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557A - Embedded Road Marker Case - Google Patents
Embedded Road Marker 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3557A KR20220163557A KR1020210071707A KR20210071707A KR20220163557A KR 20220163557 A KR20220163557 A KR 20220163557A KR 1020210071707 A KR1020210071707 A KR 1020210071707A KR 20210071707 A KR20210071707 A KR 20210071707A KR 20220163557 A KR20220163557 A KR 202201635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main body
- longitudinal direction
- buried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가 도로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로에 설치하는 매립식 표지병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몸통부는 지하로 매립하고 지상으로는 케이스 상부만이 노출되도록 하여 도로의 과속방지턱이나 횡단보도에 사용하기 적합한 매립식 표지병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of a landfill marker installed on a road so that a vehicle driver can recognize the road condition. It relates to the case of landfill markers suitable for use in crosswalks.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표지병은 차량의 야간 주행 시 헤드라이트 불빛을 반사하거나 자체 발광하도록 도로의 차선에 박아 놓은 표지물을 칭한다.As is well known, a signpost refers to a sign placed on a lane of a road to reflect headlights or self-illuminate when a vehicle is driving at night.
즉, 표지병은 중앙 분리선, 도로 경계선, 급커브선 등에 설치하여 도로 정보를 차량 운전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안전을 도모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흐린 날이나 야간 등과 같이 차량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에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을 재귀 반사하거나 자체 발광원에서 빛을 발산하여 차량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 형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In other words, the markers are installed on the central dividing line, road boundary line, sharp curve line, etc.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easily grasp the road information, thereby promoting safety. In particular,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vehicle driver to secure forward vision, such as on a cloudy day or at night,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is reflected back or light is emitted from the self-luminous source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easily grasp the shape of the road.
이러한 도로 차선에 사용하는 종래 표지병의 일반적인 실시 태양은 한국공개특허 제1998-0002459호에 잘 나타나 있는데, 몸체가 도로 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있고, 몸체 하부에 지하로 매립 설치되는 스터드(stud)를 구비한다. 그리고 몸체의 적어도 일면에는 반사체 또는 발광체를 구비하여, 차량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 중에 보다 손쉽게 도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준다.A general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marker used in such a road lane is well shown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8-0002459, in which the body protrudes upward from the road surface, and a stud installed underground buri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is provided. do. In addition, a reflector or a light emitting body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more easily identify road information while driving the vehicle.
그리고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1998-0002459호와 같은 종래 도로표지병은 주로 차선 상에 설치되므로, 제품 폭을 차선 너비에 맞춰 소형으로 제작한다. 또한 차선 상에 위치하는 표지병은 주행 중인 차량 바퀴가 닿는 일이 드물어 충격의 우려가 적으므로,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제품 높이는 2~3cm 정도나 그 이상으로 제조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road markers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8-0002459 are mainly installed on lanes, the product width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ccording to the lane width. In addition, since the markers located on the lane rare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wheels of a running vehicle, there is little risk of impact, so the height of the product protruding from the ground is about 2 to 3 cm or more.
한편, 과속방지턱이나 횡단보도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표지병은 운전자의 시인성(visibility)을 확보하기 위해 차선 상이 아닌 차선과 차선 사이 도로 중간에 설치한다.On the other hand, a marker used to inform the existence of speed bumps or crosswalks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road between lanes rather than on lanes to secure driver's visibility.
따라서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1998-0002459호와 같은 종래 도로표지병을 과속방지턱이나 횡단보도에 사용하면, 지면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가 높으므로 운행 중인 차량의 타이어에 의해 충격을 받아 파손되거나 지면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눈이 쌓인 도로에서는 제설차의 제설기구와 돌출된 몸체가 충돌하여 손상 및 이탈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도로표지병은 장치의 폭이 좁아 발광면적이 작으므로 운전자의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Therefore, when a conventional road marker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8-0002459 is used for a speed bump or a crosswalk, it has a high protruding height from the top of the ground, so it is impacted by the tire of a vehicle in operation and is damaged or separated from the ground Problems arise frequently. In addition, on snowy roads,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snow removal mechanism and the protruding body of the snowplow collide and are damaged and separated. In addition, since the width of the device is narrow and the light emitting area is small,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driver's visibility.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몸체가 지하로 매립되고 빛 반사나 발광을 위해 상부 일부만 도로 표면으로 노출시켜 차량타이어와의 충돌 충격을 최소화하며, 비교적 긴 폭에 걸쳐 발광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직육면체 상자형 표지병이 과속방지턱이나 횡단보도용 표지병으로 제안된 바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the body is buried underground and only a part of the upper part is exposed to the road surface for light reflection or light emission, minimizing the impact of collision with vehicle tires, and a rectangular box shape that can cause light emission over a relatively long width. Signs have been proposed as speed bumps or crosswalk markers.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0694289호에 개시된 횡단보도용 표지병은 횡단보도의 노면에 매립하는 대략 직육면체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내부공간에 외광 반사부를 구비한 부재를 구비하며 상부에 투명 보호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0806209호에 개시된 과속방지턱용 표지병은 과속방지턱에 홈을 파고 삽입 설치하는 직육면체 케이스로 구성되며 내부에 발광램프를 장착하고 상부에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보호창이 설치되어 있다.For example, the crosswalk sign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694289 is composed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housing embedded in the road surface of the crosswalk, and has a member with an external light reflector in the interior space,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cover is installed on the top. has been In addition, the marker for speed bump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806209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se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by digging a groove in the speed bump, and has a light emitting lamp installed inside and a protective window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through.
상기 종래 과속방지턱이나 횡단보도용 표지병의 케이스(하우징)들은 주철로 주조하거나 합성수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사각함체를 형성하고, 상면은 빛의 투과가 용이하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제 커버를 덮어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cases (housings) of the conventional speed bumps or crosswalk signs are cast iron or integrally injection-molded with synthetic resin to form a rectangular box, and the upper surface is covered with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cover to facilitate light transmission. to be.
그런데 이러한 종래 표지병은 그 상부로 지나가는 차량의 하중을 반복적으로 받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투명 커버와 케이스 사이에 생기는 변형이나 파손 등의 이유로 방수 성능이 훼손되고, 결국 우천 시 침수에 의한 장치 고장이 빈발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se conventional markers are repeatedly subjected to the load of vehicles passing over them,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waterproof performance is damaged due to deformation or damage between the transparent cover and the case, and consequently, equipment failure due to flooding in rainy weather is frequent. There is a problem with
또한, 차량의 반복 하중은 표지병이 삽입된 도로 홈과 표지병 케이스 사이의 경계 부위를 파손시키며 도로 하자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상기 반복 하중은 표지병 케이스 하부의 홈 바닥면을 침하시켜서 표지병 케이스가 홈 속으로 점점 함몰되게 만드는데,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표지병 상부의 발광부위가 지면에 점차 가려지고 발광효과가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repeated load of the vehicle damages the boundary between the road groove into which the marker is inserted and the marker case, and causes road defects. In addition, the repeated load sinks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at the bottom of the marker case, causing the marker case to gradually sink into the groove.
특히 상기 한국 등록특허 제0694289호의 표지병은 하우징 상부가 전방을 향해 경사져서 전방 쪽으로만 빛을 반사하므로 반드시 한 방향으로만 효과를 볼 수밖에 없고, 상부 후방 쪽이 지면에서 높게 돌출되어 있어서 자동차 바퀴나 제설차 제설기구와 충돌하여 파손될 우려가 크다.In particular, the cover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694289 has an upper part of the housing that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and reflects light only toward the front, so it is inevitably effective in only one direction, and the rear part of the upper part protrudes high from the ground, so it can be used as a wheel of a car or a snowplow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due to collision with snow removal equipment.
그리고 상기 한국 등록특허 제0806209호에 개시된 과속방지턱용 표지병은, 과속방지턱 최상단 볼록한 부분에 길게 매립 설치되는데, LED광원이 빛을 상향으로만 발광하는 구조이므로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speed bump mark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806209 is buried and installed at the uppermost convex part of the speed bump. Since the LED light source emits light only upward, there is a problem of poor visibility.
본 발명은 도로 지면, 특히 횡단보도나 과속방지턱에 매립 설치하되, 운행 중인 차량 타이어나 제설차의 제설기구와 접촉 시, 충격을 줄일 수 있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ried marker case that can be installed on a road surface, particularly a crosswalk or speed bump, but can reduce impact when in contact with a driving vehicle tire or a snow removal device of a snowplow.
또한, 본 발명은 표지병이 삽입된 도로의 구멍과 표지병 케이스 사이의 경계 부위를 파손이나 도로 삽입구멍의 침하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 구조의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dfill type marker cas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damage to the boundary between the marker case and the hole in the road into which the marker is inserted is not easily caused or the settlement of the road insertion hole does not occur.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스의 조립 제작이 용이한 분리형 부품 구조를 제공하며, 도로에 설치된 후에는 표지병에 침수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의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parable part structure in which the assembly of the case is easy, and to provide a buried marker cas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flood damage does not occur to the marker after it is installed on the road.
또한, 본 발명은 지면에 매립된 상태에서 차량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으로 도로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로 양방향에서 동시에 발광하는 빛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한쪽 방향에서만 발광하는 빛을 식별할 수 있도록 선택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 역시 또 다른 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liver road information with high visibility to the vehicle driver in a state buried in the ground, and, if necessary, to identify light emitting simultaneously in both directions of the road, or to identify light emitting only in one direction It is also another task to provide a landfill marker case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selectively so that it can be install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는, 도로 지하로 매립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는 투명한 상부 커버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는 양쪽 마구리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육면체 형태의 메인보디와 상기 개방된 양쪽 마구리를 막으며 결합되는 사이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uried mark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buried under a road and a transparent upper cover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the body has both ends open, and an internal space with an open top formed inside the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body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nd a side cover that is coupled while blocking the open ends.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는 발광체를 삽입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발광체 수용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한 줄로 배치되어 발광 라인이 형성되고 태양전지 셀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태양전지 셀 수용홈이 형성된다.In the upper cover,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body receiving grooves capable of inserting and accommodating light emitting bodies are arranged in a long lin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light emitting line and a plurality of solar cell receiving grooves capable of receiving solar cells.
상기 발광 라인은 상부커버 길이방향 양 가장자리 각각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는 한 쪽 가장자리의 발광 라인에 포함된 발광체 수용홈의 발광 방향과 다른 쪽 가장자리의 발광 라인에 포함된 발광체 수용홈의 발광 방향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이 되도록 형성한다.The light emitting lines may be formed on both edg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over to form a pair.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line included in the light emitting line at one edge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ed in the light emitting line at the other edge are accommodated. The light emitting directions of the grooves are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한편, 상기 메인보디의 내부공간에는 지지구를 더 삽입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sert and install a supporter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상기 메인보디의 구체적 구성을 보면, 내부공간이 내부바닥과 상기 내부바닥의 길이방향 양 옆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중간측벽의 안쪽 면에 의해 형성되며, 내부바닥을 이루는 프레임은 중간측벽의 바깥쪽으로 수평 연장하다 다시 하방으로 꺾어 연장하여 한 쌍의 하부측벽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중간측벽의 상단은 바깥쪽으로 수평으로 구부려 연장하여 발광체 자리 날개를 형성하고, 상기 발광체 자리 날개는 바깥쪽 단부를 상부로 연장하여 상부측벽을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보디의 길이방향 바깥 측면에는 내부 쪽으로 함몰된 옆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보디의 길이방향 밑면에는 위쪽으로 함몰된 밑 공간이 형성된다.Looking a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the inner space is formed by the inner flo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iddle side wall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floor, and the frame constituting the inner floor is horizontal to the outside of the middle side wall. It extends and then bends downward again to form a pair of lower sidewalls, and the upper end of the middle sidewall is bent outward horizontally and extended to form a luminous body wing, and the outer end of the luminous body wing extends upward This formed the upper side wall. Accordingly, a side space recessed inward is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bottom space recessed upwar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상부측벽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바깥쪽으로는 수평 연장 형성된 걸림 날개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form a hanging wing formed horizontally extending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wall.
또, 상기 발광체 자리 날개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면을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form an inwardly inclined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uminous body wing.
또한, 상기 상부측벽의 바깥 면보다 상기 하부측벽 바깥 면이 틈새(t)만큼 내측으로 들어오도록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측벽의 안쪽 면 높이를 조립된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보다 소정길이(h)만큼 더 높아지도록 형성하는 것 역시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form the lower side wall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ide wall comes inward by a gap (t)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ide wall, and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ide wall is a predetermined length (h)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assembled upper cover. It is also desirable to form it to be higher as much as possible.
그리고 조립 시에 내부공간에는 겔상 수지를 충전시켜주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good to fill the interior space with a gel-like resin during assembly.
한편, 사이드 커버에는 메인보디의 내부 바닥에 윗면에 걸리도록 제2 가이드가 돌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내부 바닥 밑면에 걸리는 제1 가이드를 더 돌출 형성해 주는 것이 좋다.Meanwhile, a second guide protrudes from the side cover so as to be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ottom of the main body, and preferably, a first guide is more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ttom.
본 발명의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는, 도로 지면에 매립 시공할 때 그 지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높이를 매우 낮게 할 수 있어서, 운행 중인 차량 타이어나 제설차의 제설기구와 케이스 사이의 충돌 충격을 줄일 수 있으므로 특히 횡단보도나 과속방지턱처럼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면 상에 설치하기 적합하다.The buried cov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the height of the part protruding to the ground very low when embedded in the ground, reducing the impact of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tire or the snow removal device of the snowplow and the case in operation. In particular, it is suitable for installation on the road surface on which vehicles drive, such as crosswalks or speed bumps.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가 삽입된 도로의 구멍의 가장자리에 걸려 지탱되고, 도로와 경화성접착제로 일체화되도록 시공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운행 충격을 받더라도 표지병 케이스와 도로 사이의 경계 부위가 파손되거나 도로 삽입구멍 밑면의 침하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hanging on the edge of the hole of the road into which the case is inserted and can be constructed to be integrated with the road and curable adhesive, even if the vehicle is subjected to driving shock, the boundary between the marker case and the road is damaged or inserted into the road Settlement of the bottom of the hole does not occur easily.
특히, 본 발명은 몸체의 메인보디 길이방향 바깥 측면에는 함몰된 옆 공간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밑면에는 위쪽으로 함몰된 밑 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측벽 바깥 면에는 도로 구멍 벽과 틈새(t)가 벌어져 있으므로 경화성접착제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한다. 이에 따라 표지병 케이스와 도로 사이에는 매우 큰 결합력이 생성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ed side spac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 upward recessed spac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oad hole wall and gap t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ide wall. Since it is open, the contact area with the curable adhesive increases. As a result, a very large bonding force is created between the marker case and the road.
또 본 발명인 매립형 도로 표지명은 도로면에서 거의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매립되는 것이지만, 상부 커버의 발광체 수용 구조 덕분에 차량 운전자에게 높은 시인성으로 불빛 경고를 제공해 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ried road 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so that there is almost no protruding part on the road surface, but thanks to the light emitting body receiving structure of the upper cover, a light warning can be provided with high visibility to the vehicle driver.
그리고 본 발명인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는 도로 지면으로 상면이 노출되지만, 내부에 겔상 수지를 채움으로써 빗물 등이 내장 전자 부품까지 침투하는 것을 원천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andfill mark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o the road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rain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built-in electronic components by filling the inside with a gel-like resin.
도 1은 본 발명의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 커버를 밑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를 매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를 매립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ried mark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ried mark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the upper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ndfill mark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ndfill marker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ndfill cover bottl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so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실질적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Terms used for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se terms may be expressed in other term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designer or user, practical definitions of thes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s describ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 '하', '앞', '뒤', '전', '후', '좌, '우', '선단',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directionality such as 'top', 'bottom', 'front', 'back', 'front', 'back', 'left', 'right', 'front end', 'rear end'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re relative to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figure(s). However, since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directional terms are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are not limiting.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ase where component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engaged' with each other also includes cases made in an indirect way through intermediate components.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ried cover bottl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a buried cover bottl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hereof.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실시례에 따른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는 도로 지면에 매립되는 육면체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투명한 재질의 상부커버로 구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buried mark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ivided into a hexahedral body buried in the ground and a transparent upp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는 메인보디(10)에 사이드 커버(20)를 결합하여 형성한다.As shown in Figure 2, the body is formed by coupling the
메인보디(1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태의 프레임으로 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양쪽 마구리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는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13)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바깥 측면에는 내부 쪽으로 함몰된 옆 공간(61)이 형성되고 밑면에는 위쪽으로 함몰된 밑 공간(62)이 형성된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태의 프레임이다.The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메인보디(10)의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본다.The structure of the
우선, 메인보디(1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내부바닥(18)과 이 내부바닥(18)의 길이방향 양 옆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중간측벽(14)의 안쪽 면에 의해 내부공간(13)이 형성된다. 이 내부공간(13)에는 후술하는 축전지(71)와 제어기판(72) 등을 수용한다.First, the
상기 내부공간(13)에는 사각 블록 형상의 지지구(30)를 더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지지구(30)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공(31)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 바닥(18)의 결합공(11) 및 상부 커버(40)의 결합공(41)과 동시에 볼트(미도시)로 관통시켜 고정할 수 있다.In the
설치된 지지구(30)는 내부공간(13)을 소정 크기로 분할할 수 있고, 분할된 공간에는 다수의 축전지(71)나 제어기판(72) 등을 각각 나누어 수용함으로써 내부공간(13) 내에 수용되는 구성품들끼리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The installed
또한, 지지구(30)의 상면은 후술하는 상부커버(40) 밑면에 형성된 중간 돌출면(46)을 밑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설치 구조는 지나가는 차량 바퀴에 상부커버(40)가 눌릴 때 과도한 변형을 막아 파손되지 않도록 해준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내부바닥(18)을 이루는 프레임은 중간측벽(14)의 바깥쪽으로 소정 길이 수평 연장 한 후 길이방향 양 옆단을 하방으로 꺾어 소정 길이 연장시켜서 한 쌍의 하부측벽(19)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바닥(18) 프레임의 밑면과 하부측벽(19)의 안쪽 면으로 둘러싸인 밑 공간(62)이 형성된다. 즉, 밑 공간(62)은 메인보디(10)의 밑면에 위치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위쪽으로 함몰된 공간이다.In addition, the frame constituting the
상기 중간측벽(14)의 상단은 바깥쪽으로 꺾여 소정길이 수평 연장하여 형성된 발광체 자리 날개(17, 17-1)가 구비된다. 발광체 자리 날개(17, 17-1)는 발광체 모듈이 배치된 후 투명한 상부커버(40)을 얹어 설치하는 자리이다.The upp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은 프레임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메인보디(10)의 길이방향 바깥 측면에는 중간측벽(14)을 향해 함몰된 옆 공간(61)이 형성되어진다.An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frame as described above, a
한편,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발광체 자리 날개(17)는 그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실시례이고, 도 5에 도시된 발광체 자리 날개(17-1)는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실시례이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uminous
상기 발광체 자리 날개(17, 17-1)의 바깥쪽 단부는 상부를 향해 꺾어 연장시킨 상부측벽(15)이 형성된다.An
도 4에 도시된 상부측벽(15)은 안쪽 면의 높이를 상부 커버(4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한 실시례를 보여주고, 도 5에 도시된 상부측벽(15)은 안쪽 면의 높이를 조립된 상부 커버(40)의 상면보다 소정길이(h)만큼 더 높이 형성한 실시례를 보여준다.The
상부측벽(15)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소폭 수평 연장된 턱인 걸림 날개(16)가 형성된다. 도로 지면(G)을 파내어 삽입구멍을 형성한 후 본 발명의 케이스를 삽입 설치할 때, 이 걸림 날개(16)는 삽입구멍의 가장자리에 걸려 쉽게 설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삽입구멍의 가장자리 턱 부분을 감싸고 있어서 차량 운행 시 바퀴의 충격하중 때문에 이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걸림 날개의 수평 연장 폭은 4mm 정도로, 높이는 2m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e upper end of 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한 쌍의 하부측벽(19)의 바깥 면 사이의 폭을 한 쌍의 상부측벽(15)의 바깥 면 사이의 폭보다 좁게 형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상부측벽(15)의 바깥 면보다 상기 하부측벽(19) 바깥 면이 도로 지면(G)의 삽입구멍 벽으로부터 틈새(t)만큼 떨어져 내측으로 들어온 상태로 형성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between the outer surfaces of the pair of
다음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육면체 형태인 메인보디(10)에서 개방된 양쪽 마구리를 막으며 결합하는 사이드 커버(2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도면에 도시된 사이드 커버(20)는 메인보디(10)의 폭 방향 단면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메인보디(10)의 옆 공간(61)과 밑 공간(62)과 동일한 형태의 옆 공간과 밑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사이드 커버(20)에서는 이러한 옆 공간과 밑 공간이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 단순한 사각판 형태로 제조하여도 무방하다.The side cover 20 shown in the drawing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cross section of the
사이드 커버(20)의 한쪽 면에는 메인보디(10)의 내부 바닥(18)에 윗면에 걸리도록 제2 가이드(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제2 가이드(22)는 기다란 막대가 U자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제2 가이드(22)는 이 형상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보디(10)의 내부바닥(18)이나 중간측벽(14)의 양쪽 모두 또는 어느 하나에 접하여 지지되도록 형성하면 충분하다.A
상기 제2 가이드(22)를 메인보디(10)에 접하도록 양쪽 마구리에서 끼운 후에는 제2 가이드(22)와 메인보디(10) 사이를 볼트(미도시)를 박아 체결하거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사이드 커버(20)를 메인보디(10)에 고정시킬 수 있다.After the
그리고 상기 사이드 커버(20)의 제2 가이드(22)에 더하여 메인보디(10)의 내부 바닥(18) 밑면에 접하며 걸리는 제1 가이드(21)를 더 돌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상기 제2 가이드(22)와 제1 가이드(21) 사이는 내부 바닥(18)을 이루는 프레임의 두께만큼 벌어지도록 틈새를 형성하며, 그 형상은 제2 가이드(22)처럼 기다란 막대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A gap is formed between the
상기 제1 가이드(21)와 제2 가이드(22)를 함께 형성하면, 사이드 커버(20)를 메인보디(10) 마구리에 보다 안정적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다.When the
다음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부 커버(4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the
본 발명의 상부 커버(40)는 내측에 발광체(50)가 배치되는데, 이 발광체(50)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전방의 차량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어야하므로,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예를 들면, 가볍고 저렴하며 투명하고 단단하여 구조적인 강도 확보에 용이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The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상부 커버(40)는 직사각형 평면을 가진 얇은 판재 형상이다.As shown in Figure 2, the
상부 커버(40)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하되 다수의 결합공(41, 42)들이 뚫려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커버(40)의 하면에는 발광체(50)를 삽입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발광체 수용홈(43)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한 줄로 배치되어 발광 라인이 형성되고, 태양전지 셀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태양전지 셀 수용홈(44)이 형성되어 있다.2 and 3, on the low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발광 라인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체 수용홈(43, 43-1)에 수용되는 발광체(50)를 엘이디램프(51)과 엘이디기판(52)으로 구성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발광 라인은 상부 커버(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장자리에 형성하는데, 한쪽 가장자리에만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양쪽 가장자리에 한 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쪽 가장자리에 발광 라인을 형성하면 운전자가 도로 운행방향에 관계없이 쉽게 과속방지턱이나 횡단보도를 인지할 수 있으며, 설치할 때로 방향성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수월해진다.The light emitting lines are formed at the ed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태양전지 셀 수용홈(44)은 상기 한 쌍의 발광 라인 사이에 태양전지 셀의 넓이와 두께에 맞추어 다수 개 형성하고, 태양전지 셀 수용홈들 사이에는 전술한 지지구(3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중간 돌출면(46)을 형성한다. A plurality of solar
상기 중간 돌출면(46)에는 태양전지 셀 수용홈들 사이를 잇는 전선유도로(45)가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태양전지 셀(73)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선(미도시)이 중간 돌출면(46)과 지지구(30) 사이에 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축전지(71), 제어기판(72)과 엘이디기판(52) 및 태양전지 셀(73)들 사이는 전선으로 연결된 것이나 그 도시는 생략하였다.On the intermediate protruding
그리고 도 5에서 상부측벽(15)의 안쪽 면 높이를 조립된 상기 상부 커버(40)의 상면보다 소정길이(h)만큼 더 높게 형성하면, 운행 중인 차량의 바퀴의 하중이 높이가 더 높은 상부측벽(15) 쪽에 많이 걸리고, 상부 커버(40)의 상면은 하중 부담이 경감된다. In FIG. 5, when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또한, 상부 커버(40)의 상면에서 발광체 수용홈(43)이 형성된 가장자리 부분이 바퀴와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들므로, 그 부분의 상면이 훼손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킨다. 그 결과 상부 커버(40)의 발광체 수용홈(43)에 내장된 발광체(5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훼손된 표면에 의해 간섭받지 않으므로 높은 시인성을 유지한 채 차량 운전자의 시야에까지 강하게 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area of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도 5를 보면 발광체(50)가 수용되는 상부 커버(40)의 발광체 수용홈(43-1)은 엘이디램프(51)을 소정각도로 상향시켜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즉, 발광체 수용홈(43-1)은 엘이디램프(51)의 전방이 위치하는 쪽을 향하여 더 깊게 홈을 파서 넓은 공간을 만듦으로써, 엘이디램프(51)의 전방이 도로 지면(G)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상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5, the light emitting body receiving groove 43-1 of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각도는 19도 정도인 것이 좋으나 이러한 각도는 본 발명을 크게 제한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설정된 각도는 조금씩 다르게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설정 각도는 전방으로부터 운행 중인 차량 운전석의 높이를 고려한 것으로서, 운전자 시야에서 높은 시인성으로 엘이디램프(51)의 빛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Preferably, the set angle is about 19 degrees, but this angle does not significantly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set angle may be slightly different. This setting angle is taken into account the height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n operation from the front, and helps to recognize the light of the
도 4를 도시된 실시례는, 발광체(50)가 수용되는 상부 커버(40)의 발광체 수용홈(43)은 상부 커버(40)가 얇아서 발광체 수용홈(43) 내에서 엘이디램프(51)의 전방을 충분히 상향시키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light emitting
즉, 도 4의 실시례는 발광체 자리 날개(17)를 엘이디기판(52)이 놓이는 상면을 내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발광체 수용홈(43)을 깊게 파지 않더라도 발광체 자리 날개(17)의 경사면으로 엘이디램프(51) 전방의 상향각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을 살펴보면, 우선 메인보디(10)의 양쪽 마구리에 드러나 있는 내부 바닥(18) 프레임과 사이드 커버(20)의 제1 가이드(21)와 제2 가이드(22) 사이의 틈새를 맞춰 끼워서 조립한다. 이때 필요하다면 내부 바닥(18) 프레임과 겹치는 제1 가이드(21) 및 제2 가이드(22)의 대응 위치에 각각 볼트구멍을 미리 형성하였다가 끼워 맞춤 조립 후 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볼트체결 대신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Looking at th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rst, the
그 다음 내부공간(13)의 정해진 위치에 지지구(30)를 삽입하고, 지지구(30)에 의해 분할된 내부공간에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축전지(71), 제어기판(72)을 삽입한 후, 발광체(50)의 엘이디기판(52)을 발광체 날개 자리(17, 17-1) 상면에 배치하면 몸체 부분의 조립이 완료된다.Then, the
상부 커버(20)는 밑면에 형성된 태양전지 셀 수용홈(44)에 태양전지 셀(73)을 하나씩 안착시킨 후 그대로 상부 커버(20)를 발광체 날개 자리(17, 17-1)에 얹어 내부공간(13)을 덮도록 조립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커버(20)의 밑면에 형성된 발광체 수용홈(43)에 엘이디램프가 삽입되어진다.After the
이어서, 상부 커버(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41, 42)을 통하여 겔상 수지(70)를 주입하여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공간(13)을 채운다. 상기 겔상 수지는 투명한 겔상 우레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채워진 겔상 수지(70)는 내부에 설치된 축전지(71)나 태양전지 셀(73) 및 제어기판(72) 같은 전자 장치들을 외부와 차단하여 방수 효과를 발생시키므로. 빗물 등이 케이스 내로 침투하더라도 상기 전자 장치들을 보호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gel-
상기 겔상 수지(70)의 충전이 끝나면 결합공(41, 42)에 볼트를 채워 상부 커버(20)를 메인보디(10)에 견고히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의 조립이 완료된다.When the filling of the gel-
다음은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를 도로 지면에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landfill type marker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road surfac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로 지면(G)을 드릴(미도시)을 사용하여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의 몸체 형상에 맞게 소정의 깊이로 파내어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 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First, the road ground (G) is dug to a predetermined depth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dy of the landfill marker case using a drill (not shown) to form an insertion hole,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hole are removed.
그 다음엔 이 삽입 구멍에 경화성 접착제(60)를 적정량 주입한다. 경화성 접착제는 액상으로 주입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경화하는 성질의 접착제 중에 선택하며 에폭시 수지나 탄성우레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n, an appropriate amount of
이 상태에서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의 몸체를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 날개(16)가 삽입구멍 가장자리 턱에 걸리도록 설치한다.In this state, the body of the buried marker cas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hooking
이때 경화성 접착제(60)는 몸체 측면의 옆 공간(61)과 몸체 밑면의 밑 공간(62)은 물론이고 하부측벽(19)과 삽입구멍 벽 사이의 틈새(t)에도 유입되어 채워진다. At this time, the
또한 도로는 주로 다공성 재료인 아스팔트나 시멘트로 시공되므로, 여기에 형성된 삽입 구멍 벽면에는 수많은 공극이 있고, 액상의 경화성 접착제(60)는 이 공극에도 스며들게 된다.In addition, since roads are mainly constructed of porous materials such as asphalt or cement, there are numerous voids on the walls of the insertion holes formed there, and the liquid
이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옆 공간(61)과 밑 공간(62) 및 틈새(t) 등에 분포되고 아울러 상기 삽입 구멍 벽면에 침투한 상기 액상의 경화성 접착제(60)가 경화되면서 상기 몸체와 도로 지면(G)을 완전히 일체화 시키므로 전체 결합력이 크게 증대한다.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he liquid
추후 고장 등이 발생하여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에는 몸체가 지면에 그대로 매립된 상태에서 상부 커버(40)만 분리한 후 내부의 겔상 수지와 부속품을 걷어내고 새 부속품과 겔상 수지로 교체한 후 다시 상부 커버(40)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한다. When maintenance is required due to a future failure, etc., remove only the upper cover (40) while the body is buried in the ground, remove the gel resin and accessories from the inside, replace them with new accessories and gel resin, and then replace the upper cover again. (40) can be assembled and used, so the convenience of use increase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ried mark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이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상기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쉬운 것이라면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improve or chang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f the improvement and change are eas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y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메인보디
11, 12: 결합공
13: 내부공간
14: 중간측벽
15: 상부측벽
16: 걸림 날개
17, 17-1: 발광체 자리 날개
18: 내부 바닥
19: 하부측벽
20: 사이드 커버
21: 제1 가이드
22: 제2 가이드
30: 지지구
31: 결합공
40: 상부 커버
41, 42: 결합공
43, 43-1: 발광체 수용홈
44: 태양전지 셀 수용홈
45; 전선유도로
46: 중간 돌출면
50: 발광체
51: 엘이디램프
52: 엘이디기판
60: 경화성 접착제
61: 옆 공간
62: 밑 공간
70: 겔상 수지
71: 축전지
72: 제어기판
73: 태양전지 셀
G: 도로 지면10: main body
11, 12: coupling hole 13: inner space
14: middle side wall 15: upper side wall
16: hanging
18: inner bottom 19: lower side wall
20: side cover
21: first guide 22: second guide
30: support 31: coupling ball
40: upper cover
41, 42:
44: solar
46: middle extrusion
50: luminous body
51: LED lamp 52: LED substrate
60: curable adhesive
61: side space 62: bottom space
70: gel-like resin
71: storage battery 72: control board
73: solar cell
G: road floor
Claims (12)
상기 몸체는,
양쪽 마구리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13)이 형성되어 있는 육면체 형태의 메인보디(10)와,
상기 개방된 양쪽 마구리를 막으며 결합되는 사이드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In the buried marker case having a body buried underground and a transparent upper cover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the body,
A main body 10 in the form of a hexahedron in which both ends are open and an inner space 13 with an open top is formed inside;
A buried cov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de cover (20) coupled to cover both ends of the open end.
상기 상부 커버는,
발광체를 삽입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발광체 수용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발광 라인이 형성되고,
태양전지 셀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태양전지 셀 수용홈(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cover,
A plurality of luminous body receiving grooves capable of inserting and receiving a luminous body are dispos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light emitting line,
A buried mark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olar cell accommodating grooves 44 capable of accommodating solar cells are formed.
상기 발광 라인은 상부커버 길이방향 양 가장자리 각각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루고,
한 쪽 가장자리의 발광 라인에 포함된 발광체 수용홈의 발광 방향과 다른 쪽 가장자리의 발광 라인에 포함된 발광체 수용홈의 발광 방향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 emitting lines are formed on both edges of the upper cov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pair,
A buried mark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accommodating groove included in the light emitting line at one edge and the light emitting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accommodating groove included in the light emitting line at the other edge face each other.
상기 메인보디(10)는,
내부공간(13)에 지지구(30)가 더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0,
A buried mark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30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3.
상기 메인보디(10)는,
내부공간(13)이 내부바닥(18)과 상기 내부바닥(18)의 길이방향 양 옆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중간측벽(14)의 안쪽 면에 의해 형성되며,
내부바닥(18)을 이루는 프레임은 중간측벽(14)의 바깥쪽으로 수평 연장하다 다시 하방으로 꺾어 연장하여 한 쌍의 하부측벽(19)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측벽(14)의 상단은 바깥쪽으로 수평으로 구부려 연장하여 발광체 자리 날개(17, 17-1)를 형성하고,
상기 발광체 자리 날개(17, 17-1)는 바깥쪽 단부를 상부로 연장하여 상부측벽(1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메인보디(10)의 길이방향 바깥 측면에는 내부 쪽으로 함몰된 옆 공간(61)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보디(10)의 길이방향 밑면에는 위쪽으로 함몰된 밑 공간(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10,
The inner space 13 is formed by the inner bottom 18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iddle side wall 14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bottom 18,
The frame constituting the inner floor 18 extends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middle side wall 14 and then bends downward to form a pair of lower side walls 19,
The upper end of the middle side wall 14 is bent horizontally outward and extended to form light emitting body wings 17 and 17-1,
The luminous seat blades 17 and 17-1 extend their outer ends upward to form upper side walls 15,
A side space 61 recessed inward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wer space 62 recessed upwar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landfill marker case.
상기 상부측벽(15)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바깥쪽으로는 수평 연장 형성된 걸림 날개(16)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5,
A buried mark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wall (15), hanging wings (16)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urther formed.
상기 발광체 자리 날개(17, 17-1)의 상면에는 내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5,
A buried mark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surface upward to the insid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uminous seat blades (17, 17-1).
상기 상부측벽(15)의 바깥 면보다 상기 하부측벽(19) 바깥 면이 틈새(t)만큼 내측으로 들어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5,
The buried mark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ide wall (19) is formed to come inward as much as the gap (t)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ide wall (15).
상기 상부측벽(15)의 안쪽 면 높이를 조립된 상기 상부 커버(40)의 상면보다 소정길이(h)만큼 더 높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5,
The buried mark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ide wall (15)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assembled upper cover (40) by a predetermined length (h).
내부공간(13)에는 겔상 수지(70)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 buried marker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pace (13) is filled with a gel-like resin (70).
사이드 커버(20)에는 메인보디(10)의 내부 바닥(18)에 윗면에 걸리도록 제2 가이드(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cover (20) has a second guide (22) protrudingly formed so as to be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ottom (18) of the main body (10).
사이드 커버(20)에는 메인보디(10)의 내부 바닥(18) 윗면에 걸리는 제2 가이드(22)와 내부 바닥(18) 밑면에 걸리는 제1 가이드(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cover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guide 22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bottom 18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irst guide 21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bottom 18 protrude. Landfill marker cas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1707A KR20220163557A (en) | 2021-06-02 | 2021-06-02 | Embedded Road Marker Ca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1707A KR20220163557A (en) | 2021-06-02 | 2021-06-02 | Embedded Road Marker Ca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3557A true KR20220163557A (en) | 2022-12-12 |
Family
ID=8439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1707A KR20220163557A (en) | 2021-06-02 | 2021-06-02 | Embedded Road Marker Ca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6355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9858B1 (en) * | 2023-08-28 | 2024-04-23 | 주식회사 하이큐 | High charge ability solar road stud with heat resistan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2459A (en) | 1998-01-17 | 1998-03-30 | 구자신 | Road sign |
KR100694289B1 (en) | 2006-11-29 | 2007-03-14 | 광주광역시 남구 | Device for emitting light using pedestrian crossing footpath of road |
KR100806209B1 (en) | 2006-11-15 | 2008-02-22 | 디에스아이 주식회사 | Luminous apparatus for over-speed prevention |
-
2021
- 2021-06-02 KR KR1020210071707A patent/KR20220163557A/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2459A (en) | 1998-01-17 | 1998-03-30 | 구자신 | Road sign |
KR100806209B1 (en) | 2006-11-15 | 2008-02-22 | 디에스아이 주식회사 | Luminous apparatus for over-speed prevention |
KR100694289B1 (en) | 2006-11-29 | 2007-03-14 | 광주광역시 남구 | Device for emitting light using pedestrian crossing footpath of roa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9858B1 (en) * | 2023-08-28 | 2024-04-23 | 주식회사 하이큐 | High charge ability solar road stud with heat resistan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05874B1 (en) | Road-marking complex and system for marking roads | |
KR100655768B1 (en) | Lighting lane system of road | |
KR100908331B1 (en) | A road maker having sid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17616487A (en) | Ground walking signal machine | |
KR20220163557A (en) | Embedded Road Marker Case | |
KR200416773Y1 (en) | Plastic boundary stone having lamp | |
JP3634602B2 (en) | Self-luminous road fence | |
JPH10121408A (en) | Curb block having delineator | |
KR101663008B1 (en) | Barrier post | |
KR20110134799A (en) | Retaining wall block | |
JP2006249723A (en) | Flexible road surface sign | |
KR100708440B1 (en) | Method for setting up road maker on the ground | |
KR101330858B1 (en) | Paverment marker | |
KR200403556Y1 (en) | Pavement Marker Having a Integrated Housing | |
KR200429835Y1 (en) | Road stud of cushion type | |
KR200304306Y1 (en) | Road stud | |
JPS6117610A (en) | Light emitting block for display line | |
KR20150087485A (en) | Roadstud | |
CN220013450U (en) | Protruding solar energy luminous reflection spike | |
KR200148352Y1 (en) | Road-lane marking device | |
JP2000230218A (en) | Temporary trafic lane separator block | |
KR200401523Y1 (en) | Structure for delineator in road | |
KR200184733Y1 (en) | Road sign bottle | |
KR102602809B1 (en) | Modularized traffic line with high brightness properti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245960Y1 (en) | A square refl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