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078A - 무선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078A
KR20220164078A KR1020227041504A KR20227041504A KR20220164078A KR 20220164078 A KR20220164078 A KR 20220164078A KR 1020227041504 A KR1020227041504 A KR 1020227041504A KR 20227041504 A KR20227041504 A KR 20227041504A KR 20220164078 A KR20220164078 A KR 20220164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carrier
access request
sul
access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922B1 (ko
Inventor
웬홍 첸
쯔 장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6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랜덤 액세스 관점에서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 또는 보충 상향 링크(SUL) 캐리어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송신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송신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의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RNTI)에 의거하여,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충 상향 링크(SUL) 캐리어의 대역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대역보다 낮으며, 상기 SUL 캐리어의 RA-RATI의 계산 공식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RA-RNTI의 계산 공식에 SUL 캐리어와 관련된 항목 Z를 도입한 것이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RA-RNTI의 값의 범위는 [x y]이고, y>x>=0이며, SUL 캐리어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RA-RNTI의 값의 범위는 [x+Z y+Z]이고, Z는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는 경우의 상기 RA-RNTI의 값의 범위 [x y) 중 상기 RA-RNTI의 임의의 값보다 크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 있어서, 고정된 상향 링크 캐리어와 고정된 하향 링크 캐리어(상향 링크 캐리어 및 하향 링크 캐리어의 주파수 영역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복될 수 있다)를 가지고,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고정된 상향 링크 캐리어와 하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각각 상하향 통신을 진행할 수 있고, 단말기는 고정된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랜덤 액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성능에 대한 요구가 높다.
따라서, 랜덤 액세스의 관점에서 어떻게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랜덤 액세스의 관점에서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 또는 보충 상향 링크(SUL) 캐리어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송신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송신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의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RNTI)에 의거하여,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충 상향 링크(SUL) 캐리어의 대역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대역보다 낮으며,
상기 SUL 캐리어의 RA-RATI의 계산 공식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RA-RNTI의 계산 공식에 SUL 캐리어와 관련된 항목 Z를 도입한 것이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RA-RNTI의 값의 범위는 [x y]이고, y>x>=0이며,
SUL 캐리어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RA-RNTI의 값의 범위는 [x+Z y+Z]이고, Z는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는 경우의 상기 RA-RNTI의 값의 범위 [x y) 중 상기 RA-RNTI의 임의의 값보다 크다.
제 1 양태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송신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점용하는 리소스 및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을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서,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응답 메시지가 점용하는 리소스는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서,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CORESET 또는 검색 공간과 상이하고,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은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한 응답이다.
제 2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 3 양태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하고,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제 4 양태로서, 상기 임의의 방법 또는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하나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제 5 양태로서, 명령어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에서 실행되면 컴퓨터에 상기 임의의 방법 또는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하나를 실행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는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응답을 피드백함으로써,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랜덤 액세스 응답이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한 소스를 가능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해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경우, 창조적인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에서 이러한 도면에 따라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소스에 대한 링크 캐리어의 분할 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소스에 대한 링크 캐리어의 분할 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소스에 대한 링크 캐리어의 분할 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소스에 대한 링크 캐리어의 분할 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스템 칩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분명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이며, 모든 실시예는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 ion Duplex :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엔알(New Radio : NR)이라고도 지칭함))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자주 본 명세서에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여기서, "및/또는” 은 단순히 관련있는 대상을 설명하는 관련 관계의 하나이며, 세가지 경우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만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B 만 존재하는 것의 세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문자는 전후의 관련 대상이 일종의 "또는"의 관계임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또한,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기타 수량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의 기타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커버리지 범위 내의 배치된 UE 등의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 BTS),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 NB),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 eNB, 또는 eNode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 있고, 또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자동차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 PLM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도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이동형일 수 있고, 고정형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유닛, 자동차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되는 PLMN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 사이는 단말기 직접 연결(Device to Device : D2D) 통신이 진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엔알(New Radio : NR)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라고 지칭할 수 있다.
고 주파수 대역은 5G(NR)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중요한 후보 대역이다. 주파수 대역이 높기 때문에, 커버리지 범위(저 주파수 LTE와 비교하여)는 제한된다. 하향 링크(Downlink, DL)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송신 파워가 크기 때문에, 대규모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hybrid Beamforming) 등으로 DL의 커버리지가 개선된다.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파워가 제한되므로, UL 커버리지가 제한된다.
따라서, NR 전송을 위해 저 주파수에서 하나의 상향 링크 캐리어(Uplink, UL)가 구성되고, 이 UL 캐리어를 보충 상향 링크(Supplementary Uplink, SUL) 캐리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렇게 NR은 적어도 2 개의 UL 캐리어를 가지고, 하나는 SUL 캐리어이며, 다른 하나는 고주파 UL 캐리어이다(NR 전용의 UL(dedicated UL)라고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R 시스템은 주파수 대역 f0에서의 고 주파수 UL 캐리어 및 주파수 대역 f1에서의 저 주파수의 UL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 f0에서의 고 주파수 UL 캐리어와 주파수 대역 f0에서의 고 주파수 DL 캐리어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되거나,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 f0의 고 주파수 UL 캐리어와 주파수 대역 f0에서의 고 주파수 DL 캐리어는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Duplexing, TDD)된다.
선택적으로, SUL 캐리어는 또한 LTE 시스템과 스펙트럼 리소스를 공유할 수도 있고, 즉, f1에서 일부 리소스만이 NR에 사용되고, 기타 리소스는 LTE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리소스 공유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방식 또는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방식(예를 들어, 도 4 및 5에 도시된 TDM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NR 시스템에 2개의 UL 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NR 시스템에 3 개 이상의 UL 캐리어가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NR 시스템이 포함한 복수의 UL 캐리어는 모두 단말기 디바이스에서 상향 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할 때, 단말기 디바이스가 UL 캐리어의 일부만을 사용하여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용하는 UL 캐리어의 수량 및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UL 캐리어는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PRACH preamble을 개시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랜덤 액세스 요청(Random Access Request, RAR)은 대응하는 위치에서 모니터링(monitor)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ndom Access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 RA-RNTI)를 이용하여 랜덤 액세스 응답을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동일한 TA-RNTI를 이용하여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LTE 시스템에서, 다음의 3 가지 방식에 의해 RA-RNTI을 계산할 수 있다.
하나의 방식에서,
RA-RNTI=1+t_id+10*f_id 공식 1
t_id는 PRACH 리소스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인 것을 지정하는 인덱스이며, f_id는 해당 서브 프레임에 의해 지정되는 PRACH의 주파수 영역에서 오름차순의 인덱스이다.
다른 방식에서,
RA-RNTI=1+t_id+10*f_id+60*(SFN_id mod(Wmax/10)) 공식 2
여기서, t_id는 PRACH 리소스의 제 1 서브 프레임인 것을 지정하는 인덱스이며, f_id는 서브 프레임에 의해 지정되는 PRACH의 주파수 영역에서 오름차순의 인덱스이며, SFN_id는 PRACH 리소스의 첫 번째 무선 프레임을 지정하는 인덱스이며, Wmax는 400이다
다른 방식에서,
RA-RNTI=1+floor(SFN_id/4) 공식 3
여기서, SFN_id는 PRACH 리소스의 첫 번째 무선 프레임을 지정하는 인덱스이다.
또한, RA-RNTI를 취득하는 상기 방식은 일부 구현 방식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타 구현 방식도 존재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RA-RNTI를 취득하는 방식은 LTE 시스템에서 RA-RNTI를 취득하는 방법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NR dedicated UL 캐리어와 SUL 캐리어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랜덤 액세스 코드, 즉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을 각각 송신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2 개 있는 경우, 2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동일한 RAR를 수신할 수 있어, 해당 RAR가 어느 UL 캐리어에서 송신한 preamble에 대응되는지를 구분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존재하는 상기 시나리오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랜덤 액세스를 위한 다음의 기술 해결책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2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200)은 선택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방법(200)은 다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단계 2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220에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송신한 제 1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230에서,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을 송신한다.
단계 240에서,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송신한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는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랜덤 액세스 응답을 피드백함으로써,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랜덤 액세스 응답에 대응되는 랜덤 액세스 요청의 소스를 최대한 구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의 송신에 필요한 리소스,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의 송신에 필요한 제 1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RNTI) 및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정하고, 확정된 해당 적어도 하나에 따라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을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이 점용하는 리소스,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의 제 1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RNTI) 및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정하고, 확정된 적어도 하나에 따라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을 취득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제 1 랜덤 응답 메시지의 송신에 필요한 리소스, 해당 제 1 랜덤 응답 메시지의 송신에 필요한 제 1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의 확정 방식 또는 일부 파라미터, 및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정보(즉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해당 제 1 랜덤 응답 메시지의 송신에 필요한 리소스, 해당 제 1 랜덤 응답 메시지의 송신에 필요한 제 1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의 확정 방식 또는 일부 파라미터, 및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될 필요가 없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확정된 해당 제 1 랜덤 응답 메시지의 송신에 필요한 리소스는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제어 리소스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 또는 검색 공간(Search space)이 제 2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CORESET 또는 검색 공간과 상이하고, 여기에서, 해당 제 2 랜덤 액세스 응답은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제 2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한 응답이다.
구체적으로, UE는 UL 캐리어에서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한 후, 네트워크의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을 모니터링(monitor)할 필요가 있다. NR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의 수신은 제어 채널(NR-PDCCH)을 먼저 모니터링해야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어 채널에 대해 상이하게 구성하여, 상이한 UL에서 preamble을 송신한 후 상이한 제어 채널을 검출한다. 일부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하나의 방식에서, CORESET1 또는 CORESET group1(즉, 복수의 CORESET를 포함)은 NR dedicated UL에서 송신되는 preamble에 대응하는 RAR 수신하는 제어 채널 리소스를 위해 사용되며, CORESET2와 CORESET group2(즉, 복수의 CORESET를 포함)는 NR SUL에서 송신하는 preamble에 대응하는 RAR 수신하는 제어 채널 리소스를 위해 사용된다.
다른 방식에서, Search space1은 NR dedicated UL에서 송신되는 preamble에 대응하는 RAR 수신하는 제어 채널 리소스에 사용되고, Search space2는 NR SUL에서 송신되는 preamble에 대응하는 RAR 수신하는 제어 채널 리소스에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의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에 포함된 정보가 제 2 랜덤 액세스 응답의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에 포함된 정보와 상이하고, 여기에서, 해당 제 2 랜덤 액세스 응답은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제 2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한 응답이며, 해당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는 랜덤 액세스 요청이 위치한 상향 링크 캐리어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요청이 어느 UL 링크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한다. 예를 들어, RAR가 랜덤 액세스 요청이 NR dedicated UL 링크 또는 SUL 링크에 속하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에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가 포함되고, 제 2 랜덤 액세스 응답에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가 포함되지 않고, 여기서, 해당 제 2 랜덤 액세스 응답이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제 2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한 응답이며, 해당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는 랜덤 액세스 요청이 위치한 상향 링크 캐리어가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인 것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요청이 어느 UL 링크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한다. 예를 들어, RAR가 랜덤 액세스 요청이 어느 UL 링크에 속하는지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디폴트 UL 링크(예를 들어 NR dedicated UL 링크)에 대응하고, 나타내는 경우, 나타내는 UL 링크(예 SUL 링크)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와 상기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가 위치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SUL 캐리어이며,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dedicated UL 캐리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RA-RATI의 계산 공식이 제 2 RA-RNTI의 계산 공식과 상이하거나, 또는 제 1 RA-RATI의 계산 공식의 일부 파라미터가 제 2 RA-RNTI 계산 공식의 일부 파라미터와 상이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RA-RNTI는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제 2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한 제 2 랜덤 액세스 응답에 필요한 RA-RNTI이다.
구체적으로, UE는 UL 캐리어가 PRACH preamble을 송신한 후, 네트워크의 랜덤 액세스 응답 RAR을 모니터링(monitor)할 필요가 있다. NR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의 수신은 제어 채널(NR-PDCCH)을 먼저 모니터링해야한다. 제어 채널의 전송에서 RA-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다. 상이한 preamble에 대응하는 RAR가 상이한 RA-RNTI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SUL을 지원하는 랜덤 액세스의 경우, dedicated UL 캐리어와 비교하여 SUL에 관련된 항목이 RA-RNTI 공식에 추가로 도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2 개의 UL에서의 preamble에 대응하는 RA -RNTI가 동일한 것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UL가 없는 경우, RA-RNTI의 값의 범위는 [x y](y>x>=0)이다. SUL에서 전송된 preamble에 대해, RA-RNTI의 계산은 상기 기술에서 Z(Z>y) 항목을 추가할 수 있으며, 2 개의 UL에 대응하는 RA-RNTI가 동일한 것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edicated UL 캐리어에 대해 RA-RNTI를 계산하는 공식이 상술 한 공식 1 또는 공식 3 인 경우, SUL 캐리어를 계산하는 공식으로 공식 1, 공식 2 및 공식 3에 각각 Z를 추가할 수 있다.
물론, Z는 y보다 크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RA-RNTI가 동일한 것을 완전히 피할 수는 없지만, 동일한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3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300)은 다음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단계 3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랜덤 액세스를 진행할 때의 구성 정보를 각각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위치한 주파수 대역이 서로 상이하다.
단계 320에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한 해당 구성 정보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단계 33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랜덤 액세스를 진행할 때의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340에서, 해당 구성 정보에 따라 해당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랜덤 액세스를 진행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랜덤 액세스를 진행할 때의 구성 정보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단말기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할 때 각각의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랜덤 액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할 때 사용되는 시간 영역 리소스 및/또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이한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랜덤 액세스의 송신에 사용 되는 시간 영역 리소스 및/또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에 대응하는 RA-RNTI는 적어도 일부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이한 UL 링크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리소스를 구성할 때, RACH의 시간 주파수 및/또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조정하여, 2 개의 UL 캐리어에서 상기 preamble에 대응하는 RA-RNTI가 경합하는 것을 피하거나, 경합하는 확률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각각 확정된 랜덤 액세스를 진행할 때의 구성 정보는
랜덤 액세스 요청이 점용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및/또는 랜덤 액세스 요청에 포함된 시퀀스,
랜덤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리소스,
랜덤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의 확정 방식 또는 일부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해당 랜덤 응답 메시지의 송신에 필요한 리소스는 해당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제어 리소스 세트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의 제어 채널이 위치한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이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의 RA-RNTI의 계산 공식이 상이하거나, 또는 계산 공식의 일부 파라미터가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해당 구성 정보는 해당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의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의 지시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이한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의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에 포함된 정보가 상이하고, 여기서, 해당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가 랜덤 액세스 요청이 위치한 상향 링크 캐리어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해당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와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를 포함하고,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에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가 포함되고, 제 2 랜덤 액세스 응답에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가 포함되지 않고, 여기서, 해당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제 1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한 응답이며, 해당 제 2 랜덤 액세스 응답은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제 2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한 응답이며, 해당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는 랜덤 액세스 요청이 위치한 상향 링크 캐리어가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인 것을 나타낸다.
방법(200) 및 방법(300)의 설명은 서로 참조될 수 있고, 방법(200) 및 방법(300)은 관련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하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유닛(410)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의해 송신한 제 1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유닛(420)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상기 방법(20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의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500)가 처리 유닛(510)과 통신 유닛(52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처리 유닛(510)은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랜덤 액세스를 진행할 때의 구성 정보를 각각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520)은 상기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한 상기 구성 정보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상기 방법(30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600)의 블록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600)는 송신 유닛(610)과 수신 유닛(620)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송신 유닛(610)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 유닛(620)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송신한 제 1 랜덤 액세스 응답을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 디바이스(600)는 상술한 방법(200)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하고,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700)의 블록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700)는 수신 유닛(710)과 액세스 유닛(720)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유닛(7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랜덤 액세스를 진행할 때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세스 유닛(720)은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랜덤 액세스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 디바이스(700)는 상술한 방법(300)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하고,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스템 칩(8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의 시스템 칩(800)은 입력 인터페이스(801), 출력 인터페이스(802), 프로세서(803) 및 메모리(804) 사이는 내부 통신 연결 경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803)는 메모리(804) 내의 코드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코드가 실행되면 프로세서(803)는 방법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실현한다.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코드가 실행되면 프로세서(803)는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실현한다.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9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900)는 프로세서(910)와 메모리(9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920)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910)는 상기 메모리(920)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900)는 프로세서(910)가 외부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송수신기(9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방법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으며, 신호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다. 실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단계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전용 집적 회로(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실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하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을 결합하는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완성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본 분야에서 성숙된 기억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억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 휘발성 메모리의 양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 Read-Only Memory),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M : Programmable 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 Erasable 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 Electrically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다양한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 Static 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 Dynamic RAM),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 Synchronous 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DRSDRAM : Double Data Rate SDRAM), 강화형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SDRAM : Enhanced SDRAM), 동기 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LDRAM : Synchlink 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R RAM)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러한 및 임의의 기타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 구분이고, 실제 실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퍼넌트를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서로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형식, 기계적 형식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구성 요소는 물리 유닛이거나 물리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은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모니터링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처리 유닛은 물리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실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11)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 또는 보충 상향 링크(SUL) 캐리어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랜덤 액세스 응답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랜덤 액세스 응답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의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RNTI)에 의거하여,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충 상향 링크(SUL) 캐리어의 대역 f1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대역 f0보다 낮으며,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의 RA-RATI의 계산 공식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의 RA-RNTI의 계산 공식에 SUL 캐리어와 관련된 항목 Z를 도입한 것이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송신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RA-RNTI의 값의 범위는 [x y]이고, y>x>=0이며,
    SUL 캐리어에서 송신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RA-RNTI의 값의 범위는 [x+Z y+Z]이고, Z는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송신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의 상기 RA-RNTI의 값의 범위 [x y) 중 상기 RA-RNTI의 임의의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랜덤 액세스 응답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점용하는 리소스 및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응답 메시지가 점용하는 리소스는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CORESET 또는 검색 공간과 상이하고,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은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한 응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와 보충 상향 링크(SUL) 캐리어는 동일한 시분할 다중화(TDD) 하향 링크 캐리어에 대응하고, 상기 시분할 다중화(TDD) 하향 링크 캐리어의 대역은 f0이며, 상기 시분할 다중화(TDD) 하향 링크 캐리어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는 대역 f0에서 시분할 다중화(TDD) 방식으로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송신 유닛과 수신 유닛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상기 수신 유닛은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 또는 보충 상향 링크(SUL) 캐리어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해 랜덤 액세스 응답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의 랜덤 액세스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RNTI)에 의거하여,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충 상향 링크(SUL) 캐리어의 대역 f1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대역 f0보다 낮으며,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의 RA-RATI의 계산 공식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의 RA-RNTI의 계산 공식에 SUL 캐리어와 관련된 항목 Z를 도입한 것이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송신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RA-RNTI의 값의 범위는 [x y]이고, y>x>=0이며,
    SUL 캐리어에서 송신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RA-RNTI의 값의 범위는 [x+Z y+Z]이고, Z는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송신된 랜덤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의 상기 RA-RNTI의 값의 범위 [x y) 중 상기 RA-RNTI의 임의의 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점용하는 리소스 및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응답 메시지가 점용하는 리소스는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 또는 검색 공간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운반되는 제어 채널이 위치한 CORESET 또는 검색 공간과 상이하고,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은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한 응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의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에 포함된 정보가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의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에 포함된 정보와 상이하고,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이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한 응답이고, 상기 SUL 캐리어와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 내의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는 랜덤 액세스 요청이 위치한 상향 링크 캐리어를 나타내거나, 또는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가 포함되고,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가 포함되지 않고,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은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의 랜덤 액세스 요청에 대한 응답이고, 상기 SUL 캐리어의 랜덤 액세스 응답 내의 랜덤 액세스 요청 소스 필드는 랜덤 액세스 요청이 위치한 상향 링크 캐리어가 상기 SUL 캐리어인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와 보충 상향 링크(SUL) 캐리어는 동일한 시분할 다중화(TDD) 하향 링크 캐리어에 대응하고, 상기 시분할 다중화(TDD) 하향 링크 캐리어의 대역은 f0이며, 상기 시분할 다중화(TDD) 하향 링크 캐리어와 상기 고 주파수 상향 링크 캐리어는 대역 f0에서 시분할 다중화(TDD) 방식으로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0227041504A 2017-09-08 2017-09-08 무선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575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03686A KR102472587B1 (ko) 2017-09-08 2017-09-08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PCT/CN2017/101130 WO2019047182A1 (zh) 2017-09-08 2017-09-08 无线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686A Division KR102472587B1 (ko) 2017-09-08 2017-09-08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078A true KR20220164078A (ko) 2022-12-12
KR102575922B1 KR102575922B1 (ko) 2023-09-07

Family

ID=6563454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061A KR20200045541A (ko) 2017-09-08 2017-09-08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1020227003686A KR102472587B1 (ko) 2017-09-08 2017-09-08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1020227041504A KR102575922B1 (ko) 2017-09-08 2017-09-08 무선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061A KR20200045541A (ko) 2017-09-08 2017-09-08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1020227003686A KR102472587B1 (ko) 2017-09-08 2017-09-08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1350464B2 (ko)
EP (2) EP4061086A1 (ko)
JP (2) JP7052014B2 (ko)
KR (3) KR20200045541A (ko)
CN (2) CN111565466B (ko)
AU (1) AU2017430531B2 (ko)
IL (1) IL273131B1 (ko)
PH (1) PH12020500470A1 (ko)
TW (1) TWI762717B (ko)
WO (1) WO20190471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4757B2 (en) * 2017-10-09 2021-06-22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dependent random access channel (RACH) response search space
US11197324B2 (en) * 2018-02-23 2021-12-07 Qualcomm Incorporated NR RACH MSG3 and MSG4 resource configuration for CV2X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170A (ko) * 2009-08-21 201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송파 집성기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이한 상향링크 채널들로 전송된 랜덤액세스 프리앰블들에 대응하여 하향링크 메시지를 구별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6374B2 (en) * 2008-09-12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transmission in multicarrier operation
ES2905362T3 (es) 2009-04-23 2022-04-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étodo y aparato para acceso aleatorio en comunicaciones inalámbricas multiportadoras
US9992009B2 (en) 2009-04-24 2018-06-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2011035861A (ja) * 2009-08-06 2011-02-17 Sharp Corp 移動局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移動局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02036262A (zh) * 2009-09-25 2011-04-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息的检测方法和装置
KR101710607B1 (ko) * 2010-01-20 201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238365A (zh) 2010-11-30 2013-08-07 富士通株式会社 无线通信终端、无线通信基站和它们的通信方法,以及实现该通信方法的程序和存储该程序的介质
US20120300714A1 (en) 2011-05-06 201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procedures with carrier aggregation for lte-advanced systems
CN102325382B (zh) * 2011-06-30 2016-01-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随机接入方法和设备
CN103220813B (zh) 2012-01-20 2018-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载波系统的随机接入方法及系统及终端及基站设备
CN104186010B (zh) 2012-03-16 2018-09-21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无线系统中的随机接入过程
BR112017006696A2 (pt) * 2014-10-03 2017-12-26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para realização de um procedimento de acesso aleatório, aparelhos de terminal sem fio e de nó de red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e,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ransitório.
WO2017039513A1 (en) * 2015-09-04 2017-03-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first and second wireless device and a 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by, for perform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EP3373643B1 (en) * 2015-11-05 2020-05-13 Nec Corporation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and methods therefor
US20180324803A1 (en) 2015-11-06 2018-11-0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System, and Apparatus
US10568081B2 (en) * 2016-03-21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s
CN106793106B (zh) * 2016-09-30 2018-08-2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上行信号配置方法、发送方法、基站及用户终端
JP2020010075A (ja) * 2016-11-11 2020-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0681738B2 (en) * 2016-12-16 2020-06-09 Ofinno, Llc Random access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CN108271275B (zh) * 2017-01-04 2021-02-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竞争随机接入的方法和装置
US10884639B2 (en) 2017-02-27 2021-01-05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single data rate (SDR) mode or double data rate (DDR) mode for the command and address (CA) bus of registering clock drive (RCD) for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US11166320B2 (en) * 2017-04-28 2021-11-02 Lg Electronics Inc. Random access performing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same
US10708955B2 (en) 2017-06-23 2020-07-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supplementary uplink random access configuration
KR102530275B1 (ko) * 2017-06-26 2023-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리앰블 생성 방법, 프리앰블 설정 방법 및 장치, 랜덤 액세스 방법, 디바이스, 사용자 장치 및 기지국
US10863364B2 (en) * 2017-07-21 2020-12-08 Qualcomm Incor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information reporting
CN110719648B (zh) 2017-08-11 2020-09-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信息接收方法及装置
CA3034076A1 (en) * 2018-02-15 2019-08-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andom access using supplementary uplink
CN116193495A (zh) * 2018-09-27 2023-05-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网络维护的测量报告的方法和系统
US20200229241A1 (en) * 2019-01-10 2020-07-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ccess Proced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627608B2 (en) * 2019-12-31 2023-04-11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ng system timing information in high band communications
US11812369B2 (en) * 2020-02-13 2023-11-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sel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170A (ko) * 2009-08-21 201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송파 집성기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이한 상향링크 채널들로 전송된 랜덤액세스 프리앰블들에 대응하여 하향링크 메시지를 구별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0354* *
3GPP R1-171417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65466B (zh) 2021-10-29
AU2017430531B2 (en) 2023-02-02
JP2020537369A (ja) 2020-12-17
IL273131B1 (en) 2024-02-01
TWI762717B (zh) 2022-05-01
AU2017430531A1 (en) 2020-04-23
CN111565466A (zh) 2020-08-21
US20220248473A1 (en) 2022-08-04
KR20220021027A (ko) 2022-02-21
US20200214047A1 (en) 2020-07-02
IL273131A (en) 2020-05-31
JP2022084855A (ja) 2022-06-07
CN111066353A (zh) 2020-04-24
TW201914347A (zh) 2019-04-01
JP7052014B2 (ja) 2022-04-11
KR102472587B1 (ko) 2022-12-01
US11350464B2 (en) 2022-05-31
WO2019047182A1 (zh) 2019-03-14
KR20200045541A (ko) 2020-05-04
EP3675572A1 (en) 2020-07-01
EP3675572B1 (en) 2022-04-27
JP7381641B2 (ja) 2023-11-15
KR102575922B1 (ko) 2023-09-07
PH12020500470A1 (en) 2021-01-11
EP4061086A1 (en) 2022-09-21
US11917691B2 (en)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8290A (ko)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WO2018227622A1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US2020031393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KR102523267B1 (ko)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JP7381641B2 (ja) 無線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端末デバイス
TW201907684A (zh) 無線通訊方法和設備
TW202025838A (zh) 通訊方法、終端設備和網路設備
KR102526417B1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KR20200130718A (ko) 통신 방법 및 기기
TWI762716B (zh) 無線通訊方法、網路設備和終端設備
EP369135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