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252A -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252A
KR20220163252A KR1020220043531A KR20220043531A KR20220163252A KR 20220163252 A KR20220163252 A KR 20220163252A KR 1020220043531 A KR1020220043531 A KR 1020220043531A KR 20220043531 A KR20220043531 A KR 20220043531A KR 20220163252 A KR20220163252 A KR 20220163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corner
storage tank
gas storag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667B1 (ko
Inventor
김동우
최병기
오훈규
박천진
박민규
박성보
김용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63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7Assembling processes by adhesi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17C2209/228Assembling processes by screws, bolts or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화 가스 저장 탱크는 액화 가스와 접촉하는 1차 방벽,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1차 단열벽, 상기 1차 단열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2차 방벽, 및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2차 단열벽을 포함하는 단열 구조를 포함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로서, 서로 다른 각도의 제1 면과 제2 면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 구조를 포함하는 코너 블록;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 구조를 포함하는 평면 블록; 상기 코너 블록과 상기 평면 블록 중 적어도 상기 코너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선체와 상기 저장공간 사이에서 응결된 물을 상기 선체의 배수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코너 블록의 상기 제2 단열벽을 선체에 고정하기 위한 스터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터드에 대응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스터드와 결합하여 상기 단열 구조의 높이를 결정하는 레벨링 부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VESSE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개발 및 환경 규제에 따라 가솔린이나 디젤을 대체하여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액화 석유 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등과 같은 액화 가스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또한, LNG와 같은 액화 가스를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운반선, LNG RV(Regasification Vessel),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의 선박 내에는 LNG를 극저온 액체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소위 "화물창"으로 지칭됨)가 설치되어 있으며, IMO 환경 규제에 따라 초대형 컨테이너선 및 각종 화물선에도 LNG 연료 Tank 적용이 현실화 되고 있다.
상술한 액화 가스 저장 탱크는 복수의 단열 패널을 구비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단열 패널은 코너부 및 평면부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선체에 2차 단열벽을 스터드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레벨링 부재가 가이드부와 일체화됨으로써, 작업 공수가 감소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화 가스 저장 탱크는 액화 가스와 접촉하는 1차 방벽,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1차 단열벽, 상기 1차 단열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2차 방벽, 및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2차 단열벽을 포함하는 단열 구조를 포함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로서, 서로 다른 각도의 제1 면과 제2 면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 구조를 포함하는 코너 블록;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 구조를 포함하는 평면 블록; 상기 코너 블록과 상기 평면 블록 중 적어도 상기 코너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며, 선체와 상기 액화 가스의 저장공간 사이에서 응결된 물을 상기 선체의 배수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코너 블록의 상기 제2 단열벽을 상기 선체에 고정하기 위한 스터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터드에 대응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스터드와 결합하여 상기 단열 구조의 높이를 결정하는 레벨링 부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는 플라이우드, 금속 및 마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너 블록과 상기 평면 블록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폼 인슐레이션을 포함하는 제1 단열재; 및 글라스 울을 포함하는 제2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열재는 상기 평면 블록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2 단열재는 상기 코너 블록에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단열재는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제1 단열재와 함께 상기 간극에 삽입된 후, 압축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하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바닥 둘레를 따라 연속적인 형태를 갖도록 배치되되, 일측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코너 블록 및 상기 평면 블록은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선체에 접착되며, 상기 가이드부에서 개방된 일측에 위치한 상기 코너 블록 또는 상기 평면 블록을 고정하는 상기 접착 부재는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는 로프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은 상술한 액화 가스 저장 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선체에 2차 단열벽을 스터드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레벨링 부재가 가이드부와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액화 가스 저장 탱크 설치를 위한 별도의 레벨링 부재 설치를 위한 작업이 감소되므로,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작업 공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 가스 저장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화 가스 저장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EA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액화 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열이나 가압에 의해 액체 상태가 아닌 경우 등도 편의상 액화 가스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증발 가스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LNG는 편의상 액체 상태인 NG(Natural Gas) 뿐만 아니라 초임계 상태 등인 LNG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증발 가스는 기체 상태의 증발 가스뿐만 아니라 액화된 증발 가스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가 구비되는 선박을 포함한다. 이때 선박은 적어도 액화 가스를 추진연료/발전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일 수 있으며, 가스 운반선, 가스가 아닌 화물이나 사람을 운반하는 상선, FSRU, FPSO, Bunkering vessel, 해양 플랜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 가스 저장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화 가스 저장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EA1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 가스 저장 탱크(1)는, 선박에 구비되어 극저온(약-160℃ 내지 -170℃) 물질인 LNG와 같은 액화 가스를 저장할 수 있으며, 평면 구조 및 코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전후 방향의 횡벽, 횡벽 사이의 바닥, 세로벽 및 천장은 평면 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횡벽, 바닥, 세로벽, 천장이 만나는 구조는 코너 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코너 구조는 둔각 코너 구조 또는 직각 코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평면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평면 블록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코너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코너 블록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평면 블록은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코너 부분에서 복수의 코너 블록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평면 블록과 코너 블록은, 액화 가스와 접촉하는 1차 방벽(10), 1차 방벽(10)의 외측에 설치되는 1차 단열벽(20), 1차 단열벽(20)의 외측에 설치되는 2차 방벽(30), 및 2차 방벽(30)의 외측에 배치되는 2차 단열벽(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액화 가스 저장 탱크(1)는 2차 단열벽(40)과 선체(2) 사이에 설치되는 마스틱과 같은 접착 부재(50) 및 고정 부재인 스터드(90) 등에 의해 선체(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 1차 방벽(10)은 평면 블록의 평면 1차 방벽(10a)과 코너 블록의 코너 1차 방벽(10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1차 단열벽(20)은 평면 블록의 평면 1차 단열벽(20a)과 코너 블록의 코너 1차 단열벽(20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2차 방벽(30)은 평면 블록의 평면 2차 방벽(30a)과 코너 블록의 코너 2차 방벽(30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2차 단열벽(40)은 평면 블록의 평면 2차 단열벽(40a)과 코너 블록의 코너 2차 단열벽(4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1차 단열벽(20)은 1차 방벽(10)의 외측으로 1차 플라이우드(20aa)와 1차 단열재(20ab)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1차 플라이우드(20aa)의 두께와 1차 단열재(20ab)의 두께를 합친 두께에 해당할 수 있다. 1차 단열벽(20)은 160mm 내지 25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1차 플라이우드(20aa)는, 1차 방벽(10)과 1차 단열재(20ab)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1차 플라이우드(31)는, 6.5mm 내지 1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1차 단열재(20ab)는,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을 차단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내부에서의 액화가스 슬로싱으로 인한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단열 성능이 우수하면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1차 단열재(20ab)는, 1차 플라이우드(20aa)와 2차 방벽(30)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170mm 내지 240mm의 두께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1차 단열벽(20)에서, 평면 1차 단열벽(20a)과 코너 1차 단열벽(20b)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2차 단열벽(40)은 2차 방벽(30)의 외측으로 2차 단열재(40aa)와 2차 플라이우드(40ab)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2차 단열재(40aa)의 두께와 2차 플라이우드(40ab)의 두께를 합친 전체 두께가 150mm 내지 240mm로 형성될 수 있다.
2차 단열재(40aa)는,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을 차단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내부에서의 액화가스 슬로싱으로 인한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단열 성능이 우수하면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2차 단열재(40aa)는, 2차 방벽(30)과 2차 플라이우드(40ab) 사이에서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160mm 내지 23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2차 플라이우드(40ab)는, 2차 단열재(40aa)와 선체(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2차 단열재(40aa)는 2차 플라이우드(40ab)와 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2차 플라이우드(40ab)는, 6.5mm 내지 2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차 단열벽(40)에서, 평면 2차 단열벽(40a)과 코너 2차 단열벽(40b)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평면 블록 및 코너 블록의 2차 방벽(30)은, 복수의 평면 블록 또는 복수의 코너 블록을 인접 배치할 때, 이웃하여 인접 배치되는 평면 2차 방벽(30a) 또는 이웃하여 인접 배치되는 코너 2차 방벽(30b)을 연결하는 평면 연결 방벽(31a) 또는 코너 연결 방벽(3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화 가스 저장 탱크(1)는 단열 성능 및 저장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1차 단열벽(20)과 2차 단열벽(40)의 두께를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단열벽(20)과 2차 단열벽(40)의 주요 재질로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할 경우 1차 단열벽(20)의 두께와 2차 단열벽(40)의 두께를 합친 전체 두께는 250mm 내지 500mm 범위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평면 블록과 코너 블록에서 1차 단열벽(20)의 두께와 2차 단열벽(40)의 두께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평평한 부분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평평한 부분은 복수의 평면 블록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평면 블록은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서로 다른 각도의 제1 면 또는 제2 면에서 평평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평면 블록은, 금속 재질의 평면 1차 방벽(10a)을 고정하며 평면 1차 방벽(10a)의 외측에 배치되는 평면 1차 단열벽(20a)과, 평면 1차 단열벽(20a)의 외측에 마련되는 평면 2차 방벽(30a)과, 평면 2차 방벽(30a)의 외측에 배치되는 평면 2차 단열벽(40a)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1차 방벽(10a)은, 서로 다른 각도의 제1 면 또는 제2 면에서 평평한 부분에 배치되어 극저온 물질인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은 스테인리스 강재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평면 1차 방벽(10a)은, 평면 2차 방벽(30a)과 함께 액화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평면 1차 방벽(10a)은, 금속 스트립(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평면 1차 단열벽(20a)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에 저장되는 극저온 물질인 액화 가스와 직접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평면 1차 방벽(10a)은, 평면 블록과 도 2에 도시된 코너 블록을 인접 배치하여 연결할 때, 평면 1차 단열벽(20a)과 도 2에 도시된 코너 1차 방벽(10b)을 실링한다.
평면 1차 단열벽(20a)은,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을 차단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내부에서의 액화 가스 슬로싱으로 인한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며, 평면 1차 방벽(10a)과 평면 2차 방벽(30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평면 1차 단열벽(20a)은, 평면 1차 방벽(10a)의 외측으로 플라이우드(20aa)와 단열재(20ab)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플라이우드(20aa)의 두께와 단열재(20ab)를 합친 두께는 예를 들어 160mm 내지 25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평면 1차 단열벽(20a)은, 평면 2차 방벽(30a) 및 평면 2차 단열벽(40a)과 함께 평면 블록의 일부 구성으로, 평면 블록을 이루는 평면 1차 단열벽(20a)은 평면 블록의 다른 구성인 평면 2차 단열벽(40a)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평면 1차 단열벽(20a)의 양측으로 평면 2차 방벽(30a)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복수의 평면 블록이 인접 배치될 때, 이웃하여 인접 배치되는 평면 1차 단열벽(20a) 사이의 공간 부분, 즉 평면 2차 방벽(30a)이 노출되는 공간 부분에는 연결 단열벽(21)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단열벽(21)은, 평면 블록이 상호 인접 배치될 때 이웃하는 평면 1차 단열벽(20a)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평면 1차 단열벽(20a)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연결 플라이우드(21ab)와 연결 단열재(21aa)가 적층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평면 1차 단열벽(20a)과 동일 또는 유사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단열벽(21)은, 복수의 평면 블록을 인접 배치했을 때, 이웃하여 인접 배치되는 평면 2차 단열벽(40a) 사이에 생기는 공간 부분을 평면 연결 방벽(31a)과 함께 밀봉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단열벽(21)은 코너 블록과 평면 블록 사이에도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코너 블록과 평면 블록을 인접 배치한 부분에서, 연결 단열벽(21)은 이웃하여 인접 배치되는 평면 2차 단열벽(40a)과 코너 2차 단열벽(40b) 사이의 간극을 평면 연결 방벽(31a)과 함께 밀봉할 수 있다.
평면 2차 방벽(30a)은, 평면 1차 단열벽(20a)과 평면 2차 단열벽(40a)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평면 1차 방벽(10a)과 함께 액화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평면 2차 방벽(30a)은, 평면 1차 단열벽(20a) 및 평면 2차 단열벽(40a)과 함께 평면 블록의 일부 구성으로, 평면 블록이 인접 배치될 때, 이웃하는 평면 2차 방벽(30a)은 평면 연결 방벽(31a)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평면 연결 방벽(31a)은, 평면 블록이 인접 배치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이웃하는 평면 2차 방벽(30a)을 연결할 수 있으며, 상부에 연결 단열벽(21)이 설치될 수 있다.
평면 2차 단열벽(40a)은, 평면 1차 단열벽(20a) 및 연결 단열벽(21)과 함께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을 차단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내부에서의 액화 가스 슬로싱으로 인한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평면 2차 단열벽(40a)은 평면 2차 방벽(30a)과 선체(2)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단열재, 플라이우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평면 2차 단열벽(40a)은, 평면 2차 방벽(30a)의 외측으로 단열재(40aa)와 플라이우드(40ab)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단열재(40aa)와 플라이우드(40ab)를 합친 전체 두께는 예를 들어, 평면 1차 단열벽(20a)의 두께와 동일 또는 유사한 150mm 내지 240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코너 부분을 설명한다.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코너 부분은 복수의 코너 블록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코너 구조는 135도의 각도를 이루는 둔각코너 구조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수치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코너 블록은,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서로 다른 각도의 제1 면과 제2 면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배치되며, 금속 재질의 코너 1차 방벽(10b)을 고정하며 코너 1차 방벽(10b)의 외측에 배치되는 코너 1차 단열벽(20b)과, 코너 1차 단열벽(20b)의 외측에 마련되는 코너 2차 방벽(30b)과, 코너 2차 방벽(30b)의 외측에 배치되는 코너 2차 단열벽(4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너 1차 단열벽(20b)은 내측 절곡부(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너 1차 방벽(10b)은, 서로 다른 각도의 제1 면 또는 제2 면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배치되어 극저온 물질인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너 1차 방벽(10b)은, 코너 2차 방벽(30b)과 함께 액화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너 1차 방벽(10b)은,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너 1차 단열벽(20b)의 상단부에 접착 또는 볼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되는 방벽 고정 부재에 의해 코너 1차 단열벽(20b)에 상에 고정 결합되어,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에 저장되는 극저온 물질인 액화 가스와 직접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언급되는 코너 1차 방벽(10b)은 방벽 고정 부재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코너 1차 방벽(10b)은, 코너 블록과 도 1에 도시된 평면 블록을 인접 배치하여 연결할 때, 코너 1차 단열벽(20b)과 도 1에 도시된 평면 1차 방벽(10a)을 실링할 수 있으며, 내측 제1 고정부(22b)의 내측 플라이우드 및 내측 제2 고정부(23b)의 내측 플라이우드에 고정되며 내측 절곡부(21b)의 내면에서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35도의 각도로 절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코너 1차 단열벽(20b)은,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을 차단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내부에서의 액화 가스 슬로싱으로 인한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며, 코너 1차 방벽(10b)과 코너 2차 방벽(30b)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코너 1차 단열벽(20b)은, 제1 면과 제2 면의 내측에 각각 마련되며, 코너 1차 방벽(10b)의 외측으로 내측 플라이우드, 단열재, 외측 플라이우드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구성되는 내측 제1 고정부(22b)와 내측 제2 고정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제1 고정부(22b)는 외측 제1 고정부(41b)에 고정되어 제1 면의 내측에 마련되고, 내측 제2 고정부(23b)는 외측 제2 고정부(42b)에 고정되어 제2 면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코너 1차 단열벽(20b)은, 내측 제1 고정부(22b)와 내측 제2 고정부(23b) 사이에 채워지며 폴리우레탄 폼 등의 단열 물질로 이루어지는 내측 절곡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너 1차 단열벽(20b)은, 내측 플라이우드, 단열재, 외측 플라이우드를 합친 두께가 전술한 평면 1차 단열벽(20a)의 두께(예를 들어, 160mm 내지 250mm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코너 블록에서 코너 1차 방벽(10b)이 고정되는 방벽 고정 부재를 잡아주기 위한 내측 제1, 2 고정부(22b, 23b)를 플라이우드와 단열 물질이 조합된 구성으로 형성함으로써, 플라이우드만으로 구성된 것 대비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코너 1차 단열벽(20b)으로 구성되는 내측 제1, 2 고정부(22b, 23b) 각각은, 코너 2차 방벽(30b) 및 코너 2차 단열벽(40b)으로 구성되는 외측 제1, 2 고정부(41b, 42b) 각각에 고정되는데, 이러한 내측 제1, 2 고정부(22b, 23b) 각각의 폭은 외측 제1, 2 고정부(41b, 42b) 각각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각도의 제1 면과 제2 면이 마주하는 코너 부분의 변을 따라 복수의 코너 블록이 인접 배치될 때, 이웃하여 인접 배치되는 내측 제1, 2 고정부(22b, 23b) 사이의 공간 부분, 즉 코너 2차 방벽(30b)이 노출되는 공간 부분에는 내측 절곡부(21b)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절곡부(21b)는 저밀도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 각도, 예를 들어 135도의 각도로 절곡된 외면에는 코너 2차 방벽(30b)과 코너 연결 방벽(31b)이 적층된 2차 방벽(3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절곡부(21b)는 복수의 코너 블록을 인접 배치했을 때, 이웃하여 인접 배치되는 외측 제1, 2 고정부(41b, 42b) 사이에 생기는 공간 부분을 코너 연결 방벽(31b)과 함께 밀봉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코너 2차 방벽(30b)은, 코너 1차 단열벽(20b)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코너 2차 방벽(30b)은, 코너 1차 단열벽(20b)과 코너 2차 단열벽(40b)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코너 1차 방벽(10b)과 함께 액화 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너 2차 방벽(30b)은, 코너 1차 단열벽(20b) 및 코너 2차 단열벽(40b)과 함께 코너 블록의 일부 구성으로, 코너 블록이 인접 배치될 때, 외측 제1, 2 고정부(41b, 42b) 사이에서 이웃하는 코너 2차 방벽(30b)은 코너 연결 방벽(31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코너 연결 방벽(31b)은, 코너 블록이 인접 배치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이웃하는 코너 2차 방벽(30b)을 연결할 수 있으며, 상부에 내측 절곡부(21b)가 설치되어, 내측 절곡부(21b)와 인접 배치되는 외측 제1, 2 고정부(41b, 42b) 사이에 생기는 공간 부분을 밀봉하여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너 연결 방벽(31b)은, 내측 제1, 2 고정부(22b, 23b) 사이뿐만 아니라, 적어도 내측 제1, 2 고정부(22b, 23b)에 중첩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제1, 2 고정부(41b, 42b)가 만나는 지점에서, 코너 2차 방벽(30b)과 코너 연결 방벽(31b)이 적층된 2차 방벽(30)은 절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코너 2차 단열벽(40b)은, 코너 2차 방벽(30b)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코너 2차 단열벽(40b)은, 코너 1차 단열벽(20b) 및 내측 절곡부(21b)와 함께 외부로부터의 열 침입을 차단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내부에서의 액화 가스 슬로싱으로 인한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코너 2차 단열벽(40b)은 코너 2차 방벽(30b)과 선체(2)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내측 플라이우드, 단열재, 외측 플라이우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너 2차 단열벽(40b)은, 제1 면과 제2 면의 내측에 각각 고정되며, 코너 2차 방벽(30b)의 외측으로 내측 플라이우드, 단열재, 외측 플라이우드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구성되는 외측 제1 고정부(41b)와 외측 제2 고정부(4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제1 고정부(41b)는 제1 면의 내측에 고정되고, 외측 제2 고정부(42b)는 제2 면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면에 고정되는 외측 제1 고정부(41b)와 제2 면에 고정되는 외측 제2 고정부(42b)가 마주하는 측면은, 코너 부분을 균등 분할하는 방향(ED)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너 부분이 균등 분할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너 위치에 따라 균등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코너 부분을 불균등 분할하는 방향(ED)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코너 2차 단열벽(40b)은, 내측 플라이우드와 단열재, 외측 플라이우드를 합친 전체 두께가 전술한 평면 2차 단열벽(40a)의 두께(예를 들어, 150mm 내지 240mm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평면 블록과 코너 블록 사이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코너 블록과 평면 블록은 선체(2)에 설치될 때 일정한 간극을 두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평면 블록과 코너 블록 중 적어도 코너 블록의 하부에는 가이드부(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간극에는 커버부(7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60)는, 코너 블록과 평면 블록 사이에서 물을 가이드할 수 있다.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선체(2)와 저장 공간 사이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저장 공간 내 극저온 상태의 액화가스로 인해 응결되어 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60)는 선체(2)와 저장 공간 사이에서 응결된 물을 선체(2)의 배수구(80)로 가이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액화 가스 저장 탱크(1)가 형성되는 선체(2)에는 배수구(80)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구(80)는 선체(2)에서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후방에 치우친 위치에 마련되며,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상면에 구비된 돔(부호 도시하지 않음)과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또는 중첩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수구(80)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1) 바닥면(1a)의 후방변에서 좌우방향 중앙에 1개가 단독으로 배치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이 후방변에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수구(80)는 선체(2) 내부에서 발생하는 물을 수집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배수구(80)를 통해 빠져나간 물은 별도의 처리시설을 통해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다.
가이드부(60)는 선체(2)와 저장 공간 사이(코너 블록/평면 블록과 선체(2) 사이 또는 선체(2)와 2차 방벽(30) 사이 등)에서 발생한 물을 배수구(80)로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 연속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가이드부(60)는 플라이우드, 금속, 마스틱과 같은 접착 부재(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강질의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고,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바닥 둘레를 따라 연속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저장 공간 중 측면과 선체(2) 사이에서 발생한 물은, 액화 가스 저장 탱크(1) 또는 선체(2)를 따라 흘러 내려간 뒤, 가이드부(60)를 따라 배수구(80)로 안내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60)는, 일측이 개방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8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 후,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뒤 끝단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60)는 평면에서 볼 때 ⊂자 또는 ㄷ자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60)는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액화 가스 저장 탱크(1) 바닥면(1a)의 각 변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60)는 배수구(8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연속 연장된 부분이 액화 가스 저장 탱크(1) 바닥면(1a)의 후방변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며,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부분이 액화 가스 저장 탱크(1) 바닥면(1a)의 좌우변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60)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된 부분은 액화 가스 저장 탱크(1) 바닥면(1a)의 전방변에서 마감됨으로써, 가이드부(60)는 전방을 향해 개방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60)가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전방에서 개방된 형태를 이루더라도,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전방에는 코퍼댐이 위치하게 되므로, 주변의 발라스트 워터 탱크 등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더욱이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전방 하단에 배치되는 마스틱과 같은 접착 부재(50)이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부(60)에서 개방된 일측에 위치한 코너 블록은 로프 타입의 접착 부재(50)에 의해 선체(2)에 접착되며, 이때 로프 타입의 접착 부재(5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는 방향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화 가스 저장 탱크(1) 바닥면(1a)에서 전방변에 인접 배치되는 코너 블록 또는 평면 블록을 고정하는 접착 부재(50)는, 좌우 방향으로 연속적인 형태를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접착 부재(50)의 전방에서 접착 부재(50)의 후방으로 물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접착 부재(50)는 코너 블록 각각에서 연속적일 뿐만 아니라 코너 블록과 코너 블록 사이에서도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코너 블록과 코너 블록 사이는 물 유동의 차단이 가능한 부재가 채워질 수 있다.
한편, 2차 단열벽(40), 2차 방벽(30), 1차 단열벽(20), 1차 방벽(10) 등이 적층된 구조는 단열 구조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열 구조는 선체(2) 내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단열 구조는 물리적 연결 및 화학적 연결을 통해 선체(2)에 고정될 수 있다.
단열 구조의 물리적 연결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선체(2) 내벽에는 복수 개의 스터드(90)가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스터드(90)는 볼트 형태로서, 선체(2) 내벽에 용접 등으로 수직하게 고정될 수 있다.
선체(2) 내벽에 고정된 스터드(90)에는 레벨링 부재가 설치되며, 레벨링 부재는 가이드부(6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60)가 레벨링 부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레벨링 부재로 사용되는 가이드부(60)의 적어도 일부는 단열 구조가 안착되도록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가이드부(60)의 높이에 따라 단열 구조와 선체(2) 내벽 사이의 간극이 결정된다. 즉 선체(2) 내벽에 대해 단열 구조가 안착되어야 하는 높이가 산출되면, 해당 높이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고, 스터드(90)에 대응하는 홀(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는 가이드부(60)가 스터드(90)와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단열 구조의 2차 단열벽(40)에는 스터드(90)에 대응되도록 구멍(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2차 단열벽(40)을 선체(2) 내벽에 안착시키면, 2차 단열벽(40)의 구멍을 통해 스터드(90) 상단이 2차 단열벽(4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특히 스터드(90)는 2차 단열벽(40)에 마련되는 2차 플라이우드(40ab)를 관통할 수 있다.
이후 2차 플라이우드(40ab)를 관통한 스터드(90)의 상단에는, 2차 단열재(40aa)의 구멍을 통해 인입되는 고정 너트(95)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너트(95)와 스터드(90)의 결합에 의해 2차 플라이우드(40ab)가 선체(2) 내벽에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단열 구조가 물리적으로 선체(2)에 설치될 수 있다.
단열 구조의 화학적 연결에 대해 설명하면, 선체(2) 내벽에 안착되는 2차 단열벽(40)의 외면에는 마스틱 등의 접착 부재(50)가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접착 부재(50)는 2차 플라이우드(40ab)의 외면에 도포되며, 스터드(90)가 관통되는 2차 플라이우드(40ab)의 구멍과 어긋나게 적용될 수 있다.
접착 부재(50)가 도포된 2차 단열벽(40)을 선체(2) 내벽에 설치하면, 접착 부재(50)가 경화됨에 따라 2차 단열벽(40)을 포함한 단열 구조가 선체(2) 내벽에 화학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접착 부재(50)의 도포량은 가이드부(60)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이드부(60)의 높이가 2차 플라이우드(40ab)와 선체(2) 내벽 간의 간극을 결정하게 되므로, 높이가 높은 가이드부(60)가 설치된 부분에 고정될 2차 단열벽(40)은 접착 부재(50)의 도포량이 많게 결정되고, 반대로 높이가 낮은 가이드부(60)가 설치된 부분에 고정될 2차 단열벽(40)은 접착 부재(50)의 도포량이 적게 결정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60)의 높이와 접착 부재(50)의 도포량은 상호 연계되어 결정될 수 있다.
커버부(70)는, 코너 블록과 평면 블록 사이의 간극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부(70)는 단열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단일의 부재가 간극에 삽입되거나, 또는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부재가 간극에 채워질 수 있다.
커버부(70)는 제1 단열재(71) 및 제2 단열재(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열재(71)는 상술한 간극 내에서 평면 블록에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열재(71)는 평면 블록의 평면 2차 단열벽(40a)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단열재(71)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1) 내부에 채워지는 액화 가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단열재를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단열재(71)는 폼 인슐레이션(Form Insulation) 일 수 있다. 또한, 제1 단열재(71)는 평면 블록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단열재(75)는 상술한 간극 내에서 코너 블록에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단열재(75)는 코너 블록의 코너 2차 단열벽(40b)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단열재(75)는 글라스 울(Glass Wool)을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 울과 같은 제2 단열재(75)는 강도 부재의 역할을 하지는 못하나, 얇은 두께로 가공하는 것이 폼 인슐레이션과 같은 제1 단열재(71)보다 더 용이할 수 있다. 제2 단열재(75)는 압축된 상태로 제1 단열재(71)와 함께 코너 블록과 평면 블록 사이의 간극에 삽입된 후, 압축이 해제되어 코너 블록과 평면 블록 사이의 간극을 충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열재(71)가 평면 블록에 인접하고, 제2 단열재(75)가 코너 블록에 인접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단열재(71)가 코너 블록에 인접하고, 제2 단열재(75)가 평면 블록에 인접할 수도 있다.
커버부(70)는 하단의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부(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커버부(70)의 하단의 형상은 가이드부(60)의 높이, 두께 등의 제원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커버부(70)의 하단은 선체(2)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코너 블록과 평면 블록 사이에서 선체(2)와 2차 방벽(30) 사이의 단열공간(Insulation Space)이 단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단열공간은 질소 또는 불활성가스가 주입됨에 따라 습도 및 산소가 지속적으로 체크 및 제어되는 바, 앞서 서술한 물의 응결 및 배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가이드부(60) 등은 물이 응결되는 특수한 상황에서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화 가스 저장 탱크(1)는 선체(2)에 2차 단열벽(40)을 스터드(90)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레벨링 부재가 가이드부(60)와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레벨링 부재 설치를 위한 작업이 감소되므로, 액화 가스 저장 탱크(1)의 작업 공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액화 가스 저장 탱크(1)는 가이드부(60)를 구비하여 극저온의 액화 가스로 인해 선체(2) 내에 물이 발생할 때 이를 배수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60)가 일측이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설치 공수와 비용 등을 절감하면서도, 접착 부재(50) 배치 등을 통해 물의 불필요한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이나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액화 가스 저장 탱크 1a: 바닥면
2: 선체 10: 1차 방벽
10a: 평면 1차 방벽 10b: 코너 1차 방벽
20: 1차 단열벽 20a: 평면 1차 단열벽
21: 연결 단열벽 20b: 코너 1차 단열벽
21b: 내측 절곡부 22b: 내측 제1 고정부
23b: 내측 제2 고정부 30: 2차 방벽
30a: 평면 2차 방벽 30b: 코너 2차 방벽
31a: 평면 연결 방벽 31b: 코너 연결 방벽
40: 2차 단열벽 40a: 평면 2차 단열벽
40b: 코너 2차 단열벽 41b: 외측 제1 고정부
42b: 외측 제2 고정부 50: 접착 부재
60: 가이드부 70: 커버부
71: 제1 단열재 75: 제2 단열재
80: 배수구

Claims (8)

  1. 액화 가스와 접촉하는 1차 방벽,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1차 단열벽, 상기 1차 단열벽의 외측에 설치되는 2차 방벽, 및 상기 2차 방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2차 단열벽을 포함하는 단열 구조를 포함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로서,
    서로 다른 각도의 제1 면과 제2 면이 만나는 코너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 구조를 포함하는 코너 블록;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 구조를 포함하는 평면 블록;
    상기 코너 블록과 상기 평면 블록 중 적어도 상기 코너 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며, 선체와 상기 액화 가스의 저장공간 사이에서 응결된 물을 상기 선체의 배수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코너 블록의 상기 제2 단열벽을 상기 선체에 고정하기 위한 스터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터드에 대응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스터드와 결합하여 상기 단열 구조의 높이를 결정하는 레벨링 부재 역할을 수행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플라이우드, 금속 및 마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블록과 상기 평면 블록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폼 인슐레이션을 포함하는 제1 단열재; 및
    글라스 울을 포함하는 제2 단열재를 포함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열재는 상기 평면 블록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2 단열재는 상기 코너 블록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열재는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제1 단열재와 함께 상기 간극에 삽입된 후, 압축 해제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하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바닥 둘레를 따라 연속적인 형태를 갖도록 배치되되, 일측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코너 블록 및 상기 평면 블록은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선체에 접착되며,
    상기 가이드부에서 개방된 일측에 위치한 상기 코너 블록 또는 상기 평면 블록을 고정하는 상기 접착 부재는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는 로프 타입으로 마련되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
  8. 제1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의 액화 가스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20043531A 2021-06-02 2022-04-07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630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1792 2021-06-02
KR1020210071792 2021-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252A true KR20220163252A (ko) 2022-12-09
KR102630667B1 KR102630667B1 (ko) 2024-01-29

Family

ID=84391534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004A KR102553159B1 (ko) 2021-06-02 2021-12-07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10186218A KR102588985B1 (ko) 2021-06-02 2021-12-23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20042540A KR102630622B1 (ko) 2021-06-02 2022-04-05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20043531A KR102630667B1 (ko) 2021-06-02 2022-04-07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20049130A KR20220163253A (ko) 2021-06-02 2022-04-20 선박
KR1020220056022A KR20220163256A (ko) 2021-06-02 2022-05-06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20058501A KR102640523B1 (ko) 2021-06-02 2022-05-12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20058473A KR20220163259A (ko) 2021-06-02 2022-05-12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20067841A KR20220163889A (ko) 2021-06-02 2022-06-02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2차방벽,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선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004A KR102553159B1 (ko) 2021-06-02 2021-12-07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10186218A KR102588985B1 (ko) 2021-06-02 2021-12-23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20042540A KR102630622B1 (ko) 2021-06-02 2022-04-05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130A KR20220163253A (ko) 2021-06-02 2022-04-20 선박
KR1020220056022A KR20220163256A (ko) 2021-06-02 2022-05-06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20058501A KR102640523B1 (ko) 2021-06-02 2022-05-12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20058473A KR20220163259A (ko) 2021-06-02 2022-05-12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20067841A KR20220163889A (ko) 2021-06-02 2022-06-02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2차방벽,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9) KR1025531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576A (ko) * 2016-11-29 2018-06-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단열 구조체 설치 방법
KR20190052617A (ko) * 2017-11-08 2019-05-16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밀폐 및 단열 탱크
KR20200031390A (ko) * 2018-09-14 2020-03-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배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381B1 (ko) * 2011-12-16 2014-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열 보드와 그 설치 방법, 상기 단열 보드를 구비한 액화 천연 가스 저장 탱크
FR2998256B1 (fr) * 2012-11-16 2019-12-20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aroi d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ee
KR20150021140A (ko) * 2013-08-19 2015-03-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탱크 방벽 구조물의 리크 테스트용 임시 방벽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701722B1 (ko) * 2014-10-10 2017-0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방벽구조
KR20170120862A (ko) * 2016-04-22 2017-11-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액화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020964B1 (ko) * 2017-12-22 2019-10-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멤브레인형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단열시스템 마감 시공방법, 화물창 임시 마감시공 구조물, 및 마감시공 구조물
KR102034603B1 (ko) * 2017-12-29 2019-10-2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데브리(debris) 유입 방지를 위해 고탄성 플레이트 탄성체를 갖는 RF 캐비티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95423B1 (ko) * 2018-08-21 2020-03-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저온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 및 그 멤브레인형 단열시스템을 구비하는 극저온 액화가스 운반선
KR20210058055A (ko) * 2019-11-13 2021-05-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실링 처리된 슬릿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576A (ko) * 2016-11-29 2018-06-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저온 유체 저장 탱크의 단열 구조체 설치 방법
KR20190052617A (ko) * 2017-11-08 2019-05-16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밀폐 및 단열 탱크
KR20200031390A (ko) * 2018-09-14 2020-03-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배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259A (ko) 2022-12-09
KR20220163260A (ko) 2022-12-09
KR102630622B1 (ko) 2024-01-30
KR20220163256A (ko) 2022-12-09
KR20220163253A (ko) 2022-12-09
KR102630667B1 (ko) 2024-01-29
KR20220163237A (ko) 2022-12-09
KR102640523B1 (ko) 2024-02-27
KR20220163889A (ko) 2022-12-12
KR20220163235A (ko) 2022-12-09
KR20220163856A (ko) 2022-12-12
KR102588985B1 (ko) 2023-10-16
KR102553159B1 (ko)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47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630667B1 (ko)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1903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249073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75113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1903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63058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15218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15220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1363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제작 시스템
KR10239665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23472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640536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75114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50339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50340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4014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5033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469993B1 (ko) 단열 패널용 핸들링 장치
US20230288030A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ship including same
KR102482091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제작 시스템
KR102350338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27634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EP4321421A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ship comprising same
TW202314156A (zh) 液化氣體之儲存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