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247A -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247A
KR20220164247A KR1020210072777A KR20210072777A KR20220164247A KR 20220164247 A KR20220164247 A KR 20220164247A KR 1020210072777 A KR1020210072777 A KR 1020210072777A KR 20210072777 A KR20210072777 A KR 20210072777A KR 20220164247 A KR20220164247 A KR 20220164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item
completion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
윤치형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4247A/ko
Priority to PCT/KR2021/013667 priority patent/WO2022255552A1/ko
Priority to TW110139416A priority patent/TW202248917A/zh
Publication of KR20220164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247A/ko
Priority to KR1020230008193A priority patent/KR20230016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은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아이템의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달 완료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상기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DELIVERY COMPLETION OF AN ITEM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의 개시는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배달원이 아이템의 배달을 완료하면 아이템의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이미지 등)를 주문자(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전자상거래 시장은 거래가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래가 이루어진 상품의 운송을 위한 배달 서비스가 동반된다. 배달 서비스는 배달원이 고객의 요청 상품을 요청 배달지로 배달하는 서비스이며, 배달원은 배달원 단말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배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배달 서비스가 대중화되면서 고객이 지정한 배달지의 주소의 특정 장소에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다만 배달원이 배달을 완료하더라도 배달 물품이 유실, 도난당한 경우, 또는 오배달된 경우에 책임 소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 및 배달원 간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관련하여 선행 특허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2300130000 호(2021.03.15)가 있다.
본 실시 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배달원이 아이템의 배달을 완료하면 아이템의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이미지 등)를 주문자(구매자)에게 제공하여 오배달, 배달된 아이템의 분실 또는 도난 시 책임 소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당사자 간의 추가적인 분쟁 발생 시 해결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은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아이템의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달 완료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상기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 정보는 상기 아이템의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제1이미지 및 상기 제1이미지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 정보는 상기 아이템의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제1이미지 및 상기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가 결합된 제2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배달원의 단말에 의해 상기 제1이미지가 촬영된 시각 및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상기 배달원이 상기 위치에 위치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시각 정보는 특정 주기 단위로 전자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촬영 시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의 촬영 시각에 대응하는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나타난 위치가 구매자의 위치와 특정 거리 이내에 이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달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달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제2페이지를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아이템의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상기 주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주문 요청은 제1페이지를 통하여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제1페이지는 상기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전달되는 제1요청 사항을 입력 받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상기 아이템의 제공자의 단말 장치로 전달되는 제2요청 사항을 입력 받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요청 사항 또는 상기 제2요청 사항은 상기 구매자의 과거 구매 이력에 대한 복수의 제1요청 사항들 또는 제2요청 사항들 중 과반수에 해당하는 요청 사항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배달의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오배달, 배달된 아이템의 분실 또는 도난 시 책임 소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당사자 간의 추가적인 분쟁 발생 시 해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와 배달원 간의 비대면 배달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가 오배달 여부를 신속하고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오배달을 확인한 구매자에게 재배달 또는 환불 등의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병렬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는 도시된 구성요소들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트랜시버(120), 및 메모리(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피드 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들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상품은 특정 아이템을 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와 관련된 서비스에서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상품에 대한 제1페이지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1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아이템 판매 서비스와 관련된 전자 장치의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있어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은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아이템의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달 완료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상기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은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트랜시버(1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제1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트랜시버(120)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 또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다른 장치로 송신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의 소정의 저장 공간에 구현된 구성으로,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또는 추가 등의 기능이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또는 추가 등의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필드 또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가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데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의 실행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130)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은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장치는, 배달 완료 정보 제공 장치, 전자 장치로 호칭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아이템의 구매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구매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아이템의 배달 관련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제1페이지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 아이템을 배달하기 위한 배달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은 예를 들어, 구매자(주문자)의 주문 요청에 따라 조리되는 음식 또는 물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은 주문자의 주문 요청에 대응하여 주문자가 선택한 음식점에서 조리 및 제공되는 음식물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페이지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배달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전자 장치는 배달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배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배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구매자(주문자)가 요청한 아이템을 조리 및 제공하는 제공자(예를 들어, 음식점)에게 아이템의 주문 요청을 전송한다. 제공자가 아이템의 제작 (또는 조리)을 완료하거나, 예상되는 아이템의 조리 완료 시각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전인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해당 아이템을 주문자의 위치로 배달하기 위한 배달원을 매칭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원을 매칭하고 배달원에게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아이템의 주문자에게 배달을 요청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배달의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배달의 완료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의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배달의 완료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면, 이들에 기초하여 배달의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적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배달의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변조 및 위조되지는 않았는지, 해당 이미지가 촬영된 시점에 배달원이 주문자의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의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배달의 완료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페이지 및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저장되지 않고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하여 전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신속하게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어 주문자에게 신속하게 배달 완료를 알려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배달의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오배달, 배달된 아이템의 분실 또는 도난 시 책임 소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당사자 간의 추가적인 분쟁 발생 시 해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의 예시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장치(또는 그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장치는 전자 장치로 호칭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구매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아이템의 배달 관련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제1페이지(200)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페이지(200)를 통해 사용자로 아이템을 배달하기 위한 배달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아이템의 배달 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페이지(200)는 아이템의 배달 시 아이템의 제공자(예를 들어, 아이템을 조리 및 생성하는 음식점)에게 요청하는 제1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200a), 아이템의 배달 시 아이템의 배달원에게 요청하는 제2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200b) 및 아이템의 결제를 진행하기 위한 제3인터페이스(200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인터페이스(200a) 또는 제2인터페이스(200b)는 예를 들어,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문자열(string) 형태의 정보를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특정 기간 동안의 구매자의 구매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구매 이력에서 구매자가 제1인터페이스(200a)에 입력한 정보 중 특정 비율 이상(예를 들어, 과반수)을 차지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다른 정보와 다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해당 정보를 반투명하게 표시하거나, 해당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힌트(Hint)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의 1달 간의 구매 이력 (또는 해당 아이템을 조리하는 음식점에 대한 구매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구매 이력에서 구매자가 제1인터페이스에'견과류는 빼주세요'를 입력한 이력이 다수(예를 들어, 과반수) 확인되는 경우에는, 제1인터페이스에 '견과류는 빼주세요' 문구를 반투명하게 표시 또는 힌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는 구매자의 구매 이력을 확인하여 구매자가 제2인터페이스(200b)에 입력한 정보를 확인하여 제2인터페이스(200b)에 미리 표시할 정보(문구)를 반투명 또는 힌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인터페이스(200b)는 하나 이상의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위젯(예를 들어, 스피너(spinner)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가 제2인터페이스(200b)를 클릭하면 제2인터페이스(200b)에 추가될 정보(즉, 배달원에게 제공할 정보)의 하나 이상의 항목들(201)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을 제1페이지(200)의 위에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항목들(201)은 기 설정된 항목(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구매자에 의해 추가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항목들(201)은 예를 들어, 비대면 배달을 나타내는 비대면 배달 항목(201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대면 배달 항목(201a)은 배달원이 아이템을 구매자의 위치로 배달할 경우 구매자를 대면하지 않고 배달을 하도록 설정하는 항목으로, 배달원으로 하여금 구매자의 위치에 아이템의 배달을 완료하면 배달원이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배달 완료 신호를 제공하도록 설정하는 항목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비대면 배달을 권장하는 시기에는 제2인터페이스(200b)에 비대면 배달 항목(201a)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각이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관련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시기일 수도 있고, 늦은 새벽이어서 초인종을 누르게 되면 주문자와 인접한 이웃에게 방해가 될 수 있는 시기일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페이지(200)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경우, 현재 시각이 비대면 배달 시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시각이 비대면 시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제2인터페이스(200b)에 비대면 배달 항목(201a)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2인터페이스(200b)에 비대면 배달 항목이 자동으로 설정되는 경우, 구매자의 단말 장치가 비대면 배달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예를 들어, 토스트 메시지 등)(200d)을 제공하도록 제1페이지(200)를 설정할 수 있다. 알림(200d)은 예를 들어 제2인터페이스(200b)에 비대면 배달 항목이 설정된 원인을 나타내는 문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대면 배달 시기는 시스템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지만, 구매자에 의해 개인적 및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의 집에 3개월 된 아기가 있는 경우여서 질병 감염에 민감할 수도 있고, 만약 아기가 저녁 7시면 숙면을 취하는데 그 이후에 배달을 시켜 저녁 7시 이후에 초인종이 울린다면 아기가 깨어 울음을 터뜨릴 수 있는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비대면 배달 시기를 미리 설정 받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비대면 배달 시 배달원에게 제공되는 추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제4인터페이스(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인터페이스(20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항목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위젯(예를 들어, 스피너 등)일 수도 있고,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문자열 형태의 정보를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한편, 배달 장소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동일하거나 유사한 배달 장소에서 주문하는 주문자들이 입력하는 배달원에게 제공되는 추가 정보는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거나 유사한 배달 장소에서 주문하는 복수의 구매자들로부터 입력 받은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원에게 제공되는 추가 정보(문구)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원에게 제공되는 추가 문구들을 배달 위치와 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원에게 제공되는 추가 정보는 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서 현관문을 출입하는 방법 또는 그 절차, 비대면 배달 시 아이템을 두어야 하는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실시예들에 따른 주문 정보로부터 배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배달 위치 정보와 결합된 실시예들에 따른 추가 문구들을 확인한 후, 해당 주문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추가 문구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추가 문구들은 해당 배달의 배달 시각 정보와 결합하여 전자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추가 문구들, 배달 위치 및 배달 시각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정보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배달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특정 장소로 배달원이 배달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장소에 매칭되는 추가 문구들을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실시예들에 따른 추가 문구들을 지역 및 시각에 기초하여 배달원에게 제공함으로써 주문자들에게 양질의 배달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제4인터페이스(202)의 하나 이상의 항목들은 예를 들어 시스템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구매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제4인터페이스(202)의 하나 이상의 항목은 예를 들어, 공동현관문의 비밀번호를 표시하는 항목, 초인종을 누르지 말라는 요청을 표시하는 항목, 배달원의 이동 차량을 특정 위치에 정차하라는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자와 배달원 간의 비대면 배달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장치(또는 그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는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 알림 메시지(300a 내지 300b), 제2페이지(301) 및 주문 내역을 나타내는 제3페이지(302)의 예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300a 내지 300b) 또는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제2페이지(301)를 제공함으로써 아이템의 배달 완료를 알려 주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에 구매자의 위치로 배달을 완료한 경우,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배달 완료 알림 메시지(300a 내지 300b)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배달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배달 완료 정보로부터 배달 완료의 유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배달 완료가 유효한 경우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배달 완료 알림 메시지(300a 내지 300b)를 전송할 수 있다. 배달 완료 정보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의해 촬영된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또는 동영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달 완료 알림 메시지(300a 내지 300b)는, 배달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문구(예를 들어, '배달이 완료되었습니다.' 등), 배달 완료 시각, 추가 문구(예를 들어, '맛있게 드세요', '지금 드시면 제일 맛있어요'와 같은 기 설정된 문구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 완료 알림 메시지(300a 내지 300b)는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30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301c)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하여 전자 장치로 전송된 이미지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301c)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저장되지 않고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하여 전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신속하게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301c)를 수신할 수 있어 주문자에게 신속하게 배달 완료를 알려줄 수 있다.
제2페이지(301)는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페이지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배달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배달 완료 정보로부터 배달 완료의 유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구매자의 배달 완료 내역의 확인 요청에 대응하여 제2페이지(301)를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배달 완료 내역의 확인 요청은 예를 들어, 구매자가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 알림 메시지(300a 내지 300b)를 클릭한 경우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서 전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제2페이지(301)는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301a)가 제2페이지(301)에 확인되는 기간(예를 들어, 3일, 1주일 등)을 나타내는 정보(30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페이지(301)는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30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페이지(301)에 나타난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301a)는 배달 완료 알림 메시지(300a 내지 300b)에 나타나는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301c)보다 더 큰 해상도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구매자는 제2페이지(301)에 나타난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301c)를 확인할 수 있다. 구매자는 구매한 아이템이 다른 장소로 잘못 배달되었을 경우, 구매한 아이템과 다른 아이템이 배달되었을 경우, 구매한 아이템에 부착된 송장에 잘못된 정보가 기입되어 있을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로 오배달을 신고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페이지(301)는 구매자로부터 배달 완료가 잘못되었을 경우 오배달을 신고하기 위한 제5인터페이스(30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제5인터페이스(301c)를 클릭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로부터 오배달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신고 페이지를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B)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구매자의 과거 주문 내역을 나타내는 제3페이지(302)를 제공함으로써 아이템의 배달 완료를 알려 주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B)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의 제3페이지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구매자의 과거 주문 내역을 나타내는 제3페이지(302)를 제공할 수 있다. 제3페이지(302)는 구매자가 현재까지 구매한 주문(아이템)(들)의 구매 내역을 나타낸다.
제3페이지(302)는 구매자의 각 구매(주문) 내역에 대하여, 각 구매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영역(302c) 및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2영역(30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302c)은 주문한 아이템의 명칭, 제공자의 명칭, 주문 가격 및 주문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302)은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영역(302)을 구매자가 구매자의 단말 장치를 통해 클릭하면 전자 장치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301)를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도 3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함으로써 구매자와 배달원 간의 비대면 배달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가 오배달 여부를 신속하고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오배달을 확인한 구매자에게 재배달 또는 환불 등의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를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장치(또는 그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배달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특정 시간 내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령 완료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배달 확인 요청 메시지(400a)를 전송할 수 있다. 배달 확인 요청 메시지(400a)는 구매자로부터 배달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배달 확인 요청 메시지(400a)는 배달 완료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기 위한 문구(예를 들어, '배달을 받지 못하셨나요?'등)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가 배달 확인 요청 메시지(400a)를 클릭하면, 전자 장치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 또는 제3페이지(401)를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배달 확인 요청 메시지(400a)는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문의하기 위한 제6인터페이스(400b) 및 고객 센터로 문의하기 위한 제7인터페이스(400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제6인터페이스(400b)를 클릭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문의하는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페이지(예를 들어, 배달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가 제7인터페이스(400c)를 클릭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고객 센터로 문의하는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페이지(예를 들어, 고객 센터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가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확인 요청 메시지(400a)를 클릭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3페이지(401)를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3페이지(401)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제1영역 및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2영역(401a)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3페이지(401)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문의하기 위한 제8인터페이스(401b) 및 고객 센터로 문의하기 위한 제9인터페이스(401c)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제8인터페이스(401b)를 클릭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문의하는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페이지(예를 들어, 배달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가 제9인터페이스(401c)를 클릭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고객 센터로 문의하는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페이지(예를 들어, 고객 센터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B)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문의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구매자의 단말 장치의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6인터페이스(400b)는, 구매자가 클릭 시 구매자의 단말 장치에서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전화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제6인터페이스(400b)를 클릭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배달원의 연락처(예를 들어, 전화 번호)를 전송할 수 있고, 구매자의 단말 장치는 수신한 연락처(402b)를 이용하여 구매자의 단말 장치의 전화걸기 액티비티(activity)를 수행(402)할 수 있다. 구매자의 단말 장치는 배달원의 연락처(402b)를 발신 다이얼로 하여 전화 걸기 액티비티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구매자의 단말 장치는 구매자의 단말 장치의 발신 번호가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서 표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신한 연락처(402b)에 발신 번호 표시 제한 번호(402a)를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발신 번호 표시 제한 번호(402a)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의 위치가 대한민국인 경우 발신 번호 표시 제한은 '*23#'일 수 있고, 구매자의 위치가 미국인 경우 발신 번호 표시 제한은 '*67'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으로 오배달, 배달된 아이템의 분실 또는 도난 시 책임 소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당사자 간의 추가적인 분쟁 발생 시 해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와 배달원 간의 비대면 배달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501)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수신하면,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해당 배달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해당 배달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면,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500)를 제공할 수 있다. 제2페이지(500)는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고, 가공된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5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공된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501)는 예를 들어,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에,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501a)가 결합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여, 배달 완료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그 후,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에,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501a)를 결합하여, 배달 완료가 진정함을 증명할 수 있는 이미지(501)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위치(502b)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위치(502b)와 해당 위치에 있었던 시각을 시계열적인 데이터로 특정 주기마다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한 시각을 확인한다. 만약, 전자 장치가 이미지를 수신한 시각에 대응하는 배달원의 위치(502b)가 주문자(502a)의 위치와 특정 거리(예를 들어, GPS 상에서의 오차 범위 등) 이내에 위치한 경우,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해당 이미지가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전자 장치가 이미지를 수신한 시각에 대응하는 배달원의 위치(502b)가 주문자(502a)의 위치와 특정 거리(예를 들어, GPS 상에서의 오차 범위 등) 밖에 위치한 경우,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해당 이미지가 부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로부터 주문자가 위치한 건물의 호수를 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로부터 주문자가 위치한 건물의 호수를 확인할 수 있고, 탐지된 주문자가 위치한 건물의 호수가 송장에 나타난 호수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이미지가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구매자에게 정확한 배달 완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가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501a)는 예를 들어, 배달 완료 시각 또는 배달원이 해당 이미지를 촬영한 날짜 및 시각, 배달원에 대한 정보, 아이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저장되지 않고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하여 전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신속하게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어 주문자에게 신속하게 배달 완료를 알려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을 통해 구매자가 오배달 여부를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오배달을 확인한 구매자에게 재배달 또는 환불 등의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은 도 6에 나타난 600 단계 내지 604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비대면 배달로 설정된 아이템의 주문 정보를 수신(600)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아이템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를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는 예를 들어, 아이템의 배달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는 아이템의 배달 방법을 비대면 배달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도 2의 200b, 201, 201a, 202)을 포함 및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를 통하여 아이템의 주문 정보, 아이템의 배달 방법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배달 방법으로 비대면 주문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 비대면 주문 시 구체적인 비대면 주문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제1페이지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하여 아이템의 배달 방법으로 비대면 주문을 설정할 수 있고, 비대면 주문 시 구체적인 비대면 주문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주문 정보를 배달원의 단말 장치 또는 아이템의 제공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601)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아이템의 주문 정보를 확인하고, 주문 정보를 아이템의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주문 정보를 확인하고, 아이템의 제공자의 아이템 조리 현황에 따라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원을 매칭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제공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배달원들의 단말 장치(들)을 확인하여, 상기 아이템을 구매자의 위치로 배달할 배달원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선택된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실시예들에 따른 주문 정보 또는 아이템의 배달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6의 600 단계 내지 601 단계는 예를 들어, 도 2에서 설명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아이템의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상기 주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의 주문 요청은 제1페이지를 통하여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제1페이지는 상기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 전달되는 제1요청 사항을 입력 받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상기 아이템의 제공자의 단말 장치로 전달되는 제2요청 사항을 입력 받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제1요청 사항 또는 상기 제2요청 사항은 상기 구매자의 과거 구매 이력에 대한 복수의 제1요청 사항들 또는 제2요청 사항들 중 과반수에 해당하는 요청 사항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로부터 아이템의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602)할 수 있다.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이미지를 촬영한 날짜 및 시각 중 적어도 하나, 배달원에 대한 정보 및 주문한 아이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으며, 촬영된 이미지는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 저장되지 않고 배달원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하여 전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신속하게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어 주문자에게 신속하게 배달 완료를 알려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이미지 및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배달 완료의 적합 여부를 확인(603)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달 완료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 5에서 설명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배달 완료 정보를 제공(604)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아이템의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제1이미지 및 제1이미지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제1이미지는 예를 들어,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되는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고, 구매자의 단말 장치에 렌더링되는 페이지(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 내지 제3페이지)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 정보는 상기 아이템의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제1이미지 및 상기 제1이미지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 정보는 상기 아이템의 배달 완료를 나타내는 제1이미지 및 상기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가 결합된 제2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배달원의 단말에 의해 상기 제1이미지가 촬영된 시각 및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배달원의 단말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상기 배달원이 상기 위치에 위치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시각 정보는 특정 주기 단위로 전자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촬영 시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의 촬영 시각에 대응하는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나타난 위치가 구매자의 위치와 특정 거리 이내에 이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달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배달 완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달 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상기 구매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단말은,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3)

  1. 전자 장치의 아이템의 배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비대면 배달로 설정된 아이템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의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대면 배달로 설정된 아이템의 배달 정보를 배달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대면 배달의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배달원의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템의 배달의 완료를 나타내는 제1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구매자의 단말로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아이템의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완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배달원의 단말과 통신을 위한 연락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배달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이미지가 촬영된 시각 및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배달원의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배달원이 상기 위치에 도착한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달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시각 정보는 특정 주기 단위로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되는,
    배달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아이템의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달 완료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배달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완료의 적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이미지의 촬영 시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이미지의 촬영 시각의 상기 배달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나타난 위치가 상기 구매자가 상기 배달을 위해 설정한 위치와 특정 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위치 정보에 나타난 위치가 상기 구매자가 상기 배달을 위해 설정한 위치와 특정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상기 구매자의 단말로 오배달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달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템의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배달원의 단말로 상기 아이템의 주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의 주문 요청은 제1페이지를 통하여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1페이지는 상기 배달원의 단말로 전달되는 제1요청 사항을 입력 받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 및 상기 아이템의 제공자의 단말로 전달되는 제2요청 사항을 입력 받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배달 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청 사항 또는 상기 제2요청 사항은 상기 구매자의 과거 구매 이력에 대한 복수의 제1요청 사항들 또는 제2요청 사항들 중 과반수에 해당하는 요청 사항으로 결정되는,
    배달 정보 제공 방법.
  12. 아이템의 배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비대면 배달로 설정된 아이템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아이템의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대면 배달로 설정된 아이템의 배달 정보를 배달원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비대면 배달의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배달원의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템의 배달의 완료를 나타내는 제1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아이템의 구매자의 단말로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아이템의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완료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구매자의 단말로부터 비대면 배달로 설정된 아이템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이템의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대면 배달로 설정된 아이템의 배달 정보를 배달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대면 배달의 설정에 대응하여, 상기 배달원의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템의 배달의 완료를 나타내는 제1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의 구매자의 단말로 상기 제1이미지 및 상기 아이템의 배달 완료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완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0072777A 2021-06-04 2021-06-04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64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777A KR20220164247A (ko) 2021-06-04 2021-06-04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CT/KR2021/013667 WO2022255552A1 (ko) 2021-06-04 2021-10-06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TW110139416A TW202248917A (zh) 2021-06-04 2021-10-25 用於提供關於物品運送完成之資訊的方法及其設備
KR1020230008193A KR20230016244A (ko) 2021-06-04 2023-01-19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777A KR20220164247A (ko) 2021-06-04 2021-06-04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193A Division KR20230016244A (ko) 2021-06-04 2023-01-19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247A true KR20220164247A (ko) 2022-12-13

Family

ID=843237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777A KR20220164247A (ko) 2021-06-04 2021-06-04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30008193A KR20230016244A (ko) 2021-06-04 2023-01-19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193A KR20230016244A (ko) 2021-06-04 2023-01-19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220164247A (ko)
TW (1) TW202248917A (ko)
WO (1) WO20222555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802A (ko) * 2002-05-02 2003-11-07 주식회사 엠넷소프트 디지털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상품배달 화상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40782A (ko) * 2004-11-05 2006-05-10 주식회사 온라인애드 모바일 접속을 이용하는 음식 주문배달 예약 방법
KR101863945B1 (ko) * 2016-09-19 2018-06-01 주식회사 라이브원 배송물품의 배송 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2230013B1 (ko) * 2020-06-24 2021-03-22 쿠팡 주식회사 배송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48917A (zh) 2022-12-16
WO2022255552A1 (ko) 2022-12-08
KR20230016244A (ko) 202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8092B2 (en) Digital cart monitoring and validation using interprocess communication
JP7225312B2 (ja) コンピュータの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端末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端末装置
TW202201298A (zh) 提供資訊予快遞員之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US201902135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store returns
US20200082389A1 (en) Payment system for augmented, mixed, or virtual reality platforms integrated with cryptocurrency wallet
JP2006512635A (ja) 代替配達場所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302975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electronic contact identifier for completing a sales transaction
JP5658842B1 (ja) 情報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40039998A1 (en) On demand kiosk commerce system and method
US20030004816A1 (en) User-specific method of selling product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JP5149210B2 (ja) 移動通信端末機を利用したモバイル在庫管理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1602249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in-store transactions
WO20201172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product reviews
KR20220164247A (ko) 아이템의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34880A (ko) 아이템 배달 완료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TWM547721U (zh) 點餐服務裝置
US11341568B1 (en) Software enabling automated upsell text messaging for retailers within shipping notification text messages
CN114023463A (zh) 用药提醒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介质
CN112686601A (zh) 产品采购消息提醒方法、装置、电子设备
TW202409920A (zh) 用於提供物品運送完成資訊之方法及用於其之設備
KR20230087359A (ko) 아이템 배달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11461826B1 (en) Remote beverage purchasing system
KR102564497B1 (ko) 음식 조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문 음식 제공 방법
TW201837840A (zh) 點餐服務裝置
WO20141943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uthorisation of an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