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202A - 담배흡연기구 - Google Patents

담배흡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202A
KR20200141202A KR1020190067871A KR20190067871A KR20200141202A KR 20200141202 A KR20200141202 A KR 20200141202A KR 1020190067871 A KR1020190067871 A KR 1020190067871A KR 20190067871 A KR20190067871 A KR 20190067871A KR 20200141202 A KR20200141202 A KR 20200141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case
opening
suction elb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표
Original Assignee
홍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상표 filed Critical 홍상표
Priority to KR102019006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1202A/ko
Publication of KR2020014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 A24F13/12Cigar or cigarette holder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writing utensil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개피)의 선단을 전기적인 점화장치가 구비된 케이스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되, 다수의 내외기유통공이 외면에 뚫어진 케이스의 내부에는 담배개피장전틀을 구비하여 도립 시킨 담배(개피)의 전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하고, 담배개피장전틀의 하단에 구비된 점화장치의 점화코일에 의해 담배의 선단을 자연스럽게 점화시킬 수 있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충전수단을 구비하여 점화장치의 배터리를 수시로 충전시켜 별도의 라이터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자동차에서는 시가짹을 이용하지 않고도 담배를 피울 수 있으며, 점화코일의 하측에는 하단에 재떨이슬라이드판이 구비된 재떨이를 구비하여 담배를 흡연할 때에 발생하는 담뱃재가 자유 낙하하여 수용되도록 하며, 담배개피장전틀의 상단에는 흡입엘보결속구를 설치하여 케이스의 상단에서 빨대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흡입엘보관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빨대 또는 흡입엘보관 또는 빨대와 흡입엘보관의 접속부의 내부에는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장전/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담배흡연기구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담배개피장전틀의 내부에는 도립 시킨 담배(개피)의 전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배를 흡연할 때에 담배(개피)를 외부로 노출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할 수 있도록 하여 비흡연자들의 혐오감을 줄이고 흡연시에 발생 되는 냄새와 연기가 피부 등과 접촉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담배개피장전틀의 하단에 구비된 점화장치의 점화코일에 의해 담배의 선단을 자연스럽게 점화시킬 수 있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충전수단을 구비하여 점화장치의 배터리를 수시로 충전시켜 별도의 라이터 등을 구비하지 않도록 하며; 점화코일의 하측에는 하단에 재떨이슬라이드판이 구비된 재떨이를 구비하여 담배를 흡연할 때에 발생하는 담뱃재가 자유 낙하하여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흡연할 때에 담뱃재가 외부로 배출 및 비산 되지 않도록 하여 비흡연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며; 담배개피장전틀의 상단에는 흡입엘보결속구를 설치하여 케이스의 상단에서 빨대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흡입엘보관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담배를 직접 물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할 수 있으며; 상기 빨대 또는 흡입엘보관 또는 빨대와 흡입엘보관의 접속부의 내부에는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장전/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흡연시에 담배에서 발생되는 니코친 등의 유해물질을 필터에 의해 필터링 하고, 필터에는 여러 가지의 향(한방, 박하향, 쑥향, 인삼향, 커피향 등)을 첨가하여 애연가들이 흡연할 때에 향을 음미하면서 흡연할 수 있으며; 케이스의 일 측면에 담뱃갑수납부를 구비하여 담뱃갑을 수납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뱃갑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재떨이에 충진되는 담뱃재는 재떨이슬라이드판을 이동(개방)시켜 제거해 줌으로써 청결하게 유지 및 휴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담배흡연기구{A Smoking article for cigaret}
본 발명은 담배(개피)를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하고 점화하여 흡연할 수 있도록 된 담배흡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담배(개피)의 선단을 전기적인 점화장치가 구비된 케이스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되, 다수의 내외기유통공이 외면에 뚫어진 케이스의 내부에는 담배개피장전틀을 구비하여 도립시킨 담배(개피)의 전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하고, 담배개피장전틀의 하단에는 점화장치의 점화코일을 구비하여 담배의 선단에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점화코일의 하측에는 하단에 재떨이슬라이드판이 구비된 재떨이를 구비하여 담배를 흡연할 때에 발생하는 담뱃재가 자유 낙하하여 수용되도록 하며, 담배개피장전틀의 상단에는 흡입엘보결속구를 설치하여 케이스의 상단에서 빨대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흡입엘보관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빨대 또는 흡입엘보관 또는 빨대와 흡입엘보관의 접속부의 내부에는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장전/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담배흡연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일 측면에 담뱃갑수납부를 구비하여 담뱃갑을 수납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뱃갑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재떨이에 충진되는 담뱃재는 재떨이슬라이드판을 이동(개방)시켜 제거해 줌으로써 청결하게 유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된 담배흡연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담배는 인류가 가장 애용하는 기호식품 중의 하나이지만, 근자에는 담배에서 저연적으로 발생하는 냄새와 담배를 피울 때에 생성되는 유해한 니코틴과 담배연기로 인해 혐오식품으로 취급되고 있다.
담배를 피울 때에 발생하는 니코틴과 담배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기구) 등이 많이 제안되어 있으며, 국내에 알려진 것으로는 공개특허 제10-2008-0017397호(모듈방식 흡연물품), 공개특허 제10-2017-0136234호(흡연보조케이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81992호(제독성 흡연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03221호(제독성 흡연기), 등록특허 제10-1087458호(전기가열식 담배흡연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공개특허 제10-2017-0136234호(흡연보조케이스)는, 내부에 담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케이스이 상단에 흡입관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케이스의 내부에 담배를 수납시킨 상태에서 담배를 피우도록 하는 것에 불과하다.
공개특허 제10-2008-0017397호(모듈방식 흡연물품)는, 담배가 결합되는 외부슬리부재에 마우스피스를 일자형으로 형성하고, 외부슬리부재의 내부에는 고리모양의 리테이너와 내부슬리브부재 및 고리모양의 리테이너를 차례로 결합하여서 된 것으로, 마우스피스를 통해 담배를 피우면 담배의 연기와 니코틴 등이 고리모양의 리테이너와 내부슬리브부재 및 고리모양의 리테이너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일부가 제거 되도록 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81992호(제독성 흡연기)는, 물이 충진되는 동체의 일 측면 상단에 담배를 결합할 수 있고, 동체의 타 측면에는 빨뿌리를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 빨뿌리를 통해 담배를 피우면 담배의 연기와 니코틴이 동체에 충진 된 물을 통과하면서 부분적으로 제거되도록 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03221호(제독성 흡연기)는, 동체의 일 측면 상단에 담배를 결합할 수 있고, 도체의 내부에는 제독실과 제습실을 구비하며, 동체의 타 측면에는 빨뿌리를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 빨뿌리를 통해 담배를 피우면 담배의 연기와 니코틴이 동체의 내부에 구비된 제독실과 제습실을 통과하면서 부분적으로 제거되도록 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087458호(전기가열식 담배흡연장치)는 담배(개피)를 도립시켜 선단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된 히터케이스캡의 하측에는 분할 형성된 앞쪽하우징과 좌/우 배터리케이스가 결합(조립) 되어 있고, 히터케이스캡의 내부에는 히터유니트가 분할벽에 의해 받쳐 설치되어 있으며, 분할벽의 하측에는 히터유니트커넥터가 내부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는 히터케이스캡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담배결합공에 담배(개피)를 도립시켜 선단부를 삽입하고,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히터를 가열시켜 담배(개피)의 선단을 히터에 의해 점화시키며, 점화가 완료되면 스위치를 OFF시킨 상태에서 흡연을 계속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담배의 필터를 직접 물어 피워야 하므로 니코틴과 담배연기를 흡연자가 직접 흡입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담배를 피울 때에 발생하는 담뱃재를 수용하는 기능 및 제거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담뱃재가 케이스의 내부를 오염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청결하게 유지 및 휴대할 수 없으며, 담뱃갑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폐단과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한 담배흡연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담배(개피) 전체를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하고 점화하여 흡연할 수 있도록 된 담배흡연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담배(개피)의 선단을 전기적인 점화장치가 구비된 케이스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되, 다수의 내외기유통공이 외면에 뚫어진 케이스의 내부에는 담배개피장전틀을 구비하여 도립 시킨 담배(개피)의 전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하고, 담배개피장전틀의 하단에는 점화장치의 점화코일을 구비하여 담배의 선단에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점화코일의 하측에는 하단에 재떨이슬라이드판이 구비된 재떨이를 구비하여 담배를 흡연할 때에 발생하는 담뱃재가 자유 낙하하여 수용되도록 하며, 담배개피장전틀의 상단에는 흡입엘보결속구를 설치하여 케이스의 상단에서 빨대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흡입엘보관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빨대 또는 흡입엘보관 또는 빨대와 흡입엘보관의 접속부의 내부에는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장전/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담배개피장전틀의 내부에는 도립 시킨 담배(개피)의 전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배를 흡연할 때에 담배(개피)를 외부로 노출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할 수 있도록 하여 비흡연자들의 혐오감을 줄이고, 흡연시에 발생 되는 냄새와 연기가 피부 등과 접촉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담배개피장전틀의 하단에 구비된 점화장치의 점화코일에 의해 담배의 선단을 자연스럽게 점화시킬 수 있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충전수단을 구비하여 점화장치의 배터리를 수시로 충전시켜 별도의 라이터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자동차에서는 시가짹을 이용하지 않고도 담배를 피울수 있으며;
점화코일의 하측에는 하단에 재떨이슬라이드판이 구비된 재떨이를 구비하여 담배를 흡연할 때에 발생하는 담뱃재가 자유 낙하하여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흡연할 때에 담뱃재가 외부로 배출 및 비산 되지 않도록 하여 비흡연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며;
담배개피장전틀의 상단에는 흡입엘보결속구를 설치하여 케이스의 상단에서 빨대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흡입엘보관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담배를 직접 물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할 수 있으며;
상기 빨대 또는 흡입엘보관 또는 빨대와 흡입엘보관의 접속부의 내부에는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장전/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흡연시에 담배에서 발생되는 니코친 등의 유해물질을 필터에 의해 필터링하고, 필터에는 여러 가지의 향(한방, 박하향, 쑥향, 인삼향, 커피향 등)을 첨가하여 애연가들이 흡연할 때에 향을 음미하면서 흡연할 수 있으며;
케이스의 일 측면에 담뱃갑수납부를 구비하여 담뱃갑을 수납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뱃갑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재떨이에 충진되는 담뱃재는 재떨이슬라이드판을 이동(개방)시켜 제거해 줌으로써 청결하게 유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된 담배흡연기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담배(개피)의 선단을 전기적인 점화장치가 구비된 케이스에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다수의 내외기유통공이 외면에 뚫어진 케이스의 내부에는 담배개피장전틀을 구비하여 도립 시킨 담배(개피)의 전체를 담배개피장전틀의 내부에 내장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담배개피장전틀의 하단에는 점화장치의 점화코일을 구비하여 담배의 선단에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점화코일의 하측에는 하단에 재떨이슬라이드판이 구비된 재떨이를 구비하여 담배를 흡연할 때에 발생하는 담뱃재가 자유 낙하하여 수용되도록 한 것과;
상기 담배개피장전틀의 상단에는 흡입엘보결속구를 설치하여 케이스의 상단에서 빨대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흡입엘보관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빨대 또는 흡입엘보관 또는 빨대와 흡입엘보관의 접속부의 내부에는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장전/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는, 담배(개피)의 선단을 전기적인 점화장치가 구비된 케이스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되, 다수의 내외기유통공이 외면에 뚫어진 케이스의 내부에는 담배개피장전틀을 구비하여 도립 시킨 담배(개피)의 전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하고, 담배개피장전틀의 하단에는 점화장치의 점화코일을 구비하여 담배의 선단에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점화코일의 하측에는 하단에 재떨이슬라이드판이 구비된 재떨이를 구비하여 담배를 흡연할 때에 발생하는 담뱃재가 자유 낙하하여 수용되도록 하며, 담배개피장전틀의 상단에는 흡입엘보결속구를 설치하여 케이스의 상단에서 빨대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흡입엘보관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빨대 또는 흡입엘보관 또는 빨대와 흡입엘보관의 접속부의 내부에는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장전/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담배개피장전틀의 내부에는 도립 시킨 담배(개피)의 전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배를 흡연할 때에 담배(개피)를 외부로 노출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할 수 있도록 하여 비흡연자들의 혐오감을 줄이고 흡연시에 발생 되는 냄새와 연기가 피부 등과 접촉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담배개피장전틀의 하단에 구비된 점화장치의 점화코일에 의해 담배의 선단을 자연스럽게 점화시킬 수 있고, 담배개피장전틀의 하단에 구비된 점화장치의 점화코일에 의해 담배의 선단을 자연스럽게 점화시킬 수 있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충전수단을 구비하여 점화장치의 배터리를 수시로 충전시켜 별도의 라이터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자동차에서는 시가짹을 이용하지 않고도 담배를 피울 수 있으며; 점화코일의 하측에는 하단에 재떨이슬라이드판이 구비된 재떨이를 구비하여 담배를 흡연할 때에 발생하는 담뱃재가 자유 낙하하여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흡연할 때에 담뱃재가 외부로 배출 및 비산 되지 않도록 하여 비흡연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며; 담배개피장전틀의 상단에는 흡입엘보결속구를 설치하여 케이스의 상단에서 빨대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흡입엘보관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담배를 직접 물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할 수 있으며; 상기 빨대 또는 흡입엘보관 또는 빨대와 흡입엘보관의 접속부의 내부에는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장전/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흡연시에 담배에서 발생되는 니코친 등의 유해물질을 필터에 의해 필터링 하고, 필터에는 여러 가지의 향(한방향, 박하향, 쑥향, 인삼향, 커피향 등)을 첨가하여 애연가들이 흡연할 때에 향을 음미하면서 흡연할 수 있으며; 케이스의 일 측면에 담뱃갑수납부를 구비하여 담뱃갑을 수납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뱃갑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재떨이에 충진되는 담뱃재는 재떨이슬라이드판을 이동(개방)시켜 제거해 줌으로써 청결하게 유지 및 휴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를 전면 상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의 분리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를 후방 밑면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를 전면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를 분리시킨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를 후방 밑면에서 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는 도 3에 의해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담배개피(110)가 수용되는 흡연기구 케이스(2)를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로 분할하여 형성하였고, 흡연기구케이스(2)의 상단 중앙에는 빨대(60)가 구비되는 흡입엘보관(61)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빨대(60) 또는 흡입엘보관(61) 또는 빨대(60)와 흡입엘보관(61)의 접속부의 내부에는 담배연기와 니코틴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65)를 장전/인출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상기 필터(65)에는 한방 향, 박하향, 쑥향, 인삼향, 커피향 중에서 어느 하나를 첨가하여 기호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케이스(2)의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는, 연접(접속)되는 선단면에 결속수단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견실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우측분할케이스(2-2)의 접속면에는 결속돌편(40)을 일체로 형성하여 결속돌편(40)을 좌측분할케이스(2-1)의 선단면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좌측분할케이스(2-1)의 선단면에는 결착돌편(41-2)이 형성된 선단결착편(41-1)과 결착돌편(43-2)이 형성된 중간결속편(43-1), 중간결속편(42-2)이 형성된 결착돌편(42-1) 및 하단면에는 결속돌편이 형성된 결속편(44-1)(44-2)을 형성하였고, 우측분할케이스(2-2)의 선단면에는 중간결속요홈부(43-2)와 요홈이 형성된 결착편(41-3)과 결착돌편(42-1)(42-2)(42-3)을 각각 형성하여, 이들 결착편(41-1)과 중간결속편(42-1)(43-1) 및 결속편(44-1)(44-2)을 결착편(41-3)과 중간요홈(43-2) 및 결착요홈(42-1)(42-2)(42-3)에 결합하여 줌으로써 결속돌편(40)을 좌측분할케이스(2-1)를 견실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속수단에 의한 결속방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사상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는 만곡면의 외주에 환상돌기띠(3)를 형성하여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의 상면 후측부에 반원형의 흡입엘보관결합공(3-1)(3-2)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를 결합하였을 때에 흡입엘보관결합공(3-1)(3-2)이 원형을 이루도록 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원형을 이루는 흡입엘보관결합공(3-1)(3-2)에는 흡입엘보관(61)을 형성하는 수직관의 하단을 결합(삽입)하고 이탈(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는, 만곡면의 외주에 복수의 환상돌기띠(3)를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결합된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복수의 내외기유통공(4)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담배를 피울 때에 외기를 케이스(2)의 내부로 도입하고 담배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내외기유통공(4)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의 각 측면 하단부에 외기흡입구(4-1)를 하나 이상 형성하였고,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가 서로 접속되면 전면의 상단부에 연기배출구(4-2)를 형성하였다.
좌측분할케이스(2-1)의 내부에서, 전반부의 상측에는 충전배터리(24)를 설치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전기적인 부품들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전반부의 하측에는 회로기판(20)을 세워 설치하되, 상기 회로기판(20)의 후면에는 코일박스(26)를 설치하고, 상기 회로기판(20)의 전면에는 발광다이오드(22)와 버튼식 점화스위치(21)를 상하로 배치하여 설치하되, 상기 발광다이오드(22)와 버튼식 점화스위치(21)는 좌측분할케이스(2-1) 및 우측분할케이스(2-2)와의 사이에서 이들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회로기판(20)의 전면 하단에는 USB단자(25)를 설치하되, 좌측분할케이스(2-1) 및 우측분할케이스(2-2)와의 사이에서 USB단자결속공(25-1)을 통해 밑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USB단자(25)를 통해 외부의 전원을 충전배터리(24)로 공급하여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좌측분할케이스(2-1)의 내부에서 후반부에는 담배개피수용실(11)이 수직으로 유통되게 형성된 담배개피장전틀(10)을 세워 설치하였고, 상기 담배개피장전틀(10)의 상단에는 좌측분할케이스(2-1)의 상면에 형성된 흡입엘보관결합공(3-1)과 연통 되도록 흡입엘보결속구(12)를 설치하였으며, 담배개피장전틀(10)에서 담배개피수용실(11)의 하단부에는 전술한 충전배터리(24) 및 버튼식점화스위치(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화코일(27)을 설치하였다.
담배개피장전틀(10)의 밑면에는 담뱃재낙하공(16)을 뚫어주었고, 담배개피장전틀(10)의 밑면 하측에는 재떨이(15)를 설치하였으며, 재떨이(15)의 밑면에는 담뱃재배출공(15-1)을 뚫어주되, 밀편(28-1)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재떨이슬라이드판(28)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좌측분할케이스(2-1)와 대향 되게 결합 되는 우측분할케이스(2-2)의 상면 후측부에는 흡입엘보관결합공(3-2)을 형성하였고, 흡입엘보관결합공(3-2)의 하측에는 환상홈결착편(12-2)을 일체로 형성하여 흡입엘보결속구(12)의 환상요홈(12-1)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우측분할케이스(2-2)의 내부에는 각종부품들을 지지하는 지지틀(30)을 설치하였다.
지지틀(30)의 전반부에서 상단과 중간 및 하단에는 상단판(31)과 중간칸막이판(32) 및 하단판(33)을 설치하여, 상단판(31)과 중간칸막이판(32)과의 사이에 배터리수납실(34)이 형성되도록 하였고, 중간칸막이판(32)과 하단판(33)과의 사이에 코일박스수납실(35)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지지틀(30)의 후반부에는 담배개피수용실(11-1)이 수직으로 형성된 담배개피장전틀(10-1)을 설치하였고, 지지틀(30)의 상단면에는 결착지지홈(10-2)을 형성하여 담배개피장전틀(10)의 상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담배개피장전틀(10-1)의 하단에 설치된 상측결착편(18-1)에는 결착지지홈(18-3)를 형성하여 담배개피받침대(13)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우측분할케이스(2-2)의 밑면 상측에는 담뱃재배출공(17)이 형성된 하측결착편(18-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측결착편(18-1)과 하측결착편(18-2)과의 사이에 재떨이수용실(19)이 형성되도록 하였고, 상기 재떨이수용실(19)에는 좌측분할케이스(2-1)에 설치된 재떨이(15)의 일부(1/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재떨이수용실(19)에는 재떨이(15)의 상단과 하단의 형성된 지지편(14)이 상기 상측결착편(18-1)과 하측결착편(18-2)의 사이로 완전히 삽입되어, 좌측분할케이스(2-1)에 설치된 재떨이(15)가 끼워질(결합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결합 되는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의 후면에는 담뱃갑수납부(50)를 더 형성하였다.
상기 담뱃갑수납부(50)는,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의 후면에 담뱃갑받침판(52)이 밑면에 형성된 한 쌍의 담뱃갑지지측판(51)을 나란하게 형성하여 상측과 후방으로 개방된 담뱃갑수납실(53)이 형성되도록 하였고, 각 담뱃갑지지측판(51)의 외측부에는 파지요홈(51-1)을 형성하여 담뱃갑수납실(53)에 수납되는 담뱃갑(100)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결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각 담뱃갑받침판(52)의 대향 면에는 슬라이드홈(52-1)을 대향되게 형성하여 재떨이슬라이드판(28)을 결합시켜 줌으로써, 담뱃재를 외부로 털어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담뱃갑수납부(50)를 더욱 견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는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를 결합시켜 흡연기구케이스(2)를 형성하여 사용된다.
USB단자(25)를 통해 외부의 전원을 충전배터리(24)에 공급하여 충전배터리(24)를 완전히 충전시켜 준다.
충전배터리(24)에 전기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 흡연기구케이스(2)의 흡입엘보관결합공(3-1)(3-2)에 결합된 흡입엘보관(61: 빨대(60)가 구비된)을 제거한다.
담뱃갑수납부(50)에 결합된 담뱃갑(100)에서 한 개의 담배개피(110)를 꺼내고, 흡입엘보관(61)이 제거된 흡연기구케이스(2)의 흡입엘보관결합공(3-1)(3-2)을 통하여 담배개피(110)를 도립시켜 삽입(투입)시킨다.
흡입엘보관결합공(3-1)(3-2)을 통해 삽입(투입)되는 담배개피(110)는 하중에 의해 선단이 담배개피받침대(13)의 점화코일(27)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담배개피(110)의 선단이 담배개피받침대(13)의 점화코일(27)과 접촉된 상태에서 빨대(60)와 필터(65)가 구비된 흡입엘보관(61)을 흡입엘보관결합공(3-1)(3-2)에 결합시켜 주고, 빨대(60)를 입으로 물어준 상태에서 버튼식점화스위치(21)를 눌러줌과 동시에 빨대(60)를 빨아준다.
버튼식점화스위치(21)를 눌러주게 되면 발광다이오드(22)가 점등되고, 점화코일(27)에는 충전배터리(24)의 전기가 공급되어 점화코일(27)은 가열되며, 점화코일(27)의 가열에 의해 담배개피(110)의 선단이 점화된다.
점화코일(27)의 가열에 의해 담배개피(110)의 선단이 완전히 점화되면 버튼식점화스위치(21)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제거하고, 버튼식점화스위치(21)에서 압력을 제거하면 발광다이오드(22)는 소등된다.
점화코일(27)의 가열에 의해 담배개피(110)의 선단이 점화된 상태에서 빨대(60)를 반복적이면서 지속적으로 빨아주게(피우게) 되면 외부공기가 내외기유통공(4)을 통해 흡연기구케이스(2)의 내부로 유입되고, 따라서 담배개피(110)의 선단에는 담뱃불이 완전히 점화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빨대(60)를 빨아줄 때마다 흡입되는 담배연기는 흡입엘보관(61)을 통해 필터(65)를 통과하면서 연기와 니코틴 등이 필터링되며, 연기와 니코틴 등이 필터링 된 담배연기는 빨대(60)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빨대(60)를 빨아줄 때마다 흡입되는 담배연기는 필터(65)를 통과하면서 필터(65)에 함유되어 있는 향(한방 향, 박하향, 쑥향, 인삼향, 커피향 등)이 동시에 흡입되므로 향긋한 향을 음미하면서 흡연할 수 있으며, 흡연기구케이스(2)의 내부에 잔류하는 일부의 담배 연기는 내외기유통공(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의 각 측면 하단부에 외기흡입구(4-1)를 하나 이상 형성하고,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가 서로 접속되면 전면의 상단부에 연기배출구(4-2)를 형성한 경우에는, 담배를 흡입할 때에 외기흡입구(4-1)를 통해 외기 도입(흡입)되므로 담배를 용이하게 피울 수 있고, 담배를 피울 때에 담배(담뱃재와 담뱃불)에서 흡연기구케이스(2)의 내부로 발생 되는 연기는 연기배출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담배개피(110)를 피울 때에 발생 되는 담뱃재는 담뱃재낙하공(16)을 통해 재떨이(15)로 낙하하여 수납된다.
담배개피(110)를 완전히 피운 후에 밀편(25-1)에 의해 재떨이슬라이드판(25)을 밀어 담뱃재배출공(17)을 개방시키고, 흡연기구케이스(2)를 흔들어 재떨이(15)에 충지되어 있는 담뱃재를 완전히 제거하여 주며, 담뱃재가 완전히 제거되면 밀편(25-1)에 의해 재떨이슬라이드판(25)을 역으로 밀어 개방된 담뱃재배출공(17)을 폐쇄시킨다.
담뱃재배출공(17)을 폐쇄 시킨 상태에서 흡입엘보관결합공(3-1)(3-2)에 결합된 흡입엘보관(61: 빨대(60)가 구비된)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흡연기구케이스(2)를 도립시켜 담배개피장전틀(10)의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담배꽁초를 흡입엘보결속구(12)의 배출공과 흡입엘보관결합공(3-1)(3-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담배개피장전틀(10)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시켜 준다.
담배를 피운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는 흡입엘보관결합공(3-1)(3-2)에 결합된 흡입엘보관(61: 빨대(60)가 구비된)을 담뱃갑수납부(50)에 결합(수납)되어 있는 담뱃갑(100)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보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는,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된 담배개피장전틀(10)의 내부에는 도립 시킨 담배(개피)의 전체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담배를 흡연할 때에 담배(개피)를 외부로 노출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할 수 있도록 하여 비흡연자들의 혐오감을 줄이고 흡연시에 발생 되는 냄새와 연기가 피부 등과 접촉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담배개피장전틀(10)의 하단에 구비된 점화장치의 점화코일(27)에 의해 담배(110)의 선단을 자연스럽게 점화시킬 수 있으며, 케이스(2)의 내부에는 충전수단을 구비하여 점화장치의 충전배터리(24)를 수시로 충전시켜 별도의 라이터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점화코일(27)의 하측에는 하단에 재떨이슬라이드판(28)이 구비된 재떨이(15)를 구비하여 담배(110)를 흡연할 때에 발생하는 담뱃재가 자유 낙하하여 수용되도록 하므로 흡연할 때에 담뱃재가 외부로 배출 및 비산 되지 않도록 하여 비흡연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담배개피장전틀(10)의 상단에는 흡입엘보결속구(12)를 설치하여 케이스(2)의 상단에서 빨대(60)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흡입엘보관(61)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담배를 직접 물지 않은 상태에서 흡연할 수 있으며, 빨대(60) 또는 흡입엘보관(61) 또는 빨대(60)와 흡입엘보관(61)의 접속부의 내부에는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65)를 장전/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흡연시에 담배에서 발생되는 니코친 등의 유해물질을 필터에 의해 필터링 하고, 필터(65)에는 여러 가지의 향(한방향, 박하향, 쑥향, 인삼향, 커피향 등)을 첨가하여 애연가들이 흡연할 때에 향을 음미하면서 흡연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담배흡연기구(1)는, 케이스(2)의 일 측면에 담뱃갑수납부(50)를 구비하여 담뱃갑(100)을 수납보관할 수 있으므로 담뱃갑(100)을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재떨이(15)에 충진되는 담뱃재는 재떨이슬라이드판(28)을 이동(개방)시켜 제거해 줌으로써 청결하게 유지 및 휴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 담배흡연기구 2: 흡연기구케이스
2-1: 좌측분할케이스 2-2: 우측분할케이스
3: 환상돌기띠 4: 내외기유통공
10: 담배개피장전틀 11. 11-1: 담배개피수용실
12: 흡입엘보결속구 13: 담배개피받침대
15: 재떨이 20: 회로기판
21: 버튼식점화스위치 22: 발광다이오드
24: 충전배터리 25: USB단자
30: 지지틀 34: 배터리수납실
35: 코일박스수납실 40: 결속편
50: 담뱃갑수납부 51: 담뱃갑지지측판
52: 담뱃갑받침판 100: 담뱃갑 110: 담배개피

Claims (15)

  1. 담배(개피)의 선단을 전기적인 점화장치가 구비된 케이스(2)에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다수의 내외기유통공(4)이 외면에 뚫어진 케이스(2)의 내부에는 담배개피장전틀(10)을 구비하여 도립시킨 담배(개피)의 전체를 담배개피장전틀(10)의 내부에 내장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담배개피장전틀(10)의 하단에는 점화장치의 점화코일(27)을 구비하여 담배의 선단에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점화코일(27)의 하측에는 하단에 재떨이슬라이드판(28)이 구비된 재떨이(15)를 구비하여 담배(110)를 흡연할 때에 발생하는 담뱃재가 자유 낙하하여 수용되도록 한 것과;
    상기 담배개피장전틀(10)의 상단에는 흡입엘보결속구(12)를 설치하여 케이스(2)의 상단에서 빨대(60)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흡입엘보관(61)을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빨대(60) 또는 흡입엘보관(61) 또는 빨대(60)와 흡입엘보관(61)의 접속부의 내부에는 담배연기를 필터링하는 필터(65)를 장전/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2)는;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로 분할하여 결속수단에 의해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는;
    만곡면의 외주면에 환상돌기띠(3)를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는;
    복수의 내외기유통공(4)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측분할케이스(2-1)는;
    내부의 전면 상측부에 충전배터리(24)를 설치한 것과;
    내부의 전면 하측부에 회로기판(20)을 설치하되, 회로기판(20)에는 좌측 및 우측 분할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발광다이오드(22)와 버튼식점환스위치(21)를 설치한 것과;
    회로기판(20)의 전면 하단에는 USB단자(25)를 설치하여 외부의 전기를 충전배터리(24)에 공급하여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측분할케이스(2-1)는;
    좌측분할케이스(2-1)의 내부에서 후반부에는 담배개피수용실(11)이 수직으로 유통되게 형성된 담배개피장전틀(10)을 세워 설치한 것과;
    상기 담배개피장전틀(10)의 상단에는 좌측분할케이스(2-1)의 상면에 형성된 흡입엘보관결합공(3-1)과 연통되게 흡입엘보결속구(12)를 설치한 것과;
    상기 담배개피장전틀(10)에서 담배개피수용실(11)의 하단부에는 충전배터리(24) 및 버튼식점화스위치(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점화코일(27)을 설치한 것과;
    상기 담배개피장전틀(10)의 밑면에는 담뱃재낙하공(16)을 뚫어 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측분할케이스(2-1)와 대향 되게 결합 되는 우측분할케이스(2-2)는;
    우측분할케이스(2-2)의 상면 후측부에는 흡입엘보관결합공(3-2)을 형성한 것과;
    우측분할케이스(2-2)의 내부에는 각종부품들을 지지하는 지지틀(30)을 더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빨대(60) 또는 흡입엘보관(61) 또는 빨대(60)와 흡입엘보관(61)의 접속부의 내부에는 장전되는 필터(65)는;
    한방 향, 박하향, 쑥향, 인삼향, 커피향 중에서 어느 하나를 첨가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되는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의
    후면에는 담뱃갑수납부(50)를 더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10. 청구항 4에 있어서, 내외기유통공(4)은;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의 각 측면 하단부에 외기흡입구(4-1)를 하나 이상 형성한 것과;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가 서로 접속되면 연접면의 상단부에 연기배출구(4-2)를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11. 청구항 6에 있어서, 담배개피장전틀(10)은;
    담배개피장전틀(10)의 밑면 하측에는 담뱃재낙하공(16)과 연통되게 재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되는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의 떨이(15)를 더 설치한 것과;
    상기 재떨이(15)의 밑면에는 담뱃재배출공(15-1)을 뚫어주되 밀편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재떨이슬라이드판(28)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우측분할케이스(2-2)는;
    흡입엘보관결합공(3-2)의 하측에 환상홈결착편(12-2)을 일체로 형성하여 흡입엘보결속구(12)의 환상요홈(12-1)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우측분할케이스(3-2)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틀(30)은;
    지지틀(30)의 전반부에서 상단판(31)과 중간칸막이판(32)과의 사이에 배터리수납실(34)을 형성하고, 중간칸막이판(32)과 하단판(33)과의 사이에 코일박스수납실(35)을 형성한 것과;
    지지틀(30)의 후반부에는 담배개피수용실(11-1)이 수직으로 형성된 담배개피장전틀(1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지지틀(30)의 상단면(10-1)에는 결착지지홈(10-2)을 형성하여 담배개피장전틀(10)의 상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담배개피장전틀(10)의 하단에 설치된 상측결착편(18-1)에는 결착지지홈(18-3)을 형성하여 담배개피받침대(13)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우측분할케이스(3-2)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틀(30)은;
    우측분할케이스(3-2)의 밑면 상측에는 상측결착편(18-1)과 하측결착편(18-2)과의 사이에 재떨이수용실(19)이 형성되도록 한 것과;
    상기 하측결착편(18-2)과 우측분할케이스(3-2)의 밑면과의 사이에는 담뱃재배출홈(17)을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15. 청구항 9에 있어서; 결합되는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의 후면에 더 형성되는 담뱃갑수납부(50)는;
    좌측분할케이스(2-1)와 우측분할케이스(2-2)의 후면에는 담뱃갑받침판(52)이 밑면에 형성된 한 쌍의 담뱃갑지지측판(51)을 나란하게 형성하여 상측과 후방으로 개방된 담뱃갑수납실(53)이 형성되도록 한 것과;
    각 담뱃갑받침판(52)의 대향 면에는 슬라이드홈(52-1)을 대향되게 형성하여 재떨이슬라이드판(28)을 결합시킨 것과;
    상기 각 담뱃갑지지측판(51)의 외측부에는 파지요홈(51-1)을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흡연기구.
KR1020190067871A 2019-06-10 2019-06-10 담배흡연기구 KR202001412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871A KR20200141202A (ko) 2019-06-10 2019-06-10 담배흡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871A KR20200141202A (ko) 2019-06-10 2019-06-10 담배흡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202A true KR20200141202A (ko) 2020-12-18

Family

ID=7404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871A KR20200141202A (ko) 2019-06-10 2019-06-10 담배흡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12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559A1 (ko) 2020-10-28 2022-05-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4032738A1 (zh) * 2022-08-12 2024-02-15 北京知止观心科技有限公司 燃烧式电子烟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559A1 (ko) 2020-10-28 2022-05-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4032738A1 (zh) * 2022-08-12 2024-02-15 北京知止观心科技有限公司 燃烧式电子烟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8759B2 (ja) 喫煙装置
CA2250864C (en) Hand-held smoker's device for sidestream smoke control
RU89927U1 (ru) Трубка для бездымного курения
RU2360583C1 (ru) Трубка для бездымного курения
RU2556525C2 (ru) Ненагре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дыхания аромата
WO2014020539A1 (en) Combustion free and tobacco free smoking device
KR20100021595A (ko) 흡연장치와 충전 수단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WO2010090655A1 (en) E-cigarette with vitamin infusion
KR20200141202A (ko) 담배흡연기구
CN108567166A (zh) 电子烟液分离机构以及带有电子烟液分离机构的电子烟
JP7368379B2 (ja) 蒸気生成装置および蓋
JP2013526855A (ja) 煙と匂いを除去するフィルタ、装置、及び方法
CN203748668U (zh) 烘焙型烟雾发生器
WO2006017739A1 (en) Smoking enclosure
US20050236005A1 (en) Caddy for smoking accessories
CN211020986U (zh) 一种低温烟具
CN110786555A (zh) 一种便于提取加热不燃烧卷烟的加热装置
CN210158004U (zh) 卷烟净烟器
JP6268457B1 (ja) 煙草ケース
CN214509356U (zh) 多功能烟盒
CN206842147U (zh) 烟灰盒
TW202042668A (zh) 吸煙替代系統
KR200383059Y1 (ko) 금연 보조기구
CN214156206U (zh) 一种可灭菌消毒的便携式电子烟盒
CN202800083U (zh) 咖啡豆烘焙机除烟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