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164A -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164A
KR20220163164A KR1020210071734A KR20210071734A KR20220163164A KR 20220163164 A KR20220163164 A KR 20220163164A KR 1020210071734 A KR1020210071734 A KR 1020210071734A KR 20210071734 A KR20210071734 A KR 20210071734A KR 20220163164 A KR20220163164 A KR 20220163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atile organic
organic compounds
measuring
ba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991B1 (ko
Inventor
장한나
손정아
오창영
제선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21007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9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26Sampling from a closed space, e.g. food package, head sp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7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26Sampling from a closed space, e.g. food package, head space
    • G01N2001/2241Sampling from a closed space, e.g. food package, head space purpose-built sampling enclosure for emis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01N2001/247Syrin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목이 배출하는 생물 유래 휘발성 유기화합물(BVOCs)의 배출량은 온도 및 광량 등 환경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수종별 BVOCs 배출량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환경 조건에서 표준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밀폐형 챔버 또는 순환형 챔버를 이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립한 BVOCs 배출량 분석을 위한 챔버 표준운영절차서를 활용하여 일정한 BVOCs 배출량 측정이 가능하며 여러 수종의 BVOCs 배출량을 비교 및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밸브가 형성되며 타측에 하나 이상의 포집밸브가 형성되고, 빛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테들러백와, 상기 테들러백의 공기주입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테들러백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와, 상기 테들러백의 포집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테들러백 내부의 공기를 포집하는 포집펌프 및 상기 테들러백의 상단의 기설정된 간격에 위치하고,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를 조절하는 광조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produced}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목이 배출하는 생물 유래 휘발성 유기화합물(BVOCs)의 배출량은 온도 및 광량 등 환경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수종별 BVOCs 배출량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환경 조건에서 표준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밀폐형 챔버 또는 순환형 챔버를 이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립한 BVOCs 배출량 분석을 위한 챔버 표준운영절차서를 활용하여 일정한 BVOCs 배출량 측정이 가능하며 여러 수종의 BVOCs 배출량을 비교 및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목이 배출하는 생물 유래 휘발성 유기화합물(BVOCs)의 배출량은 온도 및 광량 등 환경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수종별 BVOCs 배출량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환경 조건에서 표준 배출량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식물에 의하여 배출되는 BVOCs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 조건은 온도 30°C,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 1000 μmol/m2·s이다(Guenther et al., 1995).
BVOCs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밀폐형 챔버 또는 순환형 챔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밀폐형 챔버는 저농도의 물질을 분석하는데 용이하나 온도 및 습도 조절이 어렵고, 순환형 챔버는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나 유속이 농도 계산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연구 목적에 따라 적절한 챔버를 선정하여 측정을 진행해야 한다.
본 발명은 묘목을 대상으로 표준 BVOCs 배출량 측정을 위한 실험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챔버의 방식, BVOCs 포집 시간, 챔버 내 묘목 배치 등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19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빛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테들러백과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와 공기를 포집하는 포집펌프 및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를 조절하는 광조절장치를 형성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으로, 수립한 BVOCs 배출량 분석을 위한 챔버 표준운영절차서를 활용하여 일정한 BVOCs 배출량 측정이 가능하며 여러 수종의 BVOCs 배출량을 비교 및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밸브가 형성되며 타측에 하나 이상의 포집밸브가 형성되고, 빛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테들러백와, 상기 테들러백의 공기주입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테들러백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와, 상기 테들러백의 포집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테들러백 내부의 공기를 포집하는 포집펌프 및 상기 테들러백의 상단의 기설정된 간격에 위치하고,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를 조절하는 광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주입부는, 제1공기주입부와 제2공기주입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주입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가습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집펌프는, 제1포집펌프와 제2포집펌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테들러백과 공기주입부는 테프론튜브로 연결되고, 상기 테프론튜브에 유량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테들러백과 포집펌프는 테프론튜브로 연결되고, 상기 테프론튜브에 유량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조절장치는 LED로 형성되고,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 1000 μmol/m2·s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목에 의하여 배출되는 BVOCs는 대기 중에서 질소 산화물과 반응하여 오존 및 미세먼지 전구체를 생성시켜 도심 지역의 대기 오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그 배출량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수립한 BVOCs 배출량 분석을 위한 챔버 표준운영절차서를 활용하여 일정한 BVOCs 배출량 측정이 가능하며 여러 수종의 BVOCs 배출량을 비교 및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순환형 챔버를 이용하여 챔버 내부 BVOCs 농도 변화 측정 결과가 더 안정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스트로브잣나무, 소나무, 메타세쿼이아를 대상으로 챔버 순환 시 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를 측정하여 60min주기의 챔버 순환으로 설정하여 순환형 챔버에서는 시간에 따라 챔버 안의 BVOCs 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묘목 상단부의 높이를 1.5 m로 설정하여 광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에 따라 표준 배출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광조건인 1000 μmol/m2·s를 유지하도록 설정하여 균일한 측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의 BVOCs 챔버시스템 실험 과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4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의 BVOCs 챔버시스템 실험 과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밸브(11)가 형성되며 타측에 하나 이상의 포집밸브(12)가 형성되고, 빛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테들러백(10)과, 상기 테들러백(10)의 공기주입밸브(11)와 연결되고, 상기 테들러백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20)와, 상기 테들러백(10)의 포집밸브(12)와 연결되고, 상기 테들러백(10) 내부의 공기를 포집하는 포집펌프(30) 및 상기 테들러백(10)의 상단의 기설정된 간격에 위치하고,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를 조절하는 광조절장치(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테들러백(10)은 내부에 묘목(100)과 화분(101)을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닐 등의 변형이 가능한 형태로 묘목(100)과 화분(101)을 잘 감싸 외부 공기와 단절하도록 하고, 상기 테들러백(10)의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부를 통해 상기 묘목(100) 및 화분(101)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테들러백(10)은 빛이 관통하는 것이 가능한 PVF(poly vinyl fluoride)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테들러백(10)의 크기는 상기 묘목(100)과 화분(101)의 크기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고, 통상적인 배출량 분석을 위한 기준치 도출을 위해서 내부의 수용공간은 1,000 cm*2,000 cm으로 약 400 L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블러백(10)의 하부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공기주입밸브(11)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공기주입부(20)는 고순도 공기를 채우고 있는 가스용기 및 조절장치로 이루어 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스용기 내부에는 고순도 공기(99.999%)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고, BVOCs 배출량 분석을 위해서 상기 조절장치 및 공기주입밸브(11)를 통해 고순도 공기의 주입양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테블러백(10)의 상부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포집밸브(12)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포집펌프(30)는 상기 공기주입부(20)를 통해 상기 테들러백(10)에 고순도 공기를 주입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상기 포집펌프(30)를 작동하면 상기 포집밸브(12)를 통해 내부에 수종에 따른 BVOCs를 포집하여 배출량 분석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포집펌프(30)의 유량 범위는 0.05 ~ 1.5 L/min이 바람직하고, 포집량은 1~10 L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는 유량 범위는 0.05 ~ 0.5 L/min, 포집량 1 L의 휘발성유기화합물 포집 펌프와, 유량 범위 0.1 ~ 1.5 L/min, 포집량 10 L의 알데하이드류 포집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수목이 배출하는 생물 유래 휘발성 유기화합물(BVOCs)의 배출량은 온도 및 광량 등 환경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수종별 BVOCs 배출량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환경 조건에서 표준 배출량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광조절장치(40)를 설정하여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를 1000 μmol/m2·s의 광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림 1]
Figure pat00001
밀폐형 챔버와 순환형 챔버 방식에 따른 챔버 내부 BVOCs 농도 변화 측정 결과, 순환형 챔버를 이용할 경우 더 안정적으로 측정이 가능하게 나타났고, 이에 따라 순환형 챔버 방식을 통해 BVOCs 배출량 분석을 위한 챔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림 2]
Figure pat00002
스트로브 잣나무를 대상으로 한 측정에서 밀폐된 챔버에서는 시간에 따라 챔버 안의 BVOCs 농도가 증가하고, 반면에 챔버 순환 시에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농도가 유지되기때문에, 소나무, 메타세쿼이아를 대상으로 순환 시 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60min 순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 3]
Figure pat00003
광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가 감소하였다. 표준 배출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광조건인 1000 μmol/m2·s를 유지하기 위하여 묘목의 상단부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춘 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VOCs 배출량 분석을 위해서 묘목 상단부의 높이를 1.5 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VOCs 배출량 분석을 위해 상기 테들러백(10)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상기 테들러백(10) 끝단으로부터 10 cm을 잡아 밀봉하고, 상기 테들러백(10)에 고순도 공기를 20 L/min 유량으로 15 분간 주입하여 300 L 채우고 온도30 ℃에서 30분간 노출시킨 후 blank 를 채취한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0.1 L/min 유량으로 10분간 1 L 채취하고, 알데하이드류는 1 L/min 유량으로 10분간 10 L 채취하여 각각 blank 시료로 한다. blank 시료 채취 후 밀봉한 테들러백(10)을 열어 내부 공기를 제거 한다. 묘목(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약 1.5 m 로 맞추어 준비한다. 상기 테들러백(10)에 준비한 수종(시료)과 온습도계를 넣고 끝단으로부터 10 cm 을 잡아 밀봉한다. 고순도 공기를 상기 테들러백(10)에 20 L/min 유량으로 주입하고, 고순도 A공기가 가득차기 전 유량을 2~3 L/min 으로 조절한다. 상기 테들러백(10)의 포집밸브(12) 하나를 열어 나오는 혼합가스 유량을 확인한다. 상기 포집밸브(12)에서 나오는 고순도 공기의 유속이 1~2.5 L/min 유량으로 나오는 시점부터 온도 30℃에서 60분간 노출시킨 후 샘플을 채취한다. 60분 노출 시에도 주입되는 고순도 공기의 유량은 2~3 L/min 로 유지한다. BVOCs 샘플 채취 유량은 blank 시료와 동일하게 진행한다. 샘플 채취가 끝난 후에는 밀봉한 테들러백(10)을 풀어 수종을 꺼내고 잎 온도와 토양온도를 측정한다. 사용한 상기 테들러백(10)은 온도 60 ℃에서 4 시간 세척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주입부(20)는, 제1공기주입부(20a)와 제2공기주입부(20b)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주입부(20a)의 일측에 연결되는 가습장치(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공기주입부(20a)는 가습장치(21)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어 상기 테들러백(10)에 고순도 공기를 주입할 때 적정량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가습장치(21)를 통해 습기를 추가적으로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집펌프(30)는, 제1포집펌프(30a)와 제2포집펌프(30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포집펌프(30)의 유량 범위는 0.05 ~ 1.5 L/min이 바람직하고, 포집량은 1~10 L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는 유량 범위는 0.05 ~ 0.5 L/min, 포집량 1 L의 휘발성유기화합물 포집 펌프와, 유량 범위 0.1 ~ 1.5 L/min, 포집량 10 L의 알데하이드류 포집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포집펌프(30a)는 유량 범위 0.05 ~ 0.5 L/min, 포집량 1 L의 휘발성유기화합물 포집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포집펌프(30b)는 유량 범위 0.1 ~ 1.5 L/min, 포집량 10 L의 알데하이드류 포집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테들러백(10)과 공기주입부(20)는 테프론튜브(60)로 연결되고, 상기 테프론튜브(60)에 유량계(5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테프론튜브(60)는 진동이 많은 경우의 배관에 사용되며 주로 연구소나 실험장치, 탱크글래스관, 탱크로리, 급배관연료, 용재의 배관용, 반도체산업, 약액 및 가스 배관에 주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재질은 불소수지 PFA, PTFE Tube를 사용하여 나사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굴곡반경이 작고 유연하며 내식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적어 유압 및 유속의 손실이 없으며 비점착성으로 세척이 용이하고 굴곡 상태에서도 내경의 변화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에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유량계(50)는 유량 범위가 0 ~ 200 LPM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측에 형성된 온습도계는 측정 범위가 온도 0~60℃, 습도 0~99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테들러백(10)과 포집펌프(30)는 테프론튜브(60)로 연결되고, 상기 테프론튜브(60)에 유량계(5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테프론튜브(60)의 재질은 불소수지 PFA, PTFE Tube를 사용하여 나사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굴곡반경이 작고 유연하며 내식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적어 유압 및 유속의 손실이 없으며 비점착성으로 세척이 용이하고 굴곡 상태에서도 내경의 변화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에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유량계(50)는 유량 범위가 0 ~ 200 LPM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측에 형성된 온습도계는 측정 범위가 온도 0~60℃, 습도 0~99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조절장치(40)는 LED로 형성되고,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 1000 μmol/m2·s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수목이 배출하는 생물 유래 휘발성 유기화합물(BVOCs)의 배출량은 온도 및 광량 등 환경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수종별 BVOCs 배출량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환경 조건에서 표준 배출량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광조절장치(40)는 LED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광조절장치(40)를 설정하여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를 1000 μmol/m2·s의 광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10 : 테들러백
11 : 공기주입밸브
12 : 포집밸브
20 : 공기주입부
20a : 제1공기주입부
20b : 제2공기주입부
21 : 가습장치
30 : 포집펌프
30a : 제1포집펌프
30b : 제2포집펌프
40 : 광조절장치
50 : 유량계
60 : 테프론튜브
100 : 묘목
101 : 화분
S1 : 제1단계
S2 : 제2단계
S3 : 제3단계
S4 : 제4단계
S5 : 제5단계
S6 : 제6단계
S7 : 제7단계
S8 : 제8단계
S9 : 제9단계
S10 : 제10단계
S11 : 제11단계
S12 : 제12단계

Claims (6)

  1.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밸브가 형성되며 타측에 하나 이상의 포집밸브가 형성되고, 빛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테들러백;
    상기 테들러백의 공기주입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테들러백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
    상기 테들러백의 포집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테들러백 내부의 공기를 포집하는 포집펌프; 및
    상기 테들러백의 상단의 기설정된 간격에 위치하고,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를 조절하는 광조절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부는,
    제1공기주입부와 제2공기주입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기주입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가습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펌프는, 제1포집펌프와 제2포집펌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들러백과 공기주입부는 테프론튜브로 연결되고,
    상기 테프론튜브에 유량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들러백과 포집펌프는 테프론튜브로 연결되고,
    상기 테프론튜브에 유량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절장치는 LED로 형성되고, 광합성유효광량자속밀도 1000 μmol/m2·s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KR1020210071734A 2021-06-02 2021-06-02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KR10261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734A KR102615991B1 (ko) 2021-06-02 2021-06-02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734A KR102615991B1 (ko) 2021-06-02 2021-06-02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164A true KR20220163164A (ko) 2022-12-09
KR102615991B1 KR102615991B1 (ko) 2023-12-21

Family

ID=8444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734A KR102615991B1 (ko) 2021-06-02 2021-06-02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99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937B1 (ko) 2005-04-28 2006-08-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출량산정을 위한 배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43942A (ko) * 2011-10-21 2013-05-02 (주) 에이스엔 대기 중 악취 및 voc 시료 무인 자동 포집 장치
KR20150060444A (ko) * 2013-11-26 2015-06-03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자연적 휘발성 유기화합물 자동 채취 시스템
JP2015516174A (ja) * 2012-05-17 2015-06-11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eslotenvennootshap バイオマス材料から揮発性有機化合物を生産する方法
KR20200113343A (ko) *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글로벤스 대기오염물질 및 악취유발물질의 시료 자동채취장치
CN111879577A (zh) * 2020-08-11 2020-11-03 青岛理工大学 一种便携式植被源挥发性有机物采样系统及其工作方法
KR102232415B1 (ko) * 2020-12-28 2021-03-29 주식회사 케이에너지시스템 악취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937B1 (ko) 2005-04-28 2006-08-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출량산정을 위한 배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43942A (ko) * 2011-10-21 2013-05-02 (주) 에이스엔 대기 중 악취 및 voc 시료 무인 자동 포집 장치
JP2015516174A (ja) * 2012-05-17 2015-06-11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eslotenvennootshap バイオマス材料から揮発性有機化合物を生産する方法
JP2015517316A (ja) * 2012-05-17 2015-06-22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eslotenvennootshap バイオマス材料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50060444A (ko) * 2013-11-26 2015-06-03 대한민국(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자연적 휘발성 유기화합물 자동 채취 시스템
KR20200113343A (ko) *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글로벤스 대기오염물질 및 악취유발물질의 시료 자동채취장치
CN111879577A (zh) * 2020-08-11 2020-11-03 青岛理工大学 一种便携式植被源挥发性有机物采样系统及其工作方法
KR102232415B1 (ko) * 2020-12-28 2021-03-29 주식회사 케이에너지시스템 악취측정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rvin Lupke 외 3인. The Tree Drought Emission MONitor (Tree DEMON), an innovative system for assessing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ssion from plants. Plant Methods 13, pp.1-17, 2017.03.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991B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2970B2 (en) Automated carbon efflux system
CN107064420B (zh) 一种大气中中等挥发性有机物的在线监测系统及监测方法
US86813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flux of isotopologues
CN105651648A (zh) 一种置换及吸附解析模拟测试系统及方法
CN111879577B (zh) 一种便携式植被源挥发性有机物采样系统及其工作方法
Görres et al. Automation of soil flux chamber measurements: potentials and pitfalls
CN104793002A (zh) 一种可实现采样/校准交替等效运行的大气自动监测装置及方法
CN102466636A (zh) 紫外荧光法检测海洋挥发性硫化物的装置及其制作方法
CN113358798B (zh) 热脱附-气相色谱质谱检测杂环类异味物质的方法
CN110426480A (zh) 一种水质挥发性有机物的实时在线监测设备
CN106018025A (zh) 一种用于土壤反硝化潜力测定的半自动式培养装置
CN106442066B (zh) 一种带小型气体收集器的土壤培养装置
KR20220163164A (ko)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생성량 측정 장치
CN108037038B (zh) 一种植物叶片吸收利用大气水汽量的测定装置及方法
CN106596205A (zh) 环境空气采集及校准和医用气体制备方法
McFarlane et al. Plant exposure chambers for study of toxic chemical‐plant interactions
CN204479597U (zh) 一种可实现采样/校准交替等效运行的大气自动监测装置
CN115248140A (zh) 一种植物VOCs排放动态恒温式采样系统
CN202049074U (zh) 气体采样阀板装置
CN213903032U (zh) 一种自动森林腐植气体采集样装置
CN108982397A (zh) 一种气体检测装置及方法
CN201145651Y (zh) 测定植物排放n2o的15/14n同位素丰度的样品采集装置
CN111366423B (zh) 一种收集土壤呼吸气体用装置及气体收集方法
Escamilla et al. Measuring nutrient depletion by roots of mature trees in the field
CN215218217U (zh) 一种气味成分平行采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