper end. As a result,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circulate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end. In addition, a circulation operation is made by supplying a high-concentration snow-removing solution in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mixing with a low-concentration snow-removing solution.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 순환 관로(101)로부터 분사되는 제설 용액에 의해 형성되는 상향 수류와 제2 순환 관로(102)로부터 분사되는 제설 용액에 의해 형성되는 하향 수류가 서로 연계되어 하나의 수류가 형성되거나 소용돌이와 같은 난류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고농도의 제설 용액과 저농도의 제설 용액이 잘 섞여져 전체적으로 농도가 균일하게 된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upward water flow formed by the snow removal solution sprayed from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and the downward water flow formed by the snow removal solution sprayed from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102 are linked to each other to form one water flow. or turbulent flow such as a vortex is formed. As a result, the high-concentration snow removal solution and the low-concentration snow removal solution are well mixed so that the overall concentration is uniform.

제1 순환 관로(101)의 하단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출구(103)들이 설치될 수 있다. 분출구(103)는 제설 용액을 탱크(100)의 하단을 향해 분출하되, 넓은 범위로 분산시켜 분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분출구(103)에 분출용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one or more outlets 103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 The ejection port 103 ejects the snow removal solution toward the lower end of the tank 100, but serves to disperse and eject in a wide range. To this end, a jetting nozzle may be provided in the jetting port 103 .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는 펌프(pump)(110), 탱크(100)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 공급 관로(111) 및 제1 공급 관로(111)와 펌프(110)를 연결하는 제2 공급 관로(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mp 110, a first supply pipe 111 provided on the outer lower portion of the tank 100, and a second supply pipe 111 connecting the pump 110. A supply conduit 112 may be further included.

제1 공급 관로(111)의 일측 종단부는 탱크(100)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 종단부는 제2 공급 관로(112)의 일측 종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공급 관로(112)의 타측 종단부에 펌프(110)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110)의 구동에 의해 탱크(100)에 저장되어 있는 제설 용액이 외부로 배출된다. One end of the first supply pipe 111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tank 1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upply pipe 112. And, the pump 11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ly pipe 112 . Therefore,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driving the pump 110.

제1 공급 관로(111)와 제2 공급 관로(112)의 사이에 제2 밸브(valve) (MV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밸브(MV2)를 조작하여 탱크(10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제설 용액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A second valve MV2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ly line 111 and the second supply line 112. Therefore, the user can regulate the snow removal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tank 100 to the outside by manipulating the second valve MV2.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는 일측 종단부가 펌프(110)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타측 종단부가 제1 순환 관로(101)의 일측 종단부에 연결된 제3 공급 관로(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pply pipe 11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pump 1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irculation pipe 101.

따라서, 펌프(110)로부터 배수되는 제설 용액을 제3 공급 관로(113)를 통해 제1 순환 관로(101)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snow removal solution drained from the pump 110 to the first circulation pipe 101 through the third supply pipe 113.

제3 공급 관로(113)와 제1 순환 관로(101)의 사이에 제4 밸브(MV4)가 설치되어 있다. A fourth valve MV4 is installed between the third supply pipe 113 and the first circulation pipe 101 .

따라서, 사용자는 제4 밸브(MV4)를 조작하여 펌프(110)로부터 제1 순환 관로(101)에 공급되는 제설 용액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can control the snow removal solution supplied to the first circulation pipe 101 from the pump 110 by operating the fourth valve MV4.

결국,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은 제1 경로 즉, 제1 공급관로(111), 제2 밸브(MV2),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4 밸브(MV4) 및 제1 순환 관로(101)를 통하는 경로를 통해 순환된다. After all,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is the first path, that is, the first supply pipe 111, the second valve (MV2),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the third supply pipe 113 ), the fourth valve (MV4), and the first circulation pipe (101).

그리고, 제3 공급 관로(113)의 타측 종단부는 제2 순환 관로(102)의 일측 종단부에도 연결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third supply pipe 113 is also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circulation pipe 102 .

따라서, 펌프(110)로부터 배수되는 제설 용액을 제3 공급 관로(113)를 통해 제2 순환 관로(102)에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snow removal solution drained from the pump 110 to the second circulation pipe 102 through the third supply pipe 113.

제3 공급 관로(113)와 제2 순환 관로(102)의 사이에 제3 밸브(MV3)가 설치되어 있다. A third valve MV3 is installed between the third supply pipe 113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102 .

따라서, 사용자는 제3 밸브(MV3)를 조작하여 펌프(110)로부터 제2 순환 관로(102)에 공급되는 제설 용액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can regulate the snow removal solution supplied from the pump 110 to the second circulation pipe 102 by operating the third valve MV3.

결국,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은 제2 경로 즉, 제1 공급관로(111), 제2 밸브(MV2),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3 밸브(MV3) 및 제2 순환 관로(102)를 통하는 경로를 통해 순환된다. Eventually,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path, that is, the first supply line 111, the second valve MV2, the second supply line 112, the pump 110, and the third supply line 113 ), the third valve (MV3)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102).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는 제4 공급 관로(114) 및 제3 공급 관로(113)와 제4 공급 관로(114)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밸브(MV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valve MV1 disposed between the fourth supply pipe 114, the third supply pipe 113, and the fourth supply pipe 114.

따라서, 펌프(110)로부터 배수되는 제설 용액을 제4 공급 관로(114)를 통해 제설용 차량의 탱크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1 밸브(MV1)를 조작하여 제설용 차량의 탱크에 공급되는 제설 용액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snow removal solution drained from the pump 110 to the tank of the vehicle for snow removal through the fourth supply pipe 114. At this time, the user can regulate the snow removal solution supplied to the tank of the snow removal vehicle by operating the first valve MV1.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는 제5 공급 관로(115) 및 제2 공급 관로(112)와 제5 공급 관로(115)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5 밸브(MV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fth valve MV5 disposed between the fifth supply pipe 115 and the second supply pipe 112 and the fifth supply pipe 115 .

따라서, 제설용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제5 공급 관로(115), 제 5 밸브(MV),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를 통한 후 제3 밸브(MV3) 및 제2 순환 관로(102) 또는 제4 밸브(MV4) 및 제1 순환 관로(101)를 통해 탱크(100)에 수거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tank of the snow removal vehicle is transferred through the fifth supply pipe 115, the fifth valve MV,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and the third supply pipe 113. Then, the water can be collected in the tank 100 through the third valve MV3 and the second circulation line 102 or the fourth valve MV4 and the first circulation line 101.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는 탱크 관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ank management devic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를 구성하는 탱크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tank management device constituting a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탱크 관리 장치(120)는 탱크(100)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측정기(121),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의 수위 및 각 구성요소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22),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계(123), 타이머부(124), 컨트롤 판넬(125)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tank management devic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121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in the tank 100, the water level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and the operating state of each component A display unit 122 for displaying, a concentration meter 123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a timer unit 124, a control panel 125, and a control unit 12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

수위 측정기(121)는 탱크(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설 용액의 수위 변화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에 따른 수위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The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121 is installed inside the tank 100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and outputs a water level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이와 같은 수위 측정기(121)는 여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 측정기(121)는 플로트 스위치(float switch), 기어식 트랜스미터(transmitte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레이저 센서(Laser sensor), 정전용량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Such a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12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121 may be implemented in one or more of a float switch, a gear transmitter, an ultrasonic sensor, a laser sensor, and a capacitance method. have.

그리고, 타이머부(Timer unit)(124)는 보관 탱크에서 필요로 하는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은 상기 제1 경로 및 제2 경로를 통해 소정의 패턴으로 순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설 용액은 계절별로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순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간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타이머부(124)는 이와 같은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And, the timer unit 124 provides tim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storage tank.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may be circulat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rough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For example, the snow removal solution may be cycled seasonally or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To this end, time information is required, and the timer unit 124 serves to provide such time information.

도 6은 수위 측정기가 플로트 스위치로 구현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water level meter is implemented as a float switch.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측정기(121)는 수위 변화에 따라 부력에 의해 레벨이 변동되는 플로트(121) 및 수위 변화에 따라 플로트(121)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바(Guide bar)(122)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1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at 121 whose level is fluctuated by buoyancy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hange and a guide bar for guiding the float 121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hange. bar) 122 may be provided.

표시부(122)는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의 수위 및 각 구성요소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22)는 탱크(100)의 내부에 보관된 제설 용액의 수위, 펌프(110)의 동작 상태, 밸브(MV1-MV5)들의 개폐 상태 등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The display unit 122 serves to display the level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and the operating state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22 serves to display the water level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the operating state of the pump 110, the open/closed state of the valves MV1-MV5, and the like.

농도계(123)는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의 농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농도계(123)는 탱크(100)의 내부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농도계(123)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농도계(123)는 초음파의 송신센서가 발사한 초음파의 신호가 유체 및 슬러지(sludge)에 반사되어 수신센서를 통해 전달받는 신호크기의 감쇄량을 측정하여 농도로 환산하는 초음파 방식, 광원을 시료에 투사하고 그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반사 강도를 측정하는 필터 방식, 단색광을 시료물질에 투사하여 그 시료가 흡수한 빛의 농도를 측정하는 분광광도 방식(spectrophotometry) 및 용액에 담겨진 2개의 전극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고 이때 흐르는 전류의 량이 용액의 전도도에 의존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전기 전도도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Densitometer 123 serve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To this end, the densitometer 123 may be installed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tank 100. There may be several types of densitometer 123. For example, the density meter 123 measures the attenuation of the signal size transmitted through the receiving sensor after the ultrasonic signal emitted by the ultrasonic transmission sensor is reflected in fluid and sludge, and converts it into a concentration. An ultrasonic method, a light source A filter method that projects light onto a sample and measures the reflection intensity of the reflected light, a spectrophotometry method that projects monochromatic light onto a sample material and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light absorbed by the sample, and two electrodes immersed in a solution. Any one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thods using the principle that a constant voltage is supplied and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at this time depends on the conductivity of the solution may be used.

다만, 제설 용액이 고농도이다 보니, 초음파 방식이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snow removal solution has a high concent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ultrasonic method is appropriate.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농도계를 나타낸 것이다. 7 shows a densitomet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같은 농도계(123)의 하부에서는 용액이 유입되고 중간부에서는 용액이 유출되었으며, 내부에 구비된 부레는 이러한 용액의 농도에 따라 잠기거나 떠오르는 정도가 변화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상단에 구비되는 거리 측정 센서에 의하여 측정되어 연산 장치로 전달되게 되고 연산 장치는 이러한 값을 기초로 하여 용액의 농도 값을 산출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은 농도계(123)는 고농도의 용액의 농도도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As shown in FIG. 7, the solution flows in from the lower part and the solution flows out from the middle part of the concentration meter 123, and the degree of immersion or floating of the air bladder provided insid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And, this change is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provided at the top and transmitted to the calculation device, and the calculation device calculates and provides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solution based on this value. It has been found that such a densitometer 123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a highly concentrated solution relatively accurately.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농도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ensitomet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탱크(100)의 내부 일측에는 저장되는 용액의 수위(WL, Water Line)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수위 측정부(14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수위 측정부(140)는 기설정된 일정 높이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위 측정 모듈(1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수위 측정 모듈(141)은 전도도 변화를 감지하여 용액의 유무를 감지함으로서 수위를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로트(float) 레벨(level) 스위치(switch)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water level measurement unit 140 capable of measuring the water level (WL, Water Line) of the stored solutio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tank 100, and the water level is measured. The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water level measurement modules 141 installed at predetermined height intervals. For reference, the water level measurement module 141 may use a method of measuring the water level by detecting a change in conductivity and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olu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float level switch method, etc. A variety of methods can be selected and used.

탱크(100)는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탱크 내의 용액의 수위와 거리 측정 센서(131)로부터 플로팅 모듈(132-3) 까지의 거리를 전달받아 저장되는 용액의 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tank 100 may calculate the concentration of the stored solution by receiving the water level of the solution in the tank and the distance from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131 to the floating module 132-3.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도계의 비중 측정부 내의 플로팅 모듈이 위치하는 부분을 보다 자세히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a floating module is located in a specific gravity measuring unit of a densito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9를 참조하면, 탱크(100)의 내부로 용액이 유입됨에 따라 용액의 수위(WL)는 서서히 차오르다가 수위 측정부(14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위 측정 모듈(141) 중 어느 하나의 높이까지 용액이 차오르게 되면, 수위 측정 모듈(141)은 용액을 감지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용액 농도 계산부(미도시)로 전달하게 되고, 용액 농도 계산부는 수위 측정 모듈(141)을 통하여 인식하게 된 현재의 수위 값과 비중 측정부(130)의 거리 측정 센서(131)에 의하여 측정된 거리 값을 이용하여 용액의 농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을 위하여 용액 농도 계산부는 탱크(100)의 내부 저장되는 용액의 수위별로 거리 측정 센서(131)와 플로팅 모듈(132-2) 사이의 거리에 따른 농도가 테이블화되어 정리되어 있는 농도 메타(meta) 테이블(table)을 참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as the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tank 100, the water level (WL) of the solution gradually rises, and then any one of the one or more water level measuring modules 141 constituting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140 When the solution rises to the height, the level measurement module 141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olution has been detected to a solution concentration calculation unit (not shown), and the solution concentration calculation unit recognizes the solution through the level measurement module 141.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 is performed using the current water level value and the d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131 of the specific gravity measurement unit 130. For this process, the solution concentration calculation unit is a concentration meta in which th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131 and the floating module 132-2 is tabulated and organized for each water level of the solution stored inside the tank 100 ( You can refer to the meta tabl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판넬의 예시도이다.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컨트롤 판넬(Control panel)(125)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 판넬(125)은 도 10에서와 같이 공급 버튼(BUT1), 수거 버튼(BUT2) 및 순환 버튼(BUT3)를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 판넬(125)은 사용자의 버튼 터치에 따라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및 용액 수거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용액 공급 신호는 제설용 차량의 탱크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는 모드에서 공급되는 신호이다. 용액 순환 신호는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을 순환시키는 모드에서 공급되는 신호이다. 용액 수거 신호는 제설용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탱크(100)에 수거하는 모드에서 공급되는 신호이다. The control panel 125 serves to output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example, the control panel 125 may include a supply button BUT1 , a collection button BUT2 , and a circulation button BUT3 as shown in FIG. 10 . The control panel 125 may output any one of a solution supply signal,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a solution col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button touch. Here, the solution supply signal is a signal supplied in the mode of supply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to the tank of the vehicle for snow removal.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is a signal supplied in a mode for circula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is a signal supplied in a mode for collec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tank of the snow removal vehicle into the tank 100.

제어부(126)는 탱크 관리 장치(120)를 구성하는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6)는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및 용액 수거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가 수신될 때 밸브(MV1-MV5)들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고, 펌프(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6)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어 밸브(MV1-MV5)들을 개폐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들이 구비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6 serv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part constituting the tank management device 12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26 controls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valves MV1-MV5 and the driving of the pump 110 when any one of a solution supply signal,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a solution collection signal is received. do. To this end, actuators may be provided that open and close the valves MV1 to MV5 by driving the control unit 126 .

또한, 제어부(126)는 수위 측정기(121)에 의해 측정된 제설 용액의 수위를 표시부(122)에 표시하고, 농도계(123)에 의해 측정된 제설 용액의 농도를 표시부(122)에 표시하고, 펌프(110)의 동작 상태와 밸브(MV1-MV5)들의 개폐 상태를 표시부(122)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6 displays the level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ter 121 on the display unit 122,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measured by the concentration meter 123 on the display unit 122 Displays, It serves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pump 110 and the open/closed state of the valves MV1-MV5 on the display unit 122.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관 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도이다.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3과 비교할 때, 탱크(200), 제1 순환 관로(201), 제2 순환 관로(202), 탱크(200)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 공급 관로(211), 제3 공급 관로(113)와 제2 순환 관로(202)의 사이에 설치된 제7 밸브(MV7) 및 제3 공급 관로(113)와 제1 순환 관로(201)의 사이에 설치된 제8 밸브(MV8)를 더 구비한 것이 차이점이다. 11 is compared with FIG. 3, the tank 200, the first circulation pipe 201, the second circulation pipe 202, the first supply pipe 211 provided on the outer lower part of the tank 200, and the third The seventh valve MV7 installed between the supply pipe 113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202 and the eighth valve MV8 installed between the third supply pipe 113 and the first circulation pipe 201 Having more is the difference.

탱크(2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의 순환동작은 독립적으로 수행되거나, 탱크(100)와 연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독립 순환모드와 연동 순환모드에 따라 밸브(MV2-MV4)와 밸브(MV6-MV8)의 개폐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The circulation ope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200 may be performed independently or interlocked with the tank 100. To this e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valves MV2-MV4 and MV6-MV8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circulation mode and the interlocked circulation mode.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에서 제설 용액의 침전이나 응고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2 shows that precipitation or coagul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does not occur in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관 탱크에 따르면, 보관 중인 제설 용액을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순환시키므로 탱크 내에서 위치에 관계없이 농도가 항상 균일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도 12에서와 같이 침전이나 응고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now removal solution in storage is circulated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so that the concentration is always maintained uniformly regardless of location in the tank.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precipitation or solidification as shown in FIG. 12 .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riving a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은 제어부가 용액 순환 신호, 용액 공급 신호 및 용액 수거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3 , the method of driving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4) of checking whether any one of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 solution supply signal, and a solution collection signal is being input by a control unit.

제어부(126)는 용액 순환 신호, 용액 공급 신호 및 용액 수거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가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S4). The controller 126 checks whether one of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the solution supply signal, and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is being supplied (S4).

여기서, 용액 공급 신호는 탱크(100)로부터 제설용 차량의 탱크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는 모드에서 제어부(126)에 공급되는 신호이다. 용액 순환 신호는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을 순환시키는 모드에서 제어부(126)에 공급되는 신호이다. 용액 수거 신호는 제설용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탱크(100)에 수거하는 모드에서 제어부(126)에 공급되는 신호이다. Here, the solution supply signal is a signal supplied to the controller 126 in a mode of supply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from the tank 100 to the tank of the vehicle for snow removal.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is a signal supplied to the controller 126 in a mode for circula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is a signal supplied to the controller 126 in a mode of collec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tank of the vehicle for snow removal in the tank 100.

용액 순환 신호, 용액 공급 신호 및 용액 수거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된 경우, 그 신호가 용액 순환 신호인지 확인하여(S5) 용액 순환 신호인 것으로 판명되면 탱크(100)에 저장되어 있는 제설 용액을 순환시키는 제설 용액의 순환동작이 이루어진다(S2).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y one of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the solution supply signal, and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is being supplied, it is checked whether the signal is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S5), and if it is found to be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it is stored in the tank 100. The circulation ope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to circulate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made (S2).

제설용 용액 순환 동작은 제1 순환모드 내지 제8 순환모드(M1-M8)로 수행될 수 있는데, 이들의 순환 동작을 각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now removal solution circul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first circulation mode to the eighth circulation mode (M1-M8), when each of these circulation operations are described as follows.

도 14는 제1 순환 모드와 제2 순환 모드의 순서도이다. 14 is a flow chart of the first circulation mode and the second circulation mode.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순환모드에서는 제어부가 제1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S11), 제어부가 제2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S12), 제어부가 제3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S13), 제어부가 제4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S14) 및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15)가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14, in the first circulation mode, the controller closes the first valve (S11), the controller opens the second valve (S12), the controller closes the third valve (S13), The controller opens the fourth valve (S14) and the controller drives the pump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S15).

이에 따라, 제1 순환 모드에서는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111), 제2 밸브(MV2),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4 밸브(MV4) 및 제1 순환 관로(101)를 통해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순환된다. Accordingly, in the first circulation mode,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111, the second valve MV2,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and the third supply pipe ( 113), the fourth valve MV4, and the first circulation pipe 101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순환모드는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제4 밸브(MV4)를 폐쇄하는 단계(S16), 제어부가 제3 밸브(MV3)를 개방하는 단계(S17) 및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18)가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14, in the second circulation mode, after driving the pump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by the control unit, closing the fourth valve (MV4) (S16), the control unit turns the third valve (MV3). The step of opening (S17) and the step of driving the pump for a second predetermined time by the control unit (S18) are performed.

이에 따라, 제2 순환 모드에서는 제2 순환 관로(102)를 통한 순환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111), 제2 밸브(MV2),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3 밸브(MV3) 및 제2 순환 관로(102)를 통해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순환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소정 횟수 반복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second circulation mode, a circu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102 . That is,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is the first supply pipe 111, the second valve (MV2),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the third supply pipe 113, the third valve (MV3) and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102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This process may be repe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도 15는 제3 순환 모드와 제4 순환 모드의 순서도이다. 15 is a flowchart of a third circulation mode and a fourth circulation mode.

도 15를 참조하면, 제3 순환모드에서는 제어부가 제1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S21), 제어부가 제2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S22), 제어부가 제3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S23), 제어부가 제4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S24) 및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25)가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15, in the third circulation mode, the controller closes the first valve (S21), the controller opens the second valve (S22), the controller opens the third valve (S23), The control unit closing the fourth valve (S24) and the control unit driving the pump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S25) are performed.

제3 순환 모드는 제1 순환 모드와 비교할 때 제3 밸브(MV3)와 제4 밸브(MV4)의 개폐 순서가 바뀐 것이 다른 점이다. The third circulation mode differs from the first circulation mode in that the order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ird valve MV3 and the fourth valve MV4 is reversed.

이에 따라, 제3 순환 모드에서는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111), 제2 밸브(MV2),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3 밸브(MV3) 및 제2 순환 관로(102)를 통해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순환된다. 참고로, 기설정된 제1 시간은 제2 시간보다 길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third circulation mode,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111, the second valve MV2,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and the third supply pipe ( 113), the third valve MV3,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102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For reference, the preset first time period may be longer than the second time period.

도 15를 참조하면 제4 순환모드에서는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제3 밸브(MV3)를 폐쇄하는 단계(S26), 제어부가 제4 밸브(MV4)를 개방하는 단계(S27) 및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28)가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15, in the fourth circulation mode, after driving the pump for a first preset time by the controller, closing the third valve MV3 (S26), the controller opens the fourth valve MV4. A step (S27) and a step (S28) of the control unit driving the pump for a preset second time are performed.

이에 따라, 제4 순환 모드에서는 제1 순환 관로(101)를 통한 순환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111), 제2 밸브(MV2),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4 밸브(MV4) 및 제1 순환 관로(101)를 통해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순환된다. Accordingly, in the fourth circulation mode, a circu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 That is,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is the first supply pipe 111, the second valve (MV2),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the third supply pipe 113, the fourth valve (MV4) and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for a preset first time.

도 16은 제5 순환 모드와 제6 순환 모드의 순서도이다. 16 is a flowchart of a fifth circulation mode and a sixth circulation mode.

제5 순환 모드 및 제6 순환 모드는 제1 순환 모드 및 제2 순환 모드와 비교할 때, 제1 순환 모드 및 제2 순환모드에서는 하나의 탱크(100)를 대상으로 제설 용액의 순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에 비하여 제5 순환 모드 및 제6 순환 모드에서는 두 개의 탱크(100,200)를 대상으로 제설 용액의 순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다른 점이다. Compared to the fifth circulation mode and the sixth circulation mode, the first circulation mode and the second circulation mode, in the first circulation mode and the second circulation mode, the circulation ope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made for one tank 100. Compared to one, the fifth circulation mode and the sixth circulation mode are different in that the circulation ope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is made for the two tanks 100 and 200.

도 16을 참조하면, 제5 순환모드에서는 제어부가 제1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S31), 제어부가 제1 공급 관로와 제2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S32), 제어부가 제1 순환 관로와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S33), 제어부가 제2 순환 관로와 상기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는 단계(S34) 및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35)가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16, in the fifth circulation mode, the controller closes the first valve (S31), the controller opens the valv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ly pipes (S32), and the controller opens the first valve. Opening the valves between the circulation pipe and the third supply pipe (S33), closing the valves between the second circulation pipe and the third supply pipe by the controller (S34), and pumping the pump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by the controller A step (S35) of driving is performed.

이에 따라, 제5 순환 모드에서는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111), 제2 밸브(MV2),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4 밸브(MV4) 및 제1 순환 관로(101)를 통해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순환된다. Accordingly, in the fifth circulation mode,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111, the second valve MV2,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and the third supply pipe ( 113), the fourth valve MV4, and the first circulation pipe 101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이와 동시에, 탱크(2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211), 제6 밸브(MV6),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8 밸브(MV8) 및 제1 순환 관로(201)를 통해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순환된다. At the same time,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200 is the first supply pipe 211, the sixth valve (MV6),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the third supply pipe 113, the eighth It is circulated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valve MV8 and the first circulation pipe 201 .

도 16을 참조하면, 제6 순환모드에서는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제어부가 제1 순환 관로와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는 단계(S36), 제어부가 제2 순환 관로와 상기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S37) 및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38)가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16, in the sixth circulation mode, after the controller drives the pump for a first preset time, The step of the control unit closing the valves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S36), the step of opening the valves between the second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by the control unit (S37), and the control unit setting the Driving the pump for 2 hours (S38) is performed.

이에 따라, 제6 순환 모드에서는 제2 순환 관로(102)를 통한 순환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111), 제2 밸브(MV2),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3 밸브(MV3) 및 제2 순환 관로(102)를 통해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순환된다. Accordingly, in the sixth circulation mode, a circu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102 . That is,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is the first supply pipe 111, the second valve (MV2),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the third supply pipe 113, the third valve (MV3) and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102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이와 동시에, 탱크(2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211), 제6 밸브(MV6),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7 밸브(MV7) 및 제2 순환 관로(202)를 통해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순환된다. At the same time,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200 is the first supply pipe 211, the sixth valve (MV6),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the third supply pipe 113, the seventh It is circulated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through the valve MV7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202 .

도 17은 제7 순환 모드와 제8 순환 모드의 순서도이다. 17 is a flowchart of a seventh circulation mode and an eighth circulation mode.

제7 순환 모드 및 제8 순환 모드는 제5 순환 모드 및 제6 순환 모드와 비교할 때, 순환 관로의 사용 순서가 바뀐 것이 다른 점이다. 참고로, 도 16 및 도 17의 제5 내지 제8 순환 모드는 본 발명이 복수의 탱크를 구비한 경우에 대한 순환 방법이다. The seventh circulation mode and the eighth circulation mode are different from the fifth circulation mode and the sixth circulation mode in that the order of use of the circulation conduits is changed. For reference, the fifth to eighth circulation modes of FIGS. 16 and 17 are circulation methods for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anks.

도 17을 참조하면, 제7 순환모드에서는 제어부가 제1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S41), 제어부가 제1 공급 관로와 제2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S42), 제어부가 제2 순환 관로와 상기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S43), 제어부가 제1 순환 관로와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는 단계(S44) 및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45)가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17, in the seventh circulation mode, the control unit closes the first valve (S41), the control unit opens valves between the first supply line and the second supply line (S42), and the control unit closes the second supply line (S42). Opening the valves between the circulation pipe and the third supply pipe (S43), closing the valves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pipe and the third supply pipe by the controller (S44), and pumping the pump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by the controller A step (S45) of driving is performed.

이에 따라, 제7 순환 모드에서는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111), 제2 밸브(MV2),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3 밸브(MV3) 및 제2 순환 관로(102)를 통해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순환된다. Accordingly, in the seventh circulation mode,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111, the second valve MV2,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and the third supply pipe ( 113), the third valve MV3,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102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이와 동시에, 탱크(2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211), 제6 밸브(MV6),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7 밸브(MV7) 및 제2 순환 관로(201)를 통해 기 설정된 제1 시간동안 순환된다. At the same time,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200 is the first supply pipe 211, the sixth valve (MV6),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the third supply pipe 113, the seventh It is circulated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valve MV7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201 .

도 17을 참조하면, 제8 순환모드에서는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제2 순환 관로와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는 단계(S46), 제어부가 제1 순환 관로와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S47) 및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48)가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17, in the eighth circulation mode, after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ump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closing the valves between the second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S46), the control unit Opening the valves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pipe and the third supply pipe (S47) and driving the pump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by the control unit (S48) are performed.

이에 따라, 제8 순환 모드에서는 제1 순환 관로(101)를 통한 순환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111), 제2 밸브(MV2),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4 밸브(MV4) 및 제1 순환 관로(101)를 통해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순환된다. Accordingly, in the eighth circulation mode, a circu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 That is,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is the first supply pipe 111, the second valve (MV2),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the third supply pipe 113, the fourth valve (MV4) and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이와 동시에, 탱크(2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211), 제6 밸브(MV6),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8 밸브(MV8) 및 제1 순환 관로(202)를 통해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순환된다. At the same time,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200 is the first supply pipe 211, the sixth valve (MV6),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the third supply pipe 113, the eighth It is circulated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through the valve MV8 and the first circulation pipe 202 .

이러한 순환 과정은 버튼 하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자연스럽게 진행되므로 작업자의 편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is circulation process proceeds naturally by manipulating one button, the operator's convenience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은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기설정된 시간 경과되거나 기설정된 시각이 되면, 타이머부가 용액 순환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단계(S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torage tank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r unit transmits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reached before the controller receives any one of a solution supply signal,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a solution collection signal. Transmitting to the control unit (S1) may be further included.

타이머부(124)가 용액 순환 신호를 제어부(126)에 송신하면 제어부(126)가 이를 확인하게 되고, 이에 의해 탱크(100)에 저장되어 있는 제설 용액을 순환시키는 제설 용액의 순환동작이 이루어진다(S2). When the timer unit 124 transmits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26, the control unit 126 confirms this, whereby a circulation ope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to circulate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is performed ( S2).

따라서, 캘린더(calendar)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시간 경과되거나 기설정된 시각이 될 때 마다, 타이머부(124)가 용액 순환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함으로써, 제설 용액의 자동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whenev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o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using a calendar, the timer unit 124 transmits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reby enabling automatic circul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은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농도계가 측정한 농도값이 초기 농도 대비하여 기설정된 비율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농도계가 상기 제어부에 용액 순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orage tank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control unit receives any one of a solution supply signal,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a solution collection signal, the concentration value measured by the concentration meter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atio with respect to the initial concentration. When it falls to , the densitomet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S2) of transmitting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농도계(123)가 측정한 농도값이 초기 농도 대비하여 기설정된 비율 이하로 떨어질 때 농도계(123)가 제어부(126)에 용액 순환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하여, 제설 용액을 순환시키는 제설 용액의 순환동작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When the concentration value measured by the concentration meter 123 falls below a predetermined ratio compared to the initial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meter 123 transmits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26, thereby circula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this is done automatically

즉,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탱크(100)의 상부에 있는 제설 용액의 농도는 낮아지게 되는데, 기설정된 농도 이하로 될 때 자동으로 순환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편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That is, as time passes, the concentration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at the top of the tank 100 is lowered, and when th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concentration, the circu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utomatically, so the operator's convenience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은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된 신호가 용액 공급 신호인 경우에는 탱크로부터 차량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S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driving method of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trol unit receives any one of the solution supply signal, the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when the received signal is the solution supply signal, snow is removed from the tank to the vehicle. A step of supplying a solution (S7) may be further included.

도 18은 탱크로부터 차량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에 대한 상세 순서도이다. 18 is a detailed flow chart of the step of supplying a snow removal solution from a tank to a vehicle.

도 18을 참조하면, 탱크로부터 차량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제1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S51), 제어부가 제2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S52), 제어부가 제3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S53), 제어부가 제4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S54) 및 제어부가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5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8, the step of supplying the snow removing solution from the tank to the vehicle is the step of opening the first valve by the controller (S51), the step of opening the second valve by the controller (S52), and closing the third valve by the controller. It includes a step (S53), a step (S54) of the controller closing the fourth valve, and a step (S55) of the controller driving the pump.

탱크(100)로부터 차량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S7)에서는 제어부(126)에 의해 제1 밸브(MV1)가 개방(S51)됨과 아울러, 제2 밸브(MV2)가 개방된다(S52). In step S7 of supplying the snow removing solution to the vehicle from the tank 100, the first valve MV1 is opened by the controller 126 (S51) and the second valve MV2 is opened (S52).

그리고, 제어부(126)에 의해 제3 밸브(MV3)가 폐쇄(S53)됨과 아울러 제4 밸브(MV4)가 폐쇄된다(S54). Then, the third valve MV3 is closed (S53) by the controller 126 and The fourth valve MV4 is closed (S54).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126)에 의해 펌프(110)가 구동된다(S55). In such a state, The pump 110 is driven by the controller 126 (S55).

이에 따라,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111), 제2 밸브(MV2),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및 제1 밸브(MV1)를 통해 차량의 탱크에 공급된다. Accordingly,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of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111, the second valve (MV2),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and the first valve (MV1) supplied to the tank.

도 19는 탱크로부터 차량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19는 도 18과 비교할 때, 도 18은 하나의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을 차량의 탱크에 공급하는 것에 비하여, 도 19는 두 개의 탱크(100, 2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을 차량의 탱크에 공급하는 것이 다른 점이다. 19 is a detailed flow chart of another embodiment for supplying snow removal solution from a tank to a vehicle. Compared with FIG. 18, FIG. 18 supplies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one tank 100 to the tank of the vehicle, whereas FIG. 19 shows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wo tanks 100 and 200 to the vehicle. Feeding the tank is different.

도 19를 참조하면, 탱크로부터 차량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제어부가 제1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S61), 제어부가 제1 공급 관로와 제2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S62), 제어부가 제1 순환 관로와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는 단계(S63), 제어부가 제2 순환 관로와 상기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는 단계(S64) 및 제어부가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S6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9, another embodiment of the step of supply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from the tank to the vehicle is the step of the controller opening the first valve (S61), the controller opening the valves between the first supply pipe and the second supply pipe. Opening (S62), closing the valves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pipe and the third supply pipe by the control unit (S63), and closing the valves between the second circulation pipe and the third supply pipe by the control unit (S64). ) and the control unit driving the pump (S65).

탱크(100)로부터 차량에 제설 용액을 공급하는 단계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26)에 의해 제1 밸브(MV1)가 개방(S61)됨과 아울러, 제1 공급 관로(111, 211)와 제2 공급 관로(112) 사이의 밸브(MV2, MV6)들이 개방된다(S62).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tep of supply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from the tank 100 to the vehicle, the first valve MV1 is opened by the control unit 126 (S61), and the first supply pipes 111 and 211 and the second The valves MV2 and MV6 between the supply conduits 112 are opened (S62).

그리고, 제어부(126)에 의해 제1 순환 관로(101, 201)와 제3 공급 관로(113) 사이의 밸브(MV3, MV4),(MV7, MV8)들이 폐쇄된다(S63). Then, the valves MV3, MV4 and MV7 and MV8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lines 101 and 201 and the third supply line 113 are closed by the control unit 126 (S63).

제어부(126)에 의해 제2 순환 관로(102, 202)와 제3 공급 관로 상의 밸브들(MV3, MV7)이 폐쇄되고(S64), 제어부(126)에 의해 펌프(110)가 구동된다(S65). The valves MV3 and MV7 on the second circulation pipes 102 and 202 and the third supply pipe are closed by the control unit 126 (S64), and the pump 110 is driven by the control unit 126 (S65 ).

이에 따라, 탱크(1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111), 제2 밸브(MV2),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및 제1 밸브(MV1)를 통해 차량의 탱크에 공급된다. Accordingly,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100 of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111, the second valve (MV2),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and the first valve (MV1) supplied to the tank.

이와 동시에 탱크(200)에 저장된 제설 용액이 제1 공급 관로(211), 제6 밸브(MV6),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및 제1 밸브(MV1)를 통해 차량의 탱크에 공급된다. At the same time,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200 passes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211, the sixth valve MV6,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and the first valve MV1 to the tank of the vehicle. supplied t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은 제어부가 펌프를 구동하여 탱크로부터 차량에 제설 용액이 공급되기 시작한(S7) 이후에 제어부가 수위 측정기를 통하여 측정된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값 이하인 것을 확인하는 단계(S8) 및 제어부가 펌프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S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driving method of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ump to supply the snow removal solution from the tank to the vehicle (S7), the control unit confirms that the water level measured through the water level met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water level value.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S8) and a step (S9) for the control unit to stop driving the pump.

탱크(100)로부터 차량에 제설 용액이 공급되기 시작한(S7) 이후에 제어부(126)는 수위 측정기(121)를 통하여 탱크(100)의 수위를 측정하여 측정된 수위가 기설정된값 이하인 것으로 판명되면(S8), 제어부(126)가 펌프(11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9). After the snow removal solution starts to be supplied to the vehicle from the tank 100 (S7), the control unit 126 measures the water level of the tank 100 through the water level meter 121,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water leve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S8), the control unit 126 stops the driving of the pump 110 (S9).

이에 따라, 탱크(100)로부터 차량의 탱크에 제설 용액이 공급되는 동작이 종료된다.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supplying the snow removing solution from the tank 100 to the tank of the vehicle ends.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수위값은 여러 수위값들로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400 내지 600 리터에서 선택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value may be set to several water level values, for example, it may be set to a value selected from 400 to 600 lit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은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수신된 신호가 용액 수거 신호인 경우에는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탱크(100)에 수거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orage tank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trol unit receives any one of a solution supply signal,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a solution collection signal, when the received signal is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the tank remains in the vehicle. A step (S10) of collec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in the tank 100 may be further included.

도 20은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탱크에 수거하는 단계에 대한 상세 순서도이다. 20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step of collec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tank of the vehicle into the tank.

도 20을 참조하면,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탱크에 수거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제1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S71), 제어부가 제5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S72), 제어부가 제2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S73) 및 제어부가 제3 밸브(MV3) 및/또는 제4 밸브(MV4)를 개방하는 단계(S7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0, the step of collec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tank of the vehicle into the tank is the step of closing the first valve by the controller (S71), the step of opening the fifth valve by the controller (S72), and the step of opening the fifth valve by the controller (S72). 2 includes closing the valve (S73) and opening the third valve (MV3) and/or the fourth valve (MV4) by the controller (S74).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탱크(100)에 수거하는 단계(S10)에서, 제어부(126)가 제1 밸브(MV1)를 폐쇄하고(S71), 제5 밸브(MV5)를 개방한다(S72). In the step of collec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tank of the vehicle into the tank 100 (S10), the controller 126 closes the first valve MV1 (S71) and opens the fifth valve MV5 ( S72).

그리고, 제어부(126)가 제2 밸브(MV2)를 폐쇄하고(S73), 제3 밸브(MV3) 및/또는 제4 밸브(MV4)를 개방한다(S74). Then, the controller 126 closes the second valve MV2 (S73) and opens the third valve MV3 and/or the fourth valve MV4 (S74).

이에 따라,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이 제5 밸브(MV5),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3 밸브(MV3) 및/또는 제4 밸브(MV4)를 통해 탱크(100)로 수거된다. Accordingly,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tank of the vehicle is transferred through the fifth valve MV5,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the third supply pipe 113, the third valve MV3 and / or the second supply pipe 112. It is collected into tank 100 through valve 4 (MV4).

도 19는 차량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탱크에 수거하는 단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19는 도 20과 비교할 때, 도 20은 하나의 탱크(100)에 제설 용액을 수거하는 것에 비하여, 도 19는 두 개 이상의 탱크(100,200)에 제설 용액을 수거하는 것이 다른 점이다. 19 is a detailed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tep of collec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vehicle into the tank. When compared with FIG. 20, FIG. 20 is different from collec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in one tank 100, FIG. 19 collects the snow removal solution in two or more tanks 100 and 200.

도 19를 참조하면, 차량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탱크에 수거하는 단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수신된 신호가 용액 수거 신호인 경우에는 제어부가 제1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S81), 제어부가 제5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S82), 제어부가 제1 공급 관로와 제2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는 단계(S83) 및 제어부가 제3 공급 관로와 제1 순환 관로 사이의 밸브들 및/또는 상기 제3 공급 관로와 제2 순환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S8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9, another embodiment of the step of collec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vehicle into the tank is the step of closing the first valve by the controller when the received signal is the solution collection signal (S81), by the controller 5 Opening the valve (S82), the control unit closing the valves between the first supply line and the second supply line (S83), and the control unit closing the valves between the third supply line and the first circulation line and/or and opening valves between the third supply pipe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S84).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을 탱크(100)에 수거하는 단계(S10)에서, 제어부(126)가 제1 밸브를 폐쇄하고(S81), 제5 밸브를 개방한다(S82). In the step of collec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tank of the vehicle into the tank 100 (S10), the controller 126 closes the first valve (S81) and opens the fifth valve (S82).

그리고, 제어부(126)가 제1 공급 관로(111, 211)와 제2 공급 관로(112) 사이의 밸브들(MV2, MV6)을 폐쇄하고(S83), 제3 공급 관로(113)와 제1 순환 관로(101, 201) 사이의 밸브(MV4, MV8)들 및/또는 제3 공급 관로(113)와 제2 순환 관로(102,202) 사이의 밸브(MV3,MV7)들을 개방한다(S84). Then, the controller 126 closes the valves MV2 and MV6 between the first supply pipe 111 and 211 and the second supply pipe 112 (S83), and The valves MV4 and MV8 between the circulation pipes 101 and 201 and/or the valves MV3 and MV7 between the third supply pipe 113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102 and 202 are opened (S84).

이에 따라,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이 제5 밸브(MV5),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3 밸브(MV3) 및/또는 제4 밸브(MV4)를 통해 탱크(100)로 수거된다. Accordingly,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tank of the vehicle is transferred through the fifth valve MV5, the second supply pipe 112, the pump 110, the third supply pipe 113, the third valve MV3 and / or the second supply pipe 112. It is collected into tank 100 through valve 4 (MV4).

이와 동시에, 차량의 탱크에 남아 있는 제설 용액이 제5 밸브(MV5), 제2 공급 관로(112), 펌프(110), 제3 공급 관로(113), 제4 밸브(MV4) 및/또는 제8 밸브(MV8)를 통해 탱크(200)로 수거된다. At the same time, the snow removal solution remaining in the tank of the vehicle is discharged through the fifth valve MV5, the second supply line 112, the pump 110, the third supply line 113, the fourth valve MV4 and/or the second supply line 112. It is collected into tank 200 through valve 8 (MV8).

상기 도 16, 도 17, 도 19 및 도 19에서, 제1 순환 관로(101)는 탱크(1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순환 관로(102)는 탱크(1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제1 순환 관로(101)는 제2 순환 관로(102)보다 더 길고, 제1 공급 관로(111)는 탱크(100)의 하부에 구비된다. 제2 공급 관로(112)는 제1 공급 관로(111)와 펌프(110)를 연결하고, 제3 공급 관로(113)는 제1 순환 관로(101)와 제2 순환 관로(10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16, 17, 19 and 19,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extends from the top of the tank 100 to the bottom,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102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tank 100 to the lower end. Here,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is longer than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102, and the first supply conduit 111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ank 100. The second supply conduit 112 connects the first supply conduit 111 and the pump 110, and the third supply conduit 113 connects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and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102. play a role

또한, 제1 순환 관로(101)는 탱크(10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연장된다. 제2 순환 관로(102)는 탱크(1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2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1 순환 관로(101)의 하단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출구(103)들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tank 100 to the upper end by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The second circulation conduit 102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tank 100 toward the lower end by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One or more outlets 103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irculation conduit 101 .

여기서, 제1 거리는 탱크(10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 방향으로 전체 높이의 5 내지 15% 중에서 선택된 높이 까지 연장되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distance may be set as a distance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tank 100 to the top of the tank 100 to a height selected from 5 to 15% of the total height.

그리고, 제2 거리는 탱크(100)의 내부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전체 높이의 5 내지 15% 중에서 선택된 높이 까지 연장되는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And, the second distance may be set as a distance extending from the inside top of the tank 100 to a height selected from 5 to 15% of the total height in the bottom direction.

제2 밸브(MV2)는 제1 공급 관로(111)와 제2 공급 관로(112)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3 밸브(MV3)는 제3 공급 관로(113)와 제2 순환 관로(102)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4 밸브(MV4)는 제3 공급 관로(113)와 제1 순환 관로(10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valve MV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ly pipe 111 and the second supply pipe 112, and the third valve MV3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supply pipe 113 and the second circulation pipe 102. , and the fourth valve MV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supply pipe 113 and the first circulation pipe 101 .

또한, 제1 밸브(MV1)는 배출 관로와 제3 공급 관로(11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lso, the first valve MV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pipe and the third supply pipe 113 .

탱크(100)의 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용량으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탱크(100)의 용량은 1만 내지 5만 리터(liter)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 capacity of the tank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manufactured to have a large capacity. For example, the capacity of the tank 100 may be selected from 10,000 to 50,000 liters.

수위 측정기(121)는 플로트 스위치(float switch), 기어식 트랜스미터,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레이저 센서(Laser sensor), 정전용량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water level meter 121 is It may be implemented in one or more of a float switch, a gear transmitter, an ultrasonic sensor, a laser sensor, and a capacitive metho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관 탱크에 구동 방법에 따르면, 보관 중인 제설 용액을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탱크 내에서 위치에 관계없이 농도가 항상 균일하게 유지되고, 침전이나 응고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for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eriodically or non-periodically circulating the snow removal solution in storage, the concentration is always maintained uniformly regardless of the location in the tank,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precipitation or coagulation is prevented. there i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implemented in more diverse embodiments based on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These embodiments als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종래 기술에 의한 도로 제설 용액을 보관하고 있는 탱크
2 : 제설용 차량
3 : 공급관
4 : 침전물
100, 200 : 탱크
101, 201 : 제1 순환 관로
102, 202 : 제2 순환 관로
103 : 분출구
110 : 펌프
111 : 제1 공급 관로
112 : 제2 공급 관로
113 : 제3 공급 관로
114 : 제4 공급 관로
115 : 제5 공급 관로
121 : 수위 측정기
122 : 표시부
123 : 농도계
124 : 타이머부
125 : 컨트롤 판넬
126 : 제어부
130 : 비중 측정부
131 : 거리 측정 센서
132 : 케이스 모듈
132-1 : 개구부
132-2 : 플로팅 모듈
132-3 : 눈금선
140 : 수위 측정부
141 : 수위 측정 모듈
1: Tank for storing road snow removal solu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Vehicle for snow removal
3: supply pipe
4: Sediment
100, 200: tank
101, 201: first circulation pipe
102, 202: second circulation pipe
103: spout
110: pump
111: first supply pipe
112: second supply pipe
113: third supply line
114: fourth supply line
115: 5th supply line
121: water level meter
122: display unit
123: densitometer
124: timer unit
125: control panel
126: control unit
130: specific gravity measuring unit
131: distance measuring sensor
132: case module
132-1: opening
132-2: floating module
132-3: grid line
140: water level measuring unit
141: water level measurement module

Claims (6)

탱크(tank)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순환 관로;
상기 탱크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순환 관로;
상기 탱크의 내부에 보관된 제설 용액의 수위를 포함하여, 펌프, 밸브를 포함한 각 구성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순환 관로의 길이가 상기 제2 순환 관로 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기능을 구비한 보관 탱크.
A first circulation conduit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tank to the lower end;
a second circulation conduit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tank to the lower end;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each component including a pump and a valve, including the level of the snow removal solution stored in the tank; includes,
Storage tank with a circula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circulation pipe is longer than the second circulation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용량은 1만 내지 5만 리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
According to claim 1,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y of the tank is selected from 10,000 to 50,000 liters.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신된 신호가 용액 순환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제1 밸브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2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3 밸브을 개방하고, 제4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any one of a solution supply signal,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a solution collection signal;
If the received signal is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closing the first valve by the controller;
opening the second valve by the controller;
opening the third valve and closing the fourth valve by the controller;
The driving method of the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riving the pump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by the control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3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4 밸브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
According to claim 3,
After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ump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closing the third valve and opening the fourth valve by the controller;
The driving method of the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riving the pump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by the control unit.
제어부가 용액 공급 신호, 용액 순환 신호, 용액 수거 신호 중의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신된 신호가 용액 순환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제1 밸브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1 공급 관로와 제2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제2 순환 관로와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고, 제1 순환 관로와 상기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any one of a solution supply signal,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and a solution collection signal;
If the received signal is a solution circulation signal
closing the first valve by the controller;
opening, by the control unit, valves between the first supply line and the second supply line;
opening, by the controller, valves between the second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and closing valves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The driving method of the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riving the pump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by the control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제2 순환 관로와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폐쇄하고, 제1 순환 관로와 상기 제3 공급 관로 사이의 밸브들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탱크의 구동 방법.
According to claim 5,
After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ump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closing valves between the second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and opening valves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line and the third supply line, by the controller;
The driving method of the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riving the pump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by the control unit.
KR1020210072840A 2021-06-04 2021-06-04 Storage tan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2201642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840A KR20220164280A (en) 2021-06-04 2021-06-04 Storage tan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840A KR20220164280A (en) 2021-06-04 2021-06-04 Storage tan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280A true KR20220164280A (en) 2022-12-13

Family

ID=8443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840A KR20220164280A (en) 2021-06-04 2021-06-04 Storage tan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428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44586T3 (en) Lateral Flow Foam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KR1011778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tifreezing ballast water
CN111287296A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operation of rainwater storage tank
CN106198294A (en) Field runoff and sediment automated monitor and monitoring method
KR101920773B1 (en) Device for measuring underwater flow which is built in regulators
KR102369466B1 (en) Storage tan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220164280A (en) Storage tan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649109B1 (en) Wastewater sampler
CN205038530U (en) Automatic emission control case of sewage
CN111410265A (en) Oil separation tank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floating oil level
KR200295999Y1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using as well as cleaning rainwater
KR101325496B1 (en) Water purified collecting equipment
KR20040021732A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using as well as cleaning rainwater
KR102373598B1 (en) Filtration ty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equipped with backwashing function using treated water
CN104163468A (en) Adjustable oil slick automatic collecting device and oil slick automatic collecting method
GB2470906A (en) Rainwater harvesting system
KR101833926B1 (en) Apparatus for washing sewage pipe
US20090039001A1 (en) ENHANCED SEPARATION TANK WITH pH CONTROL
CN208748794U (en) A kind of rainwater is removed contamination separate system
CN207866794U (en) A kind of Desulfurization tower slurry pH value measuring device
JP2009185496A (en) Rainwater storage facility
CN206563179U (en) Storage tank siphon port automatic dehydration return-flow system without refluxing opening
KR20090072041A (en) Apparatus of water works in small scale
CN113116151A (en) Water route system and drinking water equipment of drinking water equipment
KR20050094577A (en) A apparatus for preserve in a rain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