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463A - 기판 상의 메모리 셀, 고전압 소자 및 논리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판 상의 메모리 셀, 고전압 소자 및 논리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463A
KR20220163463A KR1020227038561A KR20227038561A KR20220163463A KR 20220163463 A KR20220163463 A KR 20220163463A KR 1020227038561 A KR1020227038561 A KR 1020227038561A KR 20227038561 A KR20227038561 A KR 20227038561A KR 20220163463 A KR20220163463 A KR 20220163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layer
forming
regions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잭 선
춘밍 왕
시안 리우
앤디 양
구오 시앙 송
레오 싱
난 도
Original Assignee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581174.7A external-priority patent/CN113838853A/zh
Application filed by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filed Critical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163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1/35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 H01L27/11524
    • H01L27/11526
    • H01L27/115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2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 H10B41/49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comprising different types of peripheral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제3 영역이 아닌 제1 및 제2 영역에서 반도체 기판의 상면을 리세스하는 단계, 제1 및 제2 영역에서 제1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3개의 영역 모두에서 제2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2 영역으로부터 제1 및 제2 전도층 및 제1 영역으로부터 그 일부를 제거하여 각각이 플로팅 게이트 위에 제어 게이트를 갖는 스택 구조물의 쌍을 생성하는 단계, 제1 및 제2 영역에 제3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및 제2 영역에 보호층을 형성한 다음 제3 영역으로부터 제2 전도층을 제거하는 단계, 그 다음 제3 영역에서 전도성 재료의 블록을 형성한 다음, 제1 및 제2 영역에서 식각하여 선택 및 HV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전도성 재료의 블록을 금속 재료의 블록으로 대체하는 단계에 의해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

Description

기판 상의 메모리 셀, 고전압 소자 및 논리 소자의 제조 방법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20년 6월 23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of Making Memory Cells, High Voltage Devices and Logic Devices on a Substrate"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2010581174.7호, 및 2020년 12월 21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Of Making Memory Cells, High Voltage Devices And Logic Devices On A Substrate"인 미국 특허 출원 제17/129,865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셀이 내장된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 소자는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747,310호, 제7,868,375호 및 제7,927,994호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4개의 게이트(플로팅 게이트, 제어 게이트, 선택 게이트 및 소거 게이트)를 갖는 메모리 셀을 개시하며, 이는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은 기판 내로의 확산 주입 영역으로 형성되어, 기판 내에서 그들 사이에 채널 영역을 정의한다. 플로팅 게이트는 채널 영역의 제1 부분 위에 배치되어 이의 전도성을 제어하고, 선택 게이트는 채널 영역의 제2 부분 위에 배치되어 이의 전도성을 제어하고, 제어 게이트는 플로팅 게이트 위에 배치되고, 소거 게이트는 소스 영역 위에 배치되고 플로팅 게이트에 측방향으로 인접한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 셀과 동일한 기판 상에 저전압 및 고전압 논리 소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9,276,005호를 참조한다. 높은 K 유전체 및 금속 게이트와 같은 새로운 게이트 재료가 또한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의 공정 단계는 동시에 제조된 논리 소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동일한 기판 상에 메모리 셀, 저전압 논리 소자 및 고전압 소자를 포함하는 소자를 제조하는 개선된 방법이 필요하다.
상술된 문제 및 요구는 다음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재료의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3 영역에서의 상기 기판의 상면에 대해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상기 기판의 상면 및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기판의 상면을 리세스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상면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제1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전도층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상면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제2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식각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도층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2 전도층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전도층을 완전히 제거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식각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스택 구조물의 쌍을 생성하고, 상기 스택 구조물 각각은 상기 제1 전도층의 플로팅 게이트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상기 제2 전도층의 제어 게이트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스택 구조물의 쌍 중 하나 사이에 각각 배치된 상기 기판에서 제1 소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제3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제3 전도층 위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전도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전도층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상면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전도성 재료의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전도성 재료의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보호층의 부분 및 상기 제3 전도층의 부분을 식각하여, 상기 스택 구조물 중 하나에 인접하게 각각 배치된 상기 제3 전도층의 복수의 선택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상면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상기 제3 전도층의 복수의 HV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선택 게이트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한 상기 기판에서 제1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HV 게이트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한 상기 기판에서 제2 소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HV 게이트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한 상기 기판에서 제2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재료의 블록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한 상기 기판에서 제3 소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재료의 블록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한 상기 기판에서 제3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도성 재료의 블록 각각을 금속 재료의 블록으로 대체하는 단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이 명세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의 검토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6a는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하는 메모리 셀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b 내지 도 16b는 HV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HV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c 내지 도 16c는 논리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논리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완성된 메모리 셀을 보여주는 메모리 셀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완성된 HV 소자를 나타내는 HV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완성된 논리 소자를 도시하는 논리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완성된 논리 소자를 도시하는 논리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완성된 논리 소자를 도시하는 논리 영역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반도체 기판 상에 메모리 셀, 저전압 논리 소자, 및 고전압 논리 소자를 동시에 형성하여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후술되는 공정은 기판(10)의 하나 이상의 메모리 셀 영역(제1 또는 MC 영역으로도 지칭됨)(2)에 메모리 셀, 기판(10)의 하나 이상의 고전압 논리 소자 영역(제2 또는 HV 영역으로도 지칭됨)(4)에 고전압 논리 소자, 및 기판(10)의 하나 이상의 저전압 논리 소자 영역(제3 또는 논리 영역으로도 지칭됨)(6)의 저전압 논리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정은 MC 영역(2)에 한 쌍의 메모리 셀, HV 영역(4)에 고전압 논리 소자, 및 논리 영역(6)에 저전압 논리 소자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각각의 영역 내의 다수의 이러한 소자는 동시에 형성된다. 기판(10)은 반도체 재료(예: 실리콘)의 기판이다.
MC 영역(2)에 대한 도 1a 내지 도 16a, HV 영역(4)에 대한 도 1b 내지 도 16b, 및 논리 영역(6)에 대한 도 1c 내지 도16c를 참조하면,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 공정의 단계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공정은 MC 영역(2) 및 HV 영역(4)에서 실리콘 기판(10)의 상면(10a)을 논리 영역(6)에 대한 리세스 양(R) 만큼 리세스함으로써 시작된다. 기판 상면(10a)을 리세스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기판 상면(10a) 상에 이산화실리콘(이하 "산화물") 층을 형성하고 산화물층 상의 질화실리콘(이하, "질화물") 층을 형성함으로써 수행된다.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단계는 포토레지스트로 논리 영역(6)을 덮지만 MC 및 HV 영역(2/4)은 덮지 않도록 수행된다(즉, 모든 3개의 영역에 걸쳐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고, 포토레지스트의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고, 포토레지스트의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하부 구조물의 노출된 부분(들)(이 경우 MC 및 HV 영역(2/4)의 질화물 층)을 남기는 반면, 포토레지스트로 덮인 하부 구조물의 다른 부분(들)(이 경우 논리 영역(6)의 질화물 층)을 남김). 질화물 및 산화물 식각을 수행하여 MC 및 HV 영역(2/4)으로부터 이들 층을 제거하여, 이러한 영역에 상면(10a)을 노출시킨다. 포토레지스트 제거 후, 열 산화를 수행하여 MC 및 HV 영역(2/4) 내의 상면(10a)의 노출된 부분 상에 산화물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열 산화 공정은 기판의 실리콘의 일부를 소모하여 이러한 영역에서 상면(10a)을 효과적으로 낮춘다. 그 다음, 질화물 및 산화물 식각을 사용하여 모든 산화물 및 질화물층을 제거하여,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구조물을 생성한다. MC 및 HV 영역(2/4)의 상면(10a)은 논리 영역(6)의 상면(10a)에 대한 양(R)(예: 200 내지 700 A) 만큼 리세스된다.
다음으로, 산화물층(12)은 상면(10a) 상에 (예: 증착에 의해 또는 열 성장에 의해 등) 형성된다. 그 후, 폴리실리콘(이하, "폴리")(14)과 같은 전도층이 산화물층(12) 상에 형성된다. 폴리층(14)은 대신에 인-시투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일 수 있다.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이 층(14)에 사용되는 경우 주입 및 어닐링이 수행된다. 그 다음,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단계는 포토레지스트(16)로 MC 및 HV 영역(2/4)을 덮지만, 논리 영역(6)을 노출시키도록 (즉, 포토레지스트(16)는 마스킹 단계의 일부로서 논리 영역(6)으로부터 제거됨) 수행된다. 그 다음,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 식각은 논리 영역(6)으로부터 폴리층(14)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포토레지스트(16)가 제거된 후, 선택적인 산화물층(18)은 구조물 위에 형성되고, 이어서 질화물층(20)이 산화물층(18) 상에 형성된다.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단계는 포토레지스트로 각 영역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덮는 데 사용된다. 질화물, 산화물, 폴리 및 실리콘 식각은 질화물(20), 산화물(18), 폴리(14), 산화물(12)을 통해 실리콘 기판(10) 내부로 트렌치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트렌치는 기판(10)의 논리 영역(6)에서 2000A~3500A 깊이이고, 기판(10)의 MC 및 HV 영역(2/4)에서 1600A~3300A 깊이이다. 그 다음,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는 산화물 증착 및 질화물층(20) 상에서 멈추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에 의해 산화물(22)로 충전된다. 산화물(22)은 또한, 잘 알려진 격리 기술인 STI(얕은 트렌치 격리)로 지칭될 수 있다. 산화물(22)은 산화물 증착 전에 열 산화에 의해 형성된 라이너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련의 주입을 수행하여 (각각의 주입 동안 하나 이상의 다른 영역을 보호하는 포토레지스트를 갖는) 영역(2/4/6) 각각에서 기판(10) 내에 원하는 웰(well)을 생성한 다음, 질화물층(20)의 상부 아래로 STI 산화물(22)을 리세스하기 위해 산화물 에치백이 뒤따를 수 있다. 그 다음, 질화물 식각을 이용하여 질화물층(20)을 제거한다. 그 다음, 절연층(24)이 구조물 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절연층(24)은 (산화물, 질화물, 산화물 증착 및 어닐링에 의해 형성되는) 산화물/질화물/산화물 하위층을 갖는 ONO 복합층이다. 그러나, 절연층(24)은 대신에 다른 유전체층의 복합체, 또는 하위층이 없는 단일 유전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폴리실리콘층(26)과 같은 전도층이 폴리실리콘 증착에 의해 구조물 상에 형성된다. 폴리층(26)은 대신에 인-시투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일 수 있다.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이 층(14)에 사용되는 경우 폴리 주입 및 어닐링을 수행한다. 그 다음, 하드마스크층(28)이 폴리층(26) 상에 형성된다. 하드마스크층(28)은 질화물, SiCN, 또는 심지어 산화물, 질화물 및/또는 SiCN의 복합체 층일 수 있다. 생성된 구조물이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단계는 구조물 상에 포토레지스트(30)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포토레지스트는 HV 영역(4)으로부터 제거되고 MC 영역(2)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HV 영역(4) 내의 층(28)을 노출시키고 MC 영역(2) 내의 층(28)의 일부만을 노출시킨다. 하드마스크층(28), 폴리층(26) 및 ONO층(24)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일련의 식각을 사용하여, MC 영역(2)에서 하드마스크층(28), 폴리층(26) 및 ONO층(24)의 이격된 스택 구조물(S1 및 S2)의 쌍을 남겨 두고, HV 영역(4)으로부터 이들 층을 완전히 제거한다. 생성된 구조물이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포토레지스트(30)가 제거된 후, 산화물 증착 또는 열 산화 및 식각이 MC 영역(2)에서 스택(S1 및 S2)의 측면을 따라 스페이서(32)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질화물 증착 및 식각을 사용하여 산화물 스페이서(32)의 측면을 따라 질화물 스페이서(34)를 형성한다. 산화물 및 질화물 식각이 조합될 수 있다. 폴리 식각은 폴리층(14)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수행되며, 그 결과 각각의 이격된 스택 구조물(S1/S2)은 폴리 블록(14)도 포함한다. 폴리층(14)은 HV 영역(4)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된다.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물 스페이서(36)는 산화물 증착 및 산화물 이방성 식각에 의해 폴리층(14) 블록의 노출된 단부를 따라 포함하는 스택 구조물(S1/S2)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단계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로 MC 및 논리 영역(2/6)을 덮지만, 노출된 HV 영역(4)을 그대로 남긴다. 산화물 식각을 이용하여 HV 영역(4)으로부터 산화물층(12)을 제거한다. 포토레지스트 제거 후, 절연층(38)은 열 성장 및/또는 증착에 의해 HV 영역(4)의 기판 상면(10a) 상에, 뿐만 아니라 MC 및 논리 영역(2/6)의 구조물 상에 형성된다. 절연층(38)은 산화물 및/또는 산화질화물일 수 있고, HV 소자에 대한 게이트 산화물로서 역할을 할 것이다. 그러나, 산화물(12)을 절연층(38)으로 제거 및 대체하는 것은 선택적이고, 산화물(12)은 대신에 HV 소자에 대한 게이트 산화물의 일부 또는 전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포토레지스트 제거 후, 포토레지스트(40)는 구조물 상에 형성되고 단지 MC 영역(2)에서 스택(S1 및 S2)(본원에서 내부 스택 영역으로 지칭됨)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제거된다 . 주입 공정을 수행하여 스택(S1 및 S2) 사이의 기판 내에 소스 영역(42)을 형성한다. 그 다음, 산화물 식각을 사용하여 내부 스택 영역에서 산화물층(38), 산화물 스페이서(36) 및 산화물층(12)을 제거한다. 생성된 구조물이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되어 있다.
포토레지스트(40)가 제거된 후, 구조물 상에 터널 산화물(44)이 형성된다. 터널 산화물(44)은 증착 및/또는 열 성장에 의해 형성된 산화물 및/또는 산화질화물일 수 있다. 소스 영역(42)에서 더 높은 도펀트 레벨의 촉매 효과로 인해, 터널 산화물(44)은 소스 영역(42) 상에 더 두꺼운 부분(44a)을 가질 수 있다.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단계를 사용하여 HV 및 논리 영역(4/6) 및 MC 영역의 내부 스택 영역을 포토레지스트로 덮는다. 스택 구조물(S1 및 S2)의 다른 측면 상의 영역(본원에서 외부 스택 영역으로 지칭됨)은 노출된다. 이 시점에서 외부 스택 영역(즉, 나중에 형성될 선택 게이트 아래에 있을 기판 부분) 내의 기판(10)의 부분에 대해 주입이 수행될 수 있다. 산화물 식각을 이용하여 외부 스택 영역 내의 노출된 산화물층(12)을 제거한다. 그 다음,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후, 구조물 상에 산화물층(46)이 형성된다. 산화물층(46)은 증착 및/또는 열 성장에 의해 형성된 산화물 및/또는 산화질화물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전체 재료일 수 있다. 산화물층(46)의 형성은 터널 산화물(44) 및 절연층(38)을 두껍게 하거나 그 일부가 된다. 생성된 구조물이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되어 있다.
폴리실리콘층(48)과 같은 전도층이 구조물 상에 형성된다. 폴리층(48)은 인-시투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을 수 있고, 대신 비정질 실리콘일 수 있다. 그 다음,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이 층(48)에 사용되는 경우 도핑 및 어닐링이 수행될 것이다. 버퍼 산화물층(50)이 폴리층(48) 상에 형성된다.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단계를 사용하여 HV 영역(4) 내의 버퍼 산화물층(50)을 덮지만, MC 및 논리 영역(2/6) 내의 버퍼 산화물층(50)은 노출시킨다. 그 다음, 버퍼 산화물층(50)의 노출된 부분은 MC 및 논리 영역(2/6)에서 산화물 식각에 의해 제거된다. 포토레지스트 제거 이후, 도 9a,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실리콘층(52)과 같은 전도층이 이어서 구조물(대신에, 폴리층(48)과 동일한 도핑을 갖는 비정질 실리콘일 수 있음) 상에 증착된다. 폴리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를 수행하여 하드마스크층(28) 상에서 멈추는 구조물의 상면을 평탄화한다. 다른 폴리 에치백 공정을 사용하여 스택(S1 및 S2)의 상부 아래에서 폴리층(48) 상면을 리세스한다. 이는 메모리 셀 형성의 대부분을 완성한다. 산화물 식각을 사용하여 HV 영역(4) 내의 버퍼 산화물(50)을 제거한다. 보호 절연층(54)이 구조물 위에 형성된다. 층(54)은 산화물, 질화물, SiCN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단계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로 MC 및 HV 영역(2/4)을 덮지만, 논리 영역(6)은 노출시킨다. 식각을 사용하여, 논리 영역(6) 내의 보호층(54)을 제거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제거 후, 그 다음 일련의 식각을 수행하여 논리 영역(6)의 재료의 모든 층을 제거하여, 기판의 상면(10a)을 노출시킨다. 보호층(54)은 이러한 일련의 식각으로부터 MC 및 HV 영역(2/4)을 보호한다.
이 시점에, 주입을 수행하여 논리 영역(6)에서 기판(10) 내에 도핑된 P 및 N 웰을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층(56)은 논리 영역(6)의 노출된 기판 상면(10a) 상에 형성된다(논리 소자에 대한 게이트 유전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음). 유전체층(56)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화질화물, 높은 K 유전체층, 또는 이들의 복합체일 수 있다. 높은 K 절연 재료는 이산화실리콘 보다 큰 유전 상수 K를 갖는 절연 재료이다. 높은 K 절연 재료의 예는 HfO2, ZrO2, TiO2, Ta2O5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그 다음, 폴리실리콘층(58)과 같은 더미 전도층이 구조물 위에 형성된다. 그 다음, 하드마스크층(60)이 더미 폴리층(58) 상에 형성된다.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단계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로 논리 영역(6)의 선택 부분을 덮고, 전체 MC 및 HV 영역(2/4) 뿐만 아니라 논리 영역(6)의 일부에서의 하드마스크층(60)을 노출시킨다. 그 다음, 식각을 사용하여 MC, HV 및 논리 영역(2/4/6)에서 하드마스크층(60)의 노출된 영역을 제거한다. 포토레지스트 제거 후, 식각을 사용하여 더미 폴리층(58) 및 유전체(56)의 노출된 부분(즉, 논리 영역(6) 내의 하드마스크층(60)의 잔여 부분에 의해 보호되지 않은 모든 부분)을 제거하고, 논리 영역(6) 내에 논리 스택 구조물(LS1 및 LS2)을 남긴다. 유전체 스페이서(62)는 증착 및 식각에 의해 논리 스택 구조물(LS1/LS2)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 이 시점에서 논리 영역(6)에서 기판(10) 내로의 주입이 수행될 수 있다. 생성된 구조물은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되어 있다.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단계를 사용하여 논리 영역(6), HV 영역(4)의 부분, 및 MC 영역(2)의 부분을 포토레지스트(64)로 덮는다(즉, 내부 스택 영역, 스택 구조물(S1 및 S2) 및 스택 구조물(S1 및 S2)에 바로 인접한 외부 스택 영역의 이들 부분을 덮음). 도 12a, 도 12b 및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을 사용하여 보호층(54) 및 폴리층(48)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한다. 포토레지스트(64)가 제거된 후, 추가적인 선택적 주입 및 식각이 (즉, 추가적인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크 단계 및 주입에 의해) 기판(10)의 상이한 노출된 부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V 및 논리 영역(4/6)은 MC 영역(2)을 노출시킨 포토레지스트에 의해 덮일 수 있고, 산화물층(46)에 의해서만 덮이는 기판(10)의 부분은 주입된다. 예를 들어, MC 및 논리 영역(2/6)은 HV 영역(4)을 노출시킨 포토레지스트에 의해 덮일 수 있고, 산화물층(38)에 의해서만 덮이는 기판(10)의 부분은 주입된다. 또한, 산화물 식각이 얇은 산화물층(38)(이는 또한 HV 영역(4) 내의 보호층(54)을 얇게 함)에 사용될 수 있다. 생성된 구조물은 도 13a,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되어 있다.
스페이서 식각이 뒤따르는 산화물 및 질화물 증착을 사용하여 MC 영역(2) 내의 스택 구조물(S1/S2)의 측면 상에, 논리 영역(6) 내의 스택 구조물(LS1/LS2)의 측면 상에, 및 HV 영역(4) 내의 구조물의 측면 상에 산화물 스페이서(66) 및 질화물 스페이서(68)를 형성한다. 구조물 상에 반비등각층(70)이 형성된다. 이 층은 하부 토포그래피의 등각성의 일부를 보유하지만, 수직 및 수평 표면이 만나는 곳에 비해 하부 토포그래피의 상부에서 더 얇다. 이러한 다양한 두께를 달성하기 위해, 유동성 재료를 사용하여 층(7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등각층(70)에 대한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재료는 포토리소그래피 동안 레지스트 인터페이스에서 반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BARC 재료(하부 반사 방지 코팅)이다. BARC 재료는 유동성과 습윤성을 가지며, 산화물에 대한 이들의 높은 선택성으로 인해 공정 손상은 최소화하면서 쉽게 식각되고 제거된다. 반비등각층(70)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재료는 포토레지스트 또는 SOG(spin-on-glass)를 포함한다.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단계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로 HV 및 논리 영역(4/6)을 덮고, MC 영역(2)을 노출시킨다. 식각(예: 이방성)을 사용하여 스택 구조물(S1/S2) 및 폴리 블록(48) 상의 보호층(54)으로부터 반비등각층(70)을 제거하고 보호층을 노출시키는 반면, 산화물층(46)을 덮는 반비등각층(70)을 유지한다(즉, 반비등각 층(70)의 이 부분은 다음 식각 단계를 위한 하드마스크로 작용함). 식각을 사용하여 스택 구조물(S1/S2) 상의 보호층(54)을 얇게 하거나 제거하고 스택 구조물(S1/S2)에 인접한 폴리 블록(48) 상의 보호층을 얇게 한다. (포토레지스트 제거 후) 생성된 구조물이 도 14a,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되어 있다.
반비등각층(70)을 제거한 후, 주입을 수행하여 MC 영역(2)에서 스페이서(68)에 인접한 기판 내의 드레인 영역(74), HV 영역(4)에서 스페이서(68)에 인접한 소스 및 드레인 영역(76/78), 및 논리 영역(6)에서 스페이서(68)에 인접한 소스 및 드레인 영역(80/82)을 형성한다. 임의의 주어진 영역에 대한 주입은 주입되지 않는 다른 영역(들)에 대한 주입을 차단하기 위해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도핑 유형의 MC 영역(2) 내의 드레인 영역(74), HV 영역(4) 내의 소스/드레인 영역(76/78), 및 논리 영역(6) 내의 소스/드레인 영역(80/82)은 반대 소스/드레인 도핑 유형의 영역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한 다음 MC, HV 및 논리 영역(2/4/6)에서 단일 주입을 수행함으로써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시점에, 차단층(84)은 다음 단계에서 임의의 규화물화를 차단하기 위해 증착, 마스킹 단계 및 식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차단층(84)에 의해 보호되지 않은, MC 및 HV 영역(2/4)에서 보호층(54)의 임의의 잔여 부분은 또한 상기 식각 동안 제거되어, 게이트 폴리(48)를 후속 규화물화에 노출시킨다. 그 다음, 금속 증착 및 어닐링을 수행하여, 노출된 폴리 블록(48), 소스 영역(76/80) 및 드레인 영역(74/78/82)의 상면 상에 규화물 형성한다. 차단층(84)은 이러한 형성이 바람직하지 않는 임의의 부분에 대한 규화물 형성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차단층(84)은 소스/드레인 영역(74/76/78/80/82) 및/또는 폴리 게이트 영역(48)의 선택 부분에서 유지되어 이들 선택 영역에서 규화물 형성을 차단한다. 생성된 구조물은 도 15a, 도 15b 및 도 15c에 도시되어 있다.
식각을 사용하여 논리 영역(6)에서 스택 구조물(LS1/LS2) 상의 하드마스크층(60), MC 영역(2)에서 스택 구조물(S1/S2) 상의 질화물층(28), 및 3개의 모든 영역에서 임의의 노출된 질화물 스페이서(68)의 잔여 부분을 제거한다. 층(88)(예: 질화물)은 구조물 위에 형성된다. 그 다음, 층간 유전체(ILD) 절연 재료(90)의 두꺼운 층이 층(88) 상에 형성된다. CMP를 수행하여 ILD 절연 재료(90)를 평탄화하고 리세스하여 논리 영역(6)에서 더미 폴리(58)를 노출시킨다. 포토리소그래피 마스킹 단계를 사용하여 포토레지스트로 MC 및 HV 영역(2/4)을 덮지만, 논리 영역(6)을 노출시킨다. 그 다음, 폴리 식각을 사용하여 논리 영역(6)에서 폴리층 블록(58)을 제거한다. 선택적으로, 유전체층(56)이 또한 이 단계에서 제거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 제거 후, 선택적으로, 실리콘 산화물, 산화질화물, 높은 K 유전체층, 또는 이들의 복합체와 같은 유전체층(92)이 구조물 위에 증착될 수 있다. Al, Ti, TiAlN, TaSiN, TaN, TiN, 또는 다른 적절한 금속 재료 등과 같은 금속 게이트 재료(94) 층이 유전체층(92) 위에 형성된다. 그 다음, CMP를 수행하여 유전체층(92) 및 금속 층(94)을 제거하고, 논리 영역(6)에서 유전체층(92)으로 라이닝된 금속 블록(94)을 남긴다. 최종 구조물이 도 16a, 도 16b 및 도 16c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은, 2개의 드레인 영역(74)으로부터 이격되는, 실리콘(10)의 채널 영역(96)이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소스 영역(42)을 각각 공유하는 메모리 셀의 쌍을 포함하는 MC 영역(2)의 최종 메모리 셀 구조를 도시한다. 각각의 메모리 셀은 채널의 전도성을 제어하기 위해 채널 영역(96)의 제1 부분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플로팅 게이트(14a), 채널의 전도성을 제어하기 위해 채널 영역(96)의 제2 부분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워드 라인 게이트로도 지칭될 수 있는) 선택 게이트(48a), 플로팅 게이트(14a)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제어 게이트(26a), 및 (메모리 셀의 쌍에 의해 공유되는) 소스 영역(42)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소거 게이트(48b)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의 쌍은 칼럼(column) 방향(BL 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접한 칼럼 사이의 절연체(22)를 활용하여 메모리 셀의 칼럼이 형성된다. 제어 게이트의 로우(row)는 메모리 셀의 전체 로우에 대해 제어 게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속 제어 게이트 라인으로 형성된다. 선택 게이트의 로우는 메모리 셀의 전체 로우에 대해 선택 게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워드 게이트 라인으로도 알려진) 연속 선택 게이트 라인으로 형성된다. 소거 게이트의 로우는 메모리 셀의 쌍의 전체 로우에 대해 소거 게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속 소거 게이트 라인으로 형성된다.
최종 HV 소자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HV 소자는 이격된 소스 및 드레인 영역(76, 78)을 포함하며, 실리콘 기판(10)의 채널 영역(98)이 그 사이에서 연장된다. 전도성 게이트(48c)는 채널의 전도성을 제어하기 위해 채널 영역(98)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된다.
최종 논리 소자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논리 소자는 이격된 소스 및 드레인 영역(80, 82)을 포함하며, 실리콘 기판(10)의 채널 영역(100)이 그 사이에서 연장된다. 금속 게이트(94)는 채널의 전도성을 제어하기 위해 (유전체층(92)에 의해) 채널 영역(100)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된다. 도 20은, 유전체층(56)은 유지되고, 유전체층(92)의 형성이 생략되는 경우, 최종 논리 소자를 도시한다. 도 21은, 유전체층(56)은 유지되고 유전체층(92)이 형성되는 경우, 최종 논리 소자를 도시한다.
메모리 셀, HV 소자 및 논리 소자를 동일한 기판 상에 형성하는 상술된 방법에는 다수의 이점이 있다. 메모리 셀 및 HV 소자 형성은 선택적 높은 K 유전체 및 금속 게이트가 논리 영역(6) 내에 형성되기 전에 완료되어, 논리 영역(6) 내의 선택적 높은 K 유전체층(92) 및 금속 게이트(94)는 메모리 셀 및 HV 소자의 형성에 의해 부정적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MC 및 HV 영역(2/4)에서 게이트의 형성을 위한 공정 단계는 논리 영역(6)에서 게이트의 형성을 위한 공정 단계와는 별개이고 독립적이다(그리고 이에 대해 맞춤화될 수 있다). MC 및 HV 영역(2/4)은 대부분의 메모리 셀 및 HV 소자 형성이 완료된 후 및 논리 영역(6)에서의 처리 전에 (즉, 메모리 셀 및 HV 소자 형성으로부터 남겨진 논리 영역(6)에서 층의 제거 전에, 그리고 더미 폴리 제거 등을 포함하는 논리 소자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층의 증착 및 제거 전에) 보호층(54)에 의해 덮인다. 기판(10)의 상면(10a)은 논리 영역(6)에 비해 MC 및 HV 영역(2/4)에서 리세스되어 MC/HV 영역(2/4)에서 더 높은 구조물을 수용한다(즉, 논리 영역(6)에서 더 짧은 논리 소자의 상단이 MC/HV 영역(2/4)에서 더 큰 메모리 셀 및 HV 소자의 상단보다 약간 높도록 하여, 세 영역 모두에 걸친 CMP가 처리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함 - 예를 들어, 선택 게이트(48a) 및 HV 게이트(48c)의 상단은 논리 게이트 형성 CMP 단계 동안 손상되지 않음). 보호층(88)은 금속 논리 게이트(94)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CMP로부터 규화물화된 폴리 블록(48)을 보호하고, 제어 게이트 폴리(26)는 이 CMP를 위한 정지층으로서 보조한다. 규화물(86)은 드레인 영역(74), 및 소스/드레인 영역(76/78), 소스/드레인 영역(80/82), 선택 게이트(48a), 소거 게이트(48b) 및 HV 게이트(48c)의 전도성을 향상시킨다. 반비등각층(70)은 보호층(54)이 얇아지는 동안 MC 영역(2)의 소스/드레인 영역에서 산화물 및 실리콘을 보호한다. 메모리 셀 선택 게이트(48a), 메모리 셀 소거 게이트(48b) 및 HV 소자 게이트(48c)는 단일 전도성 재료 증착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즉, 단일 폴리실리콘 증착에 의해 형성된 단일 폴리실리콘층은 3가지 모든 유형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또한, 동일한 폴리 식각을 사용하여, 각각의 선택 게이트(48a)의 에지 중 하나 및 각각의 HV 게이트(48c)의 양쪽 에지를 정의할 수 있다. 다양한 게이트 산화물(46, 12, 38 및 56)의 두께는 서로 독립적이며, 각각의 게이트 동작에 대해 각각 최적화된다. 예를 들어, 선택 게이트(48a) 아래의 층(46)은 바람직하게는 플로팅 게이트 아래의 층(12) 보다 더 얇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되고 본원에 예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임의의 그리고 모든 변형을 포괄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의 본 발명에 대한 언급은 임의의 청구항 또는 청구항 용어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단지 하나 이상의 청구항에 의해 포함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특징을 언급한다. 위에서 설명한 재료, 공정, 및 수치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청구범위 및 명세서로부터 자명한 바와 같이, 모든 방법 단계는 도시되거나 청구되는 정확한 순서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메모리 셀 영역 및 논리 영역의 적절한 형성을 허용하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되면 된다. 마지막으로, 재료의 단일 층이 그러한 또는 유사한 재료의 다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 위에" 및 "~ 상에" 둘 모두는 "직접적으로 ~ 상에"(어떠한 중간 재료, 요소 또는 공간도 사이에 배치되지 않음)와 "간접적으로 ~ 상에"(중간 재료, 요소 또는 공간이 사이에 배치됨)를 포괄적으로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인접한"이라는 용어는 "직접적으로 인접한"(사이에 어떠한 중간의 재료, 요소 또는 공간도 배치되지 않음) 및 "간접적으로 인접한"(사이에 중간의 재료, 요소 또는 공간이 배치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판 위에" 요소를 형성하는 것은 어떠한 중간 재료/요소도 사이에 갖지 않고서 직접적으로 기판 상에 요소를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중간 재료/요소를 사이에 갖고서 간접적으로 기판 상에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3)

  1.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재료의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3 영역에서의 상기 기판의 상면에 대해 상기 제1 영역에서의 상기 기판의 상면 및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기판의 상면을 리세스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상면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제1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전도층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상면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제2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식각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도층의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2 전도층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전도층을 완전히 제거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식각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스택 구조물의 쌍을 생성하고, 상기 스택 구조물 각각은 상기 제1 전도층의 플로팅 게이트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상기 제2 전도층의 제어 게이트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스택 구조물의 쌍 중 하나 사이에 각각 배치된 상기 기판에서 제1 소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제3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제3 전도층 위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전도층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전도층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상면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전도성 재료의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3 영역에 상기 전도성 재료의 블록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보호층의 부분 및 상기 제3 전도층의 부분을 식각하여, 상기 스택 구조물 중 하나에 인접하게 각각 배치된 상기 제3 전도층의 복수의 선택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상면 위에 각각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상기 제3 전도층의 복수의 HV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선택 게이트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한 상기 기판에서 제1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HV 게이트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한 상기 기판에서 제2 소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HV 게이트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한 상기 기판에서 제2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재료의 블록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한 상기 기판에서 제3 소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재료의 블록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한 상기 기판에서 제3 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도성 재료의 블록 각각을 금속 재료의 블록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재료의 블록 각각은 높은 K 절연 재료의 층에 의해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상면으로부터 절연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전도성 재료의 블록 각각은 높은 K 절연 재료의 층에 의해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상면으로부터 절연되고, 상기 대체하는 단계는 상기 높은 K 절연 재료의 층 상에 상기 금속 재료의 블록 각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구조물의 쌍 각각에 대해, 상기 제3 전도층의 소거 게이트는 상기 스택 구조물의 쌍 사이에, 및 상기 소스 영역 중 하나 위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절연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도층 각각은 폴리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1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전도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영역에서 상기 제3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3 전도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드레인 영역 상에 및 상기 제2 및 제3 소스 영역 상에 규화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게이트, 상기 소거 게이트 및 상기 HV 게이트 상에 규화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규화물의 형성 후 및 상기 전도성 재료의 블록 각각을 상기 금속 재료의 블록으로 대체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서 상기 규화물 상에 재료의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구조물 각각에 대해, 상기 제어 게이트는 ONO 절연층에 의해 상기 플로팅 게이트로부터 절연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3 전도층 상에 절연 재료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3 영역에서의 상기 제3 전도층 상에 및 상기 제2 영역에서의 상기 절연 재료의 층 상에 전도성 재료의 더미 층을 형성하는 단계;
    화학적 기계적 연마를 수행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영역에서 상기 전도성 재료의 더미 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상기 절연 재료의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게이트 및 상기 HV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영역에서 유동성 재료의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보호층으로부터 상기 유동성 재료의 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보호층을 얇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유동성 재료의 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38561A 2020-06-23 2020-12-22 기판 상의 메모리 셀, 고전압 소자 및 논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220163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81174.7 2020-06-23
CN202010581174.7A CN113838853A (zh) 2020-06-23 2020-06-23 在衬底上制造存储器单元、高电压设备和逻辑设备的方法
US17/129,865 US11444091B2 (en) 2020-06-23 2020-12-21 Method of making memory cells, high voltage devices and logic devices on a substrate
US17/129,865 2020-12-21
PCT/US2020/066727 WO2021262235A1 (en) 2020-06-23 2020-12-22 Method of making memory cells, high voltage devices and logic devices on a substr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463A true KR20220163463A (ko) 2022-12-09

Family

ID=7418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561A KR20220163463A (ko) 2020-06-23 2020-12-22 기판 상의 메모리 셀, 고전압 소자 및 논리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169072A1 (ko)
JP (1) JP2023532238A (ko)
KR (1) KR20220163463A (ko)
TW (1) TWI794807B (ko)
WO (1) WO2021262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62975A1 (en) * 2022-02-14 2023-08-17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memory cells, high voltage devices and logic devices on a substrate using a dummy area
WO2023154078A1 (en) * 2022-02-14 2023-08-17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memory cells, high voltage devices and logic devices on a substrate using a dummy area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7310B2 (en) 2002-10-07 2004-06-08 Actrans System Inc. Flash memory cells with separated self-aligned select and erase gates, and process of fabrication
JP4276510B2 (ja) * 2003-10-02 2009-06-1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20090039410A1 (en) 2007-08-06 2009-02-12 Xian Liu Split Gate Non-Volatile Flash Memory Cell Having A Floating Gate, Control Gate, Select Gate And An Erase Gate With An Overhang Over The Floating Gate,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9276005B1 (en) 2014-12-04 2016-03-01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Non-volatile memory array with concurrently formed low and high voltage logic devices
US10134748B2 (en) * 2016-11-29 2018-11-2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Cell boundary structure for embedded memory
US10714634B2 (en) * 2017-12-05 2020-07-14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Non-volatile split gate memory cells with integrated high K metal control gat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325919B1 (en) * 2018-06-22 2019-06-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ask design for embedded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2235A1 (en) 2021-12-30
JP2023532238A (ja) 2023-07-27
TW202218126A (zh) 2022-05-01
TWI794807B (zh) 2023-03-01
EP4169072A1 (en)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21433B1 (en) Non-volatile split gate memory cells with integrated high k metal control gates and method of making
US10381359B2 (en) Non-volatile split game memory cells with integrated high K metal gate logic device and metal-free erase g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793280B2 (en) Integration of split gate flash memory array and logic devices
US9634019B1 (en) Non-volatile split gate memory cells with integrated high K metal g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TWI794807B (zh) 在基板上製造記憶體單元、高電壓裝置和邏輯裝置的方法
US11444091B2 (en) Method of making memory cells, high voltage devices and logic devices on a substrate
KR102559812B1 (ko) 전도성 블록에 규화물을 갖는 기판 상의 메모리 셀, 고전압 소자 및 논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11737266B2 (en)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memory cells, high voltage devices and logic devices on a substrate
TWI799100B (zh) 在基板上形成具有記憶體單元,高電壓裝置及邏輯裝置的半導體裝置的方法
US20230262975A1 (en)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memory cells, high voltage devices and logic devices on a substrate using a dummy area
US11968829B2 (en) Method of forming memory cells, high voltage devices and logic devices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WO2023154078A1 (en) Method of form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memory cells, high voltage devices and logic devices on a substrate using a dummy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