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379A -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 Google Patents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379A
KR20220162379A KR1020210070765A KR20210070765A KR20220162379A KR 20220162379 A KR20220162379 A KR 20220162379A KR 1020210070765 A KR1020210070765 A KR 1020210070765A KR 20210070765 A KR20210070765 A KR 20210070765A KR 20220162379 A KR20220162379 A KR 20220162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fire extinguishing
cigarette butts
ash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화
Original Assignee
이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화 filed Critical 이건화
Priority to KR1020210070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2379A/ko
Publication of KR2022016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24F19/14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extinguishers
    • A24F19/145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extinguishers using fluid or sand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5Ash-trays comprising a grid or gril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4Ash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순환 방식의 소화, 담배꽁초의 건조 및 담배 찌꺼기와 물의 분리 처리가 가능한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는, 담배꽁초가 투입되고 투입구를 포함하고, 일측 또는 양측단에 위치되고 물탱크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관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담배꽁초를 소화하여 물과 담배꽁초를 낙하시키는 소화부; 상기 소화부로부터 소화된 담배꽁초 및 소화에 사용된 물을 분리하여 낙하시키는 분리부; 상기 소화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에 사용된 물로부터 찌꺼기를 거르고, 물을 다시 낙하시키는 거름부; 상기 소화부의 하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된 담배꽁초를 수납하는 수납부; 및 상기 거름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거름부로부터 찌꺼기가 걸러지고 남은 물을 낙하시켜 재사용하는 물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AUTO EXTINGUISH A FIRE ASHTRAY OF WATER CIRCULATION TYPE}
본 발명은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순환 방식의 소화, 담배꽁초의 건조 및 담배 찌꺼기와 물의 분리 처리가 가능한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에 관한 것이다.
재떨이는 상부가 개구된 개방형으로, 담배의 재를 털고, 담배를 피고 남은 필터 및 찌꺼기 부분을 담는 역할을 한다.
근래에는, 장소와 필요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흡연 장소가 별도로 마련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공동 재떨이의 설치가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동 재떨이는 담배를 피운 후 남아있는 불씨를 소화시키는 기능이 필수적이다.
대부분의 흡연자들은 종래의 개방형 재떨이를 사용하는바, 담배의 불을 소화시킬 때, 돌출부에 대고 누르거나 비벼서 소화시키기 때문에 부주의할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흡연 장소에 설치되는 재떨이 장치에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9843호의 발명의 명칭 ‘ 흡연부스의 재떨이장치 ’가 있다.
그리고 다른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4488호의 발명의 명칭 "자동소화 수 재떨이"는, 담배꽁초가 투입되면 자동으로 소화되고, 수거함으로 낙하되어 간편한 처리가 이루어지고, 담배냄새 및 연기의 발생이 방지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자동소화 수(水) 재떨이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흡연 장소에 설치된 재떨이 장치는, 흡연자로부터 투입된 담배꽁초를 자동으로 소화하는 과정과 단계가 진행된 후, 소화용수에 접촉되어 비로소 담뱃불이 소화되기 때문에, 담뱃불을 소화하는 단계와 과정 중에 비산되는 연기와 재를 즉각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41051호"자동 소화방식의 물 순환 재떨이 시스템"에 개시된 바 있으나, 이 기술에는 용수와 담배꽁초가 여과포대 내에 낙하된 후에 압착되는 과정에서 물에 불려진 담배꽁초의 찌거기가 여과포대의 통기공을 막아서 배수가 용이하지 않게 되므로, 용수 흐름이 제한되면서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또 다른 종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37224호의 "자동소화방식 물순환 재떨이"가 개되어 있으나, 일방향의 물순환 방식에 의해 담배꽁초가 낙하하는 곳이 한쪽에 치우쳐 형성되어 그와 반대편에 놓인 담배꽁초를 낙하시키는 데 문제가 있고, 수분을 머금은 담배꽁초가 측면에 달라붙는 경우 담배꽁초가 낙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경사진 컨베이어 상에 놓인 담배꽁초가 컨베이어 바닥에 달라붙는 경우 낙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컨베이어 단부에 설치된 거름판에 찌꺼기가 붙어 쌓이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2984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9448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14105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3722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순환에 의한 자동 소화가 가능하고, 소화된 담배꽁초의 처리가 용이하며, 담배꽁초의 찌꺼기와 소화에 사용된 물의 분리가 완벽하게 처리되는 재떨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는, 담배꽁초가 투입되고 투입구를 포함하고, 일측 또는 양측단에 위치되고 물탱크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관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담배꽁초를 소화하여 물과 담배꽁초를 낙하시키는 소화부; 상기 소화부로부터 소화된 담배꽁초 및 소화에 사용된 물을 분리하여 낙하시키는 분리부; 상기 소화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에 사용된 물로부터 찌꺼기를 거르고, 물을 다시 낙하시키는 거름부; 상기 소화부의 하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된 담배꽁초를 수납하는 수납부; 및 상기 거름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거름부로부터 찌꺼기가 걸러지고 남은 물을 낙하시켜 재사용하는 물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부는 길이 방향의 홈을 가지며, 상기 홈의 양측단에는 중심으로 갈수록 올라가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부의 중심은 물과 담배꽁초를 낙하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소화부로부터 낙하되는 담배꽁초를 받고 물을 통과시키는 틈새를 갖는 받이부와, 상기 받이부에 놓인 담배꽁초를 모터에 의해 좌우이동시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밀어내어 낙하시키는 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름부는 제1 거름부와 상기 제1 거름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거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의 하부는 상기 제2 거름부의 상부 또는 하부로 잔류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건조부와 물 받이부가 상하로 포개져 구성되고, 상기 건조부의 바닥면과 상기 물 받이부의 바닥면이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거름부는 제1 거름부와 상기 제1 거름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거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받이부의 하부는 상기 제2 거름부의 상부로 잔류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건조부와 물 받이부가 상하로 포개져 구성되고, 상기 건조부 및 상기 물 받이부는 서랍식 인입출이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물 받이부의 바닥면은 소정 갯수의 홀이 형성되어 잔류물을 낙하시고, 그 잔류물을 저장 및 배출하는 물 배출부가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위치에서 있는 담배꽁초라도 양측 물순환에 의해 100%자동 소화가 가능한 재떨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화된 담배꽁초의 낙하 위치와 상관없이 양측으로 담배꽁초 낙하가 가능하여 잔여 담배꽁초가 없으며, 낙하된 담배꽁초는 건조 박스에 담겨 건조될 수 있는 재떨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담배꽁초의 찌꺼기와 소화에 사용된 물의 분리가 이중 처리되어 찌꺼기와 물의 완전 분리가 가능한 재떨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의 내부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의 상단부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의 담배꽁초, 찌꺼기 및 물의 분리 구조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100)는 상단부(102), 투입구(104), 몸체(106), 제1 내지 제3 도어(108, 110, 112) 및 투명창(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단부(102)는 담배꽁초를 소화시키기 위해 투입하는 투입구(104)를 포함하여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100)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투입구(104)는 전체 폭에 걸쳐 담배꽁초가 투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투입구(104)의 양측은 경사면을 갖도록 하여, 담배꽁초가 어느 위치에서라도 투입이 가능하고 투입된 담배꽁초가 쉽게 낙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단부(102)의 하부에는 재떨이(100)의 전체 외곽을 구성하는 몸체(106)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6)의 전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108, 110, 112)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도어(108, 110, 112)는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각각에는 내부가 확인이 가능한 투명창(114)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도어(108, 110)는 양측으로 열 수 있는 구조이고, 제3 도어(112)는 상하로 개폐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도어(108, 110)는 후술할 제1 및 제2 수압부(207a, 207b), 거름부(209)의 세척 등을 위해 출입시킬 수 있는 도어로 사용되고 제3 도어(112)는 물탱크(211)의 세척 및 물 교환 용도로 사용되는 도어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100)는 상단부(102) 및 몸체(106) 내부에 도시된 구성 및 구조를 갖는다.
상단측에는 투입구(104)로부터 투입된 담배꽁초가 소화될 수 있는 구성인 소화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소화부(201)는 투입구(104)의 같은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측에 물탱크(211)로부터 물을 펌핑하여 분사시키는 제1 및 제2 관(203a, 203b)이 위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관(203a, 203b)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담배꽁초의 불이 자동 소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소화부(201)로부터 소화된 담배꽁초는 물과 함께 낙하하여 분리부(205)에 떨어지고 분리부(205)에 의해 물과 담배꽁초가 분리될 수 있다.
물과 담배꽁초는 분리되어 양측으로 담배꽁초가 제1 및 제2 수납부(207a, 207b)로 낙하되고, 중앙으로 물이 거름부(209)로 낙하될 수 있다.
거름부(209)의 하단에는 물탱크(211)가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단의 소화부(20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위치될 수 있다.
물탱크(211)는 소화부(20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이 채워져 있으며, 담배꽁초를 소화하고 배출되는 물을 다시 보관하여 물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의 내부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100)의 내부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낙하된 담배꽁초는 소화부(201), 제1 및 제2 관(203a, 203b)의 물 분사에 의해 소화될 수 있다.
소화된 담배꽁초와 물은 낙하하여 분리부(203)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담배꽁초는 다수의 틈을 갖는 받이부(303)에 위치되고, 그 틈을 통해 물은 제1 수로관(307a)을 포함하는 물 분리부(305)를 거쳐 거름부(209)로 수직 낙하할 수 있다.
다수의 틈은 담배꽁초가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틈새를 의미하며, 위치된 담배꽁초는 모터(317) 및 리니어 가이드(319)를 따라 동시에 연동하여 좌우 직선이동하는 밀부(301)에 의해 좌우 제1 및 제2 수납부(207a, 207b)로 낙하될 수 있다.
낙하되는 물은 찌꺼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찌꺼기는 제1 및 제2 거름부(309, 313)을 통해 걸러지고 물은 그대로 통과하여 물 저장부(315)에 저장될 수 있으며, 물 저장부(315)의 저장된 물은 제2 수로관(307b)의 개폐에 따라 아래의 물탱크(211)로 낙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의 상단부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100)의 상단부(102)는 소화부(201)와 분리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구(104)로부터 투입된 담배꽁초를 소화시키는 소화부(201)는 긴 막대형의 직육면체 구조에 내부 홈을 갖는다.
홈 내부에는 양측에 경사부(401)가 형성되며, 경사부(401)는 소화부(201)의 중심부에서 서로 분리되어 그 중심부에서 물과 담배꽁초가 낙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양측의 경사부(401) 각각은 양끝단에서 중심으로 갈 수록 올라가는 방향의 경사도를 갖을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401)의 구조는 양측 끝단에 물을 머금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담배꽁초의 투입시(좀 더 상세하게는 센서 동작에 의해 사람이 접근하는 순가에 물이 분사됨) 물을 분사하여 담배꽁초의 소화 및 낙하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담배꽁초가 소화부(201)의 측면에 붙어버리는 경우 물의 분사만으로는 담배꽁초를 소화를 시킬 수 있을 수 있으나 낙하가 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경사부(401)의 구조에 의해 물이 머금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관(203a, 203b)에 의해 물이 분사되는 경우 머금은 물 전체가 휩쓸려 소화부(201)의 중앙부로 넘쳐 흐르기 때문에 소화부(201)의 측면에 붙어 있는 담배꽁초들도 한꺼번에 휩쓸려 중앙부의 홈으로 이동하여 낙하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잔류 담배꽁초의 처리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화부(201) 홈 내의 경사부(401) 구조는 매우 중요한 기술적 특징이 될 수 있다.
소화부(201)로부터 낙하된 담배꽁초는 받이부(303)에 놓여지고, 물은 받이부(303)의 틈새를 통해 하부로 낙하하며, 담배꽁초는 하나 이상의 밀부(301)에 의해 양측으로 밀리어 양측 수납부로 낙하할 수 있다.
밀부(3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솔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고무판과 같은 구조일 수 있으며, 받이부(303)와 밀착되어 양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담배꽁초를 밀어낼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형태라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의 담배꽁초, 찌꺼기 및 물의 분리 구조도이다.
소화부(201) 및 분리부(205)를 거쳐 분리된 담배꽁초와 물은 각각 다른 루트를 통해 다른 용기에 보관 및 분리 저장된다.
분리부(205)로부터 분리된 담배꽁초는 분리부(205)의 양측에 마련된 제1 및 제2 수납부(207a, 207b)로 각각 떨어져 보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납부(207a, 207b)는 분리부(205)로부터 떨어지는 담배꽁초를 보관하는 용기이므로 분리부(205) 보다는 아래쪽에 위치해야 하고, 양측으로 분리 낙하는 담배꽁초를 받아야 하므로 분리부(205)의 양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납부(207a, 207b) 각각은 건조부(501)와 물 받이부(503)가 상하로 포개진 형태를 갖는다.
제1 및 제2 수납부(207a, 207b) 각각은 분리 가능하며, 꺼내어 청소가 가능하도록 프레임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건조부(501)와 물 받이부(503)는 포개져 전후로 서랍식으로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여 청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하부에는 물 배출부(507)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건조부(501)와 물 받이부(503)는 담배꽁초의 처리 및 내부 청소가 필요하므로 인출이 가능한 구조이어야 하고, 상하 인출시에는 내부가 비좁은 관계로 전후 서랍식 인출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계로 그 하부에 고정형(물배출관이 연결된) 물 배출부(507)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물 받이부(503)의 바닥에는 2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잔류물이 물 배출부(507)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 배출부(507)의 중심 방향의 측면 바닥측에는 물이 빠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물배출관(311)이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물배출관(311)의 타단은 중앙의 제1 및 제2 거름부(309, 313) 사이에 위치되거나, 제2 거름부(313)와 물 저정부(315) 사이에 위치되어 잔류물을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건조부(501)와 물 받이부(503)는 포개지는 구조이지만, 건조부(501)의 바닥면이 물 받이부(503)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만큼 떠 있는 상태에 놓이며, 이는 담배꽁초와 잔류 물이 건조부(501)에 낙하된 후, 담배꽁초의 수분과 잔류 물이 홀을 통해 물 받이부(503)로 떨어지게 하는 구조를 이루게 한다.
건조부(501)에 위치된 담배꽁초는 완전 건조는 아니지만 잔류 수분이 떨어져서 건조 상태로 되어 처리가 용이하게 되며, 잔류 물은 물 받이부(503)로 낙하하여 다시 바닥의 홀을 통해 물 배출부(507)로 배출된 후, 물배출관(311)을 거쳐 제2 거름부(313) 또는 물 저장부(315)를 경유하여 아래의 물탱크(211)로 순차 낙하하게 된다.
또한, 물 배출부(507)가 없이 건조부(501)와 물 받이부(503)만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이때에는 물 받이부(503)의 측면에 물배출관(311)이 형성되고, 건조부(501)만이 서랍식으로 인입출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건조부(501)와 물 받이부(503)가 상하 배열 구조이면 되고 포개질 필요는 없을 것이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본 발명의 재떨이(100)는 담배꽁초의 투입시 투입이 용이하고, 담배꽁초의 완전한 소화가 가능하고, 수분을 머금은 담배꽁초의 측면 받라붙는 현상을 소화부(201)의 경사부(401)를 통해 완전 배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된 담배꽁초와 물의 완전 분리 및 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하고, 분리된 담배꽁초의 건조 기능과 잔류 물과 찌꺼기의 2차 거름 구조를 갖도록 하여 담배꽁초의 처리 효율과 청정 기능을 동시에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재털이 102 : 상단부
104 : 투입구 106 : 몸체
108 : 제1 도어 110 : 제2 도어
112 : 제3 도어 114 : 투명창
201 : 소화부 203a, 203b : 관
205 : 분리부 207a, 207b : 수납부
209 : 거름부 211 : 물탱크
301 : 밀부 303 : 받이부
305 : 물 분리부 307a, 307b : 수로관
309 : 제1 거름부 311 : 물 배출관
313 : 제2 거름부 315 : 물 저장부
317 : 모터 319 : 리니어 가이드
401 : 경사부 501 : 건조부
503 : 물 받이부

Claims (7)

  1. 담배꽁초가 투입되고 투입구를 포함하고, 일측 또는 양측단에 위치되고 물탱크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관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담배꽁초를 소화하여 물과 담배꽁초를 낙하시키는 소화부;
    상기 소화부로부터 소화된 담배꽁초 및 소화에 사용된 물을 분리하여 낙하시키는 분리부;
    상기 소화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에 사용된 물로부터 찌꺼기를 거르고, 물을 다시 낙하시키는 거름부;
    상기 소화부의 하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된 담배꽁초를 수납하는 수납부; 및
    상기 거름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거름부로부터 찌꺼기가 걸러지고 남은 물을 낙하시켜 재사용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는,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는 길이 방향의 홈을 가지며, 상기 홈의 양측단에는 중심으로 갈수록 올라가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부의 중심은 물과 담배꽁초를 낙하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소화부로부터 낙하되는 담배꽁초를 받고 물을 통과시키는 틈새를 갖는 받이부와, 상기 받이부에 놓인 담배꽁초를 모터에 의해 좌우이동시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밀어내어 낙하시키는 밀부를 포함하는,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는 제1 거름부와 상기 제1 거름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거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의 하부는 상기 제2 거름부의 상부 또는 하부로 잔류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건조부와 물 받이부가 상하로 포개져 구성되고,
    상기 건조부의 바닥면과 상기 물 받이부의 바닥면이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갖는,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는 제1 거름부와 상기 제1 거름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거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받이부의 하부는 상기 제2 거름부의 상부 또는 하부로 잔류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건조부와 물 받이부가 상하로 포개져 구성되고,
    상기 건조부 및 상기 물 받이부는 서랍식 인입출이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물 받이부의 바닥면은 소정 갯수의 홀이 형성되어 잔류물을 낙하시고, 그 잔류물을 저장 및 배출하는 물 배출부가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KR1020210070765A 2021-06-01 2021-06-01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KR20220162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765A KR20220162379A (ko) 2021-06-01 2021-06-01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765A KR20220162379A (ko) 2021-06-01 2021-06-01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379A true KR20220162379A (ko) 2022-12-08

Family

ID=8443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765A KR20220162379A (ko) 2021-06-01 2021-06-01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237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9843A (ko) 2013-04-30 2014-11-07 (주)에스피건설 흡연부스의 재떨이장치
KR101594488B1 (ko) 2014-03-13 2016-02-16 주식회사 효신디자인 자동소화 수 재떨이
KR20190141051A (ko) 2018-06-12 2019-12-23 하정미 자동 소화방식의 물 순환 재떨이 시스템
KR102237224B1 (ko) 2020-08-31 2021-04-07 주식회사 해광산업 자동 소화방식 물순환 재떨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9843A (ko) 2013-04-30 2014-11-07 (주)에스피건설 흡연부스의 재떨이장치
KR101594488B1 (ko) 2014-03-13 2016-02-16 주식회사 효신디자인 자동소화 수 재떨이
KR20190141051A (ko) 2018-06-12 2019-12-23 하정미 자동 소화방식의 물 순환 재떨이 시스템
KR102237224B1 (ko) 2020-08-31 2021-04-07 주식회사 해광산업 자동 소화방식 물순환 재떨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224B1 (ko) 자동 소화방식 물순환 재떨이
KR102304182B1 (ko) 숯불 소화장치
KR101594488B1 (ko) 자동소화 수 재떨이
KR20220162379A (ko) 물순환식 자동 소화 재떨이
KR101588553B1 (ko) 자동 소화식 위생 재떨이
KR102124542B1 (ko) 자동 소화방식의 물 순환 재떨이 시스템
KR20140129843A (ko) 흡연부스의 재떨이장치
JP2008183005A (ja) 灰皿と消化用の水容器を設けた吸い殻収納器
KR20200141202A (ko) 담배흡연기구
JPH0670740A (ja) 消火機能付吸殻入れ兼用タバコケース
KR20160122870A (ko) 담배 꽁초 처리기
JPH0870841A (ja) 灰 皿
KR20170126110A (ko) 분리 및 청소가 용이한 자동개폐형 착탈식 산업현장용 화재방지 재털이
JP6268457B1 (ja) 煙草ケース
KR102357401B1 (ko) 자동 세척 기능을 갖는 재떨이
KR102097986B1 (ko) 공중장소용 재떨이
US2563750A (en) Ash receiver
KR20170000988A (ko) 스탠드형 재떨이
KR20150095488A (ko) 흡연부스용 재떨이
KR102353593B1 (ko) 위생 재떨이의 꽁초 이송장치
JP2000125836A (ja) 吸い殻処理器
JPH0123380Y2 (ko)
JP3055987U (ja) 灰皿付きタバコケース
US1921874A (en) Cigarette extinguisher
KR101188481B1 (ko) 다수개의 담배수납파이프로 이루어진 담배수납하우징이 내장된 담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