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718A - 통신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718A
KR20200130718A KR1020207028783A KR20207028783A KR20200130718A KR 20200130718 A KR20200130718 A KR 20200130718A KR 1020207028783 A KR1020207028783 A KR 1020207028783A KR 20207028783 A KR20207028783 A KR 20207028783A KR 20200130718 A KR20200130718 A KR 20200130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network device
attribute
sequence
ind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0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3Acquisition of prim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within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6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 H04L5/10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he signals being represented by different frequencies with dynamo-electric generation of carriers; with mechanical filters or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a scrambling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며, 상기 통신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시스템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가 상이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로밍될 경우, 상이한 국가 또는 지역 사이의 주파수 스펙트럼 분할이 다르더라도, 단말 기기는 현재 접속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의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여,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기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방법 및 기기(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에 관한 것이다.
5G(5th-Generation) 시스템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unlicensed frequency bands)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고, 단말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 및 면허 주파수 대역(licensed frequency bands) 시스템에서 통신시 실행하는 동작은 상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단말 기기는 리슨 비포 토크(Listen Before Talk, LBT)의 방식을 통해 통신할 수 있고, 즉,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채널의 유휴 여부를 모니터링해야 하고, 채널이 유휴임을 결정한 후에야 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 고려하면, 주파수 스펙트럼에 대한 상이한 국가의 주파수 스펙트럼 모니터링 및 할당 기구의 계획과 할당이 상이한데, 예를 들어, 3.5GHz는 중국에서 면허된 엔알(New Radio, NR) 주파수 대역이지만, 미국에서 이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다. 유사하게, 37GHz는 중국에서 면허된 NR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지만, 미국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스펙트럼 할당에서의 차이는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이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로밍시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없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가 상이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로밍될 경우, 면허 주파수 대역 및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이한 국가 또는 지역의 주파수 스펙트럼 분할이 상이하더라도, 단말 기기가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시스템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결정함으로써, 면허 주파수 대역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대응되게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대응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제1 양태와 결부하면, 제1 양태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ous signal block, SSB) 중의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ous signal, PSS), 상기 SSB 중의 물리적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이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와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SS이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2 시퀀스이며,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이한 시퀀스이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와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이한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은 상이하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와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BCH이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1 DMRS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2 DMRS 시퀀스이며, 상기 제1 DMRS 시퀀스와 상기 제2 DMRS 시퀀스는 상이한 DMRS 시퀀스이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와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이한 DMRS 시퀀스의 초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상이하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와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속성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속성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1 수치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2 수치이며, 상기 제1 수치와 상기 제2 수치는 상이하다.
제1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와 결부하면, 제1 양태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LBT(Listen Before Talk)의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시스템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결정함으로써, 면허 주파수 대역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대응되게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대응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제2 양태와 결부하면, 제2 양태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제1 양태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의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PSS), 상기 SSB 중의 물리적 방송 채널(PBCH),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이다.
제2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와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SS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2 시퀀스이며,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이한 시퀀스이다.
제2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와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이한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은 상이하다.
제2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와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BCH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DMRS 시퀀스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를 복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1 DMRS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2 DMRS 시퀀스이며, 상기 제1 DMRS 시퀀스와 상기 제2 DMRS 시퀀스는 상이한 DMRS 시퀀스이다.
제2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와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이한 DMRS 시퀀스의 초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상이하다.
제2 양태 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와 결부하면, 제2 양태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속성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속성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상기 속성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1 수치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2 수치이며, 상기 제1 수치와 상기 제2 수치는 상이하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의 수신 노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의 수신 노드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서의 송신 노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의 송신 노드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실행은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실행은 상기 단말 기기가 제3 양태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 기기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메모리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는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경우, 상기 실행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실행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4 양태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며, 상기 명령이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8 양태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며, 상기 명령이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9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상호 작용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온 칩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예를 들어 이동 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C)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이중 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이중 통신(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 5G 시스템 등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10)는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10)는 특정된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 기기(예를 들어, UE)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네트워크 기기(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 중의 에볼루션형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거나,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거나,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착용가능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공중육상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기기(110)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기기(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말 기기(120)는 이동할 수 있거나 고정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단말 기기(120)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시작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사용자 회선(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착용가능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PLMN 네트워크 중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선택 가능하게, 단말 기기(120) 사이는 단말기 직접 연결(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1개의 네트워크 기기와 2개의 단말 기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선택 가능하게,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다수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서 다른 개수의 단말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측면에서 고려하면, 주파수 스펙트럼에 대한 상이한 국가의 주파수 스펙트럼 모니터링 및 할당 기구의 계획과 할당이 상이한데, 예를 들어, 3.5GHz는 중국에서 면허된 엔알 주파수 대역이지만, 미국에서 이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다. 또한 예를 들어, 37GHz는 중국에서 면허된 NR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지만, 미국에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상이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로밍될 경우,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 할당에서의 차이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예를 들어, 3.5GH 주파수 대역에서), 일부 국가 또는 지역에 배치된 것은 비면허 주파수 대역의 시스템이지만 일부 국가 또는 지역에 배치된 것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인 것을 초래하게 된다.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 LBT 메커니즘으로 인해, 동기화 신호 및 물리적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이 베어링된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ous Signal Block, SSB 또는 SS Block)은 확률적으로 송신 성공되거나 또는 송신 실패될 수 있고; SSB와 관련된 잔존 최소 시스템 정보(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RMSI)도 확률적으로 송신 성공되거나 또는 송신 실패될 수 있으며; 단말 기기의 업링크 전송은 LBT 메커니즘이 필요하고; 단말 기기의 업링크 전송은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제한 요구 등을 만족시켜야 한다. 따라서, 단말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통신시 실행하는 동작은 이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실행하는 동작과 상이할 수 있다.
이로써, 단말 기기가 상이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로밍될 경우, 상이한 국가 또는 지역 사이의 주파수 스펙트럼 분할이 상이하면, 단말 기기는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여,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면허 주파수 대역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대응되게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대응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의 상호 작용 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단말 기기(120)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110)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방법은 하기의 부분 또는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10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단계220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230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한다.
단계240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원되는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licensed frequency bands)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unlicensed frequency bands)인지를 나타낸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단말 기기는 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대응되는 통신 동작,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리소스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단말 기기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대응되는 동작, 예를 들어, LBT 방식에 기반하여 채널의 유휴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또한 채널이 유휴임을 결정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동작을 실행한다.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의 시스템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위치하는 시스템이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unlicensed NR 시스템)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licensed NR 시스템)인지를 나타낸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면, 상기 단말 기기는 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대응되는 통신 동작,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리소스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기기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면, 상기 단말 기기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대응되는 동작, 예를 들어, LBT 방식에 기반하여 채널의 유휴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또한 채널이 유휴임을 결정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 것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 것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결정함으로써, 면허 주파수 대역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대응되게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대응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ing Signal Block, SSB) 중의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상기 SSB 중의 보조 동기화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상기 SSB 중의 PBCH,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RMSI,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 OSI)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PSS, SSS, PBCH, RMSI, OSI 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 묵시적 또는 명시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할 수 있다.
방식 1. 묵시적 지시
아래, 상기 지시 정보가 PSS 및 PBCH인 것을 예로 들어 네트워크 기기가 어떻게 묵시적 지시를 수행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SS이다.
여기서, 단계210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한다.
대응되게, 단계220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2 시퀀스이며,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이한 시퀀스이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 및 비면허 주파수 대역일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PSS의 생성에 사용되는 시퀀스는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 및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PSS의 생성에 사용되는 시퀀스는 상이하다. 단말 기기는 상기 PSS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결정한다.
또한, 선택 가능하게, 상기 상이한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PSS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시퀀스는
Figure pct00001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002
이며, 0≤n<127이다.
여기서,
Figure pct00003
이고; [x(6) x(5) x(4) x(3) x(2) x(1)]=[1 1 1 0 1 1 0]이다.
PSS의 생성에 사용되는 것은
Figure pct00004
시퀀스이고, 주파수에서의 3개의 순환 시프트 값은 각각 0, 43 및 86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PSS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시퀀스는
Figure pct00005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006
이며, 0≤n<127이다.
이때, 주파수에서의 3개의 순환 시프트 값은 각각 0+offset, 43+offset 및 86+offset이다. 여기서 offset=22라고 가정하면, 3개의 순환 시프트 값은 각각 22, 65 및 108이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PSS를 검출하여 상기 PSS를 생성하기 위한
Figure pct00007
를 결정하는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이 상이하거나 시스템 속성이 상이할 경우,
Figure pct00008
시퀀스가 상이하므로, 시퀀스
Figure pct00009
도 상이함으로써, 상기 단말 기기는 상이한 시퀀스
Figure pct00010
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BCH이다.
여기서, 단계210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DMRS 시퀀스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를 복조한다.
대응되게, 단계220 이전에,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2 시퀀스이며,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이한 시퀀스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 및 비면허 주파수 대역일 경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를 복조하는 DMRS 시퀀스는 상이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 및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를 복조하는 DMRS 시퀀스는 상이하다. 단말 기기는 상기 PBCH를 성공적으로 복조한 DMRS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결정한다.
또한, 선택 가능하게, 상기 상이한 DMRS 시퀀스의 초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PBCH를 생성하기 위한 제1 DMRS 시퀀스는
Figure pct00011
이고,
여기서, 상기 시퀀스의 초기 스크램블링 시퀀스가
Figure pct00012
인 것으로 가정하면,
여기서,
Figure pct00013
이고,
Figure pct00014
는 PBCH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중의 2절 프레임 번호이며,
Figure pct00015
는 SSB 인덱스의 최소 유효 비트이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PBCH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시퀀스는
Figure pct00016
이고,
하지만, 이때, 상기 시퀀스의 초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Figure pct00017
로 설정하며,
여기서,
Figure pct00018
이고,
Figure pct00019
는 PBCH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중의 2절 프레임 번호이며,
Figure pct00020
는 SSB 인덱스의 최소 유효 비트이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상기 PBCH를 검출하여 상기 PBCH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를 결정하는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이 상이하거나 시스템 속성이 상이할 경우, 시퀀스 중의 초기 시퀀스가 상이하므로, 상기 시퀀스도 상이함으로써, 상기 단말 기기는 상이한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방식 1에서, PSS의 생성에 사용되는
Figure pct00021
시퀀스, 및 PBCH를 변조 또는 복조하는 DMRS 시퀀스만 예로 들어 네트워크 기기가 어떻게 묵시적 지시를 수행하는지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물리적 채널 또는 다른 시퀀스를 사용하여 묵시적 지시를 수행하는 방식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방식 2. 명시적 지시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지시 정보는 속성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속성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단계210 이전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상기 속성 식별자를 결정한다.
대응되게, 단계220 이전에,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1 수치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2 수치이고, 상기 제1 수치와 상기 제2 수치는 상이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각각 면허 주파수 대역 및 비면허 주파수 대역일 경우,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속성 식별자의 값은 상이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 및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속성 식별자의 값도 상이하다.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PBCH 중의 하나의 예약 비트, 예를 들어, PBCH 중의 페이로드(payload) 필드 중의 예약 비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트의 값이 1일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시스템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인 것으로 지시한다. 상기 비트의 값이 0일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시스템이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인 것으로 지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PBCH, RMSI 또는 OSI에 상기 속성 식별자를 추가하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이 1일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시스템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인 것으로 지시한다.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이 0일 경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시스템이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인 것으로 지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면, 단계240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LBT의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이므로, 단말 기기는 LBT의 방식에 기반하여, 채널의 유휴 여부를 모니터링해야 하고, 채널이 유휴임을 결정한 후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한다.
이로써, 단말 기기가 상이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로밍될 경우, 상이한 국가 또는 지역 사이의 주파수 스펙트럼 분할이 상이하더라도, 단말 기기는 현재 접속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의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여,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각 과정의 순번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재적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 과정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아래, 도 5 내지 도 8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특징은 하기 장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3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300)는 통신 유닛(3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 유닛(310)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결정함으로써, 면허 주파수 대역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대응되게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대응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 양태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의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PSS), 상기 SSB 중의 물리적 방송 채널(PBCH),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SS이고,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3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2 시퀀스이며,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이한 시퀀스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상이한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은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BCH이고,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3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1 DMRS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2 DMRS 시퀀스이며, 상기 제1 DMRS 시퀀스와 상기 제2 DMRS 시퀀스는 상이한 DMRS 시퀀스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상이한 DMRS 시퀀스의 초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지시 정보는 속성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속성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3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1 수치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2 수치이고, 상기 제1 수치와 상기 제2 수치는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면, 상기 통신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 및 LBT(listen before talk)의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한다.
상기 단말 기기(300)는 상기 방법(200) 중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4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400)는,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유닛(410)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상기 시스템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 통신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결정함으로써, 면허 주파수 대역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대응되게 실행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 또는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대응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선택 가능하게, 제1 양태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의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PSS), 상기 SSB 중의 물리적 방송 채널(PBCH),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SS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유닛(4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2 시퀀스이며,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이한 시퀀스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상이한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은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BCH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DMRS 시퀀스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를 복조하는 처리 유닛(4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1 DMRS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2 DMRS 시퀀스이며, 상기 제1 DMRS 시퀀스와 상기 제2 DMRS 시퀀스는 상이한 DMRS 시퀀스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상이한 DMRS 시퀀스의 초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상이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지시 정보는 속성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속성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상기 속성 식별자를 결정하는 처리 유닛(4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1 수치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2 수치이고, 상기 제1 수치와 상기 제2 수치는 상이하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400)는 상기 방법(200)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500)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기기는 프로세서(510), 송수신기(520) 및 메모리(53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510), 송수신기(520) 및 메모리(5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530)는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송수신기(520)가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53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방법(200) 중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3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방법(200)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에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하거나 실현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부시켜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기술분야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한 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서 작용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 설명으로서,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2배속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인핸스먼트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접속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랜덤 액세스 메모리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 많은 형태의 RAM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온 칩의 일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온 칩(600)은 입력 인터페이스(601), 출력 인터페이스(6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3), 메모리(604)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601), 출력 인터페이스(602), 상기 프로세서(603) 및 메모리(604)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603)는 상기 메모리(604) 중의 코드를 실행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603)는 방법(200) 중 단말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대응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603)는 방법(200)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대응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에 대응되는 B”는 B는 A와 관련되는 것을 의미하고, A에 따라 B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하지만, A에 따라 B를 결정하는 것은 A에만 따라 B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A 및/또는 다른 정보에 따라 B를 결정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함을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부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전문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는 일일이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획은 단지 논리적 기능 구획일 뿐이고 실제 응용시 다른 구획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재 또는 토론된 서로 간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것일 수 있고,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 있으며, 하나의 장소에 위치하거나,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수단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 있거나, 각 유닛이 별도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기능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고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해보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약간의 명령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외장 하드,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또는 CD 등 프로그래머블 액세스 메모리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해낸 변경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Claims (30)

  1.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시스템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의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PSS), 상기 SSB 중의 물리적 방송 채널(PBCH),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SS이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2 시퀀스이며,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이한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BCH이고,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1 DMRS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2 DMRS 시퀀스이며, 상기 제1 DMRS 시퀀스와 상기 제2 DMRS 시퀀스는 상이한 DMRS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DMRS 시퀀스의 초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속성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속성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1 수치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2 수치이고, 상기 제1 수치와 상기 제2 수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LBT(Listen Before Talk)의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통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시스템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의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PSS), 상기 SSB 중의 물리적 방송 채널(PBCH),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SS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2 시퀀스이며,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이한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BCH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DMRS 시퀀스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를 복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1 DMRS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2 DMRS 시퀀스이며, 상기 제1 DMRS 시퀀스와 상기 제2 DMRS 시퀀스는 상이한 DMRS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DMRS 시퀀스의 초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속성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속성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상기 속성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1 수치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2 수치이고, 상기 제1 수치와 상기 제2 수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6. 단말 기기로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시스템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의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PSS), 상기 SSB 중의 물리적 방송 채널(PBCH),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SS이고,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2 시퀀스이며,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이한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0.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BCH이고,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시퀀스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1 DMRS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2 DMRS 시퀀스이며, 상기 제1 DMRS 시퀀스와 상기 제2 DMRS 시퀀스는 상이한 DMRS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DMRS 시퀀스의 초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2.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속성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속성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을 결정하는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1 수치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2 수치이고, 상기 제1 수치와 상기 제2 수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면, 상기 통신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 및 LBT(Listen Before Talk)의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4. 네트워크 기기로서,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인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시스템 속성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 아니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중의 프라이머리 동기화 신호(PSS), 상기 SSB 중의 물리적 방송 채널(PBCH),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SS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1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퀀스는 제2 시퀀스이며, 상기 제1 시퀀스와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이한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시퀀스의 순환 시프트 값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8.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BCH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DMRS) 시퀀스를 결정하고, 상기 DMRS 시퀀스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를 복조하는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1 DMRS 시퀀스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지시 정보의 복조에 사용되는 DMRS 시퀀스는 제2 DMRS 시퀀스이며, 상기 제1 DMRS 시퀀스와 상기 제2 DMRS 시퀀스는 상이한 DMRS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DMRS 시퀀스의 초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0.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속성 식별자를 구비하고, 상기 속성 식별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시스템 속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상기 작업 주파수 대역 속성 또는 상기 시스템 속성에 따라, 상기 지시 정보에 구비된 상기 속성 식별자를 결정하는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1 수치이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작업 주파수 대역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이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비면허 주파수 대역 시스템에서 작업할 경우, 상기 속성 식별자의 값은 제2 수치이고, 상기 제1 수치와 상기 제2 수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KR1020207028783A 2018-03-16 2018-03-16 통신 방법 및 기기 KR20200130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79358 WO2019174056A1 (zh) 2018-03-16 2018-03-16 通信方法和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718A true KR20200130718A (ko) 2020-11-19

Family

ID=6790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783A KR20200130718A (ko) 2018-03-16 2018-03-16 통신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50420B2 (ko)
EP (1) EP3755027B1 (ko)
KR (1) KR20200130718A (ko)
CN (1) CN111886887A (ko)
AU (1) AU2018412629A1 (ko)
TW (1) TW201939980A (ko)
WO (1) WO2019174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416731A1 (en) * 2018-03-30 2020-11-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nformation ind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EP4040830A4 (en) * 2019-10-02 2023-05-03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CN113260048B (zh) * 2020-02-07 2023-03-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系统运行模式确定方法和终端
CN113574934B (zh) * 2021-06-15 2024-04-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网络接入方法、装置、用户设备、接入网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9548A1 (en) * 2001-02-26 2003-06-26 Jahangir Mohammed Method for extending the coverage area of a 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ing an un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936714B1 (en) * 2002-03-11 2011-05-03 Netgear, Inc. Spectrum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band wireless RF data communications
US6882851B2 (en) * 2002-03-21 2005-04-19 Cognio, Inc. Ad-hoc control protocol governing use of an unlicensed or shared radio frequency band
US7640008B2 (en) * 2002-10-18 2009-12-29 Kineto Wireles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coverage area of a 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un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K1767009T3 (da) * 2004-06-24 2013-08-26 Vringo Infrastructure Inc Fre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anvendelse af licenseret radioteknologi til bestemmelse af driftsparametrene for en ikke-licenseret radioteknologi i en mobil terminal
FI20050235A0 (fi) * 2005-03-03 2005-03-03 Nokia Corp Pääsy viestintäjärjestelmään
US8010069B2 (en) * 2008-04-09 2011-08-30 Mstar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adio signals to identify an active system in a coexisting radio network
US8279823B2 (en) * 2010-02-09 2012-10-02 Spectrum Bridge, Inc. Spectrum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US8934909B2 (en) * 2010-05-19 2015-01-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offloading to unlicensed bands
CN102232307B (zh) * 2011-06-16 2013-09-11 华为技术有限公司 动态频谱分配方法、中心控制单元、基站及频谱分配系统
US9549326B2 (en) * 2011-07-14 2017-01-17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sion of a flexible time sharing scheme on an unlicensed band of a system
US8874124B2 (en) 2012-06-14 2014-10-28 Netgear, Inc. Dual band LTE small cell
WO2014140877A2 (en) * 2013-03-15 2014-09-18 Powerwave Technologies S.A.R.L Unlicensed spectrum offload architecture for small-cell base stations
EP3000251B1 (en) * 2013-05-20 2017-07-05 Teknologian Tutkimuskeskus VTT OY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spectrum data in a cognitive wireless access system
US10165553B2 (en) * 2014-07-29 2018-12-25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communication operations in a licensed frequency band and an unlicensed frequency band
CN107078879A (zh) * 2014-10-20 2017-08-18 IPCom两合公司 用于无线电信系统中的载波选择的系统、用户设备、和基站
CN107211064B (zh) * 2014-12-12 2020-07-10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集成小型小区/wi-fi网络(iswn)中的计费
US10142983B2 (en) * 2015-01-28 2018-11-27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Licensed assisted access network system
US9549360B2 (en) * 2015-01-28 2017-01-17 Alcatel Lucent User equipment assisted handover in licensed and unlicensed frequency bands
KR102306823B1 (ko) * 2015-03-11 2021-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면허 도움 접속 기술 활용 시 기지국의 데이터 스케쥴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924518B2 (en) * 2015-08-10 2018-03-20 Network Performance Research Grou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hannel selection device
US20170048916A1 (en) * 2015-08-13 2017-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eration method of a communication node in a network supporting licensed band and unlicensed band
US10548055B2 (en) * 2015-12-08 2020-0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CN105722097B (zh) * 2016-01-21 2017-09-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信道检测方法、信道检测装置和终端
CN107041013A (zh) * 2016-02-03 2017-08-11 索尼公司 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US10143036B2 (en) * 2016-07-30 2018-11-27 Phazr, Inc. Millimeter wave wireless system using licensed and unlicensed frequency sprectrum
CN106304148B (zh) * 2016-08-11 2019-08-09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切换无线网接入设备的工作模式的方法
US11109237B2 (en) * 2016-09-01 2021-08-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nodes and methods for enabling coexiste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ing licensed and unlicensed frequency bands
CN106355860A (zh) * 2016-09-18 2017-01-25 北京佰才邦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数据的方法及可移动设备
CN109983795B (zh) * 2016-11-11 2023-11-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促进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CN108617001B (zh) * 2017-01-20 2022-11-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8632981B (zh) * 2017-03-23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同步信号发送方法和接收方法及设备
CN109121198A (zh) * 2017-06-23 2019-01-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非授权频段下的信息传输方法及网络设备
WO2019031806A1 (ko) * 2017-08-07 2019-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019624B2 (en) * 2017-10-11 2021-05-25 Qualcomm Incorporated Licensed band fallback for wireless devices that operate in unlicensed bands
WO2019119374A1 (zh) * 2017-12-21 2019-06-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业务分流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WO2020147092A1 (zh) * 2019-01-17 2020-07-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5027A4 (en) 2021-01-06
WO2019174056A1 (zh) 2019-09-19
CN111886887A (zh) 2020-11-03
EP3755027B1 (en) 2022-12-28
US11350420B2 (en) 2022-05-31
AU2018412629A1 (en) 2020-10-15
US20210007108A1 (en) 2021-01-07
EP3755027A1 (en) 2020-12-23
TW201939980A (zh)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306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444898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기기
US11350420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P3749028B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TW202025838A (zh) 通訊方法、終端設備和網路設備
CN111542120B (zh) 无线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KR20210033537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저장 매체
CN111277393A (zh) 无线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KR102575922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1622376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and device
CA3109178C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lot-format and storage medium
KR102328453B1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N111787621A (zh) 一种承载配置方法及装置、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