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619A -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619A
KR20220163619A KR1020210071986A KR20210071986A KR20220163619A KR 20220163619 A KR20220163619 A KR 20220163619A KR 1020210071986 A KR1020210071986 A KR 1020210071986A KR 20210071986 A KR20210071986 A KR 20210071986A KR 20220163619 A KR20220163619 A KR 20220163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n
ocher
manufacturing
coating agent
a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702B1 (ko
Inventor
김갑용
Original Assignee
김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용 filed Critical 김갑용
Priority to KR102021007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7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7Oils, fats or waxes natural resins
    • C04B41/474Natural resins, e.g. 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ceramic materials
    • C04B41/5037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2Coating or impregnation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83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골함을 제조시 내부면에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도포제를 도포 및 건조시켜 일체화함으로서 내부에 유골을 보관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유골의 부패 방지는 물론 악취제거, 방충 등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성지가지재를 포함함으로서 가톨릭 신앙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성지가지(축성)를 사용하여 성물(聖物)을 제작함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 Green celadon urns manufactured using lacquer liquid, loess and holy ground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
본 발명은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고인(故人)을 추모(追慕)하는데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고 유골의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벌레의 침투 등을 방지하도록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한 유약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좁은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매장(埋葬)문화에서 점차 화장(火葬)문화로 대체되고 있고 이에 납골장묘에 관한 사회적 관심과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장묘에서는 주로 고인의 유골을 모신 수납하는 상자나 용기 형태의 유골함(遺骨函) 또는 화장한 시체의 유골을 넣을 수 있게 만든 상자나 용기 형태의 납골함(納骨函)을 납골묘지 공원에 안치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골함 또는 납골함은 일반적으로 저면이 밀폐된 사각 또는 원통형 용기체로서 내부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부로는 탈부착이 가능한 밀폐뚜껑이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대개 석재인 대리석이나 도자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대리석은 그 재질을 다른 성분을 더 혼합하거나 형상의 변형을 가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도자기의 경우 다양한 재료를 혼합하거나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이 가능해 다양한 디자인이나 기능을 갖는 유골함의 제조에 유리하다.
상기 도자기 형태의 유골함에 관한 선행기술의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90464호(참고문헌 1)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이의 유골함은 황토 및 고령토 등과 같은 도자기 재료를 반죽 후 소정 형상으로 성형 후 유약을 바른 후 고온에서 소성하여 제조하며, 유골함의 상부 뚜껑과 하부의 바닥면을 제외하고 유약을 바른 후 고온에서 소성하여 도자기로 이루어진 유골함을 제조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의 유골함은 일반적인 도자기 제조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제조방식이 매우 단조로워 고인을 추모할 수 있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아울러 유골함에 유골을 보관시 장시간 완벽한 진공상태 및 밀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나 습도의 변화로 인해 유골함 내부에 습기가 차면 고인의 유골이 부패하여 심한 악취가 발생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벌레가 침투해 주변 환경 역시 비위생적이어서 유골함의 보관 및 관리 등에 어려움이 있었다.
참고문헌 1 : 등록실용신안 제20-0290464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인을 추모하는데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고 유골의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벌레의 침투 등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유골함에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해 녹청자 유골함을 제조함으로서 납골함에 모신 고인을 추모하는데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고 유골의 부패 방지 및 방충 기능을 발휘하여 장시간 유골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인의 유골이 담겨지는 수용공간을 갖는 유골함 성형물의 내부면에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가 설정비율로 포함된 기능성 도포제를 도포하여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 도포제는 옻수액 70 ~ 8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 15 ~ 20중량부, 성지가지재(측백나무나 편백나무) 5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성지가지재는 편백나무 또는 측백나무 가지를 1년 이상 건조시켜 태운 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인의 유골이 담겨지는 수용공간을 갖는 유골함 성형물을 성형하고 초벌 및 재벌소성하는 제1단계; 상기 유골함 성형물의 내부면에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가 설정비율로 포함된 기능성 도포제를 도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능성 도포제가 도포된 유골함 성형물을 설정 온도에서 건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한 녹청자 유골함의 제조방법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단계의 기능성 도포제는 옻수액 70 ~ 8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 15 ~ 20중량부, 성지가지재(측백나무나 편백나무) 5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유골함 성형물을 100℃ ~ 25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골함을 제조시 내부면에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도포제를 도포 및 건조시켜 일체화함으로서 내부에 유골을 보관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유골의 부패 방지는 물론 악취제거, 방충 등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성지가지재를 포함함으로서 가톨릭 신앙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성지가지(축성)를 사용하여 성물(聖物)을 제작함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유골함 성형물에 도포하는 기능성 도포제는 천연재료를 채취하여 얻어진 물질로만 이루어짐에 따라 환경 호르몬이나 화학 호르몬이 없어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유골함의 방수, 방습, 방부, 방충, 항균, 살균, 탈취, 원적외선 방사 등의 효능이 있어 유골함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한 녹청자 유골함의 제조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명에 따른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한 녹청자 유골함의 제조 공정 흐름도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유골함을 점토, 황토, 고령토 등과 같은 소재를 포함하는 공지(公知)의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로 제조되며, 이러한 유골함의 표면에는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포함하는 기능성 도포제를 도포하여 최종적인 유골함을 완성한다.
이러한 유골함은 적어도 유골이 담겨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도자기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흙으로, 점성을 부여하며 다른 재료들과 배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첨가되는 것이다. 점토, 황토, 고령토 등에서 선택시 도자기 성능이 검증된 흙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이들은 도자기 제작에 적합하도록 거친 알갱이를 부수기 위해 제토기를 이용해 수회 분쇄하여 채를 통과시켜 걸러낸 후 사용하고, 이 경우 제토 과정에서 불순물을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 도포제는 순수 황토흙을 채취하여 물에 풀어 흙물을 가라앉혀 채취하는 고운 황토와, 편백나무(측백나무) 가지를 1년 이상 건조시킨 성지가지를 태운 재를 쇠절구통을 이용하여 곱게 빻아 가루상태로 채취한 성지가지재와, 옻수액(옻나무 수액)을 일정비율로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기능성 도포제는 천연재료를 채취하여 얻어진 물질만을 사용하므로 대기, 수질, 토양 등의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성지가지(예를 들어 편백나무, 측백나무 등)재는 도자기의 제조시 도자기 표면의 색상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자연색소의 기능도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한 녹청자 유골함의 제조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A) 단계: 유골함 성형
우선 유골함 성형물은 적어도 유골이 담겨지는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도자기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흙으로, 점성을 부여하며 다른 재료들과 배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첨가되는 것이다. 점토, 황토, 고령토 등에서 선택시 도자기 성능이 검증된 흙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이들은 도자기 제작에 적합하도록 거친 알갱이를 부수기 위해 제토기를 이용해 수회 분쇄하여 채를 통과시켜 걸러낸 후 사용하고, 이 경우 제토 과정에서 불순물을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은 물을 일정 중량 비율(예를 들어 1:1) 한 후 숙성실에서 5 ~ 7일을 숙성시켜 점성을 증가시켜준 후 다양한 형상의 유골함을 성형한다. 이 경우 유골함의 용기와 뚜껑을 별도로 성형한다.
이때 도자기용 소지 조성물은 수작업, 물레작업, 석고틀을 이용한 몰딩작업 등 다양한 작업을 통해 유골함을 구성하는 용기와 뚜껑 성형물을 빚고, 굽깎기 또는 정형하기 등의 다듬기를 한다. 그 다음 그늘이나 서늘한 곳에서 서서히 자연 건조시킨다.
상기 성형물을 빚은 상태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재품의 형태를 굳히는 1차 건조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 경우 그늘에서 햇빛이 많이 들지 않고 바람이 불지 않는 송창에서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방향을 바꿔가며 말린 후 천천히 깎기(다듬기) 좋게 다시 한번 더 말린다. 이후 성형물은 다듬기 및 깎기 등의 정형 과정을 거치고 충분한 시간을 두고 충분히 건조하여 습기를 없애는 완전건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자기 성형물의 완전건조시에는 그늘에서 3 ~ 5일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성형된 성형물은 초벌구이를 한다. 이는 가마 안에 성형물을 차곡차곡 쌓는 가마재임 작업을 한다. 성형물을 굽는 데에는 많은 노동력과 비용을 필요하므로 한번에 최대의 양을 채워 넣고 불을 때며,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내부에 틈이 없는지 잘 살펴보고 완벽한 보수 후에 작업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토기 성형물을 가마 내부에 채운 후 황토로 가마 입구를 밀봉하고, 불을 때 소성을 한다.
이 경우 전통가마(장작가마) 또는 가스가마에 성형물을 넣은 다음 설정 온도범위(예를 들어 800 ~ 900℃)의 온도범위에서 설정시간(예를 들어 10~12시간) 초벌소성을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초벌소성을 마친 성형물은 필요에 따라 통상의 유약을 도포하여 1,230℃ ~ 1,250℃로 재벌 소성할 수 있다.
상기 유약은 성형물의 표면이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매끄럽고 광택이 나는데 이는 초벌소성된 상태의 표면에 유약을 입혀 재벌소성하였기 때문이며, 이러한 유약은 성형물의 품질과 외관의 미려함과 예술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유약은 성형물의 표면에 점착되는 얇은 유리층으로서 자기의 흡수성을 저하시키고 심미감을 표출시킴은 물론 도자기에 튼튼한 강도를 부여하는 것으로 성형물의 표면에 칠해지고 열처리 융착되어 그 표면에 광택 또는 무광택의 표면층을 형성시키서, 투수성을 없애고 미적 효과를 크게 하고 아울러 도자기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유약은 통상 장석, 규석, 석회석, 활석, 형석, 골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소량의 안료가 첨가된다.
이와 같은 유골함 성형공정(A)은 통상의 도자기 성형방식을 그대로 수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성분을 더 포함함은 물론 그에 따른 온도 및 시간 조건을 반영하여 소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유골함 성형물의 외부면에 녹갈색 유약 처리를 하여 녹청자 도자기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광상태로 완성하거나 무광 상태로 완성할 수도 있다.
(B) 단계: 기능성 도포제 도포
상기 단계(A)를 통해 제조된 유골함 성형물은 고인을 추모하는데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고 유골의 부패 방지 및 방충 기능을 발휘하여 장시간 유골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유골함 성형물의 표면에 기능성 도포제를 도포한다.
이 경우 단계(A)를 통해 유골함 성형물의 외부면에 유약 처리를 한 경우 기능성 도포제를 유약이 비처리된 유골함 성형물의 내부면에 도포한다. 물론 유약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골함 성형물의 내부면은 물론 외부면 역시 기능성 도포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도포제는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설정비율로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옻수액은 옻나무에서 추출하며, 상기 황토는 순수 황토흙을 채취하여 물에 풀어 흙물을 가라앉혀 채취하는 고운 황토와, 편백나무(측백나무) 가지를 1년 이상 건조시킨 성지가지를 태운 재를 쇠절구통을 이용하여 곱게 빻아 가루상태로 채취한 성지가지재를 준비하며, 이들을 설정 비율로 고루게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옻수액은 옻나무에서 추출한 수액으로서, 옻칠을 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옻칠은 옻나무의 수액을 피도물 표면에 칠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옻칠을 한 피도물은 통상 방수, 방습, 방부, 방충, 항균, 살균, 탈취, 원적외선 방사 등의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환경 호르몬이나 화학 호르몬이 없어지는 점이 큰 장점이다.
또한 옻칠의 장점으로 항균과 살균성을 꼽을 수가 있는데 세균 오염방지는 물론 음식물이나 곡물 여러 다양한 물질 등을 빨리 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옻칠한 그릇에는 은은하고 독특한 고유의 향이 있어서 운치를 더해주고 산이나 알칼리에 쉬녹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열성, 내염성, 방부성, 방수성, 절연성 등이 뛰어나 예로부터 내구성이 요구되는 각종 생활용품, 가구, 애용품 등에 많이 쓰여져 왔다. 또한 옻칠한 그릇을 실내에 놓게 되면 요즘 어린이들에게 유행하는 아토피나 피부 알레르기가 사라진 것은 그 효능을 입증하는 것이다. 옻은 몇천 년이 지나도 그 본질과 형태가 변하지 않고 해충이나 식중독을 막아준다. 한국 산업기술 시험원에 의하면 옻칠의 전자파 차단 99.9% 항균력과 84%의 탈취력과 중금속 성분 미검출, 원적외선 방사율 1일 기준 89.5% 까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렇게 옻이 항균, 방수, 방습, 전자파 차단에 탁월한 이유는 칠할 때 기물 안으로 수액체가 스며들어 가면서 위에서는 비닐처럼 막을 형성해 완전 코팅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아울러 옻은 내열, 방수, 방부, 항균, 방충, 방습, 등 체질개선 소화를 도와주고 냉증이나, 생리불순에도 좋고 술로 인한 손상된 간의 회복 기능에도 탁월하다.
다음으로 황토는 분해력과 자장력, 흡수력 등 많은 약성을 가지고 있어서 습도 조절 기능과 온도유지 기능, 전자파 흡수 차단 효과 등의 효능도 있다. 이러한 황토는 물을 더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강한데다 석영과 장석, 운모, 방해석 등이 들어 있어서 이들 물질이 철분과 함께 산화작용하여 황색, 자색, 적색, 회색 등의 색깔을 나타내기도 한다.
황토의 가장 좋은 효능으로는 원적외선의 유해물질을 배출시키는 광전효과와 전자파 차단 효과, 습도 조절 효과, 해독 작용, 항균 작용, 염증제거, 중금속 배출 등의 효능 작용 등 그 외에도 많은 양의 탄산칼슘을 함유하고 있어 붉은색을 띄고 있는데 탄산칼슘은 점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흙이 뭉쳐 쉽게 흩어지지 않는다. 점성외에도 철분이나 마그네슘, 나트륨 등이 들어 있으며 이 많은 미네랄 효소 성분이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사람의 몸에 좋은 영향을 준다. 그리고 황토는 살아 있는 효소들의 터전이기에 정화작용이나 분해작용을 한다.
예로부터 동의 보감이나 왕실양명술에 보면 궁중내부에 찜질방을 두어 왕등이 피곤할 때 심신을 달래주었다고 한다. 또한 복룡간이라 하여 오래된 아궁이에서 나온 황토는 어혈을 조율하는 작용에 사용하였고, 황토의 기운을 계속해서 쬐면 부인병이 없어지는 것을 보면 황토의 원적외선이 우리몸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황토 원적외선 파장은 8 ~ 14 마이크론으로 우리 몸속에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 하고 열 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 물질을 방출하는 효과가 있는 곳으로, 아울러 노폐물 배출에 의한 피부 미용효과, 혈관조절 효과로 인한 중풍 예방 효과, 유해 중금속의 배출로 인한 성인병 예방, 간, 뇌 자극과 말초 신경자극에 의한 성기능 개선 효과, 혈액을 맑게하는 정혈 효과, 부인병 예방 효과(생리통 생리불순 출산 후유증 등), 활발한 장운동으로 왕성한 소화력 변비 해소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도포제로 사용하는 황토는 날씨가 아주 좋은날 채취하며, 채취한 황토는 햇볕에 바싹 말려서 모아둔다. 채취한 황토를 완전 건조하여 물에 담그면 풀어지면서 미세한 황토 입자가 위에 뜨는데 이 입자를 골라 내는 것을 수버라고 한다. 황토를 물에 풀어 덩어리를 부수면서 잘 저어주면 굵은 입자는 가라앉고 고운 황토물만 위에 남게된다. 이때 고운 황토물만 위로 분리하여 채취하여 햇볕에서 7일 그늘에서 7일 정도 두어 숙성을 시킨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성지가지재는 편백나무, 측백나무를 잘 건조(예를 들어 건조기간 1년)시켜 태운 재이다. 일반적으로 전국 각 성당에서는 사순시기(2 ~ 3월)에 사순절을 준비하기 위해 천주교에서는 지난해 예수부활 전 성지주일에 연중행사로 신부님이 성지가지를 축성하는 예식이 있는데, 축성된 성지가지를 성당 각 신자가정에 나눠주어 예수 십자가 고상 뒤편에 함께 걸어 놓는 의무의 의식을 한 다음 사순시기에 약 1년동안 자연 건조된 성지가지를 다시 성당으로 가져오도록 하여 사순절 제의 수요일날 재를 이마에 긋는 예식이 있는데, 그때 사용하기 위해서 각 가정에서 성당으로 가지고 온 성지가지를 태워 재를 만들어 행사에 사용한다. 이때 소량을 행사에 사용하며, 사용하지 않고 남아 버려지는 성자기가재를 60 ~ 100목의 채로 걸러낸 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백나무는 나쁜 냄새를 없애주고 혈열이나 혈허로 인한 병후의 탈모나 머리카락이 발리 희어지는 조백증상에 효능이 있고, 담을 없애고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어 노인들의 만성 기관지염에 효능이 있다.
그리고 편백나무는 피톤치드가 홈유되어 있어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효과입니다. 편백나무는 일반나무 보다 5배 이상 피톤치드를 함유하고 있다. 다량 함유된 피톤치드의 살균 항균력이 각종 호흡기, 아토피, 새집증후군, 스트레스완화 머리에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숙면을 도와준다.
이상의 기능성 도포제는 옻수액 70 ~ 8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 15 ~ 20중량부, 성지가지재(측백나무나 편백나무) 5 ~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일 예로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는 8: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가 설정 중량비율로 고르게 혼합된 기능성 도포제는 단계(A)를 통해 제조된 유골함 성형물의 내부면에 도포한다.
특히 예를 들어 상기 유골함 성형물은 적어도 유골이 담겨지는 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므로, 용기의 내부면과 뚜껑의 내부면에 기능성 도포제를 도포한다. 이를 통해 유골함 내부에 유골을 보관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유골의 부패 방지는 물론 악취제거, 방충 등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성지가지재를 포함함으로서 가톨릭 신앙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성지가지(축성)를 사용하여 성물(聖物)을 제작함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기능성 도포제는 단계(A)를 통해 제조된 유골함 성형물의 외부면에만 유약 처리가 된 경우에 내부면에 도포할 수 있으며, 만약 유골함 성형물이 유약처리가 안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유골함 성형물의 외부면에도 도포될 수 있다.
(C) 단계: 건조 공정
상기 단계(B)를 통해 기능성 도포제가 도포된 유골함 성형물은 설정 온도에서 건조처리하여 경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열(熱)에 의해서 경화 건조시에는 도포제에 첨가된 옻수액은 섭씨 100℃ 이상의 고온에 노출이 되면 수시간내 우루시올이 자체적으로 중합반응을 해서 경화가 되므로, 최하100℃ ~ 최고150℃ 사이에서 5시간에서 90분정도 열건조시키고, 200℃ 이상에서는 30분정도 열건조 하면된다. 이처럼 고온에서 열건조시 도포제속 옻수액은 경화되면서 광택과 접착력이 향상되고 특유한 냄새도 자연스럽게 제거된다.
이때 상기 유골함 성형물은 설정 온도인 100℃ ~ 250℃의 조건하에서 건조시켜 유골함이 완성되며, 이를 통해 환경 호르몬이나 화학 호르몬이 없으면서도 유골함의 방수, 방습, 방부, 방충, 항균, 살균, 탈취, 원적외선 방사 등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유골함 성형물의 건조는 설정 온도에서 예를 들어 1 ~ 3시간 건조하며, 일 예로 열풍 건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건조시간 및 건조 방식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고인의 유골을 모신 수납하는 상자나 용기 형태의 녹청자 유골함(遺骨函) 내지 화장한 시체의 유골을 넣을 수 있게 만든 상자나 용기 형태의 녹청자 납골함(納骨函) 모두에 적용하여 실시 사용할 수 있고, 또 곡식 등을 담아 보관하는 저장용 쌀통항아리, 뒤주 등에 적용하여 실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A: 유골함 성형
B: 기능성 도포제 도포
C: 건조 공정

Claims (6)

  1. 고인의 유골이 담겨지는 수용공간을 갖는 유골함 성형물의 내부면에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가 설정비율로 포함된 기능성 도포제를 도포하여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도포제는 옻수액 70 ~ 8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 15 ~ 20중량부, 성지가지재(측백나무나 편백나무) 5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지가지재는 편백나무 또는 측백나무 가지를 1년 이상 건조시켜 태운 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4. 고인의 유골이 담겨지는 수용공간을 갖는 유골함 성형물을 성형하고 초벌 및 재벌소성하는 제1단계;
    상기 유골함 성형물의 내부면에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가 설정비율로 포함된 기능성 도포제를 도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능성 도포제가 도포된 유골함 성형물을 설정 온도에서 건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한 녹청자 유골함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기능성 도포제는 옻수액 70 ~ 8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토 15 ~ 20중량부, 성지가지재(측백나무나 편백나무) 5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한 녹청자 유골함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유골함 성형물을 100℃ ~ 25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한 녹청자 유골함의 제조방법.
KR1020210071986A 2021-06-03 2021-06-03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256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986A KR102563702B1 (ko) 2021-06-03 2021-06-03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986A KR102563702B1 (ko) 2021-06-03 2021-06-03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619A true KR20220163619A (ko) 2022-12-12
KR102563702B1 KR102563702B1 (ko) 2023-08-03

Family

ID=8439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986A KR102563702B1 (ko) 2021-06-03 2021-06-03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7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464Y1 (ko) 2002-07-02 2002-09-27 하성배 유골함
KR20060021441A (ko) * 2004-09-03 2006-03-08 김영림 유골함과 그 제조방법
KR101613392B1 (ko) * 2015-03-09 2016-04-18 김갑용 통기성을 갖춘 무유약 토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토기
KR102233878B1 (ko) * 2020-10-08 2021-03-31 주식회사 은서테크 실크스크린 공정을 통하여 옻이 도포된 금속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금속판을 포함하는 식품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464Y1 (ko) 2002-07-02 2002-09-27 하성배 유골함
KR20060021441A (ko) * 2004-09-03 2006-03-08 김영림 유골함과 그 제조방법
KR101613392B1 (ko) * 2015-03-09 2016-04-18 김갑용 통기성을 갖춘 무유약 토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토기
KR102233878B1 (ko) * 2020-10-08 2021-03-31 주식회사 은서테크 실크스크린 공정을 통하여 옻이 도포된 금속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금속판을 포함하는 식품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702B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3702B1 (ko)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0602522B1 (ko) 원적외선 황토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6675500B2 (ja) 機能性イメージ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13392B1 (ko) 통기성을 갖춘 무유약 토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토기
WO200706416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uman bone pottery
KR100940348B1 (ko) 황토삼베층이 표면코팅된 종이재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0707864B1 (ko) 이중 도자기유골함의 용기 및 뚜껑의 제조방법과 물품
KR101506251B1 (ko) 친환경 온돌 바닥 및 온돌 침대용 마감 플레이트의 조성물과 그 마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과 그 시공방법
KR100558208B1 (ko) 위생적인 납골함
KR100529699B1 (ko) 생황토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202004B1 (ko) 황토를 이용한 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제조된 관
Gupta Clay-traditional material for making handicrafts
JP2002128561A (ja) 遠赤外線陶磁器
KR200408634Y1 (ko) 이중 도자기유골함의 용기 및 뚜껑
KR101030801B1 (ko) 유골함 겸 향로 및 그 제조방법
KR200345731Y1 (ko) 생황토 판화
KR101530593B1 (ko) 뼈 가루를 이용한 고형체 제조방법 및 뼈 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형체
KR102350872B1 (ko) 생분해성 천연 편백황토와 일라이트 참숯 한지를 이용한 유골함과 그 제조방법
KR20030090447A (ko) 천기 추모함
KR200383226Y1 (ko) 통풍이 강화된 도자기 납골함
KR20030015664A (ko) 유골 처리방법
KR20190102663A (ko) 발효식품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7934B1 (ko) 유골의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공품
JP3075181U (ja) 骨 壷
JP3176881U (ja) 木鋸くず仏像デザイン型成型骨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