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267B1 -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267B1
KR102523267B1 KR1020207009060A KR20207009060A KR102523267B1 KR 102523267 B1 KR102523267 B1 KR 102523267B1 KR 1020207009060 A KR1020207009060 A KR 1020207009060A KR 20207009060 A KR20207009060 A KR 20207009060A KR 102523267 B1 KR102523267 B1 KR 102523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uplink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313A (ko
Inventor
웬홍 첸
쯔 장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5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파수 대역의 구성과 이용 처리에 관한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의 상향 링크 캐리어이며,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 가능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처리하도록 지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은 하나의 고정된 상향 링크 캐리어와 하나의 고정된 하향 링크 캐리어를 갖고,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해당 고정된 상향 링크 캐리어 및 하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각각 상하향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성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진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의 구성과 이용 처리의 관점에서 통신 성능의 향상이 과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파수 대역의 구성과 이용 처리의 관점에서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의 상향 링크 캐리어이며,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 가능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거나,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처리하도록 지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전송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캐리어가 존재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상향 캐리어 중 상향 캐리어의 이용 또는 처리를 지시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전송의 유연성을 높이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잉여 최소 시스템 정보(RMSI)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복수의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하나의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구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하향 제어 정보(DCI)에 의해 운반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정보의 송신과 상기 제 3 정보의 송신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가 활성화되거나 또는 구성된 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상이한 스케줄링 과정에서 각각 수행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3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4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3 상향 링크 캐리어는 상기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 비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인 링크 캐리어이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의 이용을 정지하고 상기 제 3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향 전송이 물리 상향 제어 채널(PUCCH) 전송 또는 물리 상향 공유 채널(PUSCH) 전송이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사운딩 기준 신호(SRS)에 관련된 정보에 운반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SRS의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SRS에 대해 반 정적으로 구성하는 SRS 구성 정보에 운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SRS에 대해 동적으로 트리거하는 트리거 메시지에 운반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한 구성 정보에 운반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 가능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기준 캐리어 위치에 대한 상기 랜덤 액세스 리소스의 주파수 영역의 위치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준 캐리어 위치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의 캐리어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기준 캐리어 위치는 상기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 비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인 기타 상향 링크 캐리어의 캐리어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기준 캐리어 위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하향 링크 캐리어의 캐리어 위치이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가 소속된 구성 시그널링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랜덤 액세스 과정을 진행하는 랜덤 액세스 리소스 및 랜덤 액세스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랜덤 액세스시 상향 링크 캐리어의 선택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응하는 하향 링크(DL) 신호 임계값을 확정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DL 신호 측정 결과와 DL 신호 임계값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상향 링크 캐리어를 선택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구성 정보가 소속된 구성 신호에 운반되거나, 또는
상기 지시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RMSI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송신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은 무경합 랜덤 액세스 과정이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에 운반되거나, 또는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의 전송에 운반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타이밍 조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에 포함된 필드에 운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가 운반되는 물리 계층 채널의 처리 정보에 의해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파워 조정 정보에 운반되거나, 또는 파워 조정 정보를 위한 전송에 운반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파워 조정하도록 지시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위치한다.
제 1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가 위치한 주파수 대역이 기타 상향 링크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보다 낮다.
제 2 양태로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보고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확정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이용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스케줄링할 수 있다.
제 2 양태와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파워 헤드룸 리포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각각 보고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포함한다.
제 2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파워 헤드룸 리포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전체로하여 보고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포함한다.
제 2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각각 위치한다.
제 3 양태로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 가능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처리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의 상향 링크 캐리어이다.
제 3 양태와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잉여 최소 시스템 정보(RMSI)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송신한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한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구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하향 제어 정보(DCI)에 의해 운반된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는 상기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 비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인 링크 캐리어이며,
여기서, 상기 제 1 정보의 송신과 상기 제 3 정보의 송신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가 활성화되거나 구성된 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스케줄링을 진행하는 상이한 스케줄링 과정에서 각각 수행된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4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의 이용을 정지하고 제 3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3 상향 링크 캐리어는 상기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 비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인 링크 캐리어이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상향 전송이 PUCCH 전송 또는 PUSCH 전송이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사운딩 기준 신호(SRS)에 관련된 정보에 운반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SRS의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한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SRS에 대해 반 정적으로 구성하는 SRS 구성 정보에 운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SRS에 대해 동적으로 트리거하는 트리거 메시지에 운반된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한 구성 정보에 운반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 가능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한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기준 캐리어 위치에 대한 상기 랜덤 액세스 리소스의 주파수 영역의 위치를 나타낸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준 캐리어 위치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의 캐리어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기준 캐리어 위치는 상기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 비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인 기타 상향 링크 캐리어의 캐리어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기준 캐리어 위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하향 링크 캐리어의 캐리어 위치이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가 소속된 구성 시그널링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랜덤 액세스 과정을 진행하는 랜덤 액세스 리소스 및 랜덤 액세스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랜덤 액세스시 상향 링크 캐리어의 선택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응하는 DL 신호 임계값을 확정하고, 여기서, DL 신호 측정 결과와 DL 신호 임계값과의 관계에 따라 해당 상향 링크 캐리어를 선택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구성 정보가 소속된 구성 시그널링에 운반되거나,
상기 지시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RMSI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송신한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은 무경합 랜덤 액세스 과정이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에 운반되거나, 또는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의 전송에 운반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타이밍 조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한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에 포함된 필드에 운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가 운반되는 물리 계층 채널의 처리 정보에 의해 나타낸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파워 조정 정보에 운반되거나, 또는 파워 조정 정보를 위한 전송에 운반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파워 조정하도록 지시한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각각 위치한다.
제 3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가 위치한 주파수 대역이 기타 상향 링크 캐리어 주파수 대역보다 낮다.
제 4 양태로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4 양태와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파워 헤드룸 리포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각각 별도로 확정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포함한다.
제 4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파워 헤드룸 리포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전체로하여 취득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포함한다.
제 4 양태 또는 상기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각각 위치한다.
제 5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 6 양태로서, 상기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 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 7 양태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하고,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시킨다.
제 8 양태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하고,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시킨다.
제 9 양태로서, 상기 임의의 방법 또는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하나를 수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제 10 양태로서, 명령어를 포함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에서 수행되면 컴퓨터에 상기 임의의 방법 또는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하나를 수행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해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경우, 창조적인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에서 이러한 도면에 따라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향 링크 캐리어 리소스의 분할 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향 링크 캐리어 리소스의 분할 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향 링크 캐리어 리소스의 분할 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향 링크 캐리어 리소스의 분할 형태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스템 칩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분명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이며, 모든 실시예는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 ion Duplex :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엔알(New Radio : NR)이라고도 지칭함))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자주 본 명세서에서 교환되어 이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여기서, "및/또는” 은 단순히 관련있는 대상을 설명하는 관련 관계의 하나이며, 세가지 경우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만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B 만 존재하는 것의 세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문자는 전후의 관련 대상이 일종의 "또는"의 관계임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또한,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기타 수량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의 기타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커버리지 범위 내의 배치된 UE 등의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 BTS),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 NB),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 eNB, 또는 eNode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 있고, 또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자동차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 PLM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도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이동형일 수 있고, 고정형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액세스 단말기, 이용자 장비(User Equipment : UE), 이용자 유닛, 이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이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이용자 에이전트 또는 이용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유닛, 자동차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되는 PLMN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 사이는 단말기 직접 연결(Device to Device : D2D) 통신이 진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엔알(New Radio : NR)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라고 지칭할 수 있다.
고주파수 대역은 5G(NR)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중요한 후보 대역이다. 주파수 대역이 높기 때문에, 커버리지 범위(저주파수 LTE와 비교하여)가 제한된다. 하향 링크(Downlink, DL)에 대해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크기 때문에, 대규모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hybrid Beamforming) 등으로 DL 커버리지가 개선된다. 단말기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이 제한되므로, UL 커버리지가 제한된다.
따라서, NR 전송을 위해 저주파수에서 하나의 상향 링크 캐리어(Uplink, UL)가 구성되고, 해당 UL 캐리어를 추가 상향 링크(Supplementary Uplink, SUL) 캐리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로인해, NR은 적어도 2 개의 UL 캐리어가 있고, 하나는 SUL 캐리어이며, 다른 하나는 고주파수 UL 캐리어이다(NR 전용의 UL(dedicated UL)라고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NR 시스템은 주파수 대역 f0에서의 고주파수 UL 캐리어 및 주파수 대역 f1에서의 저 주파수의 UL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 f0에서의 고주파수 UL 캐리어와 주파수 대역 f0에서의 고주파수 DL 캐리어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되거나,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 f0의 고주파수 UL 캐리어와 주파수 대역 f1에서의 고주파수 DL 캐리어는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Duplexing, TDD)된다.
선택적으로 SUL는 또한 LTE 시스템과 스펙트럼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고, 즉 f1에서 일부 리소스만 NR에 이용되고, 기타 리소스는 LTE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리소스 공유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또는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방식(예를 들어, 도 4 및 5에 도시된 TDM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NR 시스템에 2개의 UL 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NR 시스템에 3 개 이상의 UL 캐리어가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NR 시스템이 포함한 복수의 UL 캐리어는 모두 단말기 디바이스에서 상향 링크 전송을 위해 이용될 수 있지만, 구성할 때, 단말기 디바이스가 UL 캐리어의 일부만을 이용하여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단말기 디바이스가 채용하는 UL 캐리어의 수량 및 구체적으로 이용하는 UL 캐리어는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가 복수의 UL 캐리어를 지원하는 시나리오에 대해 진행하는 무선 통신을 해결하는 다음과 같은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2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200)은 선택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방법(200)은 다음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단계 2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확정하고,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의 상향 링크 캐리어이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전송을 위해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선택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지만,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각각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 임의의 2 개의 상향 링크 캐리어 사이는 주파수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거나, 또는 전혀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는 기타 상향 링크 캐리어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SUL 캐리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향 링크 캐리어는 상향 캐리어라고도 지칭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제 1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 가능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거나, 또는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처리하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정보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일부 상향 전송(물리 상향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또는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로 전송)에서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직접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정보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일부 상향 링크 전송(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고, 물론,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는 것도 의미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정보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처리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한 타이밍 조정 또는 송신 전력의 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브로드캐스트 신호, 잉여 최소 시스템 정보(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RMSI)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복수의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제 1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일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해당 제 1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 1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명령어 또는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유닛(Control Element, CE)에 의해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제 1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240에서, 해당 제 1 정보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거나, 또는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한다. 제 1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아 상향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제 1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처리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처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전송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캐리어가 존재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이용 또는 처리를 지시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전송의 유연성을 높이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구성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해당 제 1 정보는 하향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선택적으로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구성한 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확정하고, 제 3 정보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해당 제 3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여기서, 해당 제 1 정보의 송신과 상기 제 3 정보의 송신은 각각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구성한 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스케줄링하는 상이한 스케줄링 과정에서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제 3 정보가 DCI에 의해 운반된다. 상향 전송은 선택적으로 PUSCH이거나, 또는 상향 전송은 선택적으로 PUCCH이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먼저 활성화하거나 또는 구성하고, 활성화하거나 또는 구성한 후,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동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계속 이용하여 통신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를 선택하고,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고,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3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확정하고, 해당 제 3 상향 링크 캐리어가 해당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비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인 링크 캐리어이며,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4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제 4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3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여,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의 이용을 정지하고 해당 제 3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한다. 해당 제 1 정보와 제 4 정보는 선택적으로 반 정적 스케줄링을 위한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상향 전송이 PUSCH이거나, 또는 해당 상향 전송이 PUCCH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일부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링크 전송(특정 상향 전송, 예를 들어 PUSCH)을 진행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지시를 수신한 후, 해당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특정 상향 전송, 예를 들어 PUSCH)을 계속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향 링크 캐리어를 변경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정보는 사운딩 기준 신호(SRS)에 관련된 정보에 포함되고, 해당 제 1 정보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SRS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지시에 따라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SRS를 송신할 수 있다.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 1 정보는 SRS에 대해 반 정적으로 구성하는 SRS 구성 정보에 운반된다.
다른 구현 방식에서, 해당 제 1 정보는 SRS를 동적으로 트리거하는 트리거 메시지에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정보는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한 구성 정보에 운반되고, 제 1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 가능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진행하거나, 또는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는 여부를 선택하여 랜덤 액세스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이 기준 캐리어 위치에 대한 랜덤 액세스 리소스의 주파수 영역의 위치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해당 기준 캐리어 위치가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의 캐리어 위치이거나, 또는,
해당 기준 캐리어 위치가 해당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비 해당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인 기타 상향 링크 캐리어의 캐리어 위치이거나, 또는,
해당 기준 캐리어 위치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하향 링크 캐리어의 캐리어 위치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구성 정보가 소속된 구성 시그널링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랜덤 액세스 과정을 진행하는 랜덤 액세스 리소스 및/또는 랜덤 액세스 코드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가 랜덤 액세스 과정을 진행하는 랜덤 액세스 리소스 및/또는 랜덤 액세스 코드가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가 랜덤 액세스 과정을 진행하는 랜덤 액세스 리소스 및/또는 랜덤 액세스 코드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랜덤 액세스 코드를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상향 링크에 대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구성하는 랜덤 액세스 리소스 및/또는 액세스 코드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랜덤 액세스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리소스 및/또는 액세스 코드를 이용하여 랜덤 액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특정 파라미터에 따라 랜덤 액세스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응하는 DL 신호 임계값을 취득하기 위해 이용되며, 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하향 링크 캐리어(DL) 신호 측정 결과와 DL 신호 임계값과의 관계에 따라, 랜덤 액세스 과정을 위해 대응하는 상향 링크 캐리어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DL 신호 임계값에 대응하는 값은 a를 포함하고, DL 신호의 값이 a 이상인 경우에는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선택하여 랜덤 액세스를 진행하고, DL 신호의 값이 a 미만인 경우에는 제 2 상향 링크 캐리어를 선택하여 랜덤 액세스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랜덤 액세스시 상향 링크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지시 정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파라미터는 상기 DL 신호 임계값을 직접 지시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간접적으로 해당 DL 신호 임계값을 얻기 위한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구성 정보가 소속된 구성 시그널링에 운반되거나, 또는 해당 지시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RMSI 또는 시스템 정보를 통해 상기 구성 정보와 서로 독립적으로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랜덤 액세스시 상향 링크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해당 랜덤 액세스 과정은 무경합 (contention-free)의 랜덤 액세스 과정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정보는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Timing Advance Command)에 운반되거나, 또는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의 전송에 운반되고, 해당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타이밍 조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를 송신할 때, 타이밍 조정이 필요한 상향 링크 캐리어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현 방식에서, 해당 제 1 정보는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에 포함된 필드에 운반되거나, 또는
일 실현 방식에서, 해당 제 1 정보는 해당 타이밍 조정을 위한 명령어가 운반되는 물리 계층 채널의 처리 정보에 의해 나타낸다. 예를 들어, 물리 계층 전송에 이용되는 스크램블 코드로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 1 정보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파워 조정 정보에 운반되거나, 또는 파워 조정 정보를 위한 전송에 운반되고, 해당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파워 조정을 진행하도록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파워 조정 정보를 송신할 때, 단말기 디바이스가 파워 조정해야하는 상향 링크 캐리어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300)의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300)은 다음의 내용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단계 3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상향 링크 전송을 위해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선택되거나 또는 구성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지만,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 링크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각각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 임의의 2 개의 상향 링크 캐리어 사이는 주파수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거나, 또는 전혀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향 링크 캐리어는 상향 캐리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단계 320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파워 헤드룸 리포트(Power Headroom Report, PHR)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파워 헤드룸 리포트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의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각각 보고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포함한다.
이때, 단말기 디바이스는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각 상향 링크 캐리어의 각각의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보고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디바이스는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각 상향 링크 캐리어의 각각의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보고할 수도 있고, 일부 상향 링크 캐리어에서 기타 상향 링크 캐리어의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보고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파워 헤드룸 리포트는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전체로하여 보고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포함한다.
이때, 단말기 디바이스는 각 상향 링크 캐리어에 의해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각각 보고하거나, 또는 일부 상향 링크 캐리어에 의해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보고할 수도 있다.
단계 33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가 보고한 해당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수신하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해당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가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 가능한 상향 링크 캐리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송신 파워를 조정하는 여부를 확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확정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해당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해당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이용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스케줄링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처리 유닛(410)과 통신 유닛(42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410)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의 상향 링크 캐리어이며, 상기 통신 유닛(420)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 가능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처리하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420)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에 대해 보고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유닛(410)은 상기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상술한 방법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500)의 블록도이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500)는 통신 유닛(510) 및 처리 유닛(52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5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용 가능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의 상향 링크 캐리어이며, 상기 처리 유닛(520)은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이용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향 전송을 진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상향 링크 캐리어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520)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사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에 기초하여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510)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500)는 상술한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스템 칩(6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의 시스템 칩(600)은 입력 인터페이스(601), 출력 인터페이스(602), 프로세서(603) 및 메모리(604) 사이는 내부 통신 연결 경로를 통해 연결되고, 해당 프로세서(603)는 메모리(604) 내의 코드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코드가 수행되면 프로세서(603)는 방법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실현한다.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코드가 수행되면 프로세서(603)는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실현한다.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7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700)은 프로세서(710)와 메모리(720)를 포함한다. 메모리(720)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고,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700)은 프로세서(710)가 외부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송수신기(7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방법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으며, 신호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다. 실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단계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전용 집적 회로(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실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수 있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하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을 결합하는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완성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어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본 분야에서 성숙된 기억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억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 휘발성 메모리의 양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 Read-Only Memory),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M : Programmable 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 Erasable 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 Electrically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다양한 형식의 RAM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 Static 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 Dynamic RAM),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 Synchronous 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DRSDRAM : Double Data Rate SDRAM), 강화형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SDRAM : Enhanced SDRAM), 동기 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LDRAM : Synchlink 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R RAM)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러한 및 임의의 기타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 구분이고, 실제 실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퍼넌트를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서로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형식, 기계적 형식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구성 요소는 물리 유닛이거나 물리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은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모니터링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처리 유닛은 물리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실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이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108)

  1.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추가 상향 링크(Supplementary Uplink, SUL) 캐리어를 이용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SUL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기 SRS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SUL 캐리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의 상향 링크 캐리어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SUL 캐리어가 위치한 주파수 대역이 기타 상향 링크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보다 낮고,
    상기 제 1 정보가 SRS에 대해 반 정적으로 구성하는 SRS 구성 정보에 운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SRS에 대해 동적으로 트리거하는 트리거 메시지에 운반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SUL 캐리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SUL 캐리어를 구성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한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통신 유닛 및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추가 상향 링크(Supplementary Uplink, SUL) 캐리어를 이용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SUL 캐리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의 상향 링크 캐리어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SUL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기 SUL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SUL 캐리어가 위치한 주파수 대역이 기타 상향 링크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보다 낮고,
    상기 제 1 정보가 SRS에 대해 반 정적으로 구성하는 SRS 구성 정보에 운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SRS에 대해 동적으로 트리거하는 트리거 메시지에 운반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SUL 캐리어를 구성하기 위해 이용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SUL 캐리어를 구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한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4. 삭제
  15. 삭제
  16.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추가 상향 링크(Supplementary Uplink, SUL) 캐리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UL 캐리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의 상향 링크 캐리어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SUL 캐리어가 위치한 주파수 대역이 기타 상향 링크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보다 낮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SUL 캐리어를 이용하여 SRS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1 정보가 SRS에 대해 반 정적으로 구성하는 SRS 구성 정보에 운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SRS에 대해 동적으로 트리거하는 트리거 메시지에 운반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SUL 캐리어를 구성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처리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추가 상향 링크(Supplementary Uplink, SUL) 캐리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SUL 캐리어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 중의 상향 링크 캐리어이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복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SUL 캐리어가 위치한 주파수 대역이 기타 상향 링크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보다 낮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추가 상향 링크(Supplementary Uplink, SUL) 캐리어를 이용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1 정보가 SRS에 대해 반 정적으로 구성하는 SRS 구성 정보에 운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정보가 SRS에 대해 동적으로 트리거하는 트리거 메시지에 운반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제 2 정보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SUL 캐리어를 구성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KR1020207009060A 2017-09-08 2017-09-08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102523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01134 WO2019047186A1 (zh) 2017-09-08 2017-09-08 无线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313A KR20200052313A (ko) 2020-05-14
KR102523267B1 true KR102523267B1 (ko) 2023-04-19

Family

ID=6563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060A KR102523267B1 (ko) 2017-09-08 2017-09-08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310814B2 (ko)
EP (1) EP3681200B1 (ko)
JP (1) JP7186217B2 (ko)
KR (1) KR102523267B1 (ko)
CN (2) CN111525996B (ko)
AU (1) AU2017430535A1 (ko)
BR (1) BR112020004604A2 (ko)
CA (1) CA3075186C (ko)
MX (1) MX2020002619A (ko)
RU (1) RU2752696C1 (ko)
SG (1) SG11202002128PA (ko)
TW (1) TWI766096B (ko)
WO (1) WO2019047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5410B (zh) * 2018-11-24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上行链路的方法及装置
WO2021062680A1 (zh) * 2019-09-30 2021-04-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
USD975285S1 (en) * 2020-09-10 2023-01-10 Bone Foam, Inc. Orthopedic device
WO2022094896A1 (zh) * 2020-11-05 2022-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6847421A (zh) * 2022-03-23 2023-10-0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载波切换方法、装置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5425B2 (en) * 2007-12-19 2013-08-20 Alcatel Lucent Uplink carrier handoff and method for path loss based triggering of uplink carrier handoff
US8526374B2 (en) 2008-09-12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transmission in multicarrier operation
JP5531023B2 (ja) * 2008-11-21 2014-06-2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通信でマルチキャリアを利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474621B1 (en) * 2009-09-25 2022-05-04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rrier network operation
US8958841B2 (en) 2009-12-27 2015-0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098524A (zh) * 2010-04-07 2013-05-08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通讯装置和其方法
CN102300158B (zh) 2010-06-28 2015-03-1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时分双工系统中获知载波信息及载波信息指示方法和设备
WO2012095180A1 (en) * 2011-01-14 2012-07-19 Nokia Siemens Networks Oy Uplink carrier selection for multi-carrier operation
WO2012108804A1 (en) * 2011-02-10 2012-08-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ference signal resource allocation in a multi-carrier system
WO2012118343A2 (ko) * 2011-03-02 2012-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방법 및 장치
WO2015000113A1 (zh) * 2013-07-01 2015-01-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载波状态指示方法及设备
CN105491624B (zh) * 2014-09-17 2019-01-15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上行载波聚合中上行载波之间的切换方法及基站
KR102543750B1 (ko) * 2015-01-20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활성화/비활성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88674B1 (ko) * 2016-04-01 2020-12-0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Srs 스위칭, 송신, 및 강화들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455558B2 (en) * 2016-05-13 2019-10-22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for interruption due to carrier switching and carrier switching capability indicatio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0041*
3GPP R2-1709093*
3GPP R2-17096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002128PA (en) 2020-04-29
CN111525996A (zh) 2020-08-11
CN111525996B (zh) 2022-02-25
US11310814B2 (en) 2022-04-19
CA3075186A1 (en) 2019-03-14
BR112020004604A2 (pt) 2020-09-24
CA3075186C (en) 2022-05-31
JP2020537370A (ja) 2020-12-17
CN111052794A (zh) 2020-04-21
EP3681200A4 (en) 2020-09-16
WO2019047186A1 (zh) 2019-03-14
MX2020002619A (es) 2020-07-20
JP7186217B2 (ja) 2022-12-08
EP3681200B1 (en) 2024-01-17
RU2752696C1 (ru) 2021-07-30
KR20200052313A (ko) 2020-05-14
AU2017430535A1 (en) 2020-04-23
US20200214025A1 (en) 2020-07-02
TWI766096B (zh) 2022-06-01
TW201914343A (zh) 2019-04-01
EP3681200A1 (en)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267B1 (ko)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US20180227947A1 (en) Uplink Subframe Shortening in Time-Division Duplex (TDD) Systems
US1105130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hip, and system
AU2013406839B2 (en) Downlink subframe shortening in time-division duplex (TDD) systems
KR102588187B1 (ko)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102359313B1 (ko) 무선 통신 방법과 장치
JP2021518086A (ja) ビーム指示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KR20200094198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기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WO2019006702A1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TWI762716B (zh) 無線通訊方法、網路設備和終端設備
US11357008B2 (en) Methods and terminal device for activating a semi-persistently configured resource
KR102453202B1 (ko) 무선 통신 방법과 장치
KR20230010849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단말기
KR102575922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