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026A - 전기 레인지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026A
KR20220161026A KR1020210069396A KR20210069396A KR20220161026A KR 20220161026 A KR20220161026 A KR 20220161026A KR 1020210069396 A KR1020210069396 A KR 1020210069396A KR 20210069396 A KR20210069396 A KR 20210069396A KR 20220161026 A KR20220161026 A KR 20220161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eating unit
electric stove
wir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1026A/ko
Priority to US17/826,382 priority patent/US20220386428A1/en
Priority to EP22176074.7A priority patent/EP4096363A1/en
Publication of KR2022016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4Arrangements of connectors, grounding, supply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2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4Heating plates with overheat prot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전기 레인지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 레인지는 가열부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일부를 하방으로 포밍(form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부는 브라켓 상의 특정 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특정 영역의 일 부분에 하방으로 포밍된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와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된 전선은 함몰부에 수용 또는 배치되며, 이에 따라 가열부와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전선과 가열부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조리 기구는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 레인지 및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 레인지를 포함한다.
전기 레인지는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 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열을 방사하거나 전도시켜 피가열체(일례로, 냄비, 프라이팬 등의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하여 코일 주변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계에서 생성된 와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유도 가열 방식의 기본적인 가열 원리를 살펴보면,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피가열체가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되면서 열이 생성되고, 생성된 열에 의하여 피가열체가 가열된다.
도 1은 종래의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의 가열부의 배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표현된 도면 부호들은 도 1의 구성 요소에만 한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열부(30)는 코어 프레임(32)을 구비하고, 코어 프레임(32)의 상면에 워킹 코일이 나선형으로 권선된다. 코어 프레임(32)의 중앙부에는 장착홀(321)이 형성되며, 장착홀(321)에는 온도 센서(60)가 장착된 센서 브라켓(61)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1 상부판(41)은 가열부(30)를 지지한다. 제1 상부판(41)의 상면에 가열부(30)가 장착된다. 이 때, 가열부(30)는 밀착하여 제1 상부판(41)의 상면에 장착된다.
온도 센서(60)는 전기 레인지의 구동 시 가열부(3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다. 온도 센서(60)에는 전선이 부착되며, 전선의 타측은 상부 브라켓(41, 42)의 하부에 설치된 인쇄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온도 센서(60)와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전선의 일부는 가열부(30) 및 제1 상부판(41)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전선의 일부는 가열부(30)의 일부 비어 있는 공간에 배치된다. 전기 레인지의 제조자는 가열부(30)의 상기 공간에 상기 전선의 일부를 배치하고, 이 후 가열부(30)를 제1 상부판(41)에 장착한다.
하지만, 가열부(30)의 장착 시 상기 전선의 일부가 상기 공간에서 빠질 수 있으며, 상기 전선의 일부는 가열부(30)과 제1 상부판(41) 사이의 밀착된 부분에 배치된다. 즉, 전선의 일부는 가열부(30) 및 제1 상부판(41)과 간섭된다.
이 경우, 가열부(30)의 무게 등으로 인해 전선의 일부에 압력이 가해지고, 전선이 단선될 수 있다. 전선이 단선되면 전기 레인지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못하며 작동 오류가 발생한다. 더불어, 전선이 끊어지는 경우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부와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전선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및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개선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부를 지지하는 상부 브라켓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부의 장착 시의 제조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가열부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일부를 하방으로 포밍(form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와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전선과 가열부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부는 브라켓 상의 특정 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특정 영역의 일 부분에 하방으로 포밍된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와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된 전선은 함몰부에 수용 또는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전선의 간섭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함몰부의 가장자리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가열부를 지지하는 브라켓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곡된 함몰부의 가장자리로 인해 브라켓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부는 브라켓 상의 특정 영역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 및 전자기파가 회로 기판에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레인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제1 브라켓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와 상기 제1 브라켓 사이에는 제1 전선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라켓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1 전선이 상기 가열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1 브라켓 상의 제1 영역에 장착되는 코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영역의 내측에 상기 함몰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코어 프레임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의 제1 측은 상기 코어 프레임의 중심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함몰부의 제2 측은 상기 코어 프레임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 레인지는, 상기 가열부에 장착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선은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전기 레인지는, 상기 센서를 상기 코어 프레임에 장착하는 센서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 브라켓은 상기 코어 프레임의 일부분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센서 브라켓의 장착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함몰부의 일 부분은 상기 센서 브라켓과 간섭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에는 삽입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선에서 제1 측으로 연장된 전선은 상기 삽입홀로 관통되어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은 상기 함몰부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가열부의 가장자리와 일부분이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의 가장자리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브라켓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 레인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서 결합된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된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 장착된 센서,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고, 함몰부 및 관통부가 형성된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이 장착된 제2 브라켓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와 상기 회로 기판은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 중 상기 가열부와 상기 제1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전선은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선 중 상기 제1 전선에서 연장되는 전선은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부와 브라켓 사이에 배치된 전선과 상기 가열부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함으로써, 전기 레인지의 작동 오류를 방지할 있고, 더불어 화재 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곡된 브라켓의 가장자리로 인해 브라켓의 강성이 보강됨으로써, 브라켓의 하방 처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 및 전자기파가 회로 기판에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EMC 및 EMI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부를 지지하는 브라켓의 일부에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열부의 장착 시의 제조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의 가열부의 배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일부 부품이 생략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일부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열부 및 상부 브라켓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열부 및 상부 브라켓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브라켓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A'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열부와 상부 브라켓의 장착과 관련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 방향"은 전기 레인지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 레인지의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좌우 방향"은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 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 방향" 또는 "측 방향"은 좌우 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좌표 축에서, x축 및 -x축 방향을 전방 및 후방으로, y축 및 -y축 방향을 우측방 및 좌측방으로, z축 및 -z축 방향을 상방 및 하방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일부 부품이 생략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일부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피가열체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철 등의 금속 재질을 함유하는 식기일 수 있다.
유도 가열 방식은 고주파 전력을 워킹 코일(31)에 인가하여 워킹 코일(31) 주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생성된 와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즉, 워킹 코일(31)이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와 인접한 구조를 가진 가열부(30)에 고주파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워킹 코일(31)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된다. 발생된 자기장의 영역 내에 피가열체가 놓이면, 피가열체에는 자기장에 의해 와전류가 유도되고, 와전류에 의해 줄열(Joule's heat)이 발생하여 피가열체가 가열될 수 있다. 피가열체가 가열됨으로써, 피가열체에 담긴 음식물이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케이스(10), 커버 플레이트(20), 가열부(30), 상부 브라켓(40) 및 베이스 브라켓(5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기 레인지를 구성하는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0)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케이스(10)는 워킹 코일(31)에 의해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단열 처리될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가열부(30), 상부 브라켓(40), 제어 보드(90) 등의 전기 레인지를 이루는 부품이 수납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부는 개방되지만, 이러한 개방부위는 커버 플레이트(2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판형의 재료를 가공하여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제1 케이싱(110), 제2 케이싱(120) 및 제3 케이싱(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싱(110)은 케이스(1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케이싱(110)은 전술한 전기 레인지의 내장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케이싱(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111a, 111b)가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111a, 111b)는 제1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70) 및 인쇄 회로 기판(70)에 장착되는 회로 소자 또는 전자 소자의 냉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제2 케이싱(120)은 제1 케이싱(110)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케이스(1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케이싱(120)은 제1 케이싱(110)의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전기 레인지의 측벽이 될 수 있다.
대체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케이싱(110)의 각 변에 제2 케이싱(1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케이싱(120)은 케이스(1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형의 제1 케이싱(110)이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제2 케이싱(120)이 제1 케이싱(110)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싱(120)은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는 배기홀(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홀(121)은 케이스(10)의 내부와 외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기홀(12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으며, 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는 부품이 냉각될 수 있다.
제3 케이싱(130)은 제2 케이싱(120)의 일부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케이싱(130)은 후술할 보스부(513)와 함께 상부 브라켓(40)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케이싱(130)은 제1 케이싱(110)의 적어도 일부의 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케이싱(130)의 상면에는 상부 브라켓(4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상부판(41)이 안착할 수 있고, 제1 상부판(41)과 제3 케이싱(130)은 볼트 등의 결합 기구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는 케이스(10)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는 케이스(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여 케이스(10)에 수납된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피가열체가 놓이고, 가열부(3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커버 플레이트(20)를 통과하여 피가열체에 도달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는 예를 들어, 세라믹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의 특정 영역 설치되고, 특정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전기 레인지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 강도나 가열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물리적인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입력 인터페이스는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하부에는 전기 레인지에 작동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 보드(9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 보드(90)는 복수의 키 스위치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키 스위치를 통해 제어 보드(90)에 명령을 입력하여 전기 레인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보드(90)는 제어 보드 브라켓(91)에 안착될 수 있고, 제어 보드 브라켓(91)은 제1 케이싱(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보드(90)의 상면은 커버 플레이트(20)의 하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어 보드(90)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보드(90)와 입력 인터페이스는 정전식 터치 입력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 명령은 제어 보드(90)에 입력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의 특정 영역에는 전기 레인지의 구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광 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20)의 하부에는 광원 유닛(95)이 배치될 수 있고, 광원 유닛(95)에서 방사된 빛이 광 표시 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광 표시 영역과 광원 유닛(95)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 유닛(95)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광 표시 영역도 동일한 개수로 커버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가열부(30)는 복수로 구비되고, 커버 플레이트(20)의 하측에 배치되며,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전기 레인지는 제1, 제2 및 제3 가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열부(30)는 전기 레인지의 제1 측, 즉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출력의 가열부일 수 있다. 제2 및 제3 가열부(30)는 전기 레인지의 제2 측, 즉 좌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저출력의 가열부일 수 있다. 제2 및 제3 가열부(30)는 전기 레인지의 좌측에서 전후방으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열부(30)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가열부(30) 중 일부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구현되고, 나머지는 전기 저항 가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하이라이트 가열 장치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 레인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가열부(30)가 모두 유도 가열 방식으로 구비되는 전기 레인지를 기준으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온도 센서(60)는 커버 플레이트(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60)에서 감지된 온도는 가열부(30)의 온도의 추정에 사용될 수 있다. 온도 센서(60)는 가열부(30)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60)는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는 온도 센서(60)를 가열부(30)의 중앙부에 장착하기 위한 센서 브라켓(61)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브라켓(61)은 가열부(30)의 중앙부에 장착되고, 센서 브라켓(61)의 내부에 온도 센서(60)가 장착될 수 있다.
가열부(30)는 상부 브라켓(4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상부 브라켓(40)이 전기 레인지에 구비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의 제1 측에 구비된 상부 브라켓(40)은 고출력의 가열부(30)를 지지할 수 있고, 전기 레인지의 제2 측에 구비된 상부 브라켓(40)은 저출력의 가열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물론, 가열부(30) 및 상부 브라켓(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부(3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가열부(30)를 지지하는 상부 브라켓(40)도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가열부(30)은 워킹 코일(31), 코어 프레임(32)을 포함하며, 코어 프레임(32)의 하면에 페라이트 코어가 설치될 수 있다. 워킹 코일(31)은 코어 프레임(32)의 상면에 나선형으로 권선될 수 있다. 워킹 코일(31)에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면, 페라이트 코어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형성된 자기장을 피가열체에 와전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은 가열부(30)의 하측에 배치되어 가열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은 제1 브라켓으로 호칭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부 브라켓(40)은 제1 상부판(41) 및 제2 상부판(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은 상부 브라켓(40)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가열부(3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은 하부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70)을 상하 방향으로 가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이 복수인 경우, 인쇄 회로 기판(70)의 면적에 따라, 하나의 제1 상부판(41)이 또는 복수의 제1 상부판(41)들이 서로 결합하여 인쇄 회로 기판(70)을 가릴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은, 가열부(30)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장 및 전자기파가 인쇄 회로 기판(70) 및 이에 설치된 전자 소자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행할 수 있다. 즉, 상부 브라켓(40)은 인쇄 회로 기판(70)에 대하여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및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상부판(42)은 제1 상부판(41)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상부판(42)은 전기 레인지의 상하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제2 상부판(42)은 제1 상부판(41)의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체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상부판(41)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 제2 상부판(4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부판(42)은 상부 브라켓(4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형의 제1 상부판(41)이 가열부(30)를 포함하는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제2 상부판(42)이 제1 상부판(41)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에는 광원 유닛(95)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유닛(95)은 상부 브라켓(40)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70)에 구비되고, 상부 브라켓(40)에는 광원 유닛(9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브라켓 상에 광원 유닛(95)이 배치되고, 광원 유닛(95)은 하부의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0)에는 광원 유닛(95)에 대응하는 부위에 광 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 유닛(95)은, 예를 들어, 복수의 LED가 일렬로 정렬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광원 유닛(95)은 가열부(30)가 작동하는 경우에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가열부(30)의 작동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또는, 광원 유닛(95)은 복수의 LED의 점등 모양, 색깔 등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전기 레인지의 작동 상태를 알려줄 수도 있다.
광원 유닛(95)의 개수는 가열부(30)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3개의 가열부(30)에 대하여 3개의 광원 유닛(95)이 구비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광원 유닛(95)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브라켓(50)은 제2 브라켓으로 호칭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50)은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배치되고, 인쇄 회로 기판(70)이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브라켓(50)은 바닥판(51a, 51b)과 측판(5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51a, 51b)은 베이스 브라켓(50)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일부의 바닥판(51a)의 상면에 인쇄 회로 기판(70)이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일부의 바닥판(51b)에는 보스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513)는 앞서 설명한 제3 케이싱(130)과 함께 상부 브라켓(40)를 지지할 수 있다
측판(52)은 바닥판(51a, 51b)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측판(52)은 전기 레인지의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판(52)은 바닥판(51)의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체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판(51)의 각 변에 측판(52)이 배치될 수 있다.
측판(52)은 베이스 브라켓(5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즉, 판형의 바닥판(51)이 회로기판 등의 내장 부품의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측판(52)이 바닥판(51)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70)은 제어부를 구성할 수 있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외부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70)은 제어 보드(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 보드(9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70)은 광원 유닛(95)과 워킹 코일(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70)에는 복수의 전자 소자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자 소자는 구동 회로부를 구성할 수 있다. 구동 회로부는 가열부(30)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70)에는 히트 싱크(71)가 장착될 수 있다.
히트 싱크(71)는 케이스(10) 내부의 열을 냉각할 수 있으며, 특히 인쇄 회로 기판(70)에 설치된 일부의 전자 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할 수 있다. 더욱이, 히트 싱크(71)는 케이스(10)에 수납되는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히트 싱크(7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방열 부재에 의해 냉각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송풍 팬(80)은 베이스 브라켓(5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케이스(10)를 냉각시키는 외부 공기를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브라켓(50)의 특정 영역, 일례로 후측 영역에는 제1 관통홀(511)이 형성될 수 있고, 송풍 팬(80)은 제1 관통홀(5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관통홀(511)은 제1 통풍구(111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기는 제1 통풍구(111a) 및 제1 관통홀(511)을 통해 송풍 팬(80)으로 유입될 수 있고, 송풍 팬(80)으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 팬(80)의 토출구에서 강제 유동하여 토출될 수 있다.
송풍 팬(80)에서 제공된 공기는 인쇄 회로 기판(7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송풍 팬(80)은 히트 싱크(71)와 특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송풍 팬(80)에서 토출된 공기의 일부는 히트 싱크(71)로 제공될 수 있다. 송풍 팬(80)에서 토출된 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히트 싱크(71)의 외부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5)는 송풍 팬(80)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5)는 히트 싱크(71)를 감싸도록 인쇄 회로 기판(7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가이드(85)는 송풍 팬(80)에서 토출된 공기를 히트 싱크(71)로 전달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5)의 제1 측, 일례로 후방 측은 송풍 팬(80)의 토출구와 연결될 수 있고, 에어 가이드(85)의 제2 측, 일례로 전방 측은 베이스 브라켓(50)의 전방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 브라켓(50)의 전측에는 제2 관통홀(5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관통홀(512)은 제2 통풍구(111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히트 싱크(71)를 냉각한 공기는 에어 가이드(85)의 제2 측으로 유동한 후 제2 관통홀(512) 및 제2 통풍구(111b)를 통해 케이스(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상부 브라켓(40)에 의해 지지되는 가열부(30)의 형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열부(30) 및 상부 브라켓(40)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열부(30) 및 상부 브라켓(40)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브라켓(40)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A'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6 내지 도 7에서는 전좌측 가열부(즉, 제2 가열부)(30)가 좌측 상부 브라켓(40)에 장착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 간의 결합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후좌측 가열부(즉, 제3 가열부)(30)를 도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후좌측 가열부(30)가 좌측 상부 브라켓(40)에 결합된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었으므로,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더불어, 도 6 내지 도 9에 설명되는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 간의 결합 구조는 우측 가열부(즉, 제1 가열부)(30)가 우측 상부 브라켓(40)에 결합되는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가열부(3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열부(30)는 워킹 코일(31), 코어 프레임(32) 및 페라이트 코어(33)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프레임(32)은 가열부(30)의 전체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코어 프레임(32)의 상면에는 워킹 코일(31)이 나선형으로 권선될 수 있다. 코어 프레임(32)의 하면에는 페라이트 코어(33)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워킹 코일(31)에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면, 페라이트 코어(33)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형성된 자기장이 피가열체에 와전류를 형성하여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워킹 코일(31)은 코어 프레임(32)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후,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코어 프레임(3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워킹 코일(31)은 제1 측(31a) 및 제2 측(31b)을 포함할 수 있다. 워킹 코일(31)의 제1 측(31a)은 코어 프레임(320)으로 인입되는 워킹 코일(31)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워킹 코일(31)의 제2 측(31b)은 코어 프레임(320)으로부터 인출되는 워킹 코일(31)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워킹 코일(31)의 제1 및 제2 측(31a, 31b)은 코어 프레임(32)의 하방에서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워킹 코일(31)의 제1 측(31a) 및 제2 측(31b)은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워킹 코일(31)의 제1 측(31a) 및 제2 측(31b)은 상부 브라켓(40)을 관통하여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는 코어 프레임(32)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온도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코어 프레임(32)의 중앙부에는 온도 센서(60)가 장착되는 장착홀(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온도 센서(60)는 장착홀(321)에 장착될 수 있다.
온도 센서(60)는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선(6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온도 센서(60)의 전선(63)은 상부 브라켓(40)을 관통하여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온도 센서(60)의 전선(63) 중 일부의 전선은 코어 프레임(32)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부의 전선의 제1 측에서 연결된 연장 전선은 코어 프레임(32)의 하방에서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 브라켓(40)을 관통하여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레인지는 온도 센서(60)를 코어 프레임(32)에 장착하기 위한 센서 브라켓(61)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브라켓(61)은 코어 프레임(32)의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홀(321)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센서 브라켓(61)의 내부에 온도 센서(60)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센서 브라켓(61)에는 퓨즈가 장착될 수 있다.
온도 센서(60)는 전기 레인지의 구동 시 커버 플레이트(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부(30)의 온도가 추정될 수 있다. 가열부(30)에서 발생하는 열은 가열부(30)뿐만 아니라, 가열부(30)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70) 및 이에 설치되는 각종 전자 소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가열부(30)의 온도가 설정된 임계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전기 레인지의 작동을 중단시키거나, 송풍 팬(80)을 제어하여 냉각 용량을 증가시키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에는 상부 브라켓(40)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는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에 서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는 상부 브라켓(40)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브라켓(4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브라켓(40)은 가열부(30)의 하측에 배치되어 가열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은 제1 상부판(41) 및 제2 상부판(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은 상부 브라켓(40)의 바닥면을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은 하부에 구비되는 인쇄 회로 기판(70)을 상하 방향으로 가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자리는, 제3 케이싱(130)에 안착되고, 나사 등을 통해 제3 케이싱(13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상부판(42)은 제1 상부판(41)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자리에서 전기 레인지의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제2 상부판(42)은 제1 상부판(41)의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및 후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상부판(42)은 제1 상부판(41)의 적어도 일측의 가장자리에서 전기 레인지의 하방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특히, 도 9를 참조하면, 제1 상부판(41)은 제1 영역(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은 가열부(320)의 위치와 대응되는 제1 상부판(41)의 특정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30)는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즉, 가열부(30)를 구성하는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는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경계(boundary)와 대응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은 가열부(30), 즉 코어 프레임(32)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경계는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는 원 형상이므로,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경계 역시 원 형상일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에는 함몰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함몰부(43)는 상부 브라켓(40)을 구성하는 제1 상부판(41) 및 제2 상부판(42) 중 제1 상부판(41)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함몰부(43)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및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가 개선될 수 있다.
특히, 도 9를 참조하면, 함몰부(43)는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함몰부(43)의 일부분은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함몰부(43)의 나머지 부분은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함몰부(43)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함몰부(43)의 전체가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내측에 형성된 형상을 기준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함몰부(43)는 제1 상부판(41)에서 하방 포밍(forming)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몰부(43)는 제1 상부판(41)의 상방에서 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9를 참조하면, 함몰부(43)의 가장자리(431)는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절곡된 함몰부(43)의 가장자리(431)는 제1 상부판(41)과 연결될 수 있다. 절곡된 함몰부(43)의 가장자리(431)로 인해 상부 브라켓(4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함몰부(43)는 코어 프레임(32)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어 프레임(32)은 원 형상이므로, 코어 프레임(32)의 폭 방향은 원의 지름 방향일 수 있다. 즉, 함몰부(43)는 코어 프레임(32)의 지름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43)는 제1 및 제2 측(43a, 43b)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43)의 제1 측(43a) 및 제2 측(43b)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함몰부(43)의 제1 측(43a)은 코어 프레임(32)의 중심부와 대응되는 제1 상부판(43a)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함몰부(43)의 제1 측(43a)은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중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어 프레임(32)의 중심부에 형성된 장착홀(321)에는 센서 브라켓(61)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센서 브라켓(61)과 함몰부(43)의 제1 측(43a)은 간섭되지 않도록 장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센서 브라켓(61)과 함몰부(43)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함몰부(43)의 제1 측(43a)은 센서 브라켓(61)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센서 브라켓(61)의 장착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함몰부(43)의 제1 측(43a)은 센서 브라켓(61)과 간섭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센서 브라켓(61)의 하부는 원 형상을 가지므로, 함몰부(43)의 제1 측(43a)은 원 형상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함몰부(43b)의 제2 측(43b)은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함몰부(43)의 제2 측(43b)은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가장자리 영역과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43)의 제2 측(43b)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정리하면, 함몰부(43)는 대체로 사각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부분이 가열부(30)의 중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함몰부(43)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부 브라켓(40)에는 복수의 삽입홀(44a, 44b, 44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삽입홀(44a, 44b, 44c)은 제1 상부판(41)의 상측에 위치한 전선, 워킹 코일(31)을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삽입홀(44a)은 가열부(30)에 장착된 온도 센서(60)의 전선(63)을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 또는 삽입시키기 위해 제1 상부판(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된 온도 센서(60)의 전선(63)은 제1 삽입홀(44a)을 통해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삽입홀(44b, 44c)은 코어 프레임(42)에 권선된 워킹 코일(31)의 제1 및 제2 측(31a, 31b)을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 또는 삽입시키기 위해 제1 상부판(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홀(44b)은 워킹 코일(31)의 제1 측(31a)을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 또는 삽입시키기 위해 제1 상부판(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삽입홀(44c)은 워킹 코일(31)의 제3 측(31c)을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 또는 삽입시키기 위해 제1 상부판(4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판(41)의 하측으로 관통된 워킹 코일(31)의 제1 및 제2 측(31a, 31b)은 제2 및 제3 삽입홀(44b, 44c)을 통해 상부 브라켓(40)의 하측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삽입홀(44a, 44b, 44c)은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홀(44a)과 제2 삽입홀(44b)은 서로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3 삽입홀(44c)은 제1 및 제2 삽입홀(44a, 44b)과 다소 떨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삽입홀(44a, 44b, 44c)은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과 일부 오버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삽입홀(44a, 44b, 44c)은 가열부(30), 즉 코어 프레임(32)의 가장자리와 일부분이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삽입홀(44a, 44b, 44c)은,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외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기 레인지의 EMC 및 EMI를 개선하기 위해, 복수의 삽입홀(44a, 44b, 44c)은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과 일부 오버랩되어 형성되거나,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삽입홀(44a, 44b, 44c)은 함몰부(43)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삽입홀(44a, 44b, 44c)은 함몰부(43)의 제2 측(43b)와 특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삽입홀(44a, 44b, 44c)은 함몰부(43), 즉 함몰부(43)의 제2 측(43b)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 함몰부(45) 및 복수의 삽입홀(44a, 44b, 44c)는 제1 상부판(41)의 전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좌후측 가열부(30)을 장착하기 위해, 제1 상부판(41)의 후측에도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 함몰부(45) 및 복수의 삽입홀(44a, 44b, 44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우측의 가열부(30)을 우측에 배치된 제1 상부판(41)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열부(30)와 상부 브라켓(40)의 장착과 관련된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열부(30)는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부(30)의 중심부에 장착된 온도 센서(60)의 전선 중 일부의 전선은 가열부(30)와 제1 상부판(41)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일부의 전선과 연결되는 연장 전선은 제1 상부 판(41)의 제1 삽입홀(44a)을 통해 인쇄 회로 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일부의 전선의 하측과 대응되는 제1 상부판(41)에는 함몰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43)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의 전선 및 가열부(30)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부판(41)에 함몰부(43)가 형성되지 않는 전기 레인지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전기 레인지의 제조자는 상기 일부의 전선을 가열부(30)의 일부 비어있는 공간에 배치시킨다.
하지만, 가열부(30)의 장착 시, 상기 일부의 전선이 상기 일부 비어있는 공간에서 빠질 수 있으며, 상기 일부의 전선은 가열부(30)과 제1 상부판(41) 사이의 밀착된 부분에 배치된다. 즉, 일부의 전선은 가열부(30) 및 제1 상부판(41)과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자는 가열부(30)을 다시 장착해야 한다. 또는, 상기한 간섭 상태를 제조자가 알지 못하는 경우, 가열부(30)의 무게 등으로 인해 상기 일부의 전선에 압력이 가해지고, 전선이 단선될 수 있다. 전선이 단선되면 전기 레인지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못하며 작동 오류가 발생한다. 더불어, 전선이 끊어지는 경우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부(30)가 장착되는 제1 상부판(41)의 제1 영역(45)의 내부에 함몰부(4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일부 비어있는 공간에서 상기 일부의 전선이 빠지는 경우, 상기 일부의 전선은 함몰부(43)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43)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의 전선 및 가열부(30)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함몰부(43)는 온도 센서(60)의 전선(63)뿐만이 아니라, 가열부(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워킹 코일(31)의 제1 측(31a)과 연결되는 워킹 코일(31)의 일부분 역시 수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워킹 코일(31)의 일부분 역시 가열부(30)에서 이탈할 수 있으므로, 함몰부(43)는, 온도 센서(60)의 전선(63)의 일부분과 유사하게, 가열부(30)와 상기 워킹 코일(31)의 일부분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가열부(30)를 지지하는 상부 브라켓(40)의 일부를 하방으로 포밍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하방으로 포밍된 상부 브라켓(40)의 일부분에 온도 센서(60)의 전선(63)의 일부분이 배치 또는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선(63)의 일부분과 가열부(30)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전기 레인지의 작동 오류를 방지할 있고, 화재 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함몰부(43)의 가장자리(431)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부 브라켓(4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곡된 함몰부(43)의 가장자리(431)로 인해 상부 브라켓(4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고, 상부 브라켓(40)의 하방 처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함몰부(43)의 내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3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 및 전자기파가 인쇄 회로 기판(70)에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EMC 및 EMI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8)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고, 피가열체가 상면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제1 브라켓;
    을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와 상기 제1 브라켓 사이에는 제1 전선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브라켓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1 전선이 상기 가열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기 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1 브라켓 상의 제1 영역에 장착되는 코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영역의 내측에 상기 함몰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코어 프레임의 폭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제1 측은 상기 코어 프레임의 중심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제2 측은 상기 코어 프레임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위치에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의 제1 영역의 경계는 상기 코어 프레임의 가장자리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전기 레인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장착되는 센서;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전선은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의 일 부분인,
    전기 레인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상기 코어 프레임에 장착하는 센서 브라켓;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 브라켓은 상기 코어 프레임의 일부분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센서 브라켓의 장착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함몰부의 일 부분은 상기 센서 브라켓과 간섭되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전기 레인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에는 삽입홀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 전선에서 제1 측으로 연장된 전선은 상기 삽입홀로 관통되어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기 레인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함몰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가열부의 가장자리와 일부분이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가열부의 가장자리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함몰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이 장착되는 제2 브라켓;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측으로 연장된 전선은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레인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가장자리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브라켓과 연결되는,
    전기 레인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에는 삽입홀이 형성되지 않는,
    전기 레인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선은 상기 워킹 코일의 일부분인,
    전기 레인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제1 판 및 상기 판의 가장자리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는 제2 판을 포함하되,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1 판의 제1 영역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판의 제1 영역의 상부에 상기 가열부가 장착되는,
    전기 레인지.
  18.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서 결합된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된 가열부;
    상기 가열부에 장착된 센서;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고, 함몰부 및 관통부가 형성된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이 장착된 제2 브라켓;
    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와 상기 회로 기판은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 중 상기 가열부와 상기 제1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전선은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고,
    상기 전선 중 상기 제1 전선에서 연장되는 전선은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레인지.
KR1020210069396A 2021-05-28 2021-05-28 전기 레인지 KR20220161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396A KR20220161026A (ko) 2021-05-28 2021-05-28 전기 레인지
US17/826,382 US20220386428A1 (en) 2021-05-28 2022-05-27 Electric range
EP22176074.7A EP4096363A1 (en) 2021-05-28 2022-05-30 Electric r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396A KR20220161026A (ko) 2021-05-28 2021-05-28 전기 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026A true KR20220161026A (ko) 2022-12-06

Family

ID=8244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396A KR20220161026A (ko) 2021-05-28 2021-05-28 전기 레인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86428A1 (ko)
EP (1) EP4096363A1 (ko)
KR (1) KR20220161026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8535A1 (de) * 1987-08-27 1989-03-09 Ego Elektro Blanc & Fischer Herdplatte
KR100947999B1 (ko) * 2009-11-04 2010-03-18 김찬경 무산소 광 발열 고효율 전기렌지
EP3139702B1 (en) * 2015-09-02 2018-11-1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Induction coil assembly for an induction cooking hob
SI25336A (sl) * 2016-12-12 2018-06-29 Gorenje Gospodinjski Aparati D.D. Distančni element pri indukcijski tuljavi indukcijskega kuhališča
DE102017221341A1 (de) * 2017-11-28 2019-05-29 E.G.O. Elektro-Gerätebau GmbH Topferkennungssensor für ein Induktionskochfeld und Induktionskochf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86428A1 (en) 2022-12-01
EP4096363A1 (en)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9831A1 (e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JP5999976B2 (ja) 加熱調理器および加熱調理装置
KR20220161026A (ko) 전기 레인지
EP4096358A1 (en) Electric range
KR20220080379A (ko) 전기 레인지
JP2006031946A (ja) 回路基板及びこの回路基板を用いた誘導加熱調理器
KR20220161027A (ko) 전기 레인지
KR20230123158A (ko) 전기 레인지
KR102419666B1 (ko) 전기 레인지
KR20220072206A (ko) 전기 레인지
JP2021048030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20072207A (ko) 전기 레인지
KR20220080380A (ko) 전기 레인지
EP4096359A1 (en) Electric range
KR20220060669A (ko) 전기 레인지
EP4095442A1 (en) Electric range
EP4096360A1 (en) Electric range
EP4096354A1 (en) Home appliance and heat sink installed therein
KR20220161028A (ko) 전기 레인지
EP4102936A1 (en) Electric range
US11519608B2 (en) Embossed feature for cooktop assembly
JP2005166568A (ja) 加熱調理器
KR20220161106A (ko) 전기 레인지
KR20220161031A (ko) 가전 기기
KR20230025143A (ko) 전기 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