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306B1 -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306B1
KR102619306B1 KR1020227046447A KR20227046447A KR102619306B1 KR 102619306 B1 KR102619306 B1 KR 102619306B1 KR 1020227046447 A KR1020227046447 A KR 1020227046447A KR 20227046447 A KR20227046447 A KR 20227046447A KR 102619306 B1 KR102619306 B1 KR 102619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oint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frequency domain
band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568A (ko
Inventor
쯔 장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7Variable allocation of band 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 대역폭 부분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동기 신호 블록과 함께 유연하게 진행하여,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당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포인트- 기준 포인트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대역폭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데 사용됨-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대역폭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구성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롱 템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기준 포인트로, 단말기 디바이스와 전송하는 데이터 량을 참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으며,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기준 포인트로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엔알(New Radio, NR) 통신 시스템에서, 리소스의 할당 및/또는 구성을 진행하거나 또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NR 시스템에서 리소스의 할당 및/또는 구성, 또는 기준 신호의 송신을 실현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검출된 동기 신호 블록을 참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여, 유연한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기준 포인트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제 2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기준 포인트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 사이의 주파수 영역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은 제 1 동기 신호 블록 및 상기 제 2 동기 신호 블록을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제 2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는 단계는,
삭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할당할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간격이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 제 1 기준 포인트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2 기준 포인트이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가장 가까운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는 상기 제 2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동일한 기준 포인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부동한 기준 포인트이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보는
할당 리소스 크기 및/또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 및/또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수량 및/또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을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제 3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4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제 3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에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가 점용하는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지시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5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5 정보는 복수의 상기 제 1 메시지가 점용하는 리소스와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이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가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포함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통해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지시한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6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6 정보는 복수의 프리앰블 액세스 코드와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1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현재 서비스 상황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로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나타낸다.
제 2 양태와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의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의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기준 포인트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1 기준 포인트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2 기준 포인트이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가장 가까운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동일한 기준 포인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부동한 기준 포인트이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할당된 리소스 크기 및/또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 및/또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수량 및/또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을 나타내고,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제 3 기준 포인트 및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상기 대역폭 부분과 대응하는 기준 신호 부분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3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에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가 점용하는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지시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보는 복수의 상기 제 1 메시지가 점용하는 리소스와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 및
확정된 상기 리소스에서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이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가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포함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통해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지시한다.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2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4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보는 복수의 프리앰블 액세스 코드와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 및 상기 제 4 정보가 나타내는 대응 관계에 따라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로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상기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지시하여, 기준 포인트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어, 시스템의 고정된 기준 포인트를 사용하는 것을 피하고, 시스템 대역폭이 큰 경우,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기준 포인트로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단말기 디바이스로 지시되어 할당된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이 긴 필드가 필요되어, 시그널링 오버 헤드가 증가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도록 지시된 기준 포인트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존재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제 3 양태와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1 기준 포인트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2 기준 포인트이다.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 및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1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고,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에 따라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제 2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에 따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가장 가까운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동일한 기준 포인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부동한 기준 포인트이다.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제 3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기준 포인트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 중 하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현재 서비스 상황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3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구성된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대역폭 부분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제 4 양태로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상기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제 4 양태와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1 기준 포인트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2 기준 포인트이다.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 및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고,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의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것을 확정하는 단계,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제 2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가장 가까운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동일한 기준 포인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부동한 기준 포인트이다.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제 3 기준 포인트 및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대역폭 부분과 대응하는 기준 신호 부분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3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기준 포인트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 중 하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4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구성된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대역폭 부분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제 5 양태로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로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로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기준 신호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한 기준 포인트를 지시하고, 이를 통해 기준 포인트의 구성을 유연하게 진행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시된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기준 포인트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존재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는 동일한 기준 신호의 기준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송신하는 동일한 기준 신호를 다중화할 수 있고, 부동한 단말기는 부동한 기준 신호의 기준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동한 단말기로 부동한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유연성을 취득할 수 있다.
제 5 양태와 결합하여 제 5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 5 양태 또는 제 5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5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제 5 양태 또는 제 5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5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로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제 5 양태 또는 제 5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5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가 부동하다.
제 5 양태 또는 제 5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5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기준 포인트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 중 하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제 6 양태로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제 6 양태와 결합하여 제 6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기준 포인트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대역폭 부분과 대응하는 기준 신호 부분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6 양태 또는 제 6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6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제 6 양태 또는 제 6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과 결합하여 제 6 양태의 다른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인트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 중 하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제 7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제 3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 5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제 3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 5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는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 8 양태로서, 상기 제 2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제 4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 6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태양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제 4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 6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는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 9 양태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하고,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제 3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 5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킨다.
제 10 양태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통신하고, 제어 신호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제 4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또는 제 6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킨다.
제 11 양태로서, 상기 임의의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제 12 양태로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상기 임의의 양태 또는 그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임의의 양태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NR 시스템에서 리소스의 할당 및/또는 구성, 또는 기준 신호의 송신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 블록 분포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기 신호 블록 분포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스템 칩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해결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분명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이며, 모든 실시예는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 ion Duplex :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미래의 5G 시스템((엔알(New Radio : NR)이라고도 지칭함))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0)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0)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커버리지 범위 내의 배치된 UE 등의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0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 BTS),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 NB),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 eNB, 또는 eNode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 있고, 또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자동차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 PLM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도 있다.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이동형일 수 있고, 고정형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처리(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유닛, 자동차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되는 PLMN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 사이는 단말기 직접 연결(Device to Device : D2D) 통신이 진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는 엔알(New Radio : NR)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기타 수량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의 기타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자주 본 명세서에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된다. 여기서, "및/또는”은 단순히 관련있는 대상을 설명하는 관련 관계의 하나이며, 세가지 경우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만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B 만 존재하는 것의 세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문자는 전후의 관련 대상이 일종의 "또는"의 관계임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5G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을 포함하는 SS burst set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으며, 각 SS BLOCK 내에 1차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 2차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ing Channel, PBCH)을 포함한다. 또한 SS block의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주파수 위치는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시스템 대역폭에서 SS block를 검색하여, 시간 주파수 동기화를 취득하고, PBCH 정보를 취득하고,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를 진행한다.
5G 시스템의 경우, 400MHz 또는 1GHz의 대역폭을 갖는 대역폭 멤버 캐리어 등 넓은 대역폭을 갖는 대역폭 멤버 캐리어를 지원할 수 있다. 대역폭 멤버 캐리어 내의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SS block을 전송할 수 있다. 미래의 5G 시스템이 대역폭 멤버 캐리어 내의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SS block의 전송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기는 복수의 SS block 중 하나를 검색하여 시스템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대역폭 멤버 캐리어에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대역폭 부분 구성 및/또는 기준 신호의 송신을 진행하는 기술 해결책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 대역폭은 복수의 대역폭 부분(Band Part, BP)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당해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는 동일하거나, 부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당해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가 다른 경우, 완전히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더 큰 대역폭 부분에 작은 대역폭 부분이 위치되는 경우, 작은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와 큰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는 중복되거나,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당해 복수의 대역폭 부분 중 인접하는 2 개의 대역폭 부분은 틈새가 없고, 중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인접한 2 개의 대역폭 부분은 부분적으로 중복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에 의해 할당된 주파수 영역 리소스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주파수 영역 리소스일 수 있고, 할당된 주파수 영역 리소스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유닛(예를 들어, 하나의 물리 리소스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이 점유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을 단위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현재 전송할 데이터 양에 따라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된 대역폭 부분은 반 정적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해 대역폭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데이터 양에 따라 당해 대역폭 부분을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작은 양의 데이터 전송에 대해 작은 대역폭 부분을 구성할 수 있으며, 큰 양의 데이터 전송에 대해 큰 대역폭의 일부 또는 전체 대역폭을 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대역폭 부분의 구성 및/또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동기 신호 블록을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나타낸 방법(200)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도 2와 같이, 당해 방법(200)은 단계 210과 단계 220를 포함한다.
단계 2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메시지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에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에는 복수의 SS block이 구성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그중 하나의 SS block를 검색한 후, SS block의 인덱스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검색된 SS block의 인덱스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시그널링을 통하여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은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요청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S block과의 바인딩과 같은 시스템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로 SS block의 주파수의 인덱스 정보를 미리 통지할 수 있다.
일 실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가 점용하는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검출된 제 1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리소스를 확정하고,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리소스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동기 신호 블록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지시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는 리소스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제 1 메시지가 점용하는 리소스와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대응 관계에 따라 당해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리소스를 확정할 수 있다. 이과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제 1 메시지가 점용하는 리소스와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대응 관계 및 당해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는 리소스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상기 제 1 메시지가 점용하는 리소스와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대응 관계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당해 대응 관계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단말기 디바이스로 브로드캐스트된다.
선택적으로, 당해 제 1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일 수 있고, 예를 들어, MSG1 또는 MSG3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가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 1 메시지는 포함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검출된 당해 제 1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확정할 수 있고,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에 당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대응 관계에 따라, 검출된 동기 신호 블록과 대응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확정할 수 있다. 이과 대응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복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대응 관계 및 수신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가 검출한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당해 복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대응 관계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당해 대응 관계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로 브로드캐스트된다.
단계 220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는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중심 주파수 포인트, 상위 주파수 포인트 또는 하위 주파수 포인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고,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한다.
일 실현 방식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당해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기준 포인트로 확정할 수 있다.
일 실현 방식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제 2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고, 상기 제 2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기준 포인트를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동기 신호 블록과 단말기 디바이스에 할당될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간격이 소정 값 이상인 것을 검출한 경우, 제 2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당해 제 2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당해 기준 포인트를 확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현 방식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에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할당하거나 대역폭을 구성할 때, 기준 포인트와 할당된 주파수 영역 리소스 또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간격이 너무 커서, 많은 필드 지시가 필요되어 시그널링 오버 헤드가 과대하게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에 사용되는 기준 포인트로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위한 기준 포인트(제 2 기준 포인트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와 대역폭 부분 구성을 위한 기준 포인트(제 1 기준 포인트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는 동일한 기준 포인트일 수 있고, 부동한 기준 포인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로 직접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대역폭 부분 구성을 위한 기준 포인트로 확정하고,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위한 기준 포인트를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위한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것은,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가장 가까운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위한 기준 포인트로 확정할 수 있거나, 또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과의 주파수 영역 거리가 소정 값 이하인 동기 신호 블록 중에서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고, 확정된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위한 기준 포인트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대역폭 부분 구성을 위한 기준 포인트로 확정하고,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위한 기준 포인트를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위한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것은,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가장 가까운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위한 기준 포인트로 확정할 수 있거나, 또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과의 주파수 영역 거리가 소정 값 이하인 동기 신호 블록에서 동기 신호 블록을 확정하고, 확정된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위한 기준 포인트를 확정할 수 있다.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 도 3을 예로 들어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광대역 멤버 캐리어 내에 2 개의 동기 신호 블록(SS block, SSB) 위치를 분산시키고,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SSB가 SSB1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확정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SB1이 위치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기준 포인트로 사용하여, 대역폭 부분 0 또는 대역폭 부분 1을 단말기에 구성하고, 대역폭 부분 0 또는 대역폭 부분 1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 스케줄링(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포함)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SSB1을 검색하고, SSB1을 상기 방법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통지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해 대역폭 부분 2를 구성하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SB2이 위치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단말기 디바이스의 기준 포인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SSB1이 위치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기준 포인트로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역폭 부분 2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구성하고, 대역폭 부분 2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서비스 스케줄링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한편으로 단말기가 동작하는 대역폭 부분의 유연한 구성과 유연한 리소스 할당의 주파수 기준 포인트를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 네트워크는 주파수 기준 포인트의 선택에 따라 주파수 기준 포인트와 실제로 할당된 주파수 리소스의 주파수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향 제어 채널에서의 리소스 지시 시그널링 오버 헤드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대역폭 부분 구성 또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가 제 2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기초한다고 확정한 경우,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기초로 되는 동기 신호 블록이 변경됨으로써, 단말기 디바이스로 대역폭 부분 구성 또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지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단말기 디바이스로 기준 포인트를 지시하고, 당해 기준 포인트가 점유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직접 통지할 수 있거나, 또는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기초로 되는 제 2 동기 신호 블록을 단말기 디바이스로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이 경우, 상기 제 1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에 의해 운반될 수 있거나, 또는 RRC 전용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연결 확립 응답 메시지이고, 이 경우, 제 1 메시지는 RRC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RC 전용 시그널링은 RRC 연결 확립 명령어 또는 RRC 재구성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정보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 사이의 주파수 영역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은 제 1 동기 신호 블록 및 상기 제 2 동기 신호 블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는 주파수 영역 관계와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제 2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확정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데 기초한 동기 신호 블록이 제 2 동기 신호 블록인 것을 단말기 디바이스로 통지하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일한 규칙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당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준 포인트를 직접 확정하는 동기 신호 블록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지시할 수 있고, 여기서 단말기 디바이스로 기준 포인트를 통지하고, 당해 기준 포인트가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직접 통지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로 확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기준 포인트를 확정한다. 여기서, 당해 지시 정보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여기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에 의해 운반되거나, 또는 RRC 전용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연결 응답 메시지이고, 이때, 제 1 메시지는 RRC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에 의해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는 할당된 리소스 크기 및/또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 및/또는, 구성 대역폭 부분의 수량 및/또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을 나타낸다. 이와 대응하여,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당해 정보 및 기준 포인트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당해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해 할당한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을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할당된 리소스가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은 기준 포인트에 대한 할당된 리소스의 상위 주파수 포인트의 오프셋, 기준 포인트에 대한 할당된 리소스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의 오프셋, 또는 기준 포인트에 대한 할당된 리소스의 하위 주파수 포인트의 오프셋일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포인트에 대한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오프셋은 기준 포인트에 대한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상위 주파수 포인트의 오프셋, 기준 포인트에 대한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의 오프셋 또는 기준 포인트에 대한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하위 주파수 포인트의 오프셋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현재 서비스 상황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정보,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전송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 양, 및/또는(부하 균형을 고려하기 위해) 각 대역폭 및/또는 리소스가 기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점용된 경우를 참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기준 포인트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로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기준 포인트를 시작 포인트로하여 주파수의 일측으로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준 포인트를 기준으로 양측의 주파수로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 3 기준 포인트로부터 시작되는 소정의 주파수 범위에서 기준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없을 때, 제 3 기준 포인트를 시작 포인트로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지만, 당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을 진행하지 않고, 기타 주파수 범위에서 나머지 부분의 기준 신호 부분을 송신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기준 포인트의 주파수 위치가 20MHz이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송신한 완전한 기준 신호가 20MHz를 점용해야 하고, 단말기를 위해 할당된 주파수 포인트는 0 ~ 10MHz의 주파수 범위에 있다. 한가지 방법은 0 ~ 20MHz 범위 내에서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두 번째 방법은 특정 시나리오에서 10MHz ~ 20MHz에서 기준 시퀀스를 송신할 필요가 없기(예를 들어, 대역폭 내에서 단말기로 데이터 및 기준 신호를 송신할 필요가 없다) 때문에, 기준 신호를 구성한 기준 시퀀스 부분 a(원래 10MHz ~ 20MHz를 점용)는 송신되지 않으며, 0MHz ~ 10MHz 범위 내에서 기준 신호 중 기준 신호 부분 b를 송신하며, 여기서, 기준 신호 부분 a와 기준 신호 부분 b는 완전한 기준 신호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구성된 대역폭 범위 내에서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제 3 기준 포인트 및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상기 대역폭 부분과 대응하는 기준 신호 부분을 로컬 시퀀스로 확정할 수 있고,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서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로컬 시퀀스 및 수신된 기준 신호를 통해 채널 측정을 진행하여, 대응하는 채널 품질을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하고, 당해 제 3 기준 포인트를 통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준 포인트는 제 1 기준 포인트 및/또는 제 2 기준 포인트와 동일한 기준 포인트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당해 제 3 기준 포인트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단말기 디바이스로 통지할 수 있고, 이때 당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범위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동일한 제 3 기준 포인트를 공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준 포인트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RRC 전용 시그널링(RRC 연결 확립 응답 메시지)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로 통지할 수 있고, 이때 복수의 단말기 디바이스와 대응하는 제 3 기준 포인트는 동일할 수 있고, 부동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현재 검출된 동기 신호 블록을 참조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여, 유연한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의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경우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를 확정하고, 작동 상황을 참조하여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 시스템 대역폭 구성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300)의 흐름도이다. 도 4와 같이 당해 방법은 단계 310 및 단계 320를 포함한다.
단계 3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단계 320에서,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1 기준 포인트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2 기준 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동일한 기준 포인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부동한 기준 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 및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1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고,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에 따라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고,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제 2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고,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에 따라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가장 가까운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정보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기준 포인트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 중 하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능력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의 현재 서비스 상황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구성된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대역폭 부분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유형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부동한 단말기 유형에 대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기준 포인트로 부동한 SSB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역폭이 20MHz 이하의 단말기에 대해 페이징 메시지가 송신하는 기준 포인트로 인덱스가 1인 SSB를 선택하여, 협 대역의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20MHz보다 큰 대역폭을 갖는 단말기의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인덱스가 2 인 SSB를 페이징 메시지 송신을 위한 기준 포인트 광대역 페이징 메시지로 선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제 3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지시하여, 기준 포인트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고정 기준 포인트의 사용을 피하고, 시스템 대역폭이 큰 경우,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기준 포인트로 고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에 의해, 단말기 디바이스로 지시되어 할당된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긴 필드가 필요되어, 시그널링 오버 헤드가 증가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도록 지시된 기준 포인트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존재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400)의 흐름도이다. 도 6과 같이, 당해 방법은 단계 410 및 단계 420를 포함한다.
단계 4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단계 420에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해 운반되고,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범위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단말기 디바이스로 제 2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로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가 부동하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상기 기준 포인트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 중 하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기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기준 포인트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지시하여, 기준 포인트의 구성을 유연하게 진행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지시되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기준 포인트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존재하는 시나리오에 적용된다.
또한, 부동한 단말기 디바이스는 동일한 기준 신호의 기준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송신한 동일한 기준 신호를 다중화할 수 있고, 부동한 단말기는 부동한 기준 신호의 기준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동한 단말기에 부동한 기준 신호을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유연성을 취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500)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방법(500)은 단계 510과 단계 520를 포함한다.
단계 5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나타낸다.
단계 520에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의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고,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상기 기준 포인트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1 기준 포인트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2 기준 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가장 가까운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동일한 기준 포인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부동한 기준 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는 할당된 리소스 크기 및/또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 및/또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의 수량 및/또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을 나타내고, 상기 정보 및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제 3 기준 포인트 및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상기 대역폭 부분과 대응하는 기준 신호 부분을 확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는 지시 상기 제 3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메시지에는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의 인덱스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메시지가 점용된 리소스를 통해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는 복수의 상기 제 1 메시지가 점용하는 리소스와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대응 관계에 따라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리소스를 확정하고, 확정된 상기 리소스에서 상기 제 1 메시지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과정의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메시지가 랜덤 액세스 요청 메시지이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포함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통해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는 복수의 프리앰블 액세스 코드와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 및 상기 정보 지시의 대응 관계에 따라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확정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600)의 흐름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방법(600)은 단계 610과 단계 620를 포함한다.
단계 6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정보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단계 620에서,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1 기준 포인트이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는 제 2 기준 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 및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고,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것을 확정하고,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제 2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고,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가장 가까운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동일한 기준 포인트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부동한 기준 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제 3 기준 포인트 및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대역폭 부분과 대응하는 기준 신호 부분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제 3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상기 정보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상기 기준 포인트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 중 하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선택적으로, 구성된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대역폭 부분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700)의 흐름도이다. 도 9와 같이 당해 방법(700)은 단계 710과 단계 720를 포함한다.
단계 7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기준 포인트를 나타낸다.
단계 720에서,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기준 포인트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준 포인트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대역폭 부분과 대응하는 기준 신호 부분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전용 시그널링에 의해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준 포인트는 복수의 동기 신호 블록 중 하나의 동기 신호 블록이 점용하는 주파수 포인트이다.
이상에서 방법(200)-방법(700)에 대해 각각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당해 방법(이 독립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각의 방법에 대한 설명에 대해 서로 참조될 수 있으며, 모순되지 않는 경우 각 방법의 선택적인 해결책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법(200)의 기준 신호에 대한 설명은 방법(300)-방법(700)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간결을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800)의 블록도이다. 도 10과 같이 당해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처리 유닛(810) 및 통신 유닛(82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820)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나타내고, 상기 처리 유닛(810)은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820)은 제 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고, 상기 처리 유닛(810)은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810)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로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820)은 제 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고,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제 1 단말기 디바이스로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800)는 방법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대응될 수 있으며, 실현 방식의 실시예의 임의의 선택적인 해결책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하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900)의 블록도이다. 도 11과 같이 당해 단말기 디바이스(900)는 통신 유닛(910) 및 처리 유닛(92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유닛(9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된 제 1 동기 신호 블록을 나타낸다.
상기 처리 유닛(920)은 상기 제 1 동기 신호 블록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진행하는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9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고, 상기 처리 유닛(920)은 상기 제 1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9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고, 상기 처리 유닛(920)은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할당 및/또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진행하는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900)는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와 대응될 수 있으며, 실현 방식의 실시예의 임의의 선택적인 해결책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은 본 실시예의 시스템 칩(10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의 시스템 칩(1000)은 입력 인터페이스(1001), 출력 인터페이스(1002), 메모리(604)의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1003) 및 메모리(1004)를 포함하고, 이들 사이는 내부 통신 연결 라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코드가 실행되면 프로세서(1003)는 방법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실현한다. 간결을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코드가 실행되면, 프로세서(1003)는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실시한다. 간결을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1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100)는 프로세서(1110)와 메모리(1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1120)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고,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100)는 프로세서(1110)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송수신기(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고, 방법의 실시예에서 메인 서비스 노드와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고,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와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으며, 신호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다. 실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단계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전용 집적 회로(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실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일수 있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하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을 결합하는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완성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모듈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본 분야에서 성숙된 기억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억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 휘발성 메모리의 양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 Read-Only Memory),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M : Programmable ROM),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 Erasable PRO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 Electrically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다양한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 Static 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 Dynamic RAM),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 Synchronous 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DRSDRAM : Double Data Rate SDRAM), 강화형 동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SDRAM : Enhanced SDRAM), 동기 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LDRAM : Synchlink 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R RAM)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러한 및 임의의 기타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역폭을 구성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가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에서 작동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 구분이고, 실제 실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퍼넌트를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서로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형식, 기계적 형식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구성 요소는 물리 유닛이거나 물리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은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모니터링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처리 유닛은 물리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실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당해 기술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어가 포함된 당해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삭제

Claims (24)

  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포인트-상기 기준 포인트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데 사용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상기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포인트는 제 1 기준 포인트 및 제 2 기준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1 동기 신호 블록과 상기 기준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상기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3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상기 대역폭 부분이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을 나타내고,
    상기 대역폭 부분이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은,
    상기 대역폭 부분의 하위 주파수 포인트가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고,
    상기 대역폭 부분은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에 따라 구성하고,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구성된 상기 대역폭 부분에 따라 확정하고, 및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는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에 따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부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전체 기준 신호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대역폭 범위 내에 있는 부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체 기준 신호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의해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기준 포인트-상기 기준 포인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데 사용됨-를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상기 대역폭 부분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포인트는 제 1 기준 포인트 및 제 2 기준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1 동기 신호 블록과 상기 기준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상기 대역폭 부분이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을 나타내고,
    상기 대역폭 부분이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은,
    상기 대역폭 부분의 하위 주파수 포인트가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한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대역폭 부분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한 상기 대역폭 부분을 확정하는 단계,
    구성된 상기 대역폭 부분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부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전체 기준 신호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대역폭 범위 내에 있는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체 기준 신호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의해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통신 유닛과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기준 포인트-상기 기준 포인트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데 사용됨-에 따라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상기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상기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준 포인트는 제 1 기준 포인트 및 제 2 기준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구성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1 동기 신호 블록과 상기 기준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제 3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상기 대역폭 부분이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을 나타내고,
    상기 대역폭 부분이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은,
    상기 대역폭 부분의 하위 주파수 포인트가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부분은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에 따라 구성하고,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구성된 상기 대역폭 부분에 따라 확정하고,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는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에 따라 구성되고,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부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전체 기준 신호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대역폭 범위 내에 있는 부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체 기준 신호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의해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0. 통신 유닛과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기준 포인트-상기 기준 포인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데 사용됨-를 나타내는 제 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또는 상기 대역폭 부분을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준 포인트는 제 1 기준 포인트 및 제 2 기준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구성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제 1 동기 신호 블록과 상기 기준 포인트 사이의 주파수 영역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3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상기 대역폭 부분이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을 나타내고,
    상기 대역폭 부분이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은,
    상기 대역폭 부분의 하위 주파수 포인트가 상기 기준 포인트에 대한 오프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한 상기 대역폭 부분을 확정하고,
    구성된 상기 대역폭 부분에 따라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를 확정하고,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한 상기 주파수 영역 리소스를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기준 포인트와 상기 제 2 기준 포인트는 부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전체 기준 신호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구성된 대역폭 범위 내에 있는 부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체 기준 신호는 상기 기준 포인트에 의해 확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KR1020227046447A 2017-06-16 2017-06-16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619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8792 WO2018227622A1 (zh) 2017-06-16 2017-06-16 无线通信方法和设备
KR1020227004755A KR102484604B1 (ko) 2017-06-16 2017-06-16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755A Division KR102484604B1 (ko) 2017-06-16 2017-06-16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568A KR20230007568A (ko) 2023-01-12
KR102619306B1 true KR102619306B1 (ko) 2023-12-29

Family

ID=6465878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298A KR102363662B1 (ko) 2017-06-16 2017-06-16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227046447A KR102619306B1 (ko) 2017-06-16 2017-06-16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227004755A KR102484604B1 (ko) 2017-06-16 2017-06-16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298A KR102363662B1 (ko) 2017-06-16 2017-06-16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755A KR102484604B1 (ko) 2017-06-16 2017-06-16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3) US10925060B2 (ko)
EP (3) EP4044730A1 (ko)
JP (1) JP7225129B2 (ko)
KR (3) KR102363662B1 (ko)
CN (4) CN116319223A (ko)
AU (2) AU2017418045B2 (ko)
BR (1) BR112019026140A2 (ko)
CA (1) CA3064971C (ko)
IL (2) IL270790B2 (ko)
MX (1) MX2019015130A (ko)
PH (1) PH12019502668A1 (ko)
RU (1) RU2743486C1 (ko)
SG (1) SG11201911228UA (ko)
TW (1) TWI716696B (ko)
WO (1) WO2018227622A1 (ko)
ZA (1) ZA2020000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662B1 (ko) 2017-06-16 2022-02-16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9028768A1 (zh) * 2017-08-10 2019-02-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调整信息传输的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11589239B2 (en) 2019-01-04 2023-02-21 Mediatek Inc. Methods of efficient wideband operation for intra-band non-contiguous spectrum
CN111585724B (zh) * 2019-02-15 2023-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设备
WO2021087925A1 (zh) * 2019-11-07 2021-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配置取消传输资源指示信息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13784398B (zh) * 2020-06-09 2023-03-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3810978B (zh) * 2020-06-15 2022-1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指示方法及装置
WO2022027488A1 (zh) * 2020-08-06 2022-02-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5804206A (zh) * 2020-08-07 2023-03-14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通信装置
WO2022067780A1 (zh) * 2020-09-30 2022-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信号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74016B (zh) * 2007-08-20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系统中的同步方法和分配频率资源的方法
CN101567714A (zh) * 2008-04-24 2009-10-28 夏普株式会社 用于信息反馈的子带判决方法、基站、用户设备以及通信系统
US20100073052A1 (en) * 2008-09-19 2010-03-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mpany, Ltd Fractional resolution integer-n frequency synthesizer
CN101436900B (zh) * 2008-12-25 2013-01-02 重庆重邮信科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演进系统的全频段频点扫描的方法及装置
US8599708B2 (en) * 2010-01-14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feedback based on reference signal
CN102215510A (zh) * 2010-04-02 2011-10-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及终端进行信号测量的方法
JP5803164B2 (ja) * 2011-03-10 2015-11-04 富士通株式会社 光送信器
EP4184980A1 (en) * 2011-04-18 2023-05-2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receiving on a downlink carrier
CN103249076A (zh) * 2012-02-06 2013-08-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参考信号测量方法及装置
EP2829101A4 (en) * 2012-03-21 2015-12-09 Nokia Technologies Oy CYCLIC CHANNEL STATUS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FOR NEW CARRIER TYPE WITH REVERSE COMPATIBLE SEGMENT
US9198070B2 (en) * 2012-05-14 2015-11-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adio link monito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3491583B (zh) * 2012-06-13 2017-06-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于认知无线电系统的频谱切换方法和设备
GB2510138A (en) * 2013-01-24 2014-07-30 Sony Corp Allocating communications resources within different frequency ranges according to the relative capability of a communications device
US20150119056A1 (en) * 2013-10-30 2015-04-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N104684027A (zh) * 2013-11-28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非对称带宽的分配方法、装置及演进型基站
WO2015109513A1 (zh) 2014-01-24 2015-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用户设备及基站
US10009912B2 (en) * 2015-11-20 2018-06-26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and token bucket for communication co-existence
CN106850165B (zh) * 2016-07-29 2019-03-0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子带配置的指示方法及装置、子带接入方法及装置
ES2834936T7 (es) * 2016-11-04 2023-10-27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y aparato para identificar y usar recursos radioeléctricos en una red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US10492157B2 (en) * 2017-01-04 2019-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ystem information delivery in advanced wireless systems
WO2018143760A1 (ko) * 2017-02-06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정 수행 방법 및 사용자기기
CN108633059B (zh) * 2017-03-25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配置、确定部分带宽及指示部分带宽的方法及设备
WO2018203726A1 (en) * 2017-05-04 2018-11-08 Innovative Technology Lab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reference signal for broadcast channel
EP4013122A1 (en) * 2017-05-04 2022-06-1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Beam-based measurement configuration
WO2018204887A1 (en) * 2017-05-04 2018-11-08 Ofinno Technologies, Llc Rach power offset
CN111491379B (zh) * 2017-05-05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分配的方法、用户设备和网络设备
US10270573B2 (en) * 2017-05-16 2019-04-2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reusing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configuration bits to signal a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location
US10951371B2 (en) * 2017-05-19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CSI-RS transmission overhea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119011B2 (ja) * 2017-06-15 2022-08-16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広帯域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の周波数位置インデックス化
WO2018232228A1 (en) * 2017-06-16 2018-12-20 Intel IP Corporation Physical resource block indexing for coexistence of narrow band, carrier aggregation, and wide band user equipment in new radio
EP3471296A4 (en) * 2017-06-16 2020-03-25 LG Electronics Inc. -1-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102363662B1 (ko) * 2017-06-16 2022-02-16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US10652856B2 (en) * 2017-06-22 2020-05-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392122B (zh) * 2017-08-10 2023-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终端和基站
CN109392170B (zh) * 2017-08-11 2021-12-2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资源分配方法及装置、用户设备、基站、可读存储介质
TWI683589B (zh) * 2017-08-18 2020-01-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系統中隨機存取配置的方法和設備
US11337170B2 (en) * 2017-10-02 2022-05-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25041B2 (en) * 2017-10-09 2021-02-16 Qualcomm Incorporated Common indexing for uplink physical resource blocks
US10848363B2 (en) * 2017-11-09 2020-11-24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or mixed numerology
DE112018005341T5 (de) * 2017-11-13 2020-06-18 Nec Corporation Funkendgerät und Verfahren dafür
ES2960352T3 (es) * 2017-11-16 2024-03-0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Informe de información de estado de canal sobre la parte de ancho de banda
PL3490319T3 (pl) * 2017-11-22 2024-03-18 Nokia Technologies Oy Określenie grup bloków zasobów w części przepustowości łącza sprzętu użytkownika
US11050478B2 (en) * 2017-12-19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reporting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US10849152B2 (en) * 2018-01-09 2020-11-24 Apple Inc. Beam management for carrier aggregation (CA)
WO2019160720A1 (en) * 2018-02-13 2019-08-22 Idac Holdings, Inc. Methods for unlicensed resource selection
US11129164B2 (en) * 2018-02-13 2021-09-21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system information change
EP3753193B1 (en) * 2018-02-16 2024-01-03 Lenovo (Singapore) Pte. Ltd. Resources corresponding to bandwidth parts
US11153904B2 (en) * 2018-02-21 2021-10-19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Prioritizing access and services in next generation networks
US10856320B2 (en) * 2018-04-06 2020-12-01 Lenovo (Singapore) Pte. Ltd. Configuring for bandwidth parts
US11503518B2 (en) * 2018-04-13 2022-11-15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point determination
US11563541B2 (en) * 2018-05-11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mapping for broadcasted system information
US10904785B2 (en) * 2018-06-08 2021-01-26 Qualcomm Incorporated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 framework to support positioning measurements
CN112399590B (zh) * 2019-08-16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频域资源分配方法及装置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6900*
3GPP R1-1706976
3GPP R1-1707420*
3GPP R1-170849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7921A4 (en) 2020-08-12
BR112019026140A2 (pt) 2020-06-30
US10925060B2 (en) 2021-02-16
CN116319222A (zh) 2023-06-23
US11937242B2 (en) 2024-03-19
SG11201911228UA (en) 2020-01-30
WO2018227622A1 (zh) 2018-12-20
TWI716696B (zh) 2021-01-21
ZA202000091B (en) 2021-08-25
KR20230007568A (ko) 2023-01-12
AU2017418045A1 (en) 2019-12-19
IL270790B1 (en) 2023-06-01
KR20200016887A (ko) 2020-02-17
JP7225129B2 (ja) 2023-02-20
US20200092888A1 (en) 2020-03-19
TW201906440A (zh) 2019-02-01
JP2020524939A (ja) 2020-08-20
CN111132336A (zh) 2020-05-08
KR20220025232A (ko) 2022-03-03
KR102484604B1 (ko) 2023-01-04
EP3627921B1 (en) 2023-10-04
US20230254869A1 (en) 2023-08-10
RU2743486C1 (ru) 2021-02-19
CA3064971C (en) 2023-10-17
CN116319223A (zh) 2023-06-23
PH12019502668A1 (en) 2020-06-08
EP4221405A1 (en) 2023-08-02
CA3064971A1 (en) 2018-12-20
IL270790A (en) 2020-01-30
EP4044730A1 (en) 2022-08-17
AU2017418045B2 (en) 2023-02-16
KR102363662B1 (ko) 2022-02-16
EP3627921A1 (en) 2020-03-25
CN110024460A (zh) 2019-07-16
US20210127395A1 (en) 2021-04-29
IL270790B2 (en) 2023-10-01
AU2023202428A1 (en) 2023-05-11
CN111132336B (zh) 2021-02-19
IL303346A (en) 2023-08-01
MX2019015130A (es)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9306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US11910369B2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3207182A (zh) 切换资源池的方法、终端设备和通信设备
EP3749028B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CN107710822B (zh) 载波跳转的方法、终端和基站
JP2024026336A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KR20200094198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기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20200052313A (ko)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
CN110741700B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JP2022501857A (ja) 能力報告の方法及びデバイス
KR20200130718A (ko) 통신 방법 및 기기
KR20210024651A (ko) 사이드 링크 통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511434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장비
KR102575922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JP2023089197A (ja) 無線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